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505B1 - Strip alignment equipment - Google Patents

Strip alignment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505B1
KR102451505B1 KR1020200111574A KR20200111574A KR102451505B1 KR 102451505 B1 KR102451505 B1 KR 102451505B1 KR 1020200111574 A KR1020200111574 A KR 1020200111574A KR 20200111574 A KR20200111574 A KR 20200111574A KR 102451505 B1 KR102451505 B1 KR 102451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trips
adjusting unit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5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9964A (en
Inventor
김진묵
Original Assignee
김진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묵 filed Critical 김진묵
Priority to KR1020200111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505B1/en
Publication of KR20220029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9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5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10Reciprocating or oscillating grippers, e.g. suction or gripper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레일을 형성한 작업대를 구비하고, 가이드레일에 스트립이송장치를 설치하며, 스트립이송장치 일측에 스트립 간격조절부, 제1, 제2, 제3위치조정부를 포함하는 스트립위치조정부를 설치함으로써, 스트립이송장치가 스트립 간격 조절부에 대응하도록 스트립 사이를 벌려 스트립 간격 조절부에 안착시키고, 스트립 간격 조절부가 스트립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되, 제1위치조정부로 스트립을 길이방향을 향해 일률적으로 밀어내고, 제2위치조정부와 제3위치조정부로 스트립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폭 방향으로 밀어내어 스트립 간격 조절부의 정해진 위치에 스트립을 위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스트립이 동시에 물린 상태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스트립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고, 스트립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스트립 이송장치가 스트립 사이를 이격시켜 스트립 간에 정전기 발생이 방지되며, 또한, 스트립 간격 조절부에서 스트립 간의 간격을 스트립이 결합되는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간의 거리에 비례하도록 자동 조정하되, 제1, 제2, 제3위치조정부로 스트립의 위치를 정렬하여, 복수개의 스트립이 스트립 간격 조절부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고, 스트립 간격 조절부에서 자동으로 위치가 조정된 스트립을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로 공급하여, 스트립의 앞면과 뒷면이 뒤바뀔 우려가 없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ip alignment device, comprising a workbench having a guide rail formed thereon, a strip convey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guide rail, and a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s on one side of the strip conveying device. By installing a strip position adjusting unit including The strip is uniformly pus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trip is push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by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and the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 to position the stri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rips are moved in a bitten state at the same time, and a plurality of strips can be moved at the same time, and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trips, the strip conveying device separates the strips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between the strips, and also ,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s in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be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s of the in vitro diagnostic kit to which the strips are coupled, but by aligning the positions of the strips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s, a plurality of strips The strip, which is aligned at the correct position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and automatically adjusted by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is supplied to the device of the in vitro diagnostic kit, so there is no risk of the front and the back of the strip being reversed.

Description

스트립 정렬장치{Strip alignment equipment}Strip alignment equipment

본 발명은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립 간격 조절부로 스트립을 이격시키고, 제1위치조정부로 스트립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내되, 제2, 제3위치조정부로 스트립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어, 복수개의 스트립이 스트립 간격 조절부의 정해진 위치로 정렬되도록 스트립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트립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ign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separating the strips with a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pushing the strip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and pushing the strips in the width direction with the second and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s. , It relates to a strip alignment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rip so that the plurality of strips are align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일반적으로, 체외진단키트는 소변 또는 혈액에 포함된 항체 반응을 확인하여, 체외 상태를 진단하는 도구이다.In general, an in vitro diagnostic kit is a tool for diagnosing an in vitro condition by checking an antibody reaction contained in urine or blood.

즉, 체외진단키트로 소변 또는 혈액을 떨어뜨려, 체외진단키트의 흡습패드를 통해 멤브레인 면으로 소변 또는 혈액이 흘러가도록 하되, 소변 또는 혈액이 묻어진 체외진단키트를 체외진단장치내에 삽입하여, 멤브레인에 묻어진 소변 또는 혈액에 포함된 항체 반응을 체외진단장치로 분석하여, 체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by dropping urine or blood with the in vitro diagnostic kit, the urine or blood flows to the membrane surface through the moisture absorption pad of the in vitro diagnostic ki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n vitro condition by analyzing the antibody reaction contained in the urine or blood buried in the in vitro diagnostic device.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진단 킷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 하부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상, 하부케이스 중 하부케이스에 부착되는 멤브레인과, 상기 멤브레인 일단에 부착되어 검체를 수용하는 검체패드와, 상기 검체패드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검체 내에 분석물질이 존재하는 여부를 검출하는 컨쥬게이트패드로 구성된다.Patent Document 1 shows a conventional diagnostic kit. Referring to this, it includes an upper and a lower case, a membrane attached to the lower case among the upper and lower cases, and a sample pad attached to one end of the membrane to receive a sample. and a conjugate pad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ample pa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detect whether an analyte is present in the sample.

이때, 검체패드와 컨쥬게이트패드 사이에는 제1반응물질을 포함하여, 이 제1반응물질이 검체에 함유된 분석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선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test line is formed between the sample pad and the conjugate pad to check whether the first reactant specifically reacts with the analyte contained in the sample, including the first reactant.

또한, 컨쥬게이트패드 후단에는 멤브레인을 따라 검체가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대조선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control line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conjugate pad to check whether the sample has moved along the membrane.

즉, 상부케이스의 검체투입구로 검체를 투입하게 되면, 이 검체가 검체패드로 흡수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맴브레인의 면을 따라 이동하여 검사선을 통과하게 된다.That is, when a specimen is introduced into the specimen inlet of the upper case, the specimen is absorbed into the specimen pad, and in that state, it moves along the surface of the membrane and passes through the inspection line.

이때, 검사선의 제1반응물질에 검체에 함유된 분석물질이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검체의 진위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At this time, by confirming that the analyte contained in the sample reacts specifically to the first reactant of the test line, the authenticity of the sample is checked.

이어서, 멤브레인을 따라 이동하던 검체는 컨쥬게이드패드에 도달하게 되고, 이때, 검체 내의 분석 물질 존재여부에 따라 서로 상반되게 반응함으로써, 이 컨쥬게이드패드를 확인하여 체외 진단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sample moving along the membrane arrives at the conjugate pad, and at this time, the conjugate pad is checked to confirm the in vitro diagnostic status by reacting oppositel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nalyte in the sample.

그리고, 컨쥬게이드패드를 지나쳐 멤브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검체는 대조선에 도달하게 됨으로써, 이 대조선을 확인하여 검체의 이동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ple moving along the membrane past the conjugate pad arrives at the control lin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ample can be visually confirmed by checking the control line.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에 스트립을 반복하여 직접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디바이스에 스트립 결합시 흩어져 있는 스트립의 앞, 뒷면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한 후 디바이스에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반복적인 결합작업시 작업자의 실수로 스트립의 앞, 뒷면이 뒤바뀌도록 결합되어, 체외진단용 키트의 제품 불량이 발생되고, 특히, 과도한 노동력 필요로 인해 작업 인원수 증가와 동시에 임금비용이 증가되고, 이에따라, 생산능률 저하 및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Patent Document 1 as described above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directly couple the strip to the device of the in vitro diagnostic kit repeatedly. In additi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strip are combined so that the front and back sides are reversed due to the operator's mistake during repeated bonding work, resulting in defective products of the in vitro diagnostic kit, in particular, increasing the number of workers due to the need for excessive labor At the same time, the wage cost increases,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re lowered.

KRUS 10-2017-009461610-2017-0094616 AA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레일을 형성한 작업대를 구비하고, 가이드레일에 스트립이송장치를 설치하며, 스트립이송장치 일측에 스트립 간격조절부, 제1, 제2, 제3위치조정부를 포함하는 스트립위치조정부를 설치함으로써, 스트립이송장치가 스트립을 물어 고정하되, 스트립 간격 조절부에 대응하도록 스트립 사이를 벌려 스트립 간격 조절부에 안착시키고, 스트립 간격 조절부에서 스트립 사이를 정해진 간격으로 벌어지도록 이격시키되, 제1위치조정부로 스트립 간격 조절부에 안착된 스트립을 길이방향을 향해 일률적으로 밀어내고, 제2위치조정부와 제3위치조정부로 스트립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폭 방향으로 밀어내어 스트립 간격 조절부의 정해진 위치에 스트립을 위치시키는 스트립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workbench having a guide rail formed thereon, to install a strip conveying device on the guide rail, and to include a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on one side of the strip conveying device, a first By installing a strip position adjusting unit includ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s, the strip conveying device bites and fixes the strip, but spaced apart between the strips to correspond to the strip interval adjusting unit and seated in the strip interval adjusting unit, and the strip interval In the adjusting unit, the strips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strips seated in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are uniformly pus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and the strips are pushed together by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and the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 It is to provide a strip alignment device for positioning the stri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by pushing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는,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을 형성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복수개의 스트립을 물어 고정하되,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스트립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스트립이송장치; 상기 스트립이송장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이송장치에 의해 이송 되어온 스트립이 안착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스트립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트립위치조정부;로 구성된 스트립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위치조정부는, 상기 스트립의 안착을 허용하고, 그 상면에 함몰된 결합홈을 형성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트립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스트립 간격 조절부;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 일측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 일단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위치조정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1위치조정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 측면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위치조정부; 상기 결합홈에 상기 제2위치조정부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위치조정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 타 측면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3위치조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strip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orkbench having guide rails formed on its upper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trip conveying devic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of the workbench and fixed by biting a plurality of strips,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rail to space the strips apart; A strip position adjusting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rip conveying device, allowing the strip transported by the strip conveying device to be seated,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rip; in the strip alignment device comprising: the strip position adjusting unit, a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that allows the seating of the strips, forms a recessed coupling groove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separates the gaps between the strips while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trip interval adjusting unit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rip interval adjusting unit, and configured to push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trip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rip; a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slidingly mo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pushing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trips in the width direc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rip; A third that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groove parallel to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and slidingly moves in a direction facing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pushing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trips in the width direc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rip Position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이송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좌, 우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고, 승강 이동 및 전, 후 이동되어 상기 스트립위치조정부의 스트립 간격 조절부로 이동되는 위치조정프레임; 상기 위치조정프레임 상면에 일렬 방향으로 복수개 슬라이딩 결합되고, 전단에 상기 스트립이 압입 방식으로 물려 고정되도록 하되, 서로 밀착되거나 혹은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스트립 사이를 분리하는 집게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rip alig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p conveying device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so as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and is moved up and down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 move to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of the strip position adjusting unit. adjustment frame; A plurality of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sitioning frame in a line direction, the strips are bitten and fixed at the front end in a press-fitting manner, and a tongs part that separates the strips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좌, 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수직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서로 대향되어 상기 스트립위치조정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안내레일을 형성한 승강이동프레임; 상기 승강이동프레임의 안내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전, 후 이동되고, 양단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제2측벽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측벽부 사이에 상기 집게부가 일렬방향으로 밀착되거나 혹은 벌어지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봉을 형성한 수평이동프레임; 상기 승강이동프레임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그 말단이 상기 수평이동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동프레임을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 상기 수평이동프레임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그 말단이 상기 집게부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상기 집게부 사이를 벌리거나 혹은 밀착되도록 하는 제2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rip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ing frame comprises: a vertical guide frame slidingly coupled to the guide rail to move left and right; a lifting and moving frame coupled to the vertical guide frame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having a pair of guide rails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trip position adjustment unit; It is slidingly coupled to the guide rail of the elevating fram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to form a pair of protruding second side wall portions at both end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tong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line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side wall portions, or A horizontal moving frame formed with a second guide rod for guiding the unfolding; a first cylinder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frame and having an end fixed to the horizontal moving frame to move the horizontal moving frame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A second cylinder fixed 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moving frame, th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tongs, to spread apart or closely contact the plurality of the tongs.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상기 위치조정프레임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전단에 상기 스트립 일단이 삽입되도록 허용하는 받침홈을 형성하고, 상단에 공기의 출입을 허용하는 공기출입홀을 형성한 집게블럭과; 상기 집게블럭의 받침홈 내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출입홀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승강 이동되어 상기 받침홈 내로 삽입된 상기 스트립의 상단을 누름 가압하는 승강누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rip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 unit is slidingly coupled to the positioning frame, forming a support groove for allowing one end of the strip to be inserted at the front end, and an air inlet hole for allowing air in and out at the upper end a tongs block forming 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is provided in the support groove of the clamp block, the lifting and moving by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inlet hole to press and press the upper end of the strip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간격조절부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제1측벽부와; 상기 제1측벽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1가이드봉; 상기 스트립이 안착되도록 허용하고, 상기 제1가이드봉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스트립 간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스트립이송블럭; 상기 제1측벽부 일측에 설치되고, 그 말단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이송블럭 사이를 벌리거나 혹은 밀착되도록 하는 제3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rip alig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comprises: a first side wall part protruding in a pair to face each other; a first guide rod installed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sidewalls; a strip transport block allowing the strip to be seated, and slidably moving along the first guide rod to space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s; and a third cylind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side wall part, the end thereof being connected to the strip transport block, and spaced apart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strip transport blocks.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이송블럭은, 상면에 상기 스트립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면 양측에서 상방으로 평행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스트립이 상기 안착면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벽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rip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p transport block forms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strip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protrudes in parallel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seating surface, so that the strip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blocking wall to prevent separation to the side of the seating surface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조정부는,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 일측에 설치되어, 그 상면에 제1수평레일을 형성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제1수평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에 안착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내는 위치조절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rip alig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the first supporting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the first support portion forming a first horizontal rail on the upper surfa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position control plate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horizontal rail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pushes the plurality of strips seated on 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제1위치조정부와 직교되는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 일측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되는 승강장치를 더 형성하고, 상기 제2위치조정부는, 상기 승강장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상면에 제2수평레일을 형성한 제2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제2수평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의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며, 그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에 안착된 스트립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는 복수개의 제1밀착돌부를 형성한 제1수평이동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위치조정부는, 상기 승강장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상면에 제3수평레일을 형성한 제3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제3수평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의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며, 그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에 안착된 스트립을 상기 제1밀착돌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복수개의 제2밀착돌부를 형성한 제2수평이동막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rip alig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tabl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orthogonal to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further forming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A second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vice to form a second horizontal rail on the upper surface, one end is slidingly coupled to the second horizontal rail,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and is fix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first horizontal moving bar formed to be spaced apart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protrusions for pushing the strip seated on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in the width direction, wherein the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device. A third support part installed to form a third horizontal rail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one end is slidingly coupled to the third horizontal rail,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horizontal moving bar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adhesion protrusions for pushing the strip seated on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adhesion protrusions.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조정부 및 상기 제3위치조정부는, 상기 제1밀착돌부와 상기 제2밀착돌부가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상기 제1, 제2수평이동막대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스트립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rip alig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and the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 are formed in a zigzag pattern such that the first adhesion protrusion and the second adhesion protrusion are crossed with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ip is pushed in the width direction while being moved by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moving bars.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립 이송장치에 복수개의 스트립이 동시에 물린 상태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스트립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고, 스트립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스트립 이송장치가 스트립 사이를 이격시켜 스트립 간에 정전기 발생이 방지되며, 또한, 스트립 간격 조절부에서 스트립 간의 간격을 스트립이 결합되는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간의 거리에 비례하도록 자동 조정하되, 제1, 제2, 제3위치조정부로 스트립의 위치를 정렬하여, 복수개의 스트립이 스트립 간격 조절부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고, 스트립 간격 조절부에서 자동으로 위치가 조정된 스트립을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로 공급하여, 스트립의 앞면과 뒷면이 뒤바뀔 우려가 없으며,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생산능률 향상과 동시에 작업인원이 감소되어, 제작 원가 절감 효과 및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rips are moved in a state of being bitten by the strip conveying device at the same time, and the plurality of strips can be mov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s in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be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s of the in vitro diagnostic kit to which the strips are coupled, but by aligning the positions of the strips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s, A plurality of strips are aligned at the correct position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and the strip automatically adjusted by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is supplied to the device of the in vitro diagnostic kit, so there is no fear that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strip are reversed, Since all processes are automatically performed, production efficiency is improved and the number of workers is reduced at the same time,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production costs and improving product reli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를 평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를 스트립위치조정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의 제2, 제3위치조정부를 확대한 요부 사시도.
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rip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strip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trip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trip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strip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ip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n view.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ip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strip position adjustment unit.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and third positions of the strip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작업대(100)는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01)을 형성한다.1 to 8, the work table 100 forms a guide rail 10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작업대(100)는 그 상면에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 및 스트립위치조정부(300)를 고정 설치하여,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 및 스트립위치조정부(300)의 하중을 지탱한다.The work table 100 supports the load of the strip conveying device 200 and the strip position adjusting unit 300 by fixing and installing the strip conveying device 200 and the strip position adjusting unit 300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작업대(100)는 상기 제1위치조정부(320)와 직교되는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 일측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되는 승강장치(102)를 더 형성한다.The workbench 1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orthogonal to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320 to further form a lifting device 102 that is operated for lifting.

상기 가이드레일(101)은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의 집게부(220)가 상기 스트립 간격조절부(310)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조정프레임(210))이 좌, 우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The guide rail 101 prevents the positioning frame 210) from moving left and right so that the tongs 220 of the strip conveying device 200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guide

상기 승강장치(102)는 제2위치조정부(330)) 및 제3위치조정부(340)를 상, 하로 승강 이동시켜, 상기 제1, 제2수평이동막대(332, 342)가 상기 결합홈(310a) 내에서 상, 하로 승강 이동하도록 안내한다.The lifting device 102 elevates and moves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330) and the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 340 up and dow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moving bars 332 and 342 are connected to the coupling groove ( 310a) to guide up and down movement in the interior.

상기 승강장치(102)는 상기 제1, 제2수평이동막대(332, 342)의 상면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에 안착된 상기 스트립(S) 저면 밀착되도록 상기 제1, 제2수평이동막대를 승강 이동시킨다.The lifting device 102 moves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ly so that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transfer bars 332 and 342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trip S seated on the strip transfer block 313 . Move the bar up and down.

스트립이송장치(200)는 상기 작업대(100)의 가이드레일(101)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복수개의 스트립(S)을 물어 고정하되, 상기 가이드레일(101)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스트립(S)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킨다.The strip transport device 200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101 of the workbench 100, bites and fixes a plurality of strips S, and moves along the guide rail 101 between the strips S. space apart.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는 상기 스트립(S) 간의 간격을 이격시켜, 상기 스트립(S) 간에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trip transfer device 200 separ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s (S)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from being generated between the strips (S).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는 상기 가이드레일(101)에 좌, 우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고, 승강 이동 및 전, 후 이동되어 상기 스트립위치조정부(300)의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로 이동되는 위치조정프레임(210)과, 상기 위치조정프레임(210) 상면에 일렬 방향으로 복수개 슬라이딩 결합되고, 전단에 상기 스트립(S)이 압입 방식으로 물려 고정되도록 하되, 서로 밀착되거나 혹은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스트립(S) 사이를 분리하는 집게부(220)로 구성된다.The strip conveying device 200 is slidingly coupled to the guide rail 101 so as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and is moved up and down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 move to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of the strip position adjusting unit 300 . The positioning frame 210 and the positioning frame 210 are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sitioning frame 210 in a row, and the strip (S) is bitten and fixed at the front end in a press-fitting manner, bu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composed of tongs 220 that separates between the strips (S).

상기 위치조정프레임(210)은 상기 집게부(220)를 상기 스트립위치조정부(300)의 스트립간격조절부(310)와 동일선상에 위치시킨다.The positioning frame 210 positions the tongs 220 on the same line as 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310 of the strip positioning part 300 .

상기 위치조정프레임(210)은 상기 가이드레일(10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좌, 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수직가이드프레임(211)과,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211)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서로 대향되어 상기 스트립위치조정부(300)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안내레일(212a)을 형성한 승강이동프레임(212), 상기 승강이동프레임(212)의 안내레일(212a)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전, 후 이동되고, 양단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제2측벽부(213a)를 형성하며, 상기 제2측벽부(213a) 사이에 상기 집게부(220)가 일렬방향으로 밀착되거나 혹은 벌어지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봉(213b)을 형성한 수평이동프레임(213), 상기 승강이동프레임(212)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그 말단이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을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214),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그 말단이 상기 집게부(220)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상기 집게부(220) 사이를 벌리거나 혹은 밀착되도록 하는 제2실린더(215)로 구성된다.The positioning frame 210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101 and slidably moved left and right, and the vertical guide frame 211 is coupled to the vertical guide frame 211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ther. The elevating moving frame 212 having a pair of guide rails 212a facing each other and extending long in the direction of the strip position adjusting unit 300, slidingly coupled to the guide rail 212a of the elevating moving frame 212, , and then to form a pair of protruding second sidewall portions 213a protruding to opposite to each other at both ends, and the tongs 220 between the second sidewall portions 213a are in close contact with or open in a line direction.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having a second guide rod 213b for guiding it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and moving frame 212, and the end thereof is fixedly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and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is provided. The first cylinder 214 for moving the moving frame 21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and th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tongs 220 and a plurality of the tongs. It is composed of a second cylinder 215 that is spaced apart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220 .

상기 수직 가이드프레임(211)은 상기 가이드레일(101)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집게부(220)를 상기 스트립간격조절부(31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vertical guide frame 211 is mov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101 to move the tongs 220 in the direction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

상기 승강이동프레임(212)은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211)을 따라 상, 하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집게부(220)를 상기 스트립간격조절부(310)의 스트립이송블럭(313)과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시킨다.The lifting moving frame 212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guide frame 211 to move the tongs 220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strip transfer block 313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 place it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은 상기 승강이동프레임(212) 상부에서 전, 후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집게부(220)에 물림된 상기 스트립(S) 일단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차단벽(313c) 사이로 진입되도록 한다.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slides forward and backwar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moving frame 212 so that one end of the strip S engaged with the tongs 220 is a blocking wall of the strip transfer block 313 ( 313c)).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의 제2측벽부(213a)는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벌어지는 상기 집게부(220)가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second side wall portion 213a of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blocks the tongs 220 that are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의 제2가이드봉(213b)은 상기 집게부(430)가 서로 이격되거나 혹은 밀착되도록 수평 이동되는 것을 안내한다.The second guide rod 213b of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guide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tongs 430 to be spaced apart o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실린더(214) 및 제2실린더(215)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ylinder 214 and the second cylinder 215 are preferably operated by pneumatic pressure.

상기 집게부(220)는 상기 위치조정프레임(21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전단에 상기 스트립(S) 일단이 삽입되도록 허용하는 받침홈(221a)을 형성하고, 상단에 공기의 출입을 허용하는 공기출입홀(221b)을 형성한 집게블럭(221)과, 상기 집게블럭(221)의 받침홈(221a) 내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출입홀(221b)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승강 이동되어 상기 받침홈(221a) 내로 삽입된 상기 스트립(S)의 상단을 누름 가압하는 승강누름부(222)로 구성된다.The tongs 220 are slidingly coupled to the positioning frame 210 to form a support groove 221a to allow one end of the strip (S) to be inserted into the front end, and air to allow air in and out at the top. The clamp block 221 having an access hole 221b is provided in the support groove 221a of the clamp block 221, and is moved up and down by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inlet hole 221b, and the support groove (221a) is composed of a lifting pressing portion 222 for pressing and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strip (S) inserted into.

상기 집게블럭(221)은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의 제2측벽부(213a) 사이를 잇는 제2가이드봉(213b)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일렬로 정렬 배치된다.The clamp block 221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guide rod 213b between the second side wall portions 213a of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and arranged in a line.

상기 집게블럭(221)은 상기 제2가이드봉(21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서로 밀착되거나 혹은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tongs block 221 is slidably moved along the second guide rod 213b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집게블럭(221)은 상기 스트립간격조절부(310)의 스트립이송블럭(313) 사이 간격에 비례하도록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ngs blocks 221 are preferably spaced apart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 transport blocks 313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

상기 승강누름부(222)는 상기 공기출입홀(221b) 내로 유입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받침홈(221a) 내에 위치된 스트립(S)의 일단을 누름 가압한다.The lifting pressing part 222 is moved downward by the air pressure flowing into the air inlet hole 221b to press and press one end of the strip S located in the support groove 221a.

상기 승강누름부(222)는 상기 공기출입홀(221b)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흡입압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The lift pressing part 222 is moved upward by the air suction pressure discharg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221b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스트립위치조정부(300)는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에 의해 이송 되어온 스트립(S)이 안착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스트립(S)의 위치를 조정한다.The strip position adjusting unit 3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rip conveying device 200 and allows the strip (S) transferred by the strip conveying device 200 to be seated, there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rip (S). .

상기 스트립위치조정부(300)는 상기 스트립(S)의 안착을 허용하고, 그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310a)을 형성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트립(S)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와,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 일측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S) 일단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S)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위치조정부(320), 상기 결합홈(310a)에 결합되고, 상기 제1위치조정부(32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S) 측면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S)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위치조정부(330) 및 상기 결합홈(310a)에 상기 제2위치조정부(330)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위치조정부(33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S) 타 측면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S)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3위치조정부(340)로 구성된다.The strip position adjustment unit 300 allows the seating of the strip (S), forms a coupling groove (310a)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its upper surface, and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s (S) while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310 to be spaced apart, and 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310 being installed on one side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310,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trips (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32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rip (S) by pushing it,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10a, and slidingly mo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320, a plurality of the A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33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rip (S) by pushing the side surface of the strip (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330 in the coupling groove 310a, While sliding in the direction facing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330, the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 34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rip (S) by pushing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trips (S) in the width direction is composed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는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의 집게부(220)로 부터 복수개의 스트립(S)을 전달받는다.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receives the plurality of strips S from the tongs 220 of the strip conveying device 200 .

상기 스트립 간격조절부(310)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제1측벽부(311)와, 상기 제1측벽부(311)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1가이드봉(312) 및 상기 스트립(S)이 안착되도록 허용하고, 상기 제1가이드봉(3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스트립(S) 간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스트립이송블럭(313) 및 상기 제1측벽부(311) 일측에 설치되고, 그 말단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 사이를 벌리거나 혹은 밀착되도록 하는 제3실린더(314)로 구성된다.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310 includes a first side wall part 311 protruding as a pair to face each other, a first guide rod 312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side wall part 311, and the strip ( S) is allowed to be seated,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and the first side wall part 311 that are slidably moved along the first guide rod 312 to space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s S. , th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and consists of a third cylinder 314 that is spaced apart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the strip transport blocks 313.

상기 제1가이드봉(312)은 상기 제1측벽부(311) 사이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수평 이동을 안내한다.A plurality of the first guide rods 312 are formed in parallel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sidewall portions 311 to guid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trip transfer block 313 .

상기 제1가이드봉(312)은 원통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guide rod 312 preferably has a cylindrical shape.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은 그 상면에 함몰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홈(310a)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310a)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 형성된다.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grooves 310a by forming at least two coupling grooves 310a recess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은 상면에 상기 스트립(S)이 안착되는 안착면(313b)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면(313b) 양측에서 상방으로 평행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면(313b)에 안착된 스트립(S)이 상기 안착면(313b)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벽(313c)을 형성한다.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forms a seating surface 313b on which the strip S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protrudes in parallel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seating surface 313b, on the seating surface 313b. A blocking wall 313c is formed to prevent the seated strip S from being separated to the side of the seated surface 313b.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은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의 집게부(220)로 부터 스트립(S)을 공급받아 상기 안착면(313b)에 안착시키되, 상기 제1가이드봉(3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스트립(S) 간의 간격을 이격시킨다.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receives the strip S from the tongs 220 of the strip transport device 200 and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313b, along the first guide rod 312 . The sliding movement separ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s (S).

상기 제3실린더(314)는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에 상기 스트립(S)이 안착되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을 상기 제1가이드봉(3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복수개로 일렬 배치된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미도시) 거리에 비례하도록 상기 스트립(S)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킨다.When the strip S is seated on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the third cylinder 314 slides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along the first guide rod 312 to form a plurality of l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s (S) is spaced in proportion to the device (not shown) distance of the arranged in vitro diagnostic kit.

상기 차단벽(313c)은 상기 스트립(S)의 양단을 지지하여, 상기 안착면(313b)에 안착된 스트립(S)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blocking wall 313c supports both ends of the strip S to prevent the strip 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313b from being twisted.

상기 스트립간격조절부(310)는 상기 제1위치조정부(320)와 반대되는 타측에 승강 작동되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타단으로 노출된 상기 스트립(S)의 타단을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부(315)를 더 형성한다.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is lifted and lower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320 to support and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strip S exposed to the other end of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 A portion 315 is further formed.

상기 받침부(315)는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에 상기 스트립(S)이 안착되는 순간 상방으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스트립(S)의 타단을 떠받쳐 지지한다.The support part 315 moves upward at the moment when the strip S is seated on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 and supports and supports the other end of the strip S.

상기 제1위치조정부(320)는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에 안착된 스트립(S)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내면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S)을 폭 방향으로 일렬되게 정렬한다.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320 aligns the plurality of strips S in a line in the width direction while pushing the strip S seated on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위치조정부(320)는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 일측에 설치되어, 그 상면에 제1수평레일(321a)을 형성한 제1지지부(321)와, 상기 제1지지부(321)의 제1수평레일(32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에 안착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S)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내는 위치조절판(322)으로 구성된다.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3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and includes a first supporting unit 321 having a first horizontal rail 321a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nd the first supporting unit 321. It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horizontal rail 321a of a position control plate 322 for pushing the plurality of strips (S) seated on the strip spacing control unit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지지부(321)는 상기 제1수평레일(321a)을 따라 상기 위치조절판(322)을 공압방식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The first support part 321 slides and moves the position control plate 322 along the first horizontal rail 321a in a pneumatic manner.

상기 위치조절판(322)은 상기 제1지지부(321)에 의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근접 위치되면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S)을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S)을 일렬 방향으로 정렬한다.The position control plate 322 is positioned close to the first support part 321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and simultaneously pushes the plurality of strips 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rip (S) is arranged in a line direction.

상기 제2위치조정부(330)는 상기 승강장치(102) 상면에 설치되어 그 상면에 제2수평레일(331a)을 형성한 제2지지부(331)와, 일단이 상기 제2수평레일(331a)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의 결합홈(310a)에 삽입 결합되며, 그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에 안착된 스트립(S)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는 복수개의 제1밀착돌부(332a)를 형성한 제1수평이동막대(332)를 포함한다.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330 includes a second support unit 33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device 102 to form a second horizontal rail 331a on the upper surface, and on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rail 331a. A strip (S)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10a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310, and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eated on 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310. and a first horizontal moving bar 332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adhesion protrusions 332a for pushing out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제2지지부(331)는 상기 제1수평이동막대(332)가 상기 제2수평레일(331a)을 따라 공압방식에 의해 수평이동 하도록 안내한다.The second support part 331 guides the first horizontal moving bar 332 to move horizontally by a pneumatic method along the second horizontal rail 331a.

상기 제1수평이동막대(332)는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결합홈(310a) 내에서 상기 승강장치(102)에 의해 승강작동되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에 안착된 상기 스트립(S)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트립(S) 저면을 떠받쳐 지지한다.The first horizontal moving bar 332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device 102 in the coupling groove 310a of the strip transfer block 313, and the strip S seated on the strip transfer block 313. )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to support and support the bottom of the strip (S).

상기 제1수평이동막대(332)는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안착면(313b) 높이에 비례하도록 승강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horizontal moving bar 332 is preferably lifted and lowered in proportion to the height of the seating surface 313b of the strip transfer block 313 .

상기 제1수평이동막대(332)는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에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결합홈(310a) 각각에 슬라이딩 결합된다.The first horizontal moving bar 332 is formed in a pair parallel to each other, and is slidably coupled to each of the at least two coupling grooves 310a formed in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

상기 제1밀착돌부(332a)는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차단벽(313c)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스트립(S)을 폭 방향으로 밀어낸다.The first adhesion protrusion 332a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blocking wall 313c of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to push the strip S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제3위치조정부(340)는 상기 승강장치(102) 상면에 설치되어 그 상면에 제3수평레일(341a)을 형성한 제3지지부(341)와, 일단이 상기 제3수평레일(341a)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의 결합홈(310a)에 삽입 결합되며, 그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에 안착된 스트립(S)을 상기 제1밀착돌부(332a)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복수개의 제2밀착돌부(342a)를 형성한 제2수평이동막대(342)를 포함한다.The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 340 includes a third support part 34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device 102 and forming a third horizontal rail 341a on the upper surface, and one end of the third horizontal rail 341a. A strip (S)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10a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310, and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eated on 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310. and a second horizontal moving bar 342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coherence protrusions 342a for pushing the first coherence protrusions 332a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상기 제3지지부(341)는 상기 제2수평이동막대(342)가 상기 제3수평레일(341a)을 따라 공압방식에 의해 수평이동 하도록 안내한다.The third support part 341 guides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bar 342 to move horizontally by a pneumatic method along the third horizontal rail 341a.

상기 제2수평이동막대(342)는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결합홈(310a) 내에서 상기 승강장치(102)에 의해 승강 작동되고,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에 안착된 상기 스트립(S)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트립(S) 저면을 떠받쳐 지지한다.The second horizontal moving bar 342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device 102 in the coupling groove 310a of the strip transfer block 313, and the strip (313) seated on the strip transfer block 313. 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to support and support the bottom of the strip (S).

상기 제2수평이동막대(342)는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안착면(313b) 높이에 비례하도록 승강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horizontal moving bar 342 is preferably lifted and lowered in proportion to the height of the seating surface 313b of the strip transfer block 313 .

상기 제2수평이동막대(342)는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에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결합홈(310a) 각각에 슬라이딩 결합된다.The second horizontal moving bar 342 is formed in a pair parallel to each other, and is slidably coupled to each of the at least two coupling grooves 310a formed in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

상기 제2밀착돌부(342a)는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차단벽(313c)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스트립(S)을 폭 방향으로 밀어낸다.The second adhesion protrusion 342a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blocking wall 313c of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to push the strip S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제2위치조정기(330) 및 상기 제3위치조정기(340)는 상기 제1밀착돌부(332a)와 상기 제2밀착돌부(342a)가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상기 제1, 제2수평이동막대(332, 342)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스트립(S)을 폭 방향으로 밀어낸다.The second position adjuster 330 and the third position adjuster 340 are formed in a zigzag such that the first coherence protrusion 332a and the second coherence protrusion 342a cross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The strip S is pushed in the width direction while being moved by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moving bars 332 and 342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The strip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used as follows.

먼저, 가이드레일(101)을 따라 스트립이송장치(200)의 위치조정프레임(210)이 좌, 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여,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트립(S) 방향으로 상기 집게부(220)를 이동시킨다.First, the tongs 220 in the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trips (S) aligned in a line by sliding the positioning frame 210 of the strip transport device 200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rail 101. move the

이때, 상기 위치조정프레임(210)의 수직가이드프레임(211)이 상기 가이드레일(10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집게부(220)를 상기 스트립(S)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되, 상기 승강이동프레임(212)이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211)을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집게부(220)를 상기 스트립(S)과 동일한 높이상에 위치시킨다.At this time, the vertical guide frame 211 of the positioning frame 210 is slidably moved along the guide rail 101 to position the tongs 220 to correspond to the strip S, and the lifting and moving frame 212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guide frame 211 to position the tongs 220 on the same height as the strip (S).

또한, 상기 집게부(220)는 받침홈(221a)을 형성한 복수개의 집게블럭(221)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게블럭(221)에 형성된 각각의 받침홈(221a)이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211) 및 상기 승강이동프레임(212)에 의해 상기 스트립(S)과 동일한 수직 및 수평선 상에 위치된다.In addition, the clamp unit 22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clamp blocks 221 having a support groove 221a, and each support groove 221a formed in the clamp block 221 is formed in the vertical guide frame ( 211) and the lifting and moving frame 212 is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as the strip (S).

이후, 상기 제1실린더(214)를 작동시켜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이 상기 승강이동프레임(212)의 안내레일(212a)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면,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이 상기 스트립(S)의 말단 방향을 향해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에 의해 상기 집게부(220)의 받침홈(221a) 내로 상기 스트립(S) 말단이 삽입된다.Then, when the first cylinder 214 is operated so that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slides along the guide rail 212a of the elevating frame 212,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is the strip (S) is moved forward toward the end direction, at this time, the end of the strip (S)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221a) of the tongs 220 by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이어서, 상기 받침홈(221a) 내로 상기 스트립(S) 일단이 삽입되면, 상기 집게부(220)의 상면에 형성된 공기출입홀(221b)로 공기가 유입되고, 이 유입되는 공기압력에 의해 상기 승강누름부(222)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받침홈(221a) 내에 위치된 상기 스트립(S)의 일단을 누름 가압한다.Then, when one end of the strip (S)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221a),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hole (221b)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ngs part 220,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by this air pressure The pressing part 222 is moved downward to press and press one end of the strip (S) located in the support groove (221a).

이때, 상기 받침홈(221a) 내에서 상기 스트립(S)의 일단이 상기 승강누름부(222)에 의해 눌림됨과 동시에, 상기 제1실린더(214)가 작동되면서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을 당김으로써,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이 상기 안내레일(212a)를 따라 후퇴 이동되면서 상기 스트립(S)을 후퇴 이동시키고, 이어서,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211)이 상기 가이드레일(101)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집게부(220)를 상기 스트립위치조정부(30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strip (S) in the support groove (221a) is pressed by the lifting pressing part 222,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cylinder 214 is operated and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is pulled. As a result,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moves backward along the guide rail 212a to move the strip S backward, and then, the vertical guide frame 211 moves along the guide rail 101 . to move the tongs 220 in the direction of the strip position adjusting unit 300 .

이때,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211)이 상기 스트립위치조정부(300)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제2실린더(215)가 작동되어 상기 집게부(220)의 집게블럭(221) 간의 간격을 이격시키고, 이에따라,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의 제2측벽부(213a) 사이에서 상기 집게블럭(221)이 서로 이격되어 상기 스트립(S) 사이의 정전기 또는 접착력이 해제된다.At this time, while the vertical guide frame 211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trip position adjustment unit 300, the second cylinder 215 is operated to space the distance between the clamp blocks 221 of the clamp unit 220, and , Accordingly, the clamp block 221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second side wall portions 213a of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to release static electricity or adhesive force between the strips S.

여기서, 상기 집게블럭(221)은 상기 제2가이드봉(213b)을 따라 수평 이동되면서 그 사이 간격이 벌어지도록 이격되는 것이다.Here, the tongs block 221 is moved horizontally along the second guide rod 213b, and is spaced apart so that the interval therebetween is widened.

특히, 상기 제2실린더(215)에 의해 이격되는 상기 집게블럭(221) 간의 간격은 상기 스트립간격조절부(310)의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간격에 비례한다.In particular, the distance between the tong blocks 221 spaced apart by the second cylinder 215 is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 transport blocks 313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

그 다음,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211)이 상기 가이드레일(101)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승강이동프레임(212)을 상기 스트립위치조정부(300)의 스트립간격조절부(310) 방향을 향해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승강이동프레임(212)을 상기 스트립간격조절부(310)와 동일 선상에 위치시키되, 상기 승강이동프레임(212)이 승강 작동되어 상기 집게블럭(221)에 물림 고정된 상기 스트립(S)을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안착면(313b)과 동일한 높이 상에 위치되도록 조절한다.Then, the vertical guide frame 211 is moved along the guide rail 101, moving the lifting frame 212 to the left toward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direction of the strip position adjusting unit 300, By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the lifting and moving frame 212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and the lifting and moving frame 212 is lifted and fixed to the clamp block 221. The strip (S) is adjusted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height as the seating surface (313b) of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그러면,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트립(S)의 일단을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차단벽(313c)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시키되, 상기 집게블럭(431)이 공기출입홀(431b)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승강누름부(432)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Then,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is moved forward to allow one end of the strip S to enter the space between the blocking walls 313c of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and the tongs block 431 is air By discharging the air through the entrance hole (431b), the lifting pressing portion 43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이때, 상기 승강누름부(432)에 가압되어 있던 상기 스트립(S)이 해제되면서, 상기 스트립(S)이 낙하되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안착면(313b)에 안착되고, 이후,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이 후퇴 이동하여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안착면(313b)으로 상기 스트립(S)이 공급된다.At this time, as the strip (S) pressed by the lifting pressing unit 432 is released, the strip (S) is dropped and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313b of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and then, the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moves backward so that the strip S is supplied to the seating surface 313b of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

이어서,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 각각에 상기 스트립(S)이 안착되면, 상기 스트립간격조절부(310)의 제3실린더(314)를 작동시켜, 상기 제1측벽부(311)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제1가이드봉(312)을 따라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을 이동시키고, 이에따라,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기 스트립(S) 간의 간격이 이격된다.Then, when the strip (S) is seated on each of the strip transport blocks (313), the third cylinder (314)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310) is operated to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ide wall parts (311).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is moved along the first guide rod 312, and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 transport blocks 313 is widen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s S is spaced apart.

이때,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은 상기 제1측벽부(311)에 차단되어 상기 스트립간격조절부(3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At this time,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is blocked by the first side wall part 311 to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310 .

이후, 상기 제1위치조정부(320)와 반대되게 설치된 상기 받침부(315)가 상방으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 타단으로 노출된 상기 스트립(S)의 타단을 떠받쳐 지지함으로써, 상기 스트립(S)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타단을 통해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Thereafter, the support part 315 installed opposite to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part 320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and the other end of the strip S exposed to the other end of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is supported and supported. , the strip (S) is prevented from falling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그리고, 상기 제1위치조정부(320)의 제1지지부(321)가 작동되어 상기 제1수평레일(321a)을 따라 상기 위치조절판(322)을 수평 이동시키고, 이때, 상기 위치조절판(322)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일단으로 근접되면서 상기 스트립(S)의 일단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S)이 일렬로 정렬된다.And, the first support part 321 of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320 is operated to horizontally move the position adjusting plate 322 along the first horizontal rail 321a, and at this time, the position adjusting plate 322 is One end of the strip (S) is pus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approaching one end of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so that the strip (S) is aligned in a line.

여기서, 상기 위치조절판(322)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밀려나는 상기 스트립(S)은 그 양단이 상기 차단벽(313c)에 가이드 되면서 길이방향으로 밀려남으로써, 상기 스트립(S)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Here, the strip (S) pus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positioning plate 322 is pus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oth ends are guided by the blocking wall 313c, so that the strip (S) is transferred to the strip transport block ( 313) is prevented.

이어서, 상기 스트립(S)의 길이방향 정렬이 완료되면, 상기 위치조절판(322)이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승강장치(102)에 의해 상기 제2위치조정기(330) 및 제3위치조정기(340)의 제1, 제2수평이동막대(332, 342)가 상기 결합홈(310a) 내에서 상방으로 승강 이동된다.Then, when the longitudinal alignment of the strip (S) is completed, the position adjusting plate 32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er 330 and the third position adjuster 340 by the lifting device 102 )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moving bars 332 and 342 are moved upward and downward in the coupling groove 310a.

이때, 상기 제1, 제2수평이동막대(332, 342)는 그 상면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에 안착된 상기 스트립(S)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트립(S) 저면을 떠받쳐 지지하도록 승강 작동된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moving bars 332 and 342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trip (S) seated on the strip transfer block 313, and support and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strip (S). Lifting is operated to do so.

그러면, 상기 제1, 제2수평이동막대(332, 342)에 형성된 제1, 제2밀착돌부(332a, 342a)가 서로 대칭되는 각각의 상기 차단벽(313c)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되, 이때, 상기 제1, 제2수평이동막대(332, 342)가 상기 제2, 제3지지부(331, 341)의 제2, 제3수평레일(331a, 341a)을 따라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제1, 제2밀착돌부(332a, 342a)로 상기 스트립(S)의 양단을 폭 방향으로 밀어낸다.Then, the first and second adhesion protrusions 332a and 342a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moving bars 332 and 342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respective blocking walls 313c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t this time ,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moving bars (332, 342) are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second and third horizontal rails (331a, 341a) of the second and third support parts (331, 341) while the first, Both ends of the strip (S) are push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second adhesion protrusions (332a, 342a).

즉, 상기 제1, 제2밀착돌부(332a, 342a)는 상기 제1, 제2수평이동막대(332, 342)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스트립(S)의 양단을 폭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S)의 정렬 위치가 조정된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adhesion protrusions 332a and 342a are horizontally mov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by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movement bars 332 and 342 to widen both ends of the strip S. By pushing in the direction, the alignment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strips S are adjusted.

이때, 상기 제1, 제2밀착돌부(332a, 342a)는 지그재그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S)의 양단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스트립(S)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adhesion protrusions 332a and 342a are formed in a zigzag structure to push both ends of the strip S in the width direc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rip S.

이후, 상기 스트립(S)의 정렬 위치가 조정되면, 상기 제1, 제2수평이동막대(332, 342)에 의해 상기 제1, 제2밀착돌부(332a, 342a)가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어서, 상기 승강장치(102)가 하방으로 승강 작동되어, 상기 제1, 제2수평이동막대(332, 342)를 상기 결합홈(310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의 안착면(313b)에 위치 조정이 완료된 상기 스트립(S)이 안착되는 것이다.Then, when the alignment position of the strip (S) is adjusted, the first and second adhesion protrusions 332a and 342a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moving bars 332 and 342, and then , the lifting device 102 is operated downward, and by moving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transfer bars 332 and 342 downward along the coupling groove 310a, the strip transfer block 313 The strip (S) of which the position adjustment is completed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313b).

이어서, 별도로 설치된 외부기기(예컨대, 흡착장치 또는 집게장치)로 정렬된 상태의 상기 스트립(S)을 흡착하거나 혹은 물어 고정한 상태로 이동시켜,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에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S)을 동시에 결합하는 것이다.Then, the strip (S) aligned with a separately installed external device (eg, an adsorption device or tongs device) is adsorbed or moved to a fixed state by biting, and a plurality of the strips (S) are attached to the device of the in vitro diagnostic kit. to combine at the same time.

상기와 같이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에서 스트립(S)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고, 제1위치조정부(320)로 복수개의 스트립(S)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내되, 제2, 제3위치조정부(330, 340)로 스트립(S)의 양단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어, 스트립(S)을 정해진 위치로 정렬하는 구조는, 스트립 이송장치(200)에 복수개의 스트립(S)이 동시에 물린 상태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스트립(S)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고, 스트립(S)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스트립 이송장치(200)가 스트립(S) 사이를 이격시켜 스트립(S) 간에 정전기 발생이 방지되며, 또한,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에서 스트립(S) 간의 간격을 스트립(S)이 결합되는 체외진단용 키트의 디바이스간의 거리에 비례하도록 자동 조정하되, 제1, 제2, 제3위치조정부(320, 330, 340)로 스트립(S)의 위치를 정렬하여, 복수개의 스트립(S)이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 위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s (S) in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is spaced apart, and the plurality of strips (S) are pus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320, and the second and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s are spaced apart. The structure in which the both ends of the strip (S) are pushed in the width direction with (330, 340) to align the strip (S)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trips (S) are simultaneously bitten by the strip transport device (200) By moving,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move a plurality of strips (S), and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strips (S), the strip transport device 200 separates the strips (S)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between the strips (S). ,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s (S) in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be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s of the in vitro diagnostic kit to which the strips (S) are coupled, but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s ( By aligning the positions of the strips S by 320 , 330 , and 340 , the plurality of strips S are precisely align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정렬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The strip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anyon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below It has its technical spirit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hanges.

100 : 작업대 101 : 가이드레일
102 : 승강장치 200 : 스트립이송장치
210 : 위치조정프레임 211 : 수직가이드프레임
212 : 승강이동프레임 212a : 안내레일
213 : 수평이동프레임 213a : 제2측벽부
213b : 제2가이드봉 214 : 제1실린더
215 : 제2실린더 220 : 집게부
221 : 집게블럭 221a : 받침홈
221b : 공기출입홀 222 : 승강누름부
300 : 스트립위치조정부 310 : 스트립 간격 조절부
310a : 결합홈 311 : 제1측벽부
312 : 제1가이드봉 313 : 스트립이송블럭
313b : 안착면 313c : 차단벽
314 : 제3실린더 315 : 받침부
320 : 제1위치조정부 321 : 제1지지부
321a : 제1수평레일 322 : 위치조절판
330 : 제2위치조정부 331 : 제2지지부
331a : 제2수평레일 332 : 제1수평이동막대
332a : 제1밀착돌부 340 : 제3위치조정부
341 : 제3지지부 341a : 제3수평레일
342 : 제2수평이동막대 342a : 제2밀착돌부
S : 스트립
100: work table 101: guide rail
102: elevating device 200 : strip conveying device
210: positioning frame 211: vertical guide frame
212: elevating moving frame 212a: guide rail
213: horizontal moving frame 213a: second side wall portion
213b: second guide rod 214: first cylinder
215: second cylinder 220: tongs
221: clamp block 221a: support groove
221b: air inlet hole 222: elevating press
300: strip position adjustment unit 310: strip interval adjustment unit
310a: coupling groove 311: first side wall portion
312: first guide rod 313: strip transport block
313b: seating surface 313c: blocking wall
314: third cylinder 315: support part
320: first position adjustment unit 321: first support unit
321a: first horizontal rail 322: position adjustment plate
330: second position adjustment unit 331: second support unit
331a: second horizontal rail 332: first horizontal moving bar
332a: first contact protrusion 340: third position adjustment unit
341: third support part 341a: third horizontal rail
342: second horizontal moving bar 342a: second adhesion protrusion
S: strip

Claims (9)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01)을 형성한 작업대(100)와;
상기 작업대(100)의 가이드레일(101)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복수개의 스트립(S)을 물어 고정하되, 상기 가이드레일(101)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스트립(S)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스트립이송장치(200);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에 의해 이송 되어온 스트립(S)이 안착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스트립(S)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트립위치조정부(300);
로 구성된 스트립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위치조정부(300)는,
상기 스트립(S)의 안착을 허용하고, 그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310a)을 형성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트립(S)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 일측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S) 일단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S)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위치조정부(320);
상기 결합홈(310a)에 결합되고, 상기 제1위치조정부(32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S) 측면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S)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위치조정부(330);
상기 결합홈(310a)에 상기 제2위치조정부(330)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위치조정부(33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S) 타 측면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스트립(S)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3위치조정부(340);
로 구성되고,
상기 스트립이송장치(200)는,
상기 가이드레일(101)에 좌, 우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고, 승강 이동 및 전, 후 이동되어 상기 스트립위치조정부(300)의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로 이동되는 위치조정프레임(210);
상기 위치조정프레임(210) 상면에 일렬 방향으로 복수개 슬라이딩 결합되고, 전단에 상기 스트립(S)이 압입 방식으로 물려 고정되도록 하되, 서로 밀착되거나 혹은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스트립(S) 사이를 분리하는 집게부(220);
를 포함하며,
상기 집게부(220)는,
상기 위치조정프레임(21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전단에 상기 스트립(S) 일단이 삽입되도록 허용하는 받침홈(221a)을 형성하고, 상단에 공기의 출입을 허용하는 공기출입홀(221b)을 형성한 집게블럭(221)과;
상기 집게블럭(221)의 받침홈(221a) 내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출입홀(221b)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승강 이동되어 상기 받침홈(221a) 내로 삽입된 상기 스트립(S)의 상단을 누름 가압하는 승강누름부(22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정렬장치.
a workbench 100 having a guide rail 101 formed on its upper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trip transport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101 of the workbench 100 and fixed by biting a plurality of strips S,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rail 101 to space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s S. device 200;
A strip position adjusting unit 3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rip conveying device 200 and allowing the strip (S) transferred by the strip conveying device 200 to be seat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rip (S);
In the strip alignment device consisting of,
The strip position adjustment unit 300,
A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310 that allows the seating of the strips S, forms a coupling groove 310a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separates the distances between the strips S while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rip interval control unit 310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rip interval control unit 310, and pushes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trips (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rip (S). a first position adjustment unit 320 to;
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10a and slid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part 320, while pushing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trips S in the width direc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rips S. a second position adjustment unit 330;
Installed in the coupling groove (310a) parallel to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part 330, and slidingly moving in the direction facing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part 330,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trips (S) in the width direction a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 34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rip (S) by pushing it to the ?
is composed of
The strip conveying device 200,
a positioning frame 210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101 so as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and is moved up and down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 move to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of the strip position adjusting unit 300;
A plurality of sliding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sitioning frame 210 in a line direction, the strip (S) is bitten and fixed at the front end in a press-fitting manner, bu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eparate between the strips (S) tongs part 220;
includes,
The tongs 220,
It is slidably coupled to the positioning frame 210 to form a support groove 221a to allow one end of the strip S to be inserted at the front end, and an air inlet hole 221b to allow air in and out at the upper end. One clamp block 221 and;
It is provided in the support groove 221a of the clamp block 221 and is moved up and down by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inlet hole 221b and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strip 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221a. Elevating pressing unit 222 to press;
Strip align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프레임(210)은,
상기 가이드레일(10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좌, 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수직가이드프레임(211)과;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211)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서로 대향되어 상기 스트립위치조정부(300)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안내레일(212a)을 형성한 승강이동프레임(212);
상기 승강이동프레임(212)의 안내레일(212a)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전, 후 이동되고, 양단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제2측벽부(213a)를 형성하며, 상기 제2측벽부(213a) 사이에 상기 집게부(220)가 일렬방향으로 밀착되거나 혹은 벌어지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봉(213b)을 형성한 수평이동프레임(213);
상기 승강이동프레임(212)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그 말단이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을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214);
상기 수평이동프레임(213)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그 말단이 상기 집게부(220)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상기 집게부(220) 사이를 벌리거나 혹은 밀착되도록 하는 제2실린더(21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정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sitioning frame 210,
a vertical guide frame 211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101 to slide left and right;
The vertical guide frame 211 is coupled to move up and down, the upper surface is opposed to each other to form a pair of guide rails (212a) elong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trip position adjustment unit 300, the elevating frame 212;
It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212a of the elevating frame 212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and forms second side wall portions 213a protruding as a pair at both ends to face each other,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 213a) between the tongs 220, a horizontal moving frame 213 formed with a second guide rod 213b for guiding that the tongs 220 are in close contact or spread in a line direction;
a first cylinder 214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frame 212 and having an end fixed to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to move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second cylinder 215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moving frame 213, th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tongs 220 to spread or closely contact the plurality of tongs 220;
Strip align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간격조절부(310)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제1측벽부(311)와;
상기 제1측벽부(311)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1가이드봉(312);
상기 스트립(S)이 안착되도록 허용하고, 상기 제1가이드봉(3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스트립(S) 간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스트립이송블럭(313);
상기 제1측벽부(311) 일측에 설치되고, 그 말단이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 사이를 벌리거나 혹은 밀착되도록 하는 제3실린더(31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정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a pair of first sidewall portions 311 protruding to face each other;
a first guide rod 312 installed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side wall portions 311;
a strip transport block 313 that allows the strip (S) to be seated and is slid along the first guide rod 312 to space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s (S);
A third cylinder 314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side wall part 311 and connected to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at an end thereof to spread apart or closely contact the plurality of strip transport blocks 313 . ;
Strip align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이송블럭(313)은,
상면에 상기 스트립(S)이 안착되는 안착면(313b)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면(313b) 양측에서 상방으로 평행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면(313b)에 안착된 스트립(S)이 상기 안착면(313b)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벽(313c)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정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rip transport block 313,
A seating surface 313b on which the strip S is sea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trip 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313b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in parallel from both sides of the seating surface 313b. Strip align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wall (313c) for preventing the seating surface (313b) from being separated to the side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조정부(320)는,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 일측에 설치되어, 그 상면에 제1수평레일(321a)을 형성한 제1지지부(321)와;
상기 제1지지부(321)의 제1수평레일(32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에 안착된 복수개의 상기 스트립(S)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내는 위치조절판(32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정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osition adjustment unit 320,
a first support part 32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part 310 and forming a first horizontal rail 321a on its upper surface;
Position adjustment plate 322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horizontal rail 321a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21 to push the plurality of strips S seated on the strip spacing adjustment portion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Strip align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0)는,
상기 제1위치조정부(320)와 직교되는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 일측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되는 승강장치(102)를 더 형성하고,
상기 제2위치조정부(330)는,
상기 승강장치(102) 상면에 설치되어 그 상면에 제2수평레일(331a)을 형성한 제2지지부(331)와,
일단이 상기 제2수평레일(331a)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의 결합홈(310a)에 삽입 결합되며, 그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에 안착된 스트립(S)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는 복수개의 제1밀착돌부(332a)를 형성한 제1수평이동막대(332)를 포함하고,
상기 제3위치조정부(340)는,
상기 승강장치(102) 상면에 설치되어 그 상면에 제3수평레일(341a)을 형성한 제3지지부(341)와, 일단이 상기 제3수평레일(341a)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의 결합홈(310a)에 삽입 결합되며, 그 상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간격 조절부(310)에 안착된 스트립(S)을 상기 제1밀착돌부(332a)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복수개의 제2밀착돌부(342a)를 형성한 제2수평이동막대(34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정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orkbench 100 is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orthogonal to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320, further forming a lifting device 102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unit 330,
a second support part 33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device 102 to form a second horizontal rail 331a on the upper surface;
One e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horizontal rail 331a,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10a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310, and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rip spacing adjusting unit. It includes a first horizontal moving bar (332)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adhesion protrusions (332a) for pushing the strip (S) seated on the 310 in the width direction,
The third position adjustment unit 340,
A third support part 34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device 102 to form a third horizontal rail 341a on the upper surface, one end is slidingly coupled to the third horizontal rail 341a, and the other end is the strip The first adhesive protrusion 332a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10a of the interval adjusting unit 310, and the strip S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eated on the strip interval adjusting unit 310. and a second horizontal moving bar (342)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rotrusions (342a) for push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조정부(330) 및 상기 제3위치조정부(340)는,
상기 제1밀착돌부(332a)와 상기 제2밀착돌부(342a)가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상기 제1, 제2수평이동막대(332, 342)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스트립(S)을 폭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정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330 and the third position adjusting unit 340 are,
The first coherence protrusion 332a and the second coherence protrusion 342a are formed in a zigzag to cross each other, and are moved by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moving bars 332 and 342 in opposite directions. Strip align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ushing the strip (S) in the width direction.
KR1020200111574A 2020-09-02 2020-09-02 Strip alignment equipment KR1024515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574A KR102451505B1 (en) 2020-09-02 2020-09-02 Strip alignment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574A KR102451505B1 (en) 2020-09-02 2020-09-02 Strip alignment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964A KR20220029964A (en) 2022-03-10
KR102451505B1 true KR102451505B1 (en) 2022-10-06

Family

ID=8081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574A KR102451505B1 (en) 2020-09-02 2020-09-02 Strip alignment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5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05905B (en) * 2023-12-15 2024-02-20 广州誉康医药有限公司 Reagent card select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214B1 (en) * 2018-09-19 2019-10-11 김진묵 Test strip cutting and examination equipment for manufacturing in vitro diagnostic kit
KR102014465B1 (en) 2018-09-19 2019-11-04 김진묵 Strip supply equipment for in vitro diagnostic kit assembly
KR102049896B1 (en) * 2018-09-19 2019-11-28 김진묵 Move-pad cutting and supply equipment for in vitro diagnostic kit manufactur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279B1 (en) * 2010-12-24 2013-02-08 (주)서우케이엔제이 Productive system of diagnosis kit
KR20170094616A (en) 2016-02-11 2017-08-2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iagnostic k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214B1 (en) * 2018-09-19 2019-10-11 김진묵 Test strip cutting and examination equipment for manufacturing in vitro diagnostic kit
KR102014465B1 (en) 2018-09-19 2019-11-04 김진묵 Strip supply equipment for in vitro diagnostic kit assembly
KR102049896B1 (en) * 2018-09-19 2019-11-28 김진묵 Move-pad cutting and supply equipment for in vitro diagnostic kit manufactu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964A (en)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3197B2 (en) Semiconductor device loading apparatus for test handlers
KR102451505B1 (en) Strip alignment equipment
US10566756B2 (en) Crimping tool exchange device and method for exchanging a first crimping tool arranged at a process position in a crimping press with another second crimping tool
KR102264022B1 (en) Bending machine of welded steel mesh
KR102014465B1 (en) Strip supply equipment for in vitro diagnostic kit assembly
CN211919844U (en) A feed mechanism for among terminal check out test set
KR102358140B1 (en) Bending machine of welded steel mesh
KR101970603B1 (en) Apparatus for piston moving and apparatus for piston assembling using the same
JPH1058402A (en) Lumber fixing apparatus
KR100392389B1 (en) User-tray stacker for test handler of semiconductor device
KR102332374B1 (en) Apparatus of aligning and engaging eyelet on textile
CN107486715B (en) Assembling method of automatic assembling machine for pig feed raw material detection card
CN115593873A (en) Send board test assembly line
KR20220130382A (en) Spuit supply equipment
KR102420372B1 (en) Strip defect identification device
CN112090770A (en) Assembly testing mechanism
CN111993339A (en) Pin crimping device
CN212397325U (en) Assembly testing mechanism
CN215853956U (en) Feeding device and processing equipment
CN212374280U (en) Lifting device and tooling plate conveying line
KR102434484B1 (en) Transfer and Seperating Apparatus of Substrate for Testing
KR100317819B1 (en) Apparatus for Locking Aligner Block of Handler
CN212421140U (en) Pin crimping device
CN218677063U (en) Wafer detects uses crimping mechanism and device
CN109406139A (en) A kind of more missing part detection devices of chain CC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