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255B1 - 조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255B1
KR102453255B1 KR1020210033861A KR20210033861A KR102453255B1 KR 102453255 B1 KR102453255 B1 KR 102453255B1 KR 1020210033861 A KR1020210033861 A KR 1020210033861A KR 20210033861 A KR20210033861 A KR 20210033861A KR 102453255 B1 KR102453255 B1 KR 102453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fixing member
upper plate
bracket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234A (ko
Inventor
이연창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210033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25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조리 장치는 조리 기구가 안착되는 상면 및 상기 상면에 반대되는 하면을 갖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홀을 갖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홀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 기구를 가열시키도록 구성된 열원; 상기 고정 부재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열원의 외측으로 연장된 브라켓;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원 및 상기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열원 결합 부재; 및 상기 열원의 하부 및 측부를 감싸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열원과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는 상면을 갖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COOK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HTOD OF THE SAM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조리 성능이 개선된 조리 장치 및 제조 비용이 절감된 조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레인지는 전기를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기구일 수 있다. 전기레인지는 히터의 발열을 통해 조리 기구를 열 전달 방식으로 가열시키는 하이라이트 장치, 및 코일을 통해 조리 기구를 자기 유도 방식으로 가열시키는 인덕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레인지의 하이라이트 장치 및 인덕션 장치는 케이싱의 일 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전기레인지가 장기가 사용될 경우, 상기 케이싱은 하이라이트 장치 및 인덕션 장치의 무게 및 상기 케이싱 자체의 열 변형에 의해 늘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이 늘어지는 경우, 하이라이트 장치 및 인덕션 장치의 늘어짐에 의해 전기 레인지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 중 하나는 하이라이트 장치 및 인덕션 장치의 늘어짐을 방지하여 조리 장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 중 하나는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조리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로, 조리 기구가 안착되는 상면 및 상기 상면에 반대되는 하면을 갖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홀을 갖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홀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 기구를 가열시키도록 구성된 열원; 상기 고정 부재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열원의 외측으로 연장된 브라켓;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원 및 상기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열원 결합 부재; 및 상기 열원의 하부 및 측부를 감싸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열원과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는 상면을 갖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홀, 및 상기 제1 홀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홀을 갖고, 판(plate) 형상으로 제공된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원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기 제1 홀에 배치된 하이라이트 장치,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기 제2 홀에 배치된 인덕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이라이트 장치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1 브라켓, 및 상기 인덕션 장치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열원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이라이트 장치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제1 나사 못, 및 상기 제2 브라켓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덕션 장치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제2 나사 못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컨트롤 장치; 및 상기 컨트롤 장치 및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 장치 및 상기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컨트롤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접착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실리콘 포스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열원은 상기 실리콘 포스트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원 결합 부재는 상기 브라켓 및 상기 실리콘 포스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원 및 상기 실리콘 포스트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로,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 부재가 갖는 복수의 홀들에 열원 및 컨트롤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열원 및 상기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컨트롤 장치 및 상기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원 및 상기 컨트롤 장치의 측부를 감싸도록 케이싱을 상기 고정 부재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의 하면이 상부를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열원 및 상기 컨트롤 장치의 동작을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하이라이트 장치 및 인덕션 장치는 상부 플레이트에 부착된 고정 부재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이라이트 장치 및 상기 인덕션 장치는 케이싱과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조리 장치의 케이싱의 늘어짐에도 불구하고, 하이라이트 장치 및 인덕션 장치는 늘어지지 않고 상부 플레이트와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열원을 고정 부재와 결합시킬 수 있어서, 열원 및 케이싱을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조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열원 및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 지지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어서,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 및 고정 부재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 및 고정 부재의 결합도이다.
도 4는 비교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는 비교 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조 방법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조 방법의 각 단계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개시의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100) 및 고정 부재(110)의 분리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100) 및 고정 부재(110)의 결합도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는 전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수용하는 조리 기구(예를 들어, 냄비 등)를 가열시키도록 구성된 장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리 장치(10)는 전기를 사용하여 조리 기구를 가열시키도록 구성된 전기레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는 전기에 의해 동작되는 열원(120)을 포함하는 전기레인지일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조리 장치(10)는 다양한 방식들로 동작되는 열원을 포함하는 다양한 조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는 히터의 발열을 통해 조리 기구를 열 전달 방식으로 가열시킬 수 있고, 유도 코일을 통해 조리 기구를 자기 유도 방식으로 가열시킬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는 상부 플레이트(100), 고정 부재(110), 열원(120), 브라켓(130), 열원 결합 부재(140), 컨트롤 장치(150), 컨트롤 결합 부재(160), 케이싱(170), 및 접착 물질(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00)는 냄비와 같은 조리 기구들이 안착되는 상면(100S1), 및 상기 상면(100S1)에 반대되고 케이싱(170)을 향하는 하면(100S2)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플레이트(100)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플레이트(100)는 강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부 플레이트(100)의 물질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 부재(110)는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100S2)에 결합되고, 열원(120)을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부재일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10)는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100S2)의 일 부분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홀들(110H)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10)가 갖는 복수의 홀들(110H) 중 일부는 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원 형상의 복수의 홀들(110H) 중 제1 홀(110Ha)은 하이라이트 장치(123)가 탑재되는 홀일 수 있고, 제2 홀(110Hb)은 인덕션 장치(125)가 탑재되는 홀일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10)가 갖는 복수의 홀들(110H) 중 일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각형 형상의 제3 홀(110Hc)은 컨트롤 장치(150)가 탑재되는 홀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10)는 케이싱(17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가이드(11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가이드(115)는 열원(120)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10)는 판(plate)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110)가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고정 부재(110)는 접착 물질(180)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10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10)는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고정 플레이트(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물질(180)은 실리콘 및 양면 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10)는 포스트(post)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10)는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100S2)에 부착된 실리콘 포스트(도 6, 11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열원(120)은 고정 부재(110)의 복수의 홀들(110H)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부 플레이트(100)의 상면(100S1) 상의 조리 기구를 가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열원(120)은 히터의 발열을 통해 조리 기구를 열 전달 방식으로 가열시키도록 구성된 하이라이트 장치(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라이트 장치(123)는 고정 부재(110)의 제1 홀(110Ha)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라이트 장치(123)는 고정 부재(110)의 중심 부분에 제공되는 제1 홀(110Ha)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열원(120)은 유도 코일 내의 전류를 통해 조리 기구를 자기 유도 방식으로 가열시키도록 구성된 인덕션 장치(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장치(125)는 고정 부재(110)의 제2 홀(110Hb)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덕션 장치(125)는 고정 부재(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제공되는(제1 홀(110Ha)의 외측에 제공되는) 제2 홀(110Hb)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는 상부 플레이트(100)의 중심 부분에서 1개의 하이라이트 장치(123)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 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2개의 인덕션 장치(12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조리 장치(10)가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장치(123) 및 인덕션 장치(125)의 개수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열원(120)의 상부는 상기 열원(120)의 부분 중 고정 부재(110)와 인접한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고, 열원(120)의 하부는 상기 열원(120)의 부분 중 케이싱(170)과 인접한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브라켓(130)은 열원(120) 및 고정 부재(110)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후술할 열원 결합 부재(140)와 함께 제공되는 부속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브라켓(130)은 고정 부재(110)의 하면(110S2)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열원(12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열원(12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30)은 열원 결합 부재(140)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 홀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브라켓(130)은 열원(120)과 체결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브라켓(130)은 열원(120)과 일체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130)은 사출 공정을 통해 열원(120)과 일체화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브라켓(130)은 하이라이트 장치(123)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1 브라켓(133), 및 인덕션 장치(125)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2 브라켓(135)을 포함할 수 있다.
열원 결합 부재(140)는 고정 부재(110) 및 브라켓(1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110) 및 브라켓(130)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열원 결합 부재(140)는 제1 브라켓(133) 및 고정 부재(110) 사이에 배치되고, 하이라이트 장치(123) 및 상기 고정 부재(110)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제1 나사 못(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원 결합 부재(140)는 제2 브라켓(135) 및 고정 부재(110) 사이에 배치되고, 인덕션 장치(125) 및 상기 고정 부재(110)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제2 나사 못(14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나사 못(143)은 머리부(143a) 및 상기 머리부(143a)와 연결된 몸통부(143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나사 못(143)의 머리부(143a)는 브라켓(13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나사 못(143)의 몸통부(143b)는 고정 부재(110) 및 브라켓(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나사 못(145)의 머리부 및 몸통부에 관련된 기술적 사상은 제1 나사 못(143)의 머리부(143a) 및 몸통부(143b)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케이싱(170)은 열원(120)의 하부 및 측부를 둘러싸도록 상부 플레이트(100)와 결합될 수 있다. 케이싱(170)은 열원(120)을 향하는 상면(170a), 및 상기 상면(170a)에 반대되는 하면(170b)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싱(170)의 하면(170b)은 조리 장치(10)의 외관을 규정하는 면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케이싱(170)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케이싱(170)의 물질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케이싱(170)은 열원(120)의 하부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케이싱(170)의 상면(170a)은 열원(120)의 하부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싱(170)의 상면(170a)은 열원(120)의 하면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가 포함하는 열원(120)은 상부 플레이트(100)에 부착된 고정 부재(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원(120)은 케이싱(170)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케이싱(170)의 열 변형에 의한 늘어짐에도 불구하고, 하이라이트 장치(123) 및 인덕션 장치(125)를 포함하는 열원(120)은 늘어지지 않을 수 있다. 즉, 케이싱(170)의 늘어짐에도 불구하고, 열원(120)은 상부 플레이트(100)와 일정 거리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는 케이싱(170)의 열 변형에도 불구하고 균일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비교 예에 따른 조리 장치(10')의 단면도이다.
비교 예에 따른 조리 장치(10')는 상부 플레이트(100'), 열원(120'), 지지 부재(140'), 및 케이싱(1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비교 예에 따른 조리 장치(10')의 열원(120')은 케이싱(170')의 상면에 결합된 지지 부재(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0')는 열원(120') 및 케이싱(170')을 연결시키는 지지 프레임(143') 및 상기 열원(120')에 수직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른 조리 장치(10')의 경우, 케이싱(170')이 늘어지는 경우, 상기 케이싱(170')에 의해 지지되는 열원(120') 역시 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원(120') 및 상부 플레이트(100') 사이의 이격 거리는 유지되지 않고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장치(10')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a)의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a)는 상부 플레이트(100), 고정 부재(110), 열원(120), 브라켓(130), 열원 결합 부재(140), 및 케이싱(1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열원(120)은 하이라이트 장치(123)를 포함할 수 있고, 브라켓(130)은 제1 브라켓(133)을 포함할 수 있고, 열원 결합 부재(140)는 제1 나사 못(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열원(120)은 인덕션 장치(125)를 포함할 수 있고, 브라켓(130)은 제2 브라켓(135)을 포함할 수 있고, 열원 결합 부재(140)는 제2 나사 못(145)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이라이트 장치(123), 제1 브라켓(133), 및 제1 나사 못(143)의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인덕션 장치(125), 제2 브라켓(135), 및 제2 나사 못(145)의 기술적 사상은 하이라이트 장치(123), 제1 브라켓(133), 및 제1 나사 못(143)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다.
고정 부재(110)는 판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부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110a)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10a)는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100S2)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홀(110Ha)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이라이트 장치(123)는 고정 플레이트(110a)의 제1 홀(110H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33)은 하이라이트 장치(123)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브라켓(133)이 고정 플레이트(110a)의 일부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 브라켓(133)은 하이라이트 장치(123)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이라이트 장치(123)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나사 못(143)은 제1 브라켓(133)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브라켓(133) 및 고정 플레이트(110a)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a)의 경우, 하이라이트 장치(123)는 케이싱(170)에 의해 지지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하이라이트 장치(123)는 제1 나사 못(143)을 통해 고정 플레이트(110a)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장치(10a)의 케이싱(170)이 늘어지는 경우에도, 하이라이트 장치(123)는 늘어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하이라이트 장치(123) 및 상부 플레이트(100) 사이의 이격 거리는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장치(10')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b)의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b)는 상부 플레이트(100), 고정 부재(110), 열원(120), 브라켓(130), 열원 결합 부재(140), 및 케이싱(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의 조리 장치(10b) 및 도 5의 조리 장치(10a)의 중복된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의 조리 장치(10b)의 고정 부재(110)는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100S2)에 부착된 제1 실리콘 포스트(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리콘 포스트(110b)는 하이라이트 장치(123)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리콘 포스트(110b)는 제1 브라켓(133)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100S2)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나사 못(143)은 제1 브라켓(133)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브라켓(133) 및 제1 실리콘 포스트(110b)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 부재(110)는 인덕션 장치(125)의 외곽에 배치되고, 제2 브라켓(135)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100S2)에 부착된 제2 실리콘 포스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나사 못(145)을 통과하여, 상기 제2 브라켓(135) 및 제2 실리콘 포스트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7는 비교 예에 따른 조리 장치(20')의 단면도이다.
비교 예에 따른 조리 장치(20')는 상부 플레이트(100'), 컨트롤 장치(150'), 컨트롤 박스(210'), 지지 부재(220'), 및 케이싱(17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장치(150')는 컨트롤 박스(2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210')는 케이싱(170')에 결합된 지지 부재(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른 조리 장치(20')의 경우, 케이싱(170')이 늘어지는 경우, 상기 케이싱(170')에 의해 지지되는 컨트롤 박스(210') 역시 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 장치(150') 및 상부 플레이트(100') 사이의 이격 거리는 유지되지 않고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장치(10')의 컨트롤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20a)의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예 따른 조리 장치(20a)는 상부 플레이트(100), 고정 부재(110), 컨트롤 장치(150), 컨트롤 결합 부재(160), 및 케이싱(17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10)는 판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부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110a)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10a)는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100S2)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3 홀(110c)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장치(150)는 고정 플레이트(110a)의 제3 홀(110H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장치(150)는 컨트롤 결합 부재(160)를 통해 고정 플레이트(110a)와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컨트롤 결합 부재(160)는 컨트롤 장치(150) 및 고정 플레이트(110a)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 장치(150)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a)를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결합 부재(160)는 나사 못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20a)의 경우, 컨트롤 장치(150)는 케이싱(170)에 의해 지지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컨트롤 장치(150)는 컨트롤 결합 부재(160)를 통해 고정 플레이트(110a)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장치(20a)의 케이싱(170)이 늘어지는 경우에도, 컨트롤 장치(150)는 늘어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컨트롤 장치(150) 및 상부 플레이트(100) 사이의 이격 거리는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장치(20a)의 컨트롤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20b)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의 조리 장치(20b) 및 도 8의 조리 장치(20a)의 중복된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의 조리 장치(20b)의 고정 부재(110)는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100S2)에 부착된 제3 실리콘 포스트(1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리콘 포스트(110c)는 컨트롤 장치(150)의 가장자리 부분과 중첩되도록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면(100S2)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결합 부재(160)는 컨트롤 장치(150)의 일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컨트롤 장치(150) 및 제3 실리콘 포스트(110c)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의 제조 방법(S100)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의 제조 방법(S100)의 각 단계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의 제조 방법(S100)은 상부 플레이트(100)에 고정 부재(110)를 결합시키는 단계(S1100), 상기 고정 부재(110)에 열원(120) 및 컨트롤 장치(150)를 결합시키는 단계(S1200), 및 고정 부재(110)에 케이싱(170)을 결합시키는 단계(S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S1100 단계는, 상부 플레이트(100) 및 고정 부재(110)를 접착 물질(180)을 통해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10)는 전술한 고정 플레이트(110a)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 부재(110)는 전술한 실리콘 포스트(110b)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S1200 단계는, 고정 부재(110) 상에 열원(120) 및 컨트롤 장치(150)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200 단계는, 고정 부재(110)의 제1 홀(110Ha)에 하이라이트 장치(123)를 배치하는 단계, 고정 부재(110)의 제2 홀(110Hb)에 인덕션 장치(125)를 배치하는 단계, 및 고정 부재(110)의 제3 홀(110Hc)에 컨트롤 장치(150)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1200 단계는, 열원(120) 및 컨트롤 장치(150)를 고정 부재(110)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200 단계는 열원(120)을 열원 결합 부재(140)를 통해 고정 부재(110)와 결합시키는 단계, 및 컨트롤 장치(150)를 컨트롤 결합 부재(160)를 통해 고정 부재(110)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S1300 단계는, 열원(120) 및 컨트롤 장치(150)를 감싸도록 케이싱(170)을 고정 부재(110)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케이싱(170)은 고정 부재(110)의 결합 가이드(115)와 결합될 수 있다.
종래의 조리 장치 조립 방법은, 케이싱(170)에 열원(120) 및 컨트롤 장치(150)를 결합시킨 이후, 상부 플레이트(100)를 케이싱(170)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케이싱(170)의 하면(170b)이 상부를 향하는 상태에서, 열원(120) 및 컨트롤 장치(150)의 동작을 검사하고, 방열을 위한 팬(미도시)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조립 상태의 조리 장치를 뒤집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케이싱(170)에 열원(120) 및 컨트롤 장치(150)가 결합될 수 있어서, 열원(120) 및 컨트롤 장치(150)의 개수 및 크기에 기초하여 케이싱(170)의 구조 및 크기가 결정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의 제조 방법(S100)은 상부 플레이트(100)에 부착된 고정 부재(110)에 열원(120) 및 컨트롤 장치(150)가 결합될 수 있어서, 케이싱(170)의 구조 및 크기는 열원(120) 및 컨트롤 장치(150)의 개수 및 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표준화된 크기의 케이싱(170)이 복수의조리 장치 제조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의 제조 방법(S100)은 케이싱(170)에 결합되어 열원(120) 및 컨트롤 장치(15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예를 들어, 도 4의 지지 부재(140')를 별도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의 제조 방법(S100)은 조리 장치(10)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조리 장치 100: 상부 플레이트
110: 고정 부재 120: 열원
130: 브라켓 140: 열원 결합 부재
150: 컨트롤 장치 160: 컨트롤 결합 부재
170: 케이싱 180: 접착 물질

Claims (8)

  1. 조리 기구가 안착되는 상면 및 상기 상면에 반대되는 하면을 갖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에 접착 물질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홀을 갖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홀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 기구를 가열시키도록 구성된 열원;
    상기 열원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부재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열원의 외측으로 연장된 브라켓;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을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열원 결합 부재;
    상기 열원의 하부 및 측부를 감싸도록 상기 고정 부재의 결합 가이드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열원과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는 상면을 갖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물질과 상이한 물질을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상기 고정 부재의 다른 홀에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이격된 컨트롤 장치; 및
    상기 컨트롤 장치와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 장치를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컨트롤 결합 부재;
    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1 홀, 및 상기 제1 홀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2 홀을 갖고, 판(plate) 형상으로 제공된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원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기 제1 홀에 배치된 하이라이트 장치,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기 제2 홀에 배치된 인덕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이라이트 장치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1 브라켓, 및 상기 인덕션 장치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열원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이라이트 장치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제1 나사 못, 및 상기 제2 브라켓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덕션 장치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제2 나사 못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실리콘 포스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열원은 상기 실리콘 포스트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원 결합 부재는 상기 브라켓 및 상기 실리콘 포스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을 상기 실리콘 포스트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7.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 부재가 갖는 복수의 홀들에 열원 및 컨트롤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열원 및 상기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컨트롤 장치 및 상기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원 및 상기 컨트롤 장치의 측부를 감싸도록 상기 고정 부재의 결합 가이드에 케이싱을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물질과 상이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고정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열원 및 상기 컨트롤 장치는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된 조리 장치 제조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면이 상부를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열원 및 상기 컨트롤 장치의 동작을 검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제조 방법.
KR1020210033861A 2021-03-16 2021-03-16 조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53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861A KR102453255B1 (ko) 2021-03-16 2021-03-16 조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861A KR102453255B1 (ko) 2021-03-16 2021-03-16 조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234A KR20220129234A (ko) 2022-09-23
KR102453255B1 true KR102453255B1 (ko) 2022-10-12

Family

ID=8344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861A KR102453255B1 (ko) 2021-03-16 2021-03-16 조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2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308B2 (ja) * 1990-03-27 2000-09-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2016177957A (ja) * 2015-03-19 2016-10-06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308B2 (ja) * 1990-03-27 2000-09-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2016177957A (ja) * 2015-03-19 2016-10-06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234A (ko)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0278B2 (en)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
EP3076754B1 (e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its assembling
US9603202B2 (e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AU2014224800B2 (en) Induction hob
EP3297402B1 (en) Induction cooking device
KR101846088B1 (ko) 유로분리 냉각구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453255B1 (ko) 조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3996470A1 (en) Induction cooking apparatus with heatsink
KR100651989B1 (ko) 전기 레인지
KR100931759B1 (ko) 전기그리들의 베이스판조립체
JP6478738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219761362U (zh) 一种线圈盘组件及烹饪设备
KR102419666B1 (ko) 전기 레인지
US20210410236A1 (en) Cooking appliance
CN112399658B (zh) 固定架和烹饪器具
JP2011258368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KR960002819Y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내솥 가이드 장치
US20220386427A1 (en) Electric range
KR102187890B1 (ko) 조리 장치
CN219287759U (zh) 电磁加热组件以及电磁烹饪器具
KR102142414B1 (ko) 조리 장치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
JPWO2012102009A1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101498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20060669A (ko) 전기 레인지
JP4184331B2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