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856B1 -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 Google Patents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856B1
KR102449856B1 KR1020200024362A KR20200024362A KR102449856B1 KR 102449856 B1 KR102449856 B1 KR 102449856B1 KR 1020200024362 A KR1020200024362 A KR 1020200024362A KR 20200024362 A KR20200024362 A KR 20200024362A KR 102449856 B1 KR102449856 B1 KR 102449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eating pouch
heating
line
instan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9706A (ko
Inventor
김정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샬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샬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샬롬
Priority to KR1020200024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85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9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투식량 등의 즉석으로 조리하는 식품을 발열부재를 이용해 복원하거나 데울 경우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바닥 지면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부를 형성함으로써 고온의 증기에 의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투식량의 경우 전술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한 위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증기배출부는 절취선과 절첩선을 형성하고, 증기배출구와 접힘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Instant Cooking Heat Pouch}
본 발명은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투식량 등의 즉석으로 조리하는 식품을 발열부재를 이용해 복원하거나 데울 경우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바닥 지면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부를 형성함으로써 고온의 증기에 의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투식량의 경우 전술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한 위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음식 문화는 주식인 쌀에서부터 각종 찌개나 국에 이르기까지 가열하여 조리하는 음식의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야외에서 각종 여가활동 중에 식사를 하게 되는 경우에도 휴대용 버너 등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산이나 공원 등 환경보호 및 화재예방을 이유로 불을 이용한 음식의 조리를 금지하는 곳이 많아지게 되면서 야외활동시 불을 이용한 조리과정이 필요없는 음식을 준비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식품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데워 먹을 수 있도록 발열부재를 이용한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가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는 내부공간에 발열부재를 구비하고 이를 이용한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100℃ 전후의 열을 이용해 내부에 구비된 음식물(식품) 을 가열 조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일 예로, 종래 기술에 따른 (특허문헌 0001)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9406호 "휴대용 발열조리기구"에 따르면, 발열제와 음식물(식품)을 내부에 담고, 발열부재를 이용한 가열시 개구된 상부를 지퍼를 이용해 패쇄함으로 음식물 등이 내부공간에서 가열 조리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일측에 고온의 증기 배출을 위한 구멍(배출구)을 형성해 발열부재와 물의 수화반응에 따른 급격한 가압팽창시 뜨거운 증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에 형성한 구멍(배출구)는, 조리에 따라 발생한 뜨거운 증기가 구멍을 따라 외부로 급격하게 빠져나와 상부 방향으로 뿜어져 나갈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부 방향으로 배출되는 뜨거운 증기에 의해 화상을 입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았다.
한편, 일반적으로 군대에서 훈련 등으로 인해 영외에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지급되는 전투식량은 건조상태로 포장된 음식을 뜨거운 물을 부어 가열함에 따라 취식이 가능하도록 포장 파우치 형태로 보급되고 있다.
근래에 와서는 상술의 발열부재를 포함한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를 이용해 쉽게 가열하여 먹을 수 있도록 전투식량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를 이용한 전투식량은, 상부 방향으로 배출되는 뜨거운 증기에 의해 화상을 입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았다.
한편, 전투부대는 전술적 상황에 따라 자신의 위치를 적군에게 노출시키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를 이용할 경우, 뜨거운 증기가 상부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자신의 위치가 노출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0002) 한국등록특허 제10-1619434호 "스팀방지구조의 전투식량 발열팩"과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냉각수가 충전된 증기제거팩을 별도로 구비하고 뜨거운 증기가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의 증기배출관을 별도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증기배출관을 따라 이동하는 뜨거운 증기가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춰져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0002)와 같은 형태의 전투식량 발열팩은, 증기배출관과 증기제거팩 등 별도의 장치를 파우치 내 설치해야 해 제작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투식량의 특성 상 장시간 보관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보관이나 이동시 증기배출관이나 증기제거팩의 파손이 발생하는 등 사용시 불량율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9406호 (2010. 09. 29.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619434호 (2016. 05. 02.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전투식량 등의 즉석으로 조리하는 식품을 발열부재를 이용해 복원하거나 데울 경우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바닥 지면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부를 형성함으로 고온의 증기에 의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투식량의 경우 전술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한 위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는, 내부공간 상의 발열부재를 이용해 음식을 조리하되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 배출하도록 일측에 증기배출부를 구비한다.
이때, 증기배출부는, 발열 파우치의 외표면상 설정의 위치를 시작점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설정의 각도로 표시한 절취선과, 절취선의 내측 시작점과 마주한 지점에서 하방향으로 표시한 절첩선과, 절취선에 따른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절취에 의해 개구되어 형성되고 내부공간 상의 증기를 외부에서 하방향으로 배출하는 증기배출구와, 증기배출구를 형성한 후 절첩선에 따른 발열 파우치의 접힘에 의해 내부공간상에 증기차단벽을 형성하는 접힘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증기배출부는 절취선을 넘어 절취되지 않도록 절취선의 시작점에 절취선과 다른 각도와 설정의 길이를 갖는 한계라인부를 더 형성한다.
실시예로, 한계라인부는, 발열 파우치의 내표면을 접합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외표면에 절취가 어려운 부재를 덧붙여 형성한다.
한편, 증기배출부는 절취선의 타단에 홈 또는 절개된 절취시작부를 더 형성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절취선은, 동일 시작점에서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며 다수개로 형성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은, 접힘부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때, 고정부재는, 접힘부의 단부가 수용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는 포켓이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한 점착식 테이프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는, 즉석으로 조리하는 식품을 발열부재를 이용해 복원하거나 데울 경우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바닥 지면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부를 형성함으로 고온의 증기에 의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전투식량으로의 사용 시 고온의 증기를 바닥 지면방향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전술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한 위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에 적용한 증기배출부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에 적용한 증기배출부를 이용한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에 적용한 증기배출부의 다른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의 또다른 실시예에 적용한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 또는 상방은 도 1을 기준으로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를 바닥 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지면에서 멀어지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하부 또는 하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내측은 도 1을 기준으로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를 수직하게 이등분한 중심선에 가까워지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외측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를 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1)는, 뜨거운 열기에도 손상되지 않고 열기를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1)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며 테두리를 상호열선접합 등을 통해 히트실링(Heat-sealing)되는 접합부(10)를 형성하고, 개구된 상부는 개폐용 지퍼(20)를 이용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발열부재(3)를 이용해 음식을 조리하되 발생하는 고온의 뜨거운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에 증기배출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1)를 제작하기 위한 재질이나 접합부(10), 발열부재(3) 및 접합부(10)는 통상의 공지된 구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1)는, 내부공간(S)에서 발생한 뜨거운 증기(H1)가 배출증기(H2)로 외부 배출될 때, 바닥 지면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부(30)를 형성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1)에 적용한 증기배출부(30)는, 절취선(31)과 절첩선(32)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술의 절취선(31)과 절첩선(32)에 따른 절취 또는 절첩에 따라 증기배출구(35)와 접힘부(36)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절취선(31)은 일 예로, 레이저를 이용한 가공에 따라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1)의 외표면에 시작점을 중심으로 설정의 각도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발열 파우치 재질의 두께를 녹이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절취선(31)은 절취선을 형성하기 위한 위치를 따라 절취가 용이하게 절취를 어렵게 하는 비닐 등의 보호재질을 제거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의 절취선(31)은 사용자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1)의 외표면에 점선 표시로 인쇄하여 표기함이 바람직하다.
도시에서는 일 예로, 이러한 절취선(31)을 바닥의 지면에 대해 수평된 직선의 형태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절취에 따라 후술의 증기배출구(35)가 지면 방향, 즉 하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면 다양한 각도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절취선(31)은 직선 또는 필요에 따라 곡선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절첩선(32)은 상술의 절취선(31)의 내측 시작점과 마주한 지점, 다시 말해 절취선(31)의 시작점과 동일 위치 또는 그 언저리 위치에서 하방향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절첩선(32)은 발열 파우치(1)를 사용자가 잡고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표시한 선이다.
한편, 일 예로, 필요에 따라 절첩선(32)을 형성함에 있어서 절취선(31)의 일예와 같이 레이저를 이용한 가공에 따라 발열 파우치 재질의 두께를 녹이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사용자가 접을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증기배출구(35)는 상술의 절취선(31)을 따라 발열 파우치(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취가 이루어질 경우, 절취선(31)의 형태에 따라 발열 파우치(1)가 절취된 부분이 개구됨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증기배출구(35)는 개구된 부분이 바닥의 지면을 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내부공간(S) 상의 뜨거운 증기를 외부에서 바닥 지면을 향한 하방향으로 배출한다.
한편, 접힘부(36)는 상술의 증기배출구(35)를 형성한 다음 절첩선(32)에 따른 발열 파우치(1)의 접힘에 의해 형성한다.
이때, 절첩선(32)을 따라 접혀지는 접힘부(36)의 파우치 측 단부는 접혀짐에 따라 발열 파우치(1)의 내부공간(S) 상에 증기차단벽(36-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증기차단벽(36-1)에 의해 내부공간(S) 상에 발생한 뜨거운 증기는 바로 증기배출구(35)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 순환을 한 다음 증기배출구(35)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증기에 의한 열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차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1)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전투식량으로 또는 야외에서 즉석으로 식품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발열부재(3)를 이용해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1)를 발열시킨다.
이때, 내부공간(S)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가 발열 파우치(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절취선(31)을 따라 절취가 이루어지고, 증기배출구(35)는 절취선(31)의 형태에 따라 바닥 지면을 향하는 하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절취된 발열 파우치(1)는 절첩선(32)을 따라 접어 내부공간(S) 상에 증기차단벽(36-1)을 형성한다.
발열부재(3)에 의한 수화반응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1)의 내부공간(S)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100℃ 전후의 뜨거운 내부 증기(H1)가 발생한다.
발생한 고온의 내부 증기(H1)는 잠겨진 지퍼(20)와 발열 파우치(1)의 실링되어 패쇄된 내부공간(S)에서 음식팩(2)의 음식을 가열 조리한다.
그리고, 내부 증기(H1)는 일측의 절취선(31)에 따라 개구된 증기배출부(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배출 증기(H2)는 증기배출구(35)가 지면 방향을 향함에 따라 지면의 바닥 하방향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 증기(H2)는 하방향으로 분출되면서 일부는 바닥을 거치거나 다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배출 증기(H2)는 하방향으로 배출되었다가 다시 상승하는 과정을 통해 차가운 외부 공기와 일련의 시간 동안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출 증기(H2)의 온도는 순간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한편, 뜨거운 증기는 증기배출구(35)를 통해 바닥 지면 방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고온의 증기에 의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투식량의 경우, 고온의 증기가 바닥 지면방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전술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한 위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 파우치(1)의 뜨거운 내부 증기(H1)는 내부공간(S)을 돌아 식품을 조리하면서 증기배출구(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내부공간 상의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일부의 뜨거운 내부 증기(H1)는 흐름에 따라 증기배출구(35) 측으로 향하다가 접힘부(36)에 의한 증기차단벽(36-1)에 부딪치게 된다.
이와 같이 증기차단벽(36-1)에 부딪친 내부 증기(H1)는 다시 내부 공간(S)의 내측 방향으로 돌아 순환하여 재차 식품을 가열하게 된다.
상술의 증기차단벽(36-1)에 의한 내부 증기(H1)의 재순환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1)의 열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한편, 재차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전투식량 발열 파우치(1)의 증기배출부(30)는, 절취선(31)을 따른 절취 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부위까지 발열 파우치가 절취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계라인부(33)를 더 형성한다.
다시 말해, 한계라인부(33)는, 절취선(31)을 넘은 절취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절취선(31)의 내측 시작점에 절취선(31)과 다른 각도와 설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한계라인부(33)는 발열 파우치(1)의 마주하는 내표면 부분을 부분적으로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한계라인부(33)는 발열 파우치(1)의 외표면에 절취가 어려운 부재를 겹쳐지게 덧붙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부재는 실리콘 실링재이거나 찢어지지 않는 필름지일 수 있으며, 힘을 가해도 절취되지 않는 재질이라면 다양한 부재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재차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1)는, 상술의 절취선(31)을 따른 절취가 용이하도록 절취선의 시작점과 대응하는 외측 접합부(10)의 타단에 홈 또는 절개 형태의 절취시작부(34)를 더 형성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를 통해 절취선(31)을 단일선으로 표시하였지만,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한 절취선(31)은 동일 시작점에서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며 다수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다수개의 절취선(31) 중 선택한 어느 하나의 절취선을 이용함에 따라 고온의 증기를 의도에 따라 각도를 가지는 특정 방향-원하는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1)는, 사용의 편이성을 높이면서 절첩선(32)을 따라 접어 형성한 접힘부(36)의 접힌 부분이 사용 시 펼쳐지지 않도록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형성한다.
일 실시예로, 도 6에서 상술의 고정부재는 접힘부(36)의 단부가 끼움공(42)을 통해 수용공간(41)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포켓(40)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7에서와 같이 상술의 고정부재는, 접힘부(36)의 단부를 접착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한 점착식 테이프(50)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1)는, 전투식량 등의 즉석으로 조리하는 식품을 발열부재(3)를 이용해 복원하거나 데울 경우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바닥 지면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부(30)를 형성함으로 고온의 증기에 의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전투식량의 경우 전투식량 조리간 전술적 행동(은폐 등)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증기를 바닥 지면 방향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적군에게 위치 노출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3 : 발열부재 10 : 접합부
20 : 지퍼 30 : 증기배출부
31 : 절취선 32 : 절첩선
33 : 한계라인부 34 : 절취시작부
35 : 증기배출구 36 : 접힘부
36-1 : 증기차단벽 S : 내부공간
H1 : 내부 증기 H2 : 배출 증기

Claims (7)

  1. 내부공간(S) 상의 발열부재(3)를 이용해 음식을 조리하되,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 배출하도록 일측에 증기배출부(30)를 구비한 즉석조리용 전투식량 발열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30)는,
    상기 발열 파우치의 외표면상 설정의 위치를 시작점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설정의 각도로 표시한 절취선(31)과,
    상기 절취선(31)의 내측 시작점과 마주한 지점에서 하방향으로 표시한 절첩선(32)과,
    상기 절취선(31)에 따른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절취에 의해 개구되어 형성되고, 내부공간(S) 상의 증기를 외부에서 하방향으로 배출하도록 하방향을 향하게 형성한 증기배출구(35)와,
    상기 증기배출구(35)를 형성한 후, 상기 절첩선(32)에 따른 발열 파우치의 접힘에 의해 내부공간(S)상에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증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증기차단벽(36-1)을 형성하는 접힘부(36)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30)는,
    상기 절취선(31)을 넘어 절취되지 않도록 절취선(31)의 시작점에 상기 절취선(31)과 다른 각도와 설정의 길이를 갖는 한계라인부(33)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라인부(33)는,
    상기 발열 파우치의 내표면을 접합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외표면에 부재를 덧붙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30)는,
    상기 절취선(31)의 타단에 홈 또는 절개된 절취시작부(34)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31)은,
    동일 시작점에서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며 다수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36)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접힘부(36)의 단부가 수용공간(41)에 끼워져 고정되는 포켓(40)이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한 점착식 테이프(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KR1020200024362A 2020-02-27 2020-02-27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KR102449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362A KR102449856B1 (ko) 2020-02-27 2020-02-27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362A KR102449856B1 (ko) 2020-02-27 2020-02-27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706A KR20210109706A (ko) 2021-09-07
KR102449856B1 true KR102449856B1 (ko) 2022-10-05

Family

ID=7779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362A KR102449856B1 (ko) 2020-02-27 2020-02-27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8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4576A (ko) 2022-10-19 2024-04-26 주식회사 스탠드팩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187A (ja) * 1998-08-26 2000-03-07 Aohata Corp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容器
JP2001328651A (ja) * 2000-05-19 2001-11-27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パウチ
KR101619434B1 (ko) 2015-04-03 2016-05-17 주식회사 쓰리스타 스팀방지구조의 전투식량 발열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406U (ko) 2009-03-17 2010-09-29 홍경애 휴대용 발열조리기구
KR200488246Y1 (ko) * 2016-12-30 2019-01-03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포장용 파우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187A (ja) * 1998-08-26 2000-03-07 Aohata Corp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容器
JP2001328651A (ja) * 2000-05-19 2001-11-27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パウチ
KR101619434B1 (ko) 2015-04-03 2016-05-17 주식회사 쓰리스타 스팀방지구조의 전투식량 발열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706A (ko)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856B1 (ko) 즉석조리용 발열 파우치
KR20190008319A (ko) 가열 조리기
ES2215033T3 (es) Bolsa y metodo para controlar el calentamiento de un alimento con energia de microondas.
KR101546498B1 (ko) 즉석 조리용 발열봉투
CN105121964B (zh) 除尽残留气体式便携式燃气灶
CN100519712C (zh) 一种具有点火功能的木炭收囊箱
JP7330483B2 (ja) 自動蒸気抜け機能付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体
KR200391612Y1 (ko) 가스버너용 접이식 바람막이
KR101619434B1 (ko) 스팀방지구조의 전투식량 발열팩
KR102409230B1 (ko) 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조리 파우치
KR101700854B1 (ko) 식품 포장용 이중봉투
JP2011115407A (ja) 食品加熱方法およびその加熱装置
KR101550575B1 (ko) 휴대용 음식물 가열 파우치
JP4072722B2 (ja) 調理機器の過熱防止装置
US20160040890A1 (en) Portable cooking stove
JP5327697B2 (ja) 紙カートン
KR20190125021A (ko) 휴대용 음식물 가열 파우치
CN109681870A (zh) 燃烧器及具有其的燃气灶具
KR101605854B1 (ko) 스틱형 절취수단이 구비된 봉투
KR101605851B1 (ko) 절취가 용이한 봉투
CN214370393U (zh) 一种营火架及其营火配件
KR200373421Y1 (ko) 일회용 취사용기
JP2017137111A (ja) 包装袋
TWI695696B (zh) 無煙燒烤爐
JPS5637491A (en) Heat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