KR102455402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402B1
KR102455402B1 KR1020177016349A KR20177016349A KR102455402B1 KR 102455402 B1 KR102455402 B1 KR 102455402B1 KR 1020177016349 A KR1020177016349 A KR 1020177016349A KR 20177016349 A KR20177016349 A KR 20177016349A KR 102455402 B1 KR102455402 B1 KR 102455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
angle
range
ship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311A (ko
Inventor
코우타쿠 야마모토
사오리 오카
히데아키 아키바야시
사토시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미쯔이 이앤에스 쉽빌딩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이앤에스 쉽빌딩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미쯔이 이앤에스 쉽빌딩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7013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40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diminishing wave res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경하흘수선(Db)보다 아래에 구상선수(5)를 갖는 배수량형의 선박(1)에 있어서,
Figure 112017056796702-pct00056
s=tan­¹[0.5×B/{(1-Cpf)×Lpp}](degree)로 계산되는 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57
s)로 계산되는 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58
s를, 한쪽 현측의 선수부의 기준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59
s)로 하고, 이 기준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60
s)에 대해서 「0<Rs<
Figure 112017056796702-pct00061
s+15°」의 범위를 특정 선수각도범위(Rs)로 했을 때에,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62
)가 연속해서 특정 선수각도범위(Rs) 내에 들어가는 선수부의 특정 상하범위(Ra)가, 만재흘수선(Df)에 일치하는 제 1 하한위치(Ha1)로부터, 만재흘수선(Df)보다도 기준 수두높이(△HS)만큼 높은 제 1 상한위치(Hb1)까지의 제 1 범위(R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경하흘수로부터 만재흘수까지 전부의 흘수에 있어서 선수조파저항을 작게 한다.

Description

선박{VESSEL}
본 발명은 경하흘수로부터 만재흘수까지의 모든 흘수에 있어서 선수(船首)조파저항을 작게하는 것이 가능한 선수형상을 갖는 선박 및 선박의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수량형의 선박에 있어서는 선수의 전단(前端)부근의 형상 즉 선수형상은 선박의 추진에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저감하기 위해서 파조저항이 작은 형상인 것으로 하고 있다.
이 선수형상이 비대하면 선박이 전진할 때에 선수부에 유입해 오는 물이 막히기 쉬워지고 동압(動壓)에 의해 수면이 상승하기 때문에 큰 수면파가 발생해서 조파저항이 커지게 된다. 또한 파랑중에 있어서는 입사파(入射波)가 전방으로 현저하게 반사되어 큰 저항증가를 불러온다. 그 때문에 선박의 선수형상에 있어서는 만재흘수선 부근과 그보다 아래쪽 형상에 대해서는 구상선수 부분을 제외하고 선수부의 전단부근이 너무 비대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있다.
한편 만재흘수선보다 윗쪽에 있어서는 파랑에 의한 관수(冠水)방지와 인원의 안전 갑판 및 갑판상의 의장품과 화물의 손상방지 관점에서 파랑 중에 있어서도 폭로갑판까지 물이 도달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게다가, 계선(係船)기계의 배치관점으로부터 폭로갑판의 폭이 어느 정도 넓은 것도 요구된다.
그 때문에 도 2의 점선 및 도 7에서 나타내는 종래기술의 선박(1X)에 있어서는 선수부분에서는 흘수가 깊어지는 정도, 즉, 선체가 침하해서 수면(W. L.)이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정도 도 5에서 나타내듯이 선수부의 수평단면형상을 나타내는 워터라인(Lz1, Lz2)은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01
1,
Figure 112017056796702-pct00002
2)가 열려서 예각에서부터 둔각이 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03
)는, 도 6에서 나타내듯이 워터라인(Lz)과 선체중심선(C. L)이 교차하는 선수부 선단부에서부터 선장(船長)방향에 1m 후방의 부위에서의 워터라인(Lz)의 접선(Lt)과 선체중심선(C.L.)이 이루는 각도로 정의된다.
또한, 선박이 항주하면 전방에서부터 유입해오는 물의 흐름을 선수 단부(端部)에서 막게 되기 때문에 선수부에서는 수두압(동압(動壓))에 의해 수면이 상승한다. 따라서 항주할 때의 선수의 수면은 정지시의 흘수보다도 높게 되기 때문에 실제로 물이 유입하는 선박의 선수부분의 워터라인의 선수각도는 또한 둔각인 것이 된다.
그 결과 흘수가 깊어질수록 선수부에서 발생하는 파도가 커지게 되어 조파저항이 커져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 조파저항증가의 대책 중 하나로서 예를 들면 일본출원특개 2000-14255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듯이 최대흘수선보다 위에서 선수단(船首端) 프로파일을 크게 앞으로 경사지게 하여 최대흘수선보다도 위의 워터라인의 앞쪽 끝부근을 예각으로 한 비대선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 출원특개 2000-33547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듯이 선수수선에서부터 배의 최전단까지의 거리가 짧고 또한 최대흘수선보다 위의 모든 워터라인에서 선수단 부근이 예각인 비대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비대선에서는 최대흘수선보다 위에 배치된 선수부의 상부의 갑판면적이 제한되어버린 데다가 경하상태에서부터 만재상태까지의 사이에서의 조파저항에 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출원특개 2000-14255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출원특개 2000-335478호 공보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기의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경하흘수에서부터 만재흘수까지의 전체 흘수에 있어서 선수조파저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선수형상을 갖는 선박 및 설계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선박은 구상선수(5)를 갖고 계획선속을 Vs로 하고 수선간장을 Lpp로 하고 형폭(型幅)을 B로 하고 선체전반부의 주형계수를 Cpf로 하는 배수량형의 선박(1)에 있어서, 중력가속도를 g로 했을 때에 △Hm=V²/(2g)으로 계산되는 △Hm을 최대수두(水頭)높이 △Hm으로 하고 △Hs=0.3×△Hm으로 계산되는 △Hs를 기준 수두높이 △Hs로 하는 것과 함께
Figure 112017056796702-pct00004
s=tan­¹[0.5×B/{(1-Cpf)×Lpp}](degree)로 계산되는 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05
s를 한쪽 현측의 선수부의 기준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06
s로 하고 또한 그 기준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07
s에 대해서 「0<Rs<
Figure 112017056796702-pct00008
s+15°」의 범위 Rs를 특정선수각도범위 Rs로 했을 때에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09
이 연속해서 상기 특정선수각도범위(Rs) 내에 들어가는 선수부의 특정 상하범위 Ra가 만재흘수선(Df)에 일치하는 제 1 하한(下限)위치(Ha)로부터 상기 만재흘수선(Df)보다도 상기 기준 수두높이(△Hs)만큼 높은 제 1 상한(上限)위치(Hb1)까지의 제 1 범위(R1)을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된다.
이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10
은 도 6에서 나타내듯이 워터라인(Lz)과 선체중심선(C. L.)이 교차하는 선수부 선단부(Pf)로부터 선장(船長)방향에 1m 후방의 부위(Pa)에서의 워터라인(Lz)의 접선(Lt)과 선체중심선(C. L.)이 이루는 각도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의 선박에 있어서 선수부의 측면형상을 나타내는 프로파일에 있어서, 상기 구상선수(5)보다 상측의 상기 프로파일을 제 1 연직부(10a)와 직선형상 혹은 곡선형상의 앞경사부(10b)와 선수 전단에 위치하는 제 2 연직부(10c)를 갖고서 구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 1 연직부(10a)의 상단을 제 1점(P1)으로 하고 상기 제 2 연직부(10c)의 하단을 제 2점(P2)으로 했을 때에 상기 제 1점(P1)은 상기 특정 상하범위(Ra)의 하단위치(Ha)보다도 높고 상기 앞경사부(10b)의 일부가 상기 제 1 범위(R1)에 포함되며 상기 제 2점(P2)은 상기 제 1점 (P1)보다도 위쪽에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선박의 설계방법은 구상선수(5)를 갖고, 계획선속을 Vs로 하고 수선간장을 Lpp로 하고, 형폭을 B로 하고 선체전반부의 주형계수를 Cpf로 하는 배수량형 선박의 설계방법에 있어서 중력가속도를 g로 했을 때에, △Hm=V²/(2g)으로 계산되는 △Hm을 최대 수두 높이 △Hm으로 하고 △Hs=0.3×△Hm으로 계산되는 △Hs를 기준 수두높이 △Hs로 하는 것과 함께
Figure 112017056796702-pct00011
s=tan­¹[0.5×B/{(1-Cpf)×Lpp}](degree)로 계산되는 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12
s를 한쪽 현측의 선수부의 기준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13
s로 하고 또한 그 기준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14
s에 대해서「0<Rs<
Figure 112017056796702-pct00015
s+15°」의 범위 Rs를 특정 선수각도범위 Rs로 했을 때에 그 특정 선수각도범위 Rs 내에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16
이 연속해서 들어가는 선수부의 특정 상하범위 Ra를 만재흘수선(Df)에 일치하는 제 1 하한위치(Ha1)에서부터, 만재흘수선(Df)보다도 상기 기준 수두높이(△Hs)만큼 높은 제 1 상한위치(Hb1)까지의 제 1 범위(R1)를 포함하도록 선수부 형상을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선박의 설계방법에 있어서 선수부의 측면형상을 나타내는 프로파일 있어서, 상기 구상선수(5)보다 상측의 상기 프로파일을 제 1 연직부(10a)와 직선형상 혹은 곡선형상의 앞경사부(10b)와 선수 전단에 위치하는 제 2 연직부(10c)를 갖고 구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 1 연직부(10a)의 상단을 제 1점(P1)으로 하고 상기 제 2 연직부(10c)의 하단을 제 2점(P)으로 했을 때에 상기 제 1점(P1)은 상기 특정상하범위(Ra)의 하단위치(Ha)보다도 높고 상기 앞경사부(10b)의 일부가 상기 제 1 범위(R1)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제 2점(P2)은 상기 제 1점(P1)보다도 위쪽에 있도록 선수부 형상을 설계한다.
또한 선형을 선수 엔트런스(Entrance)부와, 평행부(Parallel Part)로 불리는 선체중앙부와 선미 런(run)부로 나타낸다. 또한 선체 전반부의 주형계수(Cbf)는 배의 폭을 B와 배의 수선간장을 Lpp, 중앙횡단면적을 Amid로 했을 때의 배의 전반부의 용적(Vf)을 (Amid×(Lpp/2))로 나눈 계수 Cpf=Vf/(Amid×(Lpp)/2))가 된다.
그리고, 선수각도의 범위를 「0<Rs<
Figure 112017056796702-pct00017
s+15°」로 하는 것에 관해서는 수면 아래의 선수비대도를 나타내는 식으로서 하기의 (1)식이 있다.
S=(Lpp/B)X(1-Cpf)×(1/2) (1)
이 S는, 선체중심부(미드쉽)보다도 전방의 선체 전반부에 있어서 배의 폭(B)을 단위길이 수선간장을 Lpp/B의 스케일로 한 프리스마틱 곡선(각 횡단면에서의 면적을 중앙횡단면적으로 나눈 값의 선장(船長)방향분포를 나타낸 곡선)을 포함하는 장방형(S1)과 선수 엔트런스부(S2)에서 사이에 놓인 부분의 면적(S=S1-S2)이 된다.
이 (1)식보다 수면 아래의 선수각도(편현(片舷))는 아래의 (2)식으로 어림측정해서
Figure 112017056796702-pct00018
s를 설정하고 있다.
Figure 112017056796702-pct00019
s= tan­¹[B/{2(1-Cpf)Lpp}] (2)
그리고, 만재흘수선에서부터 수두높이까지의 선수각도를 크게 해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20
s보다 조금 크던가 혹은 그 이하로 하는 것으로, 수면 아래와 동등하거나 혹은 그 이하의 선수각도로 하는 것이 가능해서 적절하게 조파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선박에 의하면 경하상태에서는 구상선수가 만드는 파도와 선체가 만드는 파도의 간섭에 의해 선수조파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짐을 싣고 가라앉은 경하상태보다도 흘수가 깊어지는 경우는 선수의 수선면의 선수부의 접선과 선체중심선이 이루는 각도(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21
을 크게 해도 예각의 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22
s보다 조금 크던가 혹은 그 이하의 각도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선수부에서의 조파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항주할 때의 선수조파를 고려해서 특정 상하범위(Ra)의 상단위치까지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23
를 예각의 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24
s 근방으로 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경하흘수선 근방의 특정 상하범위(Ra)의 하단위치로부터 만재흘수선보다 위쪽의 특정 상하범위(Ra)의 상단위치까지는, 어떤 흘수가 되어도 수선면의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25
은 크게 해도 예각의 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26
s 보다 조금 크던가 혹은 그 이하의 각도가 되기 때문에, 통상의 재하상태라면 항주할 때의 조파저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선수 플레어를 설치한 선수부에서의 선수 플레어보다 아래쪽의 물의 흐름을 효율 좋게 뒤쪽으로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서 조파저항의 증가를 감소할 수 있고, 또한 특정 상하범위(Ra)의 상단위치보다 위에는 수면의 상승이 적기 때문에, 폭이 넓은 폭로갑판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선수 프로파일의 구성에 의하면 선수부의 프로파일을 전방으로 늘리는 구성에 의해 상기의 구성을 만족시키는 선형을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선수 프로파일을 구상선수보다 위쪽에서 앞경사부에서만 제 2연직부를 설치하지 않은 형상대로 했을 때에 흘수가 깊어져도 워터라인의 선단측을 얇게 하려고 하면 정면에서 봤을 때 선박의 전후방향별 횡단면에서의 선체형상이 T자형상이 되고 슬래밍 문제가 발생하지만 이 구성과 같이 선수 프로파일을 앞으로 늘리는 것에 의해 상기의 선수각도의 구성을 만족시킨 선형으로 해도 슬래밍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박 및 선박의 설계방법에 의하면 경하흘수에서부터 만재흘수까지 전부의 흘수에 있어서 선수조파저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선수부에서는 폭로갑판이 되는 상갑판에 있어서는 필요한 폭을 확보하면서도 종래기술의 선박보다도 조파저항 및 파랑중 저항증가가 작기 때문에 실제 해역을 항행하는 경우의 에너지 소비가 종래기술의 선박보다도 작아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선박에서의 제 1 범위와 특정상하범위와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선박에서의 선수부의 프로파일을 종래 예와 비교해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박에서의 수평단면에서의 선체형상을 종래 예와 비교해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 2의 Za-Z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선박에서의 선박의 전후방향별 횡단면에서의 선체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종래 선형의 선박에서의 선박의 높이가 다른 2개의 수평단면에서의 선체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선수각도의 정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의 선박에서의 선박의 전후방향별 횡단면에서의 선체형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의 선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의 선박은 계획선속을 Vs로 하고 수선간장을 Lpp로 하고, 형폭을 B라고 하고 선체전반부의 주형계수를 Cpf로 하는 배수량형의 선박이다.
이 조건하에서, 중력가속도를 g로 했을 때에 △Hm=V²/(2g)으로 계산되는 △Hm을 최대수두높이 △Hm으로 하고, △Hs=0.3×△Hm으로 계산되는 △Hs를 기준수두높이 △Hs로 한다. 또한
Figure 112017056796702-pct00027
s=tan­¹[0.5×B/{(1-Cpf)×Lpp}](°:도: degree)로 계산되는 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28
s를 기준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29
s로 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내듯이 본 발명에 관한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선박(1)은 경하흘수선(Db)보다 아래에 구상선수(5)를 갖고서 구성되는 것과 함께 기준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30
s에 대해서 「0<Rs<
Figure 112017056796702-pct00031
s+15°」의 범위 Rs를 특정선수각도범위 Rs로 한다. 또한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32
)가 연속해서 특정선수각도범위(Rs) 내에 들어가는 범위를 선수부의 특정상하범위 Ra로 한다.
그리고, 도 1에서 나타내듯이 본 발명에 관한 제 1의 실시형태의 선박(1)에서는, 만재흘수선(Df)에 일치하는 제 1 하한위치(Ha1)에서 만재흘수선(Df)보다도 기준수두높이 △Hs 만큼 높은 제 1 상한위치(Hb1)까지의 범위를 제 1 범위(R1)로 하면 이 제 1 범위(R1)를 특정상하범위(Ra)가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2에서 나타내듯이 상기의 선박(1)에서 선수부의 측면형상을 나타내는 프로파일에 있어서 구상선수(5)보다 상측의 프로파일을 제 1 연직부(10a)와 앞경사부(10b)와 제 2 연직부(10c)를 갖고서 구성한다. 그것과 함께 제 1 연직부(10a)의 상단을 제 1점(P1)으로 하고, 제 2 연직부(10c)의 하단을 제 2점(P2)으로 했을 때에 제 1점(P1)은, 특정상하범위(Ra)의 하단위치(Ha)보다도 높고 앞경사부(10b)의 일부가 제 1 범위(R1)에 포함되며 제 2점(P2)은 상기 제 1점(P1)보다도 위쪽에 있도록 한다. 또한 제 2점(P2)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DF+△Hm×1.5」보다도 아래의 위치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련한 제 1 실시의 형태의 선박의 설계방법은 구상선수(5)를 갖고 계획선속을 Vs로 하고, 수선간장을 Lpp로 하고, 형폭을 B로 하고, 선체전반부의 주형계수를 Cpf로 하는 배수량형의 선박의 설계방법으로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에서 계산한 기준수두 높이 △Hs와 기준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33
s를 이용하여 이 기준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34
s에 대해서「0<Rs<
Figure 112017056796702-pct00035
s+15°」의 범위 Rs를 특정 선수각도범위 Rs로 하고, 이 특정 선수각도범위 Rs 내에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36
이 연속해서 들어가는 선수부의 특정상하범위 Ra를 만재흘수선(Df)에 일치하는 제 1 하한위치(Ha1)로부터 만재흘수선(Df)보다도 기준수두 높이 △Hs 만큼 높은 제 1 상한위치(Hb1)까지의 제 1 범위(R1)를 포함하도록 선수부 형상을 설계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선박(1)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의 선박의 설계방법에서 선수부의 측면형상을 나타내는 프로파일에 있어서 구상선수(5)보다 상측의 프로파일을 제 1 연직부(10a)와 직선형상 혹은 곡선형상의 앞경사부(10b)와 제 2 연직부(10c)를 갖고서 구성한다. 그것과 함께, 제 1 연직부(10a)의 상단을 제 1점(P1)으로 하고, 제 2 연직부(10c)의 하단을 제 2점(P2)으로 했을 때에 제 1점(P1)은 특정상하범위(Ra)의 하단위치(Ha)보다도 높고 앞경사부(10b)의 일부가 제 1범위(R1)에 포함되고 또한 제 2점(P2)은 제 1점(P1)보다도 위쪽에 있도록 선수부 형상을 설계한다. 또한 제 2점(P2)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Df+△Hm×1.5」보다도 아래의 위치로 한다.
상기의 구성의 선박(1) 및 선박의 설계방법에 의하면 경하상태보다도 흘수가 깊어진 경우는 선수의 수선면의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37
)를 가능한 한 예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조파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주행시의 선수조파를 고려하면 경하흘수로부터 만재상태의 수두 높이까지는 수선면의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38
)가 예각인 채로 계속되기 때문에 어떤 흘수가 되어도 수선면은 기준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39
s)에 가까운 최소의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40
)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선수부의 프로파일을 앞쪽으로 늘리는 것에 의해 상기의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41
)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선형을 구성하기 쉽게 된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종래 선형의 선수 프로파일을 유지하여 선수 수선면의 각도를 예각으로 하려고 하면 선수정면에서 봤을 때에 선박의 전후 방향별의 횡단면에서의 선체형상이 T자형상이 되지만 선수 프로파일을 전방으로 늘리는 것으로 선수 수선면의 각도를 예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이 T자형상이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서 상기의 선수각도의 구성을 만족시킨 선형으로 해도 슬래밍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상선수(5)를 경하흘수선(Db)보다도 아래에 배치한 경우에는, 경하상태에서는, 구상선수(5)가 만드는 파도와 선체가 만드는 파도의 간섭에 의해 선수조파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경하흘수로부터 만재흘수까지의 전체의 흘수에서 선수조파저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선수부에서는 폭로갑판이 되는 상갑판에 있어서는 필요한 폭을 확보하면서도, 종래기술의 선박보다도 조파저항 및 파랑 중 저항증가가 작기 때문에 실제 해역을 항행하는 경우의 에너지 소비가 종래기술의 선박보다도 적게 된다.
본 발명의 선박에 의하면 경하흘수로부터 만재흘수까지의 전체 흘수에 있어서 선수 조파저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선박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1X 선박
2 선저
3 선측외판
4 폭로갑판(상갑판)
5 구상선수
10a 제 1 연직부
10b 앞경사부
10c 제 2 연직부
Db 경하흘수선
Df 만재흘수선
Ha 특정 상하범위의 하단위치
Ha1 제 1 하한위치
Hb1 제 1 상한위치
P1 제 1 점
P2 제 2 점
R1 제 1 범위
Ra 특정상하범위
Rs 특정선수각도범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42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43
s 기준선수각도
△Hm 최대수두높이
△Hs 기준수두높이

Claims (4)

  1. 구상선수(5)를 갖고 계획선속을 Vs로 하고, 수선간장을 Lpp로 하고, 형폭을 B로 하고 선체 전반부의 주형계수를 Cpf로 하는 배수량형의 선박(1)에 있어서,
    동력가속도를 g로 했을 때에 △Hm=V²/(2g)으로 계산되는 △Hm을 최대수두 높이 △Hm으로 하고 △Hs=0.3×△Hm으로 계산되는 △Hs를 기준수두높이 △Hs로 하는 것과 함께,
    Figure 112017056796702-pct00044
    s=tan­¹[0.5×B/{(1-Cpf)×Lpp}](degree)로 계산되는 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45
    s)를, 한쪽 현측의 선수부의 기준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46
    s)로 하고,
    또한 그 기준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47
    s)에 대해서 「0<Rs<
    Figure 112017056796702-pct00048
    s+15°」의 범위(Rs)를 특정선수각도범위(Rs)로 했을 때에,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49
    )가 연속해서 상기 특정선수각도범위(Rs) 내에 들어가는 선수부의 특정상하범위(Ra)가 만재흘수선(Df)에 일치하는 제 1 하한위치(Ha1)로부터 상기 만재흘수선(Df)보다도 상기 기준 수두높이 △Hs만큼 높은 제 1 상한위치(Hb1)까지의 제 1 범위(R1)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제 1항에 있어서,
    선수부의 측면형상을 나타내는 프로파일에 있어서 상기 구상선수(5)보다 상측의 상시 프로파일을 제 1 연직부(10a)와 직선형상 혹은 곡선상의 앞경사부(10b)와 선수 전단에 위치하는 제 2 연직부(10c)를 갖고서 구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 1 연직부(10a)의 상단을 제 1점(P1)으로 하고 상기 제 2 연직부(10c)의 하단을 제 2점(P2)으로 했을 때 상기 제 1점(P1)은 상기 특정상하범위(Ra)의 하단위치(Ha)보다도 높고 상기 앞경사부(10b)의 일부가 상기 제 1 범위(R1)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제 2점(P2)은 상기 제 1점(P1)보다도 위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구상선수(5)를 갖고 계획속도를 Vs로 하고, 수선간장을 Lpp로 하고, 형폭을 B로 하고 선체전반부의 주형계수를 Cpf로 하는 배수량형의 선박의 설계방법에 있어서,
    중력가속도를 g로 했을 때에 △Hm=V²/(2g)으로 계산되는 △Hm을 최대수두높이 △Hm으로 하고, △Hs=0.3×△Hm으로 계산되는 △Hs를 기준수두높이 △Hs로 하는 것과 함께,
    Figure 112017056796702-pct00050
    s=tan­¹[0.5×B/{(1-Cpf)×Lpp}](degree)로 계산되는 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51
    s)를, 한쪽 현측의 선수부의 기준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52
    s)로 하고,
    또한 그 기준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53
    s)에 대해서 「0<Rs<
    Figure 112017056796702-pct00054
    s+15°」의 범위(Rs)를 특정 선수각도범위(Rs)로 했을 때에,
    그 특정선수각도범위(Rs) 내에 선수각도(
    Figure 112017056796702-pct00055
    )가 연속해서 들어가는 선수부의 특정상하범위(Ra)를 만재흘수선(Df)에 일치하는 제 1 하한위치(Ha1)로부터, 만재흘수선(Df)보다도 상기 기준 수두높이(△Hs)만큼 높은 제 1 상한위치(Hb1)까지의 제 1 범위(R1)를 포함하도록 선수부 형상을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설계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선수부의 측면형상을 나타내는 프로파일에 있어서 상기 구상선수(5)보다 상측의 상기 프로파일을 제 1 연직부(10a)와 직선형상 혹은 곡선형상의 앞경사부(10b)와 선수 전단에 위치하는 제 2 연직부(10c)를 갖고서 구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 1 연직부(10a)의 상단을 제 1점(P1)으로 하고 상기 제 2 연직부(10c)의 하단을 제 2점(P2)으로 했을 때에 상기 제 1점(P1)은 상기 특정 상하범위(Ra)의 하단위치(Ha)보다도 높고, 상기 앞경사부(10b)의 일부가 상기 제 1범위(R1)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제 2점(P2)은 상기 제 1점(P1)보다도 위쪽에 있도록 선수부 형상을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설계방법.
KR1020177016349A 2015-04-02 2016-03-28 선박 KR102455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5562A JP2016193697A (ja) 2015-04-02 2015-04-02 船舶
JPJP-P-2015-075562 2015-04-02
PCT/JP2016/059975 WO2016158880A1 (ja) 2015-04-02 2016-03-28 船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311A KR20170134311A (ko) 2017-12-06
KR102455402B1 true KR102455402B1 (ko) 2022-10-14

Family

ID=5700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349A KR102455402B1 (ko) 2015-04-02 2016-03-28 선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6193697A (ko)
KR (1) KR102455402B1 (ko)
CN (1) CN107406122B (ko)
WO (1) WO20161588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53150B2 (ja) * 2020-11-19 2023-04-06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7688A (ja) 2001-03-22 2002-12-04 Nkk Corp 肥大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8950A (ja) * 2001-03-22 2007-05-17 Universal Shipbuilding Corp 肥大船
JP3571023B2 (ja) * 2001-11-22 2004-09-29 株式会社川崎造船 船舶の船首形状
JP4454644B2 (ja) * 2007-02-19 2010-04-21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自動車運搬船の船首構造
JP4722072B2 (ja) * 2007-03-22 2011-07-13 三井造船株式会社 船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7688A (ja) 2001-03-22 2002-12-04 Nkk Corp 肥大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311A (ko) 2017-12-06
WO2016158880A1 (ja) 2016-10-06
CN107406122A (zh) 2017-11-28
CN107406122B (zh) 2019-09-10
JP2016193697A (ja)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9442A2 (en) Foreship and ship vessel therewith
KR102114711B1 (ko) 상업용 화물선
US10457354B2 (en) Vessel having an improved hull shape
WO2017081996A1 (ja) 船舶
CN103889836A (zh) 用于水流管理的船头水动力导流管
KR101094539B1 (ko) 배수량형 선박의 선미 형상
KR102043054B1 (ko) 선박
KR102455402B1 (ko) 선박
JP2002347688A (ja) 肥大船
JP2007237895A (ja) 船舶
CN107140109A (zh) 一种滑行艇
JP4401346B2 (ja) 船舶機関室のダブルハル構造
KR20140029761A (ko) 만곡부 단면적이 감소된 저속 비대선
CN102700680B (zh) 排水型引航艇
KR20130098378A (ko) 선박
KR101422465B1 (ko)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JP6903851B2 (ja) 船舶
KR101527835B1 (ko) 안벽에 계류된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선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KR20140030827A (ko)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390826B1 (ko)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JP2014080095A (ja) チップ船の船首形状
JP2019001321A (ja) 洋上浮体構造物
KR20180002191U (ko) 볼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2016215941A (ja) 商用船舶、及び、商用船舶の横風風圧抵抗減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