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990B1 -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 - Google Patents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990B1
KR102454990B1 KR1020200181408A KR20200181408A KR102454990B1 KR 102454990 B1 KR102454990 B1 KR 102454990B1 KR 1020200181408 A KR1020200181408 A KR 1020200181408A KR 20200181408 A KR20200181408 A KR 20200181408A KR 102454990 B1 KR102454990 B1 KR 102454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case
handle
air
hepa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0325A (ko
Inventor
심재혁
Original Assignee
(주) 제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이오 filed Critical (주) 제이오
Priority to KR1020200181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9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는 사각 통체이고 상부에는 공기투입구가 형성되어 공기가 투입되고 하부에는 헤파필터가 설치되어 상기 공기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헤파필터에 의하여 여과되어 룸에 투입되는 필터케이스와, 상기 공기투입구를 통해 필터케이스로 유입된 공기가 모두 통과할 수 있게 상기 공기투입구에 연속해서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댐퍼 하우징와, 상기 댐퍼 하우징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되어 풍량을 조절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댐퍼 하우징 및 필터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케이스의 외부까지 연장된 제1회전축과, 상기 블레이드에 타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댐퍼 하우징을 관통하여 댐퍼 하우징의 외부까지 연장된 제2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타단에 부착되어 제1회전축 및 이에 연결된 블레이드와 제2회전축을 돌릴 수 있는 손잡이와, 상기 제1회전축의 노출부와 손잡이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상기 필터케이스 외부에 부착된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 개방면을 따라 폐경로를 형성하게 설치된 제1패킹부재와, 상기 상자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패킹부재와 정합하는 제2패킹부재가 구비되어 록킹수단에 의하여 상기 상자본체와 록킹될 때 제2패킹부재가 상기 제1패킹부재와 밀착되는 상자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DAMPER INSTALLED HEPA FILTER BOX}
본 발명은 헤파필터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헤파필터에 투입되는 공기량을 헤파필터 박스 내에서 조절하여 오염된 외부 공기가 헤파필터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헤파필터의 교체시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에 관한 것이다.
크린룸 등의 공조시스템은, 룸(room)에 투입될 공기의 온습도를 조절하는 공조기와 공조기에서 공조된 공기를 이송하는 덕트와 덕트에 의하여 이송되어 온 공기를 필요한 청정도로 여과하는 헤파필터를 포함한다. 덕트의 중간 중간에는 각 룸에 투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가 마련된다. 공조기와 댐퍼와 헤파필터 박스는 덕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지만, 이들 연결부의 기밀은 철저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 오염 공기가 공조시스템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없다. 그러나, 댐퍼는 덕트 연결부 이외에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와 이에 연결된 블레이드가 마련되어 있고, 블레이드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반면, 손잡이는 하우징 외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들을 연결하는 회전축과 하우징 사이에 틈이 존재하고, 이 틈을 통한 외부 오염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진다.
헤파필터(HEPA Filter :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는 인조섬유 재질로서 만들어져 0.3㎛보다 크거나 같은 먼지, 유분, 부유물,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립자를 99.97% 이상의 집진 효율로 걸러주는 필터로서, 크린룸 공기의 청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헤파필터는 헤파필터 박스에 수용되어 크린룸 천장 등에 설치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252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545호, 등록특허공보 제10-1911366호 등에 개시 되어 있는 바와 같이, 헤파필터는 헤파필터 박스 내에서 설치되고, 헤파필터 박스에는 공조기에서 공조된 공기가 투입되는 공기투입구와 헤파필터에 의하여 여과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다. 헤파필터는 헤파필터 박스의 공기배출구 직전에 설치된다. 헤파필터 박스의 공기투입구 외측에는 댐퍼를 마련하여 헤파필터에 투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한다. 헤파필터 박스 외부에 설치된 댐퍼의 회전축과 하우징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 오염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될 경우, 오염 공기를 여과하는 헤파필터의 수명과 교체주기가 현저하게 단축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2527호(등록일자 : 2012. 09. 07)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545호(등록일자 : 2005. 11. 10) 등록특허공보 제10-1911366호(등록일자 : 2018.10.18)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헤파필터 박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헤파필터에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댐퍼에서의 외기 유입을 차단하여 헤파필터의 수명과 교체 주기를 연장할 수 있는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헤파필터의 오염 상태를 사용자가 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여 헤파필터의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과제는, 작업자가 설정한 댐퍼의 개도가 풍속이나 진동 등에 의한 변동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과제는, 헤파필터 박스를, 사각 통체이고 상부에는 공기투입구가 형성되어 공기가 투입되고 하부에는 헤파필터가 설치되어 상기 공기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헤파필터에 의하여 여과되어 룸에 투입되는 필터케이스와, 상기 공기투입구를 통해 필터케이스로 유입된 공기가 모두 통과할 수 있게 상기 공기투입구에 연속해서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댐퍼 하우징와, 상기 댐퍼 하우징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되어 풍량을 조절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댐퍼 하우징 및 필터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케이스의 외부까지 연장된 제1회전축과, 상기 블레이드에 타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댐퍼 하우징을 관통하여 댐퍼 하우징의 외부까지 연장된 제2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타단에 부착되어 제1회전축 및 이에 연결된 블레이드와 제2회전축을 돌릴 수 있는 손잡이와, 상기 제1회전축의 노출부와 손잡이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상기 필터케이스 외부에 부착된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 개방면을 따라 폐경로를 형성하게 설치된 제1패킹부재와, 상기 상자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패킹부재와 정합하는 제2패킹부재가 구비되어 록킹수단에 의하여 상기 상자본체와 록킹될 때 제2패킹부재가 상기 제1패킹부재와 밀착되는 상자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과제는, 상기 헤파필터를 상기 필터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필터고정틀에 의하여 설치하고, 상기 헤파필터 또는 필터고정틀를 관통하는 차압센서를 마련하여, 헤파필터의 오염도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차압센서는 상기 헤파필터 또는 필터고정틀을 관통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되어 필터케이스 내부의 압력과 룸(room)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체와, 상기 실린더와 가동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필터케이스의 내부 공기와 룸(room)의 공기간의 혼합을 막는 오링과, 상기 가동체가 실린더 내에서 상기 필터케이스 내부의 압력과 룸(room)의 압력 차이에 비례하는 높이를 유지하게 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을 상기 실린더 상부에 고정하는 스프링홀더와, 상기 가동체의 하단에 연결되어 가동체의 위치에 따라 다른 색깔이 룸(room)에 노출되도록 채색된 차압표시봉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3과제는, 상기 손잡이와 필터케이스 사이에 표면이 손잡이의 이면과 접하는 터널형의 브라켓을 마련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곡면을 이루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손잡이를 관통하는 손잡이고정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볼트에는 나비너트를 체결하여 손잡이와 손잡이에 연결된 블레이드 고정하되, 상기 가이드홈 가장자리에는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볼트의 머리에는 상기 요철부의 형상으로 돌출된 계합돌부를 형성하여 상기 나비너트를 조일 때 상기 계합돌부가 요철부와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가 상기 브라켓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댐퍼가 필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댐퍼 손잡이를 필터케이스 외부에 마련하며, 댐퍼 손잡이 및 손잡이와 연결된 제1회전축 주변을 모두 밀폐할 수 있으므로, 댐퍼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누기를 차단할 수 있다. 댐퍼의 개도를 조절할 때는 상자커버를 열고 손잡이로 개도를 조절한 후, 다시 닫아 밀폐하므로, 개도 조절시를 제외하고는 밀폐상태가 언제나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헤파필터의 오염도가 올라가 필터케이스의 압력이 룸의 압력보다 커져 차압센서의 차압표시봉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노출된 차압표시봉의 색깔에 의하여 육안에 의하여 헤파필터 교체 시기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시점에 헤파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도가 조절된 후 손잡이를 고정함에 있어서, 브라켓의 요철부에 손잡이고정볼트의 계합돌부가 결합되어, 풍속이나 진동 등으로 나비너트가 미세하게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손잡이의 회전이 차단되므로, 사용자가 설정한 댐퍼 개도를 그대로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헤파필터 박스에서 상자커버를 닫은 상태로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헤파필터 박스에서 상자커버를 연 상태로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헤파필터 박스에서 손잡이와 브라켓과 제1회전축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헤파필터 박스에 설치된 차압센서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헤파필터 박스에서 상자커버를 닫은 상태로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헤파필터 박스에서 상자커버를 연 상태로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 예>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파필터 박스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헤파필터 박스는 헤파필터(3)을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필터케이스(1)과, 헤파필터(3)를 상기 필터케이스(1)의 하부에 지지하는 필터 고정틀(6)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케이스(1)는 사각 통체이고 상부에는 공기투입구(17)가 형성되어 공기가 투입되고 하부에는 헤파필터(3)가 설치되어 상기 공기투입구(17)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헤파필터(3)에 의하여 여과되어 룸(room)에 투입된다. 헤파필터(3)의 필터고정틀(6)에는 기밀 유지용 겔(gel)을 수용할 수 있는 겔수용부(5)가 형성되어 있다. 실링재로서 사용되는 겔은 실리콘 겔 또는 폴리우레탄 겔이다. 필터케이스(1)의 상부에는 공기투입구(17)를 형성하고 필터케이스의 하부에는 공기배출을 위한 개구를 형성하며, 헤파필터(3)는 공기배출을 위한 개구 부근에 설치한다. 헤파필터(3)의 하부에는 천공판(4)을 마련하고 천공판(4)은 천공판고정볼트(8)에 의하여 상기 필터 고정틀(6)에 결합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공기투입구에 유입된 공기는 모두 누설 없이 필터를 통하여 여과되어 룸(room)에 투입된다. 상기 필터케이스(1)은, 사각 통체이고 상부에 공조기의 덕트 등에 연결 되는 공기투입관(16)이 공기투입구(17)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스(1)는 행거 등에 의하여 건물 슬라브에 연결되어 천장 보드(100) 상부에 매달린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댐퍼 하우징(9)을, 상기 공기투입구(17)를 통해 필터케이스(1)로 유입된 공기가 모두 통과할 수 있게 상기 공기투입구(17)에 연속해서 필터케이스(1)의 내부에 마련하고, 상기 댐퍼 하우징(9)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되어 풍량을 조절하는 블레이드(11)를 마련하며, 상기 블레이드(11)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댐퍼 하우징(9) 및 필터케이스(1)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케이스(1)의 외부까지 연장된 제1회전축(15a)을 마련하고, 상기 제1회전축(15a)의 타단에 손잡이(39)를 부착하여 제1회전축(15a) 및 이에 연결된 블레이드(11)와 제2회전축(15b)을 돌릴 수 있게 하고, 제1회전축(15a)과 손잡이 주위를 감싸 누기를 차단하는 밀폐상자를 형성한 데 있다.
상기 제2회전축(15b)은 상기 블레이드(11)에 타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댐퍼 하우징(9)을 관통하여 댐퍼 하우징(9)의 외부까지 연장된다.
상기 밀폐상자는, 상기 제1회전축(15a)의 노출부와 손잡이(39)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상기 필터케이스(1) 외부에 부착된 상자본체(19)와, 상기 상자본체(19) 개방면을 따라 폐경로를 형성하게 설치된 제1패킹부재(33a)와, 상기 상자본체(19)에 결합되고 상기 제1패킹부재(33a)와 정합하는 제2패킹부재(33b)가 구비되어 록킹수단에 의하여 상기 상자본체(19)와 록킹될 때 제2패킹부재(33b)가 상기 제1패킹부재(33a)와 밀착되는 상자커버(2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상자커버(23)에 결합되고 록킹홈(29)이 형성된 록킹날개(27)와, 상기 상자본체(19)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날개(27)의 록킹홈(29)에 체결되는 록킹돌기(31)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돌기(41)의 위치는 록킹홈(29)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제1패킹부재(33a)와 제2패킹부재(33b)가 서로 압착될 수 있는 위치이다. 상기 상자본체(19)와 상자커버(23)는 힌지(21)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고, 상자커버(23)와 록킹날개(41)도 힌지(25)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제1회전축(15a)과 필터케이스(1) 사이의 틈 주변이 밀폐박스에 의하여 완전히 감싸진다. 또한, 상자커버(23)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 공기가 제1회전축(15a)과 필터케이스(1) 사이의 틈을 통해 상기 필터케이스(1)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상자커버(23)는 작업자가 댐퍼의 개도를 조절할 때를 제외하고는 항상 닫아 놓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댐퍼가 필터케이스(1) 내부에 설치되고, 댐퍼 손잡이(39)를 필터케이스(1) 외부에 마련하며, 댐퍼 손잡이(39) 및 손잡이(39)와 연결된 제1회전축(15a) 주변을 밀폐상자에 의하여 모두 밀폐할 수 있으므로, 댐퍼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누기를 차단할 수 있다. 댐퍼의 개도를 조절할 때는 상자커버(23)를 열고 손잡이(39)로 개도를 조절한 후, 다시 닫아 밀폐하므로, 개도 조절시를 제외하고는 밀폐상태가 언제나 유지된다.
헤파필터(3)는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그 교체 주기나 교체 시점을 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고가인 헤파필터(3)를 오염전에 교체하면 비용 낭비를 초래하고, 오염이 장시간 진행될 때까지 헤파필터(3)를 교체하지 않으면 실내 공기가 오염된다. 따라서, 헤파필터(3)의 오염도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면, 교체시기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헤파필터(3)가 오염되면, 통과되는 공기량이 줄어들고, 그 결과 필터케이스(1) 내부와 룸(room)간의 압력 차이가 발생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헤파필터(3) 또는 필터고정틀(6)를 관통하여 필터케이스(1) 내부와 룸(room)간의 압력차를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차압센서(45)를 마련한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압센서(45)는, 상기 헤파필터(3) 또는 필터고정틀(6)을 관통하는 실린더(47)와, 상기 실린더(47) 내에 설치되어 필터케이스(1) 내부의 압력과 룸(room)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체(49)와, 상기 실린더(47)와 가동체(49)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필터케이스(1)의 내부 공기와 룸(room)의 공기간의 혼합을 막는 오링(51)과, 상기 가동체(49)가 실린더 내에서 상기 필터케이스(1) 내부의 압력과 룸(room)의 압력 차이에 비례하는 높이를 유지하게 하는 코일스프링(53)과, 상기 코일스프링(53)을 상기 실린더 상부에 고정하는 스프링홀더(55)와, 상기 가동체(49)의 하단에 연결되어 가동체(49)의 위치에 따라 다른 색깔이 룸(room)에 노출되도록 채색된 차압표시봉(57)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차압표시봉(57)은 헤파필터의 오염도가 커지고, 이로 인한 필터케이스(1) 내부와 룸(room)간의 압력차가 커질수록 하방으로 내려온다. 따라서, 차압표시봉(57)의 최상부(59a)와 중간부(59b)와 최하부(59a)는 다른 색깔로 채색한다. 상기 스프링은 헤파필터(3)가 교체해야 할 정도로 오염됐을 때 차압표시봉(57)의 최상부(59c)가 실린더(47)에서 노출는 인장력을 갖고, 헤파필터(3)를 교체한 직후는 차압표시봉의 최하부(59a)만 노촐되는 것으로 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는 차압표시봉(57)의 최상부(59c) 색깔이 노출됐을 때 헤파필터(3) 교체 시기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차압센서(45)를 압력센서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매우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헤파필터(3)의 오염도가 올라가 필터케이스(1) 내의 압력이 룸의 압력보다 커져 차압센서(45)의 차압표시봉(57)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노출된 차압표시봉(57)의 색깔에 의하여 육안에 의하여 헤파필터(3) 교체 시기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시점에 헤파필터(3)를 교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한 댐퍼의 개도(開度)는 풍속, 진동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변동될 수 있다. 크린룸 등에서는 공조된 공기를 일정한 풍량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개도 변경을 방지할 장치가 필요하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손잡이(39)와 필터케이스(1) 사이에, 표면이 손잡이(39)의 이면과 접하는 터널형의 브라켓(40)을 마련하고, 상기 브라켓(40)에는 제1회전축(15a)을 중심으로 곡면을 이루는 가이드홈(6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6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손잡이(39)를 관통하는 손잡이고정볼트(41)를 삽입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볼트(41)에는 나비너트(43)를 체결하여 손잡이(39)와 손잡이(39)에 연결된 블레이드(13)를 고정하면서, 상기 가이드홈(61) 가장자리에는 요철부(63a,63b)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볼트(41)의 머리(71)에는 상기 요철부(63a,63b)의 형상으로 돌출된 계합돌부(67)를 형성하여 상기 나비너트(43)를 조일 때 상기 계합돌부(67)가 요철부(63a,63b)와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39)가 상기 브라켓(4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상기 손잡이(39)는 상기 브라켓(40)의 표면에 접하는 수평부(75)와 상기 수평부(75)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파지부(73)와, 상기 제1회전축(15a)이 삽입되는 슬리브(77)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40)의 표면은 손잡이(39)의 수평부(75) 이면(裏面)과 접한다. 상기 제1회전축(15a)은 손잡이(39)의 슬리브(77) 내에 삽입되어 슬리브고정볼트(41)에 의해 손잡이(39)와 일체로 고정되고, 손잡이(39)를 회전시키면 회전축(15a,15b) 및 이에 결합된 블레이드(11)도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회전한다. 개도 확인을 위하여 브라켓(40) 표면에는 손잡이 파지부(73)의 반대편에 개도표시부(6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고정볼트(41)는 볼트머리(71)에서 나사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홈(61)에 긴밀히 삽입되는 각면부(69)를 4방에 형성하고, 각 각면부(69) 방향에 상기 계합돌부(6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각 각면부(69) 중심 방향에 상기 계합돌부(67)를 형성한다. 각 각면부(69)와 반대면의 각면부(69)간의 폭은 상기 가이드홈(61)에 삽입되지만 회전되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갖게 형성한다. 그 결과 각면부(69)가 가이드홈(61) 내에 긴밀히 삽입되고, 손잡이고정볼트(41)를 브라켓(40)의 가이드홈(61)에 삽입할 때 계합돌부(67)는 자동으로 요철부(63a,63b)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요철부(63a,63b) 및 계합돌부(67)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작업자가 댐퍼의 개도를 조절된 후 손잡이(39)를 고정함에 있어서, 브라켓(40)의 요철부(63a,63b)에 손잡이고정볼트(41)의 계합돌부(67)가 결합되어, 풍속이나 진동 등으로 나비너트(43)가 미세하게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손잡이(39)의 회전이 차단되므로, 사용자가 설정한 댐퍼 개도를 그대로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제2실시 예>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는 밀폐상자를 필터케이스(1)의 측부에 배치한 반면에 제2실시 예는 밀폐상자를 필터케이스(1)의 상부에 배치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밀폐상자를 필터케이스(1)의 상부에 배치하기 위하여, 손잡이(39)의 회전력을 직각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베벨기어(81a,81b)를 마련하여, 제1베벨기어(81a)는 제1회전축(15a)에 연결하고, 제2베벨기어(81b)는 손잡이(39)가 부착된 보조회전축(83)에 연결한다. 베벨기어(81a,81b)의 지지를 위하여 기어박스(85)를 마련할 수 있다. 다른 분분에 대한 제1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제2실시 예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도 5 및 도 6은 차압센서(45)는 필터고정틀(6)을 관통하여 설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1 : 필터케이스
3 : 헤파필터
4 : 천공판
5 : 기밀용 겔
6 : 필터고정틀
7 : 댐퍼
8 : 천공판고정볼트
9 : 댐퍼하우징
11 : 블레이드
13 : 축덮개
15a,15b : 회전축
16 : 공기투입관
17 : 공기투입구
19 : 상자본체
21 : 힌지
23 : 상자커버
25 : 힌지
27 : 록킹날개
29 : 록킹홈
31 : 록킹돌기
33a,33b : 패킹부재
35 : 슬리브고정볼트
37 : 슬리브
39 : 손잡이
41 : 손잡이고정볼트
43 : 손잡이
45 : 차압센서
47 : 실린더
49 : 가동체
51 : 오링
53 : 코일스프링
55 : 스프링홀더
57 : 차압표시봉
59a, 59b, 59c : 표압색깔표시부
61 : 가이드홈
63a,63b : 요철부
65 : 개도표시부
67 : 계합돌부
69 : 각면부
71 : 머리
73 : 파지부
75 : 수평부
77 : 슬리부
79 : 스프링 와셔
81a,81b : 베벨기어
83 : 보조회전축
85 : 기어박스

Claims (3)

  1. 사각 통체이고 상부에는 공기투입구(17)가 형성되어 공기가 투입되고 하부에는 헤파필터(3)가 설치되어 상기 공기투입구(17)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헤파필터(3)에 의하여 여과되어 룸(room)에 투입되는 필터케이스(1);
    상기 공기투입구(17)를 통해 필터케이스(1)로 유입된 공기가 모두 통과할 수 있게 상기 공기투입구(17)에 연속해서 필터케이스(1)의 내부에 마련된 댐퍼 하우징(9);
    상기 댐퍼 하우징(9)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되어 풍량을 조절하는 블레이드(11);
    상기 블레이드(11)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댐퍼 하우징(9) 및 필터케이스(1)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케이스(1)의 외부까지 연장된 제1회전축(15a);
    상기 블레이드(11)에 타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댐퍼 하우징(9)을 관통하여 댐퍼 하우징(9)의 외부까지 연장된 제2회전축(15b);
    상기 제1회전축(15a)의 타단에 부착되어 제1회전축(15a) 및 이에 연결된 블레이드(11)와 제2회전축(15b)을 돌릴 수 있는 손잡이(39);
    상기 제1회전축(15a)의 노출부와 손잡이(39)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상기 필터케이스(1) 외부에 부착된 상자본체(19);
    상기 상자본체(19) 개방면을 따라 폐경로를 형성하게 설치된 제1패킹부재(33a);
    상기 상자본체(19)에 결합되고 상기 제1패킹부재(33a)와 정합하는 제2패킹부재(33b)가 구비되어 록킹수단에 의하여 상기 상자본체(19)와 록킹될 때 제2패킹부재(33b)가 상기 제1패킹부재(33a)와 밀착되는 상자커버(23);를 포함하여 상자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 공기가 제1회전축과 필터케이스 사이의 틈을 통해 상기 필터케이스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헤파필터(3)는 상기 필터케이스(1) 내부의 하부에 필터고정틀(6)에 의하여 설치하고, 상기 헤파필터(3) 또는 필터고정틀(6)를 관통하는 차압센서(45)를 마련하여, 헤파필터(3)의 오염도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되,
    상기 차압센서(45)는 상기 헤파필터(3) 또는 필터고정틀(6)을 관통하는 실린더(47)와, 상기 실린더(47) 내에 설치되어 필터케이스(1) 내부의 압력과 룸(room)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체(49)와, 상기 실린더(47)와 가동체(49)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필터케이스(1)의 내부 공기와 룸(room)의 공기간의 혼합을 막는 오링(51)과, 상기 가동체(49)가 실린더 내에서 상기 필터케이스(1) 내부의 압력과 룸(room)의 압력 차이에 비례하는 높이를 유지하게 하는 코일스프링(53)과, 상기 코일스프링(53)을 상기 실린더 상부에 고정하는 스프링홀더(55)와, 상기 가동체(49)의 하단에 연결되어 가동체(49)의 위치에 따라 다른 색깔이 룸(room)에 노출되도록 채색된 차압표시봉(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9)와 필터케이스(1) 사이에는 표면이 손잡이(39)의 이면과 접하는 터널형의 브라켓(40)을 마련하고, 상기 브라켓(40)에는 제1회전축(15a)을 중심으로 곡면을 이루는 가이드홈(6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6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손잡이(39)를 관통하는 손잡이고정볼트(41)를 삽입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볼트(41)에는 나비너트(43)를 체결하여 손잡이(39)와 손잡이(39)에 연결된 블레이드(13)를 고정하되,
    상기 가이드홈(61) 가장자리에는 요철부(63a,63b)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볼트(41)의 머리(71)에는 상기 요철부(63a,63b)의 형상으로 돌출된 계합돌부(67)를 형성하여 상기 나비너트(43)를 조일 때 상기 계합돌부(67)가 요철부(63a,63b)와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39)가 상기 브라켓(4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



KR1020200181408A 2020-12-22 2020-12-22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 KR102454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408A KR102454990B1 (ko) 2020-12-22 2020-12-22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408A KR102454990B1 (ko) 2020-12-22 2020-12-22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325A KR20220090325A (ko) 2022-06-29
KR102454990B1 true KR102454990B1 (ko) 2022-10-17

Family

ID=8227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408A KR102454990B1 (ko) 2020-12-22 2020-12-22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9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530Y1 (ko) * 2005-08-01 2005-10-12 주식회사 티비엠 후드용 댐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545Y1 (ko) 2005-09-08 2005-11-21 주식회사 원평 헤파 필터 박스
KR200462527Y1 (ko) 2012-02-28 2012-09-14 주식회사 코리스에어 디오피 헤파필터박스
KR101911366B1 (ko) * 2016-11-14 2019-01-04 (주)제이오 헤파필터 하단 가장자리에서의 공기 와류 발생을 차단한 헤파필터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530Y1 (ko) * 2005-08-01 2005-10-12 주식회사 티비엠 후드용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325A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0971B2 (ja) 空気流装置用の可調節ダンパー
US20210387125A1 (en) Air purifier in a furniture article
WO2016036307A1 (en) Filter housing
KR102454990B1 (ko) 댐퍼 내장형 헤파필터 박스
KR101911366B1 (ko) 헤파필터 하단 가장자리에서의 공기 와류 발생을 차단한 헤파필터 박스
KR102096443B1 (ko) 버스용 실내 공기 정화 장치
EP0099130A2 (en) Air flow control apparatus
CA2606005C (en) Filter module with flow control
KR100806633B1 (ko) 크린룸용 공기 정화기의 댐퍼 개폐장치
KR20140011437A (ko) 크린룸용 환기장치가 구비된 내장판넬
KR20170001784U (ko) 필터 블라인드
CN210374020U (zh) 一种建筑用通风过滤装置
KR20210055530A (ko) 환기형 공기청정기
KR101472557B1 (ko) 풍량 자동 제어형 댐퍼
EP1635151B1 (en) A device for measuring and regulating the flow rate of aeriform emissions containing dust and droplets
WO2013146941A1 (ja) エアフィルタユニット
KR20060119368A (ko) 필터부가 구비된 공조장치용 공기 통과장치
ITTO20140009U1 (it) Valvola di aerazione per tubi
JP3233975B2 (ja) 風量調整ダンパ装置
KR102298769B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 프레임 구조체의 필터를 일정 토크로 고정 가능한 필터 고정구
CN205536347U (zh) 一种新型空气净化器
KR102429293B1 (ko) 가습공기청정기
CN205481643U (zh) 顶盖组件和空调室内机
JP5117256B2 (ja) フィルタボックス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施工方法
JP2007085587A (ja) 高性能エアフィルタ内蔵吹出口フィル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