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091B1 -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091B1
KR102452091B1 KR1020200159990A KR20200159990A KR102452091B1 KR 102452091 B1 KR102452091 B1 KR 102452091B1 KR 1020200159990 A KR1020200159990 A KR 1020200159990A KR 20200159990 A KR20200159990 A KR 20200159990A KR 102452091 B1 KR102452091 B1 KR 102452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e
support member
base member
pip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2417A (ko
Inventor
채다인
Original Assignee
채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다인 filed Critical 채다인
Priority to KR102020015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0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10)은 파이프(20)의 말단과 접촉하도록 바닥면(40)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재(100), 제1 지지부재(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제1 지지부재(100)에 대해서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지지부재(200), 제2 지지부재(200)와 마주보도록, 제1 지지부재(100)의 타측면으로부터 제1 지지부재(100)에 대해서 절곡되어 연장된 제3 지지부재(300), 제2 지지부재(200)의 하단으로부터 바닥면(40)과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바닥면(40)에 고정되는 제1 베이스부재(400), 및 제3 지지부재(300)의 하단으로부터 바닥면(40)과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바닥면(40)에 고정되는 제2 베이스부재(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Bracket for preventing slipping of pipes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서는 수많은 종류의 파이프가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특히, 콘크리트 벽체와 같은 구조물을 건설할 때,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가설해야 하는데,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파이프가 이용되고 있다. 이때, 파이프는 일단이 거푸집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바닥면에 고정된 목재 등에 고정되어, 거푸집을 지지한다. 하지만, 단순히 막대형으로 형성된 목재는 파이프가 목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어,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바닥면에 고정된 목재 이외에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지지장치는 보조 지지부, 연결 지지부, 확장 지지부 등 굉장히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서 설치나 해체 등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20-0397826 Y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ㄷ"자형으로 형성된 제1,2,3 지지부재를 채용하여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은 파이프의 말단과 접촉하도록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재에 대해서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지지부재, 상기 제2 지지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재에 대해서 절곡되어 연장된 제3 지지부재,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과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 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3 지지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과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2 베이스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재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바닥면에 삽입되는 제1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재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바닥면에 삽입되는 제2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홀은 상기 제1 베이스부재 중 제1 소정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재는 상기 제1 소정영역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절곡되며, 상기 제2 체결홀은 상기 제2 베이스부재 중 제2 소정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재는 상기 제2 소정영역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절곡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홀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재와 가까운 제1-1 체결홀과 상기 제2 베이스부재와 먼 제1-2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체결홀의 폭은 상기 제1-2 체결홀의 폭보다 크며, 상기 제2 체결홀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재와 먼 제2-1 체결홀과 상기 제1 베이스부재와 가까운 제2-2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체결홀의 폭은 상기 제2-2 체결홀의 폭보다 크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에 있어서, 평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일방향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평행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2 체결홀과 만나는 상기 제1-1 체결홀의 말단은 상기 제1-1 체결홀의 내측에 중심이 있는 호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2 체결홀과 만나는 상기 제2-1 체결홀의 말단은 상기 제2-1 체결홀의 내측에 중심이 있는 호 형상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홀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재와 가까운 제1-1 체결홀과 상기 제2 베이스부재와 먼 제1-2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체결홀의 폭은 상기 제1-2 체결홀의 폭보다 크며, 상기 제2 체결홀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재와 먼 제2-1 체결홀과 상기 제2 베이스부재와 가까운 제2-2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체결홀의 폭은 상기 제2-2 체결홀의 폭보다 크며, 상기 제1-2 체결홀은 상기 제1 소정영역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1-1 체결홀은 상기 제1 소정영역의 경계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2 체결홀은 상기 제2 소정영역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2-1 체결홀은 상기 제2 소정영역의 경계까지 연장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ㄷ"자형으로 형성된 제1,2,3 지지부재를 채용하여 파이프를 3면에서 둘러싸 파이프가 밀리는 것을 완벽히 방지함으로써,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 베이스부재가 절곡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2 소정영역이 형성되고, 제1,2 소정영역에 형성된 제1,2 체결홀에 제1,2 체결수단이 체결되므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2 소정영역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1,2 체결수단과 제1,2 체결홀 사이의 체결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 체결홀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단의 폭이 타단의 폭보다 크므로, 제1,2 체결수단을 제1,2 체결홀의 일단에 체결하였다가, 제1,2 체결수단을 제1,2 체결수단의 타단으로 이동시켜 체결을 쉽게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로 지지된 파이프와 파이프에 의해서 지지되는 거푸집의 사시도,
도 4는 바닥면에 고정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5는 바닥면에 고정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바닥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의 이동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도 8은 제1,2 체결수단으로부터 분리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10)은 파이프(20)의 말단과 접촉하도록 바닥면(40)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재(100), 제1 지지부재(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제1 지지부재(100)에 대해서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지지부재(200), 제2 지지부재(200)와 마주보도록, 제1 지지부재(100)의 타측면으로부터 제1 지지부재(100)에 대해서 절곡되어 연장된 제3 지지부재(300), 제2 지지부재(200)의 하단으로부터 바닥면(40)과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바닥면(40)에 고정되는 제1 베이스부재(400), 및 제3 지지부재(300)의 하단으로부터 바닥면(40)과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바닥면(40)에 고정되는 제2 베이스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부재(100)는 파이프(20)의 말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재(100)는 파이프(20)의 말단과 접촉하도록 바닥면(40)에서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재(100)는 콘크리트 슬라브 등의 바닥면(40)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파이프(20)의 말단과 접촉됨으로써, 파이프(2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파이프(20)는 거푸집(3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도 3 참조), 이 경우 파이프(2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100)는 거푸집(3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재(200)는 제1 지지부재(100)와 함께 파이프(20)의 말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부재(200)는 제1 지지부재(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제1 지지부재(100)에 대해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재(200)는 제1 지지부재(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재(200)는 파이프(20) 말단의 일측면과 접촉됨으로써, 파이프(20)를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지지부재(200)는 파이프(20)가 측면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파이프(20)는 거푸집(3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도 3 참조), 이 경우 파이프(2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200)는 거푸집(30)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부재(300)는 제1 지지부재(100)와 함께 파이프(20)의 말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지지부재(300)는 제2 지지부재(200)와 마주보도록, 제1 지지부재(100)의 타측면(제2 지지부재(200)가 절곡되는 일측면의 반대쪽 측면)으로부터 제1 지지부재(100)에 대해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지지부재(300)는 제1 지지부재(100)의 타측면으로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달될 수 있다. 이때, 제3 지지부재(300)는 파이프(20) 말단의 타측면(제2 지지부재(200)가 접촉되는 일측면의 반대쪽 측면)과 접촉됨으로써, 파이프(20)를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제3 지지부재(300)는 파이프(20)가 측면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파이프(20)는 거푸집(3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도 3 참조), 이 경우 파이프(20)를 지지하는 제3 지지부재(300)는 거푸집(30)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지지부재(100)는 파이프(20)의 말단 중에서도 거푸집(30)으로부터 가장 먼 영역을 지지하고, 제2,3 지지부재(200, 300)는 파이프(20) 말단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도 2 참조).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10)은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2,3 지지부재(100, 200, 300)를 채용하여, 파이프(20)를 3면에서 둘러싸 파이프(20)가 밀리는 것을 완벽히 방지함으로써, 파이프(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재(400)는 제2 지지부재(200)를 바닥면(4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베이스부재(400)는 제2 지지부재(200)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바닥면(40)과 마주보도록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부재(400)는 제2 지지부재(200)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고, 제3 지지부재(3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베이스부재(400)는 바닥면(4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부재(400)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제1 체결홀(410)이 형성되고, 바닥면(40)에 삽입되는 제1 체결수단(430)이 제1 체결홀(410)에 체결됨으로써, 제1 베이스부재(400)가 바닥면(4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수단(430)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 못일 수 있고, 제2 체결수단(530)의 헤드(콘크리트 못의 헤드)가 제1 체결홀(410)에 걸림으로써, 제1 체결수단(430)이 제1 체결홀(4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부재(500)는 제3 지지부재(300)를 바닥면(4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베이스부재(500)는 제3 지지부재(300)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바닥면(40)과 마주보도록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2 베이스부재(500)는 제3 지지부재(300)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고, 제2 지지부재(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베이스부재(400)와 제2 베이스부재(500)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베이스부재(500)는 바닥면(4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제2 베이스부재(500)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제2 체결홀(510)이 형성되고, 바닥면(40)에 삽입되는 제2 체결수단(530)이 제2 체결홀(510)에 체결됨으로써, 제2 베이스부재(500)가 바닥면(4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체결수단(530)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 못일 수 있고, 제2 체결수단(530)의 헤드(콘크리트 못의 헤드)가 제2 체결홀(510)에 걸림으로써, 제2 체결수단(530)이 제2 체결홀(510)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체결홀(410)은 제1 베이스부재(400) 중 제1 소정영역(420)에 형성되고, 제1 베이스부재(400)는 제1 소정영역(420)이 바닥면(4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와 유시하게, 제2 체결홀(510)은 제2 베이스부재(500) 중 제2 소정영역(520)에 형성되고, 제2 베이스부재(500)는 제2 소정영역(520)이 바닥면(40)으로부터 소정영역 이격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정영역(420)은 제1 베이스부재(400) 중 제1 소정영역(420)을 제외한 영역에 비해서 돌출되도록 프레이스 가공에 의해서 성형되고, 제2 소정영역(520)은 제2 베이스부재(500) 중 제2 소정영역(520)을 제외안 영역에 비해서 돌출되도록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제1,2 소정영역(420, 52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 체결홀(410, 510)이 제1,2 베이스부재(400, 500)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1,2 소정영역(420, 520)에 형성되므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가 제1,2 체결홀(410, 510)에 걸려 제1,2 소정영역(420, 520)이 바닥면(40) 방향으로 가압되면, 제1,2 소정영역(420, 520)이 바닥면(40) 방향으로 휘어진다. 이때, 제1,2 소정영역(420, 520)에는 바닥면(40)과 반대방향(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므로(도 5의 화살표 참조), 제1,2 체결수단(430, 530)과 제1,2 체결홀(410, 510) 사이의 체결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홀(41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베이스부재(500)와 가까운 제1-1 체결홀(410a)과 제2 베이스부재(500)와 먼 제1-2 체결홀(41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1 체결홀(410a)의 폭(A1)은 제1-2 체결홀(410b)의 폭(A2)보다 클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체결홀(51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베이스부재(400)와 먼 제2-1 체결홀(510a)과 제1 베이스부재(400)와 가까운 제2-2 체결홀(51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1 체결홀(510a)의 폭(B1)은 제2-2 체결홀(510b)의 폭(B2)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콘크리트 못의 헤드)의 직경(D)은 제1-2 체결홀(410b)의 폭(A2)과 제2-2 체결홀(510b)의 폭(B2)보다 크고, 제1-1 체결홀(410a)의 폭(A1)과 제2-1 체결홀(510a)의 폭(B1)보다 작다. 따라서, 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는 제1-2 체결홀(410b)과 제2-2 체결홀(510b)에 걸림으로써, 제1,2 체결수단(430, 530)이 제1,2 베이스부재(400, 500)를 바닥면(40)에 고정할 수 있다. 반면, 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는 제1-1 체결홀(410a)과 제2-1 체결홀(510a)에 걸리지 않으므로, 제1-1 체결홀(410a)과 제2-1 체결홀(510a)를 통해서 제1,2 체결수단(430, 530)으로부터 제1,2 베이스부재(400, 500)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0)를 지지할 때는 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를 제1-2 체결홀(410b)과 제2-2 체결홀(510b)에 체결하여, 제1,2 베이스부재(400, 500)를 바닥면(40)에 고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이 완료되면 제2 지지부재(200) 또는 제3 지지부재(300)를 일방향으로 밀어서(망치 등으로 타격할 수 있음, 도 7의 화살표 참조), 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를 제1-1 체결홀(410a)과 제2-1 체결홀(510a)로 이동시킴으로써, 체결을 쉽게 해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2 체결홀(410b)과 만나는 제1-1 체결홀(410a)의 말단은 제1-1 체결홀(410a)의 내측에 중심이 있는 호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2 체결홀(510b)과 만나는 제2-1 체결홀(510a)의 말단은 제2-1 체결홀(510a)의 내측에 중심이 있는 호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1 체결홀(410a)의 말단과 제2-1 체결홀(510a)의 말단에 형성된 호 형상은 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의 형상(예를 들어, 원형)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부재(200) 또는 제3 지지부재(300)를 일방향으로 밀어서, 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가 제1-1 체결홀(410a)과 제2-1 체결홀(510a)에 배치될 때(도 7 참조), 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는 제1-1 체결홀(410a)의 말단과 제2-1 체결홀(510a)의 말단에 형성된 호 형상으로 통해서 쉽게 통과될 수 있다.
한편, 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가 제1-2 체결홀(410b)과 제2-2 체결홀(510b)로부터 임의로 제1-1 체결홀(410a)과 제2-1 체결홀(510a)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2 체결홀(410, 510)이 연장되는 일방향은 파이프(20)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즉, 제1,2 체결홀(410, 510)이 연장되는 일방향은 평면을 기준으로 볼 때, 제1 지지부재(100)의 연장방향(파이프(20)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방향)과 평행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 소정영역(420, 520)에는 바닥면(40)과 반대방향(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므로(도 5 참조), 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가 제1-2 체결홀(410b)과 제2-2 체결홀(510b)로부터 임의로 제1-1 체결홀(410a)과 제2-1 체결홀(510a)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2 체결홀(410b)은 제1 소정영역(420)의 중앙에 형성되고, 제2-2 체결홀(510b)은 제2 소정영역(52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 소정영역(420, 520)에는 바닥면(40)과 반대방향(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제1,2 소정영역(420, 520)의 중앙에 형성된 제1-2,2-2 체결홀(410b, 510b)에 체결된 제1,2 체결수단(430, 530)에 제1,2 소정영역(420, 520)의 탄성력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제1-1 체결홀(410a)은 제1 소정영역(420)의 경계까지 연장되고, 제2-1 체결홀(510a)은 제2 소정영역(520)의 경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 소정영역(420, 520)은 바닥면(4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므로, 제1,2 소정영역(420, 520)은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재(200) 또는 제3 지지부재(300)를 일방향으로 밀어서, 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가 제1-1 체결홀(410a)과 제2-1 체결홀(510a)에 배치될 때, 제1,2 소정영역(420, 520) 내에 형성된 제1-1 체결홀(410a)과 제2-1 체결홀(510a)은 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1 체결홀(410a)과 제2-1 체결홀(510a)이 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 하단보다 높게 배치되면, 제1,2 체결수단(430, 530)으로부터 제1,2 베이스부재(400, 50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제1,2 체결수단(430, 530)의 헤드가 제1-1 체결홀(410a)과 제2-1 체결홀(510a)의 경계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10)의 제1,2,3 지지부재(100, 200, 300)와 제1,2 베이스부재(400, 500)은 하나의 금속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설명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10)이 거푸집(30)을 지지하는 파이프(20)를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거푸집 지지용 파이프 이외에 모든 종류의 건설용 파이프를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 20: 파이프
30: 거푸집 40: 바닥면
100: 제1 지지부재 200: 제2 지지부재
300: 제3 지지부재 400: 제1 베이스부재
410: 제1 체결홀 410a: 제1-1 체결홀
410b: 제1-2 체결홀 420: 제1 소정영역
430: 제1 체결수단 500: 제2 베이스부재
510: 제2 체결홀 510a: 제2-1 체결홀
510b: 제2-2 체결홀 520: 제2 소정영역
530: 제2 체결수단

Claims (7)

  1. 파이프의 말단과 접촉하도록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재에 대해서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지지부재;
    상기 제2 지지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재에 대해서 절곡되어 연장된 제3 지지부재;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과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 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3 지지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과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2 베이스부재;
    를 포함하고,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상기 제1,2,3 지지부재가 상기 파이프를 3면에서 둘러싸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3 지지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베이스부재는 상기 제3 지지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재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바닥면에 삽입되는 제1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재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바닥면에 삽입되는 제2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는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홀은 상기 제1 베이스부재 중 제1 소정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재는 상기 제1 소정영역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절곡되며,
    상기 제2 체결홀은 상기 제2 베이스부재 중 제2 소정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재는 상기 제2 소정영역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절곡되는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홀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재와 가까운 제1-1 체결홀과 상기 제2 베이스부재와 먼 제1-2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체결홀의 폭은 상기 제1-2 체결홀의 폭보다 크며,
    상기 제2 체결홀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재와 먼 제2-1 체결홀과 상기 제1 베이스부재와 가까운 제2-2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체결홀의 폭은 상기 제2-2 체결홀의 폭보다 큰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
  5. 청구항 4에 있어서,
    평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일방향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평행한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2 체결홀과 만나는 상기 제1-1 체결홀의 말단은 상기 제1-1 체결홀의 내측에 중심이 있는 호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2 체결홀과 만나는 상기 제2-1 체결홀의 말단은 상기 제2-1 체결홀의 내측에 중심이 있는 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홀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재와 가까운 제1-1 체결홀과 상기 제2 베이스부재와 먼 제1-2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체결홀의 폭은 상기 제1-2 체결홀의 폭보다 크며,
    상기 제2 체결홀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재와 먼 제2-1 체결홀과 상기 제2 베이스부재와 가까운 제2-2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체결홀의 폭은 상기 제2-2 체결홀의 폭보다 크며,
    상기 제1-2 체결홀은 상기 제1 소정영역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1-1 체결홀은 상기 제1 소정영역의 경계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2 체결홀은 상기 제2 소정영역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2-1 체결홀은 상기 제2 소정영역의 경계까지 연장되는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
KR1020200159990A 2020-11-25 2020-11-25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 KR102452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990A KR102452091B1 (ko) 2020-11-25 2020-11-25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990A KR102452091B1 (ko) 2020-11-25 2020-11-25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417A KR20220072417A (ko) 2022-06-02
KR102452091B1 true KR102452091B1 (ko) 2022-10-07

Family

ID=8198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990A KR102452091B1 (ko) 2020-11-25 2020-11-25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0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146A (ja) * 2008-10-07 2010-05-20 Okabe Co Ltd パイプサポートの斜め受金具
JP2019090321A (ja) * 2019-02-18 2019-06-13 有限会社わたなべ 型枠押さえ具および型枠固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456U (ja) * 1993-12-21 1995-07-14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パイプサポートの受け治具
KR200397826Y1 (ko) 2005-07-25 2005-10-07 최재일 일체형 거푸집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146A (ja) * 2008-10-07 2010-05-20 Okabe Co Ltd パイプサポートの斜め受金具
JP2019090321A (ja) * 2019-02-18 2019-06-13 有限会社わたなべ 型枠押さえ具および型枠固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417A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65339A1 (en) Reversible cable tie
AU2018238972A1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JP2008542645A (ja) シート状金属ファスナー・クリップ
US892908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otherboard
KR102452091B1 (ko) 건설용 파이프 밀림방지용 브라켓
KR101840257B1 (ko) 조립식 앵글
KR101796740B1 (ko) 거푸집용 유로폼 지지결속장치
KR200405366Y1 (ko) 프로파일용 너트
JP6021076B2 (ja) パネル取付装置
JP6624844B2 (ja) 断熱材固定部材、断熱構造体、及び断熱材の施工方法
JP5754827B1 (ja) フロアパネル
JP6713122B2 (ja) 連結具
US9146581B2 (en) Hard disk drive mou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686385B1 (ko) 거푸집용 지지대
KR200267833Y1 (ko) 평판형 거푸집 고정장치
JP6313032B2 (ja) 配線・配管材支持具
JP6817616B2 (ja) 連結具
JP5351576B2 (ja) 床スラブに用いるスペーサ
KR200481868Y1 (ko) 싱크대 고정용 빌트인 가스레인지 브라켓
KR102004130B1 (ko) 보시공용 보브라켓
JP6366208B1 (ja) ランナー材及びランナー材の施工方法
KR20180001113U (ko)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KR200426211Y1 (ko) 유로폼 간격 정착 장치
JP6619579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KR101883990B1 (ko) 가구용 판재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