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589B1 - 건축물 내부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 내부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2589B1 KR102452589B1 KR1020210168680A KR20210168680A KR102452589B1 KR 102452589 B1 KR102452589 B1 KR 102452589B1 KR 1020210168680 A KR1020210168680 A KR 1020210168680A KR 20210168680 A KR20210168680 A KR 20210168680A KR 102452589 B1 KR102452589 B1 KR 1024525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urity
- score
- security device
- information
-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1000001881 impot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부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CCTV, 화재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출입통제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비 기기; 상기 경비 기기 인근에 설치되어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경비 기기에 대한 접근정보를 생성하여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접근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비콘의 인근에 설치된 경비 기기에 대한 ON/OFF 상태를 포함하는 경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경비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다양한 경비 기기로부터 건물 내에 상주하고 있는 공용구역 경비원이 소지한 관리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경비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경비 기기의 이상 신호에 대한 신속한 현장 대응 및 맞춤형 경비 업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 내부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빌딩이 대형화, 고층화, 최첨단의 정보화 건물로 건축되어 감에 따라 그 만큼 경비 및 관리의 영역이 넓어지게 되어 간혹 야기되는 외부 무단 침입자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부대시설로 건물 종합 경비 시스템을 설치 강화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건물 종합 경비 시스템의 경우 건물 내외부에 CCTV나 다양한 센서를 장착하여 외부로부터의 무단 침입, 건물 내외부의 출입자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무단침입 상황 발생 시 관리자에게 알람이 가게 하여 관리자를 호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특히, 공동주택이나, 집합 건물, 빌딩 등의 건축물이나 건축 영역에는 직접 순찰을 돌면서 상황을 체크할 수 있는 관리자인 자체 경비원이 근무하고 있으므로, 상기 건물 종합 경비 시스템이라 함은 이러한 자체 경비원이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건물 종합 경비 시스템의 경우 자체 경비원이 소지한 관리자 단말을 통해 건물 내부에 무단침입 상황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알리며, 이에 따라 자체 경비원의 빠른 출동을 가능케 한 것이다.
상술한 건물 종합 경비 시스템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 10-1065107호에 ‘지역 경비원을 통한 경비지원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지역 경비원을 통한 경비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다양하게 주장치와 연동된 부가장치를 확장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기반의 지역경비시스템을 제공하며, 경계설정과 해제 및 침입신호에 대한 지역 경비정보를 층단위로 관리할 수 있게 하고, 경계설정과 해제 및 침입신호에 대한 신호 발생시 가입자 경비영역에 대한 측단면 위치도 및 평단면 위치도를 함께 제공하여 지역 경비원이 사설 경비업체 요원의 출동 전에 신속하게 해당 가입자 경비영역을 점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경비를 수행할 수 있는 지역 경비원을 통한 경비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경비지원 시스템은 경비영역에 대한 정보 및 경비영역의 측단면 및 평단면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화면에 출력시킴으로써 나이가 많아 단말 조작에 미숙하거나 혹은 해당 건물 구조에 익숙치 않은 경비원으로도 경비 수행 효과를 높이는 것에 포인트를 둔 것이며, 건축물의 경비정보에 대한 종합 관리 통제와는 다소 동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다양한 경비 기기의 동작 상태를 비콘을 매개로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경비정보를 생성하여 건물 관리자가 소지한 관리자 단말 및 해당 건물에 대한 이용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전달토록 하여, 건축물 경비 상황에 대한 신속한 현장 대응 및 맞춤형 경비 업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를 순찰하는 경비 기기들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비콘을 매개로 하여 해당 경비 기기의 작동상태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비정보를 실시간으로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나 무단 침입자의 발생, 이상 고온, 이상 저온 등이 발생했을 때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건물에 설치된 개별 경비 기기의 보안점수 및 보안점수의 총 합을 한눈에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경비 기기의 보안점수 뿐 아니라 경비 기기의 중요도를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한 눈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부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CCTV, 화재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출입통제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비 기기; 상기 경비 기기 인근에 설치되어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경비 기기에 대한 접근정보를 생성하여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접근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비콘의 인근에 설치된 경비 기기에 대한 ON/OFF 상태를 포함하는 경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경비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메인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경비요청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경비 기기의 ON/OFF를 제어하는 작동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경비 관리 모듈은, 생성된 경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경비 기기는, CCTV, 화재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출입통제장치, 전력량계, 비상알림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서버는, 각각의 경비 기기에 대해 보안점수를 산출하는 보안점수 파악부 및, 상기 각각의 경비 기기의 보안점수를 시각화한 경비 다이어그램(diagram)을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에 전달하는 다이어그램 생성부를 포함하는 다이어그램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비 다이어그램은, 각각의 경비 기기에 대한 보안점수 및, 각각의 경비 기기의 중요도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 내부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1) 건축물 내부를 순찰하는 관리자가 특정 구역에 진입하였을 때, 해당 구역에 위치한 경비 기기들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비콘을 매개로 하여 해당 경비 기기의 작동상태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빠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2) 해당 건물의 소유자 또는 경비 관리 책임자일 수 있는 사용자가 본인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경비정보를 실시간으로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3) 긴급하게 대처해야 하는 이벤트, 즉 화재나 무단 침입자의 발생, 이상 고온, 이상 저온 등이 발생했을 때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알려 빠른 대처를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4) 경비 기기에 대해 산출된 보안점수를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며 경비 기기들의 보안점수의 총 합을 도형의 면적으로 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건물의 개별 경비 기기의 보안점수 및 보안점수의 총 합을 한눈에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5) 경비 기기의 보안점수 뿐 아니라 각각의 경비 기기에 대한 중요도를 경비 다이어그램 상에 함께 표시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경비 기기 간의 보안점수 비교, 나아가 복수의 경비 기기의 보안점수를 통합한 통합 보안점수 제공에 더불어 각각의 경비 기기의 중요도를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한 눈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메인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경비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경비 상태 확인 화면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경비 다이어그램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임포탄스 써클이 표시 처리된 경비 다이어그램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메인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경비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경비 상태 확인 화면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경비 다이어그램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임포탄스 써클이 표시 처리된 경비 다이어그램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건축물 내부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경비 기기(2), 비콘(3), 관리자 단말(4), 사용자 단말(5), 그리고 메인 서버(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비 기기(2)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의 보안 상태를 감시하거나 건물 내부의 비상 상황 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기기 또는 센서로서, 이러한 경비 기기(2)는 바람직하게 CCTV, 화재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출입통제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CCTV는 건물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 및 외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을 기반으로 건물에 대한 출입자의 확인 뿐 아니라 침입자 발생 감지, 기타 비상 상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화재감지센서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의 화재 시 발생하는 열 또는 연기를 매개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며, 연기를 매개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것은 공지의 이온화식 감지기 및 광전식 감지기를 참조하면 되고, 열을 매개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것은 정온식 감지기 및 차동식 감지기를 참조하면 된다.
온도감지센서는 건물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건물 내부가 특정 온도 범위로 유지되어야 하는 환경이거나, 혹은 해당 건물 이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주길 원하는 경우 건물 내부에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적정 온도 범위로 건물 내부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건물 내에 위치한 장비 등에서 발열이 발생하는 것을 온도감지센서를 매개로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입통제장치는 건물의 출입구, 혹은 건물 내부나 건물 내부에 위치한 방이나 특정 층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사원증이나 기타 통행증을 태그해서 들어가는 출입장치나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출입이 가능한 출입장치, 나아가 지문인식, 홍채인식 등을 통해 특정 구역에 대한 출입을 허가하도록 하는 출입장치가 모두 출입통제장치가 된다. 즉 특정 구역에 대한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건물 내부에 위치한 출입구나 창문의 인근에 배치되어 인증을 통해 출입 허가를 수행하고 출입구 및 창문의 개폐를 허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출입통제장치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설명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경비 기기(2)는 비상알림장치(비상벨)이나 전력량계와 같이 건물 내의 비상 상황을 알리거나, 건물 내의 전력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경비용 기기, 나아가 건물 내부 상황 모니터링 기기들이 경비 기기(2)가 될 수 있다.
비콘(3)은 건물 내부에서도 상술한 경비 기기(2)의 인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콘 신호(beacon signal)를 송출한다. 더불어 비콘(3)은 상술한 경비 기기(2)와 일체형이 되도록 경비 기기(2)에 내장 설치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따라서 비콘(3)은 각각의 경비 기기(2)마다 인근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혹은 복수의 경비 기기(2)가 인접 설치된 영역에 비콘(3)을 함께 설치하여 한 대의 비콘(3)을 통해 여러 개의 경비 기기(2)를 통합 관리하게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러한 비콘(3)은 저전력 블루투스(BLE)나 저주파 통신, LED 통신, Wi-Fi 통신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하여 관리자 단말(4)과 통신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다른 다양한 통신 방식이 비콘 신호 송출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을 수행하는 범위는 비콘(3)의 감지영역 내인 것을 기본으로 한다. 감지영역은 일반적인 비콘(3)의 통신 가능 범위라고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콘(3)이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반경 1 내지 10m일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비콘(3)의 감지영역 내에 경비 기기(2)가 설치되어, 비콘(3)을 매개로 경비 기기(2)에 대한 관리를 가능케 한다.
나아가 비콘(3)은 관리자 단말(4)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고, 혹은 관리자 단말(4)과 양방향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 역시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관리자 단말(4)에 비콘(3)이 일방향으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더불어 여기서 비콘 신호라 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명확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경비정보 통합 관리를 하기 위한 용도로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콘 신호는 해당 감지영역에 관리자 단말(4)이 인접한 것을 인식함과 동시에 특정 비콘(3) 인근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4)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혹은 관리자 단말(4)의 감지영역 진입/진출 여부에 대한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은 해당 건물에 대한 경비 관리를 수행하는 자, 즉 경비원 등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로서, 가장 간단하게는 통신을 통해 메인 서버(1) 및 비콘(3)과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이 관리자 단말(4)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4)은 비콘(3)에서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해당 비콘(3)이 위치한 경비 기기(2)에 접근했음을 알리는 정보인 접근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후술할 메인 서버(1)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비콘(3)의 감지영역에 접근함에 따라 비콘(3)이 송출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를 매개로 관리자 단말(4)이 해당 비콘(3)이 위치한 감지영역에 접근하였음을 인증하는 정보인 접근정보를 생성하는 것인데, 이때 비콘(3)의 인근에는 상술한 경비 기기(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관리자 단말(4)은 감지영역, 즉 해당 비콘(3)과 인접한 경비 기기(2)에 접근하였음을 인증하는 접근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메인 서버(1)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은 해당 건물에 대한 출입이 허가되어 해당 건물을 이용하는 자, 나아가 해당 건물에 대한 경비정보를 받아보고자 하는 자가 소지한 단말로써 바람직하게 사용자라 함은 해당 건물의 소유주나 해당 건물의 관리에 대한 권한을 가진 자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5)은 해당 건물의 소유주나 관리 권한을 가진 자가 소지한 것으로서, 경비정보를 받아보고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경비 기기(2)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을 구비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이 사용자 단말(5)이 될 수 있다.
메인 서버(1)는 경비 기기(2) 및 비콘(3)에 대한 관리 주체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관리자 단말(4)로부터 접근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경비 기기(2)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경비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관리자 단말(4) 및 해당 건물에 출입이 허가되어 해당 건물을 이용하는 이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 경비정보의 생성 및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주체가 곧 메인 서버(1)가 될 수 있는 것이며,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 함은 메인 서버(1)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인 서버(1)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 및 전송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CPU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CPU에서 수행될 소프트웨어에 의해 후술할 일련의 모듈 및 이의 구체적 기능이 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인 서버(1)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 단위로서 후술할 예정이다.
이러한 메인 서버(1)는 이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제서버(3)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후술할 모듈 내지 부의 실행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메인 서버(1)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거시적 구성을 기반으로 이에 대한 세부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메인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경비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메인 서버(1)는 경비 관리 모듈(100)을 가장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비 관리 모듈(100)은, 비콘(3)의 감지영역에 접근한 관리자 단말(4)로부터 접근정보를 수신하고, 접근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해당 감지영역에 설치된 경비 기기(2)에 대한 경비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관리자 단말(4)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해당 감지영역에 설치된 경비 기기(2), 즉 비콘(3) 인근에 설치된 경비 기기(2)들에 대한 경비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관리자 단말(4)에 전송함으로써 특정 구역에 접근한 관리자가 해당 구역에 위치한 경비 기기(2)의 상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이때 경비정보라 함은 가장 기본적으로 각각의 경비 기기(2)에 대한 ON/OFF 상태를 포함한다. 따라서 해당 경비 기기(2)의 정상 작동 유무를 바로 파악할 수 있으며, 후술하겠으나 경비 기기(2)가 감지한 이벤트 등을 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특정 구역에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4)을 소지한 채로 접근하였을 때, 해당 구역에 위치한 비콘(3)을 매개로 하여 관리자 단말(4)이 해당 구역에 접근한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구역의 접근이 인식됨에 따라 구역 내에 위치한 경비 기기(2)에 대한 경비정보가 생성되어 관리자 단말(4)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관리자 단말(4)의 경우 경비정보 모니터링을 위해 구비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접속에 따라 경비정보를 한눈에 확인하고 해당 건물에 발생한 긴급 상황을 감시함과 동시에 관리자 끼리의 비상 연락을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건축물 내부를 순찰하는 관리자가 특정 구역에 진입하였을 때, 해당 구역에 위치한 경비 기기(2)들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비콘(3)을 매개로 하여 해당 경비 기기(2)의 작동상태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빠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4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경비 상태 확인 화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5)을 소지한 사용자는 해당 건축물에 대한 출입이 허가된 자로서 해당 건물에 대한 경비 상태 모니터링 및 경비 상태의 제어가 가능한, 해당 건물의 소유자 또는 경비 관리 책임자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5)에서의 제어를 통해 경비 기기(2)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메인 서버(1)는 작동 제어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작동 제어 모듈(200)은 사용자 단말(5)로부터 경비요청신호가 입력됨에 따라서, 경비 기기(2)의 ON/OFF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사용자 단말(5)로 인한 경비요청신호 입력 여부를 메인 서버(1)가 감지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메인 서버(1)가 통신을 통해 연결 처리 되어 있는 경비 기기(2)의 ON/OFF를 원격 제어하거나 혹은 상술한 관리자를 통해 경비 기기(2)를 ON/OFF 처리하도록 지시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5)을 통한 경비요청신호 입력을 통한 경비 제어가 가능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5) 역시 경비정보를 제공받아 경비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경비 관리 모듈(100)은 생성된 경비정보를 관리자 단말(4) 뿐 아니라 사용자 단말(5)에 함께 전송하여 사용자 역시 경비정보를 제공받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때 사용자 단말(5)에도 경비정보 모니터링을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야 하며, 이때 사용자 단말(5)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경비 기기(2)에 대한 ON/OFF 제어를 위한 경비요청정보 생성 기능이나 경비 기기(2)의 현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경비정보 모니터링 기능, 나아가 관리자와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등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해당 건물의 소유자 또는 경비 관리 책임자일 수 있는 사용자가 본인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5)을 통해 경비정보를 실시간으로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메인 서버(1)는 이벤트 감지 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이벤트 감지 모듈(300)은 이벤트 감지부(310) 및 이벤트 알림부(320)를 포함하여 경비 기기(2)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이를 관리자 단말(4) 및 사용자 단말(5)에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이벤트 감지부(310)는 경비 기기(2)룰 통하여 건물 내에 발생된 이벤트를 감지하여 이벤트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이벤트라 함은 사건, 사고, 행사, 및 그에 따른 물적, 현상적 변화 등을 망라하는 개념으로써 경비 기기(2)를 통해 감지된 사건, 사고, 행사가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즉 CCTV를 통해 외부인의 무단 침입이 감지된 것이 이벤트가 될 수도 있고, 화재감지센서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이 역시 이벤트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온도감지센서에서 이상 고온 또는 이상 저온 (설정 범위의 온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경우) 이 역시 이벤트로 간주될 수 있으며, 나아가 출입통제장치에서 허가되지 않은 자가 출입을 시도하거나, 혹은 출입통제장치의 파손을 시도하는 행위 역시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됨에 따라 이벤트 감지부(310)는 이벤트정보를 생성하게 되며, 이벤트정보는 어떠한 경비 기기(2)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나아가 이벤트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의 내용이라 함은 화재 감지, 무단 침입 감지, 이상 고온 감지, 이상 저온 감지 등이 될 수 있다.
이벤트 알림부(320)는 감지된 이벤트정보를 관리자 단말(4) 및 사용자 단말(5)에 전송하여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벤트정보, 즉 어떠한 경비 기기(2)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나아가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내용을 본 발명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푸시알림 메시지나 혹은 문자메시지 등의 형식을 통해 관리자 단말(4) 및 사용자 단말(5)에 전송하여 관리자 및 사용자가 해당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긴급하게 대처해야 하는 이벤트, 즉 화재나 무단 침입자의 발생, 이상 고온, 이상 저온 등이 발생했을 때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알려 빠른 대처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정보의 감지 시 이를 일별, 주별, 월별, 연별로 반복하여 관리자 단말(4)에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거에 일어났던 이벤트정보를 관리자 단말(4)에 리마인드하여 해당 기기나 센서에 대해 관리자가 보다 주의를 갖고 점검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019년 12월 9일에 해당 건물에 동파가 발생하여 누수감지센서가 누수를 감지하여 이벤트정보를 생성한 경우, 2020년 12월 9일 및 2021년 12월 9일에 누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이벤트정보를 관리자 단말(4)에 반복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센서에 대한 반복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관리자, 즉 경비원들은 높은 이직률 및 짧은 근속율로 인해 해당 건물의 특성이나 반복적인 이벤트, 즉 사고를 예측하여 행동하기 힘든 바, 발생한 이벤트정보를 본 발명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리자 단말(4)에 반복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경비원, 즉 관리자의 변경 시에도 해당 건물의 특성이나 과거 이벤트 이력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메인 서버(1)는 요청 수행 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요청 수행 모듈(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건물의 소유자 또는 경비 관리 책임자일 수 있는 사용자로부터 요청사항을 입력받아 이를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요청 수행 모듈(400)은 사용자 단말(5)로부터 상술한 경비 기기(2)의 작동 제어, 또는 경비 기기(2)에서 감지된(촬영된) 데이터에 대한 요청사항, 혹은 기타 건물 내에 구비된 설비 등에 대한 요청사항을 입력받아 이를 관리자 단말(4)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CCTV에서 촬영된 데이터의 전송, 혹은 특정 센서의 on/off 제어, 나아가 해당 건물 내에 위치된 조명의 소등이나 에어컨 등의 on/off 제어에 대한 다양한 건물 내 설비 및 경비 기기(2)의 제어 등에 대한 요청사항을 입력받도록 하고, 이를 관리자 단말(4)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때 요청사항은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입력될 수 있는데, 요청사항의 경우 텍스트의 형태로 입력될 수도 있으며 혹은 음성의 형태로 입력될 수도 있다. 따라서 텍스트나 음성 형태의 요청사항을 입력받아 이를 관리자 단말(4)에 전달할 수 있다.
혹은 요청사항 중의 일부 (소등 요청/에어컨 on/off 요청) 등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별도의 버튼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5)에서 해당 버튼 클릭 시 관리자 단말(4)에 해당 요청사항에 대한 알림이 실시간으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5)의 요청사항을 관리자 단말(4)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5)로부터 기 입력된, 즉 과거에 요청된 요청사항이 있을 경우 이를 반복하여 관리자 단말(4)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2020년 7월 15일 경에 사용자 단말(5)로부터 관리자 단말(4)에 건물 내에 구비된 냉동고에 대한 점검을 요청한 경우, 이를 2021년 7월 15일 경에 관리자 단말(4)에 다시 제공하여 과거에 입력되었던 요청사항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4)에 반복적인 알람, 즉 리마인드를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리마인드 주기, 즉 과거에 입력된 요청사항을 반복하여 관리자 단말(4)에 제공하는 주기는 일별 반복, 주별 반복, 월별 반복, 연별 반복 등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반복 주기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본인이 소지한 단말을 매개로 건물 내의 경비 기기(2)나 다양한 설비들에 대한 제어 요청을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건물 내에 있지 않더라도 실시간으로 건물 내의 다양한 설비 및 경비 기기(2)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요청사항을 일별, 주별, 월별, 연별로 관리자 단말(4)에 리마인드 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건물 내에 특정한 기기 또는 센서에 대해 관리자 단말(4)이 과거의 요청사항을 기반으로 하여 반복적인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건물 내의 사고 예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설명에서 경비 기기(2)는 CCTV, 화재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출입통제장치, 나아가 전력량계와 비상알림장치(비상벨)을 포함한다고 하였다.
이때 각각의 경비 기기(2)의 보안상태, 즉 경비상태를 파악하여 각각의 기기에 점수를 매기고, 해당 점수를 한눈에 시각화하여 이를 관리자 단말(4)에 전달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메인 서버(1)는 다이어그램 생성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이어그램 생성 모듈(500)은 바람직하게 보안점수 파악부(510) 및 다이어그램 생성부(520)를 포함한다.
보안점수 파악부(510)는 각각의 경비 기기(2)에 대해 보안점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보안점수라 함은 해당 경비 기기(2)의 정상 작동 상태 여부, 해당 경비 기기(2)에서 발생한 고장 횟수, 해당 경비 기기(2)를 통해 감지된 이벤트의 횟수, 나아가 관리자 단말(4)에 의해 해당 경비 기기(2)에 대해 점검 및 모니터링이 수행된 횟수 등을 반영하여 경비 기기(2)에 대한 보안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보안점수 산출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이벤트의 횟수와 모니터링이 수행된 횟수를 더하고, 여기서 고장 횟수를 뺀 뒤 정상 작동 상태 여부를 통해 파악된 가중치를 곱하는 방식 등을 통해 보안점수가 산출될 수 있으며, 혹은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방식으로 보안점수가 산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보안점수 산출을 통해 각각의 경비 기기(2)의 정상 작동 상태 여부, 고장 횟수, 감지된 이벤트의 횟수, 나아가 모니터링 횟수 등을 반영하여 해당 경비 기기(2)의 보안상태를 총망라하여 점수화한 보안점수를 산출할 수 있게 되어 경비 기기(2)에 대해 산출된 보안점수를 기반으로 각각의 경비 기기(2)의 보안상태를 비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보안점수가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S는 보안점수, p는 기준점수, e는 해당 경비 기기에서 감지된 이벤트의 횟수, m은 해당 경비 기기에 대한 모니터링 횟수, f는 해당 경비 기기의 고장 횟수, n은 작동 상태 가중치로서 )
여기서 기준점수는 보안점수의 만점이라고 간주되는 점수를 의미하며, 즉 보안점수의 만점이 100점인 경우 기준점수는 100, 보안점수의 만점이 10점인 경우 기준점수는 10이 된다. 즉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는 보안점수의 만점이 기준점수로써 설정되며, 이때 기준점수의 크기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해당 경비 기기(2)에 대한 모니터링 횟수는 관리자에 의해 해당 경비 기기(2)에 대한 관리, 감시, 모니터링이 수행된 횟수를 의미하며, 관리자가 해당 경비 기기(2)를 점검한 횟수, 본 발명의 통합 관리 시스템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경비 기기(2)의 작동 상태를 확인한 횟수 등이 모두 합산되어 모니터링 횟수로 판단된다. 즉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벤트의 횟수 및 고장 횟수보다 모니터링 횟수가 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벤트의 횟수와 모니터링 횟수는 큰 차이가 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작동 상태 가중치는 해당 경비 기기(2)의 접속상태가 원활하고 작동이 정상적으로 일어나고 있을수록 1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며, 해당 경비 기기(2)의 접속상태가 원활하지 않고 고장이 잦으며 접속불량이 잦은 경우 0에 가까운 값을 나타낸다. 이때 작동 상태 가중치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값으로 그 값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시로써 경비 기기를 CCTV로 간주한다, 보안점수의 만점이 100점이고 (기준점수 100), CCTV에서 감지된 이벤트 횟수가 40, CCTV의 모니터링 횟수가 50회, 고장 횟수가 5회, 작동 상태 가중치가 0.95인 경우,
로 산출될 수 있다.
즉 보안점수는 모니터링 횟수 대비 이벤트의 횟수가 높을수록, 고장 횟수가 작을수록, 작동 상태 가중치가 높을수록 높은 값을 갖게 된다.
여기서 모니터링 횟수 대비 이벤트의 횟수가 높다는 것은 해당 경비 기기(2)가 별도의 모니터링 없이도 이벤트의 감지를 원활히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모니터링 횟수가 이벤트 횟수 대비 많은 것은 불필요하게 해당 경비 기기(2)를 확인한 횟수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점수가 낮게 산출될 수 있다.
나아가 보안점수의 경우 단순한 선형의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비선형적 분포를 나타낼 수 있는 하이퍼볼릭탄젠트 함수를 통해 산출된 값을 기준점수에 곱해 보안점수를 산출함으로써 상대적 비교값이라 할 수 있는 보안점수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산출된 보안점수를 한눈에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다이어그램 생성 모듈(500)에 포함된 다이어그램 생성부(520)는, 각각의 경비 기기(2)에 대해 산출된 보안점수를 시각화한 경비 다이어그램(14)(diagram)을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경비 다이어그램(14)이라 함은 각각의 경비 기기(2)에 대해 산출된 보안점수를 한눈에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산출된 보안점수를 시각화한 다이어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다이어그램은 2차원 기하학 심벌을 이용해 정보를 시각화하는 기술로서, 기호, 선, 점 등을 사용해 각종 사상의 상호관계나 과정, 구조 등을 이해시키는 설명적인 그림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경비 다이어그램(14)은 각각의 경비 기기(2)에 대해 산출된 보안점수를 시각화하여 나타내는 것인데, 이때 바람직하게 각각의 경비 기기(2)에 대해 산출된 보안점수는 도형의 형태인 경비 다이어그램(14)에 있어 해당 도형의 중심점으로부터 각 꼭짓점까지의 길이를 이루고, 보안점수의 총 합이 경비 다이어그램(14)에서 형성된 도형의 면적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경비 기기(2)에 대해 산출된 보안점수를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나아가 경비 기기(2)들의 보안점수의 총 합을 도형의 면적으로 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건물의 개별 경비 기기(2)의 보안점수 및 보안점수의 총 합을 한눈에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생성된 경비 다이어그램(14)을 본 발명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자 단말(4)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각각의 경비 기기(2)의 보안점수 뿐 아니라 건물 내에 구비된 전체 경비 기기(2)의 통합 보안점수를 시각화하여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경비 다이어그램(14)은 각각의 경비 기기(2)에 대한 보안점수 뿐 아니라, 시스템 관리자 등에 의해 설정된 각각의 경비 기기(2)의 중요도를 함께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경비 기기(2)에 대해 산출된 보안 점수 뿐 아니라, 해당 건물 내에서의 특정 경비 기기(2)의 중요도를 시각화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경비 기기(2)의 중요도는 경비 다이어그램(14)를 구성하는 특정한 도형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즉 경비 다이어그램(14)은 특정 도형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각각의 경비 기기(2)에 대한 보안점수 및 중요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시각적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경비 다이어그램(14)의 형상이나 작도 방법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방식을 통해 경비 다이어그램(14)이 작도되어 한눈에 경비 기기(2)의 보안점수 및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경비 다이어그램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경비 다이어그램(14)의 예시 뿐 아니라 다이어그램 생성부(52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이어그램 생성부(520)는 기준원 생성파트(521), 도형 생성파트(522), 대응 처리파트(523), 꼭짓점 형성파트(524), 다이어그램 형성파트(525), 중요도 표시파트(52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기준원 생성파트(521)는 각각의 경비 기기(2)에 산출될 수 있는 보안점수의 만점에 대응되는, 즉 만점에 상응하는 길이를 반지름으로 갖는 기준원(11)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보안점수의 만점이 100점인 경우, 100을 반지름으로 갖는 기준원(11)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반지름의 수치는 상대적인 값이라 할 수 있으므로, 보안점수 1점을 1mm로 표시 처리하여 100점을 100mm로 나타낸, 즉 반지름이 100mm가 되는 기준원(11)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보안점수의 만점에 따라서 기준원(11)의 반지름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때 보안점수의 만점에 따라 기준원(11)의 반지름을 설정한 뒤 이를 단위로서 부여하는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다시 말해 보안점수 1점이 1mm가 될 수도 있고, 1픽셀이 될 수도 있으나 기준원(11)의 반지름의 길이는 각각의 경비 기기(2)에 대해 산출될 수 있는 보안점수의 만점에 상응하는 길이가 된다.
도형 생성파트(522)는 경비 기기(2)의 개수만큼을 꼭지점으로 갖는 것으로서, 상기 기준원(11)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다각형(12)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면 상의 실시예에서는 정다각형(12)이 정육각형이 되어, 생성된 기준원(11)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육각형을 형성하였는데, 이때 정육각형을 생성한 이유는 경비 기기(2)가 상술한 바와 같이 CCTV, 화재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출입통제장치, 전력량계, 비상알림장치의 6가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며, 따라서 경비 기기(2)의 개수에 따라 기준원(11)에 내접하는 정다각형(12)은 달라질 수 있다.
즉 기준원(11)에 내접할 수 있는 정다각형(12), 즉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정육각형, 정팔각형, 정십이각형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을 통해 모니터링되는 경비 기기(2)의 개수에 따라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경비 기기(2)의 개수가 6개이므로 기준원(11)에 내접하는 정다각형(12)이 정육각형이 되는 예시를 나타내었다.
대응 처리파트(523)는 정다각형(12)의 각 꼭짓점에 각각의 경비 기기(2)를 대응 처리한다.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경비 기기(2)가 CCTV, 화재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출입통제장치, 전력량계, 비상알림장치의 6가지로 이루어진다 하였으므로, 각각의 꼭짓점마다 하나의 경비 기기(2)를 대응 처리하는 것이다.
이때 대응 처리의 순서에 있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도면의 예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정다각형(12)의 꼭짓점마다 각각의 경비 기기(2)가 대응 처리되어 경비 다이어그램(14) 상에 표시 처리된다.
꼭짓점 형성파트(524)는 기준원(11)의 중심으로부터 각각의 꼭짓점을 이은 반지름 상에 각각의 경비 기기(2)의 보안점수를 좌표(13)로써 표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좌표(13)는 반지름 상에 표시되는 일종의 점, 즉 스팟(spot)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후술할 경비 다이어그램(14)을 이루는 새로운 도형의 꼭짓점이 된다.
예를 들어, 보안점수의 만점이 100점이고 CCTV에 대해 산출된 보안점수가 80점이라 한다면, 80점에 해당하는 위치, 즉 해당 기준원(11)에서 CCTV에 대응된 꼭짓점까지 연장된 반지름 상에서, 반지름 길이의 4/5 지점(80점에 해당하는 지점에) CCTV의 보안점수가 좌표(13)로 표시 처리되는 것이다.
즉 보안점수의 만점이 기준원(11)의 반지름이고, 정다각형(12)의 꼭짓점에 각각의 경비 기기(2)가 대응 처리되어 있는 만큼 반지름을 경비 기기(2)의 만점으로 갖는 상태에서, 해당 경비 기기(2)에 대해 산출된 보안점수를 해당 반지름 상에 좌표(13)로써 표시 처리하는 것이다.
기준원(11)에서 각각의 꼭짓점까지 연결된 반지름 상에 좌표(13)가 표시 처리되며, 경비 기기(2)가 6개인 경우 표시되어야 하는 보안점수의 좌표(13) 역시 6개가 되며, 해당 경비 기기(2)에 대응 처리된 꼭짓점을 기준원(11)과 이은 반지름 상에 보안점수가 좌표(13)로써 표시 처리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이어그램 형성파트(525)는 표시 처리된 좌표(13)를 인접한 다른 좌표(13)와 연결 처리하여 경비 다이어그램(14)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정다각형(12)의 꼭짓점과 기준원(11)의 중심을 이은 반지름 선 위에는 보안점수를 표시한 좌표(13)가 각각 표시처리 되어 있는데, 이때 하나의 좌표(13)와 가장 인접한 다른 좌표(13)를 서로 연결 처리하면 각각의 좌표(13)를 꼭짓점으로 갖는 새로운 도형이 형성된다. 이 도형이 경비 다이어그램(14)이 되는 것이며, 이때 경비 다이어그램(14)은 육각형의 형태를 가지나 정육각형이 아닌 찌그러진 모양, 혹은 눌린 모양을 가진 육각형이 될 수 있다.
만약 각각의 경비 기기(2)에 대해 산출된 보안점수가 모두 만점인 경우 경비 다이어그램(14)의 형상 역시 정다각형(12)을 갖게 된다. (도면 상의 예시에서는 정육각형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각각의 경비 기기(2)마다 산출된 보안점수는 만점이 아닐 가능성이 높으므로, 경비 다이어그램(14)의 형상은 정다각형(12)이 아닌 다양한 모양의 다각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비 다이어그램(14)에 있어 기준원(11)의 중심점부터 경비 다이어그램(14)의 각 꼭짓점, 즉 상술한 좌표(14)를 연결한 선분을 연장한 길이는 해당 선분이 연장되어 지나가는 정다각형(12)의 꼭짓점(13)에 대응된 각각의 경비 기기(2)의 보안점수가 된다.
나아가 경비 다이어그램(14)의 총 면적은 각각의 경비 기기(2)의 보안점수를 모두 총망라한, 즉 본 발명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의 통합 보안점수라 할 수 있다.
즉 경비 다이어그램(14)은 각각의 경비 기기(2)의 보안점수를 상호 비교 처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모든 경비 기기(2)에 대한 보안 통합 점수(통합 보안점수)를 경비 다이어그램(14)의 면적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경비 기기(2) 사이의 비교, 그리고 해당 건물의 보안 통합 점수를 시각화하여 한눈에 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경비 다이어그램(14)이라는 하나의 도형, 즉 도표와 같은 시각적 수단으로 다양한 값에 대한 비교 처리 및 통합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술한 설명에서 경비 다이어그램(14)은 각각의 경비 기기(2)의 중요도를 함께 시각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에 대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다이어그램 생성부(520)는 중요도 표시파트(526)를 포함하여 경비 다이어그램(14) 상에 중요도를 표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중요도 표시파트(526)는 경비 기기(2)에 대해 설정된 중요도를 상기 경비 다이어그램(14) 상에 표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각각의 경비 기기(2)에 있어 특정 경비 기기(2)는 보안점수가 낮으나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을 수 있고 (예를 들면 출입통제장치는 보안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으나 그 중요도는 매우 높을 수 있다.) 나아가 특정 경비 기기(2)는 보안점수가 높으나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량계에 대해 산출된 보안점수가 높을 수 있으나, 전력량계의 중요도는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중요도를 경비 다이어그램(14) 상에 표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개별 경비 기기(2)의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인데, 이때 중요도는 수치화된 값으로 경비 다이어그램(14)에 형성된 정다각형(12)의 꼭짓점, 즉 경비 기기(2)와 각각 대응된 꼭짓점 상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때 중요도 역시 별도의 도형으로 경비 다이어그램(14)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경비 기기(2)의 중요도가 경비 다이어그램(14) 상에 수치화된 값으로 기재되거나 혹은 도형의 형태로 표시 처리될 수도 있는 것이며, 중요도 표시 방법에 있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 더불어 중요도가 수치화된 값으로 기재되는 경우 중요도의 만점은 10점 내지 100점과 같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값의 범위나 설정 방식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경비 기기(2)의 보안점수 뿐 아니라 각각의 경비 기기(2)에 대한 중요도를 경비 다이어그램(14) 상에 함께 표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경비 기기(2) 간의 보안점수 비교, 나아가 복수의 경비 기기(2)의 보안점수를 통합한 통합 보안점수 제공에 더불어 각각의 경비 기기(2)의 중요도를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한 눈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임포탄스 써클이 표시 처리된 경비 다이어그램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설명에서 중요도 역시 도형으로 시각화되어 표현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를 위해 중요도 표시파트(526)는 각각의 경비 기기(2)에 대해 산출된, 수치화된 중요도를 반지름으로 갖는 임포탄스 서클(15)(importance circle)을 형성하고, 해당 임포탄스 서클(15)을 경비 다이어그램(14)의 꼭짓점이라 할 수 있는 보안점수 좌표(13) 상에 표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비 기기(2)에 대해 산출된 중요도가 임포탄스 서클(15)의 반지름이 되므로, 임포탄스 서클(15)은 대응되는 경비 기기(2)의 보안점수가 표시된 좌표(13) 상에 표시 처리된다.
즉 경비 다이어그램(14)을 이루는 도형의 각 꼭짓점은 해당하는 경비 기기(2)의 보안점수가 표시된 좌표(13)라고 하였는데, 그 좌표(13) 상에 해당 경비 기기(2)의 임포탄스 서클(15)을 표시 처리하여 경비 다이어그램(14)과 임포탄스 서클(15)이 중첩되어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때 바람직하게는 임포탄스 서클(15)의 중심점이 좌표(13)와 일치되도록 임포탄스 서클(15)이 좌표(13) 상에 표시 처리된다.
따라서 경비 다이어그램(14)을 이루는 도형의 각 꼭짓점마다 임포탄스 서클(15)이 배치되는 것이며, 이때 수치화된 중요도가 임포탄스 서클(15)의 반지름이 되므로 임포탄스 서클(15)의 크기 비교를 따라 각각의 경비 기기(2)의 중요도를 바로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보안점수의 만점이 100점인 경우 중요도의 만점 역시 100점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준원(11)의 반지름을 결정할 때와 같이 중요도 1점을 1mm로 표시 처리하여 100점을 100mm로 나타내는 방식으로 기준원(11) 형성과 유사하게 임포탄스 서클(15)을 형성하여 경비 다이어그램(14) 상에 표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경비 다이어그램(14)을 통해 복수의 경비 기기(2)의 보안점수의 비교 처리 뿐 아니라 통합 보안점수를 시각화화여 제공한 본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경비 기기(2)의 중요도까지 도형으로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각화된 구성으로써 다양한 변수를 비교함과 동시에 한 눈에 알아보기 쉽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부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메인 서버 2 : 경비 기기
3 : 비콘 4 : 관리자 단말
5 : 사용자 단말 11 : 기준원
12 : 정다각형 13 : 좌표
14 : 경비 다이어그램 15 : 임포탄스 서클
100 : 경비 관리 모듈 200 : 작동 제어 모듈
300 : 이벤트 감지 모듈 310 : 이벤트 감지부
320 : 이벤트 알림부 400 : 요청 수행 모듈
500 : 다이어그램 생성 모듈 510 : 보안점수 파악부
520 : 다이어그램 생성부 521 : 기준원 생성파트
522 : 도형 생성파트 523 : 대응 처리파트
524 : 꼭짓점 형성파트 525 : 다이어그램 형성파트
526 : 중요도 표시파트
3 : 비콘 4 : 관리자 단말
5 : 사용자 단말 11 : 기준원
12 : 정다각형 13 : 좌표
14 : 경비 다이어그램 15 : 임포탄스 서클
100 : 경비 관리 모듈 200 : 작동 제어 모듈
300 : 이벤트 감지 모듈 310 : 이벤트 감지부
320 : 이벤트 알림부 400 : 요청 수행 모듈
500 : 다이어그램 생성 모듈 510 : 보안점수 파악부
520 : 다이어그램 생성부 521 : 기준원 생성파트
522 : 도형 생성파트 523 : 대응 처리파트
524 : 꼭짓점 형성파트 525 : 다이어그램 형성파트
526 : 중요도 표시파트
Claims (9)
- 건축물 내부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CCTV, 화재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출입통제장치, 전력량계, 비상알림장치를 포함하는 경비 기기;
상기 경비 기기 인근에 설치되어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경비 기기에 대한 접근정보를 생성하여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접근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비콘의 인근에 설치된 경비 기기에 대한 ON/OFF 상태를 포함하는 경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경비 관리 모듈과, 각각의 경비 기기에 대해 보안점수를 산출하는 보안점수 파악부 및 상기 각각의 경비 기기의 보안점수 및 중요도를 시각화한 경비 다이어그램(diagram)을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다이어그램 생성부를 구비한 다이어그램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다이어그램 생성부는,
상기 보안점수의 만점에 대응되는 길이를 반지름으로 갖는 기준원을 생성하는 기준원 생성파트와, 상기 경비 기기의 개수만큼을 꼭짓점으로 갖는 것으로서 상기 기준원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다각형을 형성하는 도형 생성파트 및, 상기 정다각형의 각 꼭짓점에 각각의 경비 기기를 대응 처리하는 대응 처리파트 및, 상기 기준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각각의 꼭짓점을 이은 반지름 상에 각각의 경비 기기의 보안점수를 좌표로 표시 처리하는 꼭짓점 형성파트 및, 표시 처리된 좌표를 인접한 다른 좌표와 연결 처리하여 경비 다이어그램을 형성하는 다이어그램 형성파트 및, 각각의 경비 기기에 대해 설정된 중요도를 상기 경비 다이어그램 상에 표시 처리하는 중요도 표시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중요도 표시파트는,
수치화된 중요도를 반지름으로 갖는 임포탄스 서클(importance circle)을 형성하고, 상기 임포탄스 서클을 각각의 경비 기기의 보안점수를 표시 처리한 좌표 상에 표시 처리하며,
상기 보안점수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수학식 1,
(여기서, S는 보안점수, p는 기준점수, e는 해당 경비 기기에서 감지된 이벤트의 횟수, m은 해당 경비 기기에 대한 모니터링 횟수, f는 해당 경비 기기의 고장 횟수, n은 작동 상태 가중치로서 )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경비요청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경비 기기의 ON/OFF를 제어하는 작동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경비 관리 모듈은,
생성된 경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경비 기기를 통해 상기 건물에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여 이벤트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이벤트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이벤트 알림부를 포함하는 이벤트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사항을 입력받아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달하는 요청 수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8680A KR102452589B1 (ko) | 2021-11-30 | 2021-11-30 | 건축물 내부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8680A KR102452589B1 (ko) | 2021-11-30 | 2021-11-30 | 건축물 내부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2589B1 true KR102452589B1 (ko) | 2022-10-06 |
Family
ID=8359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8680A KR102452589B1 (ko) | 2021-11-30 | 2021-11-30 | 건축물 내부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2589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87078A (ko) * | 2010-01-25 | 2011-08-02 | 주식회사 반딧불소프트웨어 | 컴퓨터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에 대한 보안 점검 시스템 및 방법 |
KR101112480B1 (ko) * | 2011-02-21 | 2012-02-24 | (주)디노시스 | 경보 시스템 |
KR20150122960A (ko) * | 2014-04-24 | 2015-11-03 | 금부전자통신 주식회사 |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101676441B1 (ko) * | 2016-06-01 | 2016-11-15 | 이범수 |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출입 제어 방법 |
KR20180076169A (ko) * | 2016-12-27 | 2018-07-05 | 주식회사 이마을 |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공동현관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KR20200134612A (ko) * | 2019-05-22 | 2020-12-02 | 주식회사 웰바스 | 보안 시스템과 연동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210122961A (ko) * | 2020-04-02 | 2021-10-13 | 주식회사 알에스팀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연구실 통합 안전관리 방법 |
-
2021
- 2021-11-30 KR KR1020210168680A patent/KR1024525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87078A (ko) * | 2010-01-25 | 2011-08-02 | 주식회사 반딧불소프트웨어 | 컴퓨터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에 대한 보안 점검 시스템 및 방법 |
KR101112480B1 (ko) * | 2011-02-21 | 2012-02-24 | (주)디노시스 | 경보 시스템 |
KR20150122960A (ko) * | 2014-04-24 | 2015-11-03 | 금부전자통신 주식회사 |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101676441B1 (ko) * | 2016-06-01 | 2016-11-15 | 이범수 |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출입 제어 방법 |
KR20180076169A (ko) * | 2016-12-27 | 2018-07-05 | 주식회사 이마을 |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공동현관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KR20200134612A (ko) * | 2019-05-22 | 2020-12-02 | 주식회사 웰바스 | 보안 시스템과 연동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210122961A (ko) * | 2020-04-02 | 2021-10-13 | 주식회사 알에스팀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연구실 통합 안전관리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20203351B2 (en) | Drone-augmented emergency response services | |
EP363533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responses to an event detected by a monitoring system | |
US10768625B2 (en) | Drone control device | |
KR102005188B1 (ko) |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 |
CN105303755B (zh) | 用于建筑物信息模型中的设备的自动配置的系统和方法 | |
US20090018875A1 (en) | 1st responder guidance and decision-support system enabling victim tracking and extraction | |
CN109219836A (zh) | 进出受限社区监视系统 | |
KR102011342B1 (ko) |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 |
US20220139199A1 (en) | Accurate digit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 |
US20230410615A1 (en) | System integrating disparate emergency detection and response capabilities | |
CN112288320A (zh) | 一种地铁运行风险监控和管理系统 | |
US20220343443A1 (en) | Safety management and building oper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occupancy buildings | |
EP3690680A1 (en) | Method of automated design and analysis of security systems | |
KR102452589B1 (ko) | 건축물 내부의 경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 |
KR102059579B1 (ko) | 재난 발생 신고의 수보 정보에 따른 재난 대응 정보 관리 시스템 | |
JP6599261B2 (ja) |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備装置 | |
JP2019212020A (ja) | 避難誘導サーバ、避難誘導システムおよび避難誘導方法 | |
CN110379140A (zh) |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楼宇逃生系统 | |
Li | Intelligent Science Empowers: Building Fire Protection Technology Development | |
KR102672221B1 (ko) | 시공 현장의 작업자 상태 정보를 이용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 |
CN118278899B (zh) | 一种集气站安全管控的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LI | New Technology for Fire Protection of High-Rise Buildings | |
CN113870525A (zh) | 电子监控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程序产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