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251B1 - 종이용 프라이머 - Google Patents

종이용 프라이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251B1
KR102453251B1 KR1020220086552A KR20220086552A KR102453251B1 KR 102453251 B1 KR102453251 B1 KR 102453251B1 KR 1020220086552 A KR1020220086552 A KR 1020220086552A KR 20220086552 A KR20220086552 A KR 20220086552A KR 102453251 B1 KR102453251 B1 KR 102453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aper
pulp
pr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성특수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성특수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성특수지
Priority to KR1020220086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0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3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05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nly
    • D21H17/13Silicon-containing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3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37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polyacrylat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4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5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 D21H17/57Polyureas;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21H17/675Oxides, hydroxides or carbonat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8Reinforc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0Packing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22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disinfecting, antiseptic, or corrosion-inhibiting paper antistatic, antioxygenic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및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종이용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종이용 프라이머{Primer for paper}
본 발명은 종이용 프라이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종이 및 종이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종이용 프라이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에 있어 고형물이라 함은 물이나 기름 또는 이것이 포함된 식품을 말하고, 비닐봉지나 알루미늄 호일 또는 플라스틱 포장지 등을 이용하여 포장되고 있으나, 요즈음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따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포장지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상기 고형물들은 종이류의 포장지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수지는 내수, 내유성이 우수하고 열접착기능이 있는 폴리에틸렌을 코팅하여 사용하고 있다.
특히 종이백, 종이컵을 비롯한 종이용기 및 성형물은 폴리에틸렌 칩에 고온의 열을 가해 용해시킨 후, 원지에 열융착 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데, 이때 폴리에틸렌 칩의 용해공정에서 발암물질로 추정되는 휘발성 유기용제가 발생되고 이는 대기오염을 수발한다. 또한, 재활용 과정이 어렵고 매립을 하여도 자연분해되지 않아서 처리비용이 높아 대부분 소각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종래 제품은 사용/폐기과정에서 환경호르몬 방출의 위험이 높아 식품위생 및 안전성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환경파괴 및 자원의 재활용 관점에서 그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종이를 이용한 포장 기술에 있어서, 과일, 채소 등의 신선식품을 포장하는 데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신선식품들은 많은 화학제인 살균제, 살충제 농약을 사용하게 되어 종이로 포장함에 있어서 과일에 직접 접촉되는 농약은 차단할 수 있으나 과일을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원료에 화학제인 살균제, 살충제 농약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농약이 과피에 잔류하게 되어 농약에 대한 안정성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적인 종이백, 종이컵, 종이포장지 등을 친환경적이며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10-0598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쇼핑백 등의 폴리에틸렌 라미네이션을 대체 가능하며, 종이 터짐 방지 효과와 내구성이 우수한 종이용 프라이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친환경적인 포장 기술을 도입할 수 있으며, 과일, 야채 등의 신선식품 보관용으로 적용하는 경우 과일 또는 야채의 부패를 방지하고 보관기간을 늘리며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및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종이용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원지; 및
상기 종이 표면에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및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종이용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종이용 프라이머는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27-31 중량부,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 16-20 중량부, 탄산칼슘 0.5-4 중량부, 실란계 화합물 0.1-2 중량부, 물 35-39 중량부 및 에탄올 11-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90,000이고 아크릴아미드 단량체 단위 58-62 중량부 및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38-42 중량부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는 아크릴 폴리우레탄이고,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고,
상기 항균 조성물은 입자크기 10-30 nm의 산화아연 입자 18-22 중량부, 입자크기 10-30 nm의 아산화구리 입자 13-17 중량부 및 입자크기 10-30 nm의 은 나노입자 10-14 중량부, 대나무 분말 23-27 중량부, 마카 추출물 21-25 중량부 및 아연염화합물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대나무로 제조한 펄프 30-34 중량부 및 물 66-70 중량부를 포함하는 펄프 원료를 해리기에 투입하여 해리하는 단계;
해리된 펄프 원료를 고해기를 이용하여 고해하고, 고해된 펄프 원료를 정선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펄프 원료에 항균 조성물 0.1-2 중량부 및 물 67-71 중량부를 첨가한 후 스크리닝하는 단계;
스크리닝한 펄프 원료를 이용하여 습지를 제조하고, 습지를 압착 및 건조하여 원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지에 종이용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종이용 프라이머를 130-150℃의 온도에서 25-35초 동안 건조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종이용 프라이머는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27-31 중량부,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 16-20 중량부, 탄산칼슘 0.5-4 중량부, 실란계 화합물 0.1-2 중량부, 물 35-39 중량부 및 에탄올 11-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90,000이고 아크릴아미드 단량체 단위 58-62 중량부 및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38-42 중량부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는 아크릴 폴리우레탄이고,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고,
상기 항균 조성물은 입자크기 10-30 nm의 산화아연 입자 18-22 중량부, 입자크기 10-30 nm의 아산화구리 입자 13-17 중량부 및 입자크기 10-30 nm의 은 나노입자 10-14 중량부, 대나무 분말 23-27 중량부, 마카 추출물 21-25 중량부 및 아연염화합물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용 프라이머는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및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를 기반으로 하여 쇼핑백 등의 폴리에틸렌 라미네이션을 대체 가능하며, 종이 터짐 방지 효과와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은 친환경적인 포장 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는 것으로, 과일, 야채 등의 신선식품 보관용으로 적용하는 경우 과일 또는 야채의 부패를 방지하고 보관기간을 늘리며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종이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및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종이용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종이용 프라이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용 프라이머는 종이 표면에 종이를 보호하기 위한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용 조성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종이용 프라이머는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및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를 기반으로 하여 쇼핑백 등의 폴리에틸렌 라미네이션을 대체 가능하며, 종이 터짐 방지 효과와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종이용 프라이머는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27-31 중량부,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 16-20 중량부, 탄산칼슘 0.5-4 중량부, 실란계 화합물 0.1-2 중량부, 물 35-39 중량부 및 에탄올 11-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28-30 중량부,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 17-19 중량부, 탄산칼슘 1-3 중량부, 실란계 화합물 0.5-1.5 중량부, 물 36-38 중량부 및 에탄올 12-1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29 중량부,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 18 중량부, 탄산칼슘 2 중량부, 실란계 화합물 1 중량부, 물 37 중량부 및 에탄올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90,000이고 아크릴아미드 단량체 단위 58-62 중량부 및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38-42 중량부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아미드 단량체 단위 59-61 중량부 및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39-41 중량부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아미드 단량체 단위 60 중량부 및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상기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로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산의 공중합체를 적용하되 6:4의 중량비율로 형성된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종이 터짐 방지 효과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상기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는 아크릴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폴리우레탄은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olytetramehtyleneglycol; PTMG), 디메틸올프로피온산(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diisocyanate; IPDI)를 혼합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에 희석시킨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으로 상기 프리폴리머를 중화시키고, 상기 중화된 프리폴리머에 증류수를 투입하여 수분산시킨 후, 사슬 연장제로 에틸렌디아민(ethylene diamine; EDA)을 첨가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고,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aacrylate; MMA)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2,2'-azobisisobutyronitrile; AIBN)을 첨가한 후 교반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로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아크릴 폴리우레탄을 적용하여 종이 표면에 코팅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내구성을 더욱 높여준다.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이용 프라이머는 용매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종이용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종이에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원지; 및
상기 종이 표면에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및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종이용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종이용 프라이머는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27-31 중량부,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 16-20 중량부, 탄산칼슘 0.5-4 중량부, 실란계 화합물 0.1-2 중량부, 물 35-39 중량부 및 에탄올 11-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90,000이고 아크릴아미드 단량체 단위 58-62 중량부 및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38-42 중량부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는 아크릴 폴리우레탄이고,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고,
상기 항균 조성물은 입자크기 10-30 nm의 산화아연 입자 18-22 중량부, 입자크기 10-30 nm의 아산화구리 입자 13-17 중량부 및 입자크기 10-30 nm의 은 나노입자 10-14 중량부, 대나무 분말 23-27 중량부, 마카 추출물 21-25 중량부 및 아연염화합물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종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는 원지를 포함하고, 상기 원지는 항균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입자크기 10-30 nm의 산화아연 입자 18-22 중량부, 입자크기 10-30 nm의 아산화구리 입자 13-17 중량부 및 입자크기 10-30 nm의 은 나노입자 10-14 중량부, 대나무 분말 23-27 중량부, 마카 추출물 21-25 중량부 및 아연염화합물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자크기 10-30 nm의 산화아연 입자 19-21 중량부, 입자크기 10-30 nm의 아산화구리 입자 14-16 중량부 및 입자크기 10-30 nm의 은 나노입자 11-13 중량부, 대나무 분말 24-26 중량부, 마카 추출물 22-24 중량부 및 아연염화합물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입자크기 10-30 nm의 산화아연 입자 20 중량부, 입자크기 10-30 nm의 아산화구리 입자 15 중량부 및 입자크기 10-30 nm의 은 나노입자 12 중량부, 대나무 분말 25 중량부, 마카 추출물 23 중량부 및 아연염화합물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 조성물을 종이에 적용하여 과일, 야채 등의 신선식품 보관용으로 적용하는 경우 과일 또는 야채의 부패를 방지하고 보관기간을 늘리며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산화아연 입자는 광촉매로 사용되는 물질로, 항균 조성물로 종이에 적용하여 항균성능을 향상시킨다. 상기 산화아연 입자는 나노크기로 적용되어 우수한 항균 효과와 더불어 살균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아산화구리 입자는 저렴하고 다량으로 존재하는 물질로, 생태 독성이 적어 항균성 재료로서 적용한다.
상기 은 나노입자는 은 이온을 포함하여 살균, 소독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물질로서, 항균 조성물로 적용하여 종이의 항균 성능을 향상시킨다.
상기 대나무 분말은 친환경적이고 항균, 탈취 및 곰팡이 억제 기능을 발휘하고, 독성 중화 및 각종 유해물질 중화효과가 있으며, 안전하고 인체 건강에 유익함을 줄 수 있으며, 대나무 성분에 의해 일반적인 종이 특유의 냄새를 제거함과 동시에 대나무 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대나무 분말은, 대나무 및 대나무 잎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대나무 및 대나무 잎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동결건조된 대나무 및 대나무잎을 분쇄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카(Maca)는 학명이 Lepidium meyenii Walp로서 십자화과(Brassicaceae) 다닥냉이속(Lepidium genus)에 속하는 일년 또는 이년생 초본식물이다. 십자화과에는 매우 중요한 식물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전분식물류(starch plant), 지방종자류, 채소류, 향신류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마카는 전분식물류에 해당된다. 마카는 순무 또는 감자의 형태와 유사한 둥그런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것을 ‘배축(지하부, hypocotyl)’이라 부르며 재배되는 동안 계속 발육한다. 마카는 2차 대사산물 성분에 대한 연구와 주로 불임 개선 및 성기능 강화와 관련된 생리 활성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상기 마카 추출물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며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다. 상기 마카 추출물은 천연항균제로서 종이 자체에 적용되어 유해 세균을 억제한다.
상기 마카 추출물은 마카를 세척하여 마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마카를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마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마카 분말을 물과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120-14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1차 마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90-110℃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및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2차 마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된 1차 마카 추출물 및 2차 마카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열수추출로 상대적 고온에서 추출물을 제조한 후, 남은 고형물을 상대적 저온에서 장시간 동안 추출물을 제조하여 유효성분 추출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아연염화합물은 탈취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 염화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대나무로 제조한 펄프 30-34 중량부 및 물 66-70 중량부를 포함하는 펄프 원료를 해리기에 투입하여 해리하는 단계;
해리된 펄프 원료를 고해기를 이용하여 고해하고, 고해된 펄프 원료를 정선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펄프 원료에 항균 조성물 0.1-2 중량부 및 물 67-71 중량부를 첨가한 후 스크리닝하는 단계;
스크리닝한 펄프 원료를 이용하여 습지를 제조하고, 습지를 압착 및 건조하여 원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지에 종이용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종이용 프라이머를 130-150℃의 온도에서 25-35초 동안 건조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종이용 프라이머는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27-31 중량부,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 16-20 중량부, 탄산칼슘 0.5-4 중량부, 실란계 화합물 0.1-2 중량부, 물 35-39 중량부 및 에탄올 11-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90,000이고 아크릴아미드 단량체 단위 58-62 중량부 및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38-42 중량부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는 아크릴 폴리우레탄이고,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고,
상기 항균 조성물은 입자크기 10-30 nm의 산화아연 입자 18-22 중량부, 입자크기 10-30 nm의 아산화구리 입자 13-17 중량부 및 입자크기 10-30 nm의 은 나노입자 10-14 중량부, 대나무 분말 23-27 중량부, 마카 추출물 21-25 중량부 및 아연염화합물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도 1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종이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내었으며,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이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의 제조방법은 대나무로 제조한 펄프 30-34 중량부 및 물 66-70 중량부를 포함하는 펄프 원료를 해리기에 투입하여 해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대나무를 펄프화한 대나무 펄프 원료를 사용한다. 상기 대나무는 친환경적이고 기본적으로 탈취 성능, 독성 중화 및 각종 유해물질 중화효과를 가지고 있어 이를 이용하여 원지를 제조하여 사용하며, 후단에서 이러한 대나무로 제조한 펄프 원료와 함께 천연항균제를 도입하여 항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대나무 기반의 펄프 원료를 적용하여 더욱 경제적이다.
상기 펄프 원료는 펄프 31-33 중량부 및 물 67-6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펄프 32 중량부 및 물 6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농도의 펄프를 포함하는 펄프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종이 자체의 물성에 문제 없이 종이를 제조할 수 있고, 더욱이 후단에서 적용되는 항균 조성물의 적용이 용이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종이의 제조방법은 해리된 펄프 원료를 고해기를 이용하여 고해하고, 고해된 펄프 원료를 정선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는 고해 및 정선하는 단계로서, 고해기 및 정선기를 이용하여 고해 및 이물질 제거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하고난 후, 상기 펄프 원료에 사이징제, 보류향상제 또는 기타 첨가제를 적용하여 종이 재질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추가적인 공정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종이의 제조방법은 이물질이 제거된 펄프 원료에 항균 조성물 0.1-2 중량부 및 물 67-71 중량부를 첨가한 후 스크리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펄프 원료는 펄프 30-34 중량부 및 물 66-70 중량부를 포함하고, 여기에 항균 조성물 0.1-2 중량부를 혼합하며, 여기에 더해 물을 67-71 중량부를 첨가한 후 스크리닝을 수행한다. 상기 스크리닝은 스크린을 통과시켜 고른 혼합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정선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펄프 원료에 항균 조성물은 0.1-2 중량부, 0.5-1.5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를 첨가하고, 물 67-71 중량부, 68-70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69 중량부를 첨가한다. 항균 조성물을 첨가함과 동시에 펄프 원료의 농도를 낮춘 후 스크리닝을 수행하여 고른 혼합을 이룬다.
상기 펄프 원료에 포함되는 항균 조성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항균 효과가 부족하거나, 종이 재질 자체 물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입자크기 10-30 nm의 산화아연 입자 18-22 중량부, 입자크기 10-30 nm의 아산화구리 입자 13-17 중량부 및 입자크기 10-30 nm의 은 나노입자 10-14 중량부, 대나무 분말 23-27 중량부, 마카 추출물 21-25 중량부 및 아연염화합물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술한 종이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종이의 제조방법은 스크리닝한 펄프 원료를 이용하여 습지를 제조하고, 습지를 압착 및 건조하여 원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는 스크리닝한 펄프 원료를 이용하여 습지 제조 및 이를 건조하여 원지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는 일반적인 원지 제조공정에 적용되는 초지제조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되는 원지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여 과일, 야채 등의 신선식품 보관용으로 적용할 수 있고 이를 신선식품 보관용으로 적용하는 경우 과일 또는 야채의 부패를 방지하고 보관기간을 늘리며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종이의 제조방법은 상기 원지에 종이용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는 제조된 원지에 종이용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상기 종이용 프라이머는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27-31 중량부,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 16-20 중량부, 탄산칼슘 0.5-4 중량부, 실란계 화합물 0.1-2 중량부, 물 35-39 주량부 및 에탄올 11-1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술한 종이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종이의 제조방법은 상기 도포된 종이용 프라이머를 130-150℃의 온도에서 25-35초 동안 건조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는 프라이머를 건조 경화시킨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대나무로 제조한 펄프 30-34 중량부 및 물 66-70 중량부를 포함하는 펄프 원료를 해리기에 투입하여 해리하는 단계;
    해리된 펄프 원료를 고해기를 이용하여 고해하고, 고해된 펄프 원료를 정선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펄프 원료에 항균 조성물 0.1-2 중량부 및 물 67-71 중량부를 첨가한 후 스크리닝하는 단계;
    스크리닝한 펄프 원료를 이용하여 습지를 제조하고, 습지를 압착 및 건조하여 원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지에 종이용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종이용 프라이머를 130-150℃의 온도에서 25-35초 동안 건조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종이용 프라이머는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 27-31 중량부,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 16-20 중량부, 탄산칼슘 0.5-4 중량부, 실란계 화합물 0.1-2 중량부, 물 35-39 중량부 및 에탄올 11-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성 아크릴계 고분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90,000이고 아크릴아미드 단량체 단위 58-62 중량부 및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38-42 중량부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수성 우레탄계 고분자는 아크릴 폴리우레탄이고,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고,
    상기 항균 조성물은 입자크기 10-30 nm의 산화아연 입자 18-22 중량부, 입자크기 10-30 nm의 아산화구리 입자 13-17 중량부 및 입자크기 10-30 nm의 은 나노입자 10-14 중량부, 대나무 분말 23-27 중량부, 마카 추출물 21-25 중량부 및 아연염화합물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20086552A 2022-07-13 2022-07-13 종이용 프라이머 KR102453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552A KR102453251B1 (ko) 2022-07-13 2022-07-13 종이용 프라이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552A KR102453251B1 (ko) 2022-07-13 2022-07-13 종이용 프라이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251B1 true KR102453251B1 (ko) 2022-10-12

Family

ID=8359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552A KR102453251B1 (ko) 2022-07-13 2022-07-13 종이용 프라이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2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815A (ja) 1996-06-18 1998-03-03 Ivoclar Ag 重合可能なワックスをベースとする歯科用材料
KR20110128933A (ko) * 2009-03-18 2011-11-30 바스프 에스이 개질된 실리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방오성 중합체 조성물
KR20140097345A (ko) * 2011-11-11 2014-08-06 램베르티 에스.피.에이. 종이 코팅용 수성 중합체 조성물
KR102124592B1 (ko) * 2020-02-17 2020-06-18 구스타 주식회사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손소독제 조성물
CN111893600A (zh) * 2020-08-10 2020-11-06 广州富纳服装有限公司 一种持久抗菌抑菌面料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815A (ja) 1996-06-18 1998-03-03 Ivoclar Ag 重合可能なワックスをベースとする歯科用材料
KR20110128933A (ko) * 2009-03-18 2011-11-30 바스프 에스이 개질된 실리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방오성 중합체 조성물
KR20140097345A (ko) * 2011-11-11 2014-08-06 램베르티 에스.피.에이. 종이 코팅용 수성 중합체 조성물
KR102124592B1 (ko) * 2020-02-17 2020-06-18 구스타 주식회사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손소독제 조성물
CN111893600A (zh) * 2020-08-10 2020-11-06 广州富纳服装有限公司 一种持久抗菌抑菌面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shra et al. Retention of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lemongrass oil loaded on cellulose nanofibre-poly ethylene glycol composite
Thiagamani et al. Utilization of chemically treated municipal solid waste (spent coffee bean powder) as reinforcement in cellulose matrix for packaging applications
Nizam et al. Physical, thermal, mechanical, anti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 based film containing aloe vera: A review
US20120289607A1 (en) Absorbent composition and methods thereof
US20060257441A1 (en) Natural essential oil sanitary insect pest repellent and its use
Jaski et al. Zein-a plant-based material of growing importance: New perspectives for innovative uses
Alamdari et al. Green synthesis of multifunctional ZnO/chitosan nanocomposite film using wild Mentha pulegium extract for packaging applications
WO2021121509A2 (en) Non-woven textile from upcycled fruit and vegetable waste
KR101442502B1 (ko) 감귤껍질을 이용한 종이의 제조방법
WO1998001299A1 (de) Saugfähige einlag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102453251B1 (ko) 종이용 프라이머
Fortunati et al. Lignocellulosic materials as novel carriers, also at nanoscale, of organic active principles for agri-food applications
Shariatinia et al. Biodegradable polymer nanobiocomposite packaging materials
Abraham et al. Lignin-based nanomaterials for food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Recent trends and future outlook
US20100163449A1 (en) Disposable biodegradable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0417696C (zh) 吸水剂组合物及其制造方法、吸水性物品及吸收体
Lingait et al. A review on versatile applications of biomaterial/polycationic chitosan: An insight into the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
US20220325079A1 (en) Compostable aids for eating or drinking made of vegetable starch and vegetable thickener or gelling agent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KR20190031668A (ko) 미강,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골판지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골판지 제조방법
KR101092925B1 (ko) 키토산 함유 항균성 과일 봉지 및 그의 제조방법
Cirillo et al. Antioxidant polymers for food packaging
KR101056177B1 (ko) 항균성 무기물 과일봉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8485B1 (ko) 종이 테이프
Aaliya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alipot starch-based biocomposite film using mucilages from different plant sources: A comparative study
Wike et al. Nanochitosan derived from fish scale and its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