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904B1 - 성과물간 연동된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성과물간 연동된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904B1
KR102453904B1 KR1020200048806A KR20200048806A KR102453904B1 KR 102453904 B1 KR102453904 B1 KR 102453904B1 KR 1020200048806 A KR1020200048806 A KR 1020200048806A KR 20200048806 A KR20200048806 A KR 20200048806A KR 102453904 B1 KR102453904 B1 KR 10245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odule
unit
rout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0499A (ko
Inventor
서훈석
김귀환
예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200048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90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0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04Power grid distribution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16Cables, cable trees or wire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과물간 연동된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는, 입력 모듈로부터 입력 받은 TD를 이용하여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을 생성하는 성과물 생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성과물 생성부는, 상기 TD를 단위 설비별로 자동 분류하며, 상기 TD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분류된 단위 설비에 대응하는 기준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 선정된 기준 템플릿에 상기 TD의 정보를 반영하여 중간 성과물을 생성하는 중간 성과물 생성 모듈, 케이블 경로 도면을 이용하여 케이블 경로 및 케이블 길이를 산출하여, 산출된 경로 및 길이에 따라 케이블의 사양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 및 상기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케이블의 사양을 상기 중간 성과물에 반영하여 최종 성과물을 생성하는 최종 성과물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동으로 성과물을 생성할 수 있어 성과물 생성에 걸리는 시간, 비용 및 인력 등을 줄일 수 있으며, 성과물 데이터 간 연동으로 수정 이력을 일일이 반영하지 않고도 프로젝트의 성과물 일체를 용이하게 통합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성과물간 연동된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ENGINEERING RESULTS LINKED BETWEEN RESULTS}
본 발명은 플랜트 단위 설비 별 엔지니어링 성과물 생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성과물간 데이터가 연동된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케이블 엔지니어링은 설계자 및 설계책임자를 포함하는 작업자가 테크니컬 데이터(Technical data, TD) 및 케이블 경로 도면을 수작업으로 작성하고, 직접 길이를 측정하여, 케이블 블록 도면, 케이블 사이징 계산서, 케이블 스케쥴, BOM 산출 등을 포함하는 케이블 엔지니어링을 각 단계별로 수작업으로 수행하였기 때문에 개개인의 경험 및 능력에 따라 결과물에 차이가 발생하고, 수작업에 따른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 성과물 품질을 일관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웠다.
특히, 설계자가 모든 케이블 블록 도면을 수작업으로 작성하고, 상기 케이블 블록 도면에 모든 장치 구성이 반영되었는지 및 오류 발생 여부를 하나하나 수동으로 검토해야 했으며, 케이블 경로 도면에서 케이블 경로 및 길이도 작업자가 수동으로 계산하여 산출해야 하는 바 완성도 있는 성과물 생성이 어려웠다.
한편,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성과물을 체크할 경우, 엔지니어링 과정에서 발생한 공정 데이터의 변경 등을 즉각적으로 반영하거나 업데이트 이력을 정리하기 어려워 공정 데이터의 변경에 따른 성과물 변경도 검토하기 어려웠으며, 작업자가 각 엔지니어링 단계별로 성과물을 작성, 수정 및 검토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 및 비용이 발생하였다.
특히, 수정사항이 많을 경우 과도한 수작업 반복에 의해 오류 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품질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며, 모든 성과물에 일관되게 수정사항을 반영하지 못하고 누락할 경우 해당 성과물을 다시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작성을 자동화하며, 케이블 엔지니어링에 대한 성과물 작성과정에서 생성된 모든 성과물 간 데이터 연동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발명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작성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각 케이블 엔지니어링 과정에서 생성된 성과물 데이터 간에 자동으로 연동이 되어 하나의 성과물에서 수정사항이 반영될 경우, 나머지 성과물에서도 동일한 수정사항이 반영될 수 있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는, 입력 모듈로부터 입력 받은 TD를 이용하여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을 생성하는 성과물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성과물 생성부는, 상기 TD를 단위 설비 별로 자동 분류하며, 상기 TD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분류된 단위 설비에 대응하는 기준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 선정된 기준 템플릿에 상기 TD의 정보를 반영하여 중간 성과물을 생성하는 중간 성과물 생성 모듈, 케이블 경로 도면을 이용하여 케이블 경로 및 케이블 길이를 산출하여, 산출된 경로 및 길이에 따라 케이블의 사양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 및 상기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케이블의 사양을 상기 중간 성과물에 반영하여 최종 성과물을 생성하는 최종 성과물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 사양 선정 모듈은, 상기 중간 성과물 정보를 기반으로 2D 케이블 경로 도면 및 3D 케이블 경로 도면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 도면을 이용하여, 상기 경로 도면에 최적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된 케이블 경로 및 케이블 길이 및 상기 중간 성과물의 정보를 연동하여 케이블 사양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방법은, 입력 모듈에 의해, 현재 프로젝트의 TD를 입력 받는 제1 단계,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에 의해, 상기 TD를 단위 설비별로 자동 분류하며, 분류된 단위 설비에 대응하는 기준 템플릿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공하는 제2 단계, 중간 성과물 생성 모듈에 의해, 선정된 기준 템플릿에 상기 TD의 정보를 반영하여 중간 성과물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에 의해. 케이블 경로 도면을 이용하여 케이블 경로 및 케이블 길이를 산출하여 산출된 경로 및 길이에 따라 케이블의 사양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제4 단계 및 최종 성과물 생성 모듈에 의해. 상기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케이블 경로, 길이 및 케이블의 사양을 상기 중간 성과물에 반영하여 최종 성과물을 생성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상기 엔지니어링 성과물 생성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또는 상기 방법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면, 상기 엔지니어링 성과물 생성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 명령어를 기록한 컴퓨터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 템플릿 및 과거 성과물을 재활용하여 자동으로 현재 프로젝트의 성과물을 생성할 수 있어, 성과물 생성에 걸리는 시간, 비용 및 인력을 줄일 수 있으며, 성과물 데이터 간 연동으로 수정 이력을 일일이 반영하지 않고도 프로젝트의 성과물 일체를 용이하게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유사 프로젝트를 검색하는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신규 TD를 작성 및 수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TD를 단위 설비별 자동 분류하는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분류된 단위 설비별로 DB의 기준 템플릿을 지정하는 예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성과물 중 케이블 블록 도면 및 케이블 스케줄을 수동 작성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플랜트 단위 설비별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 생성 자동화 단계를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성과물 생성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의 각 단계는 기능에 따른 단계를 도시한 것이며, 순서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흐름도 순서에 구속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모듈은 단지 일종의 논리적 기능으로서 분리한 것일 뿐이다. 복수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집적될 수 있고, 또는 일부 특징은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도 있고,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다.
플랜트 프로젝트에서 엔지니어링 공정에서 복수의 성과물이 작성되며, 해당 성과물은 동일한 데이터 정보를 반영하여 작성되는 바, 하나의 성과물이 변동되면 나머지 성과물의 정보도 일관적으로 동일하게 변경되도록 연동할 필요가 존재한다.
성과물에는 케이블 블록 도면, 케이블 사이징 계산서, 케이블 스케줄 정보, BOM 산출 및 케이블 경로 도면 등이 존재할 수 있으며, TD 정보 또한 성과물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이하에서 케이블 엔지니어링 공정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모순되지 않는 한 다른 설비에 대한 엔지니어링 공정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으며 청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에 관한 블록도로서, 입력 모듈(100), 성과물 생성부(200), 오류 검출 모듈(300) 및 성과물 출력부(400)와 저장관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00)로부터 입력 받은 TD를 이용하여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을 생성하는 성과물 생성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성과물 생성부(200)는, 상기 TD를 단위 설비별로 자동 분류하며, 상기 TD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분류된 단위 설비에 대응하는 기준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210), 선정된 기준 템플릿에 상기 TD의 정보를 반영하여 중간 성과물을 생성하는 중간 성과물 생성 모듈(220), 케이블 경로 도면을 이용하여 케이블 경로 및 케이블 길이를 산출하여, 산출된 경로 및 길이에 따라 케이블의 사양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230) 및 상기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케이블의 사양을 상기 중간 성과물에 반영하여 최종 성과물을 생성하는 최종 성과물 생성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모듈(100)은 플랜트 프로젝트에서 기준이 되는 기계, 전기, 계측제어설비 등에 필요한 기술 정보인 Technical Data(TD)를 작업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저장된 정보에 따라 하나의 파일로 생성하는 모듈이다.
TD(110)는, 예를 들면, 장비 리스트(Equipment list), 부하 리스트(Load list), 센서 리스트(Sensor list) 및 계측기 리스트(Instrument lis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비 리스트는 전기 또는 계측제어 패널이나 변압기 등을 나타내는 리스트이며, 부하 리스트는 모터, 밸브, 펌프 등의 부하를 나타내는 리스트, 센서 리스트는 스위치 등의 센서를 나타내는 리스트, 계측기 리스트는 유량계, 온도계, 압력계 등의 계측에 필요한 기기를 나타내는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즉, TD는 플랜트 프로젝트에 필요한 장치 구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각 리스트에는 구체적으로 태그(Tag) 번호, 장비 명칭, 종류, 용량, 수량, 사이즈, 타입, 공급처, 모델 명, 장치의 사양 및 설치 위치 등의 정보가 기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입력 모듈(100)은 플랜트 프로젝트에 필요한 장치 구성에 대해 수집한 정보를 입력 받으며, 상기 수집한 정보에는 발주처 및 계약처에서 입력되는 별도의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집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100)은 프로젝트 초기에 생성된 정보로 고정되거나, 발주처에서 조건을 변동하거나 프로젝트 진행 방향이 달라지며 수정사항이 발생하여 각 정보의 변동이 발생할 경우 실시간으로 변동된 정보를 반영하여 구비될 수 있다.
성과물 생성부(200)는, 상기 TD를 통해 플랜트 프로젝트에 맞는 단위 설비별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성과물 생성부(200)는,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210), 중간 성과물 생성 모듈(220),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230) 및 최종 성과물 생성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트 시설물은 구성요소가 되는 여러 부위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설물 부위 정보를 PBS로 체계화하여 단위설비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단위설비 별 성과물 생성 모듈(210)은 TD를 PBS에 따라 플랜트 내 시설물을 단위설비 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플랜트에 들어가는 설비의 전체적인 그룹 및 각 그룹 안에 들어가는 상세 장치들을 명료하게 정리 및 파악할 수 있다.
한편, TD를 단위 설비별로 자동 분류하면, 엔지니어링을 위해 각 그룹 및 그 안의 상세 장치들이 포함되는 케이블 블록 도면 등을 작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반 없이 처음부터 케이블 블록 도면을 작성할 경우 너무 많은 시간 및 인력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210)은 분류된 단위 설비에 대응하는 기준 템플릿을, 바람직하게는 기준 케이블 블록 도면을 제공하여 해당 장치에서 전형적인 케이블 블록 도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 템플릿을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경우, 미리보기 기능을 통해 해당 기준 템플릿 및 기준 템플릿의 구성 및 타입 설명을 표시할 수 있으며, 검색 기능을 통해 검색이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만약, 현재 프로젝트의 설비가 전형적이지 않은 새롭게 도입한 장치일 경우 작업자는 수동으로 케이블 블록 도면 및 그에 따른 케이블 스케줄 정보를 작성할 수도 있으며, 제공된 기준 템플릿을 선택하여 본 발명에 맞게 일부 수정할 수도 있다.
상기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210)에 따라 제공된 기준 템플릿에서 작업자가 프로젝트에 부합하는 기준 템플릿을,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블록 도면을 선정하면, 중간 성과물 생성 모듈(220)은 상기 TD의 정보를 반영한 중간 성과물을 생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성과물 중 상기 케이블 블록 도면 및 케이블 스케줄 정보에 TD정보를 반영하여 현재 프로젝트에 부합하는 케이블 블록 도면 및 케이블 스케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더하여, 케이블 사양 선정 모듈(230)이, TD의 정보를 반영한 중간 성과물의 각 장치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From To 정보를 이용하여,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정보 또는 전선관 공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케이블 경로를 선정하고, 이에 따라 케이블 길이 및 그에 따른 케이블 사양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중간 성과물 중 케이블 스케줄 표의 DEVICE FROM TO 정보뿐만 아니라 케이블 트레이 및 전선관 위치까지 반영한 케이블 경로 도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경로 도면은 2D 케이블 경로 도면 및 3D 케이블 경로 도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경로 도면을 통해 케이블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경로는 최적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최적 경로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설정하는 최적 경로 조건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이 지날 수 있는 경로 중 최단 경로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과물 중 케이블 스케줄 정보를 기반으로 각 장치의 FROM TO에서 케이블의 출발지 및 목적지를 특정한 후, 출발지로부터 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는 경로 상의 각 노드까지의 추정 최단거리를 임시 표시하고, 각 임시 표시 길이를 합한 값 중 최소값을 선택하여 실제 최단 거리를 가지는 케이블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 경로 도면에 최적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된 케이블 경로를 통해 케이블 길이가 결정되며, 여기에 TD의 로드 용량 및 일부 사양이 미반영된 케이블 블록 도면 및 케이블 스케줄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정보에 따른 최적의 케이블 사양을 결정할 수 있다.
최종 성과물 생성 모듈(240)은, 최종적으로 일부 사양이 미반영된 중간 성과물 및 케이블 경로 및 길이를 산출하여 결정된 케이블 사양을 연동하여 모든 사양이 반영된 2 차 성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 케이블의 길이, 용량, 두께 등 케이블 사양까지 반영된 케이블 블록 도면, 케이블 스케줄 표 등의 성과물을 통해 최적의 사양을 가진 케이블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성과물 편집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성과물 생성부(200)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성과물 생성부(200)가 생성한 현재 프로젝트의 성과물은 하나의 그룹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성과물 편집부가 상기 성과물 생성부(200)에서 생성한 성과물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면 상기 그룹 내의 나머지 성과물의 데이터도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210), 상기 중간 성과물 생성 모듈(220), 상기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230) 및 상기 최종 성과물 생성 모듈(240)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TD, 상기 중간 성과물, 상기 케이블 사양 및 상기 최종 성과물의 데이터는 모두 연동될 수 있다.
각 성과물 및 정보를 각 모듈간 주고 받으며, 이를 저장관리부에 위치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여 모든 성과물의 데이터는 연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각 모듈간 정보를 주고 받아 성과물을 자동 생성하는 것은 물론, 성과물 일부의 데이터 수정하는 경우, 모든 성과물의 데이터가 일괄적으로 수정되어 성과물 관리 및 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성과물 생성부(200)는 상기 TD의 정보를 반영한 상기 중간 성과물에 상기 TD 누락 또는 중복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에서는 성과물 생성부(200)과 오류 검출 모듈(300)이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성과물 생성부(200) 및 오류 검출 모듈(300)은 분리된 유닛일 수 있으며, 분리되지 않은 유닛일 수도 있다.
각 단위 설비별로 상기 중간 성과물을 생성하여야 하며, 해당 설비는 수 개에서 수십, 수백, 수천 개까지 달할 수 있는 바, 중간 성과물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블록 도면에 해당 설비가 모두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여야 하며, 중복되거나 누락되진 않았는지 검출하여야 한다.
오류 검출 모듈은 TD 및 중간 성과물이 연동된 것을 이용하여, TD에는 존재하나 아직 중간 성과물에 반영되지 않은 설비의 존재를 검출하여 누락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과물 출력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성과물 출력부(400)는, 상기 성과물 생성부에서 생성된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을 복수의 확장자로 출력하는 성과물 출력 모듈(410) 및 상기 성과물 생성부에서 생성된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에 따라 생산된 공사 물량을 체크하는 공사 물량 관리 모듈(4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성과물 출력 모듈(410)은 성과물을 다양한 확장자로 출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DWG, PDF, xlsx 등의 확장자로 출력할 수 있어 다양한 작업물로 2차 활용할 수 있으며, 공사 물량 관리 모듈(420)은 성과물의 데이터 변경에 따라 케이블 관련 물량 변경될 경우 관리의 어려움을 방지하기 위해 성과물 수정 이력을 관리하고 그에 따른 공사 물량 이력을 관리하여 성과물 작성뿐만 아니라 이후 성과물 변동의 경우에도 성과물 및 케이블 물량을 용이하게 통합관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관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은 이후 새로운 프로젝트에 상기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을 재사용 가능하도록 저장관리부(500), 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성과물 생성이 완료된 후에도 수정 또는 변경하거나, 성과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간 및 비용을 줄이고, 통합 관리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성과물의 완성도가 달라지지 않도록 하며, 자동으로 성과물 작성 및 오류 검출하는 것을 통해 오류 발생이 낮은 완성도 높은 성과물을 일관되게 생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의 성과물 자동 생성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현재 프로젝트의 성과물 작성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사 프로젝트의 정보를 검색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현재 프로젝트의 TD를 작성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TD 와 유사한 기존 프로젝트의 TD를 선정한 후 현재 프로젝트에 대응되게 수정하여 입력 모듈(100)에 상기 TD를 입력할 수 있으며, 또는 기존 프로젝트를 참조하지 않고 새로운 신규 TD 를 입력 모듈(100)에 입력할 수도 있다.
플랜트에 있어서 각 장치의 구성을 기재한 TD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작성할 경우 시간이 많이 소모되며, 이를 간단하게 처리 하기 위해 유사한 기존 프로젝트의 TD를 활용하여 현재 프로젝트에 부합하도록 일부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설정한 유사 프로젝트의 기준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사 프로젝트를 선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입력 TD 정보 중 일정한 수치 이상의 정보가 일치하거나, 프로젝트 개요를 비교하여 분야 및 목적이 유사한 기존 프로젝트의 TD를 선택할 수 있다.
작업자는 미리 보기 기능 또는 검색 기능을 통해 유사 프로젝트를 선정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검색 기능을 통해 SAMPLE PJT.bdm을 선택하면, 프로젝트 리스트에서 검색 기능을 통해 프로젝트 리스트를 선택하거나, 또는 프로젝트를 미리보기 기능을 통해 해당 프로젝트의 성과물을 표시하며, 화면 하단에 표시된 성과물이 HOLDER 80,000 세제곱미터 1기, BOOSTER 2기로 구성된 것임을 제공하여 작업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 명칭 및 구체적인 설비 명칭, 수치 및 이를 표시하는 화면 위치 등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청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유사 프로젝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입력 모듈(100)을 통해 새로운 TD를 작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번호(TAG-NO), 장치 명칭 및 설명, 설치 위치, 설비 PBS, 사양, 사이즈, 유닛 무게, 타입, 공급처 및 리마크 등을 포함한 TD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210)이 생성된 TD를 단위 설비별로 자동 분류한 것을 표시한 인터페이스이다.
입력 모듈(100)을 통해 입력한 TD는 각 장치(Equipment)를 단순 정렬한 것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210)이 단순 정렬된 장치(Equipment)들을 체계화된 PBS에 따라 단위설비 별로 분류하여 각 단위 설비끼리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더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210)은 각 단위설비 별로 작업 및 완료 목차를 생성하여, 해당 단위설비의 작업 칸을 누르면, 해당 단위설비의 장치에 대응하는 케이블 블록 도면 그룹을 표시하며, 케이블 블록 도면 그룹 중 각 장치 및 타입에 대응하는 기준 케이블 블록 도면을 작업자가 선정할 수 있다.
작업자가 기준 케이블 블록 도면을 선정하면, 중간 성과물 생성 모듈(220)이 기준 케이블 블록 도면에 연동된 TD 정보를 반영하며, 각 장치에 대한 사양이 반영된 중간 성과물을 생성하며, TD 및 중간 성과물은 연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 성과물에는 케이블 스케줄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기분 케이블 블록 도면을 선정하면, 이와 연동된 상기 케이블 스케줄 정보에도 상기 TD 정보가 반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신규 TD를 생성하거나, 기준 템플릿을 사용할 수 없는 등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케이블(파란 선)을 그려 케이블 블록 도면을 작성하거나 상기 케이블에 대응하는 케이블 스케줄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중간 성과물에 TD 정보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경우, 오류 검출 모듈(300)은 디스플레이부에 오류 검출을 표시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오류 검출 모듈(300)이 표시한 내용을 확인 후 자동으로 다시 한번 작업 진행을 수행하거나 수동으로 케이블 블록 도면에 해당 TD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되는 오류 없이 중간 성과물 생성 작업이 완료되면, TD 정보가 반영된 케이블 블록 도면 및 케이블 스케줄 표를 포함하는 중간 성과물의 정보를 이용하여 케이블 사이징 계산서에서 케이블 경로, 상기 케이블 경로에서 계산된 케이블 길이를 통해 케이블 사이징 표의 구체적인 사양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모터, 펌프와 같은 부하의 용량을 참조하여, 상기 용량 기준으로 케이블 길이가 짧아지면 케이블 굵기가 얇아질 수 있는 바, 최적 경로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 경로 및 상기 최적 경로의 길이를 계산한 것을 통해 케이블의 용량, 굵기 등의 사양을 결정할 수 있다.
더하여, 최종 성과물 생성 모듈(240)은 중간 성과물에 상기 케이블 사이징 계산서에서 결정된 케이블 사양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모든 속성 및 사양이 반영된 최종 성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2 내지 8의 과정을 도시한 프로세스로서, 유사한 프로젝트 DB를 보유(S701)한 경우, 작업자는 유사한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해당 성과물을 확인 및 수정(S702)한 후 입력 모듈(100)을 통해 입력하며, 유사한 프로젝트 DB를 보유(S701)하지 않은 경우, 신규한 TD 정보를 작성(S703)하여 입력 모듈(100)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입력 모듈(100)을 통해 입력된 TD를 작업자가 검토할 수 있으며, 설계자가 TD를 검토(S704)한 후, 설계 책임자가 TD를 검토(S705)하여 성과물 생성하기 전에 입력된 TD에 오류 발생 여부를 복수 회 체크할 수 있다.
이 때, TD에 오류가 발견되면, 다시 TD 확인 및 수정(S703)으로 되돌아간다.
입력 모듈(100)을 통해 입력된 TD에 별다른 오류가 발견되지 않으면, 프로젝트 개시를 위해 프로젝트 도곽을 설정하고, 프로젝트 명칭, 개요, 프로젝트 담당자 및 도면 넘버 체계 등 프로젝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706).
S706으로 프로젝트가 개시되면,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210)이 단위 설비별로 TD를 자동 분류(S707)하며, 자동 분류된 단위 설비에 대응되는 기준 템플릿을 작업자에게 제공하고, 작업자가 기준 템플릿을 지정(S708)하면, 중간 성과물 생성 모듈(220)이 지정된 기준 템플릿에 TD 정보를 반영하며(S709), 작업자가 기준 템플릿을 지정(S708) 하지 않으면, 케이블 블록 도면 및 케이블 스케줄 표 성과물을 수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S710).
자동 또는 수동으로 기준 템플릿에 TD 정보를 반영하면(S709), 오류 검출 모듈(300)이 기준 템플릿에 반영되지 않은 TD의 장치 유무를 확인하며(S711), 기준 템플릿에 반영되지 않은 TD가 존재할 경우, S702로 되돌아가서 TD 정보를 확인 및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오류가 검출되지 않고 모든 TD 정보가 반영된 기준 템플릿인 중간 성과물이 생성(S712)되면,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은 입력된 케이블 경로 도면을 상기 중간 성과물과 연동시켜 최적 알고리즘을 통해 케이블 최적 경로 및 길이를 동시에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케이블 최적 경로 및 길이로 케이블 최적 사양을 계산 및/또는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케이블 최적 경로, 길이 및 사양을 상기 중간 성과물인 케이블 블록 도면 및 케이블 스케줄 표에 반영하여,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최종 성과물이라 할 수 있다.
최종 성과물은 결정된 케이블 최적 경로, 길이 및 사양을 반영한 케이블 블록 도면 및 케이블 스케줄 표뿐만 아니라 BOM 및 최종 T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상기 예시에 청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최종 성과물은 추후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관리부(500)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최종 성과물을 저장할 수 있다(S713).
이때, 상기 최종 성과물은 하나의 집합 또는 세트로 연동되어 저장되며, 최종 성과물 중 하나의 데이터를 변경할 경우, 하나의 집합 또는 세트에 포함된 나머지 최종 성과물의 해당 데이터도 동일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최종 성과물 뿐만 아니라 최종 성과물 완성 이후 중간 성과물을 변경하거나, 또는 중간 성과물 생성 단계에서 중간 성과물을 변경하는 경우, 프로젝트 내에서 상기 중간 성과물은 하나의 집합 또는 세트로 연동되어 저장되며, 상기 중간 성과물 중 하나의 데이터를 변경할 경우, 하나의 집합 또는 세트에 포함된 나머지 중간 성과물의 해당 데이터도 동일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중간 성과물 또는 최종 성과물끼리만 하나의 집합 또는 세트로 연동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젝트 내에 모든 중간 성과물 및 최종 성과물을 하나의 집합 또는 세트로 연동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 템플릿 및 과거 성과물을 재활용하여 자동으로 현재 프로젝트의 성과물을 생성할 수 있어, 성과물 생성에 걸리는 시간, 비용 및 인력을 줄일 수 있으며, 성과물 데이터 간 연동으로 수정 이력을 일일이 반영하지 않고도 프로젝트의 성과물 일체를 용이하게 통합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방법은 입력 모듈(100)로 현재 프로젝트의 TD를 입력받는 제1 단계(S801),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210)에 의해, 상기 TD를 단위 설비별로 자동 분류하며, 분류된 단위 설비에 대응하는 기준 템플릿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공하는 제2 단계(S802), 중간 성과물 생성 모듈(220)에 의해, 선정된 기준 템플릿에 상기 TD의 정보를 반영하여 중간 성과물을 생성하는 제3 단계(S803),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230)에 의해. 케이블 경로 도면을 이용하여 케이블 경로 및 케이블 길이를 산출하여 산출된 경로 및 길이에 따라 케이블의 사양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제4 단계(S804) 및 최종 성과물 생성 모듈(240)에 의해. 상기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케이블 경로, 길이 및 케이블의 사양을 상기 중간 성과물에 반영하여 최종 성과물을 생성하는 제5 단계(S8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의 편의 및 중복 방지를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 템플릿 및 과거 성과물을 재활용하여 자동으로 현재 프로젝트의 성과물을 생성할 수 있어, 성과물 생성에 걸리는 시간, 비용 및 인력을 줄일 수 있으며, 성과물 데이터 간 연동으로 수정 이력을 일일이 반영하지 않고도 프로젝트의 성과물 일체를 용이하게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의 형태로 구현된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해결책의 본질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하나의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수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 매체로서, U 자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특정된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명령어를 기록한 컴퓨터 기록 매체를 더 제공한다.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방법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모듈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기록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기록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즉 상기 방법을 실현한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기록 장치,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비 휘발성 반고체 메모리 등의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대해 원격으로 배치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예로서, 인터넷, 인트라넷, 로컬 영역 네트워크, 이동 통신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이 밝히는 기술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대체를 쉽게 생각해 낼 수 있고, 이러한 변화 또는 치환 또한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준한다.
100: 입력 모듈,
200: 성과물 생성부, 210: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
220: 중간 성과물 생성 모듈, 230: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
240: 최종 성과물 생성 모듈,
300: 오류 검출 모듈, 400: 성과물 출력부,
410: 성과물 출력 모듈, 420: 공사 물량 관리 모듈,
500: 저장관리부

Claims (12)

  1. 입력 모듈로부터 입력 받은 TD를 이용하여 엔지니어링 성과물을 생성하는 성과물 생성부; 및
    상기 성과물 생성부에서 생성된 엔지니어링 성과물을 복수의 확장자로 출력하는 성과물 출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성과물 생성부는,
    상기 TD를 단위 설비별로 자동 분류하며, 상기 TD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분류된 단위 설비에 대응하는 기준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
    선정된 기준 템플릿에 상기 TD의 정보를 반영하여 중간 성과물을 생성하는 중간 성과물 생성 모듈;
    입력된 케이블 경로 도면을 상기 중간 성과물과 연동시켜 케이블 경로 및 케이블 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경로 및 길이에 따라 케이블의 사양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 및
    상기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케이블의 사양을 상기 중간 성과물에 반영하여 최종 성과물을 생성하는 최종 성과물 생성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은 상기 중간 성과물의 각 장치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 및 케이블 설치 가능 공간 정보를 연동된 케이블 경로 도면에 반영하고, 상기 케이블 경로 도면에서 추정 최단거리를 케이블 경로로 우선 결정하며, 결정된 케이블 경로에 따라 케이블 사양을 결정하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사양 선정 모듈은,
    상기 중간 성과물 정보를 기반으로 2D 케이블 경로 도면 및 3D 케이블 경로 도면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 도면을 이용하여,
    상기 경로 도면에 최적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된 케이블 경로, 케이블 길이 및 상기 중간 성과물의 정보를 연동하여 케이블 사양을 최종 결정하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성과물 편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성과물 생성부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성과물 생성부가 생성한 현재 프로젝트의 성과물은 하나의 그룹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상기 성과물 편집부가 상기 성과물 생성부에서 생성한 성과물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면, 상기 그룹 내의 나머지 성과물의 데이터도 같이 변경되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과물 생성부는,
    상기 TD의 정보를 반영한 상기 중간 성과물에 상기 TD 누락 또는 중복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 모듈을 포함하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은,
    단위 설비별로 분류된 장치의 구성에 대한 케이블 블록 도면을 포함하는 기준 템플릿을 제공하며,
    상기 기준 템플릿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6.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지니어링 성과물은 이후 새로운 프로젝트에 상기 엔지니어링 성과물을 재사용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7.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과물 생성부에서 생성된 케이블 엔지니어링 성과물에 따라 생산된 공사 물량을 체크하는 공사 물량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8. 입력 모듈에 의해, 현재 프로젝트의 TD를 입력 받는 제1 단계;
    단위 설비별 성과물 생성 모듈에 의해, 상기 TD를 단위 설비별로 자동 분류하며, 분류된 단위 설비에 대응하는 기준 템플릿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공하는 제2 단계;
    중간 성과물 생성 모듈에 의해, 선정된 기준 템플릿에 상기 TD의 정보를 반영하여 중간 성과물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에 의해, 입력된 케이블 경로 도면을 상기 중간 성과물과 연동시켜 케이블 경로 및 케이블 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경로 및 길이에 따라 케이블의 사양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제4 단계;
    최종 성과물 생성 모듈에 의해, 상기 케이블 사양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케이블 경로, 길이 및 케이블의 사양을 상기 중간 성과물에 반영하여 최종 성과물을 생성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최종 성과물을 복수의 확장자로 출력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중간 성과물의 각 장치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 및 케이블 설치 가능 공간 정보를 연동된 케이블 경로 도면에 반영하고, 상기 케이블 경로 도면에서 추정 최단거리를 케이블 경로로 우선 결정하며, 결정된 케이블 경로에 따라 케이블 사양을 결정하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성과물 정보를 기반으로 2D 케이블 경로 도면 및 3D 케이블 경로 도면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 도면을 이용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 도면에 최적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된 케이블 경로, 케이블 길이 및 상기 중간 성과물의 정보를 연동하여 케이블 사양을 최종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 있어서,
    오류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TD의 정보를 반영한 상기 중간 성과물에 상기 TD 누락 또는 중복의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지니어링 성과물은 이후 새로운 프로젝트에 상기 엔지니어링 성과물을 재사용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방법.
  12. 제8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0048806A 2020-04-22 2020-04-22 성과물간 연동된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45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806A KR102453904B1 (ko) 2020-04-22 2020-04-22 성과물간 연동된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806A KR102453904B1 (ko) 2020-04-22 2020-04-22 성과물간 연동된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499A KR20210130499A (ko) 2021-11-01
KR102453904B1 true KR102453904B1 (ko) 2022-10-12

Family

ID=7851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806A KR102453904B1 (ko) 2020-04-22 2020-04-22 성과물간 연동된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8967A (zh) * 2021-11-29 2022-03-22 国网山东省电力公司五莲县供电公司 一种电流传输载体管控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3182A (ja) * 1999-06-11 2000-12-19 Toshiba Corp プラント協調作業支援装置
JP2012230586A (ja) * 2011-04-27 2012-11-22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プラント建設支援システム及び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5984A (ko) * 2012-12-11 2014-06-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설계 및 관리 전산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3182A (ja) * 1999-06-11 2000-12-19 Toshiba Corp プラント協調作業支援装置
JP2012230586A (ja) * 2011-04-27 2012-11-22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プラント建設支援システム及び支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499A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echette Model based enterprise for manufacturing
US20070038415A1 (en) Cable quantity totalizing device, cable quantity totalizing method and cable quantity totalizing program
US20120016701A1 (en) Intelligent timesheet assistance
US10061874B2 (en) Method for monitoring a process and/or production plant
JP2007264768A (ja) システム開発支援プログラム、システム開発支援装置およびシステム開発支援方法
US10262083B2 (en) Data transformation from 3D model of material
KR102365292B1 (ko) 복잡한 엔지니어링 객체의 수명주기를 관리하는 방법 및 그 구현을 위한 시스템
KR102453904B1 (ko) 성과물간 연동된 엔지니어링 성과물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904868B1 (ko) 케이블 물량 집계 장치, 케이블 물량 집계 방법 및 케이블 물량 집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943194B2 (en) Product chemical profile system
JP2000346299A (ja) プラント管理装置
KR101985871B1 (ko) 병렬 처리 기법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데이터 기반 프로세스 이상 현상 진단 방법 및 그 장치
KR970004105B1 (ko) 계량 경제 모델 시뮬레이션 시스템
US202301423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3d model of a plant layout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JP3143004B2 (ja) 設計作業管理支援装置
US20120109588A1 (en) Manufacture of heat trace cable, design, installation, and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JP3195031B2 (ja) テスト仕様生成方法及び半導体装置検査装置及び半導体装置検査方法
US20200334399A1 (en) Design support system, design verification method, and design verification program
US20080082379A1 (en) Technical performance measures management process and system
JP6757019B2 (ja) 受注生産品の設計支援システム並びに設計支援方法
JP3695152B2 (ja) コスト指標算出装置
US81410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olidating machine readable code
WO2021020055A1 (ja) 設計支援システム、設計支援方法及び設計支援プログラム
US20230221706A1 (en) Factory Plan Device, Factory Plan System, and Factory Plan Method
US11544454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ocument change management in original and tailored doc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