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624B1 - 심폐소생술 인형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술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624B1
KR102358624B1 KR1020200054928A KR20200054928A KR102358624B1 KR 102358624 B1 KR102358624 B1 KR 102358624B1 KR 1020200054928 A KR1020200054928 A KR 1020200054928A KR 20200054928 A KR20200054928 A KR 20200054928A KR 102358624 B1 KR102358624 B1 KR 102358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cpr
unit
display unit
status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7309A (ko
Inventor
김진현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62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7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인형에 관한 것으로,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인형본체, 상기 인형본체에 배치되어 병적 상태를 나타내며 점멸 가능한 상태 표시부, 상기 상태 표시부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심장파형에 따라 상기 상태 표시부의 점멸 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상태 표시부는 60 내지 250회/min 점멸 될 수 있다.

Description

심폐소생술 인형{Dummy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인형에 관한 것이다.
심폐소생술(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CPR)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이며,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는 자동으로 환자의 심장 상태를 분석하고 심장에 전기충격을 가해 심장의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기기이다.
급성 심정지 환자에 대한 적절한 초기 대처 방법으로 심폐소생술과 신속한 제세동 수행이 있다.
심정지는 발생 후 4 내지 6분이 지나면 뇌에 혈액 공급이 끊기면서 뇌 손상이 급격히 진행된다. 혈액 공급이 차단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뇌손상은 점점 심각해져 사망에 이르거나 살아나도 대부분이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지속적인 치료를 받아야 하거나 타인에게 의존적인 삶을 살게 되는 경우가 많다.
심정지 후 6분 안에 응급조치를 받으면 생존율이 3배까지 높아진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심폐소생술 교육 역량은 인구대비 2.95%로 미국 1.6% 보다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급성심장정지를 목격한 사람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3%에 불과하다. 또한 급성심정지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가정(전체 발생장소 중 57.4%)이지만 심폐소생술을 받은 경우는 10명 중 1명도 안 된다. 심폐소생술에 대해 미리 숙지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급대원도, 의료진도 아닌 최초 목격자가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이 생명을 살릴 수 있다.
심폐소생술 과정을 다음과 같다. 첫째 심정지 확인(반응 및 호흡 확인)한다(우선 현장의 안전을 확인하고, 쓰러진 사람의 반응 및 호흡상태를 확인한다). 둘째 119 신고와 도움요청 한다(주변에 도움을 요청 및 119에 빠르게 신고하고 발견장소 및 현 상황을 알린다). 셋째 가슴압박 위치잡기(양손을 깍지 끼어 손꿈치로 가슴 중앙(명치를 피해)을 압박하되, 손가락 끝이 몸에 닿지 않도록 한다). 넷째 가슴압박 30회 시행한다(팔꿈치를 펴서 팔이 바닥에 수직을 이룬 상태로 체중을 이용하여 가슴압박을 시작한다). 다섯째 기도 유지 후 인공호흡 2회 시행한다(기도를 확보(머리를 젖히고 턱 들기)한 후 인공호흡을 시행하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 확인하면서 1회/1초, 총 2회 시행합니다). 여섯째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병행한다(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시행비율은 가슴압박 30회, 인공호흡 2회로 번 갈아서 시행한다).
그리고 자동제세동기는 급성 심장마비 환자의 심장에 전기충격을 가해 심장을 소생시키는 기기이다. 환자의 심장파형 상태가 정상인지 아니면 심실세동, 심실빈맥의 비정상 파형인지를 판단하여 강제로 전기충격을 가하여 심장이 정상파형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장치로써, 심폐소생술과 더불어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 다중이용시설 등에 대한 자동제세동기 설치가 의무화되면서, 자동제세동기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음성으로 사용법을 안내하여 응급구조사 뿐만 아니라 현장 주위의 일반인 또한 손쉽게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심폐소생술, 자동제세동기 등은 인체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술자 혹은 실습자가 상기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연습하기 위해 폐, 심장, 기도 등과 같은 신체 기능을 갖춘 심폐소생술 연습 도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기존 심폐소생술 연습 도구는 압박지점, 압박행위 등을 집중적으로 연습하기 위한 것으로, 몸통 내 정확한 심장의 위치와 심장의 박동 및 심장파형 상태에 대해서는 판단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6053호 (2019.03.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2418호 (2015.06.23.)
본 발명은 심장의 위치와 심장의 박동 상태를 빛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보고, 심장 박동 상태를 들으면서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 인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인형은,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인형본체, 상기 인형본체에 배치되어 병적 상태를 나타내며 점멸 가능한 상태 표시부, 상기 상태 표시부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심장파형에 따라 상기 상태 표시부의 점멸 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상태 표시부는 60 내지 250회/min 점멸될 수 있다.
상기 심폐소생술 인형은 인형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태 표시부의 아래에 배치된 압박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부는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폐소생술 인형은 상기 제어부와 통신할 수 있는 리모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폐소생술 인형은 상기 인형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점멸 횟수에 맞추어 심장 박동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심폐소생술 인형은 상기 인형본체의 외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시간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폐소생술 인형은 상기 인형본체의 외부면에 형성된 패드 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폐소생술 인형은 상기 인형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태 표시부의 점멸 횟수에 맞추어 심전도의 파형을 나타내는 심전도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 완충부는 압박점 압박 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자가 발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습자는 점멸되는 상태 표시부, 심박동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심전도 파형을 나타내는 심전도 출력부 등을 통해 육안으로 현재 부정맥 상태를 확인하고 이에 맞는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실습을 입체적으로 할 수 있어 심폐소생술 학습 효과가 증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박 완충부 압박 시 자가발전부는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전기에너지는 축전지에 충전되어 상태 표시부, 심전도 출력부, 시간 출력부, 음향 출력부, 제어부 등에 공급되므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 야외에서도 실습을 입체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인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압박 완충부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인형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인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박 완충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인형(1)은 인형본체(10), 점멸 가능한 상태 표시부(20) 및 상태 표시부(2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며, 심장 박동 상태를 들으면서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심폐소생술 인형(1)은 압박 완충부(30), 리모컨(40), 음향 출력부(50), 심전도 출력부(60a), 시간 출력부(60b) 및 패드 부착부(70a, 7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형본체(10)는 상반신 형상으로 형성되어 머리와 몸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형본체(10)의 몸통 내부는 비어 있다. 인형본체(10)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인형본체(10)는 실리콘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태 표시부(20)는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하며 인형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심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태 표시부(20)는 양단이 연결된 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띠는 심장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태 표시부(20)는 병적 상태와 압박지점을 나타낼 수 있다.
상태 표시부(20)는 병적 상태의 설정 값에 따라 점멸 될 수 있다. 설정 값은 점멸 간격, 점멸 회수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심장 정상 박동일 경우 상태 표시부(20)는 60 내지 100회/min 점멸 될 수 있다. 그리고 빈백인 경우 상태 표시부(20)는 100회/min 이상일 수 있고, 발작성 빈맥인 경우 상태 표시부(20)는 150 내지 250회/min일 수 있다. 세동인 경우 상태 표시부(20)는 300 내지 600회/min일 수 있다. 이에 심박동수를 이용한 병적 상태를 빛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상태 표시부(20)의 점멸로 실습자는 심폐소생술 연습 시 압박 지점인 심장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실습자는 반복 실습을 통해 실제 심폐소생술 시 압박 지점을 정확하게 압박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20)는 위급 상황 등을 시각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해 붉은색으로 발광할 수 있고, 일반적인 상태에서 파란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도 2를 더 참고하면, 압박 완충부(30)는 인형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심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압박 완충부(30)는 상태 표시부(20)의 띠 내부에 위치한다. 압박 완충부(30)는 인형본체(10)의 상부면을 지지한다.
압박 완충부(30)는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제1 플레이트(31a), 제2 플레이트(31b), 제1 플레이트(31a)에서 제2 플레이트(31b)의 방향으로 돌출된 로드(32), 제2 플레이트(31b)에서 제1 플레이트(31a)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로드(32)가 삽입된 실린더(33), 실린더(33)의 내부에 배치되어 로드(32)에 탄성력을 가하는 완충부재(34)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31a)는 인형본체(10)의 내부 바닥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 플레이트(31b)는 인형본체(10)의 내부 상면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압박 완충부(30)는 실습자가 심폐소생술 실습을 위해 손꿈치로 인형본체(10)의 상면을 가압할 때 완충 지지한다. 완충부재(34)는 실습자가 압박점을 압박할 때 압축되며 가압을 해제하면 원상태로 복귀한다.
압박 완충부(30)는 자가 발전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가 발전부(35)는 제1 플레이트(31a)와 제2 플레이트(31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실습자가 압박점을 압박할 때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자가 발전부(35)는 제1 플레이트(31a)에 배치된 발전부(351) 및 제2 플레이트(31b)에 배치된 푸시부(352)를 포함한다. 발전부(351)와 푸시부(352)는 마주하며 실습자가 압박할 때 푸시부(352)는 발전부(351)를 가압할 수 있으며 발전부(351)는 전기 에너지를 생산한다.
발전부(351)는 고무 따위로 형성된 완충재(351a), 완충재(351a)의 내부에 배치되어 푸시부(352)의 가압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복수의 압전소자(351b), 압전소자(351b)의 상면관 하면에 배치되어 압전소자를 보호하는 지지판(351c)을 포함한다. 압전소자(351b)는 상호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며, 박판형태를 이루어 지지판(351c)과 직접 면접촉하고 있다. 압전소자(351b)는 축전지(353)와 연결되어 있어 압전소자(351b)에서 발생된 전류는 축전지(353)에 충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폐소생술 연습을 위해 압박점을 압박하게 되면 푸시부(352)는 발전부(351)를 누르게 된다. 이때 압전소자(351b)는 완충재(351a)의 유동성에 의하여 지지판(351c)에 의한 가압력이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호 직렬 형태로 연결되어져 있는 각각의 압전소자(351b)에 압력이 가해짐으로서 전력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압전소자(351b)를 통해 전송받은 AC 전류 전압은 트랜스포머(미도시)에서 정류된 후 정류 회로부에서 DC전압으로 변환되어지고, 변환된 전압은 축전지(353)에 충전될 수 있다.
제어부(80)는 상태 표시부(20) 및 축전지(353)와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80)에 의해 상태 표시부(20)는 온/오프될 수 있다. 제어부(80)에는 상태 표시부(20)의 점멸 간격, 점멸 회수 등이 설정되어 단축 번호로 입력되어 있다. 제어부(80)의 설정에 따라 상태 표시부(20)는 60 내지 600회/min 점멸될 수 있다. 상태 표시부(20)의 점멸로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을 나타낼 수 있다.
리모컨(40)은 통신부(41)를 통해 제어부(80)와 연결되어 있다. 리모컨(40)과 통신부(41)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리모컨(40)은 심폐소생술 교육자가 소지할 수 있으며 심실빈맥, 심실세동, 정상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이에 교육자는 심폐소생술 인형(1)의 상태를 설정하고, 실습자는 이에 맞는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교육자는 리모컨(40)의 조작을 시작과 종료를 설정할 수 있다. 리모컨(40)을 통해 교육자는 병적 상태를 다양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
리모컨(40)의 조작으로 제어부(80)는 신호를 받아 상태 표시부(20)의 점멸을 제어한다.
음향 출력부(50)는 인형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어부(80)와 연결되어 있다. 음향 출력부(50)는 심장 박동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소리는 심실빈맥, 심실세동, 정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심전도 출력부(60a)는 제어부(80)와 연결되어 인형본체(10)의 외부면에 배치되어 있다. 심전도 출력부(60a)는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심전도 출력부(60a)에서는 상태 표시부(20)의 점멸 회수에 따라 심전도의 파형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실습자는 점멸되는 상태 표시부(20), 심박동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50), 심전도 파형을 나타내는 심전도 출력부(60a) 등을 통해 육안으로 현재 부정맥 상태를 확인하고 이에 맞는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실습을 입체적으로 할 수 있다.
시간 출력부(60b)는 심전도 출력부(60a)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어부(80)와 연결되어 있다. 시간 출력부(60b)는 현재 시간, 시간 카운트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시간 출력부(60b)는 압박 회수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실습자는 시간 출력부(60b)를 통해 현재 압박 회수, 압박 실시 진행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축전지(353)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은 야외에서 상태 표시부(20), 심전도 출력부(60a), 시간 출력부(60b) 등을 활용할 수 있어 야외에서 진행하는 심폐소생술 학습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패드 부착부(70a, 70b)는 심장충격기의 패드를 부착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인형본체(10)의 우측 빗장뼈 아래와 왼쪽 젖꼭지 아래의 중앙겨드랑선에 부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패드 부착부(70a, 70b)는 복수의 요철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드 부착부(70a, 70b)는 인형본체(10)의 외부면과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 부착부(70a, 70b)를 통해 실습자는 심장충격기의 패드 부착 위치를 숙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심폐소생술 인형 10: 인형본체
20: 상태 표시부 80: 제어부
30: 압박 완충부 31a: 제1 플레이트
31b: 제2 플레이트 32: 로드
33: 실린더 34: 완충부재
35: 자가 발전부 351: 발전부
351a: 완충재 351b: 압전소자
351c: 지지판 352: 푸시부
353: 축전지 40: 리모컨
41: 통신부 50: 음향 출력부
60a: 심전도 출력부 60b: 시간 출력부
70a, 70b: 패드 부착부

Claims (9)

  1. 압박이 가해질 수 있는 인형본체,
    상기 인형본체에 배치되어 병적 상태를 나타내며 점멸 가능한 상태 표시부,
    입력되는 상기 병적 상태에서 따라 상기 상태 표시부를 컨트롤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통신할 수 있고 교육자가 상기 병적 상태를 심실빈맥, 심실세동 또는 정상 박동 상태를 조작할 수 있는 리모컨 및
    상기 인형본체의 우측 빗장뼈 아래와 왼쪽 젖꼭지 아래의 중앙 겨드랑선에 복수의 요철로 형성되어 심장충격기의 패드를 부착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패드 부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 표시부는 입력되는 병적 상태가 심장 정상 박동이면 60 내지 100회/min 점멸될 수 있고 심실 빈백 상태이면 100회/min 이상 점멸될 수 있으며 발작성 빈맥 상태이면 150 내지 250회/min 점멸될 수 있고 심실세동 상태이면 300 내지 600회/min 점멸되어 병적 상태를 빛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상태 표시부는 위급 상황을 시각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해 붉은색으로 발광할 수 있고 일반적인 상태에서 파란색으로 발광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 인형.
  2. 제1항에서,
    상기 인형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태 표시부의 아래에 배치된 압박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인형.
  3. 제1항에서,
    상기 상태 표시부는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인형.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인형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점멸 횟수에 맞추어 심장 박동소리를 출력하는 심폐소생술 인형.
  6. 제1항에서,
    상기 인형본체의 외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시간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인형.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인형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태 표시부의 점멸 횟수에 맞추어 심전도의 파형을 나타내는 심전도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인형.
  9. 제2항에서,
    상기 압박 완충부는 압박점 압박 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자가 발전부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인형
KR1020200054928A 2020-05-08 2020-05-08 심폐소생술 인형 KR102358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928A KR102358624B1 (ko) 2020-05-08 2020-05-08 심폐소생술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928A KR102358624B1 (ko) 2020-05-08 2020-05-08 심폐소생술 인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309A KR20210137309A (ko) 2021-11-17
KR102358624B1 true KR102358624B1 (ko) 2022-02-04

Family

ID=7870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928A KR102358624B1 (ko) 2020-05-08 2020-05-08 심폐소생술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6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69B1 (ko) * 2011-02-16 2013-02-14 주식회사 비티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용 시뮬레이터
KR101263897B1 (ko) * 2012-01-18 2013-05-13 전현철 자가발전 블록
KR101532418B1 (ko) 2014-09-16 2015-06-30 서울특별시 흉부 압박 시스템
KR101972865B1 (ko) * 2017-06-26 2019-04-26 임경범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KR101956053B1 (ko) 2018-04-13 2019-03-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흉부압박시 압박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심폐소생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309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0781B2 (en) Mobile device control
AU748550B2 (en) A device for assis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11701295B2 (en) Active compression decompress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hest compression feedback
US9433554B2 (en) Integrated resuscitation
EP3865055B1 (en) Integrated resuscitation
EP2192884B1 (en) Cpr monitoring and reporting system
US10780020B2 (en) Maintaining active compression decompression device adherence
JPH05111521A (ja) 外部から胸部圧迫を行うための改良された装置及び方法
JP2009501569A (ja) 交差作動型心停止用胸部押圧装置
KR101383051B1 (ko) 전자동 심폐소생 장치
WO2014209937A2 (en) Integrated resuscitation apparatus and method including perfusion monitor
US20150087947A1 (en) Electrocardiogram Package
KR102358624B1 (ko) 심폐소생술 인형
CN219941599U (zh) 一种除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