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601B1 -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 - Google Patents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601B1
KR102448601B1 KR1020220028177A KR20220028177A KR102448601B1 KR 102448601 B1 KR102448601 B1 KR 102448601B1 KR 1020220028177 A KR1020220028177 A KR 1020220028177A KR 20220028177 A KR20220028177 A KR 20220028177A KR 102448601 B1 KR102448601 B1 KR 102448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coating layer
antibacterial
thin film
film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민수
김효정
이수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쉴드원
(주)투템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쉴드원, (주)투템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쉴드원
Priority to KR1020220028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를 필름 형태로 제작하여 다양한 물품, 특히 가구의 보드에 쉽게 접착하여, 별도의 추가 소독 없이도 손길이 많이 닿는 보드의 표면에 인체에 유해한 균이나 전염성을 갖는 바이러스를 사멸시킬 수 있게 하는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는, 필름 기재; 상기 필름 기재의 표면에 코팅된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이 포함된 멸균 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멸균 코팅층은, 상기 필름 기재의 표면에 하드 코팅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박막코팅층(221)과, 상기 박막코팅층(221)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도포된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인 HA 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SURFACE FILM WITH ANTIBACTERIAL AND ANTIVIRAL, MANUFACTURING METHOD THEROF, FURNI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를 필름 또는 시트 형태로 제작하여 다양한 물품, 특히 가구의 보드에 쉽게 접착하여, 별도의 추가 소독 없이도 손길이 많이 닿는 보드의 표면에 인체에 유해한 균이나 전염성을 갖는 바이러스를 사멸시킬 수 있게 하는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항균 기능을 갖는 다양한 물품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 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기본적인 항균 기능에 더해 항바이러스 기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사람의 손길이 많이 닿는 가구, 예를 들어 책상의 경우 코로나 19 등의 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 기능이 약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별도의 소독제를 휴대하여 책상을 사용하기 전후로 상판부 등을 소독 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들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책상 등의 경우, 대부분 책상의 상판부에 손을 대고 사용하기 때문에, 코로나 19 등과 같은 전염병을 발병시키는 바이러스를 쉽게 옮길 수 있으며, 이는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기본적인 항균 기능에 더해 항바이러스성 기능이 우수한 제품의 개발이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름 기재의 표면에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이 포함된 멸균 코팅층이 코팅된 필름 형태의 가구 표면재를 가구의 보드에 접착하여, 별도의 추가 소독 없이도 손길이 많이 닿는 보드의 표면에 인체에 유해한 균이나 전염성을 갖는 바이러스를 사멸시킬 수 있게 하는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는,
필름 기재;
상기 필름 기재의 표면에 코팅된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이 포함된 멸균 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멸균 코팅층은, 상기 필름 기재의 표면에 하드 코팅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박막코팅층(221)과, 상기 박막코팅층(221)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도포된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인 HA 용액의 HA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의 제조 방법은,
필름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필름 기재의 표면에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이 포함된 멸균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멸균 코팅액은 상기 필름 기재의 표면 보호를 위한 하드 코팅액과,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인 HA 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를 이용한 가구는,
가구 본체; 및
상기 가구 본체의 보드 표면에 접착되는 가구 표면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구 표면재는,
필름 기재와,
상기 필름 기재의 표면에 코팅된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이 포함된 멸균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멸균 코팅층은, 상기 필름 기재의 표면에 하드 코팅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박막코팅층(221)과, 상기 박막코팅층(221)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도포된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인 HA 용액의 HA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를 이용한 가구에서,
상기 가구 본체는 상기 가구 표면재의 접착 전 상기 보드의 표면에 도포된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는,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이 포함된 멸균 코팅층을 필름 형태로 제공하여, 다양한 가구의 보드 표면에 접착함으로써, 책상, 테이블, 수납 가구 등과 같이 각종 균 및 바이러스를 옮기기 쉬운 가구에 대한 별도의 추가 소독 없이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필름 형태의 가구 표면재를 채택함에 따라 이를 다양한 사이즈 및 모양으로 재단하여 저비용으로 쉽게 생산할 수 있으며,
가구 표면재의 접착 전 보드의 표면에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면서 가구 표면재로 인쇄층, 즉 가구의 표면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보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보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멸균 코팅층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및 가구 표면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화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멸균 코팅층의 시험 성적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20)는,
필름 기재(21);
상기 필름 기재(21)의 표면에 코팅된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이 포함된 멸균 코팅층(22);를 포함하되,
상기 멸균 코팅층(22)은, 상기 필름 기재(21)의 표면에 하드 코팅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박막코팅층(221)과, 상기 박막코팅층(221)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도포된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인 HA 용액의 HA 입자(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구 표면재(20)는 소정 사이즈의 필름 형태로써, PET 등 얇은 두께의 필름 기재(21) 위에 하드코팅액을 도포한 후, 그 위에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멸균 코팅층(22)을 형성한다.
이러한 가구 표면재(20)는 UV 접착제(23)를 통해 가구의 보드(10) 표면에 접착되어, 가구의 표면을 보호하면서 가구의 표면에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가구의 표면에 잔존하는 각종 균 및 바이러스를 수분 내에 사멸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20)의 제조방법은,
필름 기재(21)를 준비하는 단계(S100);
상기 필름 기재(21)의 표면에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이 포함된 멸균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되,
상기 멸균 코팅액은 상기 필름 기재(21)의 표면 보호를 위한 하드 코팅액과,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인 HA 용액의 HA 입자(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 기재(21)는 PET 소재가 사용되며, 얇은 두께(0.8~1.2T)로 소정 사이즈를 갖도록 재단된다.
그리고 이렇게 재단된 필름 기재(21)의 표면에 멸균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멸균 코팅액은, 필름 기재(21)의 표면 보호를 위한 하드 코팅액과,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인 HA 용액의 HA 입자(222)를 포함한다.
상기 멸균 코팅액은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이 포함된 UV도료로써, 멸균 코팅 단계(S200)는 제1 단계(S210)와 제2 단계(S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S210)는 필름 기재(21)의 포면에 하드 코팅액를 도포하여 박막코팅층(221)을 형성한다.
상기 하드 코팅액은 UV 도료로 이루어진 것으로, 필름 기재(21)를 이송판에 안착후,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판을 이송시킨다.
이때 UV 도료를 도포하는 분사노즐에 인접 시 이송을 회전하여 도포된 UV 도료가 필름 기재(21)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게 하여 박막코팅층(221)을 형성한다.
특히 제1 단계(S210)에서 상기 박막코팅층(221)은 5㎛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는 제2 단계(S220)의 HA 입자(222)을 도포하기 위해 얇은 코팅층을 먼저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하드 코팅액인 UV 도료의 두께가 두꺼우면 열 경화 시 경도 5h를 만족할 수 있으나, 대량 생산에 따른 제조 단가 상승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고경도를 유지하면서 휘어지거나 인장력에도 박막코팅층(221)의 크랙 발생을 방지해 변형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단계(S220)는 상기 박막코팅층(221)의 표면에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인 HA 용액을 도포한다.
특히 상기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히드록시 아파타이트(Hydroxy apatite)성분으로 수산화인회석인 HA 용액이 사용된다.
상기 히드록시 아파타이트는 염기성 이산칼슘으로 암석 혹은 골격, 치아에서 모두 발견되는 물질, 크로마토그라피 충전물질로써 단백질, 핵산 정제에 사용되며 특히 DNA 단일 가닥과 이중 가닥을 분리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HA 용액의 HA 입자(222)는 호흡기질환을 유발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이 생체에 침투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흡착하게 된다.
따라서 필름 기재(21)의 표면에 박막코팅층(221)을 형성한 후 HA 용액을 도포하여 HA 입자(222)를 돌출시킴으로써, 호흡기질환을 유발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을 흡착 후, 사멸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단계(S220)에서 HA 입자(222)를 2㎛ 내지 4㎛의 지름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S220)는 HA 용액의 HA 입자(222)의 입자가 박막코칭층의 표면보다 돌출되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HA 용액의 HA 입자(222)가 경화단계를 통해 박막코팅층(221)의 표면에 보다 견고하게 위치하기 위함이다.
즉, HA 용액의 HA 입자(222)가 상술한 지름보다 작은 경우에는 박막코칭층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상술한 지름보다 큰 경우에는 박막코팅층(221)의 표면으로 돌출되나 박막코팅층(221)에 견고하게 위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HA 용액의 HA 입자(222)를 박막코팅층(221)의 표면으로 돌출되게 하여 공기 중에 섞여 있는 호흡기질환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유인하여 사멸시킨다.
이를 통해 필름 기재(21)의 표면으로 접근한 바이러스는 단시간 내인 약 1분 내에 사멸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멸균 코팅층(22)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경화단계(S300)는 상기 박막코팅층(221)에 메탈램프(MH)와 수은램프(MV)를 55℃ 내지 65℃에서 23분 내지 27분 동안 교차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단계(S300)는 코팅단계를 통해 필름 기재(21)의 표면에 HA 용액의 HA 입자(222)가 도포된 박막코팅층(221)을 경화시키는 것으로, 코팅이 완료된 필름 기재(21)를 이송판에 안착하여 컨베이어벨트로 이송하여 메탈램프(MH)와 수은램프(MV)를 교차 조사한다.
이때 메탈램프(MH)는 파장이 길어 박막코팅층(221)의 내부까지 경화시키고, 수은램프(MV)는 파장이 짧아 박막코팅층(221)의 표면을 경화시킴으로써, 하드 코팅액의 층이 얇게 형성되더라도 고경화를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메탈램프(MH)와 수은램프(MV)를 필름 기재(21)의 상부에서 조사하고, UV 램프를 이송판의 하면과 측면에서 조사하여 HA 용액의 HA 입자(222)가 도포된 박막코팅층(221)을 더욱 고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구 표면에 부착되는 필름 기재(21)의 표면에 HA 용액의 HA 입자(222)가 도포된 박막코팅층(221)을 경화시켜 고경도를 가지면서 호흡기질환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HA 용액의 HA 입자(222)로 모여들게 하여 단시간내에 바이러스를 사멸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경화단계(S300)는 우레탄 경화공정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우레탄 경화공정은 50℃ 내지 80℃에서 10분 내지 15분 동안 경화시키는 것으로, HA 용액의 HA 입자(222)가 도포된 박막코팅층(221)의 표면에 우레탄을 도포하여 50℃로 선 경화시켜 박막코팅층(221)의 표면을 펴지게 하고, 60℃로 열 경화 후 80℃에서 건조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우레탄 경화공정은 우레탄과 HA 용액의 HA 입자(222)가 도포된 박막코팅층(221)의 합성을 일으켜 서로 다른 물질이 혼합되어 더욱 견고하게 경화된다.
이와 같은 가구 표면재는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코팅된 보드를 시험한 시험 성적서를 참고하면, 보드의 바이러스 감소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을 위한 SARS-CoV-2의 초기 바이러스 역가는 6.65log10TCID20/ml 이다.
본 시험의 효능 평가를 위해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 처리를 하지 않은 필름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의 역가는 5.883 log10TCID20/ml 이다.
보드에 30분 동안 접촉 후 수거된 바이러스의 역가는 1.801 log10TCID20/ml 이하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른 SARS-CoV-2의 감소율은 30분 처리에 4. 082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보드는 30분 동안 SARS-CoV-2의 접촉 시 99.992% 이상의 바이러스 사멸 효능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러스 사멸 시험은 각 희석액을 숙주세포에 접종하여 3일 후 대조군과 시험군의 바이러스 역가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Crystal violet 염색 시약에 의해 염색된 well의 수를 세어 Sperman-Karber 방법으로 역가를 산출하였다.
또한 바이러스 역가는 4.4.2에 따라 계산하였고 감소율은 4.4.3에 따라 결정하였다.
특히 배양세포에서 바이러스 활성은 바이러스 증식에 의해 생기는 배양세포의 형태적 변화(CPE)를 일정기간 관찰하는 것에 의해 확인 가능하다.
그리고 바이러스 감염가는 바이러스액의 10ⁿ 단계희석계열을 제조하여 각 희석액을 복수의 배양세포에 접종, 배양, 관찰하여 구한다.
따라서 보드는 30분간 접촉 시 4.08 로그 이상의 바이러스 감소를 보여 99.992% 이상의 바이러스 사멸 효능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제작된 가구 표면재(20)는 UV 접착제(23)를 상기 필름 기재(21)의 내측면에 도포하여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가구 표면재(20)는 접착될 보드(10)의 사이즈에 맞게 재단되어 접착된다.
이때 상기 가구 표면재(20)는 가구의 종류 또는 접착될 부품에 따라,
도 1과 같이 보드(10)의 일면에만 접착될 수도 있고,
또는 도 2와 같이 보드(10)의 양면에 모두 접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구 표면재(20)를 접착하기 전, 보드(10) 표면에 별도의 인쇄층(11)을 인쇄한 후 그 위에 상기 가구 표면재(20)를 접착하여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보드(10)는 가구의 종류에 따라 각 부품의 사이즈 및 형태를 갖도록 재단된 후 조립되어 가구가 완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20)를 이용한 가구는,
가구 본체; 및
상기 가구 본체의 보드(10) 표면에 접착되는 가구 표면재(20);를 포함하되,
상기 가구 표면재(20)는,
필름 기재(21)와, 상기 필름 기재(21)의 표면에 코팅된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이 포함된 멸균 코팅층(22);을 포함하고,
상기 멸균 코팅층은, 상기 필름 기재(21)의 표면에 하드 코팅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박막코팅층(221)과, 상기 박막코팅층(221)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도포된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인 HA 용액의 HA 입자(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20),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보드 11 : 인쇄층
20 : 가구 표면재 21 : 필름 기재
22 : 멸균 코팅층 23 : UV 접착제
221 : 하드 코팅액
222 : HA 입자

Claims (4)

  1. 필름 기재(21)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필름 기재(21)의 표면에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이 포함된 멸균 코팅액을 코팅하여 멸균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멸균 코팅층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멸균 코팅액은 상기 필름 기재(21)의 표면 보호를 위한 하드 코팅액과,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인 HA 용액을 포함하여,
    상기 멸균 코팅층은 상기 필름 기재(21)의 표면에 하드 코팅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박막코팅층(221)과, 상기 박막코팅층(221)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도포된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인 HA 용액의 HA 입자(222)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코팅층(221)은 5㎛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HA 입자(222)의 입자를 2㎛ 내지 4㎛의 지름으로 형성하며,
    경화단계는 코팅이 완료된 필름 기재(21)를 이송판에 안착하여 컨베이어벨트로 이송하여 메탈램프(MH)와 수은램프(MV)를 교차 조사하여 이루어지되, 메탈램프(MH)와 수은램프(MV)를 55℃ 내지 65℃에서 23분 내지 27분 동안 교차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표면재의 제조 방법.
  2. 가구 본체; 및
    상기 가구 본체의 보드 표면에 접착되는 것으로, 제 1 항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가구 표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3. 필름 기재(21)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필름 기재(21)의 표면에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이 포함된 멸균 코팅액을 코팅하여 멸균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멸균 코팅층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멸균 코팅액은 상기 필름 기재(21)의 표면 보호를 위한 하드 코팅액과,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인 HA 용액을 포함하여,
    상기 멸균 코팅층은 상기 필름 기재(21)의 표면에 하드 코팅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박막코팅층(221)과, 상기 박막코팅층(221)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도포된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인 HA 용액의 HA 입자(222)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코팅층(221)은 5㎛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HA 입자(222)의 입자를 2㎛ 내지 4㎛의 지름으로 형성하며,
    경화단계는 HA 입자(222)가 도포된 박막코팅층(221)의 표면에 우레탄을 도포하여 50℃로 선 경화시킨 다음, 60℃로 열 경화 후 80℃에서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는 우레탄 경화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표면재의 제조 방법.
  4. 가구 본체; 및
    상기 가구 본체의 보드 표면에 접착되는 것으로, 제 3 항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가구 표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KR1020220028177A 2022-03-04 2022-03-04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 KR102448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177A KR102448601B1 (ko) 2022-03-04 2022-03-04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177A KR102448601B1 (ko) 2022-03-04 2022-03-04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601B1 true KR102448601B1 (ko) 2022-09-29

Family

ID=83462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177A KR102448601B1 (ko) 2022-03-04 2022-03-04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60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2302A (ja) * 1995-03-15 1996-10-01 Lab:Kk 抗菌性シート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77463A (ja) * 1996-04-09 1997-10-28 Dainippon Printing Co Ltd 抗菌化粧シート
KR20070011357A (ko) * 2004-03-11 2007-01-24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살균성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7088586A (ja) * 2015-11-17 2017-05-25 イビデン株式会社 化粧板
JP2017177802A (ja) * 2015-11-17 2017-10-05 イビデン株式会社 化粧板
JP6962481B1 (ja) * 2020-09-28 2021-11-05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KR20220033962A (ko) * 2020-09-10 2022-03-17 건국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수산화 인회석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2302A (ja) * 1995-03-15 1996-10-01 Lab:Kk 抗菌性シート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77463A (ja) * 1996-04-09 1997-10-28 Dainippon Printing Co Ltd 抗菌化粧シート
KR20070011357A (ko) * 2004-03-11 2007-01-24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살균성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7088586A (ja) * 2015-11-17 2017-05-25 イビデン株式会社 化粧板
JP2017177802A (ja) * 2015-11-17 2017-10-05 イビデン株式会社 化粧板
KR20220033962A (ko) * 2020-09-10 2022-03-17 건국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수산화 인회석 및 이의 제조 방법
JP6962481B1 (ja) * 2020-09-28 2021-11-05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tagawa et al. Effectiveness of 222-nm ultraviolet light on disinfecting SARS-CoV-2 surface contamination
BRPI0306993B8 (pt) polímero de polialquilenoglicol ativado; composição; e uso de um composto na produção de um medicamento para o tratamento de esclerose múltipla ou infecção viral suscetível
WO2020237004A1 (en) Handle sleeves with bioactive surface coatings
EP1676582B1 (en) Anti-coronavirus agent
Romanini‐Junior et al. Adhesive/silane application effects on bond strength durability to a lithium disilicate ceramic
BRPI0514035A (pt) composto, sais farmaceuticamente aceitáveis do mesmo, diastereÈmeros, enanciÈmeros ou misturas do mesmo, uso de um composto, composição farmacêutica, método para a terapia de depressão em um animal de sangue quente, e, processo para preparar um composto
Percivalle et al. SARS-CoV-2 viability on different surfaces after gaseous ozone treatment: a preliminary evaluation
BRPI0514032A (pt) composto, sais farmaceuticamente aceitáveis do mesmo, diastereÈmeros, enanciÈmeros ou misturas do mesmo, uso de um composto, composição farmacêutica, método para a terapia de depressão em um animal de sangue quente, e, processo para preparar um composto
BRPI0415613A (pt) novos compostos de diazaspiroalcanos e seu uso no tratamento de doenças mediadas por ccr8
ATE312887T1 (de) Mikrobizid beschichteter gegensta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Hosseini et al. Transparent anti-SARS-CoV-2 and antibacterial silver oxide coatings
DE60136826D1 (de) Verwendung von asiatsäure oder asiaticosid zur behandlung von krebs
KR102448601B1 (ko)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가구 표면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
DE602005016194D1 (de)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Stents
EP3972546A1 (en) Button covers and buttons with bioactive materials
WO2020237003A1 (en) Handle covers and handles with bioactive surface coatings
Mahapatra et al. Surface treatments to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PPEs
Scholte et al. Exploring inactivation of SARS-CoV-2, MERS-CoV, Ebola, Lassa, and Nipah viruses on N95 and KN95 respirator material using photoactivated methylene blue to enable reuse
Ashokkumar et al. Persistence of coronavirus on surface materials and its control measures using nonthermal plasma and other agents
Mukherjee et al. Preparation of Coronavirus nosodes sourced from a clinical sample of SARS-Cov-2 positive patient, inactivated strain, and spike glycoprotein: Coronavirus Nosode article
BRPI0416284A (pt) compostos, processo para a manufatura dos mesmos,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que os contêm, método para o tratamento e/ou prevenção de enfermidades que são moduladas por agonistas ppar(delta) e/ou ppar(alfa) e sua utilização
DE317521T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sterilisation des zerstaeubers und/oder der luftzufuhr von medizinischen instrumenten, insbesondere von zahnaerztlichen instrumenten.
US20210298308A1 (en) Light switch covers and light switches with bioactive materials
KR20230087996A (ko) 항 바이러스 코팅제의 도포방법
CN104263274A (zh) 防霉抗菌胶带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