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972B1 -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 Google Patents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972B1
KR102453972B1 KR1020200095602A KR20200095602A KR102453972B1 KR 102453972 B1 KR102453972 B1 KR 102453972B1 KR 1020200095602 A KR1020200095602 A KR 1020200095602A KR 20200095602 A KR20200095602 A KR 20200095602A KR 102453972 B1 KR102453972 B1 KR 102453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abric
polyvinyl chloride
synthetic resin
wall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6375A (ko
Inventor
황정규
Original Assignee
에스엔피글로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엔피글로벌(주) filed Critical 에스엔피글로벌(주)
Priority to KR1020200095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97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6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6Sizing or water-repell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2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8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having a fibrous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at of other 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2Patterned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35Vinyl halide, e.g. PVC, PVDC, PVF, PVD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는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을 이용하는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합성수지 벽지에 관한 것으로, 노출면을 형성하며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우븐원단과 중심부재 역할을 하는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과 상기 우븐원단과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을 결합하기 위한 접착제와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시트부를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와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의 일측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우븐원단을 결합시키고,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의 타측에 상기 점착시트부를 부착시키는 재료 결합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 일반적인 벽지에 비해 오염에 강하고 쉽게 훼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고,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일반 가정은 물론 다중이용시설 등에서 벽면이나 천장을 마감하는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자착식인 점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 종이 소재의 벽지 내지 실내마감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공이 편리한 효과와 시공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와 PVC발포 소재의 사용으로 쿠션감과 단열 및 방음효과를 부가적으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lf-adhesive-synthetic resin-wallpaper made of a woven fabric and a polyvinyl chloride foam fabric, and a self-adhesive-synthetic resin-wallpaper produced by this method}
본 발명은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자착식 벽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을 이용하는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합성수지 벽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 '벽지'라 하는 것은 건물 내벽이나 천장을 마감하기 위하여 건물의 내벽이나 천장에 바르는 종이를 일컫는 것으로, 벽지를 접착제(풀)를 이용하여 벽면이나 천장에 붙이는 행위를 도배라고 한다.
이와 같은 벽지의 종류에는 일반적으로 소폭합지벽지, 광폭합지벽지, 실크(PVC)벽지, 친환경실크벽지, 천연벽지 등이 있다.
한편, 실내 공간의 내벽 내지 천장 마감용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벽지는 종이 소재를 기반으로 제작되며, 추가적으로 방염, 방오처리 등을 하여 제작되고, 다양한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벽면에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벽지는 종이 소재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방오처리를 하더라도 쉽게 오염되고 훼손되는 문제가 있고, 벽지의 일부에 오염이나 훼손이 발생한 경우 부분적인 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 출원번호 10-2001-0078640호 발명의 명칭 '내오염성 벽지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내오염성 벽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지 최상층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함유하는 표면처리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는 내오염성 벽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오염성 벽지는 벽지에 표면처리를 하여 오염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원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깨끗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 역시 일반적인 벽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오염성은 우수하지만, 상기 종래기술 역시 다중이용시설과 같이 사용자가 많은 공간에서는 종래기술에 따른 벽지 역시도 종이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벽지가 갖는 한계가 있어, 다중이용시설 등에서는 벽지를 대신하여 내구성이 좋은 합판과 같은 판재에 우븐원단을 접합하여 이루어진 판낼형 실내마감재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벽지를 대체하는 판낼형 실내마감재는 종이 벽지의 단점을 개선하는 효과는 있으나, 시공비용이 벽지에 비해 월등히 높고,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규격화되어 있어 디자인이 제한적이고 부분적인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이 소재의 벽지가 갖는 장점을 유지하면서 실내마감용 내장제의 효과를 발휘하는 합성수지 벽지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는 종래 종이 소재의 벽지가 갖는 장점을 유지하면서 일반적인 벽지에 비해 질기고 오염에 강하며, 직물이 주는 심미감을 극대화하는 합성수지 벽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이 소재의 벽지에 비해 시공이 간편하고, 부분 시공도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을 할 수 있는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상대적으로 고가인 판낼형 실내마감재를 대체할 수 있는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은 노출면을 형성하며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우븐원단과 중심부재 역할을 하는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과 상기 우븐원단과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을 결합하기 위한 접착제와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시트부를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와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의 일측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우븐원단을 결합시키고,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의 타측에 상기 점착시부트부를 부착시키는 재료 결합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의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의 두께는 2 mm ~ 5 mm 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의 상기 우븐원단은 폴리염화비닐(PVC) 소재의 와이어와 폴리에틸렌(PE) 소재의 와이어를 직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의 상기 우븐원단은 방습과 방오를 위한 코팅액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의 상기 우븐원단은 소정의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는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제조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종래 일반적인 벽지에 비해 오염에 강하고 쉽게 훼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고,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일반 가정은 물론 다중이용시설 등에서 벽면이나 천장을 마감하는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착식인 점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 종이 소재의 벽지 내지 실내마감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공이 편리한 효과와 시공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종이벽지 또는 실크벽지의 단점인 오염에 취약하고, 쉽게 손상되며, 수명이 짧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PVC발포 소재의 사용으로 쿠션감과 함께 단열효과를 부가적으로 제공하여 에너지효율 측면에서도 상당한 효과를 제공하며, 흡음 기능이 있어 소음에도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의 재료 준비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의 재료 결합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에 따른 우븐원단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은 도 1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의 재료 준비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료 준비 단계와 도 2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의 재료 결합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료 결합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료 준비 단계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출면을 형성하며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우븐원단(10)과 중심부재 역할을 하는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20)과 상기 우븐원단(10)과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20)을 결합하기 위한 접착제(30)와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2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시트부(40)를 준비한다.
상기 우븐원단(10)은 직조기를 통해 날실과 씨실을 교차하여 직조된 원단으로 상기 날실과 씨실은 원단을 직조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소재의 실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우븐원단(10)을 이루는 날실과 씨실은 폴리염화비닐(PVC) 소재의 와이어와 폴리에틸렌(PE) 소재의 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염화비닐(PVC) 소재의 와이어와 폴리에틸렌(PE) 소재의 와이어를 직조하여 만들어진 우븐원단(10)은 섬유 재질의 느낌을 제공하면서도, 습기와 오염에 특히 강한 장점이 있고, 오염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물세척이 가능한 장점 등이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염화비닐(PVC) 소재의 와이어와 폴리에틸렌(PE) 소재의 와이어를 직조하여 만들어진 우븐원단(10)은 직조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열을 가하여 폴리염화비닐(PVC) 소재의 와이어 내지 폴리에틸렌(PE) 소재의 와이어가 용융되어 서로 융착됨으로 인해 빈틈이 없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븐원단(10)은 도 4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에 따른 우븐원단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븐원단(10)은 방습과 방오를 위한 코팅액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코팅층(11)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11)을 형성하는 코팅액은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원단에 도포되어 원단의 방습성능과 방오성능을 부가하는 다양한 코팅액이 될 수 있고, 어느 특정된 코팅액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븐원단(10)은 상기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는 인쇄층(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12)은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원단에 프린트 방식으로 이루어거나, 전사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인쇄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2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의 중심부재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 시트 형상으로 폴리염화비닐을 발포하여 생성한다.
이와 같은 시트 형상의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20)은 두께는 2 mm ~ 5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심부재 역할을 하는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20)의 두께를 2 mm ~ 5 mm 로 한정하는 이유는, 시트 형상의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20)이 상기 우븐원단(10) 및 점착시트부(40)와 결합하는 중심부재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더 나아가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20)이 갖는 단열 및 방음 효과가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벽지를 통해서도 발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접착제(30)는 상기 우븐원단(10)을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20)의 일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합성수지물을 결합시키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통상의 접착제가 될 수 있고, 어느 특정된 접착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벽지가 실내에 설치됨으로 인해, 본 발명의 접착제(30)는 유해물질이 용출되지 않는 무독성 접착제가 되거가, 옥수수, 전분 등과 같은 천연물을 주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친환경 접착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접착제(30)는 우븐원단(10)을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20)의 일면에 결합시키는 역할과 함께, 우븐원단(10)이 직조방식으로 형성됨에 따라 발생한 빈틈을 메우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점착시트부(40)는 시트 형태로 일면은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20)의 타면에 부착되고, 타면은 벽면에 부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시 벽지가 시공하려는 벽면이나 천장면에 자착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한다.
이와 같은 점착시트부(40)는 끈적한 성질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점착층(41)과 상기 점착층(41)의 한쪽 면을 마스킹하여 보호하며 표면에 실리콘 코팅과 같이 점착성을 감쇄시키는 코팅이 이루어져 상기 점착층(41)에 상대적으로 약하게 부착되어 있는 이형지(4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점착층(41)은 상기 접착제(30)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벽지가 실내에 설치됨으로 인해, 무독성 점착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옥수수, 전분 등과 같은 천연물을 주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점착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의 제조를 위한 재료가 준비되면, 상기 도 2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의 재료 결합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부재인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20)을 중심으로 실내에 노출되는 방향의 일면에 접착제(30)를 도포한 후, 상기 우븐원단(10)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20)의 시공면을 향하는 방향인 타면에 상기 점착시트부(40)의 점착층(41) 일면을 부착시켜,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1)가 제조된다.
따라서, 도 3 본 발명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1)의 이형지(42)를 제거한 후, 시공하려는 벽체의 벽면에 점착시트부(40)의 이형지(42) 제거로 노출된 점착층(41)의 타면을 통해 부착하여 본 밤령에 따른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1)가 간단하게 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10 : 우븐원단
11 : 코팅층
12 : 인쇄층
20 :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
30 : 접착제
40 : 점착시트부
41 : 점착층
42 : 이형지

Claims (6)

  1. 노출면을 형성하며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우븐원단과 중심부재 역할을 하는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과 상기 우븐원단과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을 결합하기 위한 접착제와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시트부를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와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의 일측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우븐원단을 결합시키고,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의 타측에 상기 점착시트부를 부착시키는 재료 결합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폴리염화비닐 발포 원단의 두께는 2 mm ~ 5 mm 인 것으로 하고,
    상기 우븐원단은 폴리염화비닐(PVC) 소재의 와이어와 폴리에틸렌(PE) 소재의 와이어를 직조하여 이루어지되, 방습과 방오를 위한 코팅액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코팅층과 소정의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는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따른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KR1020200095602A 2020-07-31 2020-07-31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KR102453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602A KR102453972B1 (ko) 2020-07-31 2020-07-31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602A KR102453972B1 (ko) 2020-07-31 2020-07-31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375A KR20220016375A (ko) 2022-02-09
KR102453972B1 true KR102453972B1 (ko) 2022-10-17

Family

ID=8026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602A KR102453972B1 (ko) 2020-07-31 2020-07-31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9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401B1 (ko) 2013-05-09 2013-06-18 이영애 자착식 피혁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578B1 (ko) * 2009-12-16 2014-01-13 (주)엘지하우시스 재부착 용이한 벽지 제조 방법 및 벽지
KR20120020037A (ko) * 2010-08-26 2012-03-07 장상준 보강층을 구비한 기능성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951993B1 (ko) * 2016-08-31 2019-02-25 (주)엘지하우시스 내오염성이 개선된 직물 바닥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401B1 (ko) 2013-05-09 2013-06-18 이영애 자착식 피혁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375A (ko)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716Y1 (ko) 고밀도 폴리에스테르 복합흡음재 및 이의 제조 장치
US20120000156A1 (en) Laminar magnetic covering tiles
RU2608408C2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ее настенное покрытие
KR101423398B1 (ko)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EP2853625A1 (en) Lint-preventing yarn and woven floor decoration material using same
CN104136694A (zh) 多功能结构及其制造方法
US20060281379A1 (en) Breathable, water resistant fabric
CN107407097B (zh) 垂直铺网纤维地板
KR102453972B1 (ko)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착식 합성수지 벽지
JP6435484B2 (ja) 吸音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7397436B2 (ja) 被覆基材の製造方法
JP2017144599A (ja) 化粧材
JP5648139B1 (ja) 透明不燃性シート
JP6794278B2 (ja) 被覆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39217Y1 (ko) 석고보드 이음새 메움용 접착 테이프
JP6789816B2 (ja) 粘着層付屋根下葺材
JP2016069884A (ja) 浴室用内装シート、浴室の壁面又は天井面構造、及び浴室壁面又は天井面の施工方法
KR200433849Y1 (ko) 방습 및 방냉 기능을 갖는 단열 벽지
JP6145810B2 (ja) 床材の下地材、及び床構造
JP2016124204A (ja) 建築構造用不燃膜材
KR101486139B1 (ko) 향상된 흡음 구조를 가지는 불연 단열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7439478B2 (ja) 内装材
JP2015063854A (ja) 浴室用内装シート
CA3099333A1 (en) Panel with stone veneer
CN210395947U (zh) 一种外墙用软薄石贴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