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631B1 -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631B1
KR102454631B1 KR1020220026785A KR20220026785A KR102454631B1 KR 102454631 B1 KR102454631 B1 KR 102454631B1 KR 1020220026785 A KR1020220026785 A KR 1020220026785A KR 20220026785 A KR20220026785 A KR 20220026785A KR 102454631 B1 KR102454631 B1 KR 102454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nanoparticles
porous
plla
plla nano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민
Original Assignee
이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하민 filed Critical 이하민
Priority to KR1020220026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원은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액 및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된 배양 물질을 포함하는 배양액을 혼합하여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내부 및 외부를 상기 배양 물질로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용액 및 히알루론산 용액을 혼합하여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외부를 히알루론산으로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OSMETIC INCLUDING STEM CELL-DERIVED INGREDI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원은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란 미분화 세포로서, 장기간 동안 분열을 하고 자기 갱신(self-renewal)을 할 수 있으며, 어떤 조건이 주어지면 다양한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를 말한다. 줄기세포는 기원되는 조직에 따라 배아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로 분류되는데, 잠재 능력은 배아줄기세포보다 한정적인 단점이 있으나 윤리적 문제가 없고 부작용이 없는 성체줄기세포를 대상으로 많은 치료제가 연구되고 있다.
줄기세포를 배양하게 되면 줄기세포는 배양액 내로 다양한 물질들을 분비한다. 이 배양액은 여러 연구에서 상당한 생화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에는, 이와 같이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유효물질을 극대화시킨 배양액을 이용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364748호는 퀀텀 지방 유래 성체줄기세포 배양액의 나노섬유 또는 나노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은,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액 및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된 배양 물질을 포함하는 배양액을 혼합하여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내부 및 외부를 상기 배양 물질로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용액 및 히알루론산 용액을 혼합하여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외부를 히알루론산으로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직경은 250 nm 내지 400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기공의 직경은 10 nm 내지 60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양액 및 상기 히알루론산 용액은 각각 독립적으로 비타민 C, 티페노이드, 뮤신, 알라토인, 글리콜릭산, 콜라겐, 엘라스틴, 상피 세포 성장 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액 및 상기 배양액을 혼합하는 단계는 pH 가 7 내지 8 인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액 및 상기 히알루론산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는, 10 kV 의 전압이 인가되는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가 히알루론산에 의해 코팅된 후, 50℃ 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양 물질은 엑소좀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제 2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라 제조된,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줄기 세포 유래 성분에 더하여 PLLA 와 같은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여 단순히 줄기 세포 유래 성분 또는 PLLA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비해 피부 조직 재생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엑소좀, 히알루론산 및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를 포함하기 때문에, 피부 재생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도포된 화장품이 공기중으로 건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화장품의 효과 유지 기간이 길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줄기 세포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한다.
이하, 본원의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은,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액 및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된 배양 물질을 포함하는 배양액을 혼합하여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내부 및 외부를 상기 배양 물질로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용액 및 히알루론산 용액을 혼합하여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외부를 히알루론산으로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 따른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화장품 조성물 상에 줄기 세포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성분이 포함된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줄기 세포 조직 자체는 윤리적 문제나 인간 매개 전염균 등이 포함될 수 있어 화장품에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배지 내에서 줄기 세포 조직을 배양한 후 상기 배지에서 줄기 세포 조직을 제거한 배양액은 줄기 세포 조직의 배양 과정에서 발생한 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뿐, 줄기 세포 조직 자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였다 (S100).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직경은 250 nm 내지 400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직경은 300 nm 내지 350 nm 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직경이 300 nm 미만일 경우 후술할 배양 물질이 내부에 배치되기 어렵고,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직경이 350 nm 를 초과할 경우 후술할 히알루론산에 의해 코팅된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크기가 너무 커져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가 피부 내부까지 스며들지 못해 화장품의 효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기공의 직경은 10 nm 내지 60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LLA 다공성 나노 입자의 기공의 직경은 20 nm 내지 50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공의 직경이 10 nm 미만일 경우 내부에 엑소좀 등이 침투할 수 없고, 상기 기공이 60 nm 를 초과할 경우, 배양 물질이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내부에 진입하더라도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기공은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표면에 존재하며, 후술하겠지만 상기 기공에 의해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내부는 배양 물질 및/또는 히알루론산 등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PLLA 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일종으로서, 종래의 필러 및 보톡스와 달리 인체 무해하면서도 콜라겐 및 진피 세포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는, PLLA 를 아세톤에 용해시키는 단계, 이어서 상기 아세톤을 PBS(Phosphate-buffered saline) 용액에 적하하는 단계, 및 상기 PBS 용액을 가열하여 아세톤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BS 용액은 pH 를 7 내지 8 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용액으로서, 멸균처리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LLA 가 용해된 아세톤을 PBS 용액에 적하한 후 PBS 용액을 가열하면, 끓는 점의 차이로 인해 상기 PBS 용액에 혼합된 아세톤이 기화되어 제거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PBS 용액에서 아세톤을 제거할 때, 상기 PBS 용액 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BS 용액 내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상기 PBS 용액을 가열할 경우, 용액 내의 기체의 용해도가 감소하여 공급된 공기가 상기 PBS 용액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기가 배출되면서 상기 PLLA 나노 입자에 복수의 기공을 형성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의 공급 속도는 10 cc/sec 내지 50 cc/sec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공기의 공급 속도는 PBS 용액의 부피가 150 ml(cc)일 때가 기준으로서, PBS 용액의 부피가 변화하면 초당 1/15(10 cc) 내지 1/3 (50 cc)가 공급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공기의 공급 속도가 10 cc/sec 미만이면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형성 정도가 급감하고, 50 cc/sec 초과일 경우 공기가 과하게 공급되어 생성된 다공성 PLLA 나노 입자가 훼손되어 PLLA 나노 입자 구조체의 수가 오히려 감소하였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는 상기 PBS 용액의 하부에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BS 용액에 공기를 공급할 때, 상기 PBS 용액의 표면에 공기를 불어줄 경우 공기가 PBS 용액 내에 용해되지 못하고 열에 의해 용액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PBS 용액의 내로 호스를 연결한 후 공기를 공급하면 상기 공기가 PBS 용액에 용해된 후, 열에 의해 용해도가 낮아지면서 상기 기포 형태로 방출되고, 이 때 상기 방출 과정에서 PLLA 나노 입자와 충돌하여 다공성 PLLA 나노 입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PBS 용액은 PVA(poly(vinyl alcohol))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VA 는 상기 PLLA 가 PBS 용액 내에서 잘 분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PLLA 나노 입자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는, 동적 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 기법을 통해 측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PBS 용액은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cellulose nano fiber, CNF)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NF 는 셀룰로오스 사슬이 다발을 이루며 결합한 나노 또는 마이크로 사이즈의 막대 형태의 입자 또는 섬유로서, 셀룰로오스 섬유를 1 wt% 내지 2 wt% 농도로 증류수와 혼합하여 현탁액을 만든 후 고압 균질기에 투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현탁액 내에서 셀룰로오스 섬유의 농도가 1 wt% 미만일 경우 고압이 가해졌을 때 셀룰로오스 섬유끼리 접촉되는 정도가 적어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의 수율이 적고, 2 wt% 를 초과할 경우 셀룰로오스 섬유끼리 과하게 접촉되어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의 수율이 적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는, 셀룰로오스 섬유, 및 물을 혼합하여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탁액을 고압 균질기 상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파쇄된 상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현탁액을 고압 균질기 상에 통과시킬 때, 상기 현탁액에 공기를 지속적으로 주입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기는 상기 고압 균질기 내에서 상기 현탁액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나,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가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로 파쇄되는 것을 보조할 수 있고, 고압 균질기를 통과하면 자연스럽게 액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현탁액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은 1 cc/sec 내지 3 cc/sec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기의 주입량이 1 cc/sec 미만일 경우 공기를 주입하지 않았을 때와 큰 차이가 없었고, 공기의 주입량이 3 cc/sec 초과일 경우 현탁액이 고압 균질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속도의 제어가 어려웠다.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 및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가 포함된 용액 내에서,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는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입자에 의해 코팅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내부 및 외부를 배양물질로서 코팅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 상기 용액을 교반함으로써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표면 또는 내부에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가 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때 온도를 올릴 경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가 분해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현탁액은 100 MPa 내지 200 MPa 의 압력을 받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탁액은 150 MPa 의 압력을 받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현탁액을 고압 균질기 상에 통과시킬 때 100 MPa 내지 200 MPa 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세균의 세포벽이 파괴되어 멸균되면서, 셀룰로오스 섬유들이 압력에 의해 분해되어 나노 섬유화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압 균질기의 압력이 100 MPa 미만이면 셀룰로오스 섬유의 분쇄 정도가 미약하여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가 혼재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압 균질기를 통과한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의 길이는 10 nm 내지 100 μ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의 길이는 10 nm 내지 100 nm, 또는 30 μm 내지 100 μm 일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의 직경은 수 내지 수십 나노미터로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의 길이 마저 나노미터 스케일일 경우 피부의 모공으로 흘러들어가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의 길이를 10 nm 내지 100 nm 로 제어하면서 동시에 화장품에 Mg(OH)2 를 첨가하여 염증이 일어나더라도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의 길이를 30 μm 내지 100 μm 로 설정하여 모공에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고압 균질기를 통과한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의 길이는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를 황산 환경 하에서 가수분해하면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가 포함된 용액을 40 wt% 의 황산 용액과 혼합하고, 50℃ 에서 1 시간 가량 교반한 후 중화 공정 및 원심분리 공정을 거치면 10 nm 내지 100 nm 의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를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는 후술할 화장품의 효과가 지속되는 시간과 연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 중 일부는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끼리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면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에 의해 흘러내리지 않고 피부 표면에 오래 남을 수 있으며, 이는 피부 보습에 효과적이다.
이어서, 상기 용액 및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된 배양 물질을 포함하는 배양액을 혼합하여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내부 및 외부를 상기 배양 물질로서 코팅한다.
이 때, 상기 배양 물질은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 및/또는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표면 또는 내부 상에 부착된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 상에 코팅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양 물질은 엑소좀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양액은 비타민 C, 티페노이드, 뮤신, 알라토인, 글리콜릭산, 콜라겐, 엘라스틴, 상피 세포 성장 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양액은, 줄기 세포를 배지에 배치하고 줄기세포를 배양한 후 상기 줄기 세포를 배지에서 제거한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상기 배양액은 상기 줄기 세포가 배양하는 과정에서 방출한 엑소좀 뿐만 아니라, 상피 세포 성장 인자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지에 함유된 탄소원, 질소원, 무기 염류, 비타민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줄기 세포는 인간 지방 조직 유래 줄기 세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간 지방 조직 유래 줄기 세포는 지방 흡입술로 채취한 지방 조직에서 유래된 줄기 세포이다.
본원에 따른 엑소좀은 세포 내에서 생성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소낭(extracellular vesicles)의 이종으로서, 30 nm 내지 150 nm 의 소포체이다. 상기 엑소좀은 세포 간의 정보 전달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지방 세포 조직의 에너지 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배양액의 pH 는 3.5 내지 4.5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양액의 pH 가 3.5 내지 4.5 일 경우 다른 pH 범위에서 배양할 때에 비해 엑소좀이 더 많이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내부 및 외부는 상기 배양 물질에 의해 코팅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는 표면에 기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기공보다 작은 크기의 배양 물질은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내부에 유입되어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액 및 상기 배양액을 혼합하는 단계는 pH 가 7 내지 8 인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액은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PBS 용액으로서, PBS 용액에 의해 상기 배양액이 혼합되어도 pH 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가 포함된 용액과 혼합되는 배양액은 줄기 세포가 제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액 및 배양액을 혼합하는 단계에서, pH 를 7 내지 8 로 조절할 경우, 코팅 공정이 종료된 후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배치되지 않고 잔존한 엑소좀의 양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고, pH 를 7 미만 또는 8 초과로 조절한 후 상기 용액 및 배양액을 혼합할 경우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코팅된 엑소좀의 양이 적거나 효능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액 및 배양액은 혼합 후 60 rpm 내지 180 rpm 의 속도로 교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상기 용액 및 히알루론산 용액을 혼합하여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외부를 히알루론산으로서 코팅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히알루론산 용액은 비타민 C, 티페노이드, 뮤신, 알라토인, 글리콜릭산, 콜라겐, 엘라스틴, 상피 세포 성장 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따른 히알루론산은 다당류의 점액성 물질로서, 보습력이 뛰어나 피부 수분을 장시간 유지시켜줄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따른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에서 히알루론산은, 상기 배양 물질로서 코팅된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코팅함으로써, 화장품이 도포된 피부의 보습력을 향상시키고, 다공성 PLLA 나노 입자가 공기 중에 노출되어 분해 또는 피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액 및 상기 히알루론산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는, 10 kV 의 전압이 인가되는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양 물질로서 코팅된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과, 상기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혼합하고, 10 kV 의 전압을 가하면,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의 음이온성 성질과 반응하여 상기 히알루론산이 상기 PLLA 나노 입자를 코팅하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혼합 과정에서 첨가된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가 히알루론산에 의해 코팅된 후, 50℃ 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열처리 단계는 상기 히알루론산이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배양 물질 및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는 최외곽의 히알루론산에 의해 열이 공급되지 않아 분자 구조가 훼손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히알루론산에 의해 코팅된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보습제, 용매, 계면 활성제,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및 보존제와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알루론산에 의해 코팅된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는, 화장품에 포함되는 피부 재생 성분의 일종으로서, 화장품에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첨가시킴으로써 자외선 등에 의해 손상된 피부를 재생하고, 수분을 유지할 수 있어 피부 탄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피부에 직접 도포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상기 히알루론산에 의해 코팅된 다공성 나노 입자를 보습제, 용매, 계면 활성제,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보존제 등 일반적인 화장품에 포함되는 다양한 성분들과 조합하여 화장품의 형테로 제조할 필요가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품은 샴푸, 수딩 크림, 로션,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식물 유래 추출물은 스페인감초 추출물, 라케모사승마뿌리 추출물, 하수오뿌리 추출물, 검은깨 추출물, 진흙버섯 추출물, 참당귀뿌리 추출물, 뽕나무껍질 추출물, 작약뿌리 추출물, 고삼뿌리 추출물, 황금 추출물, 검은콩 추출물, 귀리커넬 추출물, 녹차수, 하이드롤라이즈드콩단백질, 밀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따른 녹차수는 피부 케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스페인감초 추출물, 라케모사승마뿌리 추출물, 하수오뿌리 추출물, 검은깨 추출물, 진흙버섯 추출물, 참당귀뿌리 추출물, 뽕나무껍질 추출물, 작약뿌리 추출물, 고삼뿌리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은 피부 케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물질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pH 조절제는 Mg(OH)2 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Mg(OH)2 는 화장품의 pH 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화장품을 도포한 피부 표면 표피층 및/또는 내부 진피층에 염증이 발생할 경우 염증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품의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나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가 피부 모공 내부로 침투한 후 피부의 세포벽을 손상시켜 염증을 일으키더라도, 상기 Mg(OH)2 에 의해 염증이 완화 또는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 2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라 제조된,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대한 것이다.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대하여, 본원의 제 1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본원의 제 1 측면에 기재된 내용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생성하기 위해, PLLA 200 mg 를 아세톤 10 ml 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상기 아세톤을 0.4 wt% 의 농도로 PVA 가 용해되고 pH 가 7 내지 8 인 PBS 용액 150 ml 에 적하한 후, 상기 PBS 용액 내에 공기를 30 cc/sec 씩 주입하면서 60℃에서 가열하여 아세톤을 제거하여,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형성하였다. 이 때, 상기 PLLA 의 질량, 아세톤 및 PBS 용액의 부피, 공기의 주입량 등은 조절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생성 과정과는 동시에 또는 별도로, 셀룰로오스 분말 1.5 g 을 증류수 100 ml 에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한 후, 상기 현탁액을 150 MPa 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고압 균질기를 통과시켜 직경이 나노 미터 단위이고, 길이가 30 μm 내지 100 nm 인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를 형성하였다. 이 때, 상기 고압 균질기에 현탁액을 공급할 때 현탁액에 공기를 1 cc/sec 의 양으로 공급하였다.
또한, 지방흡입술을 통해 채취한 인간 지방 조직 유래 줄기 세포를 pH 가 4 인 배지에 배치하고 1주 내지 2주간 배양한 후 지방 유래 줄기 세포를 배지로부터 제거하여 배양 물질인 엑소좀이 포함된 배양액을 준비하였다. 이 때, 상기 배양액은 상피 세포 성장 인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가 포함된 PBS 용액,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 및 상기 배양액을 혼합하고, pH 을 7.5 로 조절한 후, 120 rpm 의 속도로 교반하여 엑소좀 코팅된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비타민 C 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용액 1 L 및 상기 엑소좀 코팅된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혼합하고, 10 kV 의 전압을 인가한 후, 50℃ 에서 열처리하여 기능성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기능성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 상에, Mg(OH)2, 보습제, 용매, 계면활성제, pH 조절제, 점도 조절제, 보존제 등 일반적인 화장품에 포함되는 물질과, 스페인감초 추출물, 라케모사승마뿌리 추출물, 하수오뿌리 추출물, 검은깨 추출물, 진흙버섯 추출물, 참당귀뿌리 추출물, 뽕나무껍질 추출물, 작약뿌리 추출물, 고삼뿌리 추출물, 황금 추출물, 검은콩 추출물, 귀리커넬 추출물, 녹차수, 하이드롤라이즈드콩단백질, 밀단백질을 포함하는 식물 유래 추출물을 혼합하여, 샴푸를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샴푸 100 중량부에 대해 기능성 PLLA 나노 입자는 2 중량부이고, 상기 식물 유래 추출물은 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일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세룰로오스 나노 섬유를 형성한 후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가 포함된 용액을 40 wt% 의 황산 용액과 혼합하고, 60℃ 에서 1 시간 가량 교반한 후 중화 공정 및 원심분리 공정을 거치면 10 nm 내지 100 nm 의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1]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PVA 가 용해되지 않은 PBS 용액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2]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PBS 용액 상에 공기를 주입하지 않았다.
[비교예 1-3]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PBS 용액의 표면에 공기를 30 cc/sec 의 속도로 주입하였다.
[비교예 1-4]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PBS 용액 내에 공기를 5 cc/sec 의 속도로 주입하였다.
[비교예 1-5]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PBS 용액 내에 공기를 60 cc/sec 의 속도로 주입하였다.
[비교예 1-6]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가열 온도를 80℃로 하였다.
[비교예 1-6]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아세톤을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하였다.
[비교예 2-1]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고압 균질기에서 가하는 압력을 90 MPa 로 조절하였다.
[비교예 2-2]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고압 균질기에서 가하는 압력을 210 MPa 로 조절하였다.
[비교예 2-3]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고압 균질기에 공급되는 현탁액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0.9 cc/sec 로 조절하였다.
[비교예 2-4]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고압 균질기에 공급되는 현탁액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3.1 cc/sec 로 조절하였다.
[비교예 3-1]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지방 유래 줄기 세포를 배양할 때, pH 를 1 로 조절하였다.
[비교예 3-2]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지방 유래 줄기 세포를 배양할 때, pH 를 7 로 조절하였다.
[비교예 3-3]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지방 유래 줄기 세포를 배양할 때, pH 를 10 로 조절하였다.
[비교예 4-1]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기능성 PLLA 나노 입자를 형성할 때 10 kV 의 전압을 인가하는 공정을 생략하였다.
[비교예 4-2]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기능성 PLLA 나노 입자를 형성할 때 50℃ 에서 열처리하는 공정을 생략하였다.
[비교예 4-3]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히알루론산 없이 엑소좀 코팅된 PLLA 나노 입자를 열처리하였다.
[비교예 4-4]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를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PBS 용액과 배양액 만을 혼합하였다.
[비교예 5-1]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과 배양액을 혼합할 때의 pH 를 6 으로 조절하였다.
[비교예 5-2]
실시예 1 과 동일하되,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과 배양액을 혼합할 때의 pH 를 9 으로 조절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과, 비교예 1-1 내지 1-5 를 비교하여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비교하였다.
[표 1]
Figure 112022023026135-pat00001
표 1 에서, 평균 입자 크기 및 평균 기공 크기는 동적 광 산란법 및 SEM 촬영을 통해 계산하였고, 수율은 PBS 용액으로부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원심분리하여 얻었을 때 수득된 질량과 PLLA 200 mg 사이의 비율을 의미한다.
표 1 에서, 비교예 1-2 및 1-3 과 같이 공기를 주입하지 않거나 PBS 용액의 표면에만 공기를 주입한 경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 뿐만 아니라 기공이 없는 PLLA 나노 입자가 형성되었고, 이 중 기공이 없는 PLLA 나노 입자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평균 기공 크기를 측정하지 않았다.
표 1 을 참조하면, PVA 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1 의 경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 끼리 응집되어 크기가 더 커졌고, 그 결과 화장품으로서 피부에 흡수되는 비율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4 는 공기 주입량이 적어 평균 입자 크기 및 평균 기공 크기가 실시예 1 에 비해 더 크게 측정되었기 ‹š문에, 실시예 1 의 다공성 PLLA 나노 입자 대비 피부 흡수율이 낮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4 에 따라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와 배양액을 혼합한 후 엑소좀으로 코팅된 PLLA 나노 입자를 원심분리 공정으로 추출하였을 때, 남은 용액 내의 엑소좀의 양은 비교예 1-4 의 용액이 더 많았다. 이는 기공이 클수록 다공성 PLLA 나노 입자 내부에 엑소좀이 주입되는 만큼, 외부로 방출되는 엑소좀의 양이 많고, 기공이 커지면 용액과 배양액을 장시간 교반해야 기공이 작을 때와 유사한 효과를 갖는 PLLA 나노 입자를 제조할 수 있어 효율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었다.
한편, 비교예 1-5 의 경우 평균 입자 크기 및 평균 기공 크기가 실시예 1 에 비해 작게 측정되었으나, 공기 공급 양이 많아 다공성 PLLA 나노 입자가 분해되어 PBS 용액 내에 PLLA 가 용해된 상태로 존재하였다.
한편, 비교예 1-6 의 경우 평균 기공 크기가 실시예 1 에 비해 작으며, 이는 용액 내의 공기의 용해도가 급감하여 생긴 현상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비교예 1-6 의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는 내부에 엑소좀 등의 배양 물질이 진입할 수 없어 실시예 1 에 비해 효능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7 의 경우 아세톤을 제거하는 공정을 생략하였고, 아세톤의 끓는점이 56℃임을 감안하면 후술할 열처리 공정에서도 제거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비교예 1-7 의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사용한 화장품을 바른 피부에서 피부가 손상되는 문제가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실시예 1 과, 비교예 2-1 내지 2-4 에 따른 공정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실시예 1 의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는 평균 직경이 30 nm 이고, 평균 길이가 35 μm 로 측정되었으나, 비교예 2-1 의 나노 섬유는 평균 직경이 1 μm, 평균 길이가 120 μm 정도로 측정되어 분쇄 정도가 미비하고, 비교예 2-2 의 나노 섬유는 평균 직경이 29 nm, 평균 길이가 34 μm 로 실시예 1 에 비해 소요하는 에너지는 많으면서 평균 직경 및 길이가 오차범위내로 측정되었다. 또한, 비교예 2-3 의 경우 공기를 주입하지 않았을 때와 같이 평균 직경이 수 마이크로미터, 평균 길이가 137 μm 로 측정되었다. 또한, 비교예 2-4 의 경우, 실시예 1 과 유사한 평균 직경 및 평균 길이를 갖는 나노 섬유가 제조되었으나, 상기 나노 섬유가 포함된 현탁액이 고압 균질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로를 벗어나거나, 배출시 갑작스러운 감압에 의해 현탁액이 튀면서 기기가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실시예 1 과, 비교예 3-1 내지 3-3 의 엑소좀 함량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1 의 엑소좀 함량을 1 로 측정하였을 때, 비교예 3-1 의 함량은 0.7 이었고, 비교예 3-2 의 함량은 0.6이었으며, 비교예 3-3 은 0.6 정도로, 비교예 3-1 내지 3-3 의 배양액 내의 엑소좀의 함량이 실시예 1 의 배양액의 엑소좀 함량보다 낮기 때문에, 화장품의 피부 재생능 등의 효능이 낮았다.
[실험예 4]
실시예 1, 비교예 4-1 내지 4-3 를 비교하였다.
비교예 4-1 의 경우 전압 인가 공정을 생략하여 기능성 PLLA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실시예 1 에 비해 2 배에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고, 원심분리시 상기 엑소좀 코팅된 PLLA 나노 입자 상에 코팅되지 못한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가 검출되었다.
또한, 실시예 1 의 기능성 PLLA 나노 입자와 달리, 비교예 4-2 의 기능성 PLLA 나노 입자는 엑소좀 및 상피 세포 성장 인자에 의해 코팅된 다공성 PLLA 나노 입자 상에 단순히 히알루론 산이 배치되었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면서 히알루론산과 기능성 PLLA 나노 입자가 분리되어 효능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4-3 의 경우, 실시예 1 과 달리 히알루론산이 없어 열처리시 열이 엑소좀,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 및 상피 세포 성장 인자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실시예 1 의 화장품에 비해 피부 보습 등의 성능이 낮았다.
또한, 비교예 4-4 의 경우, 실시예 1 과 달리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가 없어 실시예 1 의 화장품에 비해 피부 보습 등의 성능이 낮고, 점도가 낮으며, 피부에 머무르는 기간이 짧아 효과 지속 시간이 짧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실시예 1, 비교예 5-1 및 비교예 5-2 의 실험에서, 다공성 PLLA 나노 입자가 포함된 PBS 용액과 배양액을 혼합하고, 원심분리를 통해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상기 용액으로부터 분리한 후, 남은 용액에 엑소좀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실시예 1 의 남은 용액에서는 엑소좀이 10 μg/ml 의 농도로 검출된 반면, 비교예 5-1 및 비교예 5-2 의 남은 용액에서는 각각 157 μg/ml, 163 μg/ml 가 검출되었으며, PBS 용액과 혼합하기 전 배양액에서 엑소좀이 451 μg/ml 검출되었음을 감안하면, 비교예 5-1 및 비교예 5-2 와 같이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과 엑소좀을 포함하는 배양액을 혼합할 때 pH 가 중성에 가까울수록 엑소좀이 다공성 PLLA 나노 입자 내부 및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용액 및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된 배양 물질을 포함하는 배양액을 혼합하여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내부 및 외부를 상기 배양 물질로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용액 및 히알루론산 용액을 혼합하여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외부를 히알루론산으로서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PLLA 를 아세톤에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PLLA 가 용해된 아세톤을, PVA 가 용해되고 pH 가 7 내지 8 인 PBS 용액에 적하하는 단계, 상기 PBS 용액 내에 공기를 30 cc/sec 주입하며 60℃ 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는, 셀룰로오스 분말 및 증류수를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현탁액에 공기를 1 cc/sec 주입하며 150 MPa 의 압력이 가해지는 고압 균질기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양액은, 인간 지방 조직 유래 줄기 세포를 pH 가 4 인 배지에 배치하고 1 주 내지 2 주간 배양한 후 상기 인간 지방 조직 유래 줄기 세포를 배지로부터 제거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엑소좀 및 상피 세포 성장 인자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내부 및 외부를 상기 배양 물질로서 코팅하는 단계는,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가 포함된 PBS 용액,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 및 상기 배양액을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물질의 pH 를 7.5 로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물질을 120 rpm 의 속도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외부를 히알루론산으로서 코팅하는 단계는, 비타민 C 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용액 및 상기 배양 물질로서 코팅된 PLLA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10 kV 의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용액을 50℃ 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직경은 250 nm 내지 400 nm 이고, 상기 다공성 PLLA 나노 입자의 기공의 직경은 10 nm 내지 60 nm 인,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26785A 2022-03-02 2022-03-02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54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785A KR102454631B1 (ko) 2022-03-02 2022-03-02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785A KR102454631B1 (ko) 2022-03-02 2022-03-02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631B1 true KR102454631B1 (ko) 2022-10-14

Family

ID=8360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785A KR102454631B1 (ko) 2022-03-02 2022-03-02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4216A (ko) 2022-11-04 2024-05-13 조이정 여드름과 주름 개선이 가능한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0151A (ja) * 2008-12-24 2010-07-08 Hosokawa Micron Corp ヒアルロン酸担持ナノ粒子及びヒアルロン酸含有複合粒子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化粧料
KR101540845B1 (ko) * 2012-06-08 2015-07-3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포함하는 조직 재생용 패치
KR20160055682A (ko) * 2014-11-07 2016-05-1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지방세포 분화유도 및 지방조직 재생용 조성물
KR20160126795A (ko) * 2015-04-24 2016-11-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화장품 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5493B1 (ko) * 2021-02-26 2021-09-27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인체줄기세포 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안정화 방법 및 안정화된 세포밖 소포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04048B1 (ko) * 2021-01-12 2021-09-27 주식회사 엠알이노베이션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plga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0151A (ja) * 2008-12-24 2010-07-08 Hosokawa Micron Corp ヒアルロン酸担持ナノ粒子及びヒアルロン酸含有複合粒子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化粧料
KR101540845B1 (ko) * 2012-06-08 2015-07-3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포함하는 조직 재생용 패치
KR20160055682A (ko) * 2014-11-07 2016-05-1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지방세포 분화유도 및 지방조직 재생용 조성물
KR20160126795A (ko) * 2015-04-24 2016-11-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화장품 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4048B1 (ko) * 2021-01-12 2021-09-27 주식회사 엠알이노베이션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plga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5493B1 (ko) * 2021-02-26 2021-09-27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인체줄기세포 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안정화 방법 및 안정화된 세포밖 소포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4216A (ko) 2022-11-04 2024-05-13 조이정 여드름과 주름 개선이 가능한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2307B2 (ja) ナノフィブリルセルロースを含むヒドロゲル中の無細胞組織抽出物を乾燥させる方法、およびナノフィブリルセルロースと無細胞組織抽出物とを含む乾燥ヒドロゲル
CN103445973A (zh) 一种纳米纤维美白祛斑面膜贴
WO2012121695A1 (en) Skin cream
Leonida et al. Bionanomaterials for skin regeneration
Nosrati et al. Cerium oxide nanoparticles: Synthesis methods and applications in wound healing
KR102454631B1 (ko) 줄기 세포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726640A (zh) 一种包覆维生素c的多囊泡脂质体及其制备方法
KR102413205B1 (ko) 자소엽, 유칼립투스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 피부진정, 항염, 세포재생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3283B1 (ko) 항노화용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588704A (zh) 靶向响应性释放系统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05493B1 (ko) 인체줄기세포 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안정화 방법 및 안정화된 세포밖 소포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7334739B (zh) 一种防治脱发的成纤维细胞生长因子脂质体冻干粉及其制备方法
KR102469249B1 (ko) 기능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azemimostaghim et al. Drug loading and release studies for milled silk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JP4939936B2 (ja) 生理活性成分を含有する自己集合性高分子ナノ粒子の製造方法、及び得られた自己集合性高分子ナノ粒子を含有する外用剤組成物
KR102619519B1 (ko) 녹차 전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N106726643A (zh) 一种包覆水溶性光甘草定的多囊泡脂质体及其制备方法
KR101499296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의 나노캡슐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7567A (ko)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함유한 자기 회합성 고분자 나노입자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1259A (ko) 표면처리된 무기입자, 이의 제조방법, 이의 분산액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8473B1 (ko) 풀러린-청대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N111588658A (zh) 一种银杏提取物脂质体及其制备方法
KR102246331B1 (ko) 흰소나무 솔방울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46581B1 (ko) 나노화된 허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14214094A (ja) ヒト由来幹細胞培養液抽出物を包接させたリポソーム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