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648B1 - 말뚝의 보강구조물 - Google Patents

말뚝의 보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648B1
KR101449648B1 KR1020120126076A KR20120126076A KR101449648B1 KR 101449648 B1 KR101449648 B1 KR 101449648B1 KR 1020120126076 A KR1020120126076 A KR 1020120126076A KR 20120126076 A KR20120126076 A KR 20120126076A KR 101449648 B1 KR101449648 B1 KR 101449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coupled
main body
pai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9527A (ko
Inventor
강명석
강준아
Original Assignee
강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석 filed Critical 강명석
Priority to KR102012012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64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2Pile s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6Protect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형상의 말뚝(100)의 하단 트임부(101)를 통해 말뚝(100)에 결합하는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말뚝(100)의 내면에 일방향 결합하도록 형성된 일방향 결합부(210); 말뚝(1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장슈를 형성하도록, 일방향 결합부(210)의 하부에 결합한 확장슈 형성부재(220); 일방향 결합부(210)가 말뚝(100)의 하단 트임부(101)를 통해 내측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일방향 결합부(210)와 말뚝(100)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메워, 일방향 결합부(210)를 고정하는 고정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보강구조물(200)을 제시함으로써, 선단 확장슈의 장착에 소요되는 수고와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시 확장슈의 파손 우려가 없도록 한다.

Description

말뚝의 보강구조물{REINFORCEMENT STRUCTURE FOR PILE}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말뚝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반에 구조물의 기초를 형성하기 위한 말뚝의 시공방법은 크게, 공장제작말뚝을 항타에 의해 근입하는 방법과, 천공 홀에 배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는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인 항타공법은 말뚝으로서 상하단에 트임부가 형성된 속이 빈 관 구조의 강관이나 PHC말뚝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구조의 말뚝을 항타하는 경우 토사가 하단의 트임부를 통해 유입되다가 어느 시점부터는 하부 지반에 압밀이 일어나 더 이상 토사의 유입이 발생하지 않으므로(이를 현장에서는 '바닥이 막힌다.'라고 표현한다), 안정적인 기초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항타공법은 시공의 편의성 및 구조의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공 시 항타에 의한 소음이 크게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후자인 현장타설공법은 위와 반대의 장단점을 갖는다.
한편, 최근 항타공법에서 말뚝의 하단에 말뚝의 직경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는 슈(선단 확장슈)를 장착하여 시공하는 방식이 개발된바 있는데, 이는 말뚝의 슈(선단)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더욱 큰 선단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초 구조물의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말뚝의 수를 줄일 수 있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법에 있어서는, 선단 확장슈를 말뚝의 하단에 장착하는 구조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첫째, 선단 확장슈를 미리 공장에서 말뚝의 하단에 장착하여 현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운반 및 보관이 불편하다는 점이다.
둘째, 현장에서 선단 확장슈를 용접 등에 의해 장착하는 경우에는, 그 작업에 소요되는 수고와 시간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된다는 점이다.
셋째, 시공을 위하여 장비에 의해 말뚝을 일으켜 세우다가 장착된 확장슈가 파손되기 쉽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선단 확장슈의 장착에 소요되는 수고와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시 확장슈의 파손 우려가 없도록 하는 말뚝의 보강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관 형상의 말뚝(100)의 하단 트임부(101)를 통해 상기 말뚝(100)에 결합하는 보강구조물로서, 상기 말뚝(100)의 내면에 일방향 결합하도록 형성된 일방향 결합부(210); 상기 말뚝(1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장슈를 형성하도록, 상기 일방향 결합부(210)의 하부에 결합한 확장슈 형성부재(220); 상기 일방향 결합부(210)가 상기 말뚝(100)의 하단 트임부(101)를 통해 내측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일방향 결합부(210)와 상기 말뚝(100)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메워, 상기 일방향 결합부(210)를 고정하는 고정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보강구조물(200)을 제시한다.
상기 일방향 결합부(210)는 상기 확장슈 형성부재(220)에 결합한 본체(211); 폭이 상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상기 본체(211)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부(2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경사부(212)를 따라 상하방향 구동하도록 설치된 쐐기부(231); 상기 쐐기부(23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2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슈 형성부재(220)의 심부에는 슬러지 배출공(223)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232)는 가요성 재질에 의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쐐기부(231)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슬러지 배출공(223)을 통해 하부로 노출되며, 중앙부는 상기 본체(211)의 방향전환부(213)에 걸려 구동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구동부재(232)의 타단을 하측으로 당기면, 상기 구동부재(232)의 일단에 결합한 상기 쐐기부(231)가 상향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전환부(213)는 상기 본체(211)의 중앙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전환부(213)는 상기 경사부(212)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211)는 판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231)는 상기 본체(211)의 측면을 따라 구동하는 측면구동부(231a); 상기 측면구동부(231a)의 양단에 결합한 한 쌍의 가이드부(231b);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재(232)는 한 쌍이 각각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231b)에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구동부(231a)는 롤러 구조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231b)에 대하여 롤링구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형 구조의 본체(211)는 한 쌍이 상호 "+"자형 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슈 형성부재(220)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말뚝(100)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말뚝 안내부(240)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말뚝 안내부(240)의 내면은 상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슈 형성부재(220)는 상기 본체(211)의 하부에 결합한 힌지축(221); 힌지구동에 의해 상기 말뚝(100)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힌지축(221)에 힌지결합한 한 쌍의 개폐부재(22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222)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말뚝(100)의 하단을 개방하고, 펼친 상태에서 상기 말뚝(100)의 하단을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222)는 종단면이 반원형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222)의 중앙부에는 슬러지 배출공(223)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선단 확장슈의 장착에 소요되는 수고와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시 확장슈의 파손 우려가 없도록 하는 말뚝의 보강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2는 제1 실시예의 결합상태에 관한 공정도.
도 3은 제2 실시예의 부분사시도.
도 4는 제3 실시예의 부분사시도.
도 5는 제4 실시예의 평면도.
도 6,7은 제5 실시예의 구동상태에 관한 사시도.
도 8,9는 제6 실시예의 시공상태에 관한 공정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 형상의 말뚝(100)의 하단 트임부(101)를 통해 말뚝(100)에 결합하는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말뚝(100)의 내면에 일방향 결합하도록 형성된 일방향 결합부(210); 말뚝(1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장슈를 형성하도록, 일방향 결합부(210)의 하부에 결합한 확장슈 형성부재(220); 일방향 결합부(210)가 말뚝(100)의 하단 트임부(101)를 통해 내측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일방향 결합부(210)와 말뚝(100)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메워, 일방향 결합부(210)를 고정하는 고정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확장슈 형성부재(220)를 말뚝(100)의 하단에 결합하기 위한 구조로서, 확장슈 형성부재(220)가 결합한 일방향 결합부(210)을 말뚝(100) 하단의 트임부에 삽입하고, 일방향 결합부(210)와 말뚝(100)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별도의 고정부(230)에 의해 메워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강관 말뚝의 경우에는 외경 및 내경의 치수가 일정하게 제작되므로 확장슈 형성부재(220)의 결합이 용이하지만, PHC 파일 등의 콘크리트 말뚝의 경우에는 외경은 비교적 일정하지만 내경이 일정하지 않으므로(10mm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음) 확장슈 형성부재(220)의 결합이 실질적으로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보강구조물을 적용하는 경우, 일단 일방향 결합부(210)를 말뚝(100)의 하단 트임부(101)에 삽입한 후, 일방향 결합부(210)와 말뚝(100) 내면 사이의 간극을 별도의 고정부(230)에 의해 메워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말뚝(100)의 내경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일방향 결합부(210)는 말뚝(100)의 내경보다 어느 정도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고(하단 트임부(101)를 통한 삽입을 위해), 확장슈 형성부재(220)에 결합한 본체(211); 폭이 상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본체(211)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경사부(212)가 형성되는 경우, 고정부(230)가 경사부(212)를 타고 상측으로 구동하면서 일방향 결합부(210)와 말뚝(100)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메워 쐐기작용에 의해 보강구조물을 고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고정부(230)는 구체적으로, 경사부(212)를 따라 상하방향 구동하도록 설치된 쐐기부(231); 쐐기부(23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쐐기부(231)는 일방향 결합부(210)와 말뚝(100)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역할을 하고, 구동부재(232)는 말뚝(100) 외부에서 쐐기부(231)를 상향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확장슈 형성부재(220)의 심부에 슬러지 배출공(223)이 형성되는 경우, 외부에서 구동부재(232)에 의해 쐐기부(231)를 상향구동시키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구동부재(232)는 가요성 재질에 의한 끈, 천, 와이어 등의 구성을 취하며, 일단은 쐐기부(231)에 결합하고, 타단은 슬러지 배출공(223)을 통해 하부로 노출되며, 중앙부는 본체(211)의 방향전환부(213)에 걸려 구동방향이 전환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동부재(232)의 타단을 하측으로 당기면, 구동부재(232)의 일단에 결합한 쐐기부(231)가 상향구동하게 되므로, 말뚝(100) 외부에서 쐐기부(231)를 용이하게 상향구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방향전환부(213)는 말뚝(100) 외부에서 구동부재(232)의 타단을 하측으로 당기는 구동의 방향을 전환하여, 말뚝(100) 내부에서 쐐기부(231)가 상향구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홈 구조, 돌기에 의한 걸림 구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방향전환부(213)는 본체(211)의 중앙부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힘 전달의 효율성 측면에서 좋고, 경사부(212)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 보강구조물(200)을 천공 홀 근처에 세워두고, 장비에 의해 말뚝(100)을 운반하여 보강구조물(200) 위에 내려놓은 후, 위 구동부재(232)를 외측으로 당기는 작업에 의해 말뚝과 보강구조물(200)의 결합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도 1,2).
따라서 종래와 같이 선단 확장슈의 장착에 소요되는 수고와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상술한 작업에 의해 보강구조물(200)이 결합한 말뚝을 다시 장비에 의해 들어올려 천공 홀에 삽입하면 되므로 시공시 확장슈의 파손 우려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일방향 결합부(210)는 말뚝(100)의 하단 내면과의 마찰에 의해 결합하여 말뚝의 하단이 천공 홀 바닥에 이르기까지만 결합을 유지하면 되므로, 대단히 강한 결합을 이룰 필요는 없다.
천공 홀 바닥에 이른 이후에는 항타에 의해 말뚝(100)과 보강구조물(200)이 서로 결합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쐐기부(231)가 일방향 결합부(210)를 어느 정도의 강도로 말뚝(100) 내면에 결합시킬 정도로 구동부재(232)를 당기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체(211)가 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쐐기부(231)는 본체(211)의 측면을 따라 구동하는 측면구동부(231a); 측면구동부(231a)의 양단에 결합한 한 쌍의 가이드부(231b);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쐐기부(231)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3).
이때 구동부재(232)는 한 쌍이 각각 한 쌍의 가이드부(231b)에 결합하는 것이 위와 동일한 이유로 바람직하다.
측면구동부(231a)가 롤러 구조에 의해 형성되어, 한 쌍의 가이드부(231b)에 대하여 롤링구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쐐기부(231)의 상향구동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추가된다(도 4).
판형 구조의 본체(211)는 하나만이 설치될 수도 있으나, 한 쌍이 상호 "+"자형 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경우, 더욱 안정적인 장착이 가능해진다(도 5).
일방향 결합부(210)가 말뚝(100)의 하단 트임부(101)를 통해 삽입되면서, 말뚝(100)의 중심과 확장슈 형성부재(220)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래야 만이 말뚝과 확장슈에 불필요한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아 최대의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확장슈 형성부재(220)의 상면 양측에 말뚝(100)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말뚝 안내부(240)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2).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일방향 결합부(210)가 말뚝(100)의 하단 트임부(101)를 통해 삽입되면서, 자연스럽게 말뚝 안내부(240)의 가이드에 의해 말뚝(100)의 중심과 확장슈 형성부재(220)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게 되기 때문이다.
말뚝 안내부(240)의 내면이 상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취하는 경우, 상술한 작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확장슈 형성부재(220)는 말뚝(1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선단 지지력을 증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다.
다만, 확장슈 형성부재(220)가 일방향 결합부(210)의 본체(211)의 하부에 결합한 힌지축(221); 힌지구동에 의해 말뚝(100)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힌지축(221)에 힌지결합한 한 쌍의 개폐부재(222);를 포함하고, 한 쌍의 개폐부재(222)는 접힌 상태에서 말뚝(100)의 하단을 개방하고, 펼친 상태에서 말뚝(100)의 하단을 폐쇄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천공 홀에 대한 말뚝의 삽입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충분한 선단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도 6 내지 9).
즉, 천공 홀에 대한 말뚝의 근입작업 중에는 한 쌍의 개폐부재(222)가 접힌 상태를 취하도록 하고(도 7,8), 천공 홀의 바닥에 이르러서는 한 쌍의 개폐부재(222)가 펼친 상태를 취하도록 한 것이다(도 6,9).
말뚝의 근입 작업 중 한 쌍의 개폐부재(222)가 접힌 상태를 취하도록 한 이유는, 천공 홀에 존재하는 그라우트 기타 유체의 부력에 의해 말뚝이 부유하여 근입 작업에 방해받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천공 홀의 바닥에 이르러서 한 쌍의 개폐부재(222)가 펼친 상태를 취하도록 한 이유는, 강제로 바닥이 막히도록 함으로써 일부항타만으로도 선단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말뚝은 선천공 일부항타방식의 공법에 적용되는 경우라도 선단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하여(바닥이 확실히 막히도록 하여) 안정적인 기초 구조물을 이룰 수 있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개폐부재(222)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파일이 원형 단면의 구조를 취하는 경우, 개폐부재(222) 또한 종단면이 반원형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개폐부재(222)가 펼친 상태에서 원형 종단면 구조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개폐부재(222)의 중앙부에 슬러지 배출공(223)이 형성되는 경우, 말뚝(100)이 천공 홀의 저면에 이르른 상태에서 강도를 거의 발휘할 수 없는 슬러지를 상측으로 배출하고, 단단한 지반에 말뚝(100)의 하단(확장슈)이 정착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도 6,7).
또한 슬러지 배출공(223)을 통해 말뚝(100)의 외부에서 구동부재(232)를 외측으로 당기는 작업이 가능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말뚝 101 : 트임부
200 : 보강구조물 210 : 일방향 결합부
211 : 본체 212 : 경사부
213 : 방향전환부 220 : 확장슈 형성부재
221 : 힌지축 222 : 개폐부재
223 : 슬러지 배출공 230 : 고정부
231 : 쐐기부 232 : 구동부재
240 : 말뚝 안내부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관 형상의 말뚝(100)의 하단 트임부(101)를 통해 상기 말뚝(100)에 결합하는 보강구조물로서,
    상기 말뚝(100)의 내면에 일방향 결합하도록 형성된 일방향 결합부(210);
    상기 말뚝(1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장슈를 형성하도록, 상기 일방향 결합부(210)의 하부에 결합한 확장슈 형성부재(220);
    상기 일방향 결합부(210)가 상기 말뚝(100)의 하단 트임부(101)를 통해 내측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일방향 결합부(210)와 상기 말뚝(100)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메워, 상기 일방향 결합부(210)를 고정하는 고정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일방향 결합부(210)는
    상기 확장슈 형성부재(220)에 결합한 본체(211);
    폭이 상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상기 본체(211)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부(212);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경사부(212)를 따라 상하방향 구동하도록 설치된 쐐기부(231);
    상기 쐐기부(23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232);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슈 형성부재(220)의 심부에는 슬러지 배출공(223)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232)는 가요성 재질에 의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쐐기부(231)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슬러지 배출공(223)을 통해 하부로 노출되며, 중앙부는 상기 본체(211)의 방향전환부(213)에 걸려 구동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구동부재(232)의 타단을 하측으로 당기면, 상기 구동부재(232)의 일단에 결합한 상기 쐐기부(231)가 상향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보강구조물(2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213)는 상기 본체(211)의 중앙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보강구조물(2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213)는 상기 경사부(212)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보강구조물(200).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1)는 판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231)는
    상기 본체(211)의 측면을 따라 구동하는 측면구동부(231a);
    상기 측면구동부(231a)의 양단에 결합한 한 쌍의 가이드부(231b);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재(232)는 한 쌍이 각각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231b)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보강구조물(20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구동부(231a)는 롤러 구조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231b)에 대하여 롤링구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보강구조물(200).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구조의 본체(211)는 한 쌍이 상호 "+"자형 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보강구조물(200).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슈 형성부재(220)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말뚝(100)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말뚝 안내부(240)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보강구조물(2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 안내부(240)의 내면은 상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보강구조물(200).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슈 형성부재(220)는
    상기 본체(211)의 하부에 결합한 힌지축(221);
    힌지구동에 의해 상기 말뚝(100)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힌지축(221)에 힌지결합한 한 쌍의 개폐부재(22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222)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말뚝(100)의 하단을 개방하고, 펼친 상태에서 상기 말뚝(100)의 하단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보강구조물(20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222)는 종단면이 반원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 말뚝의 보강구조물(20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222)의 중앙부에는 슬러지 배출공(2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보강구조물(200).
KR1020120126076A 2012-11-08 2012-11-08 말뚝의 보강구조물 KR101449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076A KR101449648B1 (ko) 2012-11-08 2012-11-08 말뚝의 보강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076A KR101449648B1 (ko) 2012-11-08 2012-11-08 말뚝의 보강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527A KR20140059527A (ko) 2014-05-16
KR101449648B1 true KR101449648B1 (ko) 2014-10-13

Family

ID=5088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076A KR101449648B1 (ko) 2012-11-08 2012-11-08 말뚝의 보강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6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721B1 (ko) * 2010-05-07 2011-02-25 강명석 힌지를 이용한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039042B1 (ko) * 2010-07-22 2011-06-03 강명석 말뚝의 보강구조물
KR101081400B1 (ko) * 2011-03-22 2011-11-08 강명석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172770B1 (ko) * 2011-04-18 2012-08-09 강명석 말뚝의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721B1 (ko) * 2010-05-07 2011-02-25 강명석 힌지를 이용한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039042B1 (ko) * 2010-07-22 2011-06-03 강명석 말뚝의 보강구조물
KR101081400B1 (ko) * 2011-03-22 2011-11-08 강명석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172770B1 (ko) * 2011-04-18 2012-08-09 강명석 말뚝의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527A (ko)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0101B2 (ja) 鉄筋篭又は鋼管の建て込み工法並びに該工法に用いるフロート装置と該装置の撤去方法
JP2013136922A (ja) 山留め壁の支持方法、山留め壁の支持構造、及び地下躯体の構築方法
US20120195693A1 (en)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039042B1 (ko) 말뚝의 보강구조물
KR101415694B1 (ko) 부력방지 앵커가 설치된 기존 구조물의 하부에 신규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1449648B1 (ko) 말뚝의 보강구조물
KR100680113B1 (ko) 도로 및 단지의 사면보강 쐐기식 지압형 앵커
KR101083281B1 (ko) 스프링을 이용한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017721B1 (ko) 힌지를 이용한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081400B1 (ko) 하단 개폐형 말뚝
CN102444129A (zh) 一种沉管灌注桩的活动进料斗及施工方法
JP6542036B2 (ja) 杭基礎構造
JP5215030B2 (ja) 構造物
KR101525214B1 (ko) 말뚝의 시공방법
KR102560550B1 (ko) 엄지말뚝 시공용 강재 조립 파일
KR101955631B1 (ko) 튜브형으로 제작된 성토지지용 말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성토지지용 말뚝
KR20120013668A (ko) 주면마찰력이 강화된 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1420844B1 (ko) 말뚝의 보강구조물
KR101172770B1 (ko) 말뚝의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KR101160964B1 (ko)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398910B1 (ko) 선단확장형 파일
KR101349258B1 (ko) 하단 개폐형 말뚝
KR101218722B1 (ko)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KR20110057339A (ko) 지중열교환기 시공방법
KR101859152B1 (ko) 매입말뚝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