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735B1 -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735B1
KR102454735B1 KR1020170125103A KR20170125103A KR102454735B1 KR 102454735 B1 KR102454735 B1 KR 102454735B1 KR 1020170125103 A KR1020170125103 A KR 1020170125103A KR 20170125103 A KR20170125103 A KR 20170125103A KR 102454735 B1 KR102454735 B1 KR 102454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cushion
airbag
airbag cushion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4735B9 (ko
KR20190036182A (ko
Inventor
강이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5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735B1/ko
Priority to US16/125,537 priority patent/US10933838B2/en
Publication of KR20190036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735B1/ko
Publication of KR10245473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73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kne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은: 에어백 쿠션부의 양측을 복수번 접어서 고정시키는 단계와, 양측이 복수번 접힌 에어백 쿠션부의 일측을 동글게 말아서 롤폴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에어백 쿠션부의 일측에 롤폴딩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에어백 쿠션부의 타측이 롤폴딩부를 향하여 접혀져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FOLDING METHOD OF KNEE AIR BAG APPARATUS AND KNEE AIR BAG APPARATUS}
본 발명은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쿠션부의 폴딩 작업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에어백 쿠션부가 비틀어지거나 흔들리면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이 설치된다. 에어백은 보호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다. 무릎 에어백은 전방 좌석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무릎 에어백은 하우징의 내부에 에어백 쿠션부가 겹쳐진 상태로 설치된다. 즉, 에어백 쿠션부는 하단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폴딩을 한 후, 작업자가 폴딩이 안된 부분과 테더를 수작업으로 정리한 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켜 집게를 이용한 파지와 쿠션 커버 하우징에 조립하는 작업이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부의 하단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폴딩한 후 좌우를 다시 지그재그 방식으로 폴딩하는 작업은 자동화할 수 없으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의 토출구가 에어백 쿠션부의 일측으로 편중되게 연결되어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시 에어백 쿠션부가 일측으로 틀어지거나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쿠션부의 폴딩 작업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에어백 쿠션부가 비틀어지거나 흔들리면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은: 에어백 쿠션부의 양측을 복수번 접어서 고정시키는 단계와, 양측이 복수번 접힌 에어백 쿠션부의 일측을 동글게 말아서 롤폴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에어백 쿠션부의 일측에 롤폴딩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에어백 쿠션부의 타측이 롤폴딩부를 향하여 접혀져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백 쿠션부의 양측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혀서 사이드 폴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이드 폴딩부를 관통하며 설치되는 고정부에 의해 사이드 폴딩부의 접힌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롤폴딩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롤폴딩부와 에어백 쿠션부의 타측은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백 쿠션부의 타측은 롤폴딩부를 향하여 접혀져서 롤폴딩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백 쿠션부의 외측에 쿠션커버부가 설치되며, 에어백 쿠션부와 함께 쿠션커버부가 접혀지며 인플레이터의 고정볼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에 연결되는 쿠션몸체부의 양측이 복수번 접히고 복수번 접힌 부분의 일측을 말아서 롤폴딩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쿠션몸체부의 타측을 롤폴딩부로 접은 에어백 쿠션부 및 에어백 쿠션부에 연결되며 에어백 쿠션부가 전개될 때 파단되어 에어백 쿠션부가 전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쿠션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백 쿠션부는, 쿠션몸체부의 양측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혀져서 사이드 폴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쿠션커버부는, 쿠션몸체부의 후면에 고정되는 커버몸체 및 커버몸체에서 돌출되어 인플레이터의 고정볼트에 연결되는 연결공을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커버몸체의 내측에는 횡방향으로 절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쿠션부의 좌우 양측에 사이드 폴딩부를 형성한 후 쿠션몸체부의 하측을 동글게 말아서 롤폴딩부를 형성하고, 사이드 폴딩부의 상측을 롤폴딩부를 향하여 접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폴딩작업 대부분이 자동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 통로를 형성하는 쿠션커버부의 절개선이 커버몸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절개선이 파단된 부분을 통해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부가 좌우 대칭되게 전개되므로 에어백 쿠션부가 비틀어지거나 흔들리면서 전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가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에 쿠션커버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에 쿠션커버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의 양측이 접혀져서 사이드 폴딩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폴딩부의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의 양측이 접혀져서 사이드 폴딩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와 쿠션커버부에 인플레이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의 하측에 롤폴딩부가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의 상측이 롤폴딩부를 향하여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에 쿠션커버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서 쿠션팩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쿠션팩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쿠션팩이 장착된 상태에서 절개선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가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에 쿠션커버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에 쿠션커버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의 양측이 접혀져서 사이드 폴딩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폴딩부의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의 양측이 접혀져서 사이드 폴딩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와 쿠션커버부에 인플레이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의 하측에 롤폴딩부가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의 상측이 롤폴딩부를 향하여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에 쿠션커버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서 쿠션팩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쿠션팩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쿠션팩이 장착된 상태에서 절개선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1)는, 하우징(10)과 에어백 쿠션부(20)와 쿠션커버부(30)와 고정부(40)와 인플레이터(50)를 포함한다.
도 2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5)가 앉는 무릎의 전방에 위치한 대시보드(Dashboard)(7)의 내측에는 인플레이터(50)와 에어백 쿠션부(20) 등이 장착되는 하우징(10)이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은 인플레이터(50)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홈부(14)를 구비하는 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몸체(12)에서 연장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지지편(16)을 포함한다.
에어백 쿠션부(20)는 인플레이터(50)에 연결되어 장착홈부(14)의 내측에 설치되며, 폴딩된 에어백 쿠션부(20)의 외측을 감싸며 쿠션커버부(30)가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부(20)는 인플레이터(50)에 연결되며, 인플레이터(50)의 동작으로 가스를 전달받아 팽창되어 탑승자(5)의 무릎을 향하여 전개되는 쿠션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과 폴딩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부(20)는, 인플레이터(50)에 연결되는 쿠션몸체부(22)의 폭방향(W) 양측이 복수번 접히고, 복수번 접힌 부분의 일측을 동글게 말아서 롤폴딩부(26)를 형성한 상태에서 쿠션몸체부(22)의 타측을 롤폴딩부(26)로 접는 폴딩방법으로 생산된다.
인플레이터(50)에 연결되며, 인플레이터(50)에서 발생된 가스에 의해 팽창이 이루어지는 쿠션몸체부(22)의 폭방향(W) 양측에 사이드 폴딩부(24)가 형성된다. 쿠션몸체부(22)의 양측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혀져서 사이드 폴딩부(24)를 형성한다. 이러한 사이드 폴딩부(24)는 고정부(40)에 의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50)의 고정볼트(54)에 결합되는 방향이 상측을 향하도록 에어백 쿠션부(20)의 쿠션몸체부(22)를 펼쳐 놓은 후, 쿠션몸체부(22)의 폭방향(W) 양측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어서 사이드 폴딩부(24)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쿠션몸체부(22)의 폭방향(W) 일측을 접어 그 단부가 쿠션몸체부(22)의 중앙에 오게 한 후 다시 반대측으로 접어 쿠션몸체부(22)의 일측에 사이드 폴딩부(24)를 형성한다. 그리고 쿠션몸체부(22)의 폭방향(W) 타측도 동일한 방법으로 사이드 폴딩부(24)를 형성한다. 사이드 폴딩부(24)의 접는 횟수는 에어백 쿠션부(20)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쿠션몸체부(22)의 양측에 사이드 폴딩부(24)가 형성된 상태에서 쿠션몸체부(22)의 길이방향(D) 일측은 쿠션몸체부(22)의 길이방향(D) 타측을 향하여 동글게 말아서 롤폴딩부(26)를 형성한다. 롤폴딩부(26)와 에어백 쿠션부(20)의 타측은 설정된 거리(L)만큼 이격된다. 예를 들어 쿠션몸체부(22)의 길이방향(D) 중심부까지 쿠션몸체부(22)의 일측을 말아서 롤폴딩부(26)를 형성하는 경우, 쿠션몸체부(22)의 길이방향(D) 전체길이의 절반이 설정된 거리(L)로 정해진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것일 뿐, 설정된 거리(L)의 범위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에어백 쿠션부(20)의 타측은 롤폴딩부(26)를 향하여 접혀져서 롤폴딩부(26)의 외측을 커버하므로 에어백 쿠션부(20)의 폴딩작업이 완료된다. 즉 에어백 쿠션부(20)의 양측에 사이드 폴딩부(24)를 형성한 후 에어백 쿠션부(20)의 하측에 롤폴딩부(26)를 형성한다. 그리고 에어백 쿠션부(20)의 상측을 아래로 접어서 롤폴딩부(26)의 외측을 커버하는 폴딩작업으로 에어백 쿠션부(20)의 폴딩이 완료된다.
쿠션커버부(30)는 에어백 쿠션부(20)와 인플레이터(50)에 연결되며, 에어백 쿠션부(20)가 전개될 때 파단되어 에어백 쿠션부(20)가 전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커버부(30)는 나일론과 같이 휨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커버몸체(32)와 연결부(34)를 포함한다.
커버몸체(32)는 쿠션몸체부(22)의 후면에 고정되며, 이러한 커버몸체(32)의 내측에는 횡방향으로 절개선(36)이 형성된다. 절개선(36)은 설정된 외력에 의해 절개되어 에어백 쿠션부(20)가 전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또한 커버몸체(32)의 하측에는 인플레이터(50)의 몸체가 끼워지는 장착공(33)이 형성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50)가 에어백 쿠션부(20)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플레이터(50)의 일단은 에어백 쿠션부(20)에 구비된 구멍을 통해 에어백 쿠션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커버몸체(32)의 장착공(33)에 걸린다.
연결부(34)는 커버몸체(32)에서 돌출되어 인플레이터(50)의 고정볼트(54)에 연결되는 연결공(35)을 구비한다. 따라서 쿠션커버부(30)는 에어백 쿠션부(20)와 함께 폴딩 작업이 완료되어 모듈을 형성한 후 쿠션커버부(30)에 구비된 연결부(34)가 모듈의 외측을 감싸며 인플레이터(50)의 고정볼트(54)에 연결되므로 에어백 쿠션부(20)와 쿠션커버부(30)가 인플레이터(50)에 연결된 모듈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에어백 쿠션부(20)의 외측에 쿠션커버부(30)가 설치되며, 에어백 쿠션부(20)와 함께 쿠션커버부(30)가 접혀지며 인플레이터(50)의 고정볼트(54)에 연결되므로 쿠션커버부(30)를 별도로 설치하기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만약 에어백 쿠션부(20)의 전개가 비대칭으로 이루어질 경우, 커버몸체(32)에 형성된 절개선(36)의 위치와 길이 등을 변경하여 에어백 쿠션부(20)의 대칭 전개를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몸체(32)의 상측에 연결부(34)가 위치하며 커버몸체(32)의 하측에 장착공(33)이 형성된다.
고정부(40)는 사이드 폴딩부(24)를 관통하며 설치되어 사이드 폴딩부(24)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고정부(4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접혀있는 사이드 폴딩부(24)의 상측면에 일측이 걸리며 하측면에 타측이 걸린다. "H"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40)는 행 태그(HANG-TAG)이며, 설정된 힘 이상에서는 절단되어 에어백 쿠션부(20)의 팽창을 허용한다.
인플레이터(5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가스를 분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에어백 쿠션부(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인플레이터(50)는 에어백 쿠션부(20)와 쿠션커버부(30)에 연결되어 하나의 모듈인 쿠션팩(60)을 형성하며 하우징(10)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50)는 하우징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고, 가스를 분사한다. 인플레이터(50)의 일측에는 가스 배출을 위한 토출구(52)가 구비되며, 인플레이터(50)의 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볼트(54)는 에어백 쿠션부(20)를 관통하며 에어백 쿠션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된 후 쿠션커버부(30)의 연결부(34)에 구비된 연결공(35)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인플레이터(50)의 토출구(52)는 한쪽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므로, 쿠션커버부(30)의 절개선(36)의 위치를 조절하여 에어백 쿠션부(20)의 전개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조절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1)의 폴딩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1)의 폴딩방법은, 에어백 쿠션부(20)의 양측을 복수번 접어서 고정시키는 단계를 갖는다.
즉 에어백 쿠션부(20)에 쿠션커버부(30)를 결합한 후 에어백 쿠션부(20)의 폭방향(W) 양측은 각각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혀서 사이드 폴딩부(24)를 형성하는 단계를 갖는다.(S10) 사이드 폴딩부(24)는 에어백 쿠션부(20)의 양측을 복수번 접어서 형성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폴딩부(24)는 에어백 쿠션부(20)를 2번 접어서 형성한다.
사이드 폴딩부(24)를 형성한 후 사이드 폴딩부(24)를 관통하며 설치되는 고정부(40)에 의해 사이드 폴딩부(24)의 접힌 상태가 유지된다. 사이드 폴딩부(24)가 형성된 에어백 쿠션부(20)의 상하 방향으로 고정부(40)를 설치하여 설정된 외력 이하에서는 사이드 폴딩부(24)의 풀림을 방지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폴딩부(24) 형성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양측이 복수번 접힌 에어백 쿠션부(20)의 길이방향(D) 일측을 동글게 말아서 롤폴딩부(26)를 형성하는 단계를 갖는다.(S20) 에어백 쿠션부(20)의 하측을 동글게 말아서 롤폴딩부(26)를 형성한다. 이러한 롤폴딩부(26)는 에어백 쿠션부(20)의 상측과 설정된 거리(L) 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형성된다. 롤폴딩부(26)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롤폴딩부(26)와 에어백 쿠션부(20)의 타측은 설정된 거리(L)만큼 이격되므로 에어백 쿠션부(20)의 타측이 롤폴딩부(26)를 향하여 접혀지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부(20)의 일측에 롤폴딩부(26)가 형성된 상태에서 에어백 쿠션부(20)의 타측이 롤폴딩부(26)를 향하여 접혀져서 고정시키는 단계를 갖는다.(S30) 에어백 쿠션부(20)의 타측은 롤폴딩부(26)를 향하여 접혀져서 롤폴딩부(26)의 외측을 커버한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부(20)의 외측에 쿠션커버부(30)가 설치되며, 에어백 쿠션부(20)와 함께 쿠션커버부(30)가 접혀진다. 쿠션몸체부(22)가 롤폴딩부(26)를 향하여 폴딩되는 단계(S30) 이후에 에어백 쿠션부(20)에 연결된 쿠션커버부(30)의 연결부(34)가 인플레이터(50)에 구비된 고정볼트(54)에 연결되어 쿠션 커버부(30)가 인플레이터(50)에 조립되는 단계를 갖는다.(S40) 따라서 에어백 쿠션부(20)와 쿠션커버부(30)와 인플레이터(50)가 쿠션팩(60)의 모듈을 형성한다. 이러한 쿠션팩(60)은 하우징몸체(12)의 장착홈부(14)로 삽입되어 장착되므로 조립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쿠션팩(60)이 하우징몸체(12)에 설치될 때 쿠션커버부(30)의 절개선(36)은 하우징몸체(12)의 전방을 향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부(20)가 절개선(36)의 파단된 부분을 통해 전개될 때 에어백 쿠션부(20)의 좌우 비대칭 현상이 발생됨을 방지하므로 에어백 쿠션부(20)의 전개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백 생산 공정 중 지그재그 형상으로 폴딩되는 부분은 자동화가 어려운 부분이므로, 에어백 쿠션부(20)의 폴딩 공정 중 지그재그 형상으로 폴딩되는 부분을 최소로 하며, 자동화 작업이 용이한 롤폴딩부(26) 공정과 쿠션커버부(30)의 설치 공정 추가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부(20)의 좌우 양측에 사이드 폴딩부(24)를 형성한 후 쿠션몸체부(22)의 하측을 동글게 말아서 롤폴딩부(26)를 형성하고, 사이드 폴딩부(24)의 상측을 롤폴딩부(26)를 향하여 접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폴딩작업 대부분이 자동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백 쿠션부(20)의 전개 통로를 형성하는 쿠션커버부(30)의 절개선(36)이 커버몸체(32)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절개선(36)이 파단된 부분을 통해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부(20)가 좌우 대칭되게 전개되므로 에어백 쿠션부(20)가 비틀어지거나 흔들리면서 전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릎에어백 장치(1)는 기존 에어백 장치의 전개 안정성을 보전하면서, 에어백 쿠션부(20)의 폴딩 공정을 단순화 및 자동화를 구현하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무릎에어백 장치
5: 탑승자 7: 대시보드
10: 하우징 12: 하우징몸체 14: 장착홈부 16: 지지편
20: 에어백 쿠션부 22: 쿠션몸체부 24: 사이드 폴딩부 26: 롤폴딩부
30: 쿠션커버부 32: 커버몸체 33: 장착공 34: 연결부 35: 연결공 36: 절개선
40: 고정부
50: 인플레이터 52: 토출구 54: 고정볼트
60: 쿠션팩 L: 설정된 거리 D: 길이방향 W: 폭방향

Claims (9)

  1. 에어백 쿠션부의 양측을 복수번 접어서 고정시키는 단계;
    양측이 복수번 접힌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일측을 동글게 말아서 롤폴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일측에 상기 롤폴딩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타측이 상기 롤폴딩부를 향하여 접혀져서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양측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혀서 사이드 폴딩부를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 폴딩부를 관통하며 설치되는 고정부에 의해 상기 사이드 폴딩부의 접힌 상태가 유지되어 설정된 외력 이하에서는 상기 사이드 폴딩부의 풀림을 방지하고, 설정된 힘 이상에서는 상기 고정부가 절단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팽창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폴딩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롤폴딩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타측은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타측은 상기 롤폴딩부를 향하여 접혀져서 상기 롤폴딩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외측에 쿠션커버부가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부와 함께 상기 쿠션커버부가 접혀지며 인플레이터의 고정볼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7.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
    상기 인플레이터에 연결되는 쿠션몸체부의 양측이 복수번 접히고, 복수번 접힌 부분의 일측을 말아서 롤폴딩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쿠션몸체부의 타측을 상기 롤폴딩부로 접은 에어백 쿠션부; 및
    상기 에어백 쿠션부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부가 전개될 때 파단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부가 전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쿠션커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 쿠션부는 상기 쿠션몸체부의 양측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혀져서 사이드 폴딩부를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 폴딩부를 관통하며 설치되는 고정부에 의해 상기 사이드 폴딩부의 접힌 상태가 유지되어 설정된 외력 이하에서는 상기 사이드 폴딩부의 풀림을 방지하고, 설정된 힘 이상에서는 상기 고정부가 절단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팽창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커버부는, 상기 쿠션몸체부의 후면에 고정되는 커버몸체; 및
    상기 커버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고정볼트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공을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몸체의 내측에는 횡방향으로 절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
KR1020170125103A 2017-09-27 2017-09-27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 KR102454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103A KR102454735B1 (ko) 2017-09-27 2017-09-27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
US16/125,537 US10933838B2 (en) 2017-09-27 2018-09-07 Knee air bag apparatus and method for fol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103A KR102454735B1 (ko) 2017-09-27 2017-09-27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182A KR20190036182A (ko) 2019-04-04
KR102454735B1 true KR102454735B1 (ko) 2022-10-14
KR102454735B9 KR102454735B9 (ko) 2023-05-11

Family

ID=6580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103A KR102454735B1 (ko) 2017-09-27 2017-09-27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33838B2 (ko)
KR (1) KR1024547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32587A (ja) * 2011-11-07 2014-12-08 オートリブ エーエスピ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ニーエアバッグ折り畳みパターンおよびアセンブリならびに関連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99A (ja) * 1996-04-26 1998-01-13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JP3144354B2 (ja) * 1997-08-26 2001-03-12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アバッグ
WO2002004262A1 (fr) * 2000-07-07 2002-01-17 Toyoda Gosei Co., Ltd. Systeme d'airbag pour la protection des genoux
US20040251669A1 (en) * 2001-03-30 2004-12-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of folding air bag and an associated apparatus
JP2006103667A (ja) * 2004-09-10 2006-04-20 Takata Corp エアバッグ折り畳み体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7441804B2 (en) * 2005-04-27 2008-10-28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folding method
KR20080008112A (ko) * 2006-07-19 2008-0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의 쿠션
US7735862B2 (en) * 2007-05-16 2010-06-15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folding method for out-of-position conditions
JP5196530B2 (ja) * 2007-10-22 2013-05-15 芦森工業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8272664B2 (en) * 2007-12-13 2012-09-25 Autoliv Asp, Inc. Airbag lateral flap
EP2072348B1 (en) * 2007-12-18 2016-10-05 Autoliv Development AB Knee airbag and method of folding the same
US7926844B2 (en) * 2008-04-10 2011-04-19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y and method of packing
US8678430B2 (en) * 2011-06-24 2014-03-25 Takata Corporation Airbag device and airbag folding method
JP5954847B2 (ja) * 2011-10-11 2016-07-20 オートリブ エーエスピ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ニーエアバッグアセンブリ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101627125B1 (ko) * 2013-04-19 2016-06-1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무릎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의 에어백 폴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32587A (ja) * 2011-11-07 2014-12-08 オートリブ エーエスピ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ニーエアバッグ折り畳みパターンおよびアセンブリならびに関連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33838B2 (en) 2021-03-02
KR102454735B9 (ko) 2023-05-11
US20190092267A1 (en) 2019-03-28
KR20190036182A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1044B1 (en) Occupant knee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 and inflating and deploying method
JP4848141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465667B1 (ko) 루프 에어백 장치
US10766450B2 (en) Side airbag device
KR102571840B1 (ko)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
KR101708223B1 (ko) 차량용 사이드 커튼 에어백
JP4836494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200029022A (ko) 승차인 보호 장치
JP6454404B2 (ja) エアバッグ装置
WO2015162943A1 (ja) エアバッグ装置
US11230248B2 (en) Knee airbag apparatus
KR102019461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20050121888A1 (en) Side airbag apparatus
KR102454735B1 (ko)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
JP6004577B2 (ja) エアバッグ
KR101684993B1 (ko) 에어백 모듈
KR101867061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JP6111054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0655209B1 (ko) 가슴 에어백의 쿠션
KR102593658B1 (ko)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JP2007015535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WO2011162123A1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468919B1 (ko) 에어백 장치
JP5975946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2454011B1 (ko)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