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075B1 -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 Google Patents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075B1
KR102455075B1 KR1020210062672A KR20210062672A KR102455075B1 KR 102455075 B1 KR102455075 B1 KR 102455075B1 KR 1020210062672 A KR1020210062672 A KR 1020210062672A KR 20210062672 A KR20210062672 A KR 20210062672A KR 102455075 B1 KR102455075 B1 KR 102455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rotrusion
seal member
groov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재익
Original Assignee
(주)인터오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오션 filed Critical (주)인터오션
Priority to KR102021006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075B1/ko
Priority to PCT/KR2022/006703 priority patent/WO202224016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04Resilient s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04Resilient suits
    • B63C2011/043Dry suit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잠수복에서 잠수복 본체의 목 부분과 손목 부분의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에 관한 기술로, 상기 잠수복 본체 몸통부의 관통홀에 목씰부재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잠수복 본체의 상기 관통홀 둘레부에 연결되는 외측고정부, 상면에 제1 결합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는 제1 외측결합부 및 하면에 제2 결합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는 제2 외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결합부와 상기 제2 외측결합부가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기 관통홀 측 단부에 상기 관통홀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측 결합부재 및 하면에 상기 제1 결합홈에 끼움 삽입되는 제1 결합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제1 내측결합부 및 상면에 상기 제2 결합홈에 끼움 삽입되는 제2 결합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제2 내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씰부재의 상기 관통홀과 결합되는 측 단부에 상기 제1 내측결합부와 상기 제2 내측결합부가 상호 상기 목씰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내측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팔수용부의 소매단에 손목씰부재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팔수용부의 소매단 및 상기 손목씰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제1 환형몸체와, 상기 제1 환형몸체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제1 손목결합부재 및 상기 팔수용부의 소매단 및 상기 손목씰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제2 환형몸체와, 상기 제2 환형몸체 외면에 상기 체결홈과 대응되어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제2 손목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Drysuit with Detachable Sealing member}
본 발명은 잠수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식 잠수복에서 사용자의 목 부분과 손목 부분의 씰부재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잠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복은 잠수부가 물속에서 작업을 할 때 입는 특수복의 하나로, 잠수복은 크게 발포 네오프렌으로 몸에 꼭 맞게 제조되어 내부에 공기가 없게 하고 옷의 내부로 스며드는 물이 잠수부의 체온으로 데워져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습식 잠수복과, 방수 실과 지퍼 등을 이용하여 잠수복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잠수복 내부가 물에 젖지 않으며 공기층을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체온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잠수복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건식 잠수복은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아 주로 내의 등을 착용한 상태로 사용하게 되며, 공기층에 의한 체온 유지가 습식 잠수복에 비해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건식 잠수복은 주로 사용자의 신체에서 몸통과 팔, 다리가 내부에 일체로 수용되는 잠수복 본체에서, 사용자의 얼굴과 목이 인입 인출되는 부분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목을 보호하기 위한 목씰부재와, 사용자의 손이 인입 인출되는 소매단 부분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하기 위한 손목씰부재가 구비되게 되는데, 목씰부재와 손목씰부재는 접착제 등에 의해 건식 잠수복의 본체와 주로 일체로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잠수복이 목씰부재와 손목씰부재가 잠수복 본체와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목씰부재와 손목씰부재는 잠수복 본체와 달리 주로 연질 소재가 활용되므로,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의 얼굴, 목, 손 등이 인입 인출되는 과정과, 수중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자주 손상이 발생되게 되어, 씰부재 부분만 교체가 필요한 상황이 자주 발생되고 있다.
그에 따라, 씰부재 혹은 장갑과 같이 잠수복 본체와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잠수복에 대한 기술들이 일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탈부착이 구조가 복잡하여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지 않거나, 탈부착 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탈부착 부분이 사용자의 신체에 불편함을 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8948호(2012.12.28.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300746호(2013.08.21.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잠수복 본체와 씰부재가 탈부착 가능하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도록 하는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잠수복 본체와 씰부재의 탈부착 부분에서 발생되는 불편함을 감소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한 이해가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은, 잠수복 본체, 상기 잠수복 본체 상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과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잠수복 본체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씰부재, 상기 잠수복 본체의 상기 관통홀 둘레부에 연결되는 외측고정부, 상면에 제1 결합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는 제1 외측결합부 및 하면에 제2 결합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는 제2 외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결합부와 상기 제2 외측결합부가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기 관통홀 측 단부에 상기 관통홀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측 결합부재 및 하면에 상기 제1 결합홈에 끼움 삽입되는 제1 결합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제1 내측결합부 및 상면에 상기 제2 결합홈에 끼움 삽입되는 제2 결합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제2 내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씰부재의 상기 관통홀과 결합되는 측 단부에 상기 제1 내측결합부와 상기 제2 내측결합부가 상기 목씰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내측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결합부와 상기 제2 외측결합부 사이 공간으로 상기 제1 내측결합부 및 상기 제2 내측결합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1 외측결합부가 상기 제1 내측결합부와 탈부착되고, 상기 제2 외측결합부가 상기 제2 내측결합부와 탈부착되어, 상기 관통홀 둘레부와 상기 목씰부재가 상호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홈과 상기 제2 결합홈은 내면에 제1 걸림돌기와 제2 걸림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외면에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돌기와 대응되어 제1 걸림단턱과 제2 걸림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상기 제1 결합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걸림돌기에 상기 제1 걸림단턱이 걸려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상기 제1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상기 제2 결합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걸림돌기에 상기 제2 걸림단턱이 걸려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상기 제2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걸림돌기는 하부에 상기 제1 결합홈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단턱은 상부에 상기 제1 경사면과 대응되어 상기 제1 결합돌기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상부에 상기 제2 결합홈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제3 경사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단턱은 하부에 상기 제3 경사면과 대응되어 상기 제2 결합돌기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제4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 상기 제3 경사면 및 상기 제4 경사면에 미끄럼방지 물질이 도면된 미끄럼 방지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결합부재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 가능한 상기 제1 외측결합부의 하부는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평면에는 연질소재의 보호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은, 사용자의 몸통이 수용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와 내부가 연통되어, 상기 몸통부의 양측에 사용자의 팔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팔수용부와, 상기 몸통부와 내부가 연통되어, 상기 몸통부의 하측에 사용자의 다리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다리수용부를 포함하는 잠수복 본체, 상기 팔수용부의 소매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잠수복 본체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손목씰부재, 상기 팔수용부의 소매단 및 상기 손목씰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제1 환형몸체와, 상기 제1 환형몸체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제1 손목결합부재 및 상기 팔수용부의 소매단 및 상기 손목씰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제2 환형몸체와, 상기 제2 환형몸체 외면에 상기 체결홈과 대응되어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제2 손목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과 상기 체결돌기에 의해 상기 소매단과 상기 손목실부재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홈은 내면에 걸림고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외면에 상기 걸림고리와 대응되는 고리제한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에 상기 고리제한단턱이 걸려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체결홈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체결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리제한단턱은 상기 체결돌기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경사체결면과 대응되어 경사진 대응체결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체결면 및 대응체결면에 미끄럼방지 물질이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손목결합부재의 내측면과 상기 제2 손목결합부재의 내측면은 상호 동일선 상에 배치되어 이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은, 잠수복 본체, 관통홀, 목씰부재, 외측 결합부재, 내측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외측 결합부의 제1 외측결합부와 제2 외측결합부 사이 공간으로 내측 결합부재의 제1 내측결합부와 제2 내측결합부가 삽입되어, 잠수복 본체의 잠수복 본체의 관통홀 둘레부와 목씰부재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로 인해 사용자는 목씰부재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불어 목씰부재가 잠수복 본체와 연결되는 측 단부의 외측면과 내측면 모두가 잠수복 본체의 관통홀 부분과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로 인해 목씰부재가 안정적으로 잠수복 본체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은, 결합홈과 결합돌기에는 각각 걸림돌기와 걸림단턱이 더 형성되어, 잠수복 본체와 목씰부재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작업자가 작업 중 목씰이 분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은, 결합홈의 걸림돌기와 결합돌기의 걸림단턱은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에 미끄럼 방지층이 더 형성시킴으로써,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은, 특히 잠수복 본체의 내측면 쪽과 연결되는 외측 결합부재의 제1 외측결합부 하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평면에 연질소재의 보호패드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잠수복을 입고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목씰부재와 잠수복 본체 사이의 결합부분에 의해 발생하던 불편함을 보다 현저히 줄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은, 잠수복 본체, 손목씰부재, 제1 손목결합부재 및 제2 손목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제1 손목결합부재의 체결홈과 제2 손목결합부재의 체결돌기에 의해 잠수복 본체의 소매단과 손목씰부재가 탈부착 가능게 되어, 필요에 따라 손목씰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은, 체결홈에는 걸림고리가 돌출 형성되고, 체결돌기에는 걸림고리와 대응되는 고리제한단턱이 형성되어, 잠수복 본체의 팔수용부 소매단부와 손목씰부재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작업자가 작업 중 손목씰이 분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은, 체결홈의 걸림고리와 체결돌기의 고리제한단턱에는 상호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에 미끄럼 방지층이 더 형성시킴으로써, 체결홈과 체결돌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 가능한 제1 손목결합부재의 내측면과 제2 손목결합부재의 내측면은 상호 동일선 상에 배치되어 이어지도록 구성되어, 잠수복을 입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손목씰부재와 소매단 부분 사이의 결합부분에 의해 발생하던 불편함을 보다 현저히 줄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에서 목씰부재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분을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에서 손목씰부재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부분을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에서 목씰부재(200)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분을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에서 손목씰부재(500)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부분을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은, 크게 잠수복 본체(100), 목씰부재(200), 외측 결합부재(300), 내측 결합부재(400), 손목씰부재(500), 제1 손목결합부재(600) 및 제2 손목결합부재(700)를 포함한다.
우선, 잠수복 본체(100)는, 사용자의 신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잠수복 전체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사용자의 몸통이 수용되는 몸통부(110)와, 상기 몸통부(110)와 내부가 연통되어, 상기 몸통부(110)의 양측에 사용자의 팔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팔수용부(120)와, 상기 몸통부(110)와 내부가 연통되어, 상기 몸통부(110)의 하측에 사용자의 다리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다리수용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잠수복 본체(100)의 상측 중앙부, 보다 상세하게는 몸통부(110)의 상측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얼굴과 목이 인입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관통홀(111)에 목씰부재(200)가 탈부착되게 된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잠수복 본체(100)의 관통홀(111) 둘레부분과 목씰부재(200)의 결합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의 잠수복은, 상기 잠수복 본체(100)의 상기 관통홀(111) 둘레부에 연결되는 외측고정부(310), 상면에 제1 결합홈(32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는 제1 외측결합부(320) 및 하면에 제2 결합홈(33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는 제2 외측결합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결합부(320)와 상기 제2 외측결합부(330)가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기 관통홀(111) 측 단부에 상기 관통홀(111)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측 결합부재(300) 및 하면에 상기 제1 결합홈(321)에 끼움 삽입되는 제1 결합돌기(411)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제1 내측결합부(410) 및 상면에 상기 제2 결합홈(331)에 끼움 삽입되는 제2 결합돌기(4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제2 내측결합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목씰부재(200)의 상기 관통홀(111)과 결합되는 측 단부에 상기 제1 내측결합부(410)와 상기 제2 내측결합부(420)가 상기 목씰부재(20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결합돌기(411)와 상기 제2 결합돌기(421)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내측 결합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결합부(320)와 상기 제2 외측결합부(330) 사이 공간으로 상기 제1 내측결합부(410) 및 상기 제2 내측결합부(420)가 삽입되어, 상기 제1 외측결합부(320)가 상기 제1 내측결합부(410)와 탈부착되고, 상기 제2 외측결합부(330)가 상기 제2 내측결합부(420)와 탈부착되어, 상기 관통홀(111) 둘레부와 상기 목씰부재(200)가 상호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결합홈과 결합돌기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홈(321)과 상기 제2 결합홈(331)은 내면에 제1 걸림돌기(322)와 제2 걸림돌기(332)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돌기(411)와 상기 제2 결합돌기(421)는 외면에 상기 제1 걸림돌기(322)와 제2 걸림돌기(332)와 대응되어 각각 제1 걸림단턱(412)과 제2 걸림단턱(4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돌기(411)가 상기 제1 결합홈(3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걸림돌기(322)에 상기 제1 걸림단턱(412)이 걸려짐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돌기(411)가 상기 제1 결합홈(3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고, 상기 제2 결합돌기(421)가 상기 제2 결합홈(33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걸림돌기(332)에 상기 제2 걸림단턱(422)이 걸려짐에 따라 상기 제2 결합돌기(421)가 상기 제2 결합홈(33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 걸림돌기(322)는 하부에 상기 제1 결합홈(321)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32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단턱(412)은 상부에 상기 제1 경사면(323)과 대응되어 상기 제1 결합돌기(4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413)이 더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 걸림돌기(332)는 상부에 상기 제2 결합홈(331)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제3 경사면(33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단턱(422)은 하부에 상기 제3 경사면(333)과 대응되어 상기 제2 결합돌기(4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제4 경사면(423)이 더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결합홈의 걸림돌기와 결합돌기의 걸림단턱에는 대응되는 경사면에 의해 결합홈과 걸림돌기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경사면(323), 상기 제2 경사면(413), 상기 제3 경사면(333) 및 상기 제4 경사면(423)에 미끄럼방지 물질이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미도시)이 더 포함되어,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잠수복 본체(100)의 내측면 쪽과 연결되는 상기 외측 결합부재(300)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 가능한 상기 제1 외측결합부(320)의 하부는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평면에는 연질소재의 보호패드(R)가 더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잠수복을 입고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목씰부재(200)와 잠수복 본체(100) 사이의 결합부분에 의해 발생하던 불편함을 보다 현저히 줄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잠수복 본체(100) 팔수용부(120)의 소매단과 손목씰부재(500)의 결합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의 잠수복은, 잠수복 본체(100), 상기 팔수용부(120)의 소매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잠수복 본체(100)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손목씰부재(500), 상기 팔수용부(120)의 소매단 및 상기 손목씰부재(50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제1 환형몸체(610)와, 상기 제1 환형몸체(61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는 체결홈(620)을 포함하는 제1 손목결합부재(600) 및 상기 팔수용부(120)의 소매단 및 상기 손목씰부재(500)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제2 환형몸체(710)와, 상기 제2 환형몸체(710) 외면에 상기 체결홈(620)과 대응되어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720)를 포함하는 제2 손목결합부재(700)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홈(620)과 상기 체결돌기(720)에 의해 상기 소매단과 상기 손목실부재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제1 손목결합부재(600)가 외측에 배치되어, 내측면에 체결홈(620)이 형성되고, 제2 손목결합부재(700)가 제1 손목결합부재(600) 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외측면에 체결돌기(720)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와 반대로 제2 손목결합부재(700)가 외측에 배치되어 내측면에 체결돌기(720)가 형성되고, 제1 손목결합부재(600)가 제2 손목결합부재(700) 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외측면에 체결홈(620)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체결홈(620)은 내면에 걸림고리(6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720)는 외면에 상기 걸림고리(621)와 대응되는 고리제한단턱(72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720)가 상기 체결홈(6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621)에 상기 고리제한단턱(721)이 걸려 상기 체결돌기(720)가 상기 체결홈(6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걸림고리(621)는 상기 체결홈(620)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체결면(622)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리제한단턱(721)은 상기 체결돌기(7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경사체결면(622)과 대응되어 경사진 대응체결면(722)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체결홈(620)과 체결돌기(720)가 결합된 상태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 가능한 상기 제1 손목결합부재(600)의 내측면과 상기 제2 손목결합부재(700)의 내측면은 상호 동일선 상에 배치되어 이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잠수복을 입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손목씰부재(500)과 소매단 부분 사이의 결합부분에 의해 발생하던 불편함을 보다 줄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더불어, 해당 제1 환형몸체(610)의 내측면과 제2 환형몸체(710)의 내측면에는 연질소재의 보호부재가 더 구비되도록 하여 착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잠수복 본체
110 : 몸통부
111 : 관통홀
120 : 팔수용부
130 : 다리수용부
200 : 목씰부재
300 : 외측 결합부재
310 : 외측고정부
320 : 제1 외측결합부
321 : 제1 결합홈
322 : 제1 걸림돌기
323 : 제1 경사면
330 : 제2 외측결합부
331 : 제2 결합홈
332 : 제2 걸림돌기
333 : 제3 경사면
400 : 내측 결합부재
410 : 제1 내측결합부
411 : 제1 결합돌기
412 : 제1 걸림단턱
413 : 제2 경사면
420 : 제2 내측결합부
421 : 제2 결합돌기
422 : 제2 걸림단턱
423 : 제4 경사면
500 : 손목씰부재
600 : 제1 손목결합부재
610 : 제1 환형몸체
620 : 체결홈
621 : 걸림고리
622 : 경사체결면
700 : 제2 손목결합부재
710 : 제2 환형몸체
720 : 체결돌기
721 : 고리제한단턱
722 : 대응체결면

Claims (10)

  1. 잠수복 본체;
    상기 잠수복 본체 상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과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잠수복 본체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씰부재;
    상기 잠수복 본체의 상기 관통홀 둘레부에 연결되는 외측고정부, 상면에 제1 결합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는 제1 외측결합부 및 하면에 제2 결합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는 제2 외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결합부와 상기 제2 외측결합부가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외측고정부의 상기 관통홀 측 단부에 상기 관통홀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측 결합부재; 및
    하면에 상기 제1 결합홈에 끼움 삽입되는 제1 결합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제1 내측결합부 및 상면에 상기 제2 결합홈에 끼움 삽입되는 제2 결합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제2 내측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씰부재의 상기 관통홀과 결합되는 측 단부에 상기 제1 내측결합부와 상기 제2 내측결합부가 상기 목씰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내측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결합부와 상기 제2 외측결합부 사이 공간으로 상기 제1 내측결합부 및 상기 제2 내측결합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1 외측결합부가 상기 제1 내측결합부와 탈부착되고, 상기 제2 외측결합부가 상기 제2 내측결합부와 탈부착되어, 상기 관통홀 둘레부와 상기 목씰부재가 상호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결합홈과 상기 제2 결합홈은
    내면에 제1 걸림돌기와 제2 걸림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외면에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돌기와 대응되어 제1 걸림단턱과 제2 걸림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상기 제1 결합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걸림돌기에 상기 제1 걸림단턱이 걸려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상기 제1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상기 제2 결합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걸림돌기에 상기 제2 걸림단턱이 걸려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상기 제2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돌기는 하부에 상기 제1 결합홈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단턱은 상부에 상기 제1 경사면과 대응되어 상기 제1 결합돌기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상부에 상기 제2 결합홈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제3 경사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단턱은 하부에 상기 제3 경사면과 대응되어 상기 제2 결합돌기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제4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 상기 제3 경사면 및 상기 제4 경사면에 미끄럼방지 물질이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결합부재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 가능한 상기 제1 외측결합부의 하부는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평면에는 연질소재의 보호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6. 사용자의 몸통이 수용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와 내부가 연통되어, 상기 몸통부의 양측에 사용자의 팔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팔수용부와, 상기 몸통부와 내부가 연통되어, 상기 몸통부의 하측에 사용자의 다리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다리수용부를 포함하는 잠수복 본체;
    상기 팔수용부의 소매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잠수복 본체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손목씰부재;
    상기 팔수용부의 소매단 및 상기 손목씰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제1 환형몸체와, 상기 제1 환형몸체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제1 손목결합부재; 및
    상기 팔수용부의 소매단 및 상기 손목씰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제2 환형몸체와, 상기 제2 환형몸체 외면에 상기 체결홈과 대응되어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제2 손목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과 상기 체결돌기에 의해 상기 소매단과 상기 손목씰부재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체결홈은 내면에 걸림고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외면에 상기 걸림고리와 대응되는 고리제한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에 상기 고리제한단턱이 걸려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체결홈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체결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리제한단턱은 상기 체결돌기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경사체결면과 대응되어 경사진 대응체결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체결면 및 대응체결면에 미끄럼방지 물질이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목결합부재의 내측면과 상기 제2 손목결합부재의 내측면은 상호 동일선 상에 배치되어 이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KR1020210062672A 2021-05-14 2021-05-14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KR102455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672A KR102455075B1 (ko) 2021-05-14 2021-05-14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PCT/KR2022/006703 WO2022240164A1 (ko) 2021-05-14 2022-05-11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672A KR102455075B1 (ko) 2021-05-14 2021-05-14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075B1 true KR102455075B1 (ko) 2022-10-14

Family

ID=8359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672A KR102455075B1 (ko) 2021-05-14 2021-05-14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5075B1 (ko)
WO (1) WO202224016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487Y1 (ko) * 1981-02-09 1982-03-31 정상한 소매고무를 착탈케 한 잠수복
KR101218948B1 (ko) 2006-02-14 2013-01-04 화이츠 매뉴팩처링 엘티디. 분리된 스킨 드라이슈트
KR101300746B1 (ko) 2010-01-08 2013-08-28 가부시키가이샤 제로 수중용 드라이 슈트
EP3747755A1 (en) * 2019-04-08 2020-12-09 Surflo Co., Ltd. Suit for double-blocking of water infilt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515U (ja) * 1984-07-10 1986-02-06 高階救命器具株式会社 ドライス−ツ
US6473904B2 (en) * 2000-09-27 2002-11-05 Carole D. Long Scuba diving wetsu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487Y1 (ko) * 1981-02-09 1982-03-31 정상한 소매고무를 착탈케 한 잠수복
KR101218948B1 (ko) 2006-02-14 2013-01-04 화이츠 매뉴팩처링 엘티디. 분리된 스킨 드라이슈트
KR101300746B1 (ko) 2010-01-08 2013-08-28 가부시키가이샤 제로 수중용 드라이 슈트
EP3747755A1 (en) * 2019-04-08 2020-12-09 Surflo Co., Ltd. Suit for double-blocking of water infiltr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40164A1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890B1 (ko) 브래지어 같은 등 부분을 갖는 의류
KR101563113B1 (ko) 영구 자석을 이용한 넥 컬러 탈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워터 스포츠용 슈트
KR102455075B1 (ko) 씰부재 탈부착이 가능한 잠수복
US4715068A (en) Garment and liner combination
KR102058424B1 (ko) 마스크를 가진 목 상의
WO2013150665A1 (ja) 電子機器収納ケース
KR20140120789A (ko) 발열장치가 구성된 잠수복상의
US20180042317A1 (en) Upper body garment having integrated gloves
US20130160190A1 (en) Trouser Cuff Accessory
KR20090017711A (ko) 마스크 착용끈 연결용 탭
KR101772691B1 (ko) 배낭 겸용 의류
KR20220138083A (ko)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
JP2005254022A (ja) 耳栓付きアイマスク
JP3168356U (ja) ドライスーツ
CN218104976U (zh) 一种具有安全性的防静电劳保服
JP2018104873A (ja) シャツ等上衣のスーツズボンやスカート等下衣からのずり上がり防止用具
ITFI20010061U1 (it) Muta per subacqueo a tenuta termica migliorata
CN212994483U (zh) 一种防水性功能校服
KR200193758Y1 (ko) 핸드백을 부착할 수 있는 바지 및 그 핸드백
KR200453904Y1 (ko) 분리방지용 안전장치가 구비된 벨트 착용 휴대폰 케이스
KR20210065382A (ko) 후드끈 홀더
JP3175581U (ja) 長靴、長靴上縁開口部の防水構造
JPS6332079Y2 (ko)
JPH0731641Y2 (ja) 送受話器の着用具
KR930001664Y1 (ko) 보조밴드를 가진 멜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