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465B1 -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465B1
KR102452465B1 KR1020200180853A KR20200180853A KR102452465B1 KR 102452465 B1 KR102452465 B1 KR 102452465B1 KR 1020200180853 A KR1020200180853 A KR 1020200180853A KR 20200180853 A KR20200180853 A KR 20200180853A KR 102452465 B1 KR102452465 B1 KR 102452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core
trace information
signals
black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0051A (ko
Inventor
한동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18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465B1/ko
Priority to PCT/KR2021/004691 priority patent/WO2022139073A1/ko
Publication of KR2022009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신호 소스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신호와 수집 시각을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감염병 관리 센터로부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복수의 신호 소스 중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과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사이의 비교에 따른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PANDEMIC DISEASE MANAGEMENT METHOD AND PANDEMIC DISEAS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PHONE BLACKBOX}
본 발명은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에서 수집 가능한 각종 신호를 저장하는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확진자와의 접촉 파악과 접촉자 추적을 쉽고 빠르게 가능케 하는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19년 COVID-19가 발발하여 2020년 현재 COVID-19가 전세계적으로 확산 일로에 있다. 기존 알려진 전염병과는 달리 COVID-19는 아주 높은 전파력을 가지고 있어 각국 정부는 국가간 이동을 제한하고 자국내 이동을 금지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학교 개학이 연기되거나 온라인수업으로 대체되고 직장이 폐쇄되거나 재택근무로 전환되고 공장 가동이 중단되며 대다수의 상점이 닫힌 상황이 전세계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코로나19(COVID-19)는 무증상인 상태에서도 비말을 통해 직접적인 접촉자뿐 아니라 시차를 둔 접촉자에게도 감염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공기중, 손잡이, 물체 등에 수 분 내지 수십 시간까지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또한 알려져 있다.
코로나19를 진정시키기 위해서는 진단키트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수의 확진자를 찾아낼 필요가 있다. 또한, 이에 못지않게 감염되지 않은 사람들을 코로나19 감염병으로부터 보호하고 노출 추정시에 미리 격리할 수 있는 확산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코로나19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확진자의 동선을 최대한 신속히 파악해야 하고 비확진자들의 동선과 비교하여 비확진자들의 동선 중첩과 진단 검사의 필요성을 빠른 시간 내로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동선 파악은 문답, 카드사용처 확인, CCTV, GPS 신호 정보 등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나 기억의 부정확성, CCTV가 없는 실내에서의 동선 파악이 쉽지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바이러스 노출 가능성을 판단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동선 비교인데, 동선 비교를 위해서는 일반인의 동선 정보 및 확진자의 동선 정보가 있어야 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식은 프라이버시 노출 문제를 야기한다.
이와 같이,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66627호(20201019)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3145호(20170515) 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0328호(2017051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각종 신호를 수집하는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염병 바이러스에의 노출 가능성을 스마트폰에서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서 사용자의 트레이스 정보와 확진자의 트레이스 정보의 자동 비교에 따라 스코어를 산출하여 사생활 노출 문제를 방지하면서 신속히 감염병 바이러스 노출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스코어의 값에 따라 감염병 바이러스 노출 상태를 감염병 관리 센터로 신속히 알릴 수 있는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블랙박스의 사용자와 확진자 간 신호 비교와 함께 사용자와 확진자간 접촉 환경을 사용자와 확진자의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의해 수집되는 신호로부터의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알릴 수 있는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감염병 관리 방법은 스마트폰이 복수의 신호 소스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신호와 수집 시각을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감염병 관리 센터로부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상기 복수의 신호 소스 중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과 상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사이의 비교에 따른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감염병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각각과 상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각각 사이에서의 신호 유사도와 수집 시각차에 따라 개별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개별 스코어의 합산으로 스코어를 산출한다.
상기한 감염병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 유사도는 수집신호들 사이의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 자카드 거리(Jaccard Distance) 또는 코사인 거리(Cosine Distance)에 따라 산출되는 유사도이고, 상기 제1 신호 소스는 와이파이 신호 소스이거나 GPS 신호 소스이다.
상기한 감염병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산출된 스코어가 지정 스코어 이상인 경우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산출된 스코어 및 사용자 ID를 상기 감염병 관리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감염병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는 신호수집기에 의해 수집된 복수의 신호 소스의 복수의 신호 정보를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신호 정보를 블랙박스 DB에 저장한다.
상기한 감염병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집기는 스마트워치이다.
상기한 감염병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스마트폰이 산출된 복수의 개별 스코어 중 가장 높은 개별 스코어를 결정하고 결정된 가장 높은 개별 스코어의 대응 수집 시각에서의 부속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감염병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속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복수의 신호 소스 중 상기 제1 신호 소스와 상이한 제2 신호 소스들의 수집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수집 시각에서의 상기 부속 벡터의 복수의 필드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신호 소스들의 수집신호들은 3축 가속도 센서 신호 및 기압계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필드값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감염병 관리 시스템은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블랙박스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블랙박스 모듈은 복수의 신호 소스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신호와 수집 시각을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로 내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감염병 관리 센터로부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상기 복수의 신호 소스 중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과 상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사이의 비교에 따른 스코어를 산출한다.
상기한 감염병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각각과 상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각각 사이에서의 신호 유사도와 수집 시각차에 따라 개별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개별 스코어의 합산으로 스코어를 산출한다.
상기한 감염병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 유사도는 수집신호들 사이의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 자카드 거리(Jaccard Distance) 또는 코사인 거리(Cosine Distance)에 따라 산출되는 유사도이고, 상기 제1 신호 소스는 와이파이 신호 소스이거나 GPS 신호 소스이다.
상기한 감염병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산출된 스코어가 지정 스코어 이상인 경우 상기 블랙박스 모듈은 상기 산출된 스코어 및 사용자 ID를 상기 감염병 관리 센터로 전송한다.
상기한 감염병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블랙박스 모듈과 무선통신 가능한 신호수집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집기는 복수의 신호 소스로부터 복수의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복수의 신호를 나타내는 복수의 신호 정보를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무선통신으로 상기 블랙박스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블랙박스 모듈은 상기 복수의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블랙박스 DB에 저장한다.
상기한 감염병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집기는 스마트워치이다.
상기한 감염병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모듈은, 상기 스코어의 산출 이후에, 산출된 복수의 개별 스코어 중 가장 높은 개별 스코어를 결정하고 결정된 가장 높은 개별 스코어의 대응 수집 시각에서의 부속 벡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부속 벡터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상기한 감염병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모듈은, 부속 벡터를 산출하기 위해, 복수의 신호 소스 중 상기 제1 신호 소스와 상이한 제2 신호 소스들의 수집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수집 시각에서의 상기 부속 벡터의 복수의 필드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신호 소스들의 수집신호들은 3축 가속도 센서 신호 및 기압계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폰에서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와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자동 비교에 따라 스코어를 산출하여 사생활 노출 문제를 방지하면서 신속히 감염병 바이러스에의 노출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고 스코어의 값에 따라 감염병 바이러스 노출 상태를 감염병 관리 센터로 신속히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폰 블랙박스의 사용자와 확진자 간 신호 비교와 함께 사용자와 확진자간 접촉 환경을 사용자와 확진자의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의해 수집되는 신호로부터의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하는 예시적인 감염병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스마트폰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스마트폰의 블랙박스를 활용하여 바이러스 노출 가능성을 조기에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스코어 산출을 위한 예시적인 수식 및 수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부속 벡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하는 예시적인 감염병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감염병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100)과 감염병 관리 센터(300)를 포함하고 스마트폰(100)에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신호수집기(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폰(100)에 탑재되는 블랙박스 모듈(161)을 이용하여 확진자의 트레이스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트레이스 정보와 개별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에 내장된 트레이스 정보의 비교로 접촉자와 바이러스 노출자를 동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감염병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폰(100)에서 수집되는 각종 신호들을 이용하여 접촉 여부 및 노출 가능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을 통해 감염병 관리 시스템을 간단히 살펴보면, 스마트폰(100)은 일반 개인 사용자가 이용하는 휴대형 단말이다. 스마트폰(100)은 각종 신호를 수신하거나 인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메모리의 프로그램 모듈을 통해 각종 신호로부터 스마트폰 사용자의 동선과 관련성을 가지는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와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비교로 스마트폰 사용자의 확진자와의 접촉 여부와 감염병 바이러스(이하 간단히 '바이러스'라고도 함)에의 노출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100)은 각종 센서와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각종 센서나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신호 소스로부터 신호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신호들을 수집 시각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폰(100)은 감염병 관리 센터(300)에 연결되어 감염병 관리 센터(300)로부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와 내부 저장된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비교로 감염병 바이러스 노출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는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스코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100)의 사용자는 자신의 동선을 노출할 필요없이 신호 소스 간의 비교로 개인적으로 바이러스 노출 가능성을 추정 가능케 해 사용자의 사생활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확진자의 동선 정보를 일반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하지 않고 트레이스 정보만을 제공토록 하므로 확인자의 동선을 쉽게 알지 못하게 되며, 특히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에는 사용자등이 확진자가 누구인지 알 수 있는 정보가 없어도 되며, 암호화된 전송과 블랙박스 모듈 프로그램에 의한 해독후 비교 등을 통하여 확진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손쉽게 달성할 수 있다.
스마트폰(100)의 구성과 바이러스 노출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한 각종 제어 흐름은 도 2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신호수집기(200)는 스마트폰(10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기기이다. 신호수집기(200)는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100)에 연결되어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수집기(200)는 적어도 외부의 다양한 종류의 신호 소스로부터 신호들을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수집된 신호 정보들을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무선통신 등으로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수집기(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는 스마트워치일 수 있다.
감염병 관리 센터(300)는 감염병(예를 들어, COVID-19)의 확진자의 트레이스 정보를 적어도 저장한다. 감염병 관리 센터(3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서버(감염병 관리 서버)로 구성되어 확진자 관련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를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마트폰(100) 등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100)들로부터 노출 추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는 복수의 유형의 신호 정보로 구성되고 각각의 신호 정보는 해당 유형에서의 신호 데이터(예를 들어, 신호 ID, 신호세기 등, 신호의 유형에 따라 신호 데이터는 달라짐)와 신호 데이터의 수집 시각의 페어를 복수개 포함한다. 각각의 신호 정보는 예를 들어, 2주일 동안에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신호 데이터와 수집 시각 페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는 확진자의 스마트폰(100)의 블랙박스 모듈(161)에 의해서 수집된 와이파이 신호 정보, GPS 신호 정보, 기압계 신호 정보, 3축 가속도 센서 신호 정보, 자이로스코프 신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신호 정보는 수집 주기에 따른 해당 신호 데이터(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무선 AP ID, 각 무선 AP의 신호 세기), (GPS 위성 신호), 3축 가속도 센서 값 등, 신호 소스의 유형에 따라 신호 데이터는 달라짐)와 수집 시각의 페어를 총 수집 기간(예를 들어, 2주일)에 따른 개수로 포함할 수 있다.
광대역 네트워크는 스마트폰(100)과 감염병 관리 센터(300)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이다. 광대역 네트워크는 공용의 인터넷 및/또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폰(100)과 감염병 관리 센터(300)는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스마트폰(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스마트폰(100)은 센서 어레이(110),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20), 입력 인터페이스(130), 디스플레이(140), 스피커(150), 비휘발성 메모리(160) 및 프로세서(170)를 포함한다. 도 2는 스마트폰(100)의 하드웨어 블록도를 나타내고 스마트폰(100)은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통해 스마트폰(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살펴보면, 센서 어레이(11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센서로부터의 센싱 신호를 수신한다. 센서 어레이(110)는 GPS 수신기, 기압계 센서, 3축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포함하여 각각의 센서에서의 센싱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스마트폰(100)과 외부의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예를 들어 무선 AP를 통해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는 와이파이 통신 칩셋(또는 하드웨어 로직)을 포함하여 와이파이를 통해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스마트폰(100)은 신호수집기(200)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칩셋(또는 하드웨어 로직)을 포함하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20)는 그 외 이동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칩셋(또는 하드웨어 로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30)는 버튼, 터치 패널, 터치 패드, 마이크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각종 이미지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140)는 LCD 모듈이나 LED 모듈 등을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나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50)는 청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스피커(150)는 진동 소자를 포함하여 전기 신호인 오디오 신호를 진동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160)는 낸드 플래시나 노어 플래시 등으로 구성되고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비휘발성 메모리(160)는 센서 어레이(110) 및/또는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수집된 신호 정보에 수집 시각을 매칭시킨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는 비휘발성 메모리(160)의 블랙박스 DB(163)에 저장된다.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는 신호 소스의 유형에 따른 신호 정보들을 복수 개 포함하고 각각의 유형의 신호 정보는 신호 데이터와 이 신호 데이터의 수집 시각의 페어를 복수 개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GPS 신호 소스에 따른 신호 정보는 GPS 신호 데이터와 해당 신호 데이터의 수집 시각의 페어를 수집 주기(예를 들어, 1분 등)와 수집 기간(예를 들어, 2주 등)에 따라 복수 개 포함한다.
와이파이(WIFI) 신호 소스에 따른 신호 정보는 하나 이상의 무선 AP ID와 각 무선 AP로부터의 신호 세기값을 포함하는 신호 데이터와 해당 신호 데이터의 수집 시각의 페어를 수집 주기(예를 들어, 1분 등)와 수집 기간(예를 들어, 2주 등)에 따라 복수 개 포함한다.
기압계 센서 소스에 따른 신호 정보는 기압계 센싱 신호값의 신호 데이터와 해당 신호 데이터의 수집 시각의 페어를 수집 주기(예를 들어, 1분 등)와 수집 기간(예를 들어, 2주 등)에 따라 복수 개 포함한다.
3축 가속도 센서 소스에 따른 신호 정보는 3축 가속도 센서 각각에서의 센싱 신호값의 신호 데이터와 해당 신호 데이터의 수집 시각의 페어를 수집 주기(예를 들어, 1분 등)와 수집 기간(예를 들어, 2주 등)에 따라 복수 개 포함한다.
자이로스코프 센서 소스에 따른 신호 정보는 자이로스코프 센서에서의 하나 이상의 센싱 신호값의 신호 데이터와 해당 신호 데이터의 수집 시각의 페어를 수집 주기(예를 들어, 1분 등)와 수집 기간(예를 들어, 2주 등)에 따라 복수 개 포함한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160)는 프로그램 모듈로서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를 구성하고 트레이스 정보의 비교에 따라 스코어를 산출하는 블랙박스 모듈(161)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70)는 스마트폰(100)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70)는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는 실행 유닛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비휘발성 메모리(160)의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스마트폰(10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AP(Application Processor)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포그라운드(foreground)와 백그라운드(background) 등에서 수행되는 블랙박스 모듈(161)을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로부터의 센싱되거나 인식된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를 블랙박스 DB(163)에 구성하고 구성된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와 감염병 관리 센터(300)로부터의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비교로 감염병 바이러스에의 노출 가능성을 추정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140)나 감염병 관리 센터(300)로 출력할 수 있다.
블랙박스 모듈(161)을 수행하는 프로세서(170)는 바이러스 노출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는 스코어를 산출한다. 프로세서(170)는 지정된 점수 이상의 스코어가 산출된 경우 노출 상태나 상황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부속 벡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40)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그램인 블랙박스 모듈(161)을 수행하는 프로세서(170)는 스마트폰(100) 내에서 센싱하거나 인식되는 신호 간의 비교로 확진자와 사용자 각각의 이동 동선이나 위치 중첩에 대한 분석없이 바이러스에의 노출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되고 이를 추정할 수 있는 스코어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140) 등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블랙박스 모듈(161)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설계 예나 그 변형에 따라 하드웨어 모듈이나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스마트폰(100)과 관련하여 바이러스 노출 가능성을 조기 판단할 수 있는 제어 흐름은 도 3을 통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스마트폰(100)의 블랙박스를 활용하여 바이러스 노출 가능성을 조기에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제어 흐름은 스마트폰(100)에 의해 수행되고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100)의 비휘발성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블랙박스 모듈(161)에 의해 수행된다. 블랙박스 모듈(161)은 프로세서(170)에 로딩되어 프로세서(170)를 통해 스마트폰(100)의 하드웨어 블록들을 제어가능한다. 블랙박스 모듈(161)은 바람직하게는 포그라운드와 백그라운드로 수행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여기서, 도 3의 일부 과정은 신호수집기(2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101 및/또는 S103 과정의 전부 또는 일부는 신호수집기(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스마트폰(100)(의 블랙박스 모듈(161))은 신호를 수집(S101)한다. 프로세서(170)에 로딩되는 스마트폰(100)의 블랙박스 모듈(161)은 설정된 신호 수집 주기(Tcycle)에 따라 주기적으로 센서 어레이(110)를 통해 GPS 신호, 기압계 신호, 3축 가속도 센서 신호 및 자이로스코프 신호를 수집하고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와이파이 무선신호를 수집한다. 블랙박스 모듈(161)은 각 신호별로 동일한 수집 주기나 시각에 신호를 수집하거나 상이한 수집 주기나 시각에 신호를 수집 가능하다.
또는, 신호수집기(200)는 구비된 GPS 센서, 기압계 센서, 3축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와이파이 통신 칩셋을 통해 설정된 신호 수집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각종 신호의 수집에 따라 스마트폰(100)(의 블랙박스 모듈(161))은 수집된 신호를 수집 시각에 매칭하여 비휘발성 메모리(160)의 블랙박스 DB(163)에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로 저장(S103)한다. 블랙박스 모듈(161)은 스마트폰(100)의 센서 어레이(110)와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수집된 GPS 신호, 기압계 신호, 3축 가속도 센서 신호, 자이로스코프 신호 및 와이파이 무선신호의 신호 데이터에 수집 시각을 매칭시켜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에 저장한다.
또는, 신호수집기(200)는 GPS 신호, 기압계 신호, 3축 가속도 센서 신호, 자이로스코프 신호 및 와이파이 무선신호의 신호 데이터에 수집 시각을 매칭시켜 내부에 저장하고 설정된 전송 주기나 시기(예를 들어, 1일 1회, 2회 등)에 따라 와이파이 무선통신이나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100)의 블랙박스 모듈(161)은 블랙박스 DB(163)에 와이파이 무선통신이나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수집기(200)로부터의 신호 정보들을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로 저장한다.
비휘발성 메모리(160)의 블랙박스 DB(163)에 저장되는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는 복수의 신호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신호 정보는 수집 주기(Tcycle)에 따라 수집되는 신호를 특정하기 위한 신호 데이터(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무선 AP ID, 각 무선 AP의 신호 세기), (GPS 위성 신호 데이터), 3축 가속도 센서 값 등, 신호 소스의 유형에 따라 신호 데이터는 달라짐)와 수집 시각의 페어를 총 수집 기간(예를 들어, 2주일) 동안에 따른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랙박스 모듈(161)은 직접적인 신호 수집에 많은 제약이 있을 수 있다. 특정 OS의 경우 와이파이 스캔을 허용하지 않거나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다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경우 신호 수집이 중단되거나 신호 수집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블랙박스 모듈(161)에 의한 직접적인 신호 수집에 대신하여(신호 수집과 함께) 신호의 수집이 신호수집기(20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스마트워치 등의 신호수집기(200)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각종 신호 소스들의 신호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신호들을 나타내는 신호 정보들을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무선통신 통해 하루 1회, 2회 등 전송하고 블랙박스 모듈은 수신된 신호 정보로부터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를 구성하여 블랙박스 모듈(161)에서 발생하는 신호 수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신호수집기(200)는 모든 신호 소스들의 신호를 수집하거나 블랙박스 모듈(161)에 의해 선택된 신호 소스들의 신호들을 수집할 수 있다. 스마트폰(100)이나 신호수집기(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S101 과정과 S103 과정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스마트폰(100)은 블랙박스 DB(163)에 저장되는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를 갱신(S105)한다. 블랙박스 모듈(161)은 현재 날짜로부터 설정된 총 수집 기간을 초과한 과거 날짜의 신호 정보들을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에서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는 스마트폰(100)에만 바람직하게 저장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블랙박스 DB(163)의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는 인증된 사용자만이 액세스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블랙박스 모듈(161)의 구동시에 블랙박스 모듈(161)은 사용자 인증(지문인식, 홍채인식, 비밀번호 입력 등)을 요청하고 인증된 경우에만 블랙박스 모듈(161)의 구동이나 블랙박스 DB(163)로의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폰(100)은 감염병 관리 센터(300)로부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를 수신(S107)한다. 블랙박스 모듈(161)은 감염병 관리 센터(300)로 접속하여 사용자에 의한 선택이나 자동으로 확진자의 동선과 관련되나 확진자의 동선을 알 수 없는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를 수신한다. 총 수집 기간 동안의 신호 정보들을 포함하는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내부에 임시 저장한다.
스마트폰(100)은 수집된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와 수신된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비교에 따라 바이러스 노출 가능성의 추정에 이용되는 스코어를 산출(S109)한다.
블랙박스 모듈(161)은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와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신호 정보들의 신호 소스 중 지정된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사이의 비교에 따라 스코어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 모듈(161)은 사용자의 스마트폰(100)과 확진자의 스마트폰(100)이 더 가까운 거리에서 더 오랜시간 위치하는 경우 스코어값이 증가하도록 스코어를 산출한다. 스코어값이 높으면 스마트폰(100)의 사용자는 확진자와 밀접 접촉했거나 매우 작은 시차를 두고 동일 공간을 점유 또는 이동하였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블랙박스 모듈(161)은 와이파이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사이의 유사도 산출에 기초하여 스코어를 산출하거나 GPS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사이의 유사도 산출에 기초하여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블랙박스 모듈(161)은 실내(와이파이 신호) 또는 실외(GPS 신호)에서의 두 스마트폰(100)에서 수집된 신호들 사이의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스코어 산출을 위한 예시적인 수식 및 수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스코어 산출을 위한 수식을 나타내고 도 4의 (b)는 도 4(a)의 시간 인자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예와 같이, 블랙박스 모듈(161)은 신호 정보들 중 와이파이 신호 정보나 GPS 신호 정보의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수집신호들(n개) 각각과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수집신호들(m개) 각각 사이의 신호 유사도(도 4의 ⓒ 참조)를 산출하고 산출된 신호 유사도와 수집 신호 사이의 수집 시각차에 의한 감쇄정도(도 4의 ⓓ 참조) 등에 따라 개별 스코어를 산출(도 4의 ⓐ 참조)하고 개별 스코어의 합산으로 전체 스코어를 산출(도 4의 ⓑ 참조)한다.
도 4의 수식과 그 의미를 좀 더 살펴보면,
Figure 112020139598113-pat00001
Figure 112020139598113-pat00002
시점에 스마트폰(100) p(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에 의해서 수집된 와이파이나 GPS의 신호 특성을 나타낸다. 신호 특성은 와이파이 신호로 인식된 무선 AP의 ID와 무선 AP에서의 신호세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거나 GPS 신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신호 정보에 포함된다.
Figure 112020139598113-pat00003
Figure 112020139598113-pat00004
시점에 스마트폰(100) q(예를 들어, 확진자의 스마트폰(100))에 의해서 수집된 와이파이나 GPS의 신호 특성을 나타낸다. 신호 특성의 데이터는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신호 정보에 포함된다.
Figure 112020139598113-pat00005
Figure 112020139598113-pat00006
Figure 112020139598113-pat00007
사이의 유사도를 추정하는 유사도 함수이다. 유사도 함수는 신호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집신호 사이의(
Figure 112020139598113-pat00008
와 사이의)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 자카드 거리(Jaccard Distance) 또는 코사인 거리(Cosine Distance)에 따라 유사도를 산출한다.
Figure 112020139598113-pat00009
은 신호의 수집 주기나 수집 간격을 나타내며, 도 4의 ⓓ 부분은 감쇄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Figure 112020139598113-pat00010
Figure 112020139598113-pat00011
의 수집 시간차, 즉
Figure 112020139598113-pat00012
시점과
Figure 112020139598113-pat00013
시점 사이의 시간차에 따라 바이러스 농도가 감쇄하는 정도를 표시하는 함수이다.
Figure 112020139598113-pat00014
은 스코어값을 계산하는 대상 시간을 나타내는 데,
Figure 112020139598113-pat00015
은 총 수집 기간을 나타내거나 총 수집 기간내에서 분할된 기간(예를 들어, 1일)을 나타낸다. 수식의 x 는 감쇄강도를 나타내며, 감쇄강도 x 는 환경이나 바이러스의 생존 주기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또는 실외인지 여부, 실내이더라도 엘리베이터인지 여부 등에 따라 감쇄강도 x는 서로 다른 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감쇄강도 x의 설정에는 보조벡터가 더 이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인 경우 감쇄강도가 낮게 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데, 확진자와 사용자 사이의 근접 접촉이 없었더라도 예를 들어 확진자가 엘리베이터를 내린 후 동일 엘리베이터를 바로 사용자가 탑승한 경우 등에서 스코어가 높게 나오도록 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이용은 기압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추정된다. 또한, 실내 또는 실외 인지의 여부는 GPS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판단될 수 있으며, 실내/실외 여부에 따라 감쇄강도의 설정을 달리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랙박스 모듈(161)은 신호 사이의 유사성과 시각차등을 인자로 사용하여 스코어를 산출한다.
스마트폰(100)은 산출된 스코어를 디스플레이(140)나 스피커(150)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00)은 산출된 스코어가 지정된 스코어 이상인 경우 산출된 스코어와 사용자 ID를 감염병 관리 센터(300)로 전송(S111)한다.
스코어를 산출한 블랙박스 모듈(161)은 산출된 스코어(중 하나 이상이) 지정된 스코어 이상인 경우 산출된 스코어와 사용자의 전화번호나 로그인 ID를 포함하는 노출 추정 정보를 구성하고 노출 추정 정보를 감염병 관리 센터(300)로 전송한다.
노출 추정 정보를 수신한 감염병 관리 센터(300)는 사용자 ID를 이용하여 감염병 바이러스 노출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 사용자에게 온/오프라인으로 연결하여 각종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00)은 노출이 이루어진 시점의 다양한 상황을 파악할 수 이는 부속 벡터를 산출하고 이를 디스플레이(140)나 스피커(150)로 출력(S113)한다.
지정된 스코어 이상의 스코어가 산출된 경우 블랙박스 모듈(161)은 스코어의 산출에 이용된 개별 스코어들 중 가장 높은 개별 스코어를 결정한다. 또는 블랙박스 모듈(161)은 산출된 개별 스코어 중 높은 스코어를 가지는 개별 스코어를 결정한다.
블랙박스 모듈(161)은 결정된 개별 스코어에 대응하여 수집된 수집 시각에서의 부속 벡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부속 벡터를 디스플레이(140)나 스피커(150)로 출력한다. 부속 벡터는 확진자와의 접촉 시점에서의 다양한 상황을 알 수 있도록 구성(도 5 참조)된다.
부속 벡터는 복수의 필드를 포함하고 블랙박스 모듈(161)은 유사도의 산출에 이용된 신호 소스 또는 상이한 신호 소소들의 수집신호들을 이용하여 부속 벡터의 필드값들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 모듈(161)은 수집 시각 주변의 GPS 신호, WIFI 신호, 기압계 신호, 3축 가속도 센서 신호, 자이로스코프 신호를 이용하여 부속 벡터의 복수의 필드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복수의 필드값을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블랙박스 모듈(161)은 스코어가 높은 시점에 동일하거나 다른 신호 소스의 신호들을 이용하여 그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부속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의 예와 같이, 블랙박스 모듈(161)은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에서 결정된 개별 스코어의 사용자 신호의 수집 시각 전후의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신호 및/또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실외 필드값(도 5의 ⓐ 참조)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GPS 신호가 인식되는 경우 블랙박스 모듈(161)은 부속 벡터의 실내/실외 필드값을 실외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 모듈(161)은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결정된 개별 스코어의 사용자 신호의 수집 시각 전후의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신호 및 기압계 신호와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결정된 개별 스코어의 확진자 신호의 수집 시각 전후의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신호 및 기압계 신호의 비교로 사용자와 확진자의 동일층 위치 여부를 나타내는 같은층/다른층 필드값(도 5의 ⓑ 참조)을 설정한다.
또한, 블랙박스 모듈(161)은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결정된 개별 스코어의 사용자 신호의 수집 시각 전후의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최대 체류시간의 필드값(도 5의 ⓒ 참조)을 결정한다. 블랙박스 모듈(161)은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결정된 개별 스코어의 사용자 신호의 수집 시각 전후의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신호와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결정된 개별 스코어의 확진자 신호의 수집 시각 전후의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확진자 사이의 근접신호 최대값(도 5의 ⓓ 참조)의 필드값을 결정한다.
또한, 블랙박스 모듈(161)은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결정된 개별 스코어의 사용자 신호의 수집 시각 전후의 하나 이상의 3축 가속도 센서 신호나 자이로스코프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중/정지중 필드의 필드값(도 5의 ⓔ 참조)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블랙박스 모듈(161)은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결정된 개별 스코어의 사용자 신호의 수집 시각과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결정된 개별 스코어의 확진자 신호의 수집 시각의 비교로 확진자 유재/부재 필드(사용자가 위치 시에 확진자도 위치하는 지를 특정하기 위한 필드)의 필드값(도 5의 ⓕ 참조 참조)을 부재 또는 유재로 결정할 수 있다.
블랙박스 모듈(161)은 사용자와 확진자 사이에 스코어가 높은 상황에서의 각종 보조적인 정보를 부속 벡터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랙박스 모듈(161)은 GPS 신호와 와이파이 신호뿐 아니라 각종 신호 정보를 활용하여 확진자와 접촉, 바이러스에의 노출이나 감염 관련에 이용되는 각종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 외, 블랙박스 모듈(161)은 확진자와 사용자가 결정된 개별 스코어의 수집 시각 전후로 같은 교통 수단을 이용하였는지를 판단하고 동일 교통수단 탑승여부 필드값을 포함하는 부속 벡터를 구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블랙박스 모듈(161)은 결정된 개별 스코어의 사용자 신호의 수집 시각 전후의 GPS 신호 및 가속도 센서 신호와 결정된 개별 스코어의 확진자 신호의 수집 시각 전후의 GPS 신호 및 가속도 센서 신호와 두 신호의 수집 시각을 이용하여 동일한 교통수단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교통수단 탑승여부 필드값에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폰(100)의 블랙박스 모듈(161)은 위치의 결정과 그 비교 없이 특히 와이파이 신호의 직접적인 비교로 감염병 바이러스에의 노출 가능성을 스코어 산출을 통해 추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스코어 산출에 따라 산출된 스코어가 지정된 스코어 이상인 경우, 스마트폰(100)은 스코어와 사용자 ID만을 감염병 관리 센터(300)로 전송하여 사용자 개인은 감염병 관리에 협조하면서 개인의 사생활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스마트폰
110 : 센서 어레이
120 :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130 : 입력 인터페이스
140 : 디스플레이
150 : 스피커
160 : 비휘발성 메모리
161 : 블랙박스 모듈 163 : 블랙박스 DB
170 : 프로세서
200 : 신호수집기
300 : 감염병 관리 센터

Claims (19)

  1. 삭제
  2. 스마트폰이 복수의 신호 소스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신호와 수집 시각을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감염병 관리 센터로부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상기 복수의 신호 소스 중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과 상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사이의 비교에 따른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각각과 상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각각 사이에서의 신호 유사도와 수집 시각차를 포함하는 것에 따라 개별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개별 스코어의 합산으로 스코어를 산출하는,
    감염병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유사도는 수집신호들 사이의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 자카드 거리(Jaccard Distance) 또는 코사인 거리(Cosine Distance)에 따라 산출되는 유사도이고,
    상기 제1 신호 소스는 와이파이 신호 소스를 포함하는,
    감염병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산출된 스코어가 지정 스코어 이상인 경우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산출된 스코어 및 사용자 ID를 상기 감염병 관리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염병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는 신호수집기에 의해 수집된 복수의 신호 소스의 복수의 신호 정보를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신호 정보를 블랙박스 DB에 저장하는,
    감염병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집기는 스마트워치인,
    감염병 관리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스마트폰이 산출된 복수의 개별 스코어 중 가장 높은 개별 스코어를 결정하고 결정된 가장 높은 개별 스코어의 대응 수집 시각에서의 부속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염병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복수의 신호 소스 중 상기 제1 신호 소스와 상이한 제2 신호 소스들의 수집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수집 시각에서의 상기 부속 벡터의 복수의 필드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신호 소스들의 수집신호들은 3축 가속도 센서 신호 및 기압계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필드값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감염병 관리 방법.
  9. 삭제
  10.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감염병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마트폰은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블랙박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블랙박스 모듈은 복수의 신호 소스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신호와 수집 시각을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로 내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감염병 관리 센터로부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상기 복수의 신호 소스 중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과 상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사이의 비교에 따른 스코어를 산출하며,
    상기 블랙박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각각과 상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제1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각각 사이에서의 신호 유사도와 수집 시각차에 따라 개별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개별 스코어의 합산으로 스코어를 산출하는,
    감염병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유사도는 수집신호들 사이의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 자카드 거리(Jaccard Distance) 또는 코사인 거리(Cosine Distance)에 따라 산출되는 유사도이고,
    상기 제1 신호 소스는 와이파이 신호 소스를 포함하는,
    감염병 관리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산출된 스코어가 지정 스코어 이상인 경우 상기 블랙박스 모듈은 상기 산출된 스코어 및 사용자 ID를 상기 감염병 관리 센터로 전송하는,
    감염병 관리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블랙박스 모듈과 무선통신 가능한 신호수집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집기는 복수의 신호 소스로부터 복수의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복수의 신호를 나타내는 복수의 신호 정보를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무선통신으로 상기 블랙박스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블랙박스 모듈은 상기 복수의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블랙박스 DB에 저장하는,
    감염병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집기는 스마트워치인,
    감염병 관리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모듈은, 상기 스코어의 산출 이후에, 산출된 복수의 개별 스코어 중 가장 높은 개별 스코어를 결정하고 결정된 가장 높은 개별 스코어의 대응 수집 시각에서의 부속 벡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부속 벡터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감염병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모듈은, 부속 벡터를 산출하기 위해, 복수의 신호 소스 중 상기 제1 신호 소스와 상이한 제2 신호 소스들의 수집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수집 시각에서의 상기 부속 벡터의 복수의 필드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신호 소스들의 수집신호들은 3축 가속도 센서 신호 및 기압계 신호를 포함하는,
    감염병 관리 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19.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로서,
    스마트폰이 WiFi 신호 소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 소스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신호와 수집 시각을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감염병 관리 센터로부터 WiFi 신호 소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 소스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신호와 수집 시각을 포함하는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상기 복수의 신호 소스 중 WiFi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과 상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WiFi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사이의 비교에 따른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를 실행하되,
    상기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트레이스 정보의 WiFi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각각과 상기 확진자 트레이스 정보의 WiFi 신호 소스의 수집신호들 각각 사이에서의 신호 유사도와 수집 시각차를 포함하는 것에 따라 개별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개별 스코어의 합산으로 스코어를 산출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KR1020200180853A 2020-12-22 2020-12-22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 KR102452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853A KR102452465B1 (ko) 2020-12-22 2020-12-22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
PCT/KR2021/004691 WO2022139073A1 (ko) 2020-12-22 2021-04-14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853A KR102452465B1 (ko) 2020-12-22 2020-12-22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051A KR20220090051A (ko) 2022-06-29
KR102452465B1 true KR102452465B1 (ko) 2022-10-07

Family

ID=8215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853A KR102452465B1 (ko) 2020-12-22 2020-12-22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2465B1 (ko)
WO (1) WO202213907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627B1 (ko) * 2020-04-06 2020-10-19 (주) 넥스모어시스템즈 안전플랫폼을 활용한 위치기반의 감염질병 접촉자 판별 및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328A (ko) 2015-10-30 2017-05-11 임동배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KR20170053145A (ko) 2015-11-05 2017-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전염병 추적 관리 시스템
JP2019160015A (ja) * 2018-03-15 2019-09-19 富士通株式会社 健診支援プログラム、健診支援装置及び健診支援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627B1 (ko) * 2020-04-06 2020-10-19 (주) 넥스모어시스템즈 안전플랫폼을 활용한 위치기반의 감염질병 접촉자 판별 및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9073A1 (ko) 2022-06-30
KR20220090051A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n et al. User verification leveraging gait recognition for smartphone enabled mobile healthcare systems
US11328797B2 (en) Location-based healthcare collaboration, data management and access control
US9625998B2 (en) Interaction method between wearable devices and wearable device thereof
US20180014102A1 (en) Variable Positioning of Distributed Body Sensors with Single or Dual Wireless Earpiece System and Method
US20180309792A1 (en) Multi-factor and context sensitive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US20140323106A1 (en) System, appartus, and method for utilizing sensor data
EP33323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isk management based on aggregated information from multiple payment networks while maintaining anonymity of user
KR102223376B1 (ko) 데이터 소스 결정 방법
CN107223247A (zh) 用于获得多个健康参数的方法、系统和可穿戴装置
WO2018026145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시선 추적 방법
CN110326276B (zh) 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201803024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biometric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KR102176043B1 (ko) 영상 정보를 이용한 감염의심자의 동선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동선 분석 방법
CN107491177A (zh) 用于识别旋转体的旋转的方法及用于处理该方法的电子设备
KR20180057233A (ko)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WO2016124495A1 (en) Smart air quality evaluating wearable device
KR102232485B1 (ko) 분산형 동선 추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2019091334A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958477A (zh) 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7191908A1 (ko) 위치 정보 계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Zheng et al. Missile: A system of mobile inertial sensor-based sensitive indoor location eavesdropping
US102235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mobile device when interacting with a computer
KR102452465B1 (ko)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
JP7240104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及び認証システム
KR102514730B1 (ko) 데이터와 시간 정보를 연관시키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