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431B1 - 절단 생검 기구 - Google Patents

절단 생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431B1
KR102452431B1 KR1020220008584A KR20220008584A KR102452431B1 KR 102452431 B1 KR102452431 B1 KR 102452431B1 KR 1020220008584 A KR1020220008584 A KR 1020220008584A KR 20220008584 A KR20220008584 A KR 20220008584A KR 102452431 B1 KR102452431 B1 KR 102452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using
unit
needl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906A (ko
Inventor
고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Priority to KR102022000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4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906A/ko
Priority to KR1020220073425A priority patent/KR102533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61B10/027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with sample notch, e.g. on the side of inner sty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08Biopsy devices with actuators, e.g. with triggered spring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겉침부 및 상기 겉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속침부를 구비하는 니들셋,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도록 내부에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한 운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일 영역이 하우징의 외부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홀더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영역 중 상기 홀더부가 배치되는 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홀더부의 영역 중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일면으로 노출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절단 생검 기구{Core biopsy device}
본 발명은 절단 생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조직의 검사를 위해서는, 생체조직 내에 생체조직을 검체할 수 있는 기구를 주입하고, 생체조직 중 검체 대상이 되는 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으로는 흡인생검과 절단생검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조직을 바늘의 형태에 의하여 절단하여 조직학적 형태를 온전히 유지한 상태로 얻을 수 있고 진단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절단생검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절단생검의 경우, 환부에 삽입되는 바늘의 구경을 최소화하면서도, 반복적 침습행위를 최소화하고, 소형 검체에 대한 정밀한 시술이 가능하여 최근 흡인생검에 비하여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체 조직을 채취하기 위해 기구를 삽입 시 피막조직 또는 단단한 석회화조직 등을 제대로 침투하지 못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이러한 기구를 정밀하게 다루는데 한계가 있어, 검사 대상에 대한 통증 감소 및 생체 조직에 대한 조직 채취의 정확성와 안정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조직 채취 특성을 용이하게 향상하는 절단 생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겉침부 및 상기 겉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속침부를 구비하는 니들셋,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도록 내부에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한 운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일 영역이 하우징의 외부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홀더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영역 중 상기 홀더부가 배치되는 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홀더부의 영역 중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일면으로 노출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겉침부는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고 상기 홀더부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홀더부 및 상기 지지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홈에 상기 홀더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고정 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고정 대응부가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 및 상기 지지부가 동시에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조직 채취홈을 갖는 속침부와, 상기 속침부보다 짧게 구비되어 속침부를 덮고 속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조직 채취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겉침부를 포함하는, 니들셋,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도록 내부에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겉침부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1 블록, 상기 하우징에 제1 블록과 인라인을 이루도록 수용되고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2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 사이에 개재된 제1 스프링, 상기 제2 블록에 결합된 제2 스프링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조직 채취홈과 연통된 것으로,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운동에 따라 부피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구비된 밀폐 공간을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제2 블록의 운동에 연동하여 부피가 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단 생검 기구는, 상기 제2 블록이, 상기 밀폐 공간의 부피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과, 상기 겉침부가, 개방된 조직 채취홈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2 시점이 서로 동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제2 블록의 운동에 연동하여 부피가 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단 생검 기구는, 상기 제2 블록이, 상기 밀폐 공간의 부피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이, 상기 겉침부가, 개방된 조직 채취홈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2 시점보다 빠르게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은 적어도 상기 제1 블록의 운동에 연동하여 부피가 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단 생검 기구는, 상기 제1 블록이, 상기 밀폐 공간의 부피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이, 상기 겉침부가, 개방된 조직 채취홈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2 시점보다 빠르게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속침부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지지 챔버부 및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챔버부 내에서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된 피스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챔버부 내에서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니들 셋이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조직 채취홈과 연통되고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압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절단 생검 기구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조직 채취 특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측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홀더부와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홀더부와 지지부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지지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니들셋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지지부를 일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0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1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 및 제2 블록과 스프링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과 스프링의 배치 상태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속침부와 지지 챔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연결 챔버부와 제1 핸들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속침부와 지지 챔버부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8는 도 27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및 도 31은 각각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니들셋의 겉침부 및 속침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3은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4는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 및 제2 블록과 스프링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과 스프링의 배치 상태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챔버부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은 도 39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은 도 39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챔버부 및 피스톤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공기압 제어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K 방향에서 본 저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홀더부와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00)는 니들셋, 하우징(10),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00)는 생검 대상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생검 대상에 대하여 필요한 조직의 채취를 수행할 수 있다.
니들셋은 겉침부(21) 및 속침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셋은 생검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니들셋은 전진 방향(D1)으로 이동하여 생검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갈 수 있다.
겉침부(21)는 속침부(20)의 바깥에 배치되고, 예를들면 겉침부(21)의 외경은 속침부(2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겉침부(21)는 속침부(20)의 바깥에 배치된 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겉침부(21)는 속침부(2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파이프 상으로 형성되며, 속침부(20)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21) 또는 속침부(20)는 생검 대상의 조직을 채취하여 수용하는 조직 채취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속침부(20)는 조직 채취홈을 포함하여, 속침부(20)의 조직 채취홈(미도시)은 겉침부(21)의 이동에 따라 겉침부(21)로 덮이거나 겉침부(21)로 덮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조직 채취홈(미도시)은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개방된 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속침부(20)는 하우징(10)을 축 방향(D)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속침부(20)의 후진 방향(D2) 단부는 하우징(10)의 일 영역에 직접 또는 지지챔버부(미도시)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21)는 속침부(20)의 조직 채취홈(미도시)에 수용된 조직을 절단하도록 일단에 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속침부(20)를 기준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겉침부(21)의 날(미도시)은 속침부(20)의 단부와 상이한 방향의 경사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속침부(20)의 단부와 동일한 방향의 경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니들셋은 하우징(10)을 통과해 하우징(10)의 선단 홀(15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겉침부(21)와 속침부(20)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공간은 속침부(20)의 조직 채취 홈(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겉침부(21)의 일 영역, 예를들면 단부에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이 홀은 축 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겉침부(21)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홀(미도시)을 통해 겉침부(21)의 내부 공간에 음압을 형성시킬 수 있다.
하우징(10)은 절단 생검 기구(100)의 내구성 유지를 위한 케이스가 될 수 있고, 내부에 배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에 도시된 니들셋의 속침부(20) 및 겉침부(21)의 적어도 일 영역은 하우징(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 예를들면 겉침부(21)의 적어도 일 영역은 하우징(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배치된 채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홀더부(330)는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홀더부(330)는 겉침부(21)에 연결될 수 있고, 홀더부(330)는 겉침부(21)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홀더부(330)가 전진 방향(D1)으로 이동 시 홀더부(330)와 연결된 겉침부(21)는 전진 방향(D1)으로 이동하고, 홀더부(330)가 후진 방향(D2)으로 이동 시 홀더부(330)와 연결된 겉침부(21)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330)는 관통부(미도시)를 포함하고, 홀더부(330)의 관통부에 속침부(20)가 배치되고, 홀더부(330)의 운동 시 속침부(20)는 홀더부(330)의 관통부에 대응할 수 있다.
홀더부(330)에 대한 더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지지부(340)는 홀더부(3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는 홈을 갖도록 형성되고, 홀더부(3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지지부(340)의 홈에 배치되어 홀더부(330)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40)는 하우징(10)에 연결된 채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하우징(10)에 지지부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지지부(340)는 이러한 지지부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40)는 홀더부(330)의 운동 시, 적어도 일 시점에서 홀더부(330)와 동시에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40)가 홀더부(330)와 함께 운동하는 것을 포함하여 절단 생검 기구(100)를 사용하여 생검을 진행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홀더부(330)를 조작하고, 이에 따라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 구체적 예로서 겉침부(21)에 대한 운동 조작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인 설명을 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축 방향(D)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발사 유닛(180)이 하우징(10)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사 유닛(180)은 제1 발사 유닛(182) 및 제2 발사 유닛(18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사 유닛(182)은 상기 축 방향(D)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들면 대략 직각인 방향, 구체적 예로서 도 1의 Z축 상하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하우징(10)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발사 유닛(183)은 제1 발사 유닛(182)의 단부로부터 하우징(10)을 향하여 연장된 것으로, 사용자가 발사 유닛(180)을 누름에 따라 하우징(10)과 인접할 수 잇다.
이러한 발사 유닛(180)은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발사 유닛(182)은 일단이 하우징(10)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발사 유닛(180)을 하우징(10)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발사 유닛(180)과 하우징(10)의 조립이라는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양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장전 유닛(500)이 하우징(10)과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핸들(51)은 하우징(10)과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10)의 일단에 힌지 축(미도시)이 위치하고, 이러한 힌지 축에 장전 유닛(500)의 제1 핸들(51)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힌지 축(미도시)는 하우징(10)의 영역 중 일 영역, 예를들면 축 방향(D)을 기준으로 전진 방향(D1)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 또는 후진 방향(D2)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장전 유닛(500)은 제1 핸들(51)과 커넥터(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핸들(51)은 일 영역, 예를들면 일 단부가 하우징(10)의 힌지 축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개방된 것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핸들(51) 또는 하우징(10)은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포함하여 제1 핸들(51)이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 시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2)는 일단이 제1 핸들(51)의 대략 중앙 부근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이 하우징(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배치되는 부재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52)와 제1 핸들(51)의 사이에는 별도의 탄성 부재(53)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52)의 타단이 전진 방향(D1)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제1 핸들(51)은, 커넥터(52)가 회동해 제1 핸들(51)과 중첩되는 자리에 형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핸들(51)이 하우징(10)에 인접하게 회동한 상태에서 커넥터(52)는 홈 내에 위치하므로, 커넥터(52)가 제1 핸들(51)의 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일 영역, 예를들면 제1 핸들(51)과 힌지 결합하는 영역의 반대쪽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잠금 유닛(161)이 위치할 수 있다.
잠금 유닛(161)은 축 방향(D)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들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핸들(51)의 홀(51a)이 잠금 유닛(161)에 걸릴 수 있다.
잠금 유닛(161)은 그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제1 핸들(51)에 대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잠금 유닛(161)은 하우징(10)에 형성 또는 제1 핸들(51)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잠금 유닛(161)은 니들셋을 지지하는 영역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속침부(20)를 지지하는 연결 챔버부(미도시)에 결합되도록 형성 또는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핸들(51)은 잠금 유닛(161)에 의해 하우징(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핸들(51)은 금속 및/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재질의 특성에 의해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핸들(51)은 잠금 유닛(161)에 의해 하우징(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0) 또는 하우징(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형성된 돌기(미도시)에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이 눌리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제1 핸들(51)은 그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 예컨대 잠금 유닛(161)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핸들(51)이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경우 제1 핸들(51)이 잠금 유닛(161)에 의한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포텐셜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갈고리 형태의 잠금 유닛(161)을 가볍게 터치함으로써 제1 핸들(51)의 잠금 유닛(161)에 의한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제1 핸들(51)에 대한 조작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홀더부와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홀더부(330)는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홀더부(330)는 일 영역이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홀더부(330)는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330)는 니들셋의 하나, 예를들면 겉침부(21)와 연결되고, 홀더부(330)의 운동에 따라 겉침부(21)도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겉침부(21)는 홀더부(330)와 함께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330)는 일 영역에 고정부(33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고정부(331)를 통하여 홀더부(330)는 지지부(34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홀더부(33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고정부(331), 조작 핸들(332), 탄성부(335), 홀더 본체(333), 홀더 가이드(337)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본체(333)는 겉침부(21)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335)는 홀더 본체(333)에 연결될 수 있고, 탄성에 의하여 폭이 감소될 수 있는 형태로서 탄성에 의하여 폭이 감소된 후에 홀더부(330)가 운동할 수 있고, 폭이 증가되면 홀더부(330)의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탄성부(335)는 홀더 본체(333)와 연결되고 홀더 본체(333)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 본체(333)의 일면에 홀더 가이드(337)가 배치되고, 이러한 홀더 가이드(337)는 돌출 또는 오목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하우징(10)의 내에서 홀더 본체(333)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들면 하우징(10)의 내면에 홀더 가이드(337)에 대응하는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 핸들(332)는 탄성부(335)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조작 핸들(332)을 통하여 탄성부(335)에 압력을 가하고 탄성부(335)의 폭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 핸들(332)에 대한 누름을 통하여 탄성부(335)의 폭이 감소할 수 있고, 사용자는 조작 핸들(332)을 누른 채로 홀더부(330)가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로 운동하게 할 수 있다.
조작 핸들(332)는 탄성부(335)의 일측으로부터 하우징(10)의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331)는 조작 핸들(332)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고, 조작 핸들(332)과 굴곡진 형태로서, 예를들면 갈고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31)를 통하여 홀더부(330)는 지지부(340)와 연결된 채 지지부(34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부(33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홀더부(330)는 내부에 관통 영역을 갖고, 이러한 관통 영역에 속침부(20)가 대응될 수 있고, 홀더부(330)는 겉침부(21)와 함께 속침부(20)의 외면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340)는 메인 영역(341) 및 연장 영역(342), 조작홈(346) 및 고정 대응부(34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영역(341)은 홀더부(330)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홀더부(330)의 조작 핸들(332)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메인 영역(341)에 형성된 조작홈(346)에 홀더부(330)의 조작 핸들(322)이 대응될 수 있다.
메인 영역(341)는 하우징(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0)의 일면에 배치된 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로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메인 영역(341)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된 하우징 가이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하우징 가이드(미도시)를 통하여 하우징(10)에 연결된 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로 운동할 수 있고 운동의 한계가 정의될 수 있다.
조작홈(346)의 일 영역에 고정 대응부(343)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대응부(343)에 전술한 홀더부(330)의 고정부(331)가 대응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조작 핸들(332)에 압력을 주면 고정부(331)가 고정 대응부(343)를 향하도록 운동할 수 있고, 운동이 계속되면 고정부(331)는 고정 대응부(343)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331)가 고정 대응부(343)에 걸려 고정된 후에, 사용자가 조작 핸들(332)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게 조작할 경우 홀더부(330)가 운동하고, 홀더부(330)와 연결된 지지부(340)도 홀더부(33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겉침부(21)에 대한 운동, 예를들면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게 하려는 경우 손, 구체적 예로서 일 손가락을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에 대하여 함께 압력을 가하면서 조작할 수 있어서 손가락에 대한 통증을 감소하거나 방지하고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연장 영역(342)은 메인 영역(341)에 연결되는 영역으로서, 적어도 일 영역에서 메인 영역(341)과 대응하지 않는 노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노출 영역은 높이(ha)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은 메인 영역(341) 중 전진 방향(D1)으로의 단부에 인접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에 홀더부(330)의 조작 핸들(332)이 대응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조작 핸들(332)에 대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영역(342)의 두께는 노출 영역에 인접한 영역보다 노출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이 더 두꺼울 수 있고, 예를들면 연장 영역(342)은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영역(342)의 측면에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연장 영역(342)의 측면 중 상기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을 향하는 측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겉침부(21)에 대한 운동, 예를들면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게 하려는 경우 손, 구체적 예로서 일 손가락을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에 대하여 함께 압력을 가하면서 조작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연장 영역(342)의 측면, 예를들면 측면의 곡면에 대한 지지를 통하여 조작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홀더부(330)의 조작 핸들(332)에 대한 누름을 통하여 홀더부(330)의 탄성부(335)에 대한 폭을 감소하여 홀더부(330)의 운동을 의도 시 조작 핸들(332)는 하우징(10)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조작 핸들(332)은 지지부(340)의 두께(H)에 대응하거나 두께(H)를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부(330)의 조작 핸들(332)에 대한 조작 시 사용자가 지지부(340)에 대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 예를들면 조작 핸들(332)의 돌출된 협소한 영역만이 사용자의 손에 접촉하여 손가락의 협소한 영역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홀더부와 지지부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을 기준으로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는 후진 방향(2)으로 R1만큼 이동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홀더부(330)에 대한 압력을 주면서 홀더부(330)를 이동할 수 있고, 이 때, 홀더부(330)에 인접한 지지부(340)도 함께 손가락으로 접촉하면서 지지부(340)에도 동시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를 용이하게 이동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홀더부(330)에 연결된 겉침부(21)도 홀더부(330)와 같은 방향, 예를들면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330)의 고정부(331)가 지지부(340)에 고정 대응부(343)에 걸려서 홀더부(330)가 지지부(340)에 고정될 수 있고, 홀더부(330)와 지지부(340)가 일체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에 대한 접촉을 하면서 힘을 주며 이동하고자 할 때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가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좀 더 넓은 시야를 기준으로 볼 때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절단 생검 기구(100)에 대하여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에 대한 후진 방향(D2)으로 R1만큼 이동하면, 이에 따라 홀더부(330)와 연결된 겉침부(21)가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겉침부(21)가 후진 방향(D2)로 이동하면 속침부(20)의 영역 중 겉침부(21)로 덮여있던 일 영역이 노출될 수 있고, 예를들면 속침부(20)의 조직 채취홈(202)이 노출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생검 대상의 조직이 조직 채취홈(202)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고, 절단 생검 기구(100)를 생검 대상 기구의 피부로부터 완전히 꺼낸 뒤에 조직 채취홈(202)을 노출시켜 채취된 조직을 떼어내어 필요한 검사, 처리 등을 위하여 후속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지지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부(340')는 메인 영역(341') 및 연장 영역(342'), 조작홈(미도시) 및 고정 대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지지부(34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지지부(340')는 상면에, 예를들면 연장 영역(342')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344')가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오목부(344')가 서로 이격되어 연장 영역(342')의 상면, 예를들면 사용자가 조작을 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손가락을 향하는 면에 오목부(3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344')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에 접촉하여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를 이동하고자 할 때 손가락의 미끌어짐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하여 가하는 힘이 지지부(34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드럽게 홀더부(330) 및 지지부(340')가 효과적으로 운동하여 겉침부에 대한 운동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는 니들셋을 통하여 생검 대상의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이러한 니들셋은 하우징의 내에 일 영역이 배치된 채 적어도 하나가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겉침부가 적어도 전진 방향 또는 후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의 내측에 배치된 속침부의 일 영역에 형성된 조직 채취홈에 생검 대상의 조직이 채취될 수 있다. 이러한 채취된 조직은 절단 생검 기구가 생검 대상으로부터 꺼낸 후에 떼어낼 수 있는데, 이 때 겉침부에 대한 운동, 예를들면 후진 방향으로의 운동을 통하여 채취된 조직을 노출한후에 떼어낼 수 있다.
사용자는 홀더부를 통하여 홀더부에 연결된 겉침부를 이동하게 할 수 있는데, 이 때 홀더부와 함께 지지부에 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접촉하면서 이동하도록 하여 홀더부에 대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감소하여 홀더부의 손상이나 파손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홀더부와만 접촉하여 손가락의 통증이 증가되는 것을 감소하여 홀더부 및 지지부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을 하면서 홀더부가 지지부와 운동하도록 하여 겉침부가 부드럽고 효율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하여 사용자의 보다 많은 힘이 넓은 면적에 효율적으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손가락을 통하여 압력을 가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절단 생검 기구를 통한 조작 정밀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 및 도 16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니들셋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000)는 니들셋, 하우징(1010), 홀더부(1330) 및 지지부(1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000)는 생검 대상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생검 대상에 대하여 필요한 조직의 채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000)는 하우징(1010)의 내측에 배치된 제1 블록(1030) 및 제2 블록(1040)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셋은 겉침부(1021) 및 속침부(10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니들셋을 도시한 도면이고, 구체적으로 도 1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겉침부(1021)를 속침부(1020)에서 완전히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니들셋은 생검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니들셋은 전진 방향(D1)으로 이동하여 생검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갈 수 있다.
겉침부(1021)는 속침부(1020)의 바깥에 배치되고, 예를들면 겉침부(1021)의 외경은 속침부(102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겉침부(1021)는 속침부(1020)의 바깥에 배치된 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겉침부(1021)는 속침부(102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파이프 상으로 형성되며, 속침부(1020)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1021) 또는 속침부(1020)는 생검 대상의 조직을 채취하여 수용하는 조직 채취홈(1202)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속침부(1020)는 조직 채취홈(1202)을 포함하여, 속침부(1020)의 조직 채취홈(1202)은 겉침부(1021)의 이동에 따라 겉침부(1021)로 덮이거나 겉침부(1021)로 덮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조직 채취홈(1202)은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개방된 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속침부(1020)는 하우징(10)을 축 방향(D)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속침부(20)의 후진 방향(D2) 단부는 하우징(10)의 일 영역에 직접 또는 지지 챔버부(미도시)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1021)는 속침부(1020)의 조직 채취홈(1202)에 수용된 조직을 절단하도록 일단에 날(1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속침부(1020)를 기준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겉침부(1021)의 날(1212)은 속침부(1020)의 단부와 상이한 방향의 경사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속침부(1020)의 단부와 동일한 방향의 경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니들셋은 하우징(1010)을 통과해 하우징(1010)의 선단부(1091)의 선단 홀(101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겉침부(1021)와 속침부(1020)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공간은 속침부(1020)의 조직 채취홈(1202)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1021)의 일 영역, 예를들면 단부에는 홀(1211)이 형성될 수 있고, 이 홀(1211)은 축 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겉침부(1021)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홀(1211)을 통해 겉침부(1021)의 내부 공간에 음압을 형성시킬 수 있다.
하우징(1010)은 절단 생검 기구(1000)의 내구성 유지를 위한 케이스가 될 수 있고, 내부에 배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고, 예를들면 도 13은 절단 생검 기구(1000)의 외부 일측에서 본 하우징(1010)의 일 영역의 개략적인 도면일 수 있고 도 14는 절단 생검 기구(1000)의 내부 일측에서 본 하우징(1010)의 일 영역의 개략적인 도면일 수 있다.
하우징(10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니들셋의 속침부(1020) 및 겉침부(1021)의 적어도 일 영역은 하우징(10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 예를들면 겉침부(1021)의 적어도 일 영역은 하우징(10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배치된 채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상기 하우징(1010)은 축 방향(D)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축 방향(D)으로 연장된 중공부(10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공부(1011)는 니들셋이 관통하는 것 외에는 대략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10)은 중공부(1011)와 연통하는 제1 개구(1110)를 가지며, 이 제1 개구(1110)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블록(1040)과 장전 유닛(1500)이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발사 유닛(1180)이 하우징(1010)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사 유닛(1180)은 제1 발사 유닛(1182) 및 제2 발사 유닛(118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사 유닛(1182)은 상기 축 방향(D)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들면 대략 직각인 방향, 구체적 예로서 도 11의 Z축 상하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하우징(1010)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발사 유닛(1183)은 제1 발사 유닛(1182)의 단부로부터 하우징(1010)을 향하여 연장된 것으로, 사용자가 발사 유닛(1180)을 누름에 따라 하우징(1010)과 인접할 수 잇다.
이러한 발사 유닛(1180)은 하우징(10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발사 유닛(1182)은 일단이 하우징(1010)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발사 유닛(1180)을 하우징(1010)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발사 유닛(1180)과 하우징(1010)의 조립이라는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양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장전 유닛(1500)이 하우징(1010)과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핸들(1051)은 하우징(1010)과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1010)의 일단에 힌지 축(1017)이 위치하고, 이러한 힌지 축(1017)에 장전 유닛(1500)의 제1 핸들(1051)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힌지 축(1017)는 하우징(1010)의 영역 중 일 영역, 예를들면 축 방향(D)을 기준으로 전진 방향(D1)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 또는 후진 방향(D2)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장전 유닛(1500)은 제1 핸들(1051)과 커넥터(10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핸들(1051)은 일 영역, 예를들면 일 단부가 하우징(1010)의 힌지 축(1017)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개방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핸들(1051) 또는 하우징(1010)은 하나 이상의 스토퍼(1171)를 포함하여 제1 핸들(1051)이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 시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052)는 일단이 제1 핸들(1051)의 대략 중앙 부근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이 하우징(10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배치되는 부재, 예를들면 제2 블록(1040)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1052)와 제1 핸들(1051)의 사이에는 별도의 탄성 부재(1053)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1052)의 타단이 전진 방향(D1)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제1 핸들(1051)은, 커넥터(1052)가 회동해 제1 핸들(1051)과 중첩되는 자리에 형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핸들(1051)이 하우징(1010)에 인접하게 회동한 상태에서 커넥터(1052)는 홈 내에 위치하므로, 커넥터(1052)가 제1 핸들(1051)의 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010)의 일 영역, 예를들면 제1 핸들(1051)과 힌지 결합하는 영역의 반대쪽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잠금 유닛(1160)이 위치할 수 있다.
잠금 유닛(1160)은 축 방향(D)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들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핸들(1051)의 홀(1051a, 도 24참고)이 잠금 유닛(1160)에 걸릴 수 있다.
잠금 유닛(1160)은 그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제1 핸들(1051)에 대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잠금 유닛(1160)은 하우징(1010)에 형성 또는 제1 핸들(1051)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잠금 유닛(1160)은 니들셋을 지지하는 영역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속침부(1020)를 지지하는 지지 챔버부(1400)에 결합되도록 형성 또는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는 후술할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핸들(1051)은 잠금 유닛(1160)에 의해 하우징(10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핸들(1051)은 금속 및/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재질의 특성에 의해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핸들(1051)은 잠금 유닛(1160)에 의해 하우징(10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010) 또는 하우징(1010)의 내부의 배치 공간에 형성된 돌기(미도시)에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이 눌리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제1 핸들(1051)은 그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 예컨대 잠금 유닛(1160)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핸들(1051)이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경우 제1 핸들(1051)이 잠금 유닛(1160)에 의한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포텐셜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갈고리 형태의 잠금 유닛(1160)을 가볍게 터치함으로써 제1 핸들(1051)의 잠금 유닛(1160)에 의한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제1 핸들(1051)에 대한 조작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0)은 제1 지지 유닛(1013) 및 제2 지지 유닛(10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유닛(1013)은 적어도 장전 위치에서 제1 블록(103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 블록(1030)에게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 유닛(1013)은 하우징(1010)에 형성된 제2 개구(1111)의 후진 방향(D2)의 단부가 될 수 있다.
제2 발사 유닛(1183)은, 제1 지지 유닛(1013)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발사 시 제1 지지 유닛(1013)에 걸려 있는 제1 블록(1030)의 일부를 눌러 제1 지지 유닛(1013)에 대한 제1 블록(1030)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유닛(1014)은 적어도 장전 위치에서 제2 블록(104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 블록(1040)에게 스프링(1050)의 탄성력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지지 유닛(1014)은 하우징(1010)에 형성된 제1 개구(1110)로부터 후진 방향(D2)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 탄성 지지체일 수 있다.
제2 지지 유닛(1014)의 일단은 하우징(1010)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1142)은 일단으로부터 중공부(11)를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 지지 유닛(1014)의 타단(142)은 하우징(1010)으로부터 분리되어 일단(141)을 중심으로 일정 정도 탄성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사 동작에 의해 제1 블록(1030)이 제2 블록(1040)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제1 블록(1030)이 제2 지지 유닛(1014)을 누름에 따라 제2 블록(1040)과 제2 지지 유닛(1014)간의 선택적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10)은 도 13에서 볼 수 있듯이, 제3 개구(1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1133)는 하우징(10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는 데, 예컨대 발사 유닛(1180)에 인접한 하우징(10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개구(1133)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홀더부(1330)의 일 영역, 예를들면 조작 핸들(1332)이 하우징(101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사용자가 조작 핸들(1332)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 개구(1133)와 인접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4 개구(1134)가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4 개구(1134)는 제3 개구(1134)와 이격되도록 제3 개구(1134)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개구(1134)를 통하여 후술할 지지부(1340)가 하우징(1010)의 외측에 연결된 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홀더부(133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홀더부(11330)는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홀더부(1330)는 겉침부(1021)에 연결될 수 있고, 홀더부(1330)는 겉침부(1021)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홀더부(1330)가 전진 방향(D1)으로 이동 시 홀더부(1330)와 연결된 겉침부(1021)는 전진 방향(D1)으로 이동하고, 홀더부(1330)가 후진 방향(D2)으로 이동 시 홀더부(1330)와 연결된 겉침부(1021)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1330)는 관통부(미도시)를 포함하고, 홀더부(1330)의 관통부에 속침부(1020)가 배치되고, 홀더부(1330)의 운동 시 속침부(1020)는 홀더부(1330)의 관통부에 대응할 수 있다.
홀더부(1330)에 대한 더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도 17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지지부를 일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지지부(1340)는 홀더부(13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는 홈을 갖도록 형성되고, 홀더부(13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지지부(1340)의 홈에 배치되어 홀더부(1330)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340)는 하우징(1010)에 연결된 채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하우징(1010)의 제4 개구(1134)에 대응하도록 가이드 부재(1345)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340)는 홀더부(1330)의 운동 시, 적어도 일 시점에서 홀더부(1330)와 동시에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40)가 홀더부(1330)와 함께 운동하는 것을 포함하여 절단 생검 기구(1000)를 사용하여 생검을 진행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홀더부(1330)를 조작하고, 이에 따라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 구체적 예로서 겉침부(1021)에 대한 운동 조작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지지부(1340)는 메인 영역(1341) 및 연장 영역(1342), 조작홈(1346) 및 고정 대응부(134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영역(1341)은 홀더부(1330)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홀더부(1330)의 조작 핸들(1332)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메인 영역(1341)에 형성된 조작홈(1346)에 홀더부(1330)의 조작 핸들(1332)이 대응될 수 있다.
메인 영역(1341)은 하우징(10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010)의 일면에 배치된 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로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메인 영역(1341)는 하우징(1010)의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된 가이드 부재(1345)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가이드 부재(1345)를 통하여 하우징(1010)에 연결된 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로 운동할 수 있고 운동의 한계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술한 대로 제4 개구(1134)의 길이 방향으로 운동하고 제4 개구(1134)의 길이를 넘지 않도록 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45)는 복수 개로 형성, 예를들면 조작홈(1346)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부(1330)의 운동에 영향을 주지 않고 지지부(1340)가 운동할 수 있다.
조작홈(1346)의 일 영역에 고정 대응부(1343)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대응부(1343)는 조작홈(1346)의 내측면에 형성된 바(bar)형태일 수 있고, 걸림부가 될 수 있다.
고정 대응부(1343)에 홀더부(1330)의 고정부(1331)가 대응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조작 핸들(1332)에 압력을 주면 고정부(1331)가 고정 대응부(1343)를 향하도록 운동할 수 있고, 운동이 계속되면 고정부(1331)는 고정 대응부(1343)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331)가 고정 대응부(1343)에 걸려 고정된 후에, 사용자가 조작 핸들(1332)을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게 조작할 경우 홀더부(1330)가 운동하고, 홀더부(1330)와 연결된 지지부(1340)도 홀더부(133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겉침부(1021)에 대한 운동, 예를들면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게 하려는 경우 손, 구체적 예로서 일 손가락을 홀더부(1330) 및 지지부(1340)에 대하여 함께 압력을 가하면서 조작할 수 있어서 손가락에 대한 통증을 감소하거나 방지하고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연장 영역(1342)은 메인 영역(1341)에 연결되는 영역으로서, 적어도 일 영역에서 메인 영역(1341)과 대응하지 않는 노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노출 영역은 높이(ha)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은 메인 영역(1341) 중 전진 방향(D1)으로의 단부에 인접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에 홀더부(1330)의 조작 핸들(1332)이 대응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조작 핸들(1332)에 대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영역(1342)의 두께는 노출 영역에 인접한 영역보다 노출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이 더 두꺼울 수 있고, 예를들면 연장 영역(1342)은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영역(1342)의 측면에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연장 영역(1342)의 측면 중 상기 높이(ha)를 갖는 노출 영역을 향하는 측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겉침부(1021)에 대한 운동, 예를들면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게 하려는 경우 손, 구체적 예로서 일 손가락을 홀더부(1330) 및 지지부(1340)에 대하여 함께 압력을 가하면서 조작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연장 영역(1342)의 측면, 예를들면 측면의 곡면에 대한 지지를 통하여 조작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홀더부(1330)의 조작 핸들(1332)에 대한 누름을 통하여 홀더부(1330)의 탄성부(1335)에 대한 폭을 감소하여 홀더부(1330)의 운동을 의도 시 조작 핸들(1332)는 하우징(1010)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조작 핸들(1332)은 지지부(1340)의 전체 두께에 대응하거나 전체 두께를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부(1330)의 조작 핸들(1332)에 대한 조작 시 사용자가 지지부(1340)에 대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 예를들면 조작 핸들(1332)의 돌출된 협소한 영역만이 사용자의 손에 접촉하여 손가락의 협소한 영역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부(1340)는 상면에, 예를들면 연장 영역(1342)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1344)가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오목부(1344)가 서로 이격되어 연장 영역(1342)의 상면, 예를들면 사용자가 조작을 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손가락을 향하는 면에 오목부(13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1344)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홀더부(1330) 및 지지부(1340)에 접촉하여 홀더부(330) 및 지지부(1340)를 이동하고자 할 때 손가락의 미끌어짐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하여 가하는 힘이 지지부(134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드럽게 홀더부(1330) 및 지지부(1340)가 효과적으로 운동하여 겉침부에 대한 운동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제1 블록(1030)에는 홀더부(1330)가 배치될 수 있고, 홀더부(1330)는 제1 블록(1030)에 수용된 채 운동할 수 있다.
홀더부(330)는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1330)는 일 영역이 하우징(10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홀더부(1330)는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1330)는 니들셋의 하나, 예를들면 겉침부(1021)와 연결되고, 홀더부(1330)의 운동에 따라 겉침부(1021)도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겉침부(1021)는 홀더부(1330)와 함께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1330)는 일 영역에 고정부(133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고정부(1331)를 통하여 홀더부(1330)는 지지부(134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홀더부(133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고정부(1331), 조작 핸들(1332), 탄성부(1335), 홀더 본체(1333), 홀더 가이드(1337)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본체(1333)는 겉침부(1021)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335)는 홀더 본체(1333)에 연결될 수 있고, 탄성에 의하여 폭이 감소될 수 있는 형태로서 탄성에 의하여 폭이 감소된 후에 홀더부(1330)가 운동할 수 있고, 폭이 증가되면 홀더부(1330)의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탄성부(1335)는 홀더 본체(1333)와 연결되고 홀더 본체(1333)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 본체(1333)의 일면에 홀더 가이드(1337)가 배치되고, 이러한 홀더 가이드(1337)는 돌출 또는 오목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하우징(1010)의 내에서 홀더 본체(1333)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들면 하우징(1010)의 내면에 홀더 가이드(1337)에 대응하는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 핸들(1332)은 탄성부(1335)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조작 핸들(1332)을 통하여 탄성부(1335)에 압력을 가하고 탄성부(1335)의 폭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 핸들(1332)에 대한 누름을 통하여 탄성부(1335)의 폭이 감소할 수 있고, 사용자는 조작 핸들(1332)을 누른 채로 홀더부(1330)가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로 운동하게 할 수 있다.
조작 핸들(1332)은 탄성부(1335)의 일측으로부터 하우징(1010)의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1331)는 조작 핸들(1332)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고, 조작 핸들(1332)과 굴곡진 형태로서, 예를들면 갈고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31)를 통하여 홀더부(1330)는 지지부(1340)와 연결된 채 지지부(134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부(133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홀더부(1330)는 내부에 관통 영역을 갖고, 이러한 관통 영역에 속침부(1020)가 대응될 수 있고, 속침부(1020)는 홀더부(1330)를 관통하여 후진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홀더부(1330)는 겉침부(1021)와 함께 속침부(20)의 외면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제1 블록(1030)은 하우징(101)의 중공부(1011) 내에 위치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블록(1030)은 베이스(1301)와 커버(130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301)는 홀더부(13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 공간(1304)을 구비하며, 일측에 개구(1305)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홀더부(1330)의 조작 핸들(1332)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301)는 개구(1305)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3 지지 유닛(13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유닛(1303)은 베이스(1301)의 바닥 측벽으로부터 내측 공간(1304)을 향해 돌출된 쐐기 형상일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홀더부(1330)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공간(1304)을 향해 돌출된 돌기 형상일 수 있는 데, 예컨대 홀더부(1330)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든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홀더부(1330)는 제1 블록(1030)내에 장착될 수 있고, 제1 블록(10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홀더부(1330)의 탄성부(1335)는 제3 지지 유닛(1303)에 의해 선택적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예를들면 홀더부(1330)가 제1 블록(1030)의 일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탄성부(1335)의 단부는 제3 지지 유닛(1303)에 걸려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탄성부(1335)가 외부 압력, 예를들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력에 의해 제1 블록(1030)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휘어질 경우, 탄성부(1335)의 단부와 제3 지지 유닛(1303)의 걸림 상태는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커버(1302)는 베이스(1301)와 결합되는 데, 커버(1302)의 표면에는 제1 블록(103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비된 제1 고정 유닛(10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유닛(1031)은 커버(130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을 갖게 움직일 수 있다. 장전 상태에서 이 제1 고정 유닛(1031)이 제1 지지 유닛(1013)에 걸리게 되고, 따라서 제1 블록(1030)의 움직임이 제1 지지 유닛(1013)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도 14 참조).
상기 발사 유닛(1180)의 제2 발사 유닛(1182)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고정 유닛(1031)을 누르게 되는 데, 이에 따라 제1 고정 유닛(1031)의 제1 지지 유닛(1013)에 대한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1 블록(1030)은 해제 유닛(10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 유닛(1032)은 제1 블록(1030)의 제2 블록(1040)을 향한 부분에 위치하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블록(1040)을 향해 후진 방향(D2)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해제 유닛(1032)은 제2 블록(1040)을 향해 연장된 판상 부재일 수 있다.
도 20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제2 블록(1040)은 상기 중공부(1011) 내에 위치할 수 있는 데, 상기 속침부(1020)가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블록(1030)과 상기 축 방향(D)을 따라 인라인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블록(1040)은 제1 블록(1030)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블록(1040)은 스프링(115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150)은 제1 부분(1151)과 제2 부분(1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151)은 제1 블록(1030)과 제2 블록(10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1152)은 제2 블록(104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 블록(1040)의 일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1040)은 제4 지지 유닛(10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지지 유닛(1043)은 장전 유닛(1500)을 향해 형성될 수 있는 데, 제2 블록(1040)의 바닥면에 단차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4 지지 유닛(1043)은 전술한 도 12의 커넥터(1052)의 타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핸들(1051)을 잡고 한 손으로 하우징(1010)의 방향으로 쥠에 따라 커넥터(1052)가 제4 지지 유닛(1043)에 지지된 상태로 제2 블록(1040)이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블록(1040)은 제2 고정 유닛(10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유닛(1042)은 제2 블록(1040)에 상기 축 방향(D)에 교차하는 방향 또는 수직한 방향으로 형상된 단차부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 유닛(1042)에 의해 제2 블록(1040)이 후진 방향(D2)으로 진행한 후 장전 상태에서, 제2 지지 유닛(1014)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제2 고정 유닛(1042)과, 제1 블록(1030)의 해제 유닛(1032)은 서로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장전 시 제2 블록(1040)이 후진 방향(D2)으로 진행할 때 제2 지지 유닛(1014)을 넘어 진행하게 되는 데, 하우징(1010)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제2 지지 유닛(1014)의 타단(1142)이 제2 고정 유닛(1042)에 닿아 제2 블록(1040)을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사 조작에 의해 제1 블록(1030)이 제2 블록(1040)에 가까워지도록 진행하면 제1 블록(1030)의 해제 유닛(1032)이 제2 고정 유닛(1042)에 결합되는 데, 이에 따라 제2 지지 유닛(1104)의 타단(1142)을 누르게 되고, 결국 상기 타단(1142)의 제2 고정 유닛(1042)에 대한 지지는 해제된다. 이 경우 스프링(1150)에 의해 제1 블록(1030)과 제2 블록(104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동시에 전진 방향(D1)으로 진행하게 된다.
도 21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 및 제2 블록과 스프링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스프링(1050)은 도 8 및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부분(1151) 및 제2 부분(1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1040)의 일측으로 돌출된 제1 부분(1151)은 상기 제1 블록(1030)과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블록(1040)의 타측으로 돌출된 제2 부분(1152)은 상기 하우징(1010) 또는 지지 챔버부(1400)에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장전된 상태, 즉 제1 블록(1030)과 제2 블록(1040)이 충분히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분(1151)은 상기 제1 블록(1030)에 대하여 축방향(D)과 평행한 후진 방향(D2)으로의 제1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고, 제2 부분(1152)은 상기 제2 블록(1040)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D)과 평행한 전진 방향(D1)으로 제2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1151)과 제2 부분(1152)은 서로 다른 스프링 피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데, 상기 제1 부분(1151)의 스프링 피치가 상기 제2 부분(1152)의 스프링 피치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부분(1151)과 제2 부분(1152)은 서로 다른 스프링 피치를 가지나, 각 부분은 균일한 스프링 피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1151)은 제2 부분(1152) 보다 상대적으로 인장 피치를 갖는 것일 수 있고, 제2 부분(1152) 은 제1 부분(1151)보다 상대적으로 압축 피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1151)은 인장 스프링이 되도록 권취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제2 부분(1152) 은 압축 스프링이 되도록 권취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전 상태, 즉 제1 블록(1030)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블록(1040)만을 후진 방향(D2)으로 이동시킨 뒤 고정한 상태에서, 제1 부분(1151) 및 제2 부분(1152)은 제2 블록(1040)에 대하여 모두 전진 방향(D1)으로 탄성력을 갖는 상태가 된다. 이 후 발사 유닛(1180)의 조작에 의하여 제1 블록(1030)의 중공부(1011) 내부에서의 고정이 해제되면, 제2 블록(1040)이 여전히 중공부(1011) 내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1 부분(1151)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블록(1030)이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한다.
이 후 제1 블록(1030)이 제2 블록(1040)과 근접함에 따라 제2 블록(1040)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면, 제2 부분(1152) 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블록(1030)과 제2 블록(1040)이 동시에 전진 방향(D1)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제1 블록(1030)의 후진 방향(D2)으로의 이동 및 전진 방향(D1)으로의 이동에 따라 제1 블록(1030)에 결합되어 있는 겉침부(1021)가 동시에 후진 방향(D2) 및 전진 방향(D1)으로 순차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술한 조직 채취홈(1202)에 조직이 채취될 수 있다.
도 22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과 스프링의 배치 상태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부분(1151')과 제2 부분(1152')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장 피치를 갖는 제1 부분(1151')은 압축 피치를 갖는 제2 부분(1152') 보다 작은 반경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1050')은 제2 블록(1040')의 관통공(1450')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450')은 스프링(1150')의 제1 부분(1151')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1451')과 제2 부분(1152')이 관통하는 제2 관통공(14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관통공(1451')과 제2 관통공(1452')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관통공(1451')은 제1 부분(1151')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제1 직경(d1')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관통공(1452')은 제2 부분(1152') 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제2 직경(d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직경(d1')은 제2 직경(d2')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1150')을 관통공(1450')에 삽입할 때에 제1 부분(1151')을 제2 관통공(1452')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공(1451')과 제2 관통공(1452')의 사이에는 고정단(1453')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고정단(1453')의 위치에 제1 부분(1151')과 제2 부분(1152')의 사이가 위치하게 되며, 고정단(1453')에서 스프링(1050')은 제2 블록(10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1453')은 제1 관통공(1401')과 제2 관통공(1402')의 직경 차이에 따른 단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부분(1151')과 제2 부분(1152')의 직경 차이로 인하여 제2 부분(1152')의 단부가 고정단(1453')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블록(1040')은 장전 동작에 의해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하는 데, 고정단(1403')이 제2 부분(1152')의 단부를 후진 방향(D2')으로 밀어 제2 부분(1152') 이 압축된다. 이 때, 제2 부분(1152')의 단부가 고정단(1453')에 밀착되므로 스프링(1150')은 제2 블록(104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발사 조작 시에도 제2 부분(1152')의 단부가 제2 부분(1152')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단(1453')을 밀게 되므로, 제2 블록(1040')은 전진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스프링(1150')은 별도의 고정 기구 없이도 제2 블록(1040')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단(1453') 외측으로부터 별도의 핀(미도시')이 제2 블록(1040')에 삽입되어 스프링(1150')의 제1 부분(1151')과 제2 부분(1152')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링(1150')이 제2 블록(104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하우징(1010)의 일 영역에는 개방된 확인 창(1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블록(1040)의 외면 중 확인 창(1122)에 대응되는 영역에 마킹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이 마킹을 확인 창(1122)으로 확인함으로써, 장전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3은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속침부와 지지 챔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지지 챔버부와 제1 핸들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속침부(1020)는 전술한 것과 같이 겉침부(1021)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겉침부(1021)는 속침부(1020)의 외면을 따라서 운동할 수 있다.
속침부(1020)는 전술한 제1 블록(1030) 및 제2 블록(104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블록(1030) 및 제2 블록(1040)의 운동 시 속침부(1020)는 제1 블록(1030) 및 제2 블록(1040)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속침부(1020)의 일단은 지지 챔버부(140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챔버부(1400)는 내측에 적어도 일 영역이 빈 형태의 수용부(1410)를 포함할 수 있고, 속침부(1020)는 수용부(141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블록(1040)의 운동 시 제2 블록(1040)의 영역 중 제1 블록(1030)을 향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의 일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 영역은 수용부(141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150)의 제2 부분(1152)은 수용부(1410)의 내측면에 연결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지지 챔버부(1400)의 일 영역에 제1 핸들(1051)을 향하도록 잠금 유닛(1160)이 형성될 수 있다.
잠금 유닛(1160)은 연장부(1161) 및 잠금부(116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161)은 지지 챔버부(14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예를들면 축 방향(D)과 교차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갖고, 잠금부(1162)는 연장부(1161)로부터 연장부(116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탄성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잠금부(1162)는 제1 핸들(1051)의 홀(1051a)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잠금 유닛(1160)은 지지 챔버부(1400)의 영역 중 축 방향(D)을 기준으로 후진 방향(D2)으로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도 25는 도 1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속침부와 지지 챔버부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속침부(1020)는 지지 챔버부(140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챔버부(1400')에는 잠금 유닛(1160')이 연결될 수 있다.
잠금 유닛(1160')은 지지 챔버부(1400')의 영역 중 축 방향(D)을 기준으로 전진 방향(D1)으로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설계 조건 및 규격의 다양성에 따라 잠금 유닛이 지지 챔버부에 형성하는 위치는 다양할 수 있고, 전술한 대로 잠금 유닛은 하우징의 일 영역에 연결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에는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동작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S1 단계는 준비 상태이다. 이 때, 제1 핸들(1051)은 잠금 유닛(1160)에 홀이 걸려 있는 상태가 되고, 커넥터(1052)의 타단은 제2 블록(1040)의 제4 지지 유닛(1043)을 지지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제1 핸들(1051)은 잠금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잠금 유닛(1160)의 홀 외측으로 노출된 잠금부(1162) 를 잠금 해제 방향(예컨대 전진 방향(D1))으로 가볍게 터치하는 것만으로 제1 핸들(1051)의 잠금이 풀릴 수 있다. 이렇게 잠금이 풀리게 되면, 스토퍼(1171)와 같은 스토퍼에 의해 제1 핸들(1051)의 회동 각도가 단속되므로, 제1 핸들(1051)은 자동적으로 장전 진행 직전의 상태(S2)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 커넥터(1052)의 타단은 제4 지지 유닛(1043)을 지지하는 위치로 자동 이동할 수 있다.
S2 단계는 장전 진행 직전의 상태로서 제1 핸들(1051)이 하우징(1010)으로부터 이격되고, 커넥터(1052)의 타단(522)은 제4 지지 유닛(1043)을 지지하는 상태가 된다.
S3 단계는 장전 상태로서 사용자가 제1 핸들(1051)에 누름 힘을 가함에 따라 힌지 이동 메커니즘에 따라서 커넥터(1052)가 제4 지지 유닛(1043)에 후진 방향(D2)의 힘을 가하여 제2 블록(1040)이 기 설정된 거리(a)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되어 장전이 완료된다. 이 때 제2 블록(1040)의 제2 고정 유닛(1042)이 제2 지지 유닛(1014)에 고정되어 제2 블록(104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전 동작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절단 생검기구를 파지하고 제1 핸들(1051)을 하우징(1010)의 방향으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른 한 손의 자유도를 여전히 유지할 수 있고, 단지 제1 핸들(1051)을 누르는 힘만으로 장전함으로써 간단히 장전 동작을 마칠 수 있다.
이때 제1 블록(1030)은 제1 지지 유닛(1013)에 의하여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제1 블록(1030)과 제2 블록(1040) 사이가 상술한 기설정된 거리(a)만큼 이격되면서 스프링(1150)의 제1 부분(1151)이 인장되고, 이에 따라 제1 부분(1151)에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제2 부분(1152)은 압축된 상태가 되어 탄성력을 갖게 된다.
상기 S1 내지 S3 단계의 어느 한 단계에서 사용자는 절단 생검 기구의 겉침부(1021)와 속침부(1020)를 동시에 환자의 조직에 삽입하고 발사를 준비할 수 있다.
이후 발사 유닛(1180)에 누름 힘(P)이 가해지면, 제1 발사 스테이지(S4)가 진행된다. 즉 발사 유닛(1180)에 누름 힘(P)이 가해지면 제2 발사 유닛(1182)이 제1 고정 유닛(1031)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고정 유닛(1031)의 제1 지지 유닛(1013)에 대한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스프링(115)의 제1 부분(1151)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블록(1030)이 기설정된 거리(b)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제1 블록(1030)에 고정되어 있는 겉침부(1021)도 거리 b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해 조직 채취홈(1202)을 노출시킨다. 이 때, 조직 채취홈(1202)으로 채취할 조직이 밀려 안착될 수 있다.
S4 단계가 완료되면 제2 발사 스테이지(S5)가 진행된다. 즉, 제1 블록(1030)이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제1 블록(1030)의 해제 유닛(1032)이 제2 고정 유닛(1042)에 결합되는 데, 이에 따라 해제 유닛(1032)이 제2 지지 유닛(1014)의 타단(1142)을 누르게 되고, 결국 상기 타단(1142)의 제2 고정 유닛(1042)에 대한 지지는 해제된다.
이 경우 스프링(115)의 제2 부분(1152)에 의해 제1 블록(1030)과 제2 블록(1040)이 전진 방향(D1)으로 진행하게 되고, 동시에 제1 블록(1030)에 고정되어 있는 겉침부(1021)도 전진 방향(D1)으로 거리(c)만큼 진행하면서 조직 채취홈(1202)을 덮게 되어 조직 채취홈(1202)에 안착되어 있는 조직의 상부를 절단해 절단된 조직이 조직 채취홈(1202)에 밀봉 수용되도록 한다(S5).
상술한 각 기설정된 거리 a, b, c는 본 발명에서 동일함이 바람직하나, 발명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다소의 오차가 발생하여 a, b, c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후 조직 회수 스테이지(S6)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홀더부(1330) 및 지지부(1340)에 대한 힘을 가하여, 예를들면 홀더부(1330)의 조작 핸들(1332)을 눌러 제3 지지 유닛(1303)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고, 홀더부(1330)을 후진 방향(D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홀더부(1330)에 고정되어 있는 겉침부(1021)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속침부(1020)의 조직 채취홈(1202)이 노출되도록 하여 채취된 조직을 회수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것과 같이 홀더부(1330)와 함께 고정된 지지부(1340)를 사용자의 조작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홀더부(1330) 및 지지부(1340)의 일면과 접하면서 힘을 가할 수 있어, 효과적인 힘의 전달을 통하여 홀더부(1330) 및 이에 연결된 겉침부(1021)이 용이하고 부드럽게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가해지는 국부적인 압력의 크기를 감소하여 사용자의 통증 및 편의성을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 채취된 조직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절단 생검기구를 파지한 손만으로 조직을 회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른 한 손의 자유도를 여전히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로 다음 조직 채취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연속적인 조직 채취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한 손으로는 생검 기구를 타겟 위치에 여전히 위치한 상태에서 전술한 장전, 발사, 회수의 동작을 절단 생검기구를 파지한 손만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전체 시술 동작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2000)를 개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8는 도 27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9은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0 및 도 31은 각각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니들셋의 겉침부 및 속침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2000)는 니들셋(2023), 하우징(2010), 홀더부(2330) 및 지지부(2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2000)는 도 28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2010)의 내측에 배치된 제1 블록(2030) 및 제2 블록(2040)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셋(2023)은 서로 중첩되는 겉침부(2021) 및 속침부(2020)를 포함할 수 있다.
겉침부(2021)는 속침부(2020)의 바깥에 배치되는 데, 예를 들면 도 30 및 도 31에서 볼 수 있듯이, 겉침부(2021)의 내경(d1)은 속침부(2020)의 외경(d0)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겉침부(2021)는 속침부(2020)의 바깥에 배치된 채, 속침부(20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예컨대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겉침부(2021)는 속침부(202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파이프 상으로 형성되며, 속침부(2020)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겉침부(2021)의 후진 방향(D2) 단부(2021b)는 제1 블록(203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겉침부(2021)는 제1 블록(2030)의 운동에 연동할 수 있다.
도 31를 참조하면, 속침부(2020)는 생검 대상의 조직을 채취하여 수용하는 조직 채취홈(2202)을 포함할 수 있고, 속침부(2020)의 조직 채취홈(2202)은 겉침부(2021)의 이동에 따라 겉침부(202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직 채취홈(2202)은 겉침부(2021)의 이동에 따라 겉침부(2021)로 덮이거나 겉침부(2021)로 덮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조직 채취홈(2202)은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개방된 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속침부(2020)는 하우징(2010)을 축 방향(D)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속침부(2020)의 후진 방향(D2) 단부는 하우징(2010)의 일 영역에 직접 또는 지지 챔버부(2400)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2021)의 일단의 날(2021a)은 속침부(2020)의 일단의 날(2020a)과 상이한 방향의 경사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겉침부(2021)의 일단의 날(2021a)이 속침부(2020)의 날(2020a)과 동일한 방향의 경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속침부(2020)의 일 영역에는 도 31에서 볼 수 있듯이 연통 홀(2201)이 형성될 수 있는 데, 이 연통 홀(2201)은 속침부(2020) 내부의 연통로(2203)를 통해 상기 조직 채취홈(2202)과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니들 셋(2023)은 하우징(2010)을 통과해 하우징(2010)의 선단부(2091)의 선단 홀(201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10)은 축 방향(D)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축 방향(D)으로 연장된 중공부(2011)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발사 유닛(2180)이 하우징(2010)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사 유닛(2180)은 제1 발사 유닛(2182) 및 제2 발사 유닛(2183)을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또는 이를 필요에 따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장전 유닛(2500)이 하우징(2010)과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핸들(2051)은 하우징(2010)과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2010)의 일단에 힌지 축(2017)이 위치하고, 이러한 힌지 축(2017)에 장전 유닛(2500)의 제1 핸들(2051)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장전 유닛(2500)은 제1 핸들(2051)과 커넥터(2052)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또는 이를 필요에 따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핸들(2051) 또는 하우징(2010)은 하나 이상의 스토퍼(2171)를 포함하여 제1 핸들(2051)이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 시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하우징(2010)의 일 영역, 예를들면 제1 핸들(2051)과 힌지 결합하는 영역의 반대쪽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잠금 유닛(216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10)은 제1 지지 유닛(2013) 및 제2 지지 유닛(2014)을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또는 이를 필요에 따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010)은 도 29에서 볼 수 있듯이, 제3 개구(213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3 개구(2133)와 인접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4 개구(2134)가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또는 이를 필요에 따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홀더부(2330)는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또는 이를 필요에 따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32은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2030)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제1 블록(2030)에는 홀더부(2330)가 배치될 수 있고, 홀더부(2330)는 제1 블록(2030)에 수용된 채 운동할 수 있다.
홀더부(330)는 니들셋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2330)는 일 영역이 하우징(20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홀더부(2330)는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2330)는 겉침부(2021)와 연결되고, 홀더부(2330)의 운동에 따라 겉침부(2021)도 함께 운동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2330)는 일 영역에 고정부(233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고정부(2331)를 통하여 홀더부(2330)는 지지부(234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홀더부(233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고정부(2331), 조작 핸들(2332), 탄성부(2335), 홀더 본체(2333), 홀더 가이드(2337)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본체(2333)는 겉침부(2021)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2335)는 홀더 본체(2333)에 연결될 수 있고, 탄성에 의하여 폭이 감소될 수 있는 형태로서 탄성에 의하여 폭이 감소된 후에 홀더부(2330)가 운동할 수 있고, 폭이 증가되면 홀더부(2330)의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탄성부(2335)는 홀더 본체(2333)와 연결되고 홀더 본체(2333)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 본체(2333)의 일면에 홀더 가이드(2337)가 배치되고, 이러한 홀더 가이드(2337)는 돌출 또는 오목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커버(2302)의 가이드(2307)와 결합되어 홀더 본체(2333)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들면 커버(2302)의 가이드(2307)는 홀더 가이드(2337)에 대응하는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 핸들(2332)은 탄성부(2335)의 일측으로부터 하우징(2010)의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2331)는 조작 핸들(2332)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고, 조작 핸들(2332)과 굴곡진 형태로서, 예를들면 갈고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2330)는 내부에 관통 영역을 갖고, 이러한 관통 영역에 속침부(2020)가 대응될 수 있고, 속침부(2020)는 홀더부(2330)를 관통하여 후진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홀더부(2330)는 겉침부(2021)와 함께 속침부(20)의 외면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제1 블록(2030)은 베이스(2301)와 커버(230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301)는 홀더부(23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 공간(2304)을 구비하며, 일측에 개구(2305)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홀더부(2330)의 조작 핸들(2332)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301)는 개구(2305)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3 지지 유닛(23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블록(2030)은 해제 유닛(20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록(2030)에는 제1 스프링(2151)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 스토퍼(230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블록(2030)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을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생략한다.
도 33은 도 27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제2 블록(2040)은 상기 중공부(2011) 내에 위치할 수 있는 데, 상기 속침부(2020)가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블록(2030)과 상기 축 방향(D)을 따라 인라인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블록(2040)은 스프링(215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150)은 제1 스프링(2151)과 제2 스프링(2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2040)은 제4 지지 유닛(2043)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이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블록(2040)은 제2 고정 유닛(2042)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이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150)은 도 33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스프링(2151) 및 제2 스프링(2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2040)의 일측으로 돌출된 제1 스프링(2151)은 상기 제1 블록(2030)과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블록(2040)의 타측으로 돌출된 제2 스프링(2152)은 후진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블록(2040)은 후진 방향(D2)의 단부에 제2 스프링(2152)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블록(2040)은 후진 방향(D2)을 향해 연장된 피스톤부(2402)를 포함할 수 있고, 피스톤부(2402)의 단부에 제2 스프링(2152)이 결합될 수 있다. 피스톤부(2402)의 제2 스프링(2152)에 인접한 부분에 가스켓(2404)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부(2402)는 후술하는 지지 챔버부(2400)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가스켓(2404)은 지지 챔버부(2400) 내에 밀폐 공간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챔버부(2400)는 하우징(2010)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7을 참조하면, 하우징(2010)의 일 영역에는 개방된 확인 창(21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8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2010)의 후진 방향(D2) 단부에는 지지 챔버부(2400)가 위치할 수 있다.
지지 챔버부(2400)는 내측에 적어도 일 영역이 빈 형태의 수용부(2410)를 포함할 수 있고, 속침부(2020) 일단은 수용부(241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챔버부(2400)의 수용부(2410)에는 제2 스프링(2152)이 삽입될 수 있고, 제2 블록(2040)의 피스톤부(240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잠금 유닛(2160)은 지지 챔버부(2400)의 후진 방향(D2) 단부에 위치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35에서 볼 수 있듯이 전진 방향(D1)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6에서 볼 수 있듯이, 지지 챔버부(2400)의 후진 방향(D2)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2420)가 형성될 수 있고, 그 외측에 일측이 지지 챔버부(2400)와 결합된 필름(24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 필름(2421)은 지지 챔버부(2400) 내의 수용부(2410)로부터 후진 방향(D2)으로 진행되는 공기는 개구(2420)를 통해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고, 지지 챔버부(2400) 외측에서 전진 방향(D1)으로 수용부(2410)로 진입하는 공기는 필름(242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2410) 내가 밀폐 공간(2600)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11 단계는 준비 상태이다. 이 때, 하우징(2010) 내에 위치하는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의 사이에 제1 스프링(2151)이 개재되어 있고, 제2 블록(2040)은 제2 스프링(2152)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제2 스프링(2152)의 타단은 하우징(2010) 또는 전술한 지지 챔버부(2400) 내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블록(2040)과 하우징(2010) 단부의 사이에는 밀폐 공간(2600)이 위치한다. 상기 밀폐 공간(2600)에까지 속침부(2020)가 연장되고, 속침부(2020)의 연통 홀(2201)이 밀폐 공간(26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폐 공간(2600)은 연통 홀(2201)을 통해 조직 채취홈(2202)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밀폐 공간(2600)은 제1 블록(2030) 및 제2 블록(2040) 중 적어도 하나의 운동에 따라 부피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구비된 것으로, 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챔버부(2400)의 수용부(2410)에 도 33의 피스톤부(2402)가 삽입되고, 이 피스톤부(2402)와 지지 챔버부(2400)의 사이에 밀폐 공간(260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밀폐 공간(2600)의 부피는 피스톤부(2402)의 이동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S12 단계는 장전 상태로서, 사용자가 제1 핸들(2051)에 누름 힘을 가함에 따라 힌지 이동 메커니즘에 따라서 커넥터(2052)가 제4 지지 유닛(2043)에 후진 방향(D2)의 힘을 가하여 제2 블록(2040)이 기 설정된 거리(a11)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되어 장전이 완료된다. 이 때 제2 블록(2040)의 제2 고정 유닛(2042)이 제2 지지 유닛(2014)에 고정되어 제2 블록(204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블록(2040)의 이동에 따라 밀폐 공간(2600)도 상기 a11의 거리에 대응되는 거리 a12만큼 부피가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장전 동작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절단 생검기구를 파지하고 제1 핸들(2051)을 하우징(2010)의 방향으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른 한 손의 자유도를 여전히 유지할 수 있고, 단지 제1 핸들(2051)을 누르는 힘만으로 장전함으로써 간단히 장전 동작을 마칠 수 있다.
이때 제1 블록(2030)은 제1 지지 유닛(2013)에 의하여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 사이가 상술한 거리 a11만큼 이격되면서 제1 스프링(2151)이 인장되고, 이에 따라 제1 스프링(2151)에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제2 스프링(2152)은 압축된 상태가 되어 탄성력을 갖게 된다.
상기 S11 내지 S12 단계의 어느 한 단계에서 사용자는 절단 생검 기구의 겉침부(2021)와 속침부(2020)를 동시에 환자의 조직에 삽입하고 발사를 준비할 수 있다.
이후 발사 유닛(2180)에 누름 힘이 가해지면, 제1 발사 스테이지(S13)가 진행된다. 즉 발사 유닛(2180)에 누름 힘이 가해지면 제2 발사 유닛(2182)이 제1 고정 유닛(2031)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고정 유닛(2031)의 제1 지지 유닛(2013)에 대한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프링(2151)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블록(2030)이 기설정된 거리 a13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제1 블록(2030)에 고정되어 있는 겉침부(2021)도 거리 a13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해 조직 채취홈(2202)을 노출시킨다. 이 때, 조직 채취홈(2202)으로 채취할 조직이 밀려 안착될 수 있다.
S13 단계가 완료되면, 제2 발사 스테이지(S14)가 진행된다. 즉, 제1 블록(2030)이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제1 블록(2030)의 해제 유닛(2032)이 제2 고정 유닛(2042)에 결합되는 데, 이에 따라 해제 유닛(2032)이 제2 지지 유닛(2014)의 타단(2142)을 누르게 되고, 결국 상기 타단(2142)의 제2 고정 유닛(2042)에 대한 지지는 해제된다.
이 때 제2 스프링(2152)에 의해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이 전진 방향(D1)으로 a14 거리만큼 진행하게 되고, 동시에 제1 블록(2030)에 고정되어 있는 겉침부(2021)도 전진 방향(D1)으로 a14 거리만큼 진행하면서 조직 채취홈(2202)을 덮게 되어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되어 있는 조직의 상부를 절단해, 절단된 조직이 조직 채취홈(2202)에 밀봉 수용되도록 한다(S14). 이 때 밀폐 공간(2600)도 부피가 a15만큼 늘어난다. 이렇게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늘어남에 따라 밀폐 공간(2600) 내에 소정의 음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 음압은 연통 홀(2201) 및 연통로(2203)를 거쳐 조직 채취홈(2202)에 전달된다. 따라서 겉침부(2021)에 의해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된 조직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된 조직을 음압에 의해 견고히 붙잡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의 채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술한 각 기설정된 거리 a11, a12, a13, a14, a15는 본 발명에서 동일함이 바람직하나, 발명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다소의 오차가 발생하여 a11, a12, a13, a14, a15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후 조직 회수 스테이지(미도시)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홀더부(2330) 및 지지부(2340)에 대한 힘을 가하여, 예를 들면 홀더부(2330)의 조작 핸들(2332)을 눌러 제3 지지 유닛(2303)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고, 홀더부(2330)을 후진 방향(D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홀더부(2330)에 고정되어 있는 겉침부(2021)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속침부(2020)의 조직 채취홈(2202)이 노출되도록 하여 채취된 조직을 회수할 수 있다.
도 38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S21 단계는 준비 상태이고, S22 단계는 장전 상태이다. 이 상태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23 단계는 제1 발사 스테이지이다. 사용자가 발사를 하게 되면 제1 스프링(2151)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블록(2030)이 기설정된 거리 a23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제1 블록(2030)에 고정되어 있는 겉침부(2021)도 거리 a23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해 조직 채취홈(2202)을 노출시킨다. 이 때, 조직 채취홈(2202)으로 채취할 조직이 밀려 안착될 수 있다.
한편,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한 제1 블록(2030)은 제3 지지유닛(2016)에 걸려 멈추게 되고, 이 때 제1 블록(2030)에 의해 제2 블록(2040)을 고정하고 있는 제2 지지유닛(2014)을 해제시켜 제2 블록(2040)을 전진 방향(D1)으로 거리 a24만큼 이동시킨다(S24). 이에 따라 밀폐 공간(2600)도 거리 a25만큼 확장된다. 이렇게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확장됨에 따라 밀폐 공간(2600) 내는 음압이 발생된다. 이 밀폐 공간(2600)의 음압은 연통 홀(2201) 및 연통로(2203)를 거쳐 조직 채취홈(2202)에 전달된다. 따라서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된 조직을 음압에 의해 견고히 붙잡고 있을 수 있다.
S25 단계에서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은 전진 방향(D1)으로 거리 a26만큼 더욱 진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거리 a27만큼 밀폐 공간(2600)이 증가한다. 이렇게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확장됨에 따라 밀폐 공간(2600) 내의 음압은 더욱 커지게 되어 조직 채취홈(2202) 내에 붙잡힌 조직은 더욱 견고히 고정되고, 동시에 겉침부(2021)가 조직 채취홈(2202)을 폐쇄하면서 조직을 절단한다.
이처럼 상기 제2 블록(2040)이, 상기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늘어나는 방향, 즉 전진 방향(D1)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이, 상기 겉침부(2021)가, 개방된 조직 채취홈(2202)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2 시점보다 빠르게 된다. 따라서 조직 채취홈(2202)이 겉침부(2021)에 의해 폐쇄되기 전에 조직 채취홈(2202)에 음압이 먼저 걸리도록 함으로써,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된 조직이 보다 견고히 붙잡혀 있는 상태에서 겉침부(2021)가 조직 채취홈(2202)을 덮어 조직을 절단하는 것이다.
도 39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S31 단계는 준비 상태이다. 도 39에 도시된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는 밀폐 공간(2600)이 적어도 제1 블록(2030)의 운동에 연동하여 부피가 변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하우징(2010)의 일 영역에 지지 챔버부(2400)가 형성되고, 이 지지 챔버부(2400)에 속침부(2020)의 연통 홀(2201)이 연결되어 있고, 챔버부(2400) 내의 일 영역에 밀폐 공간(26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밀폐 공간(2600)은 연통 홀(2201)과 연통되어 있고, 연통로(2203)를 거쳐 조직 채취홈(2202)과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S32 단계는 장전 상태로서, 사용자의 제1 핸들 조작에 의해 제2 블록(2040)이 기 설정된 거리 a31만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되어 장전이 완료된다. 이 때 제2 블록(2040)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S31 내지 S32 단계의 어느 한 단계에서 사용자는 절단 생검 기구의 겉침부(2021)와 속침부(2020)를 동시에 환자의 조직에 삽입하고 발사를 준비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발사 유닛 조작에 의해 제1 발사 스테이지가 되는 S33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제1 발사 스테이지가 되면, 제1 블록(2030)이 후진 방향(D2)으로 a32 거리만큼 후진한다. 이에 따라 제1 블록(2030)의 운동에 연동하는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a33 거리만큼 증가할 수 있다. 동시에 제1 블록(2030)에 결합되어 있는 겉침부(2021)가 후진 방향(D2)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기 때문에 조직 채취홈(2202)이 노출된다. 따라서 조직은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밀폐 공간(2600)이 확장됨으로 인해 밀폐 공간(2600)에 음압이 생성되고, 연통 홀(2201) 및 연통로(2203)를 통해 조직 채취홈(2202)에 음압이 전달된다.
따라서,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되는 조직은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조직 채취홈(2202)이 개방되는 시점에 조직 채취홈(2202)에 음압이 걸리기 시작하기 때문에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되는 조직에 대한 고정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음압이 걸리는 시간이 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음압에 의한 조직 채취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S33 단계가 완료되면, 제2 발사 스테이지(S34)가 진행된다. 즉, 제1 블록(2030)이 후진 방향(D2)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제1 블록(2030)에 의해 제2 블록(2040)의 고정은 해제되고, 이에 따라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이 동시에 전진 방향(D1)으로 각각 a35, a34만큼 이동한다. 동시에 밀폐 공간(2600)은 a36 거리만큼 축소된다.
따라서 겉침부(2021)가 조직 채취홈(2202)을 덮어 조직 채취홈(2202)에 안착된 조직을 절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직 채취홈(2202)에 음압이 충분히 걸려 있는 상태에서 조직을 절단하기 때문에 조직 채취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는 도 40 및 도 41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구체화될 수 있다.
도 40를 참조하면,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이 제1 스프링(2151)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제1 블록(2030)의 제2 블록(2040)을 향한 일부 영역에 제5 지지 유닛(2035)을 형성하고, 제2 블록(2040)의 제1 블록(2030)을 향한 일부 영역에 제6 지지 유닛(2045)을 형성한다. 제5 지지 유닛(2035)과 제6 지지 유닛(2036)은 서로 대향되며,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이 최단 거리로 가까워진 상태에서도 후술하는 제7 지지 유닛(2408)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로 이격되어 있다. 제5 지지 유닛(2035)과 제6 지지 유닛(2036)의 사이 영역에 제7 지지 유닛(2408)이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블록(2030)에는 겉침부(2021)가 고정 결합되고, 속침부(2020)는 제1 블록(2030) 및 제2 블록(2040)을 관통 설치된다.
도 41를 참조하면, 속침부(2020)의 일단은 지지 챔버부(2400)에 결합된다. 속침부(2020)의 연통 홀(2201)은 지지 챔버부(2400)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지지 챔버부(2400)는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고, 지지 챔버부(2400)의 전진 방향(D1)으로 제2 블록(2040) 및 제1 블록(2030)이 순차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챔버부(2400)와 제2 블록(2040)의 사이에는 제2 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 챔버부(2400)는 후진 방향(D2)이 개방되고, 개방된 지지 챔버부(2400)로 피스톤부(2402)가 삽입된다. 피스톤부(2402)와 지지 챔버부(2400) 내벽과의 사이에는 가스켓(2404)이 결합되며, 이에 따라 피스톤부(2402)와 지지 챔버부(2400) 내부 공간 사이에는 밀폐 공간(26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 공간(2600)은 피스톤부(2402)의 운동에 의해 부피가 증감될 수 있다. 즉, 피스톤부(2402)가 전진 방향(D1)으로 운동하면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작아지고, 피스톤부(2402)가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면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커진다.
피스톤부(2402)의 후진 방향(D2) 단부에는 지지대(240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대(2406)에 브릿지(2407)가 설치된다. 상기 브릿지(2407)는 지지대(2406)로부터 전진 방향(D1)으로 연장되고, 브릿지(2407)의 전진 방향(D1) 단부에 제7 지지 유닛(2408)이 형성된다. 제7 지지 유닛(2408)은 축 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브릿지(2407)는 도 40에서 볼 수 있는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의 사이 영역까지 연장되며, 제7 지지 유닛(2408)은 제5 지지 유닛(2035)과 제6 지지 유닛(2036)의 사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9의 S33 단계와 같이 제1 블록(2030)이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면 제5 지지 유닛(2035)이 제7 지지 유닛(2408)을 후진 방향(D2)으로 밀어 피스톤부(2402)가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한다. 따라서 지지 챔버부(2400) 내의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증가한다. 이 때 밀폐 공간(2600)에는 음압이 형성된다.
이 후 도 13의 S34 단계와 같이 제1 블록(2030)과 제2 블록(2040)이 전진 방향(D1)으로 운동하면 제6 지지 유닛(2045)이 제7 지지 유닛(2408)을 전진 방향(D1)으로 밀어 피스톤부(2402)가 전진 방향(D1)으로 운동한다. 따라서 지지 챔버부(2400) 내의 밀폐 공간(2600)의 부피가 감소한다.
이처럼 밀폐 공간(2600)의 부피를 적어도 제1 블록(2030)의 운동에 연동하여 증가시켜 음압을 형성할 경우, 음압에 의한 조직 채취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42 및 도 43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10)의 선단부(2091)와 제1 블록(2030)의 사이에 공기압 제어 유닛(2060)이 더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블록(2030)에는 유로(2033)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압 제어 유닛(2060)은 제1 블록(2030)의 유로(2033)와 연결된다. 상기 유로(2033)는 제1 블록(2030)이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한 시점에 속침부(2020)의 연통로(2203)와 통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공기압 제어 유닛(2060)에 의해 유로(2033)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이 차단되어 유로(2033)에는 음압이 걸리고 이 음압은 연통로(2203)를 거쳐 조직 재취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공기압 제어 유닛(2060)은 하우징(2010) 내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기압 제어 유닛(2060)은 도 43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 블록(2061)과, 제1 필름 조립체(2062) 및 제2 필름 조립체(20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블록(2061)은 중앙에 니들 셋이 통과하는 제1 통공(2064)을 포함하고, 제1 통공(2064)의 주위에 유체, 예컨대 공기가 유통하는 제2 통공(2065)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블록(2061)의 전진 방향 및 후진 방향 중 적어도 일부에 필름 조립체들이 배치될 수 있는 데, 전진 방향으로는 제1 필름 조립체(2062), 후진 방향으로는 제2 필름 조립체(206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필름 조립체(2062) 및 제2 필름 조립체(2063)는 공기압 제어 유닛(2060)이 체크 밸브의 기능을 하도록 축 방향(D)으로 유연하게 구비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1 필름(2067) 및 제2 필름(2066)은 각각 복수개로 절개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블록(2061)은 제2 필름 조립체(2063)에 인접하게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예컨대 공기가 후진 방향(D2)으로 진행할 경우 제1 필름 조립체(2062)의 제1 필름(2067)은 제어 블록(2061)에 의해 후진 방향(D2)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제1 필름 조립체(2062)를 중심으로 후진 방향(D2)의 영역에는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반면 공기가 전진 방향(D1)으로 진행할 경우 제2 필름 조립체(2063)의 제2 필름(2066)은 제어 블록(2061) 내의 공간부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제1 필름 조립체(2062)의 제1 필름(2067)도 전진 방향(D1)으로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공기는 전진 방향(D1)으로 유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기압 제어 유닛(2060)을 하우징 내에 삽입함으로써, 절단 생검 기구의 전방부에서도 음압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조직 채취홈에서의 조직 채취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 채취된 조직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절단 생검 기구를 파지한 손만으로 조직을 회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른 한 손의 자유도를 여전히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로 다음 조직 채취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연속적인 조직 채취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한 손으로는 초음파 기구를 타겟 위치에 여전히 위치한 상태에서 전술한 장전, 발사, 회수의 동작을 절단 생검 기구를 파지한 손만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전체 시술 동작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2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1000: 절단 생검 기구
10, 1010: 하우징
21, 1021: 겉침부
20, 1020: 속침부
330, 1330: 홀더부
340, 1340: 지지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조직 채취홈을 갖는 속침부와, 상기 속침부보다 짧게 구비되어 속침부를 덮고 속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조직 채취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겉침부를 포함하는, 니들셋;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도록 내부에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겉침부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1 블록;
    상기 하우징에 제1 블록과 인라인을 이루도록 수용되고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2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 사이에 개재된 제1 스프링;
    상기 제2 블록에 결합된 제2 스프링;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조직 채취홈과 연통된 것으로,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운동에 따라 부피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구비된 밀폐 공간을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제2 블록의 운동에 연동하여 부피가 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단 생검 기구는,
    상기 제2 블록이, 상기 밀폐 공간의 부피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과, 상기 겉침부가, 개방된 조직 채취홈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2 시점이 서로 동일하도록 구비된, 절단 생검 기구.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제2 블록의 운동에 연동하여 부피가 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단 생검 기구는,
    상기 제2 블록이, 상기 밀폐 공간의 부피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이, 상기 겉침부가, 개방된 조직 채취홈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2 시점보다 빠르게 되도록 구비된, 절단 생검 기구.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은 적어도 상기 제1 블록의 운동에 연동하여 부피가 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단 생검 기구는,
    상기 제1 블록이, 상기 밀폐 공간의 부피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이, 상기 겉침부가, 개방된 조직 채취홈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기 시작하는 제2 시점보다 빠르게 되도록 구비된, 절단 생검 기구.
  9. 제5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침부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챔버부; 및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챔버부 내에서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된 피스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챔버부 내에서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 생검 기구.
  10. 제5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니들 셋이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조직 채취홈과 연통되고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압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KR1020220008584A 2019-11-22 2022-01-20 절단 생검 기구 KR102452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584A KR102452431B1 (ko) 2019-11-22 2022-01-20 절단 생검 기구
KR1020220073425A KR102533757B1 (ko) 2019-11-22 2022-06-16 절단 생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623A KR20210063115A (ko) 2019-11-22 2019-11-22 절단 생검 기구
KR1020220008584A KR102452431B1 (ko) 2019-11-22 2022-01-20 절단 생검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623A Division KR20210063115A (ko) 2019-11-22 2019-11-22 절단 생검 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425A Division KR102533757B1 (ko) 2019-11-22 2022-06-16 절단 생검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906A KR20220014906A (ko) 2022-02-07
KR102452431B1 true KR102452431B1 (ko) 2022-10-11

Family

ID=7637608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623A KR20210063115A (ko) 2019-11-22 2019-11-22 절단 생검 기구
KR1020220008584A KR102452431B1 (ko) 2019-11-22 2022-01-20 절단 생검 기구
KR1020220073425A KR102533757B1 (ko) 2019-11-22 2022-06-16 절단 생검 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623A KR20210063115A (ko) 2019-11-22 2019-11-22 절단 생검 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425A KR102533757B1 (ko) 2019-11-22 2022-06-16 절단 생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100631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420B1 (ko) * 2022-08-09 2023-06-01 조백현 수술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3002A1 (en) 2003-01-31 2004-08-05 Schramm John B. Integrated biopsy needle assembly
WO2005117683A1 (en) * 2004-05-27 2005-12-15 Boston Scientific Limited Biopsy needle instrument
WO2015069223A1 (en) 2013-11-05 2015-05-14 C.R. Bard, Inc. Biopsy device having integrated vacuum
KR101782765B1 (ko) 2017-02-03 2017-09-27 고형진 일회용 바늘 생검기구
WO2018213324A1 (en) 2017-05-19 2018-11-22 Merit Medical Systems, Inc. Semi-automatic biopsy needle device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2085B2 (en) * 2002-11-20 2006-04-04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instrument
KR102003456B1 (ko) * 2017-01-26 2019-10-01 고형진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KR102117014B1 (ko) * 2018-01-26 2020-05-29 고형진 절단 생검기구
KR102134468B1 (ko) * 2018-04-03 2020-07-16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구동력 전달 구조체
KR102134469B1 (ko) * 2018-04-03 2020-08-26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기구
KR102215655B1 (ko) * 2018-09-06 2021-02-16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기구
KR102392692B1 (ko) * 2019-11-08 2022-05-03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 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3002A1 (en) 2003-01-31 2004-08-05 Schramm John B. Integrated biopsy needle assembly
WO2005117683A1 (en) * 2004-05-27 2005-12-15 Boston Scientific Limited Biopsy needle instrument
WO2015069223A1 (en) 2013-11-05 2015-05-14 C.R. Bard, Inc. Biopsy device having integrated vacuum
KR101782765B1 (ko) 2017-02-03 2017-09-27 고형진 일회용 바늘 생검기구
WO2018213324A1 (en) 2017-05-19 2018-11-22 Merit Medical Systems, Inc. Semi-automatic biopsy needle device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115A (ko) 2021-06-01
KR102533757B1 (ko) 2023-05-18
KR20220088665A (ko) 2022-06-28
KR20220014906A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469B1 (ko) 절단 생검기구
EP1135065B1 (en) Biopsy needle and surgical instrument
KR102452431B1 (ko) 절단 생검 기구
KR100213463B1 (ko) 생체 조직 채취용 바늘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조작 기구
JP4182431B2 (ja) 穿刺装置
US20030225343A1 (en) Biopsy needle with integrated guide pin
JPH11225951A (ja) 内視鏡用処置具
EP3407799B1 (en) Biopsy syringe
JP2013144012A (ja) 組織採取装置
CN105188508A (zh) 内窥镜处理器具
KR102215655B1 (ko) 절단 생검기구
US20190321012A1 (en) Disposable needle biopsy device and needle structure of cutting biopsy apparatus
KR20170138064A (ko) 생체조직 검체 장치
KR102493277B1 (ko)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KR102357411B1 (ko) 절단 생검기구
CN110461245B (zh) 切割活检器械
KR102117014B1 (ko) 절단 생검기구
KR20220061068A (ko) 절단 생검 기구
US7435230B2 (en) Obtained tissue extractor and biopsy forceps
KR102376214B1 (ko) 절단 생검기구
KR102392693B1 (ko) 절단 생검 기구
KR20210020051A (ko) 절단 생검기구
CN212996533U (zh) 一种用于组织库样品采集的活检针
JP2014012100A (ja) 穿刺装置
KR20230109474A (ko) 절단 생검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