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964B1 - 하단 개폐형 말뚝 - Google Patents

하단 개폐형 말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964B1
KR101160964B1 KR1020100013747A KR20100013747A KR101160964B1 KR 101160964 B1 KR101160964 B1 KR 101160964B1 KR 1020100013747 A KR1020100013747 A KR 1020100013747A KR 20100013747 A KR20100013747 A KR 20100013747A KR 101160964 B1 KR101160964 B1 KR 101160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air
hinge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4407A (ko
Inventor
강명석
김종혁
강준아
Original Assignee
강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석 filed Critical 강명석
Priority to KR1020100013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9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94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0Piles comprising both precast concrete portions and concrete portion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형상의 말뚝 본체(100); 본체(100)의 하단 중앙부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200); 힌지결합부(200)를 축으로 하는 힌지구동에 의해 본체(100)의 하단 트임부를 개폐하도록, 힌지결합부(200)에 힌지결합한 한 쌍의 개폐부재(300);를 포함하고, 한 쌍의 개폐부재(300)는 접힌 상태에서 본체(100)의 하단 트임부를 개방하고, 펼친 상태에서 본체(100)의 하단 트임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을 제시함으로써, 선천공 일부항타방식의 공법의 경우라도 선단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하여(바닥이 확실히 막히도록 하여) 안정적인 기초 구조물을 이룰 수 있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하단 개폐형 말뚝{PILE HAVING LID FOR OPENING AND SHUTTING}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파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반에 구조물의 기초를 형성하기 위한 말뚝의 시공방법은 크게, 공장제작말뚝을 항타에 의해 근입하는 방법과, 천공 홀에 배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는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인 항타공법은 말뚝으로서 상하단에 트임부가 형성된 속이 빈 관 구조의 강관이나 PHC파일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구조의 말뚝을 항타하는 경우 토사가 하단의 트임부를 통해 유입되다가 어느 시점부터는 하부 지반에 압밀이 일어나 더 이상 토사의 유입이 발생하지 않으므로(이를 현장에서는 '바닥이 막힌다.'라고 표현한다), 안정적인 기초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항타공법은 시공의 편의성 및 구조의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공 시 항타에 의한 소음이 크게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절충안으로서 일단 지반에 천공 홀을 형성하고, 천공 홀에 그라우트를 일부 충전한 후, 공장제작말뚝을 이에 삽입하고 최종 1m 정도를 항타하는 선천공항타말뚝 시공방법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선천공항타말뚝 시공방법(일부항타방식)의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토질 역학적 문제를 안고 있었다.
첫째, 하단에 트임부가 형성된 말뚝을 불과 1m 정도 항타하므로, 하부 토사의 압밀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바닥이 막히지 않아 안정적인 기초 구조물을 이룰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둘째, 설계 시 "말뚝의 선단 지지력(P)= 말뚝의 바닥 단면적(A) x 흙의 선단(하단) 저항력(Q)"의 공식에 의해 계산되는데, 상술한 이유로 인하여 항타하지 않은 말뚝의 선단저항력은 항타한 말뚝의 그것에 비해 30% 정도 적게 산정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바, 선천공항타말뚝 시공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파일의 수를 늘려야 하므로 공사비용이 증가한다.
셋째, 공장제조말뚝의 일부 항타 시 별도의 가이드수단이 없으므로, 천공 홀 내에서 기울어지거나 위치를 이탈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선천공 일부항타방식의 공법의 경우라도 선단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하여(바닥이 확실히 막히도록 하여) 안정적인 기초 구조물을 이룰 수 있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관 형상의 말뚝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단 중앙부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200); 상기 힌지결합부(200)를 축으로 하는 힌지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하단 트임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힌지결합부(200)에 힌지결합한 한 쌍의 개폐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하단 트임부를 개방하고, 펼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하단 트임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을 제시한다.
천공 홀에 대한 상기 본체(100)의 삽입 작업 중,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에는 임시고정부(40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시고정부(400)는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에 각각 형성된 임시고정핀 결합홈 형성부재(410); 한 쌍의 상기 임시고정핀 결합홈 형성부재(410)의 임시고정핀 결합홈(411)에 공통으로 결합하는 임시고정핀(420); 상기 임시고정핀(420)을 상측으로 당기도록 설치된 임시고정핀 당김줄(4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공 홀에 대한 상기 본체(100)의 삽입 작업 후,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를 펼치도록,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를 상측으로 당기기 위한 개폐부재 폐쇄부(500)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 폐쇄부(500)는 하단이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의 상부에 각각 결합한 개폐부재 당김줄(5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내면 양측에는 각각 당김줄 가이드공 형성부재(110)가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개폐부재 당김줄(510)은 각각 한 쌍의 상기 당김줄 가이드공 형성부재(110)의 당김줄 가이드공(111)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300)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 당김줄(51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 당김줄(510)에는 각각 상기 당김줄 가이드공(111)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51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 당김줄(510) 및 임시고정핀 당김줄(430)의 상단은 모두 전체 당김줄(600)의 하단에 결합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 당김줄(510)의 당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가 펼침 구동을 하기 앞서, 상기 임시고정핀(420)이 상기 임시고정핀 결합홈(411)으로부터 이탈하도록, 상기 임시고정핀 당김줄(430)의 길이가 조절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체 당김줄(600)의 상단에는 부체(610)가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300)의 상면에는 상기 힌지결합부(200)의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강리브(310)가 돌출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300)의 상면에는 상기 보강리브(3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보강리브(320)가 돌출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300)의 상면에는 상기 힌지결합부(200)의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강리브(3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 당김줄(510)은 상기 보강리브(310)에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는 펼친 상태에서의 직경이 상기 본체(100)의 하단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결합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의 하부 영역에 힌지홈(211)이 형성되도록 돌출설치된 힌지홈 형성부재(21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힌지홈 형성부재(210)가 관통하도록 힌지홈 형성부재 관통홈(301)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는 상기 힌지홈(211)에 결합하는 힌지축(330)에 힌지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의 하면에는 상기 힌지축(330)이 공통으로 관통하도록 각각 힌지축 관통홈 형성부재(340)가 하측으로 돌출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선천공 일부항타방식의 공법의 경우라도 선단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하여(바닥이 확실히 막히도록 하여) 안정적인 기초 구조물을 이룰 수 있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말뚝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접힌 상태의 구성도.
도 2는 펼친 상태의 구성도.
도 3은 접힌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접힌 상태의 저면도.
도 5는 펼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펼친 상태의 저면도.
도 7은 개폐부재를 밑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개폐부재를 위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부체가 장착된 실시예의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관 형상의 말뚝 본체(100); 본체(100)의 하단 중앙부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200); 힌지결합부(200)를 축으로 하는 힌지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하단 트임부를 개폐하도록, 힌지결합부(200)에 힌지결합한 한 쌍의 개폐부재(300);를 포함하고, 한 쌍의 개폐부재(300)는 접힌 상태에서 본체(100)의 하단 트임부를 개방하고, 펼친 상태에서 본체(100)의 하단 트임부를 폐쇄하는 구성을 취한다.
즉, 천공 홀에 대한 말뚝(100)의 근입 시에는 한 쌍의 개폐부재(300)가 접힌 상태를 취하도록 하고, 천공 홀의 바닥에 이르러서는 한 쌍의 개폐부재(300)가 펼친 상태를 취하도록 한 것이다.
말뚝(100)의 근입 작업 중 한 쌍의 개폐부재(300)가 접힌 상태를 취하도록 한 이유는, 천공 홀에 존재하는 그라우트 기타 유체의 부력에 의해 말뚝(100)이 부유하여 근입 작업에 방해받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천공 홀의 바닥에 이르러서 한 쌍의 개폐부재(300)가 펼친 상태를 취하도록 한 이유는, 강제로 바닥이 막히도록 함으로써 일부항타만으로도 선단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말뚝은 선천공 일부항타방식의 공법에 적용되는 경우라도 선단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하여(바닥이 확실히 막히도록 하여) 안정적인 기초 구조물을 이룰 수 있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천공 홀에 대한 상기 본체(100)의 삽입 작업 중, 한 쌍의 개폐부재(300)는 접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이를 위하여 한 쌍의 개폐부재(300)는 임시고정부(400)에 의해 임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임시고정부(400)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을 것이나,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개폐부재(300)에 각각 형성된 임시고정핀 결합홈 형성부재(410); 한 쌍의 임시고정핀 결합홈 형성부재(410)의 임시고정핀 결합홈(411)에 공통으로 결합하는 임시고정핀(420); 임시고정핀(420)을 상측으로 당기도록 설치된 임시고정핀 당김줄(4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작업의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한 쌍의 개폐부재(300)가 천공 홀의 바닥에 이르로 자동적으로 접힌 상태에서 펼친 상태로 전환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보다 안정적인 작업을 위해서는 천공 홀에 대한 본체(100)의 삽입 작업 후, 한 쌍의 개폐부재(300)를 펼치도록, 한 쌍의 개폐부재(300)를 상측으로 당기기 위한 별도의 개폐부재 폐쇄부(500)를 더 구비한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폐부재 폐쇄부(500)는 하단이 한 쌍의 개폐부재(300)의 상부에 각각 결합한 개폐부재 당김줄(510);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말뚝이 천공 홀의 바닥에 이르렀을때 위 당김줄(510)을 상부로 당김으로써 안정적으로 한 쌍의 개폐부재(300)를 펼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도 3 내지 6).
본체(100)의 내면 양측에 각각 당김줄 가이드공 형성부재(110)가 설치되고, 한 쌍의 개폐부재 당김줄(510)이 각각 한 쌍의 당김줄 가이드공 형성부재(110)의 당김줄 가이드공(111)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하는 경우, 당김줄(510)의 당김구동에 의한 개폐부재(300)의 펼침구동을 더욱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 쌍의 개폐부재(300)는 힌지결합부(200)를 축으로 힌지구동을 하므로, 말뚝의 근입 작업 중 한 쌍의 개폐부재(300)가 접힌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좌우로 유동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개폐부재(300)가 접힌 상태에서 한 쌍의 개폐부재 당김줄(51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한 쌍의 개폐부재 당김줄(510)에는 각각 당김줄 가이드공(111)에 걸리기 위한 매듭 등의 걸림부(511)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한 쌍의 개폐부재 당김줄(510) 및 임시고정핀 당김줄(430)의 상단은 모두 하나의 전체 당김줄(600)의 하단에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전체 당김줄(600)을 당기는 구동에 의해 임시고정핀(420)의 이탈 및 한 쌍의 개폐부재(300)의 펼침이 모두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한 쌍의 개폐부재 당김줄(510)의 당김에 의해 한 쌍의 개폐부재(300)가 펼침 구동을 하기 앞서, 임시고정핀(420)이 임시고정핀 결합홈(4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임시고정핀 당김줄(430)의 길이가 조절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뚝이 천공 홀 바닥에 이르른 경우, 인력에 의해 전체 당김줄(600)을 당김으로써 상기 구동이 일어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전체 당김줄(600)의 상단에 부체(浮體)(610)가 결합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천공 홀 내에 충전된 그라우트 기타 액체의 부력에 의해 부체(610)가 자동으로 전체 당김줄(600)을 당기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도 9).
개폐부재(300)는 펼친 상태에서 선단지지력을 발휘해야 하므로, 개폐부재(300)의 상면에는 힌지결합부(200)의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강리브(310)가 돌출형성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내지 6).
이와 같이 보강리브(310)가 돌출형성되는 경우, 위 개폐부재 당김줄(510)은 보강리브(310)에 결합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제조의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더욱 강한 보강구조를 이루기 위해서는, 개폐부재(300)의 상면에 보강리브(3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보강리브(320)가 추가로 돌출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한 쌍의 개폐부재(300)의 펼친 상태에서의 직경이 본체(100)의 하단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경우, 말뚝의 슈(선단)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더욱 큰 선단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초 구조물의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말뚝의 수를 줄일 수 있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한 쌍의 개폐부재(300)의 힌지구동을 허용하는 힌지결합부(200)는 다양한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본체(100)의 하단의 하부 영역에 힌지홈(211)이 형성되도록 힌지홈 형성부재(210)가 돌출설치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개폐부재(300)의 힌지구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한 쌍의 개폐부재(300)의 양단에는 각각 힌지홈 형성부재(210)가 관통하도록 힌지홈 형성부재 관통홈(301)이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고, 한 쌍의 개폐부재(300)는 힌지홈(211)에 결합하는 힌지축(330)에 힌지결합한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내지 8).
또한 개폐부재(300)의 원활한 힌지구동을 위하여, 한 쌍의 개폐부재(300)의 하면에는 힌지축(330)이 공통으로 관통하도록 각각 힌지축 관통홈 형성부재(340)가 하측으로 돌출설치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도 7,8).
도 7,8은 한 쌍의 개폐부재(300) 중 하나만을 도시한 것이나, 힌지축 관통홈 형성부재(340)가 대응하는 구조로 설치된 개폐부재가 이와 결합함으로써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힌지결합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당김줄 가이드공 형성부재
111 : 당김줄 가이드공 200 : 힌지결합부
210 : 힌지홈 형성부재 211 : 힌지홈
300 : 한 쌍의 개폐부재 301 : 힌지홈 형성부재 관통홈
310 : 보강리브 320 : 제2 보강리브
330 : 힌지축 340 : 힌지축 관통홈 형성부재
400 : 임시고정부 410 : 임시고정핀 결합홈 형성부재
411 : 임시고정핀 결합홈 420 : 임시고정핀
430 : 임시고정핀 당김줄 500 : 개폐부재 폐쇄부
510 : 개폐부재 당김줄 511 : 걸림부
600 : 전체 당김줄 610 : 부체

Claims (15)

  1. 삭제
  2. 관 형상의 말뚝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단 중앙부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200);
    상기 힌지결합부(200)를 축으로 하는 힌지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하단 트임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힌지결합부(200)에 힌지결합한 한 쌍의 개폐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하단 트임부를 개방하고, 펼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하단 트임부를 폐쇄하는 것이며,
    천공 홀에 대한 상기 본체(100)의 삽입 작업 중,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에는 임시고정부(4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고정부(400)는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에 각각 형성된 임시고정핀 결합홈 형성부재(410);
    한 쌍의 상기 임시고정핀 결합홈 형성부재(410)의 임시고정핀 결합홈(411)에 공통으로 결합하는 임시고정핀(420);
    상기 임시고정핀(420)을 상측으로 당기도록 설치된 임시고정핀 당김줄(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
  4. 제3항에 있어서,
    천공 홀에 대한 상기 본체(100)의 삽입 작업 후,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를 펼치도록,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를 상측으로 당기기 위한 개폐부재 폐쇄부(50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 폐쇄부(500)는
    하단이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의 상부에 각각 결합한 개폐부재 당김줄(5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내면 양측에는 각각 당김줄 가이드공 형성부재(110)가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개폐부재 당김줄(510)은 각각 한 쌍의 상기 당김줄 가이드공 형성부재(110)의 당김줄 가이드공(111)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300)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 당김줄(51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 당김줄(510)에는 각각 상기 당김줄 가이드공(111)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5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 당김줄(510) 및 임시고정핀 당김줄(430)의 상단은 모두 전체 당김줄(600)의 하단에 결합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 당김줄(510)의 당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가 펼침 구동을 하기 앞서, 상기 임시고정핀(420)이 상기 임시고정핀 결합홈(411)으로부터 이탈하도록, 상기 임시고정핀 당김줄(430)의 길이가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당김줄(600)의 상단에는 부체(610)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300)의 상면에는 상기 힌지결합부(200)의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강리브(310)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300)의 상면에는 상기 보강리브(3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보강리브(320)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300)의 상면에는 상기 힌지결합부(200)의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강리브(3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 당김줄(510)은 상기 보강리브(310)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는 펼친 상태에서의 직경이 상기 본체(100)의 하단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의 하부 영역에 힌지홈(211)이 형성되도록 돌출설치된 힌지홈 형성부재(21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힌지홈 형성부재(210)가 관통하도록 힌지홈 형성부재 관통홈(301)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는 상기 힌지홈(211)에 결합하는 힌지축(330)에 힌지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300)의 하면에는 상기 힌지축(330)이 공통으로 관통하도록 각각 힌지축 관통홈 형성부재(340)가 하측으로 돌출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개폐형 말뚝.
KR1020100013747A 2010-02-16 2010-02-16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160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747A KR101160964B1 (ko) 2010-02-16 2010-02-16 하단 개폐형 말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747A KR101160964B1 (ko) 2010-02-16 2010-02-16 하단 개폐형 말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407A KR20110094407A (ko) 2011-08-24
KR101160964B1 true KR101160964B1 (ko) 2012-06-29

Family

ID=4493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747A KR101160964B1 (ko) 2010-02-16 2010-02-16 하단 개폐형 말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5724B (zh) * 2018-03-30 2023-09-15 中铁北京工程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钻桩孔混凝土二次封底灌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033U (ko) * 1997-08-25 1998-11-25 최균영 해저연약지반 모래기둥시공용 케이싱파이프의 문개폐구조
KR20010044658A (ko) * 2001-03-14 2001-06-05 김백영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저진동 저소음 그래뉼러 파일시공장치
KR100451532B1 (ko) 2003-12-22 2004-10-11 석정건설주식회사 포대쇄석 말뚝시공법
JP2008144529A (ja) 2006-12-12 2008-06-26 Shin Nippon Kogyo Kk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杭頭処理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033U (ko) * 1997-08-25 1998-11-25 최균영 해저연약지반 모래기둥시공용 케이싱파이프의 문개폐구조
KR20010044658A (ko) * 2001-03-14 2001-06-05 김백영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저진동 저소음 그래뉼러 파일시공장치
KR100451532B1 (ko) 2003-12-22 2004-10-11 석정건설주식회사 포대쇄석 말뚝시공법
JP2008144529A (ja) 2006-12-12 2008-06-26 Shin Nippon Kogyo Kk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杭頭処理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407A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832B1 (ko) 가변식 확경비트가 구비된 굴착기용 천공 헤드
KR101039042B1 (ko) 말뚝의 보강구조물
KR101023477B1 (ko) 압력그라우팅 쏘일 네일 구조
KR101083281B1 (ko) 스프링을 이용한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160964B1 (ko)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253496B1 (ko) 확장형 앵커의 내하체 구조 및 시공방법
KR101017721B1 (ko) 힌지를 이용한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081400B1 (ko) 하단 개폐형 말뚝
CN109024875A (zh) 一种装配式整体式混凝土构件及施工方法
JP5948068B2 (ja) アンカーを併用した杭の施工方法
KR101172770B1 (ko) 말뚝의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KR101349258B1 (ko) 하단 개폐형 말뚝
KR100912482B1 (ko) 이중 날개형 앵커
KR101081399B1 (ko)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072525B1 (ko) 제거식 어스앵커체
KR20130095107A (ko) 천공 확대부 유지장치와 그 유지방법
KR20120009396A (ko) 말뚝의 보강구조물
KR101420844B1 (ko) 말뚝의 보강구조물
JPH0781272B2 (ja) 応力材の設置工法
KR101272640B1 (ko) 그라운드 앵커 어셈블리
KR101449648B1 (ko) 말뚝의 보강구조물
KR101859152B1 (ko) 매입말뚝 조립체
KR101218722B1 (ko)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JP5021049B2 (ja) 底盤用の反力装置および底盤の構築方法
KR101988301B1 (ko) 연약지반에 앵커체를 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