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423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9423B1 KR102449423B1 KR1020170174836A KR20170174836A KR102449423B1 KR 102449423 B1 KR102449423 B1 KR 102449423B1 KR 1020170174836 A KR1020170174836 A KR 1020170174836A KR 20170174836 A KR20170174836 A KR 20170174836A KR 102449423 B1 KR102449423 B1 KR 1024494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ll
- conductor
- connector
- inner conductor
- connecting 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내부도체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제조비용이 싸고 간이한 구조의 내부도체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전기 커넥터는, 통모양 셀의 일단측에 제1커넥터가, 타단측에 제2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다. 제1커넥터는, 셀의 일단측의 내부에 형성된 통모양의 제1외부도체와, 제1외부도체의 내측에 제1절연부재를 사이에 두고 제1외부도체와 동축으로 형성된 중공의 제1내부도체를 구비한다. 제2커넥터는, 셀의 타단측의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1외부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통모양의 제2외부도체와, 제2외부도체의 내측에 제2절연부재를 사이에 두고 제2외부도체와 동축으로 형성된 중공의 제2내부도체를 구비한다. 제1내부도체와 제2내부도체는, 동축으로 위치하도록 도전성의 연결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연결편은 셀내에서 수지를 경화시킨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내부도체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제조비용이 싸고 간이한 구조의 내부도체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전기 커넥터는, 통모양 셀의 일단측에 제1커넥터가, 타단측에 제2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다. 제1커넥터는, 셀의 일단측의 내부에 형성된 통모양의 제1외부도체와, 제1외부도체의 내측에 제1절연부재를 사이에 두고 제1외부도체와 동축으로 형성된 중공의 제1내부도체를 구비한다. 제2커넥터는, 셀의 타단측의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1외부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통모양의 제2외부도체와, 제2외부도체의 내측에 제2절연부재를 사이에 두고 제2외부도체와 동축으로 형성된 중공의 제2내부도체를 구비한다. 제1내부도체와 제2내부도체는, 동축으로 위치하도록 도전성의 연결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연결편은 셀내에서 수지를 경화시킨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電氣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동축 케이블(同軸 cable) 등의 접속에 사용되는 동축 커넥터(同軸 connetor)를 이종(異種)의 동축 커넥터로 변환(變換)하는 변환용의 전기 커넥터(변환 어댑터)(이하, 간단하게 전기 커넥터라고도 한다)는 이미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는, 2개의 동축 커넥터가 서로 역방향으로 연속하도록 설치되고, 일방의 동축 커넥터에 접속상대(接續相對)의 커넥터가 접속되고, 다른 일방의 동축 커넥터에 다른 접속상대의 커넥터가 접속되게 되어 있다. 연속하도록 설치된 각 동축 커넥터는 외부도체(外部導體)와 내부도체(內部導體)를 구비하고, 외부도체와 내부도체는 절연부재(絶緣部材)를 사이에 두고 절연되어 있다. 또한 연속하도록 설치된 2개의 동축 커넥터의 외부도체 상호간 및 내부도체 상호간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동축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접속되었을 때에, 동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외부도체 상호간 및 내부도체 상호간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로서, 일방의 동축 커넥터의 내부도체와 타방의 동축 커넥터의 내부도체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에는, 일방의 동축 커넥터의 내부도체가 원기둥형상이며, 타방의 동축 커넥터의 내부도체가 원통형상인 구성의 커넥터 변환용의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의 내부도체는 동일재료로 형성된 일체물(一體物)로서, 원통모양의 외부도체의 내측에 외부도체와 절연된 상태에서 동축(同軸)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내부도체의 제조비용이 높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내부도체는, 1개의 원주상 부재(圓柱狀部材)의 일단측을 일방의 동축 커넥터의 내부도체로서 구성하고, 타단측을 다른 일방의 동축 커넥터의 내부도체로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대 커넥터의 내부도체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이 원주상 부재의 단부(端部)에 삽입공(揷入孔) 등이 축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내부도체는, 강도는 비교적 강하지만 절삭가공(切削加工) 또는 다이캐스팅(die casting)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었으므로 제조비용이 높아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도체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제조비용이 싸고 간이한 구조의 내부도체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모양의 셀의 일단측에 제1커넥터가 형성되고, 당해 셀의 타단측에 제2커넥터가 형성된 동축 커넥터로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셀의 상기 일단측의 내부에 형성된 통모양의 제1외부도체와, 상기 제1외부도체의 내측에 제1절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외부도체와 동축으로 형성된 중공의 제1내부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셀의 상기 타단측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외부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통모양의 제2외부도체와, 상기 제2외부도체의 내측에 제2절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외부도체와 동축으로 형성된 중공의 제2내부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내부도체와 상기 제2내부도체는, 동축으로 위치하도록 도전성의 연결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은 상기 셀내에서 수지를 경화시킨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중공의 제1내부도체와 중공의 제2내부도체가 동축으로 위치하도록 도전성의 연결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종래와 같이 속이 찬 원주상 부분이 없는 간이한 구성이다. 이 때문에 금속판재의 절곡가공(프레스 가공) 등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고, 절삭가공이나 다이캐스팅을 사용하는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연결편이 셀내에서 수지를 경화시킨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부도체 중에서 비교적 강도가 약한 연결편의 부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도체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제조비용이 싸고 간이한 구조의 내부도체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고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1내부도체, 상기 제2내부도체 및 상기 연결편은, 일체로서 1매의 금속제 판재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종래와 같이 절삭가공 또는 다이캐스팅에 의하지 않고, 1매의 금속제 판재의 절곡가공(프레스 가공) 등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고, 종래보다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셀의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일면에 상기 셀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홈에 수용된 밀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셀의 통 내부의 공간을 기밀적(氣密的)으로 또는 액체가 새지 않게 이분(二分)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셀내에서 일방의 커넥터측에서 타방의 커넥터측으로 기체 또는 액체상태의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플랜지와 당해 플랜지를 부착할 수 있는 패널과의 간격으로부터 기체 또는 액체상태의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1외부도체의 최대외경 및 상기 제1절연부재의 최대외경이, 상기 셀의 상기 타단측의 내부의 최소내경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셀의 일방의 개구측(타단측)로부터 모든 구성요소를 조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립 도중에 셀을 뒤집어 놓는 등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도체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제조비용이 싸고 간이한 구조의 내부도체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b)는 (a)의 전기 커넥터를 상하로 뒤집어 놓아서 본 사시도이다.
도2는 도1(a)의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a)는 도3에 나타내는 셀의 사시도이며, (b)는 그 단면도이다.
도5는, (a)는 도3에 나타내는 제1외부도체의 사시도이며, (b)는 그 단면도이다.
도6은, (a)는 도3에 나타내는 제1절연부재의 사시도이며, (b)는 그 단면도이다.
도7은, (a)는 도3에 나타내는 제2외부도체의 사시도이며, (b)는 그 단면도이다.
도8은, (a)는 도3에 나타내는 제2절연부재의 사시도이며, (b)는 그 단면도이다.
도9는, (a)는 도3에 나타내는 내부도체의 사시도이며, (b)는 (a)의 A화살표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며, (c)는 (a)의 B화살표 방향에서 본 저면도이며, (d)는 (a)의 C화살표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e)는 (d)의 S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10은, (a)는 도9에 나타내는 내부도체의 측면도이며, (b)는 (a)의 X-X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11은, (a)는 도3에 나타내는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며, (b)는 그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설명도이다.
도2는 도1(a)의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a)는 도3에 나타내는 셀의 사시도이며, (b)는 그 단면도이다.
도5는, (a)는 도3에 나타내는 제1외부도체의 사시도이며, (b)는 그 단면도이다.
도6은, (a)는 도3에 나타내는 제1절연부재의 사시도이며, (b)는 그 단면도이다.
도7은, (a)는 도3에 나타내는 제2외부도체의 사시도이며, (b)는 그 단면도이다.
도8은, (a)는 도3에 나타내는 제2절연부재의 사시도이며, (b)는 그 단면도이다.
도9는, (a)는 도3에 나타내는 내부도체의 사시도이며, (b)는 (a)의 A화살표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며, (c)는 (a)의 B화살표 방향에서 본 저면도이며, (d)는 (a)의 C화살표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e)는 (d)의 S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10은, (a)는 도9에 나타내는 내부도체의 측면도이며, (b)는 (a)의 X-X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11은, (a)는 도3에 나타내는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며, (b)는 그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1)는, 통모양의 도체로 이루어지는 셀(2)의 일단측에 제1커넥터(10)(SMB 커넥터)가 형성되고, 당해 셀(2)의 타단측에 제2커넥터(20)(FAKRA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기 커넥터(1)는, 부착용의 플랜지(6)를 셀(2)의 외주에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커넥터(10)가 SMB 커넥터이고, 제2커넥터(20)가 FAKRA 커넥터이지만, 커넥터의 종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종류의 커넥터를 채용할 수 있다.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는, 이종(異種) 혹은 동종(同種)의 커넥터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커넥터(10)가 피메일형 커넥터이고, 제2커넥터(20)가 메일형 커넥터이지만, 메일형/피메일형의 조합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커넥터(10)가 메일형 커넥터이고, 제2커넥터(20)가 피메일형 커넥터이더라도 좋고, 양 커넥터가 메일형 혹은 피메일형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1)는, 예를 들면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량탑재 카메라의 리어 케이스(30)에 나사(33)에 의하여 부착할 수 있다. 도12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1)는, 제1커넥터(10)가 리어 케이스(30)내의 기판(31)상에 설치된 상대 커넥터(32)와 결합하고 있다. 제2커넥터(20)는, 동축 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되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게 되어 있다. 이 동축 케이블은, 전자제어유닛(ECU) 등의 타기기에 접속된다. 이렇게 하여 전기 커넥터(1)는, 차량탑재 카메라측의 기판(31)상의 배선과, 타기기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을 커넥터 결합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커넥터(10)는, 통모양의 제1외부도체(11)와, 중공의 제1내부도체(13)와, 제1외부도체(11)와 제1내부도체(13)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양자를 절연하는 제1절연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외부도체(11)는, 셀(2)의 일단측(개구(2h)측)의 내부에 셀(2)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도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1내부도체(13)는, 제1외부도체(11)의 내측에 제1외부도체(11)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커넥터(20)는, 통모양의 제2외부도체(21)와, 중공의 제2내부도체(23)와, 제2외부도체(21)와 제2내부도체(23)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양자를 절연하는 제2절연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외부도체(21)는, 셀(2)의 타단측(개구(2i)측)의 내부에, 셀(2)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도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제2외부도체(21)는, 셀(2)을 통하여 제1외부도체(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외부도체(21)는, 제1외부도체(11)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내부도체(23)는, 제2외부도체(21)의 내측에 제2외부도체(21)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설명한다.
(셀)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셀(2)은, 금속 등의 도전성을 구비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통모양의 부품으로서, 통부의 일단에 개구(2h)를, 타단에 개구(2i)를 구비하고 있다. 셀(2)은, 개구(2h)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통부(2a), 제2통부(2b), 제3통부(2c) 및 제4통부(2d)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1∼제4통부(2a, 2b, 2c, 2d)의 각 내경을 각각 D1, D2, D3, D4라고 하면, D1>D2이고 또한 D2<D3<D4의 관계를 충족시킨다. 즉 제2통부(2b)와 제3통부(2c)의 사이에 단차부(2f)가 형성되고, 제3통부(2c)와 제4통부(2d)의 사이에 단차부(2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통부(2a)와 제2통부(2b)의 사이에는 통 내측으로 돌출한 고리모양 볼록부(2e)가 형성되어 있다.
셀(2)의 통 외주에는 플랜지(6)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6)에는, 나사머리 수용부(6b)가 있는 나사구멍(6a)이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6)의 일면(개구(2h)측의 면)에는, 셀(2)을 둘러싸도록 제1통부(2a)의 외주에 근접해서 고리모양의 홈(6c)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6c)내에, 고리모양 실링부재의 일례로서의 O링(7)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셀(2)은 통 외면에 록부(8)를 구비한다. 록부(8)는, 상대 커넥터측에 형성된 록수용부와 결합하여, 상대 커넥터와 제2커넥터(20)의 결합을 고정시키게 되어 있다.
(제1외부도체)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외부도체(11)는, 통체(11a)를 구비한다. 통체(11a)의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통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11c)가,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1c)가 셀(2)의 고리모양 볼록부(2e)에 접촉함으로써 제1외부도체(11)를 셀(2)내의 적당한 장소에 배치,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외부도체(11)의 통체(11a)에는, 상단부를 제외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분할홈(11e)이,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한 2개의 분할홈(11e)의 사이에 있는 부분이, 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변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외부도체(11)의 통체(11a)의 하단부에는, 통 내측으로 돌출한 돌출부(11f)가, 이웃한 2개의 분할홈(11e)의 사이에 있는 부분에 1개씩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통체(11a)가, 제1커넥터(10)의 상대 커넥터의 외부도체와 더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절연부재)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절연부재(12)는, 동 도면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대외경(大外徑)의 원기둥부(12a)와, 중외경(中外徑)의 원기둥부(12b)와, 소외경(小外徑)의 원기둥부(12c)를 구비하고 있다. 즉 원기둥부(12a, 12b, 12c)의 각 외경을 각각 L1, L2, L3이라고 하면, L1>L2>L3의 관계를 충족시킨다. 또한 제1절연부재(12)는, 그 중앙에 축방향의 관통구멍(12d)이 형성되고, 그 안에 제1내부도체(13)를 수용하게 되어 있다.
(제2외부도체)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외부도체(21)는, 원통모양부(21a)와, 그 하단에서 통 외측으로 돌출시킨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고리모양 볼록부(2lb)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외부도체(21)의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구멍(21c)이 형성되어 있다. 고리모양 볼록부(2lb)의 외주면에는, 선모양의 볼록부(21d)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외부도체(21)가 셀(2)내에 조립되었을 때에, 고리모양 볼록부(2lb)가 셀(2)과 더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절연부재)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절연부재(22)는, 원기둥부(22a)와, 그 하단에서 통 외측으로 돌출시킨 고리모양 볼록부(22b)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절연부재(22)의 중앙에는, 동 도면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내경의 구멍부(22c)와 소내경의 구멍부(22d)가 연달아 접속하여 형성되어 제2절연부재(22)를 관통하고 있다. 이들의 구멍부(22c) 및 구멍부(22d)에 제2내부도체(23)가 수용된다.
(내부도체)
도9 및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도체(3)는, 제1커넥터(10)측의 제1내부도체(13)와, 제2커넥터(20)측의 제2내부도체(2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제1내부도체(13)와 제2내부도체(23)는, 동축으로 위치하도록 도전성의 연결편(3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내부도체(13), 제2내부도체(23) 및 연결편(3a)은, 일체로서 1매의 금속제 판재를 구부려서 성형한 일체 성형품이다.
도9 및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내부도체(13)는, 원통모양부(13c)의 하단에 피메일형 콘택트(13a)가 형성되어 있다. 피메일형 콘택트(13a)는, 축방향으로 분할홈(13b)이 2개 형성되고, 피메일형 콘택트(13a)의 선단측(개구부(13e)측)이 내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피메일형 콘택트(13a)의 안에서 상대 커넥터의 메일형 콘택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9 및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내부도체(23)는, 메일형 콘택트로서 기능하는 소경 원통부(23b)와, 임피던스 조정용의 대경 원통부(23d)를 구비하고 있다. 소경 원통부(23b)의 선단에는, 첨두부(尖頭部)(23a)가 형성되어 있다. 소경 원통부(23b)와 대경 원통부(23d)는, 경사단차부(23c)를 사이에 두고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소경 원통부(23b) 및 첨두부(23a)가, 메일형 콘택트로서 상대 커넥터의 피메일형 콘택트와 결합하게 되어 있다.
도9(a) 및 도1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편(3a)은, 판모양 또는 띠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제1내부도체(13)의 상단부와 제2내부도체(23)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편(3a)은, 제1내부도체(13)(원통모양부(13c))의 통벽의 상단 전체 둘레의 일부분과, 제2내부도체(23)(대경 원통부(23d))의 통벽의 하단 전체 둘레의 일부분을 연결하고 있다. 즉 연결편(3a)은, 제1 및 제2내부도체(13, 23)의 축심을 벗어나서 형성되어 있다.
도1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편(3a)은, 축심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축심으로부터 벗어나서 형성된 연결편(3a)를 경사 시킴으로써, 제1내부도체(13)의 지름과 제2내부도체(23)의 지름이 서로 다른 경우이더라도 양자를 동축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9(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내부도체(13)의 상부에는, 축방향과 수직인 방향(이음새(3e)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판모양 볼록편(3b)이 형성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1)를 조립할 때에, 이 판모양 볼록편(3b)을 제1절연부재(12)의 상면(12e)에 접촉시켜서 고정부재(4)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셀(2)내의 적절한 장소에 내부도체(3)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9(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내부도체(13)의 상부에 있어서, 원형의 구멍(3d)으로부터 잘라내어진 뚜껑(3c)이, 제1내부도체(13)의 원통모양부(13c)의 상단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커넥터(1)를 조립할 때에, 고정부재(4)을 형성하는 수지가 원통모양부(13c)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1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내부도체(13)의 원통모양부(13c)의 측벽에는 슬릿부(13d)가 형성되고, 슬릿부(13d)의 상부가 외측으로 약간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립시에, 제1절연부재(12)의 관통구멍(12d)에 삽입된 제1내부도체(13)가, 관통구멍(12d)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져 있다.
(고정부재)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4)는 셀(2)내에서 절연성의 수지를 경화한 원주상 부재로서, 내부도체(3)의 연결편(3a)의 주위를 포위해서 연결편(3a)를 셀(2)내에 고정하고 또한 연결편(3a)를 보강하고 있다. 또한 고정부재(4)는, 하면(4b)측에 오목부(4d)를 구비하고, 오목부(4d)내에 내부도체(3)의 판모양 볼록편(3b)을 수용하여 고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재(4)는, 상면(4a)측에 고리모양 오목부(4c)를 구비하고, 고리모양 오목부(4c)내에 제2내부도체(23)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하게 되어 있다. 고정부재(4)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셀(2)내에 대한 충전시에 적절한 유동성을 나타내고, 경화후에는 강도, 밀봉성 등이 우수한 수지(예를 들면 에폭시계 수지)이나 각종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재(4)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셀(2)의 통 내부의 공간을 기밀하게 또는 액체가 새지 않게 이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는 셀(2)내에서 전기적으로는 접속되어 있지만, 고정부재(4)에 의하여 기밀적(氣密的)으로 또는 액체가 새지 않도록 분리(실링)되어 있다.
또한 제1커넥터(10)의 구성요소인 제1외부도체(11) 및 제1절연부재(12)는, 그들의 최대외경이 각각 제2커넥터(20)측의 셀(2)의 내부의 최소내경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외부도체(11)의 돌출부(11c)에 있어서의 외경(W1)(도5 참조)과, 제1절연부재(12)의 원기둥부(12a)에 있어서의 외경(W2)(도6 참조)이, 셀(2)의 제3통부(2c) 및 제4통부(2d)의 내경보다 작아져 있다. 요는, 제1커넥터(10)의 구성요소를 셀(2)의 제2커넥터(20)측의 개구(2i)로부터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제1커넥터(10)의 구성요소의 외경과 셀(2)의 통 내부의 내경을 설정하면 좋다.
다음에 도3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1)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조립절차는 다음과 같다.
(1)우선, 제1외부도체(11)를 셀(2)의 제2커넥터(20)측의 개구(2i)로부터 삽입하여, 제1외부도체(11)의 돌출부(11c)의 하면(11d)을 셀(2)의 고리모양 볼록부(2e)의 상면에 접촉시켜서 고정한다.
(2)계속하여 제1절연부재(12)를 셀(2)의 제2커넥터(20)측의 개구(2i)로부터 삽입하여, 제1절연부재(12)의 원기둥부(12b) 및 원기둥부(12c)를 제1외부도체(11)의 내부에 수용하고, 또한 원기둥부(12a)의 하면(12f)을 제1외부도체(11)의 상단면(1lb)에 접촉시켜서 고정한다.
(3)계속하여 내부도체(3)의 제1내부도체(13)를, 셀(2)의 제2커넥터(20)측의 개구(2i)로부터 제1절연부재(12)의 관통구멍(12d)에 삽입하여, 내부도체(3)의 판모양 볼록편(3b)의 하단면을, 제1절연부재(12)의 상면(12e)에 접촉시켜서 고정한다.
(4)계속하여 제1절연부재(12)의 상면(12e)상에, 유동성(流動性)의 수지를 필요량 주입하여, 내부도체(3)의 연결편(3a), 판모양 볼록편(3b) 등이 수지에 침수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수지를 경화시킨다. 제1내부도체(13)의 상단 개구부는 뚜껑(3c)에 의하여 막혀져 있으므로, 수지의 주입시에 제1내부도체(13)의 중공 내부로 수지는 침입하지 않는다.
(5)계속하여 제2절연부재(22)를, 셀(2)의 제2커넥터(20)측의 개구(2i)로부터 삽입하여, 제2절연부재(22)의 고리모양 볼록부(22b)의 하면(22e)을, 셀(2)의 단차부(2f)의 상면 및 수지가 경화된 고정부재(4)의 상면(4a)에 접촉시켜서 고정한다. 이 때에, 내부도체(3)의 제2내부도체(23)를, 제2절연부재(22)의 소내경의 구멍부(22d)에 삽입하고, 제2내부도체(23)의 소경 원통부(23b)(메일형 콘택트)가 제2절연부재(22)의 대내경의 구멍부(22c)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한다.
(6)마지막으로, 제2외부도체(21)을, 셀(2)의 제2커넥터(20)측의 개구(2i)로부터 삽입하고, 제2외부도체(21)의 고리모양 볼록부(2lb)의 하면(21e)을, 제2절연부재(22)의 고리모양 볼록부(22b)의 상면(22f)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제2외부도체(21)의 고리모양 볼록부(2lb)의 측면을, 셀(2)의 제3통부(2c)의 내주면에 접촉시켜서 고정한다. 이 때에, 제2외부도체(21)의 관통구멍(21c)에, 제2절연부재(22)의 원기둥부(22a)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상으로 조립이 완료한다.
또한, 전기 커넥터(1)를 케이스 등에 부착하는 때에는, 플랜지(6)의 홈(6c)에 O링(7)을 장착해 둔다. 또한 상기한 조립절차에서는, 각 구성요소를 순차적으로 셀(2)에 조립하여 갔지만, 복수의 구성요소를 조립한 상태에서 셀(2)에 삽입하여 조립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제1외부도체(11)에 제1절연부재(12)를 조립한 상태에서, 셀(2)에 삽입하여 조립하여도 좋다.
다음에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1)는, 중공의 제1내부도체(13)와 중공의 제2내부도체(23)가 동축으로 위치하도록 도전성의 연결편(3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속이 찬 원주상 부분이 없이 간이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금속제 판재의 절곡가공(프레스 가공) 등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고, 절삭가공이나 다이캐스팅을 사용하는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1)는, 연결편(3a)이 셀(2)내에서 수지를 경화한 고정부재(4)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부도체(3) 중에서 비교적 강도가 약한 연결편(3a)의 부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1)는, 제조비용이 싸고 간이한 구조의 내부도체(3)로 하면서도, 내부도체(3)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1)에서는, 제1내부도체(13), 제2내부도체(23) 및 연결편(3a)은, 일체로서 1매의 금속제 판재로 성형한 일체 성형품이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는, 종래와 같이 절삭가공 또는 다이캐스팅에 의하지 않고, 1매의 금속제 판재의 절곡가공(프레스 가공) 등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고, 종래부터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1)는, 셀(2)의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6)와, 플랜지(6)의 일면에 셀(2)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홈(6c)에 수용된 O링(7)을 구비하고, 고정부재(4)는 셀(2)의 통 내부의 공간을 기밀하게 또는 액체가 새지 않게 이분하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1)는, 셀(2)내로 일방의 커넥터측에서 타방의 커넥터측으로 기체 또는 액체상태의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플랜지(6)와 당해 플랜지(6)를 부착할 수 있는 패널(리어 케이스(30)등)과의 간격으로부터 기체 또는 액체상태의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1)에서는, 제1외부도체(11)의 최대외경 및 제1절연부재(12)의 최대외경이, 셀(2)의 타단측의 내부의 최소내경 이하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는, 셀(2)의 일방의 개구(2i)측(타단측)로부터 모든 구성요소를 조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립 도중에 셀(2)을 뒤집어 놓는 등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다른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셀(2)이 사용되고 있지만,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성의 셀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1외부도체(11)와 제2외부도체(2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도전성의 접속부재를 설치할지, 또는 제1외부도체(11)와 제2외부도체(21)를 일체물로서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도체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제조비용이 싸고 간이한 구조의 내부도체를 구비한다고 하는 효과를 구비하여 전기 커넥터의 전반에 유용하다.
1 : 전기 커넥터
2 : 셀
3 : 내부도체
3a : 연결편
3b : 판모양 볼록편
4 : 고정부재
6 : 플랜지
7 : O링(고리모양 밀봉부재)
8 : 록부
10 : 제1커넥터
11 : 제1외부도체
12 : 제1절연부재
13 : 제1내부도체
20 : 제2커넥터
21 : 제2외부도체
22 : 제2절연부재
23 : 제2내부도체
30 : 리어 케이스
31 : 기판
32 : 상대 커넥터
2 : 셀
3 : 내부도체
3a : 연결편
3b : 판모양 볼록편
4 : 고정부재
6 : 플랜지
7 : O링(고리모양 밀봉부재)
8 : 록부
10 : 제1커넥터
11 : 제1외부도체
12 : 제1절연부재
13 : 제1내부도체
20 : 제2커넥터
21 : 제2외부도체
22 : 제2절연부재
23 : 제2내부도체
30 : 리어 케이스
31 : 기판
32 : 상대 커넥터
Claims (4)
- 통모양의 셀의 일단측에 제1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셀의 타단측에 제2커넥터가 형성된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셀의 상기 일단측의 내부에 형성된 통모양의 제1외부도체와, 상기 제1외부도체의 내측에 제1절연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외부도체와 동축으로 형성된 중공의 제1내부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셀의 상기 타단측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외부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통모양의 제2외부도체와, 상기 제2외부도체의 내측에 제2절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외부도체와 동축으로 형성된 중공의 제2내부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내부도체와 상기 제2내부도체는, 동축으로 위치하도록 도전성의 연결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은 상기 셀내에서 수지를 경화시킨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내부도체, 상기 제2내부도체 및 상기 연결편은, 일체로서 1매의 금속제 판재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고,
상기 연결편은, 상기 제1내부도체의 통벽의 상단 전체 둘레의 일부분과, 상기 제2내부도체의 통벽의 하단 전체 둘레의 일부분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편은 축심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일면에 상기 셀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홈에 수용된 밀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셀의 통 내부의 공간을 기밀하게 또는 액체가 새지 않게 이분(二分)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부도체의 최대외경 및 상기 제1절연부재의 최대외경이, 상기 셀의 상기 타단측의 내부의 최소내경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164125 | 2017-08-29 | ||
JP2017164125A JP6565990B2 (ja) | 2017-08-29 | 2017-08-29 | 電気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4550A KR20190024550A (ko) | 2019-03-08 |
KR102449423B1 true KR102449423B1 (ko) | 2022-09-29 |
Family
ID=65514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4836A KR102449423B1 (ko) | 2017-08-29 | 2017-12-19 | 전기 커넥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565990B2 (ko) |
KR (1) | KR102449423B1 (ko) |
CN (1) | CN10942821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37565B (zh) * | 2020-03-19 | 2024-06-18 |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 线缆连接器、面板连接器、电路板连接器和连接器组件 |
EP4343975A1 (en) | 2021-05-19 | 2024-03-27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camera module, and assembly method |
CN113540880B (zh) * | 2021-07-09 | 2024-03-22 |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 线缆组件及摄像机 |
JP7227546B1 (ja) | 2022-03-07 | 2023-02-22 | 山一電機株式会社 | コネクタ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86422A (ja) * | 2009-10-14 | 2011-04-2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同軸コネクタ |
KR101189670B1 (ko) * | 2011-04-27 | 2012-10-11 | (주)기가레인 | 동축 케이블 연결용 커텍터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490133B2 (de) * | 1964-02-18 | 1971-01-14 | Omni Spectra Inc , Detroit, Mich (VStA) | Koaxial Kupplungsstuck |
JPS5817787U (ja) * | 1981-07-28 | 1983-02-03 | 昭和無線工業株式会社 | 接栓アダプタ |
TWI241757B (en) | 2003-05-16 | 2005-10-11 | Parry Chen | RF coaxial conductor |
CN101867134A (zh) * | 2010-03-23 | 2010-10-20 | 贵州航天电器股份有限公司 | 三同轴转接接触件 |
CN203660214U (zh) * | 2013-12-13 | 2014-06-18 | 陕西华达通讯技术有限公司 | 高速高频射频连接器 |
CN205376800U (zh) * | 2015-12-21 | 2016-07-06 |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车载线缆组件连接器 |
-
2017
- 2017-08-29 JP JP2017164125A patent/JP6565990B2/ja active Active
- 2017-12-19 KR KR1020170174836A patent/KR10244942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2-27 CN CN201711441804.5A patent/CN109428217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86422A (ja) * | 2009-10-14 | 2011-04-2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同軸コネクタ |
KR101189670B1 (ko) * | 2011-04-27 | 2012-10-11 | (주)기가레인 | 동축 케이블 연결용 커텍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4550A (ko) | 2019-03-08 |
JP2019040833A (ja) | 2019-03-14 |
JP6565990B2 (ja) | 2019-08-28 |
CN109428217B (zh) | 2020-06-09 |
CN109428217A (zh) | 2019-03-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49423B1 (ko) | 전기 커넥터 | |
KR101754140B1 (ko) | 기밀형 동축 커넥터 | |
US7976341B2 (en) | Shielded conn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US7153161B2 (en) | Coaxial connector | |
US10069253B2 (en) | Filter and radio frequency coaxial connector | |
JP6092237B2 (ja) | 遮蔽された差込みコネクタ及び遮蔽された差込みコネクタを製造する方法 | |
JP6695350B2 (ja) | 屈曲プラグ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 |
US4116521A (en) | Miniature universal connector module | |
CN104781990A (zh) | 射频隔离电容耦合连接器 | |
EP3440742B1 (en) | Angled coaxial connectors for receiving electrical conductor pins having different sizes | |
KR102433125B1 (ko) | 모듈용 커넥터 | |
KR101971944B1 (ko) | L형 동축 커넥터 | |
US20150118897A1 (en) | Coaxial cable and connector with capacitive coupling | |
US20240235104A1 (en) | Connector | |
JP2019186022A (ja) | 防水カバー及びこれを備えた充電コネクタ | |
CN205231291U (zh) | 同轴连接器 | |
US20230299537A1 (en) | Rubber plug unit and connector | |
CN108565652B (zh) | 一种低成本螺纹连接射频同轴连接器 | |
KR101204416B1 (ko) | 케이블 콘넥터 | |
CN213460181U (zh) | 一种带限位补偿的40g毫米波连接器 | |
JP2006114266A (ja) | 丸型シールドコネクタ | |
US20230146471A1 (en) | Sealing device and underwater machinery equipment | |
US20240079815A1 (en) | Universal housing for covering contact elements | |
CN105140682A (zh) | 同轴连接器 | |
JPH09135085A (ja) | ケースの防水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