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903B1 -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903B1
KR102453903B1 KR1020210154170A KR20210154170A KR102453903B1 KR 102453903 B1 KR102453903 B1 KR 102453903B1 KR 1020210154170 A KR1020210154170 A KR 1020210154170A KR 20210154170 A KR20210154170 A KR 20210154170A KR 102453903 B1 KR102453903 B1 KR 102453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long hole
pile
extensio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석
Original Assignee
강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석 filed Critical 강명석
Priority to KR102021015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enlarged footing or enlargements at the bottom of the pi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에 머리부(111)가 형성되고,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상단이 말뚝(10)의 하단 가장자리에 결합한 한 쌍의 지지부재(110); 반원판 구조로 형성되고, 상호 인접하는 지름부(121)가 힌지부(122)에 의해 힌지거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폭방향을 따라 길게 장공(123)이 형성된 한 쌍의 확장판(12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110)가 상기 장공(123)에 삽입되고, 상기 확장판(120)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에 의해 하부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접힘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은 상기 지름부(121)가 외측 가장자리에 비해 하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장공(123)의 외측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확장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은 상기 지름부(121)가 외측 가장자리와 동일평면상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장공(123)의 내측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100)를 제시함으로써, 선단확장장치가 확장된 경우라 하더라도, 인발을 위한 필요 시 다시 접힘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EXPANSION APPARATUS FOR PILE REINFORCEMAN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I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말뚝의 선단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천공 삽입 말뚝공법에서 말뚝의 하단에 말뚝의 직경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는 슈(선단 확장슈)를 장착하여 시공하는 방식이 개발된 바 있는데, 이는 말뚝의 슈(선단)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더욱 큰 선단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초 구조물의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말뚝의 수를 줄일 수 있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말뚝보다 직경이 큰 선단 확장슈를 시공하기 위하여, 천공홀의 직경을 크게 하면 공사비용이 증가하므로, 천공홀의 직경을 키우지 않으면서 선단 확장슈를 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2는 종래의 말뚝(10)의 선단확장장치(20)에 관한 것으로서, 천공 홀에 삽입되기 전에는 접힘 상태를 유지하고,(도 1) 천공 홀에 삽입되어 선단확장장치(20)가 천공 홀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항타를 하면 확장상태가 되어 위 선단 확장슈의 구조를 취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선단확장장치(20)가 일단 확장상태로 되면, 다시 접힘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첫째, 말뚝의 이음작업이 곤란하다.(도 4)
말뚝(10)의 보관, 운반을 위하여 그 길이에는 한계가 있으므로(ks 규정상 15m), 고심도의 말뚝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말뚝(10,10a)을 이음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지면 위에서 이러한 말뚝의 이음작업을 하기는 곤란하므로, 현장 주위에 작업용 천공 홀(서비스 홀)(1a)을 굴착해 두고, 여기에 하부 말뚝(10)을 삽입하고, 그 위에 상부 말뚝(10a)을 이음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런데, 서비스 홀(1a)에 하부 말뚝(10)을 삽입하면, 그 하부에 설치된 선단확장장치(20)가 확장되므로, 말뚝의 이음작업 후 이음된 말뚝(10,10a)을 서비스 홀(1a)로부터 인발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슬라임이 과도한 천공 홀에 대한 인발 후 재시공이 어렵다.(도 5)
천공 홀(1)의 하부에는 일반적으로 슬라임(s)이 발생하는데, 그 양이 과도하여 말뚝(10)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말뚝(10)을 인발하고 천공 홀(1)로부터 슬라임(s)을 제거한 후, 다시 말뚝(10)을 삽입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한 선단확장장치(20)는 천공 홀(1)의 하부(슬라임(s)의 상면)에 접촉함과 아울러 확장하고, 다시 접힘상태로 되돌릴 수 없으므로, 말뚝(10)을 인발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만약, 선단확장장치(20)를 천공 홀(1)의 하부에 남겨두고 말뚝(10)만을 인발하는 경우, 슬라임(s)의 제거를 위해 굴착장치에 의해 천공 홀(1)의 하부를 재굴착하여야 하는데, 이를 강행하면 굴착장치의 비트가 남겨진 선단확장장치(20)에 의해 심각하게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케이싱(30)을 사용하는 천공작업의 경우, 위 문제가 더욱 부각된다.(도 6)
지반이 견고하지 못하여 케이싱(30)을 사용하여 천공 홀을 형성하는 경우, 일단 항타에 의해 확장된 선단확장장치(20)가 케이싱(30)이 하단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므로, 선단확장장치(20)의 인발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선단확장장치가 확장된 경우라 하더라도, 인발을 위한 필요 시 다시 접힘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하는 말뚝의 선단확장장치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하단에 머리부(111)가 형성되고,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상단이 말뚝(10)의 하단 가장자리에 결합한 한 쌍의 지지부재(110); 반원판 구조로 형성되고, 상호 인접하는 지름부(121)가 힌지부(122)에 의해 힌지거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폭방향을 따라 길게 장공(123)이 형성된 한 쌍의 확장판(12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110)가 상기 장공(123)에 삽입되고, 상기 확장판(120)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에 의해 하부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접힘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은 상기 지름부(121)가 외측 가장자리에 비해 하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장공(123)의 외측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확장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은 상기 지름부(121)가 외측 가장자리와 동일평면상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장공(123)의 내측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100)를 제시한다.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확장상태에서 다시 접힘상태로 되돌리는 경우,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은 상기 지름부(121)가 외측 가장자리에 비해 하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장공(123)의 외측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말뚝(10)의 외측 가장자리의 전단 및 후단의 내측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전단 및 후단에는 면적축소부(1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판(120)의 내측 심부에 반원형 관통공(125)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122)는 상기 반원형 관통공(125)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122)는 상기 확장판(120)의 상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공(123)의 심부에는 임시폐쇄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접힘상태에서 상기 장공(123)의 임시폐쇄부(130)의 외측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임시폐쇄부(130)는 폐쇄상태에 있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지름부(121)에 소정 이상의 힘이 인가되면,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이 확장상태로 되면서, 상기 지지부재(110)가 상기 장공(123)의 임시폐쇄부(130)에 압력을 가하여 개방상태가 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이 확장상태로 됨과 아울러, 상기 장공(123)의 내측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시폐쇄부(130)는, 폐쇄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110)의 내측 이동을 제한하는 몸통부(131);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에서 상기 몸통부(131)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장공(123)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소성지지부(132); 개방상태로 되기 위하여 절개되도록, 상기 몸통부(131)의 타단 및 상기 장공(123)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개부(133);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이 확장상태에서 접힘상태로 되돌아 오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110)가 상기 장공(123)의 외측으로 되돌아 오는 구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개방상태에서 상기 몸통부(131)의 타단은 상기 장공(123)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상태에서 상기 몸통부(131)가 인입되도록, 상기 장공(123)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인입홈(134)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110)가 상기 장공(123)의 외측으로 되돌아 오는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개방상태의 상기 몸통부(131)의 내면에는 상기 장공(123)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부(135)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말뚝(10)의 선단확장장치(100)를 이용한 말뚝(10)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선단확장장치(100)가 설치된 말뚝(10)을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접힘상태에서 천공 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말뚝(10)의 선단확장장치(100)가 천공 홀의 저면에 접촉하여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지름부(121)에 소정 이상의 힘이 인가되면,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이 확장상태로 되면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저면에 천공 홀의 저면에 접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10)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선단확장장치가 확장된 경우라 하더라도, 인발을 위한 필요 시 다시 접힘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하는 말뚝의 선단확장장치를 제시한다.
도 1,2는 종래의 선단확장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 내지 5는 종래의 선단확장장치의 문제점에 관한 개요도.
도 6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은 지지부재의 측면도.
도 7은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8은 확장판의 평면도.
도 9는 접힘상태의 종단면도.
도 10은 접힘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확장상태의 종단면도.
도 12는 확장상태의 사시도.
도 13,14는 임시폐쇄부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100)는 기본적으로, 하단에 머리부(111)가 형성되고,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상단이 말뚝(10)의 하단 가장자리에 결합한 한 쌍의 지지부재(110); 반원판 구조로 형성되고, 상호 인접하는 지름부(121)가 힌지부(122)에 의해 힌지거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폭방향을 따라 길게 장공(123)이 형성된 한 쌍의 확장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재(110)가 확장판(120)의 장공(123)에 삽입되고, 확장판(120)은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에 의해 하부 이탈이 방지된다.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접힘상태에서, 한 쌍의 확장판(120)은 지름부(121)가 외측 가장자리에 비해 하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장공(123)의 외측에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한다.(도 9,10)
한 쌍의 확장판(120)의 확장상태에서 한 쌍의 확장판(120)은 지름부(121)가 외측 가장자리와 동일평면상에 위치함과 아울러, 장공(123)의 내측에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한다.(도 11,12)
즉, 말뚝(10)이 천공 홀에 삽입되어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저면이 천공 홀의 바닥면에 접촉하게 되면, 한 쌍의 확장판(120)이 확장하면서, 상술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말뚝(10)의 인발이 필요하여, 한 쌍의 확장판(120)을 확장상태에서 다시 접힘상태로 되돌리고자 하는 경우, 한 쌍의 확장판(120)은 지름부(121)가 외측 가장자리에 비해 하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장공(123)의 외측에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하게 된다.
즉, 위 확장상태에서 말뚝(10)을 들어올리면, 한 쌍의 확장판(120)의 중앙부의 중량으로 인하여, 다시 자연스럽게 한 쌍의 확장판(120)이 접힘상태로 되면서, 상술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도 9,10)
따라서, 말뚝의 삽입시공에 의해 선단확장장치가 확장된 경우라 하더라도, 인발을 위한 필요 시(말뚝의 이음작업 후 이음된 말뚝을 서비스 홀로부터 인발하여 인양하는 경우, 슬라임이 과도한 천공 홀에서 재시공을 위해 말뚝을 인발하는 경우, 케이싱을 사용하는 천공작업에서 말뚝의 인발이 필요한 경우 등), 선단확장장치를 다시 접힘상태로 되돌려 말뚝의 인발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지지부재(110)로는 볼트 등을 사용하면 되고, 이를 PHC 말뚝의 하단 결합공 등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상술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말뚝(10)의 외측 가장자리의 전단 및 후단의 내측영역(천공 홀에 대한 삽입 시 저촉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확장부(130)의 전단 및 후단에 면적축소부(124)가 형성된 경우, 천공 홀에 대한 말뚝(10) 및 선단확장장치(100)의 삽입작업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도 8).
확장판(120)의 내측 심부에 반원형 관통공(125)이 형성되는 경우, 힌지부(122)는 반원형 관통공(125)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힌지부(122)는 확장판(120)의 상면에 경첩 구조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선단확장장치(100)가 비록 확장과 접힘의 변환이 자유롭지만, 선단확장장치(100)가 천공 홀(1)의 저면에 접촉하여 소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너무 쉽게 확장구동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말뚝의 이음작업, 천공홀에 대한 삽입작업 등의 경우에는, 선단확장장치(100)가 접힘상태를 유지하고, 선단확장장치(100)가 천공홀의 바닥면에 접촉하여 항타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만 비로소 선단확장장치(100)가 확장구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장공(123)의 심부에 얇은 막대나 판 구조의 임시폐쇄부(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접힘상태에서는, 장공(123)의 임시폐쇄부(130)의 외측에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한다(임시폐쇄부(130)의 폐쇄상태).(도 13)
선단확장장치(100)가 천공 홀(1)의 저면에 접촉함에 따라, 한 쌍의 확장판(120)의 지름부(121)에 소정 이상의 힘(항타 등)이 인가되면, 한 쌍의 확장판(120)이 확장상태로 되면서, 지지부재(110)가 장공(123)의 임시폐쇄부(130)에 압력을 가하여 개방시킨다(임시폐쇄부(130)의 개방상태).
이에 따라 한 쌍의 확장판(120)이 확장상태로 됨과 아울러, 장공(123)의 내측에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하게 된다.(도 14)
한편, 한 쌍의 확장판(120)이 확장상태에서 접힘상태로 되돌아 오는 경우, 개방상태의 임시폐쇄부(130)에 의해, 지지부재(110)가 장공(123)의 외측으로 되돌아 오는 구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임시폐쇄부(130)는, 폐쇄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110)의 내측 이동을 제한하는 몸통부(131);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에서 몸통부(131)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장공(123)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소성지지부(132); 개방상태로 되기 위하여 절개되도록, 몸통부(131)의 타단 및 장공(123)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개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5,16)
이는 개방상태에서 몸통부(131)의 타단이 장공(123)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함에 따라, 한 쌍의 확장판(120)이 확장상태에서 접힘상태로 되돌아 오는 경우, 지지부재(110)가 장공(123)의 외측으로 되돌아 오는 구동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장공(123)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입홈(134)이 형성되는 경우, 개방상태의 몸통부(131)가 위 인입홈(134)에 인입되므로, 위 효과를 더욱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나아가, 개방상태의 몸통부(131)의 내면(도 16의 상면)에 장공(123)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부(135)가 형성되는 경우, 지지부재(110)가 장공(123)의 외측으로 되돌아 오는 구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말뚝(10)의 선단확장장치(100)를 이용한 말뚝(10)의 시공방법은 다음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선단확장장치(100)가 설치된 말뚝(10)을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접힘상태에서 천공 홀에 삽입한다.
말뚝(10)의 선단확장장치(100)가 천공 홀의 저면에 접촉하여 한 쌍의 확장판(120)의 지름부(121)에 소정 이상의 힘이 인가되면, 한 쌍의 확장판(120)이 확장상태로 되면서,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저면에 천공 홀의 저면에 접촉한다.
다시 말뚝(10)을 인발하는 경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중앙부의 중량으로 인하여, 다시 자연스럽게 한 쌍의 확장판(120)이 접힘상태로 되면서, 인발작업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말뚝 100 : 선단확장장치
110 : 지지부재 111 : 머리부
120 : 확장판 121 : 지름부
122 : 힌지부 123 : 장공
124 : 면적축소부 125 : 반원형 관통공
130 : 임시폐쇄부 131 : 몸통부
132 : 소성지지부 133 : 절개부
134 : 인입홈 135 : 경사부

Claims (10)

  1. 하단에 머리부(111)가 형성되고,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상단이 말뚝(10)의 하단 가장자리에 결합한 한 쌍의 지지부재(110);
    반원판 구조로 형성되고, 상호 인접하는 지름부(121)가 힌지부(122)에 의해 힌지거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폭방향을 따라 길게 장공(123)이 형성된 한 쌍의 확장판(12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110)가 상기 장공(123)에 삽입되고, 상기 확장판(120)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에 의해 하부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접힘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은 상기 지름부(121)가 외측 가장자리에 비해 하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장공(123)의 외측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확장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은 상기 지름부(121)가 외측 가장자리와 동일평면상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장공(123)의 내측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확장상태에서 다시 접힘상태로 되돌리는 경우,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은 상기 지름부(121)가 외측 가장자리에 비해 하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장공(123)의 외측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10)의 외측 가장자리의 전단 및 후단의 내측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전단 및 후단에는 면적축소부(1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판(120)의 내측 심부에 반원형 관통공(125)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122)는 상기 반원형 관통공(125)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22)는 상기 확장판(120)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123)의 심부에는 임시폐쇄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접힘상태에서 상기 장공(123)의 임시폐쇄부(130)의 외측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임시폐쇄부(130)는 폐쇄상태에 있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지름부(121)에 소정 이상의 힘이 인가되면,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이 확장상태로 되면서, 상기 지지부재(110)가 상기 장공(123)의 임시폐쇄부(130)에 압력을 가하여 개방상태가 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이 확장상태로 됨과 아울러, 상기 장공(123)의 내측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머리부(111)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폐쇄부(130)는,
    폐쇄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110)의 내측 이동을 제한하는 몸통부(131);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에서 상기 몸통부(131)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장공(123)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소성지지부(132);
    개방상태로 되기 위하여 절개되도록, 상기 몸통부(131)의 타단 및 상기 장공(123)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개부(133);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이 확장상태에서 접힘상태로 되돌아 오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110)가 상기 장공(123)의 외측으로 되돌아 오는 구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개방상태에서 상기 몸통부(131)의 타단은 상기 장공(123)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100).
  8. 제7항에 있어서,
    개방상태에서 상기 몸통부(131)가 인입되도록, 상기 장공(123)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인입홈(1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100).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10)가 상기 장공(123)의 외측으로 되돌아 오는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개방상태의 상기 몸통부(131)의 내면에는 상기 장공(123)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부(1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10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말뚝(10)의 선단확장장치(100)를 이용한 말뚝(10)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선단확장장치(100)가 설치된 말뚝(10)을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접힘상태에서 천공 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말뚝(10)의 선단확장장치(100)가 천공 홀의 저면에 접촉하여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지름부(121)에 소정 이상의 힘이 인가되면,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이 확장상태로 되면서, 상기 한 쌍의 확장판(120)의 저면에 천공 홀의 저면에 접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시공방법.
KR1020210154170A 2021-11-10 2021-11-10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KR102453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70A KR102453903B1 (ko) 2021-11-10 2021-11-10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70A KR102453903B1 (ko) 2021-11-10 2021-11-10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903B1 true KR102453903B1 (ko) 2022-10-14

Family

ID=8359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170A KR102453903B1 (ko) 2021-11-10 2021-11-10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9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413A (ko) * 2012-02-22 2013-08-30 강명석 하단 개폐형 말뚝
KR20150005234A (ko) * 2013-07-05 2015-01-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토사유입을 차단하는 석션파일
JP2018204418A (ja) * 2017-05-30 2018-12-27 株式会社日本コムダック アンカー杭
KR102240428B1 (ko) * 2020-03-31 2021-04-13 강명석 말뚝의 슬라이딩 선단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413A (ko) * 2012-02-22 2013-08-30 강명석 하단 개폐형 말뚝
KR20150005234A (ko) * 2013-07-05 2015-01-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토사유입을 차단하는 석션파일
JP2018204418A (ja) * 2017-05-30 2018-12-27 株式会社日本コムダック アンカー杭
KR102240428B1 (ko) * 2020-03-31 2021-04-13 강명석 말뚝의 슬라이딩 선단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9236B2 (ja) インライン拡張ウィングを有する試錐孔掘削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855714B1 (ko) 중장비용 암반파쇄기
KR101091585B1 (ko) 파일의 지지력 증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453903B1 (ko) 확장판에 장공이 형성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JP2015166519A (ja) 排水パイプ及びその打ち込み方法
KR102637026B1 (ko) 접힘부재를 구비한 말뚝의 선단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KR101195485B1 (ko) 주면마찰력이 강화된 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1083281B1 (ko) 스프링을 이용한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017721B1 (ko) 힌지를 이용한 하단 개폐형 말뚝
KR20130002731A (ko) 선단확장형 파일
KR101081400B1 (ko)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172770B1 (ko) 말뚝의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JP3638386B2 (ja) 立坑掘削方法及び立坑掘削装置
JP7474999B1 (ja) 既設杭引抜装置
KR101160964B1 (ko) 하단 개폐형 말뚝
KR0155677B1 (ko)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과 이를 이용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
KR101349258B1 (ko) 하단 개폐형 말뚝
CN111778963A (zh) 抓地桩
KR101081399B1 (ko) 하단 개폐형 말뚝
SU1150304A1 (ru) Наконечник сваи-анкера
JP7089819B1 (ja) ケーシングチューブストッパー及びケーシングチューブ並びにケーシングチューブ引抜方法
JP2018119397A (ja) 排水パイプ及びその打ち込み方法
KR102298994B1 (ko) 해체가 용이한 기초말뚝 및 이의 해체 방법
KR20120009396A (ko) 말뚝의 보강구조물
US11352759B2 (en) Wick drain shoe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