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411B1 -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 - Google Patents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411B1
KR102453411B1 KR1020200173815A KR20200173815A KR102453411B1 KR 102453411 B1 KR102453411 B1 KR 102453411B1 KR 1020200173815 A KR1020200173815 A KR 1020200173815A KR 20200173815 A KR20200173815 A KR 20200173815A KR 102453411 B1 KR102453411 B1 KR 102453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alignment
alignment guide
regions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3502A (ko
Inventor
장근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스엔피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73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41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3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1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는, 선별 캐리어들의 트레이에 탑재된 농산물을 이송시키면서 농산물을 중량별로 선별하는 선별장치의 프론트 가이드와 중량측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트레이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중량측정부 측으로 안내되게 하는 것으로,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는, 선별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프론트 가이드와 중량측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는 선별 캐리어의 이송 경로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는 상단 측에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 사이를 지나는 선별 캐리어들의 트레이 하부 양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이격 배치된다.

Description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ALIGNMENT GUIDE FOR CARRIER}
본 발명(Disclosure)은,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선별할 농산물을 탑재한 상태로 이송하는 선별 캐리어들의 트레이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림 없이 중량측정부로 진입할 수 있게 하는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농산물의 선별은 생산된 농산물을 상품화시키는 공정으로, 수확된 농산물에 대한 균일한 선별은 농산물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그로 인해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농산물에 대한 선별작업은 주로 인력에 의존해 왔으나, 최근에는 균일한 선별, 시간 단축 및 작업효율 향상을 위해 농산물 선별기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농산물 선별기는 선별 형식에 따라 중량식 선별기, 형상식 선별기, 영상처리 선별기, 당도 선별기, 숙도 선별기 등으로 분류된다.
한편, 전술한 농산물 선별기들은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농산물을 중량별로 선별하는 전자식 중량선별기는 선별한 농산물들을 장입시키는 장입장치와, 장입된 농산물을 일렬로 정렬시키면서 하나씩 공급하는 정렬공급장치 및 정렬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농산물을 넘겨 받아 이송시키면서 농산물을 중량별로 선별하고 선별된 농산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선별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정렬공급장치에서 선별장치 측으로 공급되는 농산물은 선별장치의 선별 캐리어에 하나씩 탑재 상태로 농산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 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중량측정부를 통과한 농산물은 기 설정된 선별값에 따라 수과대로 배출된다.
이때, 농산물의 중량은 중량측정부에 구비된 통상의 로드 셀(load cell)에 의해 감지되고, 선별된 농산물은 선별값에 대응되게 마련된 선별영역에서 선별 캐리어의 트레이를 선회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수과대로 배출된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전자식 중량선별기에서는 농산물이 탑재된 트레이가 일측으로 치우쳐 탑재되는 농산물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좌우로 흔들리며 중량측정부로 진입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트레이가 중량측정부의 로드 셀을 지지하는 웨이바 등에 부딪혀 농산물이 낙과하거나 트레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7918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7186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02770호.
본 발명(Disclosure)은, 이격 배치된 선별장치의 프론트 가이드와 중량측정부를 연결하는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선별 캐리어들의 트레이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림 없이 중량측정부로 진입할 수 있게 하는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르면, 선별 캐리어들의 트레이에 탑재된 농산물을 이송시키면서 농산물을 중량별로 선별하는 선별장치의 프론트 가이드와 중량측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트레이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중량측정부 측으로 안내되게 하는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에 있어서,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는, 선별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프론트 가이드와 중량측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는 선별 캐리어의 이송 경로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는 상단 측에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 사이를 지나는 선별 캐리어들의 트레이 하부 양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에서,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는 측면에서 봤을 때 프론트 가이드 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영역, 중량측정부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영역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며, 제 1 영역들은 각각 인접한 프론트 가이드의 연장단과 이어지는 외측면 측으로 연장되고, 제 2 영역들은 각각 인접한 중량측정부의 슬라이더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에서, 제 1 영역들에는 제 1 영역들 사이 폭이 프론트 가이드 측으로 점층적으로 넓어지도록 각각 제 1 영역들의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에서, 제 1 영역들의 상단 측에는 프론트 가이드의 연장단을 빠져나온 선별 캐리어들의 트레이 하부 양측이 접촉되면서 안내되는 경사 정렬로들 및 제 1 수평 정렬로들이 형성되되, 경사 정렬로들은 제 1 영역의 연장단에서부터 제 2 영역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 1 수평 정렬로들은 각각의 경사 정렬로에서 각각의 제 2 영역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에서, 마주하는 제 1 영역의 하부 측은 고정 로드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고정 로드들은 선별장치의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에서, 제 2 영역들의 연장단 측은 슬라이더들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에서, 제 2 영역들의 상단 측에는 제 1 수평 정렬로들을 빠져나온 선별 캐리어들의 트레이 하부 양측이 접촉되면서 안내되는 제 2 수평 정렬로들이 형성되되, 제 2 수평 정렬로들은 제 1 수평 정렬로와 이어짐과 동시에 각각의 슬라이더와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가 서로 이격된 프론트 가이드와 중량측정부를 연결시키고, 프론트 가이드를 빠져 나온 선별 캐리어의 트레이 하부 양측이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의 경사 정렬로, 제 1 수평 정렬로 및 제 2 수평 정렬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며 안내되기 때문에 기울어진 트레이를 바르게 정렬시킴과 동시에 흔들림 없이 트레이를 중량측정부 측으로 진입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가 설치된 전자식 중량선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난 도면.
도 2는 도 1의 "A"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를 평면에서 바라 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가 설치된 전자식 중량선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100)는 통상의 전자식 중량선별기를 구성하는 선별장치(10)의 프런트 가이드(12)와 중량측정부(20)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선별장치(10)의 프런트 가이드(12)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선별장치(10)의 일단 측 상부에 설치된 정렬공급장치(30)로부터 농산물을 공급 받을 수 있게 선별 캐리어(14)들의 트레이(16) 하부 양측을 지지하며, 농산물이 탑재된 선별 캐리어(14)들이 중량측정부(20) 측으로 이송되도록 선별 캐리어(14)들의 이송을 안내한다.
그리고 선별장치(10)의 중량측정부(20)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농산물이 탑재된 상태로 이송되는 선별 캐리어(14)의 트레이(16) 하부 양측에 접촉해 농산물의 중량을 측정한다.
이러한 중량측정부(20)는 선별 캐리어(14)의 트레이(16) 하부 양측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전달받아 농산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 셀(22; load cell)과, 각각의 로드 셀(22)들을 지지하는 웨이바(24) 및 이송되는 선별 캐리어(14)들의 트레이(16)를 안내함과 동시에 트레이(16)의 하부 양측에 접촉되어 트레이(16)에 탑재된 농산물의 하중을 각각의 로드 셀(22)에 전달하는 슬라이더(26)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선별 캐리어(14)들은 체인 컨베이어(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어 체인 컨베이어를 따라 순환 이송되는 것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1의 도면부호 "28"은 체인 컨베이어를 구동시켜 선별 캐리어(14)들을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프론트 가이드(12)와 중량측정부(20) 사이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100)는 이격 배치된 프론트 가이드(12)와 중량측정부(20)를 연결시키며, 프론트 가이드(12)를 따라 이송된 선별 캐리어(14)들의 트레이(16)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림 없이 중량측정부(20)로 진입할 수 있게 안내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100)는 선별장치(10)의 프론트 가이드(12)와 중량측정부(2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110a, 110b)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110a, 11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장치(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110a, 110b)는 이송되는 선별 캐리어(14)들에 간섭되지 않게 선별 캐리어(14)의 이송 경로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110a, 110b)는 상단 측에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110a, 110b) 사이를 지나는 선별 캐리어(14)의 트레이(16) 하부 양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이격 배치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110a, 110b)는 측면에서 봤을 때 프론트 가이드(12) 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영역(112a, 112b)과, 중량측정부(20)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영역(114a, 114b)으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110a, 110b)들의 제 1 영역(112a, 112b)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인접한 프론트 가이드(12)의 연장단과 이어지는 외측면 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1 영역(112a, 112b)들에는 프론트 가이드(12)들의 연장단 측이 제 1 영역(112a, 112b)들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되고, 이송하는 선별 캐리어(14)의 트레이(16) 하부 양측에 광범위하게 접촉되도록 각각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110a, 110b)의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16a, 116b)를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 1 영역(112a, 112b)들 사이의 폭은 절곡부(116a, 116b)에 의해 프론트 가이드(12) 측으로 점층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영역(112a, 112b)들의 상단 측에는 제 1 영역(112a, 112b)의 연장단에서부터 제 2 영역(114a, 114b)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정렬로(118a, 118b) 및 각각의 경사 정렬로(118a, 118b)에서 각각의 제 2 영역(114a, 114b)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제 1 수평 정렬로(120a, 120b)들이 형성된다.
일례로, 선별 캐리어(14)의 트레이(16)는 탑재되는 농산물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이송되거나 대략 둥근 형상을 가지는 농산물에 의해 좌우 측으로 흔들리며 이송되는데, 이러한 상태로 이송되는 선별 캐리어(14)의 트레이(16) 하부 양측은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110a, 110b)들의 제 1 영역(112a, 112b)으로 진입함과 동시에 경사 정렬로(118a, 118b)를 따라 올라오고, 이에 의해 트레이(16)는 어느 측으로도 기울어짐 없이 바르게 정렬된다. 여기서,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체인 컨베이어가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져 있기 때문에 체인 컨베이어에 설치된 선별 캐리어(14)의 트레이(16)는 경사 정렬로(118a, 118b)를 따라 오를 수 있다.
그리고 경사 정렬로(118a, 118b)를 빠져나온 선별 캐리어(14)의 트레이(16)는 하부 양측이 제 1 수평 정렬로(120a, 120b)를 따라 안내되는데, 이에 의해 트레이(16)는 흔들림 없이 제 2 영역(114a, 114b)으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영역(112a, 112b)을 형성하는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110a, 110b)들의 하부 측은 선별 캐리어(14)들이 설치되는 체인 컨베이어에 간섭되지 않게, 즉 체인 컨베이어의 상부측 직선부와 하부측 직선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로드(122)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고정 로드(122)들은 선별장치(10)의 프레임(F) 상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 로드(122)와 선별장치(10)의 프레임(F)의 연결 관계를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고정 로드(122)가 선별장치(10)의 프레임(F)에 설치될 수 있다면 어떠한 연결 관계를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110a, 110b)들의 제 2 영역(114a, 114b)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인접한 중량측정부(20)의 슬라이더(26) 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2 영역(114a, 114b)들의 연장단 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6)들에 끼워지는데, 이를 위해서 슬라이더(26)들에는 제 2 영역(114a, 114b)의 연장단 측이 삽입되는 절개홈(124)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영역(114a, 114b)들의 상단 측에는 이웃한 제 1 영역(112a, 112b)들의 제 1 수평 정렬로(120a, 120b)와 이어짐과 동시에 각각의 슬라이더(26)와 이어지는 제 2 수평 정렬로(126a, 126b)들이 형성된다.
즉,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110a, 110b)들의 제 1 영역(112a, 112b)들의 제 1 수평 정렬로(120a, 120b)를 따라 안내되는 선별 캐리어(14)의 트레이(16)는 제 1 수평 정렬로(120a, 120b)들을 빠져나오면서 제 2 수평 정렬로(126a, 126b)들 측으로 진입하고, 제 2 수평 정렬로(126a, 126b)들로 진입한 선별 캐리어(14)의 트레이(16)는 하부 양측이 제 2 수평 정렬로(126a, 126b)를 따라 안내되는데, 이에 의해 트레이(16)는 흔들림 없이 제 2 수평 정렬로(126a, 126b)를 빠져 나오면서 중량측정부(20)의 슬라이더(26) 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100)는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110a, 110b)가 서로 이격된 프론트 가이드(12)와 중량측정부(20)를 연결시키고, 프론트 가이드(12)를 빠져 나온 선별 캐리어(14)의 트레이(16) 하부 양측이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110a, 110b)의 경사 정렬로(118a, 118b), 제 1 수평 정렬로(120a, 120b) 및 제 2 수평 정렬로(126a, 126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어 안내되기 때문에 기울어진 트레이(16)를 바르게 정렬시킴과 동시에 흔들림 없이 트레이(16)를 중량측정부(20) 측으로 진입시킬 수 있게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선별 캐리어들의 트레이에 탑재된 농산물을 이송시키면서 농산물을 중량별로 선별하는 선별장치의 프론트 가이드와 중량측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상기 중량측정부 측으로 안내되게 하는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는,
    상기 선별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상기 프론트 가이드와 상기 중량측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는 상기 선별 캐리어의 이송 경로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는 상단 측에 상기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 사이를 지나는 상기 선별 캐리어들의 상기 트레이 하부 양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정렬 가이드 부재는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프론트 가이드 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영역, 상기 중량측정부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영역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영역들은 각각 인접한 상기 프론트 가이드의 연장단과 이어지는 외측면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영역들은 각각 인접한 상기 중량측정부의 슬라이더 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 2 영역들의 연장단 측은 상기 슬라이더들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되는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들에는 상기 제 1 영역들 사이 폭이 상기 프론트 가이드 측으로 점층적으로 넓어지도록 각각 상기 제 1 영역들의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는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들의 상단 측에는 상기 프론트 가이드의 연장단을 빠져나온 상기 선별 캐리어들의 상기 트레이 하부 양측이 접촉되면서 안내되는 경사 정렬로들 및 제 1 수평 정렬로들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 정렬로들은 상기 제 1 영역의 연장단에서부터 상기 제 2 영역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 1 수평 정렬로들은 각각의 상기 경사 정렬로에서 각각의 상기 제 2 영역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주하는 상기 제 1 영역의 하부 측은 고정 로드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 로드들은 상기 선별장치의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는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들의 상단 측에는 상기 제 1 수평 정렬로들을 빠져나온 상기 선별 캐리어들의 상기 트레이 하부 양측이 접촉되면서 안내되는 제 2 수평 정렬로들이 형성되되,
    상기 제 2 수평 정렬로들은 상기 제 1 수평 정렬로와 이어짐과 동시에 각각의 상기 슬라이더와 이어지는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
KR1020200173815A 2020-12-11 2020-12-11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 KR102453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815A KR102453411B1 (ko) 2020-12-11 2020-12-11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815A KR102453411B1 (ko) 2020-12-11 2020-12-11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502A KR20220083502A (ko) 2022-06-20
KR102453411B1 true KR102453411B1 (ko) 2022-10-11

Family

ID=8225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815A KR102453411B1 (ko) 2020-12-11 2020-12-11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4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1555A (ja) * 2014-11-28 2016-06-02 日本協同企画株式会社 果菜搬送選別方法、果菜搬送選別装置及び果菜載せ用トレ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7918A (ko) 2009-01-29 2010-08-06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과일용 트레이 정렬 장치, 과일 품질 판정 장치 및 이들을 구비한 수박 선별 장치
KR101602770B1 (ko) 2014-10-30 2016-03-11 대한민국 로드셀이 적용된 하부낙하식 중량 선별장치
KR102115081B1 (ko) * 2018-04-27 2020-05-26 주식회사 한성엔지니어링 중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별 시스템
KR102171867B1 (ko) 2020-03-13 2020-10-29 (주)에스엔피시스템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1555A (ja) * 2014-11-28 2016-06-02 日本協同企画株式会社 果菜搬送選別方法、果菜搬送選別装置及び果菜載せ用ト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502A (ko)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1532B1 (en) Transporter / sorter and transport box
KR200438754Y1 (ko) 과일 선별기
JP6762354B2 (ja) 転向可能重量選別機
KR101709752B1 (ko) 어류 중량 선별장치
KR102504509B1 (ko) 과일 크기별 안정적 이송이 가능한 과일 선별장치
DE68907693D1 (de) Eiersammelvorrichtung.
US8530772B2 (en) Document sorting machine
US8558132B2 (en) Document sorting machine
US4964499A (en) Sorting conveyor system
US4413690A (en) Weighing cup
KR102453411B1 (ko)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
JP4413982B1 (ja) 2段移送手段用仕分装置
JP3369151B2 (ja) 青果物の選別装置
JP2579006Y2 (ja) 作物選別装置
KR20190125044A (ko) 중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별 시스템
JP5834155B1 (ja) 果菜自動選別装置
JP4097349B2 (ja) 容器式重量検出装置
JP2002086076A (ja) 農産物の選別収集装置
JP2012106864A (ja) トレイの載置位置検出方法
JP7462929B2 (ja) 果菜自動選別装置
JP6734530B2 (ja) 物品選別装置
JP2016153119A (ja) 果菜自動選別装置
JP2016153119A5 (ko)
JP5133714B2 (ja) 組合せ計量装置
EP0115916A1 (en) Improved sor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