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020B1 -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5020B1 KR102455020B1 KR1020210155872A KR20210155872A KR102455020B1 KR 102455020 B1 KR102455020 B1 KR 102455020B1 KR 1020210155872 A KR1020210155872 A KR 1020210155872A KR 20210155872 A KR20210155872 A KR 20210155872A KR 102455020 B1 KR102455020 B1 KR 1024550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unit
- chest
- shock
- compres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2680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0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0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635 electroconvulsive therap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747 cardiac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2612 cardiopulmona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3
- 230000003925 brain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13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0496 Heart Arrest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49418 Sudden Cardiac Death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221 sudden cardiac arres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1 b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592 cardiac fibrill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09 clavi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663 ventricular fibrill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61N1/3904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in combination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thera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5—Heart stimulation with feedback for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6—Power drive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25—Activation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5—Several programs select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G.C.,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H2230/045—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G.C., blood pressure modulation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ritical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장치와 자동심장충격기를 융합시킨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 유닛이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이 자동심장충격 모드 및/또는 흉부압박 모드로 설정되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심전도 측정 유닛의 복수의 전극 또는 패드가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이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을 통해 상기 환자의 심장 리듬을 분석하여 충격필요리듬(shockable rhythm) 또는 충격불필요리듬(nonshockable rhythm)으로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환자의 심장 리듬 분석 후, 흉부압박 유닛이 상기 환자의 흉부와 접촉되도록 하강하여 상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제4 단계;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이 상기 환자의 심장 리듬을 충격필요리듬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제5 단계;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기충격 유닛이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을 통해 고전압 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미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전기충격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고전압 에너지를 내부방전시키는 제7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장치와 자동심장충격기를 융합시킨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심폐소생술(CPR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은 흉부압박, 기도 유지와 인공호흡 등의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는 술기로 더 자세하게는 심정지 의심 환자가 발생되면 현장의 안전을 확인하고, 쓰러진 사람의 반응 및 호흡 상태를 확인 한 후 주변에 도움을 요청 및 응급구조 기관에 빠르게 신고한 뒤 양손을 깍지 끼어 손꿈치로 가슴 중앙(명치를 피하고, 양 젖꼭지 중앙부위)을 팔꿈치를 펴서 30회 압박하되, 압박깊이는 4~6cm 미만 깊이로 실시하며, 흉부압박 후 기도를 확보한 뒤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 확인하면서 1회/1~2.5초, 총 2회 걸쳐 인공호흡을 시행하며, 흉부압박 및 인공호흡을 2회 번갈아 시행한다.
그러나 일반인의 경우,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았다 할지라도 심정지 환자 발생시 심폐소생술의 생소함과 갈비뼈 손상에 대한 부담감 및 환자마다 흉부높이가 일정하지 못하므로, 압박깊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종류의 심폐소생술(CPR)용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장치 중 하나가 압축 공기 또는 호흡 기체(스웨덴, 룬드, Jolife AB; Lucas TM)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심폐소생술장치의 독특한 이점으로, 중량이 적어 운반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점으로는 압축 공기의 탄성적 성질인데, 이에 의해, 기체 구동식 심폐소생술장치가 강성 압박 수단이 구비된 장치보다 환자의 흉부에 손상을 덜 야기시킨다. 공지된 장치는 구명 상황에서 응급용 설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장치에는, 환자가 입원할 때 심폐소생술의 무중단 타격에 대해 바람직할 수 있는 병원용 공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구동 기체가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심폐소생술장치는 심장 리듬(Electrocardiogram, ECG)를 분석하는 기능이 구비되지 않아 환자의 심정지 여부를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심장 리듬을 분석하는 장치로서 자동심장충격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는 반자동으로 심장세동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심장박동이 정지되어 각 조직으로 혈류가 중단되면서 생체활동에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는 현상인 급성심정지(Sudden Cardiac Arrest, SCA) 현상을 심장 리듬 분석을 통해 확인하면, 외부로부터 전기충격을 주어서 환자의 심장박동을 정상적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는 전기충격에 기반한 심장충격만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한 환자에게 사용할 수 없어 범용성이 떨어지며, 이에 위험한 환자에게 사용하기 어려워 심장박동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도록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의 응급처치동안 환자의 심장 리듬을 분석하고, 심장 리듬 분석 결과에 따라 흉부 압박과 전기충격을 병행하거나 흉부 압박만을 실시하여 환자의 심장박동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흉부를 정확히 압박하기 위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흉부압박 유닛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어 유닛이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이 자동심장충격 모드 및/또는 흉부압박 모드로 설정되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심전도 측정 유닛의 복수의 전극 또는 패드가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이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을 통해 상기 환자의 심장 리듬을 분석하여 충격필요리듬(shockable rhythm) 또는 충격불필요리듬(nonshockable rhythm)으로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환자의 심장 리듬 분석 후, 흉부압박 유닛이 상기 환자의 흉부와 접촉되도록 하강하여 상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제4 단계;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이 상기 환자의 심장 리듬을 충격필요리듬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제5 단계;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기충격 유닛이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을 통해 고전압 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미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전기충격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고전압 에너지를 내부방전시키는 제7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 버튼이 입력되는 제1-1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과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을 동작시키기 위한 리듬분석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제1-2 단계; 및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제1-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미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환자의 흉부압박 치료 방식을 제어하는 제1-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4 단계는, 상기 제어 유닛의 압박모드설정 버튼을 통해 상기 흉부압박 유닛의 압박모드를 상기 환자의 흉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하는 압박연속모드 또는 상기 환자의 30번 흉부압박과 2번의 인공호흡을 병행하는 압박 30:2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의 압박깊이 설정 버튼을 통해 상기 흉부압박 유닛의 압박깊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유닛의 압박속도 설정 버튼을 통해 상기 흉부압박 유닛의 압박속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흉부압박 유닛은 상기 압박모드설정 버튼을 통해 설정된 상기 압박연속모드 또는 상기 압박 30:2 모드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압박깊이 설정 버튼과 상기 압박속도 설정 버튼을 통해 설정되는 압박깊이와 압박속도로 상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이 상기 환자의 흉부에 부착된 상기 복수의 전극 또는 패드를 통해 상기 환자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검출한 후에 증폭시키고, 증폭된 상기 심전도 신호의 잡음을 제거한 후에 상기 심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이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으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심장 리듬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이 상기 환자의 심장 리듬을 충격필요리듬이라고 판단할 때 생성하는 전기충격 신호를 상기 전기충격 유닛이 상기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기충격 유닛이 상기 전기충격 신호를 기반으로 고전압 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7 단계는, 알람부에서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미입력된 것을 알리기 위한 음성가이드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전기충격 유닛이 상기 고전압 에너지를 내부방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알람부에서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미입력되어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의 입력을 유도하는 음성가이드의 출력 후, 상기 자동심장충격 모드가 취소된다는 음성가이드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전기충격 유닛이 상기 고전압 에너지를 내부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전기충격 유닛과 상기 흉부압박 유닛의 동작 시기에 따라 상기 환자에게 흉부압박과 전기충격이 교차 또는 동시에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환자의 심전도 측정, 리듬 판단, 흉부압박, 전기충격 및 고전압 에너지를 내부방출하는 반복적 과정에서 상기 흉부압박 유닛이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이 리듬을 판단하기 직전에 흉부압박을 멈추고, 리듬 판단 직후에 흉부압박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의 융합을 통해 하나의 시스템으로 환자에게 흉부 압박과 전기충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범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장치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환자의 흉부를 정확히 압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 중 흉부압박 치료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 중 흉부압박 치료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은 받침판(100), 지지대(200) 및 후드(300)가 구비된다.
받침판(100)은 환자(급성심정지, 심실세동 등)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100)은 심폐소생술장치인 지지대(200) 및 후드(3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110)와 상기 지지대(200) 및 후드(3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1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100)은 흉부압박 유닛(31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슬라이딩 가이드(110)에 구비되는 프레임(115)의 인입이 가능한 내부공간이 측부에 형성된다.
슬라이딩 가이드(110)는 받침판(100)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지지대(200)의 일단과 타단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대(2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10)는 도 2의 (a)에 도시된 A영역을 확대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00)의 내부에 인입 또는 상기 받침판(100)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프레임(115)이 구비되어 지지대(200)의 양 끝단 간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흉부압박 유닛(31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이때, 흉부압박 유닛(31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은 각 환자마다 다른 체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흉부압박 유닛(310)이 특정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스토퍼(120)는 슬라이딩 가이드(110)에 구비되고, 지지대(200)의 일단 및 타단과 결속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지지대(200)의 일단 및 타단과 결속되며, 상기 지지대(200)의 일단 및 타단과의 결속을 통해 지지대(200) 및 후드(3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판(100)에는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통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심전도 측정 유닛(130),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140) 및 전기충격 유닛(150)이 더 구비된다.
심전도 측정 유닛(130)은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140) 및 후술될 제어 유닛(320)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 유닛(320)에 의해 동작될 때, 환자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검출한 후에 증폭시키고, 증폭된 심전도 신호의 잡음을 제거한 후에 심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140)에 송신한다.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130)은 아날로그 형태의 심전도 신호가 검출되면 이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심전도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심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컨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130)은 환자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심전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받침판(100)에 내장되는 복수의 전극 또는 환자에게 부착되는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받침판(100)에 등을 지지하는 환자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검출한다.
여기서, 복수의 전극 또는 패드를 통해 환자의 심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은 통상적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도록 하겠다.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140)은 받침판(100)에 내장되고, 심전도 측정 유닛(130)이 제어 유닛(320)에 의해 동작될 때 함께 동작되도록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130)과 연결되며, 이를 통해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130)으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140)은 심전도 측정 유닛(130)으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면, 디지털 신호로 환자의 심장 리듬을 분석하여 환자의 심장 리듬이 충격필요리듬(shockable rhythm) 또는 충격불필요리듬(nonshockable rhythm)인지 판단하고, 환자의 심장 리듬이 충격필요리듬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충격 신호를 생성하며, 전기충격 유닛(150)이 동작될 때 상기 전기충격 유닛(150)에 전기충격 신호를 송신한다.
전기충격 유닛(150)은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140)과 연결되고,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140)로부터 환자의 심장 리듬이 충격필요리듬이라고 판단되면, 제어 유닛(320)에 의해 동작될 때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140)로부터 전기충격 신호를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전기충격 유닛(150)이 복수의 전극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전기충격 유닛(150)은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140)로부터 전기충격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제세동 전극(151)과 제2 제세동 전극(152) 각각에서 고전압의 전기 충격이 발생되도록 고전압 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제1 제세동 전극(151)과 제2 제세동 전극(152)으로 방출한다.
제1 제세동 전극(151)과 제2 제세동 전극(152)은 환자에게 전기충격이 가해지도록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제1 제세동 전극(151)은 환자의 오른쪽 빗장뼈 아래에 부착되어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제세동 전극(152)은 환자의 왼쪽 젖꼭지 옆 겨드랑이에 부착되어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세동 전극(151)과 제2 제세동 전극(152)은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미도시)는 환자의 흉부와 접촉되는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 유닛(320)에 송신할 수 있다.
지지대(200) 및 후드(300)는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심폐소생술장치로 동작되기 위해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200)는 후술될 흉부압박 유닛(310)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딩 가이드(110)와 결합되고, 본 발명에서는 후드(300)를 지지하기 위한 형태가 아치형일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200)는 일단과 타단이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10)를 축으로 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거나, 프레임(115)의 인입 및 인출을 통하여 양 끝단 간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200)는 전, 후방 이동과 양 끝단 간의 거리 조절이 흉부압박 유닛(310)으로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환자를 응급처치하는 사용자에 의해 흉부압박 유닛(310)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위치로 이동이 완료되면, 일단과 타단이 한 쌍의 스토퍼(120)에 의해 결속되며, 이를 통해 흉부압박 유닛(310)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200)는 일단과 타단이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110)로부터 탈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11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며, 탈부착을 통해 상기 지지대(200) 및 후드(300)가 상기 받침판(100)로부터 탈부착되도록 하여 심폐소생술장치의 별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후드(300)는 상기 지지대(200)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치형인 상기 지지대(200)의 중심부(Arch Crown)에 결합되고,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흉부압박 유닛(310)과 연결되고,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320)이 구비된다.
흉부압박 유닛(310)은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전에 환자의 흉부와 이격된 상태이며, 제어 유닛(320)에 의해 동작되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위치까지 하강된 후에 환자의 흉부를 압박한다.
상기 흉부압박 유닛(310)은 흉부압박 모드에 따라 환자의 흉부를 연속적으로 압박하는 압박연속모드 또는 30번의 환자 흉부압박 후 2번의 인공호흡이 이루어져 환자의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병행하는 압박 30:2 모드로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여 환자에게 흉부압박 기반의 응급처치를 제공한다.
상기 흉부압박 유닛(310)은 전기충격 유닛(150)과 교차 또는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은 상기 전기충격 유닛(150)과 흉부압박 유닛(310)의 동작 시기에 따라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환자에게 흉부 압박과 전기충격을 교차 또는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범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제어 유닛(320)은 흉부압박 유닛(310), 심전도 측정 유닛(130)과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140), 전기충격 유닛(150)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버튼은 구체적인 일례로,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 전원을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모드를 자동심장충격 모드 또는 흉부압박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버튼, 흉부압박 유닛(310)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버튼, 상기 흉부압박 유닛(310)이 흉부압박(CPR)을 실행시키도록 하거나 상기 흉부압박 유닛(310)의 흉부압박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압박모드설정 버튼, 상기 흉부압박 유닛(310)의 흉부 압박 깊이(depth)를 설정하기 위한 압박깊이 설정 버튼, 상기 흉부압박 유닛(310)의 흉부압박 속도(횟수)를 설정하는 압박속도 설정 버튼, 심전도 측정 유닛(130) 및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140)을 동작시키기 위한 리듬분석 버튼 및 전기충격 유닛(150)을 동작시키기 위한 쇼크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 유닛(320)은 상기 전원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어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면 설정 초기화 및 정상 동작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셀프 테스트(self test)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이 온 상태일 때 상기 전원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 초기화 및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 유닛(320)은 상기 압박모드설정 버튼이 압박연속모드이면 환자의 흉부가 압박되도록 흉부압박 유닛(310)을 제어하며, 이와 달리 압박연속모드가 아니면 환자의 흉부가 30회 압박된 후에 2회의 인공호흡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흉부압박 유닛(3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320)은 상기 압박깊이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될 때, 환자의 흉부가 4 cm, 4.5 cm, 5 cm, 5.5 cm 중 적어도 하나의 깊이로 압박되도록 흉부압박 유닛(310)을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 유닛(320)은 초기화 상태에서 상기 압박깊이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5 cm, 그 후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5.5 cm, 다시 신호가 입력된 환자의 흉부가 4 cm, 또 다시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4.5 cm만큼 압박되도록 흉부압박 유닛(3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320)은 상기 압박속도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될 때, 환자의 흉부가 100회, 110회, 120회 중 적어도 하나의 횟수로 압박되도록 흉부압박 유닛(310)을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 유닛(320)은 초기화 상태에서 상기 압박속도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110회, 다시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120회, 또 다시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100회만큼 압박되도록 흉부압박 유닛(31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의 동작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 중 흉부압박 치료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어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동작흐름의 과정은 상기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은 환자에게 흉부압박 치료와 전기충격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전원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어 전원이 온 상태가 되는 경우, 제어 유닛(320)은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설정 초기화 및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정상 동작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셀프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S1).
초기화 및 셀프 테스트 후,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모드를 자동심장충격 모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320)의 제어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S2).
제어 버튼 입력 후, 제어 유닛(320)은 리듬분석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3).
이때, 상기 리듬분석 버튼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3-YES), 제어 유닛(320)은 심전도 측정 유닛(130)과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140)을 동작시키고, 이와 달리 상기 리듬분석 버튼이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3-NO), 제어 유닛(320)은 쇼크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4).
이때 만약, 상기 쇼크 버튼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4-YES), 제어 유닛(320)은 전기충격 유닛(150)을 동작시켜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제공하고, 이와 달리 만약 상기 쇼크 버튼이 미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4-NO), 제어 유닛(320)은 도 5에 도시된 동작흐름을 통해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흉부압박 치료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초기화 및 셀프 테스트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에 내장된 알람부에서는 환자의 상의 탈의 및 환자에게 패드를 부착하라는 지시의 음성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S5).
이때, 상기 음성가이드는 패드를 부착하라는 지시의 음성가이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심전도 측정 유닛(130)이 복수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면 복수의 전극을 부착하는 지시의 음성가이드가 출력될 수 있으나, 일 실시예에서는 패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음성가이드 출력 후, 사용자는 환자의 흉부에 패드를 부착할 수 있다(S6).
이때 만약, 제어 유닛(320)이 패드가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알람부에서는 패드를 환자의 흉부에 부착하는 음성가이드를 다시 출력할 수 있다(S7).
이와 달리 만약, 제어 유닛(320)이 패드가 환자의 흉부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S6-YES), 흉부압박 유닛(310)은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초기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S8). 이때, 초기 위치는 흉부압박 유닛(310)의 하단과 환자의 흉부가 1 cm만큼 이격되도록 하는 위치일 수 있다.
흉부압박 유닛(310)의 하강 후, 알람부에서는 환자의 치료 과정 중에서 환자를 건드리지 않도록 주의를 주기 위한 음성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S9).
상기 음성가이드 출력 후,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140)은 심전도 측정 유닛(130)으로부터 수신하는 디지털 신호를 기반으로 환자의 심장 리듬을 분석할 수 있다(S10).
환자의 심장 리듬 분석 후, 흉부압박 유닛(310)은 환자의 흉부와 접촉되도록 하강되며(S11), 상기 흉부압박 유닛(310)은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여 흉부압박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S12).
한편, 환자의 심장 리듬이 분석되면,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140)은 환자의 심장 리듬이 충격필요리듬인지 판단할 수 있다(S13).
이때 만약, 환자의 심장 리듬이 충격필요리듬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3-YES), 알람부에서는 환자에게 전기충격 치료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쇼크 버튼을 입력하라는 음성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S14).
상기 음성가이드 출력 후, 제어 유닛(320)은 상기 음성가이드가 출력된 후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예: 10초) 이내로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5).
이때 만약, 기설정된 시간 이내로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S15-NO), 알람부에서는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며, 이에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를 입력하라는 음성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성가이드 출력 후, 제어 유닛(320)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예: 10초) 이내로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재차 판단할 수 있다(S18).
이때 만약, 기설정된 시간 이내로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미입력된다고 판단되는 경우(S18-NO), 알람부에서는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며, 이에 자동심장충격이 취소된다는 음성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 유닛(320)은 상기 음성가이드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전기충격 유닛(150)이 생성한 고전압 에너지가 내부방전되도록 전기충격 유닛(150)을 제어할 수 있다(S20).
한편, 환자의 심장 리듬이 충격필요리듬이 아닌 충격불필요리듬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3-NO), 알람부에서는 전기충격 치료 과정이 생략된다는 음성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고, 제어 유닛(320)에서는 전기충격 치료 과정의 생략에 따라 전기충격 유닛(150)이 생성한 고전압 에너지가 내부방전되도록 전기충격 유닛(150)을 제어할 수 있다(S20).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320)은 환자의 심전도 측정, 리듬 판단, 흉부압박, 전기충격 및 고전압 에너지를 내부방출하는 반복적 과정에서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140)이 리듬 판단을 하는 동안을 제외한, 즉 흉부압박 유닛(310)으로 하여금 리듬 판단 직전에 흉부압박을 멈추고 리듬 판단 직후에 흉부압박을 지속할 수 있게 제어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은 환자에게 흉부압박 치료 방식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이 동작되는 동안 제어 유닛(320)은 전원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0).
이때 만약, 전원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00-YES), 제어 유닛(320)은 자동심장충격 모드와 흉부압박 모드를 초기화하고(S101),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만약, 전원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00-NO), 제어 유닛(320)은 제어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통해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이 흉부압박 모드로 설정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2).
이때,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이 제어 버튼을 통해 흉부압박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S102-YES), 제어 유닛(320)은 전기충격이 이루어지는 자동심장충격 모드가 정지되도록 하고(S103), 흉부압박 유닛(310)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4).
이와 달리, 제어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02-NO), 제어 유닛(320)은 정지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고(S105), 상기 정지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320)은 흉부압박 유닛(31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S106).
또한, 정지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S105-NO), 제어 유닛(320)은 압박모드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7).
이때, 압박모드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07-YES), 제어 유닛(320)은 상기 압박모드설정 버튼이 압박연속모드인지 판단하고(S108), 압박연속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08-YES), 흉부압박 유닛(310)이 환자의 흉부가 계속 압박되도록 하는 압박연속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S109), 이와 달리 압박연속모드가 아니면 환자의 흉부가 30회 압박된 후에 2회의 인공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박 30:2 모드로 상기 흉부압박 유닛(310)을 제어할 수 있다(S110).
한편, 압박모드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 유닛(320)은 압박깊이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1).
이때 만약, 압박깊이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11-YES), 제어 유닛(320)은 환자의 흉부가 4 cm, 4.5 cm, 5 cm, 5.5 cm 중 적어도 하나의 깊이로 압박되도록 흉부압박 유닛(310)을 제어할 수 있다(S112).
이와 달리 만약, 압박깊이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11-NO), 제어 유닛(320)은 압박속도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3).
이때, 압박속도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13-YES), 제어 유닛(320)은 환자의 흉부가 100회, 110회, 120회 중 적어도 하나의 횟수만큼 압박되도록 흉부압박 유닛(310)을 제어할 수 있다(S114).
이와 달리, 압박속도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13-NO), 제어 유닛(320)은 도 4에 도시된 동작흐름을 통해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에서 환자의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
100: 받침판,
110: 슬라이딩 가이드,
115: 프레임,
120: 스토퍼,
130: 심전도 측정 유닛,
140: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
150: 전기충격 유닛,
151: 제1 제세동 전극,
152: 제2 제세동 전극,
200: 지지대,
300: 후드,
310: 흉부압박 유닛,
320: 제어 유닛.
100: 받침판,
110: 슬라이딩 가이드,
115: 프레임,
120: 스토퍼,
130: 심전도 측정 유닛,
140: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
150: 전기충격 유닛,
151: 제1 제세동 전극,
152: 제2 제세동 전극,
200: 지지대,
300: 후드,
310: 흉부압박 유닛,
320: 제어 유닛.
Claims (15)
- 제어 유닛이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이 자동심장충격 모드 및/또는 흉부압박 모드로 설정되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심전도 측정 유닛의 복수의 전극 또는 패드가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패드가 환자의 흉부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흉부압박 유닛을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하여 흉부압박 유닛의 하단과 환자의 흉부가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초기위치로 하강 및 정지 되도록 하는 제 2-1단계;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이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을 통해 상기 환자의 심장 리듬을 분석하여 충격필요리듬(shockable rhythm) 또는 충격불필요리듬(nonshockable rhythm)으로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환자의 심장 리듬 분석 후, 흉부압박 유닛이 상기 환자의 흉부와 접촉되도록 하강하여 상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제4 단계;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이 상기 환자의 심장 리듬을 충격필요리듬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제5 단계;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기충격 유닛이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을 통해 고전압 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미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전기충격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고전압 에너지를 내부방전시키는 제7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의 상기 환자의 흉부 압박이 이루어진 후 상기 제2 단계, 제2-1 단계, 제3 단계, 제4 단계, 제5 단계, 제6 단계, 제7 단계가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 버튼이 입력되는 제1-1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과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을 동작시키기 위한 리듬분석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제1-2 단계; 및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제1-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미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환자의 흉부압박 치료 방식을 제어하는 제1-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4 단계는,
상기 제어 유닛의 압박모드설정 버튼을 통해 상기 흉부압박 유닛의 압박모드를 상기 환자의 흉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하는 압박연속모드 또는 상기 환자의 30번 흉부압박과 2번의 인공호흡을 병행하는 압박 30:2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의 압박깊이 설정 버튼을 통해 상기 흉부압박 유닛의 압박깊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유닛의 압박속도 설정 버튼을 통해 상기 흉부압박 유닛의 압박속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흉부압박 유닛은 상기 압박모드설정 버튼을 통해 설정된 상기 압박연속모드 또는 상기 압박 30:2 모드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압박깊이 설정 버튼과 상기 압박속도 설정 버튼을 통해 설정되는 압박깊이와 압박속도로 상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이 상기 환자의 흉부에 부착된 상기 복수의 전극 또는 패드를 통해 상기 환자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검출한 후에 증폭시키고, 증폭된 상기 심전도 신호의 잡음을 제거한 후에 상기 심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이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으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심장 리듬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이 상기 환자의 심장 리듬을 충격필요리듬이라고 판단할 때 생성하는 전기충격 신호를 상기 전기충격 유닛이 상기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기충격 유닛이 상기 전기충격 신호를 기반으로 고전압 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알람부에서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미입력된 것을 알리기 위한 음성가이드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전기충격 유닛이 상기 고전압 에너지를 내부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알람부에서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미입력되어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의 입력을 유도하는 음성가이드의 출력 후, 상기 자동심장충격 모드가 취소된다는 음성가이드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전기충격 유닛이 상기 고전압 에너지를 내부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충격 유닛과 상기 흉부압박 유닛의 동작 시기에 따라 상기 환자에게 흉부압박과 전기충격이 교차 또는 동시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환자의 심전도 측정, 리듬 판단, 흉부압박, 전기충격 및 고전압 에너지를 내부방출하는 반복적 과정에서 상기 흉부압박 유닛이 상기 리듬 판단 및 충격신호 생성 유닛이 리듬을 판단하기 직전에 흉부압박을 멈추고, 리듬 판단 직후에 흉부압박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설정 초기화 및 상기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정상 동작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셀프 테스트를 실행하는 S1 단계;
상기 셀프 테스트가 완료되면, 상기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에 내장된 알람부에서 음성가이드를 출력하는 S5 단계;
상기 복수의 전극 또는 패드가 상기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알람부에서 상기 복수의 전극 또는 패드를 상기 환자의 흉부에 부착하는 지시의 음성가이드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또는 패드가 상기 환자의 흉부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흉부압박 유닛을 상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초기위치로 하강시키는 S7/S8 단계;
상기 흉부압박 유닛의 하강 후, 상기 알람부에서 상기 환자의 치료 과정 중에서 상기 환자를 건드리지 않도록 주의를 주기 위한 음성가이드를 출력하는 S9 단계;
상기 환자의 심장 리듬이 충격필요리듬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람부에서 상기 환자에게 전기충격 치료가 필요하며, 상기 쇼크 버튼을 입력하라는 음성가이드를 출력하는 S14 단계;
기설정된 시간 이내로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람부에서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음에 따라 상기 쇼크 버튼에 입력 신호를 입력하라는 음성가이드를 출력하는 S17 단계; 및
압박모드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흉부압박 유닛의 압박모드가 압박연속모드인지 판단하고, 상기 흉부압박 유닛의 압박모드가 압박연속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흉부압박 유닛을 압박연속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흉부압박 유닛의 압박모드가 압박연속모드가 아니면 상기 환자의 흉부를 특정 횟수 압박한 후 특정 횟수의 인공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박 모드로 상기 흉부압박 유닛을 제어하는 S110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의 제어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5872A KR102455020B1 (ko) | 2021-11-12 | 2021-11-12 |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PCT/KR2021/017040 WO2023085483A1 (ko) | 2021-11-12 | 2021-11-19 |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알고리즘 |
EP21964193.3A EP4431148A1 (en) | 2021-11-12 | 2021-11-19 | System combin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algorithm for controll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5872A KR102455020B1 (ko) | 2021-11-12 | 2021-11-12 |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5020B1 true KR102455020B1 (ko) | 2022-10-19 |
Family
ID=83804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5872A KR102455020B1 (ko) | 2021-11-12 | 2021-11-12 |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4431148A1 (ko) |
KR (1) | KR102455020B1 (ko) |
WO (1) | WO2023085483A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15898A (ko) * | 2011-08-05 | 2013-02-14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 흉부 압박 제세동 방법 및 그 장치 |
KR101641531B1 (ko) | 2015-04-10 | 2016-07-29 | 주식회사메디아나 | 자동 심폐소생술장치 |
KR20170122680A (ko) * | 2016-04-27 | 2017-11-06 | 주식회사메디아나 | 심장 제세동용 고전압 충전 시간 절감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장치 |
KR101950028B1 (ko) * | 2015-06-12 | 2019-03-08 | 주식회사메디아나 | 자동 심폐소생술장치 |
US20190255340A1 (en) * | 2018-02-21 | 2019-08-22 | Zoll Medical Corporation | Active compression decompression resuscitation integrated treatment system |
KR102120609B1 (ko) | 2020-02-06 | 2020-06-08 | (주)나눔테크 | 흉부압박 정보수집장치가 구비된 자동제세동기 |
US20210283009A1 (en) * | 2020-03-12 | 2021-09-16 | Physio-Control, Inc. | Adjustable mechanical cpr device for a range of patient sizes |
-
2021
- 2021-11-12 KR KR1020210155872A patent/KR10245502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1-19 WO PCT/KR2021/017040 patent/WO202308548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1-19 EP EP21964193.3A patent/EP4431148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15898A (ko) * | 2011-08-05 | 2013-02-14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 흉부 압박 제세동 방법 및 그 장치 |
KR101641531B1 (ko) | 2015-04-10 | 2016-07-29 | 주식회사메디아나 | 자동 심폐소생술장치 |
KR101950028B1 (ko) * | 2015-06-12 | 2019-03-08 | 주식회사메디아나 | 자동 심폐소생술장치 |
KR20170122680A (ko) * | 2016-04-27 | 2017-11-06 | 주식회사메디아나 | 심장 제세동용 고전압 충전 시간 절감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장치 |
US20190255340A1 (en) * | 2018-02-21 | 2019-08-22 | Zoll Medical Corporation | Active compression decompression resuscitation integrated treatment system |
KR102120609B1 (ko) | 2020-02-06 | 2020-06-08 | (주)나눔테크 | 흉부압박 정보수집장치가 구비된 자동제세동기 |
US20210283009A1 (en) * | 2020-03-12 | 2021-09-16 | Physio-Control, Inc. | Adjustable mechanical cpr device for a range of patient siz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431148A1 (en) | 2024-09-18 |
WO2023085483A1 (ko) | 2023-05-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54942B2 (en) | Integrated resuscitation | |
KR102459284B1 (ko) | 심폐소생술장치와 자동심장충격기가 융합된 의료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
EP1814628B1 (en) | Medium voltage therapy applications in treating cardiac arrest | |
JP5281011B2 (ja) | 動きの感度を低減させた心肺蘇生指導装置 | |
CN101330942B (zh) | 具有增加cpr施予时间的自动体外除颤器 | |
US7937146B2 (en) | Defibrillator with overridable CPR-first protocol | |
AU2007331664B2 (en) |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mpression force indicator | |
JP2000176025A (ja) | 体外除細動器またはトレ―ニング用除細動器を使用して心肺蘇生術パラメ―タを計測し解析するためのシステム | |
KR102466440B1 (ko) | 흉부 임피던스를 이용한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 | |
KR101383051B1 (ko) | 전자동 심폐소생 장치 | |
EP1157717B1 (en) | System for measuring and analys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parameters for use with and by an external defibrillator (AED) | |
KR102489017B1 (ko) | 환자의 흉부 압박 및 제세동을 위한 응급치료장치와 환자의 흉부 압박 깊이 소실 보정방법 | |
US20100082075A1 (en) | Defibrillator with cpr-ventilation analysis utilizing patient physiological data | |
KR102455019B1 (ko) |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 |
JP2009545362A (ja) | 生理的特性を感知する内部センサを持つcprコーチングデバイス | |
KR102455020B1 (ko) |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
US10046170B2 (en) | Defibrillator with overridable CPR-first protocol | |
WO2023085484A1 (ko) |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 |
KR102358624B1 (ko) | 심폐소생술 인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