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487B1 -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487B1
KR100830487B1 KR1020010044494A KR20010044494A KR100830487B1 KR 100830487 B1 KR100830487 B1 KR 100830487B1 KR 1020010044494 A KR1020010044494 A KR 1020010044494A KR 20010044494 A KR20010044494 A KR 20010044494A KR 100830487 B1 KR100830487 B1 KR 100830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detergent container
supply
water supp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9845A (ko
Inventor
노양환
조한기
김종석
강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4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0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각종 세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분리 구획된 다수개의 세제 투입영역과 세탁수가 유출입 될 수 있는 유입공 및 배출공을 갖는 세제통과, 상기 세제통이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안착지지수단이 구비된 세제통삽입부와, 저면에는 터브 내측으로 세탁수와 세제의 혼합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호스가 연결된 세제공급부로 이루어져 본체에 고정되는 세제통 하우징과, 상기 세제통의 상측 개구부를 커버하는 상부덮개와, 상기 세제통의 각 세제 투입영역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급수공이 형성된 급수용 디스펜서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되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급수용 디스펜서 측으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를 제공하여, 세제통을 드럼세탁기의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세제통 내부에 쌓인 잔여 세제 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세제통을 본체로부터 인출하거나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세제 및 섬유 유연제 등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세탁기, 세제통 하우징, 분리 가능한 세제통.

Description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device for providing detergent in washing machine}
도 1은 일반적인 드럼세탁기에 설치된 세제 공급장치의 세제통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제 공급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장치의 세제통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세제통이 분리된 상태의 도 3의 Ⅰ-Ⅰ선 단면도,
도 5는 세제통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도 3의 Ⅱ-Ⅱ선 단면도,
도 6은 세제통이 분리된 상태의 세제 공급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급수용 디스펜서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00....상부프레임,
110....세제통 하우징, 111,112....제1,제2지지리브,
130....세제통, 135,136....제1,제2안착홈,
140....급수용 디스펜서, 148,149....제1,제2급수공,
190....상부덮개.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제통이 드럼세탁기의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제 및 섬유 유연제 등의 투입이 간편하고 청소가 용이하도록 한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원통형 세탁드럼의 외주면이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세탁드럼이 회전할 때 발생되는 낙차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두드려 빠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방식의 세탁기이다.
이러한 드럼세탁기는 크게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채워지는 터브와, 터브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벽면에 다수개의 탈수공이 형성된 세탁드럼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터브의 상측에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드럼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제를 용해시키고, 이와 혼합된 세탁수를 세탁드럼 내측으로 공급하는 세제 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예비세탁, 본 세탁, 헹굼세탁, 탈수 등과 같은 여러 세탁과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각 세탁과정에 필요한 세제 또는 섬유 유연제를 세탁조 내측으로 공급하여 다양한 세탁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세탁기에 설치된 세제 공급장치의 세제통이 인출된 상 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제 공급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는 드럼세탁기의 본체(10) 전면 상부 일측에 결합된 세제통 하우징(30)과, 세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세제통 하우징(30) 내측에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세제통(40)과, 상기 세제통(40)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용 디스펜서(20)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세탁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세탁기의 본체(10) 전면 측으로 세제통(40) 일부를 인출하여 상기 세제통(40)에 분리 구획된 각 세제투입부 내측에 세제 및 섬유 유연제를 투입한 후, 세제통 하우징(30) 내측으로 상기 세제통(40)을 밀어 넣고 세탁기를 작동시키게 된다.
세탁기가 작동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각 세탁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급수밸브(11)가 개방되어 드럼세탁기 내측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며, 드럼세탁기 내측으로 공급된 세탁수는 연결호스를 통해 급수용 디스펜서(20)로 공급되고, 상기 급수용 디스펜서(20)로 공급된 세탁수는 그 하측에 위치된 세제통(40)으로 유입되어 세제 또는 섬유 유연제 등과 혼합된 후, 급수호스(12)를 통해 터브(50) 내측으로 공급된다.
한편, 전술한 세제 공급장치의 세제통(40)은 세탁과정에서 그 내측으로 공급되는 세탁수에 의해 세제 및 섬유 유연제가 용해된 후, 터브(50) 내측으로 공급되 는 구조로 되어 있어 세제통(40) 내측에 잔여 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잔여 세제가 세제통(40) 내부에 잔류함으로 인해 일정 기간 마다 잔여 세제 찌꺼기를 제거하는 청소 작업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상기 세제통(40)은 본체(10) 전방으로 소정 폭 만큼의 일부분만 인출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을 뿐, 상기 세제통 하우징(30)으로부터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잔여 세제 찌꺼기 제거를 위한 청소 작업을 하는데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사용자가 세제통(40)을 본체(10) 전방으로 인출하여 그 내측에 세제 또는 섬유 유연제 등을 투입한 후, 세제통(40)을 세제통 하우징(30) 내측으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세제 또는 섬유 유연제 등이 세제통(40) 외측으로 흘러 넘치는 문제가 발생함으로 인해 세제 및 섬유 유연제 투입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제 공급장치의 세제통을 드럼세탁기의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세제통 내부에 쌓인 잔여 세제 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세제통을 본체로부터 인출하거나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세제 및 섬유 유연제 등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세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분리 구획된 다수개의 세제 투입영역과 세탁수가 유출입 될 수 있는 유입공 및 배출공을 갖는 세제통과, 상기 세제통이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안착지지수단이 구비된 세제통삽입부와, 저면에는 터브 내측으로 세탁수와 세제의 혼합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호스가 연결된 세제공급부로 이루어져 본체에 고정되는 세제통 하우징과, 상기 세제통의 상측 개구부를 커버하는 상부덮개와, 상기 세제통의 각 세제 투입영역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급수공이 형성된 급수용 디스펜서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되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급수용 디스펜서 측으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세제 공급장치의 주요 구성요소 중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따라 전술한 종래의 기술을 참조하여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장치의 세제통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세제통이 분리된 상태의 도 3의 Ⅰ-Ⅰ선 단면도이며, 도 5는 세제통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도 3의 Ⅱ-Ⅱ선 단면도이고, 도 6은 세제통이 분리된 상태의 세제 공급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제 공급장치는 각종 세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분리 구획된 다수개의 세제 투입부(131∼134)와 세탁수가 유출입 될 수 있는 유입공(138) 및 배출공(139)을 갖는 세제통(130)과, 상기 세제통(130)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안착지지수단이 구비된 세제통삽입부(110a)와 저면에는 터브(미도시) 내측으로 세탁수와 세제의 혼합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호스(12)가 연결된 세제공급부(110b)로 이루어져 본체(10)에 고정되는 세제통 하우징(110)과, 상기 세제통(130)의 상측 개구부를 커버하는 상부덮개(190)와, 상기 세제통(130)의 각 세제 투입영역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급수공(148,149)이 형성된 급수용 디스펜서(140)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되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급수용 디스펜서(140) 측으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미도시)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세제통 하우징(110)과 세제통(130), 그리고 급수용 디스펜서(140)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제통 하우징(110)은 세제통 삽입부(110a)가 상기 상부프레임(100) 상에 형성된 절결부(101) 하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세제통삽입부(110a)의 외면 상부측에 한 쌍을 이루며 각각 구비된 후크(115a,115b)와, 상기 후크(115a,115b)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절결부(101) 인접측에 형성된 후크삽입홈(130a,130b)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100)과 세제통 하우징(110)의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 록 세제통 삽입부(110a)와 상부프레임(100)의 대응되는 위치 상에 각각 볼트공(114)을 형성하여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제통 하우징(110)의 세제공급부(110b)에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세제통 하우징(110)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용 디스펜서(140)가 설치되는데, 상기 세제공급부(110b)와 급수용 디스펜서(140)는 후크(116a,116b) 결합에 의해 결합할 수 있으며(도 6참조), 혹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세제공급부(110b)와 급수용 디스펜서(140)의 대응면에 각각 가이드돌기 및 가이드홈(미도시)을 형성하여 급수용 디스펜서(140)를 세제공급부(110b)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삽입하는 슬라이드식 결합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세제통 하우징(110)의 세제통삽입부(110a) 내측에는 상기 세제통삽입부(110a)의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그 내측으로 세제통(130)이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바, 이는 상기 세제통삽입부(110a)와 세제통(130)에 구비된 안착지지수단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안착지지수단은 상기 세제통 하우징(110)의 저면 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여 돌출된 제1,제2지지리브(111,112)와, 상기 제1,제2지지리브(111,112)에 각각 대응삽입 될 수 있도록 상기 세제통(130)의 저면 외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각각 요홈 형성된 제1,제2안착홈(135,136)으로 구성된다(도 4참조).
그리고, 상기 세제통(130)이 안착되는 세제통삽입부(110a)의 상측 상부프레임(100)에는 일측변이 회동고정부(191)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덮개(190)가 구비된다(도 4, 도5 참조).
또한, 상기 본체(10)의 전면측을 향하고 있는 상부덮개(190)의 일측변 인접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상부덮개(190)를 개방하기 용이하도록 손가락 삽입홈(102)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세제통(130)에 세제를 투입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세제통(13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상기 상부덮개(190)만을 개방한 후, 세제통(130) 내측에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세제통(130)에 잔여세제가 쌓임으로 인해 세제통(130)의 청소작업을 요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덮개(190)를 개방하여 세제통 하우징(110)의 세제통삽입부(110a)로부터 그 외측으로 세제통(130)을 들어 올려 분리해 낸 다음, 청소작업을 한 후, 다시 세제통삽입부(110a)에 삽입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급수용 디스펜서(140)와 세제통(130), 그리고 세제통 하우징(110)간의 세탁수 공급을 위한 급수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제통(130)은 예비세탁 또는 본세탁 시에 공급되는 분말세제를 수용할 수 있는 예비세탁 세제투입부(131) 및 본세탁 세제투입부(132)와, 섬유 유연제 및 표백제 등과 같은 액체세제를 수용할 수 있는 헹굼세탁 세제투입부(133) 및 표백세탁 세제투입부(134)가 각각 분리 구획된다(도 4참조).
그리고, 상기 세제통(130)에는 급수용 디스펜서(140)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용 디스펜서(140)와 마주한 세제통(130)의 후측벽 상하부에 각각 유입공(138) 및 배출공(139)이 구비된다(도 5참조).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세제통(130)의 헹굼세탁 세제투입부(133) 및 표백세탁 세제투입부(134)에는 싸이펀 원리를 이용한 액체 세제 공급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세제통 하우징(110) 내부로 액체세제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급수용 디스펜서(140)의 급수 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급수용 디스펜서(140)의 일측으로부터(도면상으로는 상측으로부터) 예비세탁 급수로(141), 헹굼세탁 급수로(143), 표백세탁 급수로(144), 본세탁 급수로(142)가 각각 순차적으로 분리 구획되어 형성되며, 각 급수로 저면에는 그 하측에 위치하는 세제통 하우징(110) 측으로의 급수가 가능하도록 제1급수공(14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제통(130)과 마주하는 급수용 디스펜서(190)의 전면벽 상에는 세제통(130)의 각 세제 투입부(131∼134) 측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2급수공(149)이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예비세탁 급수로(131)와 본세탁 급수로(132), 그리고 헹굼세탁 급수로(133) 측으로는 연결구(140a)와 연결된 호스(81)에 의해 급수가 이루어지고, 표백세탁 급수로(144) 측으로의 급수는 급수봉(147)으로 연결된 호스(82)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진다.
한편, 세제통 하우징(110)의 저면 일측에는 급수호스(12)가 연결된 급수구(115)가 구비되어 상기 급수호스(12)를 통해 터브(미도시) 측으로 세탁수와 세제의 혼합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상부덮개(190)를 개방한 후, 세제통(130)에 분리 구획된 각 세제투입부(131∼134) 내측에 각각 세제와 섬유 유연제, 그리고 표백제를 투입한 후, 상부덮개(190)를 닫게 되면 세제투입이 완료된다.
즉, 세제통(130)을 본체(10) 상에 설치된 상태로부터 인출 또는 분리시킬 필요 없이 설치된 상태 그대로 세제를 투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세탁수의 급수가 진행된다.
즉, 제어부의 제어의 의해 밸브(미도시)를 개방함에 의해 세탁수가 호스(81,82)를 통하여 급수용 디스펜서(140) 내측의 각 급수로(141∼144)로 공급되고, 공급된 세탁수의 일부는 제1급수공(148)을 통해 상기 세제통 하우징(110)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며, 이와 동시에 나머지 세탁수의 일부는 제2급수공(149)을 통해 그 전방의 대응되는 세제통(130) 측으로 세탁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어서, 제1급수공(148)을 통해 상기 세제통 하우징(110)으로 공급된 세탁수는 급수구(115) 및 급수호스(12)를 통해 터브 내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제2급수공(149)을 통해 세제통(130) 측으로 공급된 세탁수는 세제통(130)의 유입공(138)을 통해 세제통(130)의 각 세제투입부(131∼134) 내측으로 공급되고, 각 세제들과 혼합된 후에 배출공(139) 또는 싸이펀 원리를 이용한 액체세제 배출공(미도시)을 통해 세제통 하우징(110)으로 보내지고, 이어서 급수구(115) 및 급수호스(12)를 통해 터브 내측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세제통(130)에 세제 찌꺼기가 쌓여 사용자가 청소를 세제통(130) 청소를 하고자 할 경우, 먼저 상부덮개(190)를 개방한 후, 세제통(130)을 세제통 하우징(110)으로부터 꺼낸 다음, 세제통(130)을 청소한 후, 다시 세제통(130)을 세제통 하우징(110) 내측에 삽입하는 것으로써, 세제통(130) 청소가 간단히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단순히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세제 공급장치의 세제통을 드럼세탁기의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세제통 내부에 쌓인 잔여 세제 찌꺼기의 청소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한 효과가 있다.
둘째, 세제통을 본체로부터 인출하거나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세제 및 섬유 유연제 등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각종 세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분리 구획된 다수개의 세제 투입영역과, 상기 세제 투입영역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 세탁수가 유출입 될 수 있는 유입공 및 배출공을 갖는 세제통과,
    상기 세제통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안착지지수단이 구비된 세제통삽입부와, 저면에는 터브 내측으로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세탁수와 세제의 혼합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호스가 연결된 세제공급부로 이루어져 본체에 고정되는 세제통 하우징과,
    본체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세제통의 개구부 및 상기 세제통삽입부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하며, 상기 세제통이 상기 세제통삽입부의 상측방향으로 분리되도록 개방가능한 상부덮개와,
    상기 유입공을 거쳐 상기 세제통의 각 세제 투입영역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급수공이 형성된 급수용 디스펜서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급수용 디스펜서 측으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지지수단은 상기 세제통 하우징의 저면 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 여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와,
    상기 지지리브에 대응삽입 될 수 있도록 상기 세제통의 저면 외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각각 요홈 형성된 안착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통 하우징의 세제통삽입부는 본체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의 절결부 하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세제공급부에는 급수용 디스펜서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세제통삽입부의 외면 상부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와, 상기 후크가 대응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프레임 상에 각각 형성된 후크삽입홈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세제통삽입부와 상부프레임 상에 볼트공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용 디스펜서는 상기 세제통 하우징의 세제공급부 상단에 후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용 디스펜서의 급수공은 상기 세제공급부 측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그 저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급수공과, 상기 세제통 측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제통과 마주하는 측벽 상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급수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의 일측변은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020010044494A 2001-07-24 2001-07-24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00830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494A KR100830487B1 (ko) 2001-07-24 2001-07-24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494A KR100830487B1 (ko) 2001-07-24 2001-07-24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845A KR20030009845A (ko) 2003-02-05
KR100830487B1 true KR100830487B1 (ko) 2008-05-21

Family

ID=2771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494A KR100830487B1 (ko) 2001-07-24 2001-07-24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4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796B1 (ko) * 2002-01-11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유연제 박스 안치구조
KR100937417B1 (ko) * 2003-06-20 2010-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세제박스
KR101506739B1 (ko) * 2008-10-17 2015-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액체 세제 및 섬유 유연제 박스 어셈블리 및이를 구비하는 세제 디스펜서
KR101148489B1 (ko) * 2009-07-31 2012-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BR112014004387B1 (pt) 2011-08-31 2021-05-04 Lg Electronics, Inc aparelho de tratamento de vestuário
JP6208762B2 (ja) 2012-09-17 2017-10-0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衣類処理装置
KR102281340B1 (ko) * 2015-01-05 2021-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JP7490083B2 (ja) 2020-05-22 2024-05-24 ▲海▼信冰箱有限公司 洗濯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586A (ja) * 1994-08-31 1996-03-12 Toshiba Corp 洗濯機の濃縮液剤投入装置
KR970001699A (ko) * 1995-06-14 1997-01-24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JPH09276588A (ja) * 1996-04-19 1997-10-28 Toshiba Corp 洗濯機の給水装置
JPH11290580A (ja) * 1998-04-06 1999-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洗浄剤投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586A (ja) * 1994-08-31 1996-03-12 Toshiba Corp 洗濯機の濃縮液剤投入装置
KR970001699A (ko) * 1995-06-14 1997-01-24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JPH09276588A (ja) * 1996-04-19 1997-10-28 Toshiba Corp 洗濯機の給水装置
JPH11290580A (ja) * 1998-04-06 1999-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洗浄剤投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845A (ko)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0919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082563B1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박스
EP1463854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detergent in washer
JP6006424B2 (ja) 衣類処理装置
US8230705B2 (en) Fluid detergent and fabric softener box assembly for laundry machine and detergent dispenser having the same
KR20050118895A (ko)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0830488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2011000991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384759B1 (ko) 세탁기
KR20190009620A (ko) 의류처리장치
KR100830487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01010698B1 (ko) 세탁기
EP3786336B1 (en) Detergent supply device
KR20050045258A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1544759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146430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5415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022224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20070117914A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60089300A (ko) 드럼세탁기
KR101034194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1479242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090000516U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드럼세탁기
KR101144792B1 (ko) 세탁기의 세제통
JP7281626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