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906B1 - 책상용 파티션 - Google Patents
책상용 파티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2906B1 KR102452906B1 KR1020200163635A KR20200163635A KR102452906B1 KR 102452906 B1 KR102452906 B1 KR 102452906B1 KR 1020200163635 A KR1020200163635 A KR 1020200163635A KR 20200163635 A KR20200163635 A KR 20200163635A KR 102452906 B1 KR102452906 B1 KR 1024529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nding
- plate body
- piece
- fixing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6—Writing-tables with parts, e.g. trays, movable on a pivot or by chains or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 A47B2013/085—Rims for table tops having a mounting web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구나 파티션을 책상 또는 식탁이나 탁자 등에 매우 간편·용이하게 탈부착 및 쉽게 이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물론 패널을 투명하게 제작하여 바이러스의 가림막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점착성이 우수한 우레탄 겔 등으로 형성되는 흡착패드를 사용함으로써 설치상태가 항상 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책상용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파티션은, 상판에 부착하는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회동하게 설치되는 메인부재(120)와, 상기 메인부재의 상면에 왕복이동하게 장착되는 조작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의 상면에 결합되어 조작부재가 메인부재에서 이탈하지 않고 왕복이동하게 커버하는 캡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의 상면에 결합설치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되는 고정수단(100)과, 상기 지지부재에 탈부착하는 파티션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파티션은, 상판에 부착하는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회동하게 설치되는 메인부재(120)와, 상기 메인부재의 상면에 왕복이동하게 장착되는 조작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의 상면에 결합되어 조작부재가 메인부재에서 이탈하지 않고 왕복이동하게 커버하는 캡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의 상면에 결합설치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되는 고정수단(100)과, 상기 지지부재에 탈부착하는 파티션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책상용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누구나 간편·용이하게 파티션을 책상에 탈부착 및 쉽게 이전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점착성이 우수한 우레탄 겔로 형성되는 흡착패드를 사용함으로써 설치상태가 항상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책상용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무나 학업의 집중도 등을 높이기 위하여 사무용이나 학업용의 책상에 파티션을 설치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파티션 프레임과 마감부재 및 필요에 따라 파티션을 연결하거나 절곡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재와 책상 상판과 상기 파티션프레임을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책상용 파티션 결합시스템(특허등록 제10-0709674호)가 제안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파티션 결합시스템은 고정부재를 책상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기 위해 책상의 상판에 볼트공을 천공하여야 함과 동시에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단들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이 떨어지고, 패널과 고정부재의 결합부가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어 수명단축이 초래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파티션을 누구나 간편·용이하게 책상에 탈부착 및 쉽게 이전 설치할 수도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설치상태가 항상 견고하게 유지됨은 물론 외관이 미려하고 수명단축이 초래되지 않는 책상용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회동하게 설치되는 메인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의 상면에 왕복이동하게 장착되는 조작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의 상면에 결합되어 조작부재가 메인부재에서 이탈하지 않고 왕복이동하게 커버하는 캡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의 상면에 결합설치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에 탈부착하는 파티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우레탄 등의 탄성재로 형성되는 원판형태의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상단에 하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메인부재의 하면 중앙부와 상기 흡착판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축에 결합설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흡착판의 하면 테두리부분에 빙둘러 부착되며 점착성이 우수한 우레탄 겔(Urethane Gel) 등의 재료로 형성되는 원판형 또는 링판형태의 흡착패드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부재는 개방된 하부가 흡착판에 대응하는 지름으로 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 중간부분을 가로지르게 함몰형성되는 장착홈부와, 상기 장착홈부의 바닥면 중앙에 헤드의 지름에 대응하게 천공되는 축공과, 상기 축공의 전측으로부터과 바닥면 전단까지 장착홈부의 바닥면 직사각형태로 함몰형성되는 장홈부와, 상기 장홈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제1걸림턱의 하단으로부터 전측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제1걸림턱의 전측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과, 상기 장착홈부의 좌·우내벽 전·후측에 바닥으로부터 조작부재의 두께에 대응하게 격리 돌출되는 전·후지지편과, 상기 전·후지지편들의 각 전·후측에 위치하게 천공되는 전·후결속공과, 상기 장착홈부의 좌·우내벽 각 중간부분 상면에 함몰형성되는 결속홈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면 중간 좌·우측에 측단면이 대략 ""형태로 되게 돌출형성되는 결속판들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재는 장착홈부의 전·후단 길이와 좌·우폭에 대응하게 평단면이 직사각형태로 되는 판체부와, 상기 판체부의 전·후단에 수직으로 상향절곡되는 제동편부와, 상기 판체부 좌·우단의 전측과 중간측에 전·후지지편이 각각 통과하게 대응하는 간격으로 요입 형성되는 통과홈부와, 상기 판체부의 전측 중간부분에 ""형태로 절개하여 부설되며 하면 전단에는 제1,2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된 걸이편과, 상기 걸이편의 직 후측으로부터 통과홈부의 후단측에 위치하게 천공되며 전측의 축공부 지름은 헤드에 대응하고 후측의 가이드공부 좌·우폭은 상기 헤드보다 지름이 작은 고정축의 지름에 대응하게 평단면이 ""형태로 되는 가이드장공과, 상기 축공부와 가이드공부의 좌·우연결부분으로부터 소정 간격의 좌·우받침부분을 두고 좌·우의 전단으로부터 상단이 수평면으로 되는 후측의 곡면부 좌·우전단까지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승강가이드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캡부재는 좌·우폭은 상기 조작부재와 동일하고 전·후길이는 짧으며 하면이 개방되게 장방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좌·우측면의 전·후단부분에 각각 수직으로 하향연장되는 전·후결속편과, 상기 전·후결속편들 각 하단의 외면에 장착홈부의 좌·우내벽에 천공된 전·후결속공 상단에 걸어지게 돌출형성되는 결속턱과, 상기 본체 좌·우측면의 중간부분 상단에 결속홈부에 각각 결속되게 수평으로 연장되는 좌·우결속편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평단면이 정사각형태로 되며 상기 결속판에 하부를 결합하여 메인부재의 상면에 고정하는 제1부재와, 평단면이 상기 제1부재 면적보다 작은 정사각형태로 되어 제1부재에 결합하는 제2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부재는 제1판체부와, 상기 제1판체부 우면과 후면의 2개면에 평단면이 ""형태로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1지지편부와, 상기 제1판체부 하면의 중간부분에 좌단과 하단이 개방되게 직사각형태로 상향 함몰형성되는 결합홈부와, 상기 결합홈부 전·후벽의 우측부분에 하면으로부터 메인부재의 결속판 두께에 대응하게 격리된 하측에 형성되는 전·후의 지지돌편과, 상기 제1판체부 하면의 좌단에 좌측으로 수평연장되는 결착편과, 상기 제1판체부 하면의 후측부분 중간에 수직 관통하게 천공되는 결착장공과, 상기 제1판체부 하면의 우측 전후부분에 수직 관통하게 천공되는 전·후관통장공과, 나사공이 천공되게 상기 전·후관통장공의 우단에 각각 하향 연장되는 전·후고정편과, 상기 전·후고정편의 나사공에 대응하게 판체부의 우면 전·후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개방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부재는, 하면이 상향 함몰형성되는 제2판체부와, 상기 제2판체부 우면과 후면의 2개면에 제1지지편부에 대응하게 평단면이 ""형태로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2지지편부와, 상기 제2판체부 2개면의 하단 테두리에 제1판체부와의 면적차이에 비례하는 간격으로 평단면이 ""형태로 되게 수평 연장되는 간격유지편과, 격편에 의해 상기 제2판체부 좌면의 중간부분 내면 상측에 결착편이 결합되게 형성되는 결착홈부와, 상기 격편의 하측 전후에 서로 마주하게 격리 연장되어 결속판이 결합되게 형성되는 전·후결속편과, 상기 간격유지편 후측의 중간부분에 결착장공을 관통하여 그 하면에 걸어지게 하향 연장되는 걸림편과, 나사체결공이 천공되며 상기 간격유지편 우측의 전·후부분에 전·후관통장공을 관통하여 그 하방으로 노출되게 하향 연장되는 전·후보스편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2지지편부들 사이의 간격에 비례하는 두께와 원하는 길이 및 높이로 형성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변형 등을 방지하는 보강대와, 상기 패널을 횡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패널의 모서리에 결합하는 보호캡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파티션수단과; 상기 제1부재에 제2부재를 결합하면 제1,2지지편들 사이에 간격유지편의 폭에 비례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파티션수단을 삽입 결합하게 형성되는 ""형태의 장착부와; 탄성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2지지편부들 내·외벽들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장착부에 결합되는 패널의 장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주는 지지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누구나 간편·용이하게 파티션을 책상에 탈부착 및 쉽게 이전 설치할 수도 있도록 하는 책상용 파티션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파티션은, 외관이 미려하고 누구나 파티션을 책상 또는 식탁이나 탁자 등에 매우 간편·용이하게 탈부착 및 쉽게 이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물론 패널을 투명하게 제작하여 바이러스의 가림막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점착성이 우수한 우레탄 겔 등으로 형성되는 흡착패드를 사용함으로써 설치상태가 항상 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등의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파티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고정수단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고정수단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고정부재가 결합된 메인부재와 조작부재를 발췌 분리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5a,b는 도 4에서 메인부재에 조작부재를 결합하는 상태 및 캡부재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캡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2에서 지지부재를 발췌 분리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지지부재를 하부에서 보인 사시도
도 9a,b는 본 발명에서 조작부재의 동작상태를 일부 절취하여 보인 측면도
도 10은 도 1에서 고정수단과 파티션수단을 발췌 발췌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파티션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고정수단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서 고정수단을 일부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서 고정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 사시도
도 15는 도 11에서 고정수단과 파티션수단의 일부를 발췌 분리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서 기둥부재 일부를 발췌 확대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고정수단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고정수단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고정부재가 결합된 메인부재와 조작부재를 발췌 분리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5a,b는 도 4에서 메인부재에 조작부재를 결합하는 상태 및 캡부재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캡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2에서 지지부재를 발췌 분리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지지부재를 하부에서 보인 사시도
도 9a,b는 본 발명에서 조작부재의 동작상태를 일부 절취하여 보인 측면도
도 10은 도 1에서 고정수단과 파티션수단을 발췌 발췌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파티션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고정수단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서 고정수단을 일부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서 고정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 사시도
도 15는 도 11에서 고정수단과 파티션수단의 일부를 발췌 분리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서 기둥부재 일부를 발췌 확대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파티션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파티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파티션은 고정수단(100)과,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책상(200)의 상판(210)에 설치되는 파티션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도 1에서 고정수단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고정수단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고정부재가 결합된 메인부재와 조작부재를 발췌 분리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5a,b는 도 4에서 메인부재에 조작부재를 결합하는 상태 및 캡부재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캡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서 지지부재를 발췌 분리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지지부재를 하부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고정수단(100)은,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회동하게 설치되는 메인부재(120)와, 상기 메인부재에 왕복이동하게 장착되는 조작부재(130)와, 상기 메인부재에 결합되어 조작부재가 메인부재에서 이탈하지 않고 왕복이동하게 커버하는 캡부재(140)와, 상기 메인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결합되는 파티션(300)의 지지부재(150)를 구비하여 된다.
고정부재(110)는,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등의 탄성재로 형성되는 원판형태의 흡착판(111)과, 상기 흡착판의 외주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편(112)과, 상기 흡착판의 중앙에 하단이 매몰되게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축(113)과, 상기 고정축의 상단에 하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헤드(114)와, 상단은 메인부재(120)의 하면 중앙부에 받쳐지고 하단은 상기 흡착판의 상면 중앙부에 받쳐지게 고정축에 결합설치되는 코일스프링(115) 및 상기 흡착판의 하면 테두리부분에 빙둘러 부착되는 원판 또는 링판 형태로 형성되는 흡착패드(116)를 구비하여 된다.
코일스프링(115)은 그 반력이 흡착판(111)을 하향 가압하는 힘으로 작용하며, 압축 또는 팽창될 때 스프링의 권수가 서로 맞닿는 일이 없어 스프링작용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는 테이퍼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패드(116)는 우레탄 겔 등의 점착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고정수단(100)이 상판(210)에 확실하고도 강하게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먼지나 이물이 묻으면 간단히 물로 세척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부재(120)는, 개방된 하부가 흡착판(111)에 대응하는 지름으로 되는 원통형태의 몸통부(121)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 중간부분을 가로질러 상단과 전·후단이 개방되게 함몰형성되는 장착홈부(122)와, 상기 장착홈부의 바닥면 중앙에 헤드(114)의 지름에 대응하게 수직으로 천공되는 축공(123)과, 상기 축공의 전측과 소정간격을 두고 장착홈부의 바닥면 전단까지 상면과 우단이 개방되게 평단면이 직사각형태로 함몰형성되는 소정 깊이의 장홈부(124)와, 상기 장홈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125)과, 상기 제1걸림턱의 하단으로부터 전측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제1걸림턱의 전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격리 형성되는 제2걸림턱(125')과, 상기 장착홈부의 좌·우내벽 전·후측에 서로 마주하게 바닥으로부터 조작부재(130)의 두께에 대응하게 격리 돌출되는 조작부재의 전·후지지편(126)(126')들과, 상기 전·후지지편들의 각 전·후측에 위치하게 좌·우내벽의 중간부분에서 장착홈부의 바닥면까지 수직으로 천공되는 전·후결속공(127)(127')들과, 상기 장착홈부의 좌·우내벽 각 중간부분 상면에 함몰형성되는 결속홈부(128)(128')와, 상기 몸통부의 상면 중간 좌·우측에 측단면이 대략 ""형태로 되게 돌출형성되는 결속판(129)(129')들을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메인부재(120)는 고정축(113)이 축공(123)을 관통하게 상방에서 고정부재(100)에 축 결합하는 것이다.
조작부재(130)는 장착홈부(122)의 전·후단 길이와 좌·우폭에 대응하게 평단면이 직사각형태로 되는 판체부(131)와, 상기 판체부의 전·후단에 수직으로 상향절곡되는 제동편부(132)(132')와, 상기 판체부 좌·우단의 전측과 중간측에 전·후지지편(126)(126')이 각각 통과하게 대응하는 간격으로 요입 형성되는 통과홈부(133)(133')와, 상기 판체부의 전측 중간부분에 ""형태로 절개하여 부설되며 하면 전단에는 제1,2걸림턱(125)(125')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턱(134')이 형성된 걸이편(134)과, 상기 판체부에 걸이편의 직 후측으로부터 통과홈부(133')의 후단측에 위치하게 중간에 길게 천공되며 전측의 축공부(1351) 지름은 헤드(123)에 대응하고 후측의 가이드공부(1352) 좌·우폭은 상기 헤드보다 지름이 작은 고정축(113)의 지름에 대응하게 평단면이 ""형태로 되는 가이드장공(135)과, 상기 축공부와 가이드공부의 좌·우연결부분(1361)으로부터 소정 간격의 좌·우받침부분(1362)을 두고 좌·우의 전단으로부터 상단이 수평면으로 되는 후측의 곡면부(1363) 좌·우전단까지 갈수록 상면이 점차적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승강가이드부(136)를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조작부재(130)를 고정부재(100)에 축 결합한 메인부재(120)에 조립할 때에는, 먼저 상방에서 판체부(131)의 좌·우단에 형성된 통과홈부(133)(133')들을 장착홈부(122)의 좌·우내벽 전·후측에 돌출되어 있는 전·후지지편(126)(126')들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판체부를 수직으로 하강시켜 전·후지지편들이 통과홈부를 통과하게 한다.
이렇게 하면 판체부(131)는 장착홈부(122)의 바닥면에 안착하게 되고, 헤드(114)는 축공부(1351)를 상향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됨과 동시에 고정축(113) 하부와의 지름차이에 의해 빙둘러 형성되어 있는 상기 헤드의 하주면이 축공부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걸이편(134) 하면 전단의 걸이턱(134')은 장홈부(124)의 제1걸림턱(125)에 걸어져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판체부(131)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헤드(114)의 하주면 후측부분이 좌·우받침부분(1362)을 가로지르게 그 상면에 받쳐지게 되어 고정축(113)이 임의로 가이드장공(135)의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되며, 이때 걸이편(134) 하면 전단의 걸이턱(134')은 제2걸림턱(125')에 걸어져 있게 된다.
즉, 판체부(131)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제1걸림턱(125)에 걸어져 있던 걸이턱(134')은 ""형태로 절개하여 부설되어 있는 걸이편(134)의 하면 전단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125') 사이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승하다가 상기 제2걸림턱을 넘어가게 되면 걸이편의 자체 탄성에 의해 하강하게 되므로 제2걸림턱에 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걸이턱(134')이 제2걸림턱(125')에 걸어져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재(130)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제동된다.
또한, 판체부(131)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통과홈부(133)(133')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지지편(126)(126')들이 상기 판체부의 통과홈부들 직 후측 좌·우단부 상면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판체부는 지지편들에 받쳐져서 임의로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된다.
캡부재(140)는, 좌·우폭은 조작부재(130)와 동일하고 전·후길이는 짧으며 하면이 개방되게 장방형태로 되는 본체(141)와, 좌·우측면의 전·후단부분에 각각 수직으로 하향 격리연장되는 전·후결속편(142)(142')과, 상기 결속편들의 각 하단의 외면에 장착홈부(122)의 좌·우내벽에 천공된 전·후결속공(127)(127') 상단에 걸어지게 돌출형성되는 결속턱(143)과, 상기 좌·우측면의 중간부분 상단에 결속홈부(128)(128')에 각각 결속되게 수평으로 연장되는 좌·우결속편(144)(144')을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캡부재(140)는, 장착홈부(122)에 조작부재(130)를 조립한 다음 전·후결속편(142)(142')들의 각 결속턱(143)들이 전·후결속공(127)(127')들 상단에 걸어져 결속되게 상기 장착홈부에 조립한다.
이렇게 하면, 캡부재(140)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장착홈부(122)에 조립됨과 동시에 좌·우결속편(144)(144')이 결속홈부(128)(128')에 각각 결속되므로 더욱 안정되게 조립되어 조작부재(130)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조작부재(13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후측의 제동편부(132')가 캡부재(140)의 후면에 걸어지거나 후방으로 이동시켜 전측의 제동편부(132)가 상기 캡부재의 전면에 걸어지게 되면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제동된다.
이때, 전후 이동하는 간격은 걸이턱(134')이 제2걸림턱(125')에서 장홈부(124)의 전단을 벗어나지 않게 되는 거리 및 고정축(113)의 헤드(114)가 가이드장공(135)의 받침부분(1362)으로부터 승강가이드(136)의 후측 곡면부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게 하여 조작부재(130)가 과도하게 전후 이동하지 않도록 제동함으로써 오조작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부재(150)는, 제1,2부재(150a)(150b)로 구성된다.
제1부재(150a)는, 평단면이 정사각형태로 되는 제1판체부(151)와, 상기 제1판체부 우면과 후면의 2개면에 평단면이 ""형태로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1지지편부(152)와, 상기 제1판체부 하면의 중간부분에 좌단과 하단이 개방되게 직사각형태로 상향 함몰형성되는 결합홈부(153)와, 상기 결합홈부 전·후벽의 우측부분에 하면으로부터 메인부재(120)의 결속판(129') 두께에 대응하게 격리된 하측에 서로 마주하게 수평 형성되는 전·후의 지지돌편(154)과, 상기 제1판체부 하면의 좌단에 좌측으로 수평연장되는 결착편(155)과, 상기 제1판체부 하면의 후측부분 중간에 수직 관통하게 천공되는 결착장공(156)과, 상기 제1판체부 하면의 우측 전후부분에 수직 관통하게 천공되는 전·후관통장공(157)과, 나사공이 천공되게 상기 전·후관통장공의 우단에 각각 하향 연장되는 전·후고정편(158)과, 상기 전·후고정편의 나사공에 대응하게 제1판체부의 우면 전·후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개방구(159)를 구비하여 된다.
제2부재(150b)는, 평단면이 제1판체부(151)의 면적보다 작고 하면이 상향 함몰형성되는 정사각형태의 제2판체부(151')와, 상기 제2판체부 우면과 후면의 2개면에 제1지지편부(152)에 대응하게 평단면이 ""형태로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2지지편부(152')와, 상기 제2판체부 2개면의 하단 테두리에 제1판체부와의 면적차이에 비례하는 간격으로 평단면이 ""형태로 되게 수평 연장되는 간격유지편(153')과, 격편(154')에 의해 상기 제2판체부 좌면의 중간부분 내면 상측에 결착편(155)이 결합되게 형성되는 결착홈부(155')와, 상기 격편의 하측 전후에 서로 마주하게 격리 연장되어 결속판(129)이 결합되게 형성되는 전·후결속편(156')과, 상기 간격유지편 후측의 중간부분에 결착장공(156)을 관통하여 그 하면에 걸어지게 하향 연장되는 걸림편(157')과, 나사체결공이 천공되며 상기 간격유지편 우측의 전·후부분에 전·후관통장공(157)을 관통하여 그 하방으로 노출되게 하향 연장되는 전·후보스편(158')을 구비하여 된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150)를 메인부재(120)에 조립할 때에는, 먼저 상기 메인부재의 우측에서 결속판(129')이 개방된 좌단을 통해 결합홈부(153)로 진입하게 제1부재(150a)를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결속판의 전·후부분이 전·후의 지지돌편(154)들에 받쳐지면서 이들의 상면과 상기 결합홈부의 하면 사이에 결속되므로 상기 제1부재는 메인부재의 상면에 단단히 결합 고정된다.
이때, 좌측 결속판(129)의 좌단은 결합홈부(153)의 좌측 내부에서 결착편(155)의 좌단과 일치하게 그 직 하방에 위치한다.
이후, 제1부재(150a)의 상방에서 제2부재(150b)를 수직으로 하강시켜 걸림편(157')은 결착장공(156)의 좌단측측부분을 관통하여 그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이 결착장공의 좌측부분의 하면에 걸어지고, 전·후보스편(158')은 전·후관통장공(157)의 좌단측부분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노출되어 전·후고정편(158)과 대향하게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하면, 결착홈부(155')의 개방된 우단은 결착편(155)의 좌단과 동일선상에서 대향하게 되고, 전·후결속편(156')의 개방된 각 우단은 메인부재(120)의 좌측 결속판(129)의 좌단과 동일선상에서 대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부재(150b)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걸림편(157')과 전·후보스편(158')이 각각 결착장공(156)과 전·후관통장공(157)의 우단측부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결착편(155)은 결착홈부(155')에 삽입 결착되고, 결속판(129)의 좌단부분은 전후의 결속편(156')들 상면과 격편(154')의 하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결속되며, 걸림편(157')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은 결착장공의 우단부분 하면에 걸어져 있게 되고, 전·후보스편(158')은 전·후고정편(158)에 밀착되면서 상기 전·후보스편의 나사체결공이 전·후고정편의 나사공과 일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판체부(151)의 우면 전·후측에 형성된 개방구(159)를 통해 전·후고정편(158)의 나사공을 거쳐 전·후보스편(158')의 나사체결공에 각각 나사를 체결하면 제1부재(150a)와 제2부재(150b)는 서로 한 몸체로 되게 견고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장착부(150c)의 간격에 비례하는 두께의 파티션수단(300)을 상기 장착홈부에 삽입 결합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은 지지부재(150)에 의해 책상(200)의 상핀(210)에 안정되게 설치된다.
도 10은 도 1에서 고정수단과 파티션수단을 발췌 발췌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파티션수단(300)은, 지지편부(152)(152')들 사이의 간격에 비례하는 두께와 원하는 길이 및 높이로 형성되는 패널(310)과, 상기 패널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변형 등을 방지하는 보강대(320)와, 상기 패널을 횡으로 연결하여 설치하게 사용되는 연결부재(330)와, 상기 패널의 모서리에 결합하는 보호캡(340)을 구비하여 된다.
패널(310)은 플라스틱이나 아크릴 등으로 비교적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보강대(320)와 연결부재(330)는 플라스틱 등으로 압출 형성되는 것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파티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책상(200)에 파티션수단(300)을 ""형태로 설치할 때에는, 먼저 패널(310)을 상판(2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00)들을 상판(210)의 해당 위치에 부착하여야 한다.
이때, 부착할 고정수단(100)의 조작부재(130)는 도 9b에서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전단의 제동편부(132)는 캡부재(140)의 전면에 받쳐져서 장착홈부(122)의 전단 내에 위치하고, 후단의 제동편부(132')는 상기 장착홈부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있고, 코일스프링(115)의 반력에 의해 흡착판(111)과 함께 하강한 고정축(113)의 헤드(114)는 상기 조작부재의 받침부분(1362)에 받쳐져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흡착판(111)의 하면에 부착된 우레탄 겔로 형성된 흡착패드(116)를 상판(210)의 부착할 위치에 밀착시켜 고정수단(100)이 임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노출되어 있는 제동부재(132')를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켜 준다.
이렇게 하면, 도 9a에서와 같이 받침부분(1362)에 받쳐져 있던 헤드(114)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승강가이드부(136)의 경사면에 받쳐져서 상승하게 되므로 고정축(113)이 상승하면서 흡착판(111)의 중앙부를 끌어올려 상승시켜 주기 때문에 상기 흡착판의 하면에 부착된 흡착패드(116)가 상판(210)에 강하게 흡착되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부착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115)은 압축되어 있게 된다.
이때, 제동편부(132')는 캡부재(140)의 후면에 받쳐져서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정지됨과 동시에 고정축(113)의 헤드(114)는 승강가이드부(136)의 수평면으로 되어 있는 후측의 곡면부(1363) 상단에 받쳐져 있는 상태에서 압축된 코일스프링(115)의 반력에 의해 후측의 곡면부 상단에 단단히 밀착 고정되며, 제동편부(132)는 장착홈부(122)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115)의 반력은 상승된 흡착판(111)의 중앙부를 하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상기 반력에 의해 고정축(113)의 헤드(114)가 승강가이드부(136) 후측의 곡면부(1363) 상단에 받쳐져 있어 상기 코일스프링이 팽창할 수 없기 때문에 흡착판(111)의 부착상태는 계속 강하게 유지 된다.
이와 같이 상판(210)의 해당 위치에 고정수단(100)들을 부착시킨 다음 파티션수단(300)을 결합하면 되는데, 이때 패널(310)을 장착할 장착부(150c)의 방향이 틀어져 있는 경우에는 고정축(113)을 축으로 하여 고정수단(100)을 회동시켜서 상기 장착홈부의 방향을 전환시켜 주면 된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파티션수단(300)을 ""형태로 설치할 때에는 상판(210)의 후측 좌·우단부와 우측 전단부에 각각 고정수단(100)를 부착하고 각 장착홈(150c)들이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후측에는 길이가 긴 패널(310)의 하부 좌·우단 모서리를 해당하는 상기 장착홈에 각각 결합하고 일측에는 길이가 짧은 패널(310)의 하부 전후단 모서리를 상기 해당하는 장착홈에 각각 결합하면 된다.
또한, 상판(210)에 부착된 고정수단(100)을 분리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코일스프링(115)의 반력보다 큰 힘으로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는 제동편부(132)를 밀어서 조작부재(13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주면, 헤드(114)가 승강가이드부(136)의 곡면부(1363)로부터 경사면 위치로 나오게 됨에 따라 상기 코일스프링이 팽창하게 되는 반력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게 되므로 흡착판(111)의 중앙부가 하강하여 강한 부착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손잡이편(112)을 잡고 상기 상판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부재(150)의 제1,2지지편부(152)(152')들 내·외벽들 중 어느 하나에는 연질의 우레탄 등으로 비교적 두께가 얇고 부드럽게 형성되는 지지패드(150d)를 부착함으로써 장착부(150c)에 결합되는 패널(310)들을 지지하여 장착상태가 항상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파티션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고정수단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서 고정수단을 일부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고정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 사시도이다.
도 11~14의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파티션의 다른 예는,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회동하게 설치되는 메인부재(120)와 상기 메인부재에 왕복이동하게 장착되는 조작부재(130)와 상기 메인부재에 결합되어 조작부재가 메인부재에서 이탈하지 않고 왕복이동하게 커버하는 캡부재(140)와 상기 메인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결합되는 파티션부재(300)의 지지부재(150)를 구비하여 되는 고정수단(100)과, 패널(310)과 상기 패널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변형 등을 방지하는 보강대(320)와 상기 패널을 횡으로 연결하여 설치하게 사용되는 연결부재(330)를 구비하여 되는 파티션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상기 도 1~10의 책상용 파티션과 동일하다.
다만, 지지부재(150)는 측단면이 대략 ""형태의 원형 판체부(151a)와, 상기 판체부의 상주면 좌측 중간부분에 상·하면이 좌측으로 개방되게 수직으로 함몰되며 내주의 전후 및 우측 3면의 바닥에 측단면이 대략 ""형태로 되게 돌출형성된 좌측 결속판(129)이 삽입되면 그 상편이 걸어지는 걸이턱이 빙둘러 형성되게 3면의 측단면이 대략 ""형태로 연장되는 좌측 결속홈부(152a)와, 상기 판체부의 상주면 중간부분에 상면이 우측으로 개방되게 수직으로 함몰되는 우측 결속홈부(152b)와, 상기 우측 결속홈부의 하부로 측단면이 대략 ""형태로 되게 돌출형성된 우측 결속판(129')이 삽입되면 그 상편이 상향관통하게 바닥에 천공되는 관통구(153a)와, 상기 우측 결속홈부의 하면에 좌단 및 하면이 개방되며 내주의 전후 2면에 하단이 우측 결속홈부의 바닥 좌측부분과 연결되어 우측 결속판이 삽입되면 그 상편이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되게 측단면이 대략 ""형태로 연장되는 우측 결속편부(154b)와, 상면의 중앙에 수직 돌출되는 제1고정보스(155a)와, 상기 제1고정보스의 좌·우측에 동일간격으로 격리 돌출되는 지지보스(155b)들과, 상기 제1고정보스의 전·후측에 동일간격으로 격리 천공되는 나사공(155c)들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티션수단(300)은 중앙에 제1고정보스(155b)가 삽입결속되는 지름으로 형성되는 제1결속구(311)와 상기 제1결속구의 좌·우측에 지지보스(155c)들이 삽입결속되게 형성되는 제2결속구(312)들과 상기 제1결속구의 전·후측에 나사공(155c)들을 통해 나사를 체결하게 형성되는 나사체결구(313)들과 외주면에 직각으로 함몰형성되는 제1,2결착홈부(314)(314')들을 구비하여 원하는 길이의 파이프형태로 되는 기둥부재(301)와, 상기 기둥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면의 중앙에는 제1결속구의 일단에 삽입고정되게 하향돌출되는 제2고정보스(321)와 상기 제2고정보스의 전·후측에 나사공(155c)들의 일단에 각각 삽입고정되게 하향돌출되는 고정핀(322)들을 구비하여 되는 캡부재(302)와, 상기 제1,2결착홈부(314)(314')들의 간격에 비례하는 두께와 원하는 길이 및 높이로 형성되는 패널(310)과, 상기 패널(3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변형 등을 방지하는 보강대(320)와, 상기 패널(310)을 횡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3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부재(150)를 메인부재(120)에 조립할 때에는, 먼저 판체부(151a)의 상면에 기둥부재(301)의 하단을 수직으로 결합하면서 제1고정보스(155a)는 제1결속구(311)에 좌·우측 지지보스(151b)들은 제2결속구(312)들에 각각 삽입결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후측 나사공(155c)들은 나사체결구(313)들과 스직으로 일치하게 한 다음, 상기 나사체결구들을 통해 나사공들에 각각 나사를 체결하여 기둥부재를 지지부재의 상면에 결합 고정한다.
이후, 메인부재(120)의 상방에서 기둥부재(301)를 잡고 좌측 결속홈부(152a)가 좌우의 결속판(129)(129')들 사이에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지지부재(150)를 하강시켜 좌측 결속홈부의 개방된 좌단이 좌측 결속판의 우단에 대향하게 하면서 우측 결속홈부(152b)의 개방된 좌단이 우측 결속판의 우단에 대향하게 한 다음, 상기 지지부재를 좌측으로 수평이동시켜서 좌측의 결속판은 좌측 결속홈부에 우측의 결속판은 우측 결속홈부에 각각 동시에 삽입결속되게 한다.
이렇게 조립하면, 도 12에서와 같이 좌우의 결속판(129)(129')들이 좌우측 결속홈부(152a)(152b)에 각각 결속되기 때문에 사용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단단히 결속된다.
그리고, 파티션을 책상(200)의 상판(210)에 설치할 때에는 지지부재(150)의 상면에 기둥부재(301)가 결합된 고정수단(100)들을 흡착부재(110)로 상기 상판의 해당 위치에 단단히 부착시킨 다음, 패널부재(310)들을 상기 기둥부재의 제1,2결착홈부(314)(314')와 연결부재(330) 및 보강대(320)를 이용하여 일 예로 도 11에서와 같이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파티션은, 외관이 미려하고 누구나 파티션을 책상 또는 식탁이나 탁자 등에 매우 간편·용이하게 탈부착 및 쉽게 이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물론 패널을 투명하게 제작하여 바이러스의 가림막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점착성이 우수한 우레탄 겔 등으로 형성되는 흡착패드를 사용함으로써 설치상태가 항상 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등의 장점도 있다.
100 : 고정수단 110 : 고정부재
111 : 흡착판 113 :고정축
114 : 헤드 115 : 코일스프링
120 ; 메인부재 121 : 몸통부
122 : 장착홈부 123 : 축공
124 : 장홈부 126,126' : 전·후지지편
125 : 제1걸림턱 127,127' : 전·후결속공
129,129' : 결속판 130 : 조작부재
132,132' : 제동편부 133,133' : 통과홈부
134 : 걸이편 135 : 가이드장공
136 : 승강가이드부 140 ; 캡부재
141 : 본체 142,142' : 전·후결속편
143 : 결속턱 150 : 지지부재
150a : 제1부재 150b : 제2부재
150c : 장착부 150d : 지지패드
151 : 제1판체부 152 ; 제1지지편부
153 : 결합홈부 154 : 지지돌편
155 : 결착편 156 : 결착장공
157 : 전·후관통장공 158 : 전·후고정편
151' : 제판체부 152' : 제2지지편부
153' : 간격유지편 154' : 격편
155' : 결착홈부 156' ; 전·후결속편
157' : 걸림편 158' : 전·후보스편
300 : 파티션 301 : 기둥부재
302 : 캡부재 310 : 패널
311 : 제1결속구 312 : 제2결속구
313 : 나사체결구 314,314' : 제1,2결착홈부
320 : 보강대 321 : 제2고정보스
322 : 고정핀 330 : 연결부재
340 : 보호캡 151a : 판체부
152a,b : 결속홈부 153a : 관통구
154b : 결속편부 155a : 제1고정보스
155b : 지지보스 155c : 나사공
111 : 흡착판 113 :고정축
114 : 헤드 115 : 코일스프링
120 ; 메인부재 121 : 몸통부
122 : 장착홈부 123 : 축공
124 : 장홈부 126,126' : 전·후지지편
125 : 제1걸림턱 127,127' : 전·후결속공
129,129' : 결속판 130 : 조작부재
132,132' : 제동편부 133,133' : 통과홈부
134 : 걸이편 135 : 가이드장공
136 : 승강가이드부 140 ; 캡부재
141 : 본체 142,142' : 전·후결속편
143 : 결속턱 150 : 지지부재
150a : 제1부재 150b : 제2부재
150c : 장착부 150d : 지지패드
151 : 제1판체부 152 ; 제1지지편부
153 : 결합홈부 154 : 지지돌편
155 : 결착편 156 : 결착장공
157 : 전·후관통장공 158 : 전·후고정편
151' : 제판체부 152' : 제2지지편부
153' : 간격유지편 154' : 격편
155' : 결착홈부 156' ; 전·후결속편
157' : 걸림편 158' : 전·후보스편
300 : 파티션 301 : 기둥부재
302 : 캡부재 310 : 패널
311 : 제1결속구 312 : 제2결속구
313 : 나사체결구 314,314' : 제1,2결착홈부
320 : 보강대 321 : 제2고정보스
322 : 고정핀 330 : 연결부재
340 : 보호캡 151a : 판체부
152a,b : 결속홈부 153a : 관통구
154b : 결속편부 155a : 제1고정보스
155b : 지지보스 155c : 나사공
Claims (2)
-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면에 회동하게 설치되는 메인부재(120)와, 상기 메인부재(120)의 상면에 왕복이동하게 장착되는 조작부재(130)와, 상기 메인부재(1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조작부재(130)가 메인부재(120)에서 이탈하지 않고 왕복이동하게 커버하는 캡부재(140)와, 상기 메인부재(120)의 상면에 결합설치되는 지지부재(150)를 구비하여 되는 고정수단(100)과;
상기 고정수단(100)의 지지부재(150)에 탈부착하는 파티션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10)는, 탄성재인 우레탄으로 형성되는 원판형태의 흡착판(111)과, 상기 흡착판(111)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축(113)과, 상기 고정축(113)의 상단에 하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헤드(114)와, 상기 메인부재(120)의 하면 중앙부와 상기 흡착판(111)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축(113)에 결합설치되는 코일스프링(115)과, 상기 흡착판(111)의 하면 테두리부분에 빙둘러 부착되며 점착성이 우수한 우레탄 겔로 형성되는 원판형 또는 링판형태의 흡착패드(116)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부재(120)는, 개방된 하부가 흡착판(111)에 대응하는 지름으로 되는 몸통부(121)와, 상기 몸통부(121)의 상부 중간부분을 가로지르게 함몰형성되는 장착홈부(122)와, 상기 장착홈부(122)의 바닥면 중앙에 헤드(114)의 지름에 대응하게 천공되는 축공(123)과, 상기 축공(123)의 전측으로부터 바닥면 전단까지 장착홈부(122)의 바닥면 직사각형태로 함몰형성되는 장홈부(124)와, 상기 장홈부(124)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125)과, 상기 제1걸림턱(125)의 하단으로부터 전측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제1걸림턱(125)의 전측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125')과, 상기 장착홈부(122)의 좌·우내벽 전·후측에 바닥으로부터 조작부재(130)의 두께에 대응하게 격리 돌출되는 전·후지지편(126)(126')과, 상기 전·후지지편들(126)(126')의 각 전·후측에 위치하게 천공되는 전·후결속공(127)(127')과, 상기 장착홈부(122)의 좌·우내벽 각 중간부분 상면에 함몰형성되는 결속홈부(128)(128')와, 상기 몸통부(121)의 상면 중간 좌·우측에 측단면이 ""형태로 되게 돌출형성되는 결속판(129)(129')들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재(130)는, 상기 장착홈부(122)의 전·후단 길이와 좌·우폭에 대응하게 평단면이 직사각형태로 되는 판체부(131)와, 상기 판체부(131)의 전·후단에 수직으로 상향절곡되는 제동편부(132)(132')와, 상기 판체부(131) 좌·우단의 전측과 중간측에 전·후지지편(126)(126')이 각각 통과하게 대응하는 간격으로 요입 형성되는 통과홈부(133)(133')와, 상기 판체부(131)의 전측 중간부분에 ""형태로 절개하여 부설되며 하면의 전단에는 제1,2걸림턱(125)(125')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턱(134')이 형성된 걸이편(134)과, 상기 걸이편(134)의 직 후측으로부터 통과홈부(133')의 후단측에 위치하게 천공되며 전측의 축공부(1351) 지름은 헤드(123)에 대응하고 후측의 가이드공부(1352) 좌·우폭은 상기 헤드보다 지름이 작은 고정축(113)의 지름에 대응하게 평단면이 ""형태로 되는 가이드장공(135)과, 상기 축공부(1351)와 가이드공부(1352)의 좌·우연결부분(1361)으로부터 소정 간격의 좌·우받침부분(1362)을 두고 좌·우의 전단으로부터 상단이 수평면으로 되는 후측의 곡면부(1363) 좌·우전단까지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승강가이드부(136)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캡부재(140)는, 좌·우폭은 상기 조작부재(130)와 동일하고 전·후길이는 짧으며 하면이 개방되게 장방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41)와, 좌·우측면의 전·후단부분에 각각 수직으로 하향연장되는 전·후결속편(142)(142')과, 상기 전·후결속편(142)(142')들 각 하단의 외면에 장착홈부(122)의 좌·우내벽에 천공된 전·후결속공(127)(127') 상단에 걸어지게 돌출형성되는 결속턱(143)과, 상기 본체(141) 좌·우측면의 중간부분 상단에 결속홈부(128)(128')에 각각 결속되게 수평으로 연장되는 좌·우결속편(144)(144')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50)는, 평단면이 정사각형태로 되며 상기 결속판(129')에 하부를 결합하여 메인부재(120)의 상면에 고정하는 제1부재(150a)와, 평단면이 상기 제1부재(150a) 면적보다 작은 정사각형태로 되어 제1부재(150a)에 결합하는 제2부재(150b)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부재(150a)는, 제1판체부(151)와, 상기 제1판체부(151) 우면과 후면의 2개면에 평단면이 ""형태로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1지지편부(152)와, 상기 제1판체부(151) 하면의 중간부분에 좌단과 하단이 개방되게 직사각형태로 상향 함몰형성되는 결합홈부(153)와, 상기 결합홈부(153) 전·후벽의 우측부분에 하면으로부터 메인부재(120)의 결속판(129') 두께에 대응하게 격리된 하측에 형성되는 전·후의 지지돌편(154)과, 상기 제1판체부(151) 하면의 좌단에 좌측으로 수평연장되는 결착편(155)과, 상기 제1판체부(151) 하면의 후측부분 중간에 수직 관통하게 천공되는 결착장공(156)과, 상기 제1판체부(151) 하면의 우측 전후부분에 수직 관통하게 천공되는 전·후관통장공(157)과, 나사공이 천공되게 상기 전·후관통장공(157)의 우단에 각각 하향 연장되는 전·후고정편(158)과, 상기 전·후고정편(158)의 나사공에 대응하게 제1판체부(151)의 우면 전·후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개방구(159)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부재(150b)는, 하면이 상향 함몰형성되는 제2판체부(151')와, 상기 제2판체부(151') 우면과 후면의 2개면에 제1지지편부(152)에 대응하게 평단면이 ""형태로 상향 수직연장되는 제2지지편부(152')와, 상기 제2판체부(151') 2개면의 하단 테두리에 제1판체부(151)와의 면적차이에 비례하는 간격으로 평단면이 ""형태로 되게 수평 연장되는 간격유지편(153')과, 격편(154')에 의해 상기 제2판체부(151') 좌면의 중간부분 내면 상측에 결착편(155)이 결합되게 형성되는 결착홈부(155')와, 상기 격편(154')의 하측 전후에 서로 마주하게 격리 연장되어 결속판(129)이 결합되게 형성되는 전·후결속편(156')과, 상기 간격유지편(153') 후측의 중간부분에 결착장공(156)을 관통하여 그 하면에 걸어지게 하향 연장되는 걸림편(157')과, 나사체결공이 천공되며 상기 간격유지편(153') 우측의 전·후부분에 전·후관통장공(157)을 관통하여 그 하방으로 노출되게 하향 연장되는 전·후보스편(158')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파티션수단(300)은, 상기 제1,2지지편부(152)(152')들 사이의 간격에 비례하는 두께와 원하는 길이 및 높이로 형성되는 패널(310)과, 상기 패널(3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대(320)와, 상기 패널(310)을 횡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30)와, 상기 패널(310)의 모서리에 결합하는 보호캡(340)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부재(150a)에 제2부재(150b)를 결합하면 제1,2지지편부(152)(152')들 사이에 간격유지편(153')의 폭에 비례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파티션수단(300)을 삽입 결합하게 형성되는 ""형태의 장착부(150c)와;
탄성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2지지편부(152)(152')들 내·외벽들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장착부(150c)에 결합되는 패널(310)의 장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주는 지지패드(150d)를 더 포함하여 누구나 쉽게 분리·조립할 수 있어 파티션을 책상 또는 식탁이나 탁자에 간편·용이하게 탈부착 및 이전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패널을 투명하게 제작하여 바이러스의 가림막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점착성이 우수한 우레탄 겔로 형성되는 흡착패드(116)를 사용함으로써 설치상태가 항상 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파티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50)는, 판체부(151a)와, 상기 판체부(151a)의 상주면 좌측 중간부분에 상·하면이 좌측으로 개방되게 수직으로 함몰되며 내주의 전후 및 우측 3면의 바닥에 측단면이 ""형태로 되게 돌출형성된 좌측 결속판(129)이 삽입되면 그 상편이 걸어지는 걸이턱이 빙둘러 형성되게 3면의 측단면이 ""형태로 연장되는 좌측 결속홈부(152a)와, 상기 판체부(151a)의 상주면 중간부분에 상면이 우측으로 개방되게 수직으로 함몰되는 우측 결속홈부(152b)와, 상기 우측 결속홈부(152b)의 하부로 측단면이 ""형태로 되게 돌출형성된 우측 결속판(129')이 삽입되면 그 상편이 상향관통하게 바닥에 천공되는 관통구(153a)와, 상기 우측 결속홈부(152b)의 하면에 좌단 및 하면이 개방되며 내주의 전후 2면에 하단이 우측 결속홈부(152b)의 바닥 좌측부분과 연결되어 우측 결속판(129')이 삽입되면 그 상편이 걸어지는 걸이턱이 빙둘러 형성되게 측단면이 ""형태로 연장되는 우측 결속편부(154b)와, 상면의 중앙에 수직 돌출되는 제1고정보스(155a)와, 상기 제1고정보스(155a)의 좌·우측에 동일간격으로 격리 돌출되는 지지보스(155b)들과, 상기 제1고정보스(155a)의 전·후측에 동일간격으로 격리 천공되는 나사공(155c)들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파티션수단(300)은, 중앙에 상기 제1고정보스(155a)가 삽입결속되는 지름으로 형성되는 제1결속구(311)와 상기 제1결속구(311)의 좌·우측에 지지보스(155b)들이 삽입결속되게 형성되는 제2결속구(312)들과 상기 제1결속구(311)의 전·후측에 나사공(155c)들을 통해 나사를 체결하게 형성되는 나사체결구(313)들 및 외주면에 직각으로 함몰형성되는 제1,2결착홈부(314)(314')들을 구비하여 원하는 길이의 파이프형태로 되는 기둥부재(301)와, 상기 기둥부재(301)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면의 중앙에는 상기 제1결속구(311)의 일단에 삽입고정되게 하향돌출되는 제2고정보스(321)와 상기 제2고정보스(321)의 전·후측에 나사공(155c)들의 일단에 각각 삽입고정되게 하향돌출되는 고정핀(322)들을 구비하여 되는 캡부재(302)와, 상기 제1,2결착홈부(314)(314')들의 간격에 비례하는 두께와 원하는 길이 및 높이로 형성되는 패널(310)과, 상기 패널(3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대(320)와 상기 패널(310)을 횡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3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파티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3635A KR102452906B1 (ko) | 2020-11-30 | 2020-11-30 | 책상용 파티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3635A KR102452906B1 (ko) | 2020-11-30 | 2020-11-30 | 책상용 파티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5502A KR20220075502A (ko) | 2022-06-08 |
KR102452906B1 true KR102452906B1 (ko) | 2022-10-12 |
Family
ID=8198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3635A KR102452906B1 (ko) | 2020-11-30 | 2020-11-30 | 책상용 파티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290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3364Y1 (ko) | 2004-10-19 | 2005-01-15 | 최승혁 | 휴대용 간이 학습 칸막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09219A (ko) * | 2011-03-28 | 2012-10-08 | 김재승 | 탁자의 모서리 고정구 |
-
2020
- 2020-11-30 KR KR1020200163635A patent/KR1024529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3364Y1 (ko) | 2004-10-19 | 2005-01-15 | 최승혁 | 휴대용 간이 학습 칸막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5502A (ko) | 2022-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425171A (en) | Space divider system | |
US2952343A (en) |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rticles on perforated sheet material | |
KR102118997B1 (ko) |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US8316607B2 (en) | Metal ceiling system having locking panels without visible access holes | |
KR102247472B1 (ko) | 칸막이용 모서리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oa 칸막이 | |
US6581344B1 (en) | Frame system | |
RU2017120278A (ru) | Узел для поддержки потолочных панелей и потолочная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й узел | |
JP4268157B2 (ja) | 床構造体及びテラスデッキ並びに係合具付き根太 | |
KR102452906B1 (ko) | 책상용 파티션 | |
KR102251075B1 (ko) |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 |
KR101761323B1 (ko) | 조립식 칸막이 | |
US11805750B2 (en) | Vent for livestock stall | |
US20050204886A1 (en) | Hole punch device having punch elements with non-circular cutting surfaces | |
CN207377018U (zh) | 一种轻质复合石材安装结构 | |
KR20230000920U (ko) | 벽걸이 수납 가구 | |
KR20210023683A (ko) | 천정텍스 자가설치 및 낙하방지구조를 가진 경량형 면조명장치 | |
JP6375072B2 (ja) | 間仕切パネル装置 | |
CN108342879B (zh) | 一种滚筒洗衣机 | |
JP3222100U (ja) | 壁取付け用棚 | |
CN211011058U (zh) | 一种方便安装的面板灯 | |
JP5630386B2 (ja) | デスクの仕切装置 | |
KR102690165B1 (ko) | 라인 조명 시스템 | |
CN219867506U (zh) | 一种面板灯安装结构 | |
CN220236596U (zh) | 一种挂板组件 | |
CN220226504U (zh) | 一种滑杆快装组件、窗用传动盒、窗用插销、窗用转角器及窗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