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784U - 필터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필터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784U
KR20170001784U KR2020150007380U KR20150007380U KR20170001784U KR 20170001784 U KR20170001784 U KR 20170001784U KR 2020150007380 U KR2020150007380 U KR 2020150007380U KR 20150007380 U KR20150007380 U KR 20150007380U KR 20170001784 U KR20170001784 U KR 201700017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rame
opening
window frame
fine du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162Y1 (ko
Inventor
이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데르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데르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데르손
Priority to KR2020150007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62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62Y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rchitectur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필터 블라인드가 개시된다. 필터 블라인드는, 창틀에 고정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며 설치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 커버가 설치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내부에 권취되어 수납되고 고정 프레임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덮도록 인출되는 광촉매 필터와, 하우징에 설치되어 미세 먼지의 상태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터 블라인드{FILTER BLIND}
본 고안은 오염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퉁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필터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창문에는 실내가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햇빛의 차단하기 위하여 블라인드가 설치된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햇빛의 조명기능까지 차단하게 된다는 단점과 또한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 먼지 등이 적층되면서 지저분하게 되어, 일정기간이 경과되어지면 교환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블라인드가 설치된 창문에는 창문의 개폐시 해충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을 설치하게 되는 바, 창호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한 방충망은 메쉬형태로 이루어져 창문을 열고 실내의 공기를 신선한 실외의 공기로 교환할 경우에 실외의 먼지가 그대로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황사현상이 발생될 경우에는 창문을 열지 못하게 되는 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는 실내공기의 정화를 위하여 별도의 고가의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게 됨으로서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1-0057373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창틀에 고정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며 설치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 커버가 설치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내부에 권취되어 수납되고 고정 프레임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덮도록 인출되는 광촉매 필터와, 하우징에 설치되어 미세 먼지의 상태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하우징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센서와, 미세먼지 센서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미세먼지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에는 음이온 발생기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에는 창틀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는, 고정 프레임을 창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복수개의 마운트부재와, 고정 프레임의 일측과 창틀을 연결하여 고정 프레임이 창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창틀의 개구부와 광촉매 필터의 사이 부분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먼지 막이 가이드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촉매 필터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의 이물질은 제거된 상태로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퉁풍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가 항균 작용이 이루어진 상태로 실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블라인드가 창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터 블라인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필터 블라인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필터 블라인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하우징에 제어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우징의 개폐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필터 블라인드가 창틀에 회전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블라인드가 창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필터 블라인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필터 블라인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필터 블라인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 블라인드(100)는, 창틀(11)에 고정되며 개구부(10a)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10)과, 고정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며 설치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 커버(21)가 설치된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내부에 권취되어 수납되고 고정 프레임(10)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덮도록 인출되는 광촉매 필터(30)와, 하우징(20)에 설치되어 미세 먼지의 상태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10)은 창틀(11)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 프레임(10)은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곳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10)은 창틀(11)의 크기에 대응하여 내부에 개구부(10a)가 형성된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고정 프레임(10)에는 창틀(11)에 고정되는 고정부(12)가 설치된다.
고정부(12)는, 고정 프레임(10)을 창틀(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복수개의 마운트부재(12a)와, 고정 프레임(10)의 일측과 창틀(11)을 연결하여 고정 프레임(10)이 창틀(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힌지부재(12b)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부재(12a)는 일측은 고정 프레임(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창틀(11)에 접촉된 상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마운트부재(12a)는 창틀(11)에 접착에 의해 탈부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창틀에 끼움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마운트부재(12a)는 창틀(11)에 접착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힌지부재(12b)는 창틀(11)과 고정 프레임(1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 프레임(10)은 창틀(11)에 일측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바, 본 실시예의 필터 블라인드(100)가 창틀(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10)의 상측에는 하우징(2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6은 하우징에 제어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하우징의 개폐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고정 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20)에는 설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개폐 커버(21)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커버(21)의 개폐 작동에 의해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광촉매 필터(30)의 안정적인 설치 및 고장 조치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0)의 설치 공간에는 광촉매 필터(30)가 설치되며, 하우징(20)의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촉매 필터(30)는 하우징(20)의 내부에 롤(roll) 형상으로 권취된 상태로 설치되며, 하우징(20)의 외부로 사용자의 당김 작동에 의해 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촉매 필터(30)가 하우징(2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고정 프레임(10)의 개구부(10a)를 덮도록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창틀(11)의 개구부(10a)와 광촉매 필터(30)의 사이 부분에는 먼지 막이 가이드부(14)가 설치되는 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광촉매 필터(30)와 고정 프레임(10)의 사이 부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광촉매 필터(30)는 외부 공기의 퉁풍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산화 작용과 유기물 분해 살균 작용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 필터(3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 하우징(20)의 내부에 롤 타입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외부로 편평한 형상으로 인출될 수 있다.
광촉매 필터(30)는 반자동, 자동 또는 수동으로 하우징(2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광촉매 필터(30)의 단부에는 고정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잠금 버튼(31)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광촉매 필터(30)는 고정 프레임(10)의 개구부(10a)를 모두 덮도록 인출된 상태에서 잠금 버튼(31)을 이용하여 고정 프레임(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촉매 필터(30)가 고정 프레임(10)을 선택적으로 덮도록 설치되는 바, 외부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퉁풍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여, 실내 자연환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촉매 필터(30)를 전개하는 것만으로 실내 자연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만족도 향상이 가능하다.
한편, 하우징(20)에는 미세 먼지의 상태를 확인하는 제어부(40)가 설치된다.
제어부(40)는, 하우징(20)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센서(41)와, 미세먼지 센서(41)의 센싱신호를 전달받아 미세먼지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41)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세먼지 센서(41)에 의해 미세먼지의 센싱된 농도 신호는 표시부(43)로 전송될 수 있다.
표시부(43)는 미세먼지 센서(41)에 의해 센싱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43)는 색상을 달리하는 복수개의 엘이디 조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43)는 미세먼지 농도를 복수개의 엘이디 조명에 의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바, 외부 공기의 미세먼지 상태에 따라 실내 공기의 환기 여부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하우징(20)에는 음이온 발생기(5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음이온 발생기(50)는 하우징(20)에 설치되어 공기 정화와 항균 또는 악취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음이온 발생기(50)는 공기 1리터당 200만개 이상의 음이온이 발생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음이온 발생기(50)에 의해 정화되고 항균 작용이 이루어진 상태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하여 오염된 공기에 의해 사용자 순환기계통 질환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필터 블라인드(100)는 광촉매 필터(30)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의 이물질은 제거된 상태로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퉁풍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음이온 발생기(50)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가 항균 작용이 이루어진 상태로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필터 블라인드의 작용을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고정 프레임(10)을 고정부(12)를 이용하여 창틀(11)에 탈부착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어서, 광촉매 필터(30)의 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인출하여 고정 프레임(10)의 개구부(10a)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인출한다.
여기서, 광촉매 필터(30)는 고정 프레임(10)의 개구부(10a)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인출되는 경우, 잠금 버튼(31)을 이용하여 고정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촉매 필터(30)가 인출되어 고정 프레임(10)의 개구부(10a)를 덮는 경우, 외부 공기는 광촉매 필터(30)의 필터링 작용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하우징(20)에는 음이온 발생기(50)가 설치되는 바, 외부 공기는 공기 정화와 항균 또는 악취 제거된 상태로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도 8은 필터 블라인드가 창틀에 회전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43)를 확인하여 미세먼지가 설정 농도 이하로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필터 블라인드(100)를 회전시켜 보다 환기가 용이하도록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고정 프레임 10a..개구부
11...창틀 12...고정부
12a..마운트부재 12b..힌지부재
14...먼지 막이 가이드부 20...하우징
21...개폐 커버 30...광촉매 필터
40...제어부 41...미세먼지 센서
43...표시부 50...음이온 발생기

Claims (5)

  1. 창틀에 고정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 커버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부에 권취되어 수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덮도록 인출되는 광촉매 필터;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미세 먼지의 상태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필터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센서; 및
    상기 미세먼지 센서의 센싱신호를 전달받아, 미세먼지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필터 블라인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음이온 발생기가 설치되는 필터 블라인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을 상기 창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복수개의 마운트부재;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창틀을 연결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이 상기 창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힌지부재;
    를 포함하는 필터 블라인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개구부와 상기 광촉매 필터의 사이 부분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먼지 막이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필터 블라인드.
KR2020150007380U 2015-11-13 2015-11-13 필터 블라인드 Expired - Fee Related KR200484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380U KR200484162Y1 (ko) 2015-11-13 2015-11-13 필터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380U KR200484162Y1 (ko) 2015-11-13 2015-11-13 필터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784U true KR20170001784U (ko) 2017-05-23
KR200484162Y1 KR200484162Y1 (ko) 2017-08-10

Family

ID=5902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38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4162Y1 (ko) 2015-11-13 2015-11-13 필터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6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9050A (zh) * 2017-12-29 2018-06-05 成都新柯力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空气净化的透光玻璃纤维窗纱及制备方法
KR101877723B1 (ko) * 2017-08-07 2018-07-12 노수영 공기정화순환 기능을 갖는 금속창호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순환 방법
WO2020111845A1 (ko) * 2018-11-29 2020-06-04 임미란 창호용 조립식 환기 장치
KR102433354B1 (ko) * 2022-03-21 2022-08-18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창호용 방진망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840Y1 (ko) * 2005-05-30 2005-08-17 장보선 다기능 차양장치
KR20110057373A (ko) 2009-11-24 2011-06-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블라인드 창호
KR20110057375A (ko) * 2009-11-24 2011-06-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중 개폐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창호
KR101504714B1 (ko) * 2013-12-20 2015-03-30 고구려시스템(주) 방충창에 구비되는 롤식 공기정화용 막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840Y1 (ko) * 2005-05-30 2005-08-17 장보선 다기능 차양장치
KR20110057373A (ko) 2009-11-24 2011-06-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블라인드 창호
KR20110057375A (ko) * 2009-11-24 2011-06-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중 개폐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창호
KR101504714B1 (ko) * 2013-12-20 2015-03-30 고구려시스템(주) 방충창에 구비되는 롤식 공기정화용 막 구조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23B1 (ko) * 2017-08-07 2018-07-12 노수영 공기정화순환 기능을 갖는 금속창호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순환 방법
CN108119050A (zh) * 2017-12-29 2018-06-05 成都新柯力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空气净化的透光玻璃纤维窗纱及制备方法
WO2020111845A1 (ko) * 2018-11-29 2020-06-04 임미란 창호용 조립식 환기 장치
US12084912B2 (en) 2018-11-29 2024-09-10 Mi Ran LIM Assembly type ventilation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KR102433354B1 (ko) * 2022-03-21 2022-08-18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창호용 방진망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162Y1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162Y1 (ko) 필터 블라인드
KR101864160B1 (ko) 창문 실내외 겸용 공기청정기
KR101504714B1 (ko) 방충창에 구비되는 롤식 공기정화용 막 구조체
KR20190025270A (ko) 창문형 환기 필터장치
KR101905729B1 (ko) 미세먼지 차단장치
KR20190109040A (ko) 창문형 공기 청정기
KR101158576B1 (ko) 공기청정기
KR101220659B1 (ko) 공기청정기
KR101167616B1 (ko) 에어컨 실외기용 공기정화기
KR101971168B1 (ko) 환기용 공기 청정기를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창호 시스템
KR101076957B1 (ko) 공기청정기
KR101152512B1 (ko) 공기청정기
KR101360504B1 (ko) 필터링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환기장치
KR101152459B1 (ko) 공기청정기
JP2005076904A (ja) 空気調節装置
KR101158595B1 (ko) 공기청정기
KR20060112755A (ko) 공기청정기
KR102252637B1 (ko) 환기 창호 모듈
KR101157669B1 (ko) 공기청정기
KR101220570B1 (ko) 공기청정기
KR101076933B1 (ko) 공기청정기
KR101076976B1 (ko) 공기청정기
KR101076941B1 (ko) 공기청정기
KR200391623Y1 (ko) 공기청정기
KR20060112492A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11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1209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60428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82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8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8

Appeal identifier: 2016101003821

Request date: 20160628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70222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UJ0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Appeal identifier: 2016101003821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70222

Request date: 201606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82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28

Effective date: 20170222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170222

Patent event code: UJ13011S01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6101003821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70222

Request date: 201606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U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60628

Decision date: 20170222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70322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U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US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S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227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Decision date: 20170222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606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8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2051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