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769B1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769B1
KR102454769B1 KR1020170078767A KR20170078767A KR102454769B1 KR 102454769 B1 KR102454769 B1 KR 102454769B1 KR 1020170078767 A KR1020170078767 A KR 1020170078767A KR 20170078767 A KR20170078767 A KR 20170078767A KR 102454769 B1 KR102454769 B1 KR 102454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refrigerant
evaporator
condensed water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8486A (ko
Inventor
정민우
김봉준
김세현
김재영
이요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76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하는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의 열을 흡수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응축수에 방출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습기 {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와 응축수를 상호 열교환시켜 냉매를 과냉각시키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기기이다. 제습기는 크게 건조식과 냉각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건조식은 화학물질의 흡습제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거나 흡착함으로써 제습을 수행하는 방식이고, 냉각식은 냉각 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를 이슬점 이하로 냉각함으로써 공기 중의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냉각식 제습기는,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응축액화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어 응축액화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에 연결되어 팽창된 냉매가 저온저압의 기체로 증발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제습기에는 증발기의 하방에 증발기에서 생성되어 낙하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용기가 구비된다.
실내 공간의 공기가 케이스 내의 증발기를 통과하면,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증발기의 표면에서 응축되며 제습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제습기에서, 응축기의 입구측 냉매 온도는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로 인해 약 50~60도로 높게 나타난다. 또한, 응축기의 출구측 냉매 온도는 약 40~50도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응축기를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가 높은 경우는 응축기에서의 응축작용과 증발기에서의 증발작용시 효율이 떨어지므로 열교환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떨어뜨리면 증발기에서 냉매의 증발작용이 더 잘 일어나므로, 냉동사이클의 냉각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제습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응축기로 유입되고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낮추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 1 과제는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응축수와 열교환을 통하여 과냉각시켜 제습기의 제습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종래의 제습기에서 부품추가와 사이즈 등의 증가를 최소화하고 종래의 제습기의 구성요소를 최대한 활용하여 제습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과제는 냉매와 응축수의 상호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과제는 응축수 저장용기에 저장된 응축수의 양에 따라 냉매와 응축수간의 열교환 여부를 제어하여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냉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하는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의 열을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응축수에 방출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또한, 열교환기는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보조저장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는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유동하고, 상기 응축수 보조저장용기 내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냉매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보조저장용기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주저장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는 파이프가 절곡되어 가상의 면을 형성하는 상기 열교환기 냉매배관이, 상기 증발기의 중력방향으로 하측에, 상기 가상의 면이 상기 증발기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습기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 저장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는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 냉매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는 상기 열교환기 냉매배관을 수용하고,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와 접촉하여 상호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는 복수의 바를 포함하는 형상인 상기 열교환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는 상기 열교환기 바디가 삽입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상기 응축기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상기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 밸브가 닫히고 상기 제2 밸브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습기는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 내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응축수 수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축수가 기설정값 이상 저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밸브가 닫히고 상기 제2 밸브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습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열교환기 냉매배관을 습윤한 공기가 상기 증발기와 접촉되며 생성되는 응축수와 상호 열교환시켜, 상기 열교환기 냉매배관 내의 냉매를 과냉각시킴으로써 증발기 입출구에서의 냉매의 엔탈피 차이를 증가시켜 제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응축기 출구의 냉매를 과냉각시킴으로써, 증발기 입구의 냉매의 온도를 낮추어, 증발기에서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이 잘일어나게되어 응축수가 더 많이 생성될 수 있다.
둘째,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열교환기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종래의 제습기에서 부품추가와 사이즈 등의 증가를 최소화하고 종래의 제습기의 구성요소를 최대한 활용하여 제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열교환기는 응축수 보조저장용기를 포함하고, 응축수 보조저장용기 내에 열교환기 냉매배관이 증발기를 향하여 배치되어 응축수와 접촉되며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게되는 장점도 있다.
넷째, 제습기는 응축수 저장용기를 포함하고, 열교환기는 열교환기 바디를 포함하고, 열교환기 바디가 응축수 저장용기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열교환기 바디와 응축수 저장용기가 형성됨으로써,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상호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게되는 장점도 있다.
다섯째, 제습기는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응축수의 수위 정보에 기초하여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밸브와 응축기와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응축수 저장용기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양에 대응하여 열교환이 일어나며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냉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열교환기(150)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100, 200)의 기능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100, 2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200)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열교환기(250)와 응축수 저장용기(260)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100, 200)의 냉매 P-h 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100, 200)의 과냉열교환량 변화에 따른 증발용량 및 제습효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후(R)/좌(Le)/우(Ri)/상(U)/하(D)”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습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에서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개념도, 부분사시도, 제어블록도 및 제어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개념도 및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제습기의 냉매 P-h선도이다. 도 8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제습기의 과냉열교환량 변화에 따른 증발용량 및 제습효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 도 7 및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100)는 압축기(110)에서 압축되어 배출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100)는 응축기(120)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100)는 열교환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응축기(120)에서 응축된 냉매의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응축된 냉매로부터 흡수한 열을 증발기(140)에서 생성된 응축수에 방출할 수 있다.
제습기(100)는 응축수와 응축기(120)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상호 열교환하여 냉매의 과냉각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제습기(100)는 열교환기(150) 내에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100)는 열교환기 냉매배관(151)과 응축수를 직접 접촉시키며 열교환시킬 수 있다.
제습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1)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1)는 내부에 제습기(100)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01)는 제습기(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1)는 제습기(100)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공기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1)는 일측으로 개방되어 응축수 주저장용기(160)가 제습기(100) 외측으로 돌출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10)는 증발기(140)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압축시킬 수 있다. 압축기(110)는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를 압축시켜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토출시킬 수 있다.
압축기(110)는 제습기(100)에서 전력소모가 가장 큰 장치이고, 일반적으로 압축률이 높아질수록 제습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단, 일정 수준 이상 압축되는 경우 그 이상 압축시켜도 제습기능이 향상되지 않을 수 있다.
압축기(110)는 케이스(1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10)는 증발기(140) 및 응축기(120)와 연결되어 증발기(140)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120)로 토출할 수 있다. 압축기(110)는 증발기(140)와 증발기-압축기 냉매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110)는 응축기(120)와 압축기-응축기 냉매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110)는 증발기(140)에서 증발된 기체 상태인 냉매가 증발기-압축기 냉매배관을 통해 흡입될 수 있고,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가 압축기-응축기 냉매배관을 통해 응축기(120)로 유동될 수 있고, 응축기(120)로 유동된 냉매는 응축기(120)를 통과하면서 응축될 수 있다.
응축기(120)는 냉매유동방향으로 압축기(110) 이후에 위치되어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할 수 있다.
응축기(120)는 공기에 열에너지를 방출하며 냉매를 응축할 수 있다. 응축기(120)는 증발기(140)를 통과하며 온도가 하강한 공기와 접촉하며 열에너지를 방출하여 냉매를 응축할 수 있다. 응축기(120)는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인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켜 중온 고압의 액체상태인 냉매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응축기(120)는 압축기(110)와 압축기-응축기 냉매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응축기(120)는 팽창밸브(130)와 응축기-팽창밸브 냉매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응축기(120)는 열교환기(150)와 응축기-열교환기 냉매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응축기(120)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증발기(140)보다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20)는 증발기(140)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응축기(120)는 증발기(14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응축기(120)는 냉매가 응축되며 방출되는 잠열을 증발기(14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방출할 수 있다. 응축기(120)는 증발기(14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응축기(120)는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를 응축시켜 중온 고압의 액체 상태인 냉매를 팽창밸브(130)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응축기(120)는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를 응축시켜 중온 고압의 액체 상태인 냉매를 열교환기(150)로 토출시킬 수 있다.
팽창밸브(130)는 열교환기(150)를 통과한 중온 고압의 액체 상태인 냉매를 교축 작용에 의해 급속히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로 증발기(140)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때, 엔탈피의 변화는 없다.
팽창밸브(130)는 냉매유동방향으로 응축기(120)와 증발기(1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팽창밸브(130)는 응축기(120)와 응축기-팽창밸브 냉매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팽창밸브(130)는 열교환기(150)와 열교환기-팽창밸브 냉매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팽창밸브(130)는 증발기(140)와 팽창밸브-증발기 냉매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140)는 응축기(120)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할 수 있다. 증발기(140)는 냉매유동방향으로 팽창밸브(130)와 압축기(1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증발기(140)는 공기의 열에너지를 흡수하며 냉매를 증발할 수 있다. 증발기(140)는 증발기(140)로 유입되는 냉매에 비해 고온인 공기의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냉매에 제공하여 저온 저압의 액체상태인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다.
증발기(14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140)는 면적을 이루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40)는 두께를 이루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40)는 면적을 이루는 면이 두께를 이루는 면보다 넓을 수 있다. 증발기(140)는 면적을 이루는 면이 증발기(140)로 유입되는 공기와 접할 수 있다. 증발기(140)는 면적을 이루는 면이 증발기(140)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접할 수 있다.
증발기(140)는 면적을 이루는 면을 전방 및 후방에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40)는 전방에 배치되어 증발기의 면적을 이루는 면이 공기유입구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40)는 후방에 배치되어 증발기의 면적을 이루는 면이 공기토출구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40)는 후방에 배치되어 증발기의 면적을 이루는 면이 응축기(12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40)는 두께를 이루는 면을 상측 및 하측에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40)는 두께를 이루는 면을 좌측 및 우측에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40)는 두께를 이루는 면이 증발기(140)로 유입되는 공기와 접할 수 있다. 증발기(140)는 두께를 이루는 면이 증발기(140)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접할 수 있다.
증발기(140)는 팽창밸브(130)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시킬 수 있다. 증발기(140)는 팽창밸브(130)에서 교축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인 냉매를 증발시켜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를 압축기(110)로 토출시킬 수 있다.
증발기(140)는 팽창밸브(130)에서 교축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인 냉매를 제습기 내로 유입되는 외기와 열교환시켜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증발기(140)는 제습기(100)로 유입되는 공기유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증발기(140)는 공기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증발기(140)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응축기(120) 이전에 배치될 수 있다. 제습기(10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40)와 먼저 열교환되면서 온도가 하강하며 제습될 수 있고, 응축기(120)와 열교환되면서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증발기(140)는 증발기 냉매배관(141)을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 냉매배관(141)은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파이프가 다수 절곡되면서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140)는 증발기 냉매배관(141)이 상하로 배열되는 복수의 냉매배관 레이어가 전후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40)는 복수의 냉매배관 레이어의 증발기 냉매배관(141)이 전후방향으로 보아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증발기(140)는 증발기(140)로 유입되는 공기와 효과적으로 열교환가능한 이점이 있다.
증발기 냉매배관(141)은 상기 면적을 이루는 가상의 면이 향하는 방향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를 향할 수 있다. 증발기 냉매배관(141)은 상기 면적을 이루는 가상의 면이 향하는 방향이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를 향할 수 있다.
증발기 냉매배관(141)은 파이프의 사이를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증발기 냉매배관(141)은 파이프가 다수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효과적으로 열교환되도록 할 수 있다.
증발기 냉매배관(141)은 응축기(120)에서 응축되어 토출되는 중온 고압 상태인 냉매가 내부에서 유동될 수 있다. 증발기 냉매배관(141)은 제습기(100)의 공기유로로 유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여 냉매가 증발되게 할 수 있다. 공기와 열교환한 냉매는 현열 및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제습기(100)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증발기 냉매배관(141)은 냉매와 열교환하는 습윤한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응축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실내의 압력에 따라 공기가 응축되는 온도는 다를 수 있다.
증발기 냉매배관(141)은 공기유로로 유입된 공기가 냉매에 열을 빼앗기며 응축이 가능한 온도까지 하강되어 응축되게 할 수 있다. 응축수는 응축기(120)에서 토출되는 냉매보다 온도가 낮을 수 있다.
증발기 냉매배관(141)은 표면에 공기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생성되고,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낙하될 수 있다.
증발기 냉매배관(141)은 응축기(120)에서 응축되어 배출되는 냉매가 응축기-증발기 냉매배관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증발기 냉매배관(141)은 응축기(120)에서 응축되어 배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응축기-증발기 냉매배관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증발기 냉매배관(141)은 증발된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인 냉매를 증발기-압축기 냉매배관을 통해 압축기(110)로 토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는 송풍팬(1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100)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1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100)는 공기유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송풍팬(145)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45)은 제습기(100) 내로 공기유입이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송풍팬(145)은 제습된 공기가 제습기 외로 토출이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송풍팬(145)은 제습기(100) 내의 공기유로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송풍팬(145)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제습기(100) 내의 공기유로를 통과하면서 증발기(140)와 응축기(120)와 순차적으로 열교환된 후 제습기(100)의 공기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송풍팬(145)는 케이스(1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45)는 공기유동 방향으로 증발기(140)보다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45)는 공기유동 방향으로 증발기(140)보다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45)은 증발기(140)와 공기유입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45)은 증발기(140)와 공기토출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45)은 응축기(120)와 공기토출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45)은 증발기(140)와 응축기(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응축기(120)에서 응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증발기(14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냉매유동방향으로 응축기(120)와 팽창밸브(1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중력방향으로 보아 증발기(140)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상기 면적을 형성하는 면이 증발기(14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전체적으로 면적을 형성하는 면이 상측면 및 하측면일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전체적으로 두께를 형성하는 면이 좌측면, 우측면, 전방면 및 후방면일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증발기(140)에서 생성되어 낙하되는 응축수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증발기(140)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내의 압력에 따라 공기가 응축되는 온도가 다를 수 있고, 증발기 냉매배관(141) 내에서 유동하는 냉매에 열을 빼앗기며 응축이 가능한 온도까지 하강되어 응축된다. 응축수는 상대적으로 응축기(120)에서 토출되는 냉매보다 온도가 낮을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응축기(120)에서 응축된 냉매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기(140)에서 생성된 응축수에 방출할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습윤한 공기가 증발기(140)와 접촉되며 생성되는 응축수와 상기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을 상호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중온 고압의 액체 상태인 냉매와 응축수를 열교환하여 냉매가 과냉각영역에 도달되도록 함으로써, 냉매의 과냉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과냉각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파이프가 다수 절곡되면서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응축기(120)에서 응축되어 배출되는 냉매가 내부에 유동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팽창밸브(130)로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을 통과한 냉매를 토출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복수의 곧은 형상의 파이프가 전후로 배열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복수의 곧은 형상의 파이프가 서로 평행하게 전후로 배열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파이프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파이프가 지면과 수평한 방향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파이프가 지면과 수평한 방향과 9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열교환기 냉매배관 절곡부(151-1)가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좌측에 배치된 복수의 열교환기 냉매배관 절곡부(151-1)가 전후로 배열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우측에 배치된 복수의 열교환기 냉매배관 절곡부(151-1)가 전후로 배열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파이프가 절곡되어 가상의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상기 가상의 면이 증발기(14)의 중력방향으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상기 가상의 면이 증발기(14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전체적으로 면적을 형성하는 가상의 면이 상측면 및 하측면일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전체적으로 면적을 형성하는 가상의 면이 증발기(14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열교환기(150) 내에 수용되는 응축수와 냉매를 효과적으로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응축수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효과적으로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에 내에 배치된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전체적으로 면적을 이루는 가상의 면이 향하는 방향이 증발기(140)를 향하게 배치됨으로써,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도 냉매와 응축수를 열교환 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은 열교환시 온도 차이에 의해 상하로 대류하는 응축수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냉매와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열교환 시킬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증발기(140)를 향하는 면이 전부 또는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증발기(140)에서 생성되어 낙하하는 응축수가 효과적으로 수집되도록, 상측에 깔때기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중력방향으로 증발기(140) 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증발기(140)에서 생성되어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내부에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을 수용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내측 하부에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이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이 내부 하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이 내부 하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이 내부 하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이 내부 하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이 내부 하측면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이 내부 하측면과 9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이 내부 전방면 및/또는 후방면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열교환기 냉매배관(151)이 내부 좌측면 및/또는 우측면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응축수 주저장용기(160)와 연결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일정 수위이상 응축수가 저장되면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가 넘치기 전에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로 응축수를 토출하는 오버플로우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일정 수위이상 응축수가 저장되면 개방되어 응축수를 응축수 주저장용기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는 일정 수위이상 응축수가 저장되면 응축수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응축수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는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제습기(100)로부터 분리가능한 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수조를 수용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제습기(100)의 일측으로 개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외관 및 사용시 편의성을 고려하여 제습기(100)의 측면으로 개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슬라이드 및/또는 회동 방식으로 개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제습기로부터 분리가능한 응축수 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사용자가 개방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내부에 응축수를 일정량 저장할 수 있어, 제습기(100) 사용시마다 응축수를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와 연결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의 기설정된 수위를 초과하여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외부에서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비되는 가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제습기의 작동상태가 표시되고, 응축수의 수위가 효과적으로 표시되도록 응축수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응축수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주저장용기(160)는 응축수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응축수 제거시기를 알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는 수위센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센서(170)는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센서(170)는 응축수가 기설정값 이상 저장되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위센서(170)는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에 관한 정량적인 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위센서(170)는 응축수의 수위를 다양한 방법으로 감지할 수 있다. 수위센서(170)는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의 무게에 따라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센서(170)는 수위 감지를 위한 플로트가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플로트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수위센서(170)는 감지한 응축수의 수위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9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는 조절밸브(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100)는 응축기(120)와 증발기(14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밸브(1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100)는 응축기(120)와 열교환기(15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밸브(18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밸브(180)는 응축기(120)에서 응축되어 배출되는 냉매가 곧바로 증발기(14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조절밸브(180)는 응축기(1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150)를 통과한 후 증발기(14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조절밸브(180)는 제1 밸브(1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181)는 응축기(120)와 증발기(140)를 연결하는 응축기-증발기 냉매배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밸브(181)는 응축기(1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증발기(140)로 곧바로 유동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제1 밸브(181)는 응축기(1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증발기(140)로 곧바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폐쇄될 수 있다.
조절밸브(180)는 제2 밸브(1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밸브(185)는 응축기(120)와 열교환기(150)를 연결하는 응축기-열교환기 냉매배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밸브(185)는 응축기(1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150)로 유동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제2 밸브(185)는 응축기(1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150)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폐쇄될 수 있다.
조절밸브(180)는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는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조절밸브(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수위센서(170)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조절밸브(180)를 제어할 수 있다.
수위센서(170)에서 감지되는 정보는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에 응축수가 기설정값 이상 저장되는 경우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수위센서(170)에서 감지되는 정보는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에 관한 정량적인 값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응축기(1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곧바로 증발기(140)로 유입되도록, 제1 밸브(181)가 열리고 제2 밸브(185)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응축기(1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150)를 통과한 후 증발기(140)로 유입되도록 제1 밸브(181)가 닫히고 제2 밸브(185)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수위센서(170)로부터 일정 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제1 밸브(181)가 닫히고 제2 밸브(185)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수위센서(170)에서 감지되는 응축수 수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기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밸브(181)가 닫히고 제2 밸브(185)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수위센서(170)에서 감지되는 응축수 수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기설정값 미만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밸브(181)가 열리고 제2 밸브(185)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에 응축수가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경우, 열교환기 주위의 공기에 의해 오히려 냉매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에 일정 수위 이상 응축수가 저장되는 경우에만 응축기(1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150)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응축기(120)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는, 압축기(110) -> 응축기(120) -> 팽창밸브(130) -> 증발기(140)를 냉매배관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시스템에서 냉매유동방향으로 응축기(120)와 팽창밸브(130) 사이에 열교환기(150)를 설치한 것이다.
먼저, 압축기(110)는 동력공급원(엔진 또는 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증발기(140)에서 토출되는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응축기(120)로 토출한다.
다음으로, 응축기(120)는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시켜 중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하여 열교환기(150)로 토출하게 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에 응축수가 일정 수위이상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는,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150)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제2 밸브(185)가 닫히게 된다.
이 경우, 응축기(120)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열교환기(150)를 통과하지 않고 곧바로 증발기(140)로 유입된다.
반면,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에 응축수가 일정 수위이상 저장된 경우에는, 응축기(120)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150)로 유입되도록, 제1 밸브(181)가 닫히고 제2 밸브(185)가 열리게 된다.
열교환기(150)는 응축기(120)에서 토출되는 중온 고압의 액체 상태인 냉매를 응축수와 열교환시켜 온도를 하강시켜 팽창밸브(130)로 보내게 된다.
이때, 액체 상태인 냉매는 응축수와의 열교환으로 인해 과냉각영역에 도달하여 과냉도가 상승하게 된다.
팽창밸브(130)는 열교환기(150)를 통과한 중온 고압의 액체 상태인 냉매를 교축 작용에 의해 급속히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로 증발기(140)로 보내게 된다. 이때, 엔탈피의 변화는 없다.
증발기(140)는 팽창밸브(130)에서 교축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인 냉매를 제습기(100) 내로 유입되는 외기와 열교환시켜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이때, 냉각되는 공기는 이슬점에 도달하여 증발기 냉매배관(141) 표면에서 응축되어 중력에 의해 낙하되어, 응축수 보조저장용기(153)에 저장된다.
계속해서, 증발기(140)에서 증발하여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는 다시 압축기(110)에 흡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재순한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냉매순환과정에서, 공기유동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되는 증발기(140)를 통과하며 온도가 하강한 공기는 하류에 배치되는 응축기(120)를 통과하며 냉매와 열교환에 의해 다시 온도가 상승하여 제습기(100)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습기(100)는, 종래의 제습기에서 부품추가와 사이즈 등의 증가를 최소화하고 종래의 제습기의 구성요소를 최대한 활용하여 제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습기(100)는 응축기(120)에서 과냉각에 의해 응축기(120) 입출구의 엔탈피 차이가 증가되며, 증발기 입출구의 엔탈피 차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습기(100)는 증발기 입출구의 엔탈피 차이가 증가되며, 증발기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습기(100)는 열교환기(150)를 추가하여 제습에 의해 발생하는 저온의 응축수와 냉매를 열교환함으로써 응축기(120) 출구의 엔탈피 값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습기(100)는 응축기(120) 출구의 엔탈피 값을 이동시킴으로써 증발기 입출구의 엔탈피 차이를 증가시켜, 증발기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응축수의 발생량은 증발기 용량에 비례하므로, 제습기(100)는 냉매의 과냉각에 의한 증발기 용량의 증가를 통해 제습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제습기(100)는 응축기(120)에서 배출되는 냉매는 증발기로 곧바로 유입되거나 열교환기(150)를 통과하도록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열부하 대응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7의 냉매 P-h선도를 참조하면, 응축기(12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과냉도가 각각 0도, 5도, 10도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냉매의 과냉도가 증가됨에 따라 응축기(120) 입출구의 엔탈피 차이 h2-3가 증가되고, 응축기(120) 입출구의 엔탈피 차이 h2-3가 증가되는만큼 증발기(140) 입출구의 엔탈피 차이 h4-1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의 과냉열교환량 변화에 따른 증발용량 및 제습효율의 변화 그래프를 참조하면, 응축기(12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과냉각도가 증가됨에 따라 과냉열 교환량 Q_sub이 증가되고, 과냉열 교환량 Q_sub이 증가됨에 따라 냉방용량 Q_eva과 제습효율 EF도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200)는 응축기(220)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응축수와 열교환하여 냉매의 과냉각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제습기(200)는 열교환기(250) 내에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200)는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을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 저장용기(260)와 접촉하며 열교환시킬 수 있다. 제습기(200)는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을 응축수와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열교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200)는 열교환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250)는 응축기(220)에서 응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250)는 응축수 저장용기와 접촉하여 상호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바디(255)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을 수용할 수 있다.
열교환기(250)는 냉매유동방향으로 응축기(220)와 팽창밸브(2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250)는 중력방향으로 보아 증발기(240)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25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250)는 면적을 형성하는 가상의 면이 응축수 저장용기(26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250)는 전체적으로 면적을 형성하는 면이 전방면 및 후방면일 수 있다. 열교환기(250)는 전체적으로 두께를 형성하는 면이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일 수 있다.
열교환기(250)는 증발기(240)에서 생성되어 낙하되는 응축수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증발기(240)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내의 압력에 따라 공기가 응축되는 온도가 다를 수 있고, 증발기 냉매배관(241) 내에서 유동하는 냉매에 열을 빼앗기며 응축이 가능한 온도까지 하강되어 응축된다. 응축수는 상대적으로 응축기(220)에서 토출되는 냉매보다 온도가 낮을 수 있다.
열교환기(250)는 습윤한 공기가 증발기(240)와 접촉되며 생성되는 응축수와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을 상호 열교환시킨다. 열교환기(250)는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중온고압액 냉매와 응축수를 열교환시켜 냉매가 과냉각영역에 도달하여 과냉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250)는 응축기(220)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과냉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파이프가 다수 절곡되면서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응축기(220)에서 응축되어 배출되는 냉매가 내부에 유동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팽창밸브(230)로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을 통과한 냉매를 토출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복수의 곧은 형상의 파이프가 좌우로 배열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복수의 곧은 형상의 파이프가 서로 평행하게 좌우로 배열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파이프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파이프가 지면과 수직한 방향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파이프가 지면과 수직한 방향과 9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열교환기 냉매배관 절곡부(251-1)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상측에 배치된 복수의 열교환기 냉매배관 절곡부(251-1)가 좌우로 배열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하측에 배치된 복수의 열교환기 냉매배관 절곡부(251-1)가 좌우로 배열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파이프가 다수회 절곡됨으로써, 응축수 저장용기(260)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효과적으로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배출되는 냉매가 내부에 유동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전체적으로 면적을 형성하는 면이 전방면 및 후방면일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전체적으로 면적을 이루는 가상의 면이 응축수 저장용기(26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응축수 저장용기(260) 내에 수용되는 응축수와 냉매를 효과적으로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전체적으로 면적을 이루는 가상의 면이 응축수 저장용기(26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은 열교환기 바디(25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250)는 열교환기 바디(255)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내부에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을 수용할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내부에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복수의 열교환기 바디 바(255-1)를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내부에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의 일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열교환기 바디 바(255-1)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내부에 열교환기 냉매배관 절곡부(251-1)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복수의 열교환기 바디 바(255-1)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열교환기 냉매배관(251)이 길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열교환기 바디 바(255-1)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복수의 열교환기 바디 바(255-1)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복수의 열교환기 바디 바(255-1)가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응축수 저장용기(260)와 접촉될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응축수 저장용기(260)와 지면에 수직한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응축수 저장용기(260)와 지면에 수직한 방향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응축수 저장용기(260)와 지면에 수직한 방향과 9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복수의 바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응축수 저장용기(260)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효과적으로 냉매와 응축수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응축수 저장용기(26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응축수 저장용기(260)에 전부 또는 일부분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열교환기 바디(255)는 응축수 저장용기(260)가 슬라이드 및/또는 회동되며 제습기(200)에 결합되며 열교환기 바디(255)와도 동시에 결합되도록, 응축수 저장용기(260)가 삽입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200)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 저장용기(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열교환기 바디(255)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열교환기 바디(255)가 삽입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열교환기 바디(255)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열교환기 바디 바(255-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열교환기 바디(255)와 접촉되며 열을 교환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열교환기 바디(255)로부터 흡수한 열을 저장된 응축수에 방출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증발기(240)를 향하는 면이 전부 또는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증발기(240)에서 생성되어 낙하하는 응축수가 효과적으로 수집되도록, 상측에 깔때기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제습기(20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개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외관 및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제습기(200)의 측면으로 개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슬라이드 및/또는 회동 방식으로 개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제습기로부터 분리가능한 응축수 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사용자가 개방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증발기(240)에서 생성되어 낙하하는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내부에 응축수를 일정량 저장할 수 있어, 제습기(200) 사용시마다 응축수를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외부에서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비되는 가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제습기(200)의 작동상태가 표시되고, 수위가 효과적으로 표시되도록 응축수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응축수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는 응축수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응축수 제거시기를 알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200)는 수위센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센서(270)는 응축수 저장용기(260)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센서(270)는 응축수가 기설정값 이상 저장되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위센서(270)는 응축수 저장용기(260)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에 관한 정량적인 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위센서(270)는 응축수의 수위를 다양한 방법으로 감지할 수 있다. 수위센서(270)는 응축수 저장용기(260)의 무게에 따라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센서(270)는 수위 감지를 위한 플로트가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플로트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수위센서(270)는 감지한 응축수의 수위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29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200)는 조절밸브(28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밸브(280)는 응축기(220)에서 응축되어 배출되는 냉매가 곧바로 증발기(24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조절밸브(280)는 응축기(2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250)를 통과한 후 증발기(24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조절밸브(280)는 제1 밸브(1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281)는 응축기(220)와 증발기(240)를 연결하는 응축기-증발기 냉매배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밸브(281)는 응축기(2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증발기(240)로 곧바로 유동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제1 밸브(281)는 응축기(2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증발기(240)로 곧바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폐쇄될 수 있다.
조절밸브(280)는 제2 밸브(1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밸브(285)는 응축기(220)와 열교환기(250)를 연결하는 응축기-열교환기 냉매배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밸브(285)는 응축기(2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250)로 유동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제2 밸브(285)는 응축기(2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250)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폐쇄될 수 있다.
조절밸브(280)는 제어부(2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200)는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조절밸브(2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수위센서(270)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조절밸브(280)를 제어할 수 있다.
수위센서(270)에서 감지되는 정보는 응축수가 기설정값 이상 저장되는 경우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수위센서(270)에서 감지되는 정보는 응축수 저장용기(260)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에 관한 정량적인 값일 수 있다.
제어부(290)는 응축기(2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곧바로 증발기(240)로 유입되도록, 제1 밸브(281)가 열리고 제2 밸브(285)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응축기(22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250)를 통과한 후 증발기(240)로 유입되도록 제1 밸브(281)가 닫히고 제2 밸브(285)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수위센서(270)로부터 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제1 밸브(281)가 닫히고 제2 밸브(285)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응축수 저장용기(260)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기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밸브(281)가 닫히고 제2 밸브(285)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응축수 저장용기(260)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기설정값 미만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밸브(281)가 열리고 제2 밸브(285)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에 응축수가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경우, 열교환기 주위의 공기에 의해 오히려 냉매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용기(260)에 일정 수위 이상 응축수가 저장되는 경우에만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200)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200)는, 압축기(210) -> 응축기(220) -> 팽창밸브(230) -> 증발기(240)를 냉매배관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시스템에서 냉매유동방향으로 응축기(220)와 팽창밸브(230) 사이에 열교환기(250)를 설치한 것이다.
먼저, 압축기(210)는 동력공급원(엔진 또는 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증발기(240)에서 토출되는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응축기(220)로 토출한다.
다음으로, 응축기(220)는 압축기(21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시켜 중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하여 열교환기(250)로 토출하게 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 저장용기(260)에 응축수가 일정 수위이상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는,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250)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제2 밸브(285)가 닫히게 된다.
이 경우, 응축기(220)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열교환기(250)를 통과하지 않고 곧바로 증발기(240)로 유입된다.
반면, 응축수 저장용기(260)에 응축수가 일정 수위이상 저장된 경우에는, 응축기(220)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열교환기(250)로 유입되도록, 제1 밸브(281)가 닫히고 제2 밸브(285)가 열리게 된다.
열교환기(250)는 응축기(220)에서 토출되는 중온 고압의 액체 상태인 냉매를 응축수와 열교환시켜 온도를 하강시켜 팽창밸브(230)로 보내게 된다.
이때, 액체 상태인 냉매는 응축수와의 열교환으로 인해 과냉각영역에 도달하여 과냉도가 상승하게 된다.
팽창밸브(230)는 열교환기(250)를 통과한 중온 고압의 액체 상태인 냉매를 교축 작용에 의해 급속히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로 증발기(240)로 보내게 된다. 이때, 엔탈피의 변화는 없다.
증발기(240)는 팽창밸브(230)에서 교축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인 냉매를 제습기(200) 내로 유입되는 외기와 열교환시켜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이때, 냉각되는 공기는 증발기 냉매배관(241) 표면에서 응축되어 중력에 의해 낙하되어, 응축수 저장용기(260)에 저장된다.
계속해서, 증발기(240)에서 증발하여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는 다시 압축기(210)에 흡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재순한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냉매순환과정에서, 공기유동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되는 증발기(240)를 통과하며 온도가 하강한 공기는 하류에 배치되는 응축기(220)를 통과하며 냉매와 열교환에 의해 다시 온도가 상승하여 제습기(200)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습기(200)는, 종래의 제습기에서 부품추가와 사이즈 등의 증가를 최소화하고 종래의 제습기의 구성요소를 최대한 활용하여 제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습기(200)는 응축기(220)에서 과냉각에 의해 응축기(220) 입출구의 엔탈피 차이가 증가되며, 증발기(240) 입출구의 엔탈피 차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습기(200)는 증발기(240) 입출구의 엔탈피 차이가 증가되며, 증발기(240)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습기(200)는 열교환기(250)를 추가하여 제습에 의해 발생하는 저온의 응축수와 냉매를 열교환함으로써 응축기(220) 출구의 엔탈피 값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습기(200)는 응축기(220) 출구의 엔탈피 값을 이동시킴으로써 증발기 입출구의 엔탈피 차이를 증가시켜, 증발기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응축수의 발생량은 증발기 용량에 비례하므로, 제습기(200)는 냉매의 과냉각에 의한 증발기 용량의 증가를 통해 제습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제습기(200)는 응축기(220)에서 배출되는 냉매는 증발기로 곧바로 유입되거나 열교환기(250)를 통과하도록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열부하 대응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7의 냉매 P-h선도를 참조하면, 응축기(22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과냉도가 각각 0도, 5도, 10도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냉매의 과냉도가 증가됨에 따라 응축기(220) 입출구의 엔탈피 차이 h2-3가 증가되고, 응축기(220) 입출구의 엔탈피 차이 h2-3가 증가되는만큼 증발기(240) 입출구의 엔탈피 차이 h4-1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의 과냉열교환량 변화에 따른 증발용량 및 제습효율의 변화 그래프를 참조하면, 응축기(22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과냉각도가 증가됨에 따라 과냉열 교환량 Q_sub이 증가되고, 과냉열 교환량 Q_sub이 증가됨에 따라 냉방용량 Q_eva과 제습효율 EF도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110 : 압축기
120 : 응축기 130 : 팽창밸브
140 : 증발기 145 : 송풍팬
150 : 열교환기 160 : 응축수 주저장용기
170 : 수위센서 180 : 조절밸브
190 : 제어부
200 :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210 : 압축기
220 : 응축기 230 : 팽창밸브
240 : 증발기 245 : 송풍팬
250 : 열교환기 260 : 응축수 저장용기
270 : 수위센서 280 : 조절밸브
290 : 제어부

Claims (8)

  1.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하는 증발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의 열을 흡수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응축수에 방출하는 열교환기; 및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 저장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 냉매배관; 및
    상기 열교환기 냉매배관을 수용하고,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와 접촉하여 상호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 바디는 복수의 바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 냉매배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의 바에 수용되며,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는,
    상기 열교환기 바디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가능한 형상인 제습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주저장용기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파이프가 절곡되어 가상의 면을 형성하는 상기 열교환기 냉매배관이, 상기 증발기의 중력방향으로 하측에, 상기 가상의 면이 상기 증발기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습기.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밸브;
    상기 응축기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밸브; 및
    상기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 밸브가 닫히고 상기 제2 밸브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 저장용기; 및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 내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응축수 수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축수가 기설정값 이상 저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밸브가 닫히고 상기 제2 밸브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제습기.
KR1020170078767A 2017-06-21 2017-06-21 제습기 KR102454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67A KR102454769B1 (ko) 2017-06-21 2017-06-21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67A KR102454769B1 (ko) 2017-06-21 2017-06-21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86A KR20180138486A (ko) 2018-12-31
KR102454769B1 true KR102454769B1 (ko) 2022-10-13

Family

ID=64959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767A KR102454769B1 (ko) 2017-06-21 2017-06-21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142B1 (ko) * 2019-03-18 2019-10-25 (주) 에스엠디 에어드라이어
KR20220125597A (ko) * 2021-03-05 202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15Y1 (ko) * 2003-04-21 2003-07-25 주식회사 메가라운드 공기 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047B1 (ko) * 2010-02-11 2012-07-2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의 냉동사이클
KR20150042468A (ko) * 2013-10-11 2015-04-21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15Y1 (ko) * 2003-04-21 2003-07-25 주식회사 메가라운드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86A (ko) 201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0525A (zh) 用于微分体液体干燥剂空气调节的方法和系统
KR20180115491A (ko) 멤브레인 방식의 제습장치를 이용한 태양열 히트펌프 복사 냉난방 시스템
JPH11137948A (ja) 除湿装置
KR102454769B1 (ko) 제습기
WO2005079957A1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装置
TWI753323B (zh) 除濕裝置
CN106556067A (zh) 二管制多联机的室内机组件和具有其的二管制多联机
JP2015194304A (ja) 外気処理装置
JP5807668B2 (ja) 空気調和機
JP2012112648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150126480A (ko) 제습장치
TW202103774A (zh) 除濕機
WO2016082745A1 (zh) 一种深度除湿设备侧向安置热泵干衣柜
KR102378368B1 (ko) 응결수 순환 냉각 방식 제습기
CN105874278A (zh) 空调装置
CN100414188C (zh) 湿度控制装置
KR101310939B1 (ko) 저온건조 및 냉장 시스템
KR101122725B1 (ko) 히트펌프식 냉난방장치
JP2005315463A (ja) 調湿装置
KR20080090105A (ko) 히트 펌프
JP2019027683A (ja) 調湿装置
JP5229274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014150B1 (ko) 제습기
JP2010281502A (ja) 調湿装置
KR20060122356A (ko)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