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511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511B1
KR102448511B1 KR1020210113337A KR20210113337A KR102448511B1 KR 102448511 B1 KR102448511 B1 KR 102448511B1 KR 1020210113337 A KR1020210113337 A KR 1020210113337A KR 20210113337 A KR20210113337 A KR 20210113337A KR 102448511 B1 KR102448511 B1 KR 102448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connection pipe
supply pump
tub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7603A (ko
Inventor
유승완
김진두
장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0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세제를 터브 내부로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제 또는 린스가 수용되는 세제함; 상기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 또는 린스를 펌핑하는 세제공급펌프, 상기 세제공급펌프 및 터브와 연결된 연결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세제공급펌프에 의해 세제 또는 린스가 펌핑될 경우에 상기 연결배관을 개방하도록 구비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액체 세제를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물과 세탁수가 담긴 원통 형상의 회전조를 회전시켜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의 종류로는, 회전조를 수평으로 배치해서 이 회전조가 수평축에 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세탁물이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드럼세탁기 및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회전조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직축에 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수직축 세탁기가 있다.
드럼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담겨지는 원통 형상의 수조, 수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세탁하는 회전조, 수조의 후방에 배치되어 회전조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드럼세탁기에는 수조 내부로 급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세제가 급수되는 물에 고르게 섞여서 함께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세제공급장치가 설치된다. 세제공급장치는 본체 내부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에 수용된 세제 또는 린스는 세제공급펌프에 의해 터브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세제를 터브 내부로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액체세제가 수용되는 세제함과 케이스의 사이에 이물질에 의한 배출 밸브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액체세제 또는 린스는 세제공급펌프가 동작하는 경우에만 터브 내로 공급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액체세제 또는 린스는 세제공급펌프가 동작하는 경우에만 터브 내로 공급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제함의 인출시 액체세제 또는 린스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제 또는 린스가 수용되는 세제함; 상기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 또는 린스를 펌핑하는 세제공급펌프; 상기 세제공급펌프 및 터브와 연결된 연결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세제공급펌프에 의해 세제 또는 린스가 펌핑될 경우에 상기 연결배관을 개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세제공급펌프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세제 또는 린스가 상기 연결배관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배관을 차단한다.
상기 세제공급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제 또는 린스가 상기 개폐부의 일면을 가압하는 힘에 의해 상기 개폐부가 개방된다.
상기 개폐부는, 개구가 형성되는 제1차단부 및 상기 제1차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관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2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제공급펌프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차단부의 내측면이 서로 접촉하여 상기 개구가 닫힌 상태에 놓인다.
상기 세제공급펌프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차단부에 의해 상기 연결배관이 차단된다.
상기 세제공급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제 또는 린스가 상기 제2차단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1차단부의 개구가 열린다.
상기 제1차단부의 개구가 열리면 상기 세제공급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제 또는 린스는 상기 연결배관으로 공급된다.
세제 또는 린스가 가압하는 힘에 의해 제2차단부가 세제 또는 린스의 가압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개구가 개방된다.
상기 세제공급펌프의 동작이 멈추면, 상기 제2차단부는 가압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개구는 닫힌다.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터브와 연결되는 주연결배관 및 상기 주연결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세제공급펌프와 연결되는 세제연결관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세제연결관에 구비된다.
상기 세제연결관은, 세제가 펌핑되어 공급되는 제1세제연결관 및 린스가 펌핑되어 공급되는 제2세제연결관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세제연결관에 구비되는 제1개폐부 및 상기 제2세제연결관에 구비되는 제2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개폐부 또는 상기 제2개폐부는 택일적으로 상기 제1세제연결관과 상기 주연결배관 또는 상기 제2세제연결관과 상기 주연결배관을 연통시킨다.
상기 세제함이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세제함의 세제토출부에는 배출 밸브가 마련된다.
상기 배출밸브는, 상기 세제토출부에 마련되어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밸브 케이스; 및 상기 배출유로를 차폐할 수 있도록 진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플런저를 가압할 수 있는 밸브가압부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 가압부는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플런저의 일측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상기 세제토출부가 개폐된다.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세제함을 들어올리면 상기 플런저가 하강하고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상기 세제토출부가 차폐된다.
상기 배출밸브는, 상기 플런저가 하강될때 상기 플런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가 상기 지지부재에 안착되면 상기 배출밸브의 하부가 차폐된다.
상기 세제함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면 상기 밸브가압부가 상기 플런저를 가압하여 상기 배출유로를 개방시킨다.
상기 배출밸브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배출밸브가 상기 하우징의 세제유입구에 결합하도록 가이드하여 액체세제의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밸브는, 상기 세제토출부에 마련되며 배출 유로가 형성하는 밸브 케이스; 상기 배출 유로를 차폐할 수 있도록 진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를 탄성지지 하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밸브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밸브케이스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밸브케이스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 또는 원통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세제토출부에 대응되는 세제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유입구에는, 상기 밸브 케이스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밸브 결합홈 및 상기 플런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돌출형성된 밸브가압부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가압부의 외측둘레에는 환형 지지부가 구비된다.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직경은, 상기 환형 지지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밸브 결합홈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제 또는 린스가 수용되는 세제함; 상기 세제함이 탈착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 또는 린스를 펌핑하는 세제공급펌프; 상기 세제공급펌프 및 터브와 연결된 연결배관; 및 상기 세제함에 마련된 세제토출부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세제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배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밸브는, 상기 세제토출부에 마련되고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밸브케이스 및 상기 밸브케이스 내에서 상하 방향의 운동을 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세제토출부가 차폐될 때 상기 밸브케이스의 하부를 차폐시킨다.
상기 밸브케이스에는 상기 플런저의 후단부가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플런저의 후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면 상기 밸브케이스의 하부가 차폐된다.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에는 상기 세제토출부를 개폐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플런저를 가압할 수 있는 밸브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가압부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가압되면 상기 세제토출부와 상기 세제유입구가 연통된다.
상기 연결배관에는,상기 세제공급펌프에 의해 액체세제 또는 린스가 펌핑될 경우 상기 연결배관을 개방하는 개폐부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세제공급펌프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액체 세제 또는 린스가 상기 연결배관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배관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의하면, 배출 밸브 오작동을 방지함으로써 액체세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체세제 및 린스를 저장한 자동세제 공급장치가 본체 내부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세제함에 저장된 액체세제 또는 린스가 세제공급 펌프가 동작되는 경우에만 터브 내로 공급되므로 터브 내에 액체세제 또는 린스가 정량공급될 수 있다.
또한, 배출밸브의 구성을 개선하여 세제함의 인출시 밸브 케이스 내의 액체세제 또는 린스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자동세제 공급장치가 장착된 드럼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A-A'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함 설치부에 설치되는 자동세제 공급장치의 세제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제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제 공급장치와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함과 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제 공급장치의 세제함과 하우징과 세제공급펌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결합된 세제함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도 7 의 B-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함의 배출 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세제 유입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함의 배출밸브와 하우징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함의 인출시 배출밸브와 하우징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가압부가 하강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펌프에 설치되는 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펌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제 공급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배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세제연결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배관의 일부가 절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배관으로 세제가 공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배관으로 린스가 공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자동세제 공급장치가 장착된 드럼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 는 도 1 의 A-A' 부분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함 설치부에 설치되는 자동세제 공급장치의 세제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13) 및 터브(13)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벽면에 다수의 탈수공(14a)이 형성된 원통형의 드럼(14)을 포함한다.
본체(10)의 전면(11)에는 세탁을 위한 세탁물을 터브(13)와 드럼(14) 내부로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개구부(11a)가 형성되고, 이러한 본체(10)의 개구부(11a)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2)가 설치된다.
도어(12)는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프레임(12a, 12b)과, 도어 프레임(12a, 12b)의 후방에 결합되어 본체(1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도어 글라스(12c)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2a, 12b)은 전면을 형성하는 제1 도어 프레임(12a)과 후면을 형성하는 제2 도어 프레임(12b)을 포함한다.
도어 글라스(12c)는 제2 도어 프레임(12b)의 중심에 결합되어 드럼(14) 내부를 볼 수 있어, 세탁시 세탁의 과정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도어 글라스(12c)는 본체(1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의 개구부(11a)에는 도어(12)가 안착되어 개구부(11a)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안착 부재(20)가 마련된다. 도어 안착 부재(20)는 도어(12)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 도어 프레임(12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안착 부재(20)는 중심에 원형의 개구(21)가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그 전면에 도어(12)의 후면이 접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어 안착면(22)과, 도어 안착면(22)의 하측에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세제함 설치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안착면(22)은 본체(10)의 전면(11)으로부터 후방, 즉 터브(13)와 드럼(14)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안착면(22)의 일측에는 도어(12)가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 설치부(24)가 설치되고, 그 타측에는 도어(12)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도어래치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 안착 부재(20)의 세제함 설치부(23)는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형성되는 개구(23a) 및 개구(23a)의 후방 둘레면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세제함 안착부(23b)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안착부(23b)는 후술하는 자동세제 공급장치(100)의 세제함 커버(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도어 안착면(22)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안착 부재(20)는 세제함 커버(130)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도어 안착 부재(20)의 상면과 세제함 커버(130)의 상면이 이격되는 부분 없이 이어져서 미적 측면을 향상할 수 있다. 세제함 커버(130)와 도어 안착 부재(2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제품의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한편, 세제함 커버(130)는 세제함(120)의 상단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 이동 간격(d1)을 형성한다. 세제함 커버(130)와 세제함 설치부(23) 사이에 전방 이동 간격(d1)에 대응되는 만큼의 후방 이동 간격(d2)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세제함 커버(130)의 전방 이동 간격(d1)과 후방 이동 간격(d2)부분을 이용하여 세제함 커버(130)를 잡고 세제함(120)을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본체(10)의 전방에서 세제함 커버(130)의 저면에 형성되는 돌출 부분(134)을 사용자가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제함 설치부(23)의 세제함 안착부(23b)에 수용된 세제함 커버(13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그 상부에 전,후방 이동 간격(d1,d2)이 형성되게 하고,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형성되는 돌출 부분(134)이 사용자에게 손잡이(핸들)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세제함(120)을 본체(10) 외측으로 꺼낼 수 있다. 이와같이 사용자는 세제함(120)을 편리하게 본체(10)에 탈착시킬 수 있다.
세제함 설치부(23)는 자동세제 공급장치(100)의 세제함(120)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간격(L2)을 가지고, 이러한 제1 간격(L2)은 본체(10)의 전면(11)과 터브(13) 전단면 사이의 제2간격(L) 보다 작고, 세제함의 간격(L1) 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 전면(11)과 터브(13) 사이에는 세탁물을 드럼(14)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프런트 프레임 투입구(41)가 형성되는 프런트 프레임(40)이 마련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40)의 테두리에는 복수 개의 홀(43a)과 슬롯(43b)등의 결합부(43)가 형성될 수 있으며, 프런트 프레임(40)은 이러한 결합부(43)를 통해 본체(10)와 나사, 볼트, 핀, 리벳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11) 후방 테두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11b)가 형성되어 프런트 프레임(40)의 결합부(43)와 결합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40)의 하부에는 세제공급펌프(140)가 설치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펌프 설치구(42) 및 배수장치(30)가 설치되기 위해 절개되어 형성된 배수장치 설치구(4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장치 설치구(44)는 펌프 설치구(43)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40)의 펌프 설치구(42)와 배수장치 설치구(44)는 각각 세제공급펌프(140)와 배수장치(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40)의 펌프 설치구(42)를 통해 프런트 프레임(40)의 전방에는 하우징(110)이 배치되고, 하우징(110)의 후방에서 연결되는 세제공급펌프(140)는 프런트 프레임(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40)의 배수장치 설치구(44)에는 배수장치(30: 도 7 참조)의 배수 케이스(31: 도 7 참조)가 배치되어, 그 내부에 마련되는 필터부재(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전방 하부 및 도어 안착 부재(20)에 형성되는 세제함 설치부(23)에 세제 및 린스의 저장 및 자동 공급이 가능한 자동세제 공급장치(100)를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본체(10) 상부의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에는 터브(13) 내부로 급수를 위한 급수장치(16)가 장착된다. 급수장치(16)는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는 제1 급수관(16a) 및 터브(13)와 연결되는 제2 급수관(1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수관(16a)에는 급수를 제어하기 위한 급수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장치(16)를 통해 터브(13)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터브(13) 내부에서 자동세제 공급장치(100)에 의해 공급되는 세제 및 린스와 각각 혼합되어 세탁물을 세탁 하거나 헹굼을 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제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제 공급장치와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함과 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제 공급장치의 세제함과 하우징과 세제공급펌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결합된 세제함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 은 도 7 의 B-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세제 공급장치(100)는 본체(10) 전방 내부 하측에 배치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부에 세제 및 린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세제함(120) 및 세제함(120)의 세제 및 린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세제공급펌프(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본체(10)의 전면(11) 하측에 배치되며, 도어 안착 부재(20)의 세제함 안착부(23b)에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세제함(120)은 하우징(110)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그 상단에 세제함 커버(130)가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마련된다.
세제함 커버(130)는 세제함(120)의 상단에 마련되며, 도어 안착 부재(20)의 세제함 안착부(23b)에 대응되는 크기와 재질, 그리고 같은 색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제품의 디자인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함 커버(130)와 세제함(120)에는 슬라이드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131)에 의해 세제함 커버(130)가 세제함(12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드부(131)는 세제함 커버(130)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돌기(131a), 세제함 커버(130)의 저면 중심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멈춤돌기(132a), 세제함 커버(130)의 가이드 돌기(131a)에 대응되도록 세제함(120)의 양측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31b) 및 멈춤돌기(132a)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세제함(120) 상면 중심에 세제함(12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멈춤홈(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커버(130)의 가이드 돌기(131a)는 세제함(120)의 가이드 레일(131b)에 끼워져 세제함 커버(130)가 세제함(12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세제함(120) 상면에 형성되는 멈춤홈(132b)은 세제함 커버(130)의 멈춤돌기(132a)가 끼워져 세제함 커버(130)가 멈춤홈(132b)의 길이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한다.(도 8 참고)
본체(10)는, 도 6 내지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13)의 세탁수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 위한 배수장치(30) 및 터브(13)의 세탁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배수장치(30)에 마련되는 순환펌프(170)를 포함한다. 터브(13)와 배수장치(30) 사이는 제1 연결배관(150)에 의해 연결되고, 터브(13)와 순환펌프(170) 사이는 제2 연결배관(50)에 의해 연결된다.
제1 연결배관(150)은 일단부는 터브(13)의 저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배수장치(3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제1 연결배관(150)으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는 분기관(155)은 터브(13)에 연결되어 터브(13) 내부의 세탁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190)와 연결될 수 있다(도 19 참조).
제1 연결배관(150)에는 세제연결관(153)이 연결될 수 있다. 세제연결관(153)은 제1연결배관(150)과 세제공급펌프(140)를 연결할 수 있다. 세제연결관(153)은 제1세제연결관(153a)과 제2세제연결관(153b)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장치(30)는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수 펌프(미도시), 세탁수가 터브(13)로 순환되게 하는 순환펌프(170) 및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도록 마련되는 필터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장치(30)는 배수펌프와 순환펌프(170)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배수 케이스(31)를 포함한다. 배수 케이스(31)는, 제1연결배관(150)에 연결되는 제1연결관(32), 제2연결배관(50)에 연결되는 제2연결관(33) 및 배수호스(35)가 연결되는 제3연결관(34)을 포함한다. 배수 케이스(31)는 제1연결배관(150), 제1연결관(32)을 통해 터브(13)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제2연결배관(50) 및 제2연결관(33)을 통해 순환펌프(170)와 연결되어 세탁수가 터브(13) 및 배수 케이스(31)를 순환하도록 할 수 있고, 제3연결관(34) 및 배수호스(35)를 통해 배수 케이스(31)로 유입된 세탁수가 본체(10)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배수 케이스(31)의 전방은 개구되어, 배수필터가 배수 케이스(31)의 전방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세제공급펌프(140)에 연결되어 세제 및 린스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세제 공급관(160)은 제1 연결배관(150)의 제1세제연결관(153a)과 제2세제연결관(153b)에 연결되어, 세제 공급관(160)을 통해 공급되는 세제 및 린스가 순환펌프(170)를 통해 터브(13)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세제 공급장치(100)의 세제함(120)은 그 내부에 세제가 수용되는 제1 수용부(126a) 및 린스가 수용되는 제2 수용부(126b)가 마련된 세제함 바디(121)를 포함한다.
세제함 바디(121)의 전면에는 세제 및 린스의 잔량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세제 확인창(122)이 형성될 수 있다. 세제 확인창(122)은 완전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세제함 바디(121)의 사출 공정 중,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세제함 바디(121)에는 제1 수용부(126a)와 제2 수용부(126b)로 각각 세제 및 린스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세제 공급부(123) 및 제1 수용부(126a)와 제2 수용부(126b)로부터 세제 및 린스가 각각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세제 토출부(12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세제함 바디(121)의 제1 수용부(126a)에는 세제가 저장되고, 제2 수용부(126b)에는 린스가 저장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세제 공급부(123)는 세제함 바디(121)의 후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수용부(126a)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제1세제공급부(123a)와, 제2 수용부(126b)에 린스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제2세제공급부(123b)를 포함한다.
제1세제공급부(123a)와 제2세제공급부(123b) 각각에는 캡(124)이 마련되어 제1세제공급부(123a)와 제2세제공급부(123b)를 개폐할 수 있다. 캡(124)은 제1세제공급부(123a)를 개폐하는 제1캡(124a) 및 제2세제공급부(123b)를 개폐하는 제2캡(124b)을 포함할 수 있다. 캡(124a,124b)은 제1세제공급부(123a)와 제2세제공급부(123b)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세제 공급부(123)와 캡(124)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6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캡(124a,124b)은 돌출 형성되는 돌기(124c)를 포함하고, 제1세제공급부(123a)와 제2세제공급부(123b)는 캡(124,124b)의 돌기(124c)에 대응되는 홈(123c)이 형성되어, 각각의 캡(124,124a,124b)이 제1세제공급부(123a)와 제2세제공급부(123b)에서 위치되어 회전하면 돌기(124c)와 홈(123c)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세제 공급부(123)와 캡(124)은 원형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제 공급부와 캡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제 토출부(127)는 제1 수용부(126a)와 제2 수용부(126b)의 하단에 각각 마련된다. 세제 토출부(127)는, 제1 수용부(126a)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세제토출부(127a) 및 제2 수용부(126b)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세제토출부(127b)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세제토출부(127a)와 제2세제토출부(127b)에는 배출밸브(70)가 결합되어 하우징(110)과의 사이에서 세제 및 린스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배출밸브(70)는 제1배출밸브(70a) 및 제2배출밸브(70b)를 포함한다. 제1세제토출부(127a)에는 제1배출밸브(70a)가 결합되고, 제2세제토출부(127b)에는 제2배출밸브(70b)가 결합될 수 있다. 밸브(70a, 70b)는 후술하게 되는 하우징(110)의 밸브 가압부(112)에 결합되어 오픈 상태가 되면, 제1 수용부(126a)와 제2 수용부(126b)에 각각 수용되는 세제와 린스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밸브(70a,70b)는 체크 밸브일 수 있다.
세제함 바디(121)에는 제1 수용부(126a)와 제2 수용부(126b)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공기 유통공(129)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통공(129)은 세제함 바디(121)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제1 수용부(126a)와 제2 수용부(126b) 내부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세제 및 린스가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기 유통공(129)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홀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댐퍼 등의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그 내부에 세제함 바디(121)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세제함 바디 수용부(111)가 마련되고, 바디 수용부(111)의 하단부에는 세제함(120)의 제1 수용부(126a)와 연통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리저버(110a)와, 제2 수용부(126b)와 연통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리저버(110b)가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제1 리저버(110a)와 제2 리저버(110b)는 각각 세제함(120)의 제1세제토출부(127a) 및 제2세제토출부(127b)와 연결되어, 제1 수용부(126a) 및 제2 수용부(126b)로부터 세제 또는 린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1 리저버(110a)와 제2 리저버(110b)에는 세제함 바디(121) 저면의 제1세제토출부(127a)와 제2세제토출부(127b)에 각각 결합되는 배출밸브(70a,70b)가 가압되어 오픈될 수 있도록 밸브 가압부(112:도 13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가압부(112)는 배출밸브(70a,70b)를 가압하여 배출밸브(70a, 70b)가 오픈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형상인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10)에는 세제함(120)이 하우징(110)에 결합되었는지 분리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센서(113)가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측면 및 세제함 바디(121)의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자석 등을 포함하는 장착 감지센서(113)가 설치될 수 있다. 장착 감지센서(113)에 의해 세제함(120)이 하우징(11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가 감지되고, 디스플레이부(15)에 감지된 내용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후면 하측에는 세제공급펌프(140)와의 결합을 위한 세제공급펌프 결합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세제공급펌프(40)는 하우징(110)과 연결되며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펌프 하우징(141)을 포함한다. 세제공급펌프(14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세제 및 린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1 리저버(110a) 및 제2 리저버(110b)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하우징(110)과 세제공급펌프(140)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61)가 마련될 수 있다. 세제공급펌프(140)에는 하우징(110)의 세제공급펌프 결합부(114)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부(141a)가 마련될 수 있다. 펌프 하우징(141)에는 세제 및 린스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4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함의 배출 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함 바디(121)에는, 세제함(120)에 수용된 액체 세제 또는 린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세제 토출부(127)가 구비된다. 세제 토출부(127)는 액체 세제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126a)에 구비되는 제1세제 토출부(127a) 및 린스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126b)에 구비되는 제1세제 토출부(127b)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 토출부(127)는 세제함 바디(121)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세제토출부(127)에는 배출밸브(70)가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부(125)는 세제함 바디(121)의 저면에 구비된 세제 토출부(127) 측에 하향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125)에는 액체 세제 또는 린스의 배출을 조절하는 배출밸브(7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부(125)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수용부(126)에 형성된 제1세제 토출부(127a)에 결합되는 배출밸브(70)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배출밸브(70)에는 제1결합부(125)에 결합되는 밸브 케이스(71)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케이스(71)의 내부에는 배출 유로(71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 유로(710)는 세제토출부(127a)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밸브 케이스(71)는 제1결합부(125)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밸브(70)는, 밸브 케이스(71)의 제2결합부(713)가 세제토출부(127a)에 형성된 제1결합부(125)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출밸브(70)가 세제 토출부(127a)에 형성된 제1결합부(125)와 나사 형상에 의해 회전하여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배출밸브(70)가 세제토출부(127a) 측에 고정되는 방법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출밸브(70)는 세제 토출부(127a)에 압입되거나 후크 구조 등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밸브 케이스(71)의 하단에는 중공(720)이 형성된 캡(72)이 결합될 수 있다. 밸브 케이스(71)의 하단에는 제1체결부(711)가 구비되고, 캡(72)의 상단에는 제2체결부(721)이 구비될 수 있다. 캡(72)은 제1체결부(711)와 제2체결부(721)가 결합됨으로써 밸브 케이스(7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체결부(711)는 밸브 케이스(71)에 형성되는 제1체결홈(711a)와 제1체결돌기(711b)를 포함한다. 제2체결부(721)는 캡(72)에 형성되는 제1체결돌기(721a)와 제2체결홈(7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홈(711a)과 제1체결돌기(721a)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2체결돌기(711b)와 제2체결홈(721b)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캡(72)은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캡(72)의 하단에는 배출밸브(70)의 실링을 위한 실링부(722)가 구비될 수 있다.
밸브 케이스(71)의 내측에는 플런저(73)가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퇴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홀(128a:도 14참조)이 형성되는 지지판(128:도 14참조)이 마련된다. 밸브 케이스(71)의 상측 단부에는 플런저(73)의 진퇴 이동에 의해 배출 유로(710)가 차폐되도록 플런저(73)와 접촉하는 시트부(714:도 14 참조)가 형성된다.
플런저(73)는 밸브 케이스(71)의 내부에 형성된 배출 유로(710)에서 진퇴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플런저(73)의 상측 단부에는 선단부(731)와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후단부(732)를 포함한다.
플런저(73)의 선단부(731)에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밸브 케이스(71)의 시트부(714)와 접촉하여 제1세제 토출부(127a) 또는 배출유로(710)를 차폐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재(75)가 결합될 수 있다. 실링부재(75)는 제1세제 토출부(127a) 또는 배출유로(710)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73)의 후단부(732)는 플런저 바디(73a)에 결합되는 제1후단부(732a) 및 제1후단부(732a)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후단부(7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후단부(732b)는 제1후단부(732a)의 단부로부터 플런저 바디(73a)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후단부(732a)와 제2후단부(732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73)의 후단부(732)와 밸브 케이스(71)의 지지판(128) 사이에는 플런저(73)를 탄성지지할 수 있는 탄성부재(74)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74)는 지지판(128)의 저면과 플런저(73)의 후단부(732)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탄성부재(74)는 플런저(73)를 하부로 밀어 외력이 없는 한, 실링부재(75)에 의해 제1세제 토출부(127)가 차폐되도록 한다.
캡(72)의 하부에는 플런저(73)의 후단부(73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76)가 구비될 수 있다. 캡(72)의 측면에는 장착홀(미도시)이 구비되고, 지지부재(76)의 일측에 마련된 장착돌기(764)가 장착홀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부재(76)가 캡(72)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부재(76)가 캡(72)에 장착되는 방법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재(76)는 후단부(732)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76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760)는 제1측벽(761), 제2측벽(762) 및 제1측벽(761)과 제2측벽(762)을 연결하는 지지부(76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760)에는 제1후단부(732b)가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760)에 수용된 제2후단부(762b)는 지지부(7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측벽(761)의 외측면은 캡(72)의 하부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장착돌기(764)는 제1측벽(761)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캡(72)에 형성된 장착홀(723)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세제 유입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에는 세제토출부(127a)에 대응되는 형상의 세제유입구(115)가 형성된다. 세제유입구(115)는 배출밸브(70)의 밸브 케이스(71)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밸브 결합홈(115a), 밸브 결합홈(115a)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 가압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가압부(112)에 의해 배출밸브(70)가 개방될 수 있다. 밸브 가압부(112)는 플런저(73)를 가압하여 플런저(73)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밸브 가압부(112)의 외측 둘레에는 환형 지지부(112a)가 형성될 수 있다. 환형 지지부(112a)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세제 유입구(115) 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세제 유입구(115)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세제함(120)과 하우징(110)이 이격되도록 하여, 세제함(120)이 하우징(11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제함(120)의 미삽입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볼트 등의 이물질에 의해 배출밸브(70)가 오작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세제함 바디(121)가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세제함 바디 수용부(111)를 포함한다. 세제함 바디 수용부(111)의 하단부에는 세제함(120)의 제1수용부(126a) 및 제2수용부(126b)와 연통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리저버(110a) 및 제2리저버(110b)가 형성될 수 있다. 세제함(120)의 제1수용부(126a) 또는 제2수용부(126b)로부터 공급되는 세제 또는 린스는 제1리저버(110a)와 제2리저버(110b)를 통해 세제공급펌프(14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함의 배출밸브와 하우징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함의 인출시 배출밸브와 하우징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함(120)의 배출밸브(70)는 개방될 수 있다. 세제함(120)이 하우징(110)의 세제함 바디 수용부(111)에 수용되면, 플런저(73)는 밸브 가압부(112)에 의해 가압되어 상승할 수 있다. 실링부재(75)는 플런저(73)와 함께 상승하여 제1세제 토출부(127a)를 개방시킬 수 있다. 실링부재(75)가 제1세제 토출부(127a)를 개방하면, 제1수용부(126a)에 수용된 액체 세제 또는 린스는 제1토출부(127a)를 통해 배출되어 배출밸브(70) 내부의 배출유로(710)를 통과하여 제1리저버(110a)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플런저(73)의 후단부(732)는 지지부재(76)의 지지부(763)와 이격될 수 있다. 배출밸브(70)가 개방된 경우, 플런저(73)의 후단부(732)는 지지부재(76)에 마련된 수용부(760)에 수용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세제함(120)에 액체 세제 또는 린스 등을 보충하기 위해 세제함(120)을 하우징(110)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세제함(120)이 상부로 이동하면, 플런저(73)의 상부에 위치한 실링부재(75)에 의해 제1세제 토출부(126a)가 차폐될 수 있다. 세제함(120)이 상부로 이동하여 실링부재(75)에 의해 제1세제 토출부(126a)가 차폐될 때까지 플런저(73)는 밸브 가압부(112)에 의해 가압된 상태가 유지된다.
실링부재(75)에 의해 제1세제 토출부(126a)가 차폐된 후 세제함(120)이 상부로 더 이동하면, 제1세제 토출부(126a)가 실링부재(75)에 의해 차폐된 상태로 플런저(73)는 세제함(120)과 함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73)가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밸브 가압부(112)에 의한 플런저(73)의 가압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실링부재(75)가 제1세제 토출부(126a)를 차폐하면, 플런저(73)의 후단부(732)는 지지부재(76)의 지지부(763)에 안착될 수 있다. 플런저(73)의 후단부(732)는 지지부(76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세제함(120)과 함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배출밸브(70)의 하부는 플런저(73)의 후단부(732)가 지지부재(76)에 안착됨으로써 차폐될 수 있다. 이로써 배출밸브(70) 내부에 잔류된 액체 세제 또는 린스가 외부로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세제함(120)이 상부로 이동하여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실링부재(75)에 의해 제1세제 토출부(126a)가 차폐되어 제1수용부(126a)에 수용된 액체 세제 또는 린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실링부재(75)에 의해 제1세제 토출부(126a)가 차폐되더라도 배출밸브(70) 내부에는 액체 세제 또는 린스가 잔류되어 있을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배출밸브 내부를 차폐하는 구조가 없어, 세제함(120)이 상부로 이동하여 플런저(73)와 밸브 가압부가 이격되면, 배출밸브 내부에 수용된 액체 세제 또는 린스는 외부로 흐를 수 있어 세탁함(120) 주변이 지저분해지거나 사용자에게 액체 세제 또는 린스가 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경우, 배출밸브(70)의 하부가 차폐되는 구조가 마련되어 세제함(120)이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될 때 배출밸브(70) 내부에 잔류된 액체 세제 또는 린스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가압부가 하강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밸브가압부(112)는 승하강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밸브가압부(112)와 연결된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밸브가압부(112)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세제함(120)이 하우징(110)에 수용되면, 플런저(73)는 밸브가압부(112)에 의해 가압되고, 제1세제 토출부(127a)는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제1세제 토출부(127a)를 통해 제1수용부(126a)에 수용된 액체 세제 또는 린스는 배출밸브(70)의 내부 공간인 배출유로(710)를 통해 제1리저브(110a)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액체 세제 또는 린스를 보충하기 위해 세제함(120)을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세제함(120)을 하우징(110)으로부터 꺼내기 전, 사용자는 밸브가압부(112)와 연결된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밸브가압부(112)를 하강시킬 수 있다.
밸브가압부(112)가 하강하면, 하강 전 밸브가압부(112)가 가압하고 있었던 플런저(73)도 함께 하강할 수 있다. 플런저(73)는 탄성부재(74)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가압부(112)와 함께 하부로 하강할 수 있다. 플런저(73)가 하강하면 실링부재(75)에 의해 제1세제 토출부(127a)가 차폐될 수 있다.
또한 플런저(73)가 하강하면, 플런저(73)의 후단부(732)가 지지부재(76)에 안착되어 배출유로(710)의 하부가 차폐될 수 있다. 배출유로(710)의 하부가 차폐되면, 세제함(120)이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상부로 이동하더라도 배출밸브(70)의 내부에 잔류한 액체 세제 또는 린스가 외부로 흐르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제함(120)을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하기 전, 밸브가압부(112)를 하강시켜 플런저(73)의 후단부(732)가 배출유로(71)의 하부를 차폐하도록 함으로써, 세제함(120)을 분리할 때 배출밸브(70) 내부에 잔류된 액체 세제 또는 린스가 외부로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주변 환경이 지저분해지거나 사용자에게 액체 세제 또는 린스가 튈 염려가 없이 세제함(120)을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수용부(126a) 측에 형성된 제1세제 토출부(127a)를 개폐하는 배출밸브(70) 및 밸브가압부(112)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2수용부(126a) 측에 형성된 제2세제 토출부(127a)를 개폐하는 배출밸브 및 밸브가압부에도 상기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펌프에 설치되는 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펌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세제공급펌프(140)는 하우징(110)과 연결되며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펌프 하우징(141), 펌프 하우징(141) 내부에 마련되며 하우징(110)의 제1 리저버(110a)와 제2 리저버(110b)에 연결되는 챔버(142), 챔버(142) 내에 압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피스톤 부재(146), 피스톤 부재(146)를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모터(143) 및 모터(143)와 피스톤 부재(146) 사이를 연결하는 기어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42)는 제1 리저버(110a)와 연결되는 제1 챔버(142a)와, 제2 리저버(110b)와 연결되는 제2 챔버(142b)를 포함한다. 제1 챔버(142a)는 제1 리저버(110a)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 세제를 공급받을 수 있고, 제2 챔버(142b)는 제2 리저버(110b)에 저장되어 있는 린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펌프 하우징(141)에는 제1 챔버(142a)와 제2 챔버(142b)에 공급되는 세제 및 린스의 유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180)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180)는 펌프 하우징(141)의 일측에 위치한 제1 챔버(142a)와 제2 챔버(142b)에 연통되도록 배치된 센서 설치부(182), 센서 설치부(182)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센서 커버(181), 센서 설치부(182)에 설치되는 센서(183) 및 센서(183)와 연결되어 센서(183)에 의해 측정된 세제 및 린스의 유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전선(184)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83)는 제1 챔버(142a)와 제2 챔버(142b)의 세제 및 린스와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183)는 스크류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183)에 의해 검출되는 세제 및 린스 유무는 제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될 수 있다.
세제공급펌프(140)의 펌프 하우징(141)에는 챔버(142)와 연결되어 세제 및 린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출구(148)가 마련된다. 배출구(148)는 제1 챔버(142a)와 연통되는 제1 배출구(148a)와 제2 챔버(142b)에 연통되는 제2 배출구(148b)를 포함한다.
챔버(142)에 압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피스톤 부재(146a, 146b)는 제1 챔버(142a)에 마련되는 제1 피스톤 부재(146a)와, 제2 챔버(142b)에 마련되는 제2 피스톤 부재(146b)를 포함한다.
제1 피스톤 부재(146a)와 제2 피스톤 부재(146b)를 구동하는 모터(143)와 기어부재(144)는 제1피스톤부재(146a) 및 제2피스톤부재(146b)에 각각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피스톤 부재(146a)와 제2 피스톤 부재(146b)는 제1 챔버(142a)와 제2 챔버(142b)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제1 챔버(142a)에 저장된 세제와 제2 챔버(142b)에 저장된 린스가 각각 제1 배출구(148a)와 제2 배출구(148b)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모터(143a)에 연결된 제1 피스톤 부재(146a)는 제1 챔버(142a)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제1 챔버(142a) 내부의 압력을 조절한다. 제1 피스톤 부재(146a)와 제1 모터(143a) 사이에는, 제1 모터(143a)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웜 축(144a), 웜 축(144a)에 맞물러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웜 기어(144b) 및 웜 기어(144b)에 연결되어 제1 피스톤 부재(146a)를 이동시키도록 캠 부재(14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모터(143a)가 회전하면 제1 모터(143a)에 연결된 웜 축(144a)이 회전하고, 웜 축(144a)에 연결된 웜 기어(144b)가 회전하고, 웜 기어(144b)와 연결된 캠 부재(145)가 회전하고, 캠 부재(145)에 연결된 피스톤 부재(146)가 이동하면서, 제1 챔버(142a) 내부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제1 챔버(142a) 내부 압력 변화에 의해 하우징(110)의 제1 리저버(110a)에 저장된 액체 세제는 제1 챔버(142a) 측으로 체크 밸브(147)를 통해 이동하고, 제1 챔버(142a)의 액체 세제는 제1 배출구(148a)를 통해 세제공급펌프(140)의 외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제1 배출구(148a)를 통해 배출되는 세제는 제1 배출구(148a)에 연결된 제1 세제 공급관(161)을 통해 제1 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되게 된다.
제2 모터(143b)에 의해 제2 챔버(142b) 내부의 린스가 제2 배출구(148b)를 통해 배출되는 동작은 제1 모터(143a)에 의해 제1 챔버(142a) 내의 세제가 제1배출구(148a)를 통해 배출되는 동작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배출구(148b)를 통해 배출되는 린스는 제2 세제 공급관(162)을 통해 제1 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세제공급펌프(140)는 각각의 모터에 의해 피스톤 부재를 이동시켜 동작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하나의 모터를 구동시켜 선택적으로 챔버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제 공급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세탁 동작시 급수장치(16)에 의해 터브(13)로 세탁수가 공급되고, 세제함(120)의 제1 수용부(126a)에 저장된 세제는 세제공급펌프(140)에 의해 터브(13)로 공급될 수 있다.
세제함(120)의 제1 수용부(126a)에 저장된 세제는 세제공급펌프(140)에 의해 제1 배출구(148a) 및 제1 세제공급관(161)을 통해 제1 연결배관(150)으로 이동된다. 제1 연결배관(150)의 세제는 터브(13)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와 함께 순환펌프(170)로 이동하여, 제2 연결배관(50)을 통해 터브(13)로 공급될 수 있다. 터브(13) 내로 공급된 세제 및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세탁이 완료되면, 배수장치(30)에 의해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수가 배수된다.
헹굼 동작시, 급수장치(16)에 의해 터브(13)로 세탁수가 공급되고, 세제함(120)의 제2 수용부(126b)에 저장된 린스는 세제공급펌프(140)에 의해 터브(13)로 공급될 수 있다.
세제함(120)의 제2수용부(126b)에 저장된 린스는 세제공급펌프(140)에 의해 제2 배출구(148b) 및 제2 세제공급관(162)을 통해 제1 연결배관(150)으로 이동된다. 제1 연결배관(150)의 린스는 터브(13)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와 함께 순환펌프(170)로 이동하고, 제2 연결배관(50)을 통해 터브로 공급될 수 있다. 터브(13) 내로 공급된 린스 및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헹굼이 이루어질 수 있다. 헹굼이 완료되면, 배수장치(30)에 의해 린스를 포함하는 세탁수가 배수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배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배관(150)의 일측 단부(150a)는 터브(13)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150b)는 배수장치(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배관(150)에는 세제공급펌프(140)와 연결되는 세제연결관(153)이 분기되어 구비된다. 제1연결배관(150)에는 터브(13)와 연결되어 터브(13) 내의 세탁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190)와 연결되는 분기관(15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연결배관(150)의 일측 단부(150a) 에서부터 타측 단부(150b)까지 연장된 부분을 제1주연결배관(150')이라 할 수 있다.
세제연결관(153)은 제1세제연결관(153a) 및 제2세제연결관(153b)을 포함한다. 제1세제연결관(153a) 또는 제2세제연결관(153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고, 다른 하나를 통해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린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세제연결관(153a)을 통해 세제가 공급되고, 제2세제연결관(153b)을 통해 린스가 공급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세탁기(1)의 세탁 동작시, 세제공급펌프(140)에 의해 세제함(120)의 제1수용부(126a)에 수용된 세제는 펌핑되어 제1세제연결관(153a)을 통해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된 세제는 터브(13)로부터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배수장치(30)로 이동한다.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수는 배수장치(30)와 연결된 순환펌프(170)에 의해 펌핑되어 제2연결배관(50)을 통해 터브(13) 내로 공급될 수 있다. 터브(13) 내로 공급된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수에 의해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다.
세탁기(1)의 헹굼 동작시, 세제공급펌프(140)에 의해 세제함(120)의 제2수용부(126b)에 수용된 린스가 펌핑되어 제2세제연결관(153b)을 통해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된 린스는 터브(13)로부터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배수장치(30)로 이동한다. 린스를 포함하는 세탁수는 배수장치(30)와 연결된 순환펌프(170)에 의해 펌핑되어 제2연결배관(50)을 통해 터브(13) 내로 공급될 수 있다. 터브(13) 내로 공급된 린스를 포함하는 세탁수에 의해 세탁물이 헹궈질 수 있다.
효율적인 세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세탁물의 중량 또는 터브(13)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부피 등과 같은 세탁 환경에 따라 기설정된 양의 세제 또는 린스가 터브(13) 내로 유입되어야 한다. 또한 세탁 동작시에는 세제만이 터브(13) 내로 유입되고 헹굼 동작시에는 린스만이 터브(13) 내로 유입될 수 있어야 한다. 세탁 동작시 린스가 터브(13) 내로 유입되거나 헹굼 동작시 세제가 터브(13) 내로 유입되면 세제와 린스의 상호작용에 의해 세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기설정된 양의 세제 또는 린스가 터브(13)에 공급되기 위해서는 세제공급펌프(140)가 작동하는 경우에만 세제 또는 린스가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되고 세제공급펌프(140)의 작동이 멈추면 세제 또는 린스의 공급이 차단되어야 한다.
본 발명과 같이, 세제공급펌프(140)에 의해 세제 또는 린스가 펌핑되어 세제공급관(161,162), 세제연결관(153a, 153b), 제1주연결배관(150')을 통해 터브(13) 내로 공급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 세제공급펌프(140)의 동작이 멈춘 경우에도 세제공급관(161, 162) 또는 세제연결관(153a, 153b) 내에 잔류된 세제 또는 린스가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흘러들어가 제1주연결배관(150')을 통과하는 세탁수와 함께 터브(13)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제 또는 린스가 기설정된 양보다 많은 양이 터브(13)로 유입될 수 있고, 세탁 동작시 제2세제공급관(162) 또는 제2세제연결관(153b)에 잔류된 린스가 터브(13)로 유입되거나, 헹굼 동작시 제1세제공급관(161) 또는 제1세제연결관(153a)에 잔류된 세제가 터브(13)로 유입될 수 있어 세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세제연결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배관의 일부가 절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연결관(153)에는 세제연결관(153)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157,158)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부(157,158)는 세제공급펌프(140)가 동작할 때에만 세제연결관(153)을 개방시키고, 세제공급펌프(140)의 동작이 멈추면 세제연결관(153)을 차단할 수 있다. 개폐부(157,158)는 세제연결관(153)과 제1주연결배관(150')의 연결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개폐부(157,158)는 제1연결배관(150)의 사출성형시 인서트되어 사출성형될 수 있다.
세제가 공급되는 제1세제연결관(153a)에는 제1개폐부(157)가 구비되고, 린스가 공급되는 제2세제연결관(153b)에는 제2개폐부(158)가 구비될 수 있다. 제2개폐부(158)의 경우, 제1개폐부(157)의 구조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개폐부(157)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개폐부(157)는, 제1세제연결관(153a)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제1차단부(157) 및 제1차단부(157a)와 연결되고 제1세제연결관(153a)의 내측 일부를 차단하는 제2차단부(157b)를 포함한다. 제1차단부(157a)와 제2차단부(157b)는 고무와 같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제1차단부(157a) 및 제2차단부(157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세제연결관(153a)의 내측면에는 제2차단부(157b)가 고정되고, 제1차단부(157a)는 제2차단부(157b)의 중심부로부터 제1세제연결관(15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차단부(157a)는 제1세제연결관(153a)으로 유입되어 이동하는 세제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제1개폐부(157)가 제1주연결배관(150')과 제1세제연결관(153a)이 연결된 부분에 마련된 경우, 제1차단부(157a)는 제1주연결배관(15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차단부(157b)는 제1세제연결관(153a)을 따라 흐르는 세제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마련된다.
제1차단부(157a)에는 제1세제연결관(153a) 및 제1주연결배관(150')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개구(159)가 마련된다. 제1차단부(157a) 또는 제2차단부(157b)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는 한 개구(159)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세제공급펌프(140)가 동작되어 세제가 제2차단부(157b)의 일면을 가압하면 제2차단부(157b)가 가압 방향으로 밀리면서 개구(159)가 개방될 수 있다.
세제공급펌프(140)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 제1차단부(157a)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59)가 형성되지 않도록 내측면이 서로 접촉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1세제연결관(153a)은 제1차단부(157a) 및 제2차단부(157b)에 의해 차단된 상태가 되어, 제1세제연결관(153a)과 제1주연결배관(150')이 연통되지 않는다. 이로써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세탁수가 흐르더라도 제1세제연결관(153a)에 잔류하는 세제가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세제공급펌프(140)가 세제함(120)에 수용된 세제를 펌핑하면, 제1세제공급관(161)을 통과한 세제는 제1세제연결관(153a)으로 공급되고, 세제공급펌프(140)에 의해 펌핑되는 압력에 의해 제1세제연결관(153a)으로 공급된 세제가 제2차단부(157b)의 일면을 가압한다. 제2차단부(157b)의 일면을 가압하는 힘에 의해 제2차단부(157b)가 제1주연결배관(150') 측으로 밀리면서 제1차단부(157a)의 개구(159)가 개방될 수 있다. 제1차단부(157a)에 형성된 개구(159)를 통해 제1세제연결관(153a)의 세제는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세제공급펌프(140)는 설정된 정량의 세제를 펌핑한 후 동작이 멈춘다. 세제공급펌프(140)의 동작이 멈추면, 제2차단부(157b)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으므로 제2차단부(157b)가 가압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제1차단부(157a)의 개구(159)가 닫힌다. 이로써 제1세제연결관(153a)이 차단되어 제1세제연결관(153a)에 잔류한 세제가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개폐부(157)에 의해 세제공급펌프(140)가 동작되는 경우에만 세제가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배관으로 세제가 공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배관으로 린스가 공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세탁 동작시, 세제공급펌프(140)는 세제함(120)에 수용된 세제를 펌핑한다. 펌핑된 세제는 제2차단부(157b)의 일면을 가압하여 제1차단부(157a)에 형성된 개구(159)를 개방시킬 수 있다. 개구(159)가 개방됨으로써 제1세제연결관(153a)과 제1주연결배관(150')은 연통될 수 있다. 세제공급펌프(140)에 의해 펌핑된 세제는 제1세제공급관(161), 제1세제연결관(153a)을 통해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된 세제는 터브(13)로부터 유입된 세탁수와 함께 배수장치(30)로 이동하고, 순환펌프(170)의 펌핑에 의해 터브(13)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수가 터브(13)로 유입될 수 있다.
기설정된 정량의 세제가 펌핑된 후, 세제공급펌프(140)의 동작이 멈추면, 제1개폐부(157)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어 개구(159)가 닫힐 수 있다. 이로써 제1세제연결관(153a)과 제1주연결배관(150') 사이가 차단되어 제1주연결배관(150')으로의 세제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세제가 펌핑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세탁기(1)의 헹굼 동작시, 세제공급펌프(140)는 세제함(120)에 수용된 린스를 펌핑할 수 있다. 펌핑된 린스는 제4차단부(158b)의 일면을 가압하여 제3차단부(158a)에 형성된 개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개구가 개방됨으로써 제2세제연결관(153b)과 제1주연결배관(150')은 연통될 수 있다. 세제공급펌프(140)에 의해 펌핑된 린스는 제2세제공급관(162), 제2세제연결관(153b)을 통해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된 린스는 터브(13)로부터 유입된 세탁수와 함께 배수장치(30)로 이동하고, 순환펌프(170)의 펌핑 동작에 의해 터브(13)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린스를 포함하는 세탁수가 터브(13)로 유입될 수 있다.
기설정된 정량의 린스가 펌핑된 후, 세제공급펌프(140)의 동작이 멈추면, 제4차단부(158b)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어 개구가 닫힐 수 있다. 이로써 제2세제연결관(153b)과 제1주연결배관(150') 사이가 차단되어 제1주연결배관(150')으로의 린스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제공급펌프(140)가 동작할 때에만 세제 또는 린스가 공급되고 세제공급펌프(140)의 동작이 멈추면 즉시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공급되는 세제 또는 린스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함으로써, 터브(13) 내로 유입되는 세제 또는 린스의 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1)의 세탁 동작 또는 헹굼 동작시 터브(13)에는 정량의 세제 또는 린스가 공급되어 효율적인 세탁, 헹굼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세제공급펌프(14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개폐부(157, 158)에 의해 세제연결관(153a, 153b)과 제1주연결배관(150') 사이가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제1주연결배관(150')으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세제연결관(153a, 153b)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1 : 드럼 세탁기 10 : 본체
12 : 도어 13 : 터브
16 : 급수장치 20 : 도어 안착 부재
22 : 도어 안착면 23 : 세제함 설치부
30 : 배수장치 35 : 배수관
40 : 프런트 프레임 41 : 펌프 설치구
70: 배출밸브 71: 밸브 케이스
72: 캡 73: 플런저
74: 탄성부재 75: 실링부재
100 : 자동세제 공급장치 110 : 하우징
110a : 제1 리저버 110b :제2 리저버
113 : 장착 감지센서 120 : 세제함
121 : 세제함 바디 122 : 세제확인창
123 : 세제 투입구 124 : 캡
126a : 제1 수용부 126b : 제2 수용부
127 : 공기 유통공 128 : 제1 밸브
130 : 세제함 커버 131 : 슬라이드부
140 : 세제공급펌프 141 : 펌프 하우징
142 : 챔버 143 : 모터
144 : 기어부재 144a : 웜축
144b : 웜 기어 145 : 캠 부재
146 : 피스톤 부재 148 : 배출구
150 : 제1 연결배관 150' : 제1주연결배관
153 : 세제 연결관 153a : 제1 세제 연결관
153b : 제2 세제 연결관 157 : 제1개폐부
157a : 제1차단부 157b : 제2차단부
158 : 제2개폐부 158a : 제3차단부
158b: 제4차단부 159 : 개구
160 : 세제 공급관 161 : 제1세제 공급관
162 : 제2세제 공급관

Claims (10)

  1. 터브;
    세제 또는 린스가 수용되는 세제함;
    상기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 또는 린스를 펌핑하는 세제공급펌프;
    세탁수가 상기 터브로 순환되게 마련되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배수장치;
    상기 세제공급펌프 및 터브와 연결된 연결배관으로서, 상기 순환펌프의 일 측에서 상기 배수장치 및 상기 터브와 연결되는 제1연결배관 및 상기 순환펌프의 타 측에서 상기 터브와 연결되는 제2연결배관을 포함하는 연결배관;
    상기 세제공급펌프와 상기 제1연결배관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연결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세제연결관; 및
    상기 세제연결관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세제연결관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세제공급펌프에 의해 세제 또는 린스가 펌핑될 경우에 상기 세제연결관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제1차단부; 및
    상기 제1차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세제연결관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2차단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펌프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차단부의 내측면이 서로 접촉하여 상기 개구가 닫힌 상태에 놓이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펌프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차단부에 의해 상기 세제연결관이 차단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제 또는 린스가 상기 제2차단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1차단부의 상기 개구가 열리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의 개구가 열리면 상기 세제공급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제 또는 린스는 상기 제1연결배관으로 공급되는 세탁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은 상기 세제공급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세제 또는 린스의 힘에 의해 분리 개방되어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세탁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펌프의 동작이 멈추면, 상기 제2차단부는 가압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개구는 닫히는 세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터브와 연결되는 주연결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연결관은 상기 주연결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세제공급펌프와 연결되는 세탁기.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부는 상기 세제연결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차단부는 상기 제2차단부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세제연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마련되는 세탁기.



KR1020210113337A 2014-03-21 2021-08-26 세탁기 KR102448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572 2014-03-21
KR20140033572 2014-03-21
KR20140033494 2014-03-21
KR1020140033494 2014-03-21
KR1020140166185A KR102296969B1 (ko) 2014-03-21 2014-11-26 세탁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185A Division KR102296969B1 (ko) 2014-03-21 2014-11-26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603A KR20210107603A (ko) 2021-09-01
KR102448511B1 true KR102448511B1 (ko) 2022-09-29

Family

ID=543414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185A KR102296969B1 (ko) 2014-03-21 2014-11-26 세탁기
KR1020210113337A KR102448511B1 (ko) 2014-03-21 2021-08-26 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185A KR102296969B1 (ko) 2014-03-21 2014-11-26 세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801155B2 (ko)
EP (1) EP3121324B1 (ko)
KR (2) KR102296969B1 (ko)
CN (1) CN106068345B (ko)
WO (1) WO2015142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307B1 (ko) * 2014-04-30 2021-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71915B1 (ko) 2016-01-05 202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제펌프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처리장치
CN108930142B (zh) * 2017-05-27 2021-03-1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涤添加剂盒及洗衣机
US10815605B2 (en) 2017-10-06 2020-10-27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bulk dispensing assembly
KR102629745B1 (ko) * 2019-01-22 2024-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0233871A1 (en) * 2019-05-22 2020-11-26 Arcelik Anonim Sirketi An automatic dosing unit which doses the cleaning agent in household appliances
US11098436B2 (en) * 2019-07-10 2021-08-2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dditive reservoir receptacle for an appliance
KR20210081879A (ko) * 2019-12-24 2021-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1149951A1 (en) * 2020-01-20 2021-07-2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DE102020209565A1 (de) * 2020-07-29 2022-02-03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mit einem Waschmediumtank
JP2021090800A (ja) * 2021-02-18 2021-06-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JP7320740B2 (ja) * 2021-08-30 2023-08-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CN114921934B (zh) * 2022-05-18 2023-10-20 湖北美的洗衣机有限公司 投放装置及衣物处理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455Y1 (ko) * 2003-09-02 2003-12-06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탄성 역지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49850A1 (de) * 1981-12-16 1983-06-30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Dosiereinrichtung fuer pumpbare waschzusaetze
US4524805A (en) * 1983-07-08 1985-06-25 Hoffman Allan C Normally closed duckbill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082150A (en) * 1990-05-01 1992-01-21 Steiner Company, Inc. Liquid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 discharge assembly providing a positive air flow condition
KR100402446B1 (ko) * 2001-01-20 2003-10-22 이상만 급수장치용 역지밸브
DE102005050083B4 (de) * 2005-10-18 2011-11-03 Miele & Cie. Kg Dosiereinrichtung für flüssige Zugabemittel für ein Haushaltgerät
KR101444356B1 (ko) * 2007-03-31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467882B1 (ko) * 2007-03-31 201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PL2011913T3 (pl) * 2007-07-03 2011-11-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Pralka do prania
KR101698310B1 (ko) 2009-12-24 2017-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KR20120004208A (ko) 2010-07-06 2012-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KR20120082989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02182049B (zh) * 2011-05-10 2012-07-11 李耀强 一种洗涤剂投放及混合装置
BR112015005658B1 (pt) 2012-09-17 2021-09-14 Lg Electronics Inc Aparelho de tratamento de vestuário e método de controle para um aparelho de tratamento de vestuário
JP6450687B2 (ja) * 2013-01-11 2019-01-09 ミニパンプス, エルエルシー ダイヤフラム逆止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455Y1 (ko) * 2003-09-02 2003-12-06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탄성 역지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1324A4 (en) 2017-09-20
KR102296969B1 (ko) 2021-09-02
EP3121324B1 (en) 2020-02-19
KR20150110282A (ko) 2015-10-02
US10801155B2 (en) 2020-10-13
CN106068345A (zh) 2016-11-02
US20210025102A1 (en) 2021-01-28
KR20210107603A (ko) 2021-09-01
WO2015142058A1 (ko) 2015-09-24
EP3121324A1 (en) 2017-01-25
US20170107656A1 (en) 2017-04-20
CN106068345B (zh)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8511B1 (ko) 세탁기
KR102392143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EP3252205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151818B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110004745A (ko) 전자동 세탁기의 듀얼세제 투입장치
KR102368502B1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KR20180136084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KR100830487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20180136100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프론트 패널
KR102368499B1 (ko) 벽걸이형 세탁기
KR20130064847A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드럼 세탁기
KR20180136090A (ko) 벽걸이형 세탁기
KR20100066773A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040024246A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180136096A (ko) 벽걸이형 세탁기
KR20100110512A (ko) 전자동 세탁기의 듀얼세제 투입장치
KR20090087182A (ko) 세탁기
KR200207711Y1 (ko) 세탁기
KR20180136099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KR20180113032A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110513A (ko) 전자동 세탁기의 듀얼세제 투입장치
KR20180136098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