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084A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084A
KR20180136084A KR1020170074620A KR20170074620A KR20180136084A KR 20180136084 A KR20180136084 A KR 20180136084A KR 1020170074620 A KR1020170074620 A KR 1020170074620A KR 20170074620 A KR20170074620 A KR 20170074620A KR 20180136084 A KR20180136084 A KR 20180136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drum
rear panel
rib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전자
Priority to KR1020170074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6084A/ko
Priority to US15/892,238 priority patent/US20180363225A1/en
Priority to CN201810574149.9A priority patent/CN109082849A/zh
Publication of KR2018013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을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세탁물 투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상기 리어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터브를 감싸는 캐비닛; 상기 리어 패널의 전면에 제공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는 제1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고, 플랫(flat) 형태의 스포크가 구비되어 있는 제2 풀리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REAR PANEL OF THE SAME}
본 발명은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수와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포에서 오염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에 의한 화학적 작용과 세탁수 및 내조(inner basket)의 기계적 작용에 의해 세탁포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탁기는 세탁물의 투입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의 세탁기,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의 세탁기, 탑 로딩 방식과 프론트 로딩 방식이 결합된 복합 형태의 세탁기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최근에는 욕실이나 화장실 등 좁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출시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벽걸이형 세탁기는 소형화를 위해 프론트 로딩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벽걸이형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세탁수가 채워지는 터브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드럼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터브로부터 세탁수를 캐비닛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탁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의 크기를 넓혀져야 한다. 그러나, 드럼의 크기를 넓히면, 드럼을 감싸고 있는 터브 뿐만 아니라 캐비닛의 크기 또한 커지게 되어, 벽걸이형 세탁기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즉, 소형화된 벽걸이형 세탁기의 장점이 사라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 한국 등록특허 제10-1461388호(2014.11.07.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체적인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드럼 내부 용량이 증가될 수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을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세탁물 투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상기 리어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터브를 감싸는 캐비닛; 상기 리어 패널의 전면에 제공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는 제1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고, 플랫(flat) 형태의 스포크가 구비되어 있는 제2 풀리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 패널은 후면에 복수의 후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리브는, 외주측에 제공되는 제1 후면 리브; 및 상기 제1 후면 리브 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상기 리어 패널 후면의 중심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제2 후면 리브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리브는, 상기 제1 후면 리브 및 상기 제2 후면 리브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2 후면 리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제3 후면 리브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드럼의 후면의 스파이더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허브; 상기 허브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스포크; 및 상기 스포크의 끝단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는 링부;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풀리의 상기 스포크는, 상기 스포크의 후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풀리 보강 리브; 및 상기 스포크의 전면에 형성된 평활면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포크는, 상기 풀리 보강 리브 및 상기 평활면에 의해 비대칭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벽결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후면 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스포크의 상기 평활면이 제공되고, 상기 제2 후면 리브는 상기 제2 풀리의 상기 스포크의 전면의 상기 평활면과 접촉하지 않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 회전축이 결합되는 결합홀; 상기 드럼 회전축과 상기 제2 풀리를 서로 고정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결합홀의 주변부에 제공되고, 상기 체결 부재의 헤드부가 안착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2 풀리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 회전축이 회전되도록 축 지지하고, 상기 리어 패널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상기 리어 패널과 일체로 제공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체에 고정되며, 세탁수를 담수하는 터브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리어 패널로서, 전면에 제공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후면 리브; 및 상기 구동 모터로부터 제1 풀리 및 벨트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 받는 제2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리브는, 동일한 높이로 제공되는 복수의 제1 후면 리브; 및 상기 제1 후면 리브보다 상대적으로 낮고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2 후면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풀리의 스포크가 상기 제2 후면 리브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리어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후면 리브는 상기 리어 패널의 후면의 외주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2 후면 리브는 상기 제1 후면 리브의 내측인 후면의 중심측에 제공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리어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스포크의 후면에 복수의 풀리 보강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풀리의 상기 스포크의 전면은 상기 제2 후면 리브와 접촉하지 않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리어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드럼의 드럼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드럼 회전축은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상기 베어링은 상기 리어 패널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리어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드럼 회전축과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드럼 회전축의 허브의 중심을 관통하는 결합홀; 상기 제2 풀리의 상기 허브를 상기 드럼 회전축에 고정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결합홀의 주변부에 제공되고, 상기 체결 부재의 헤드부가 안착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리어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2 풀리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리어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에 따르면, 전체적인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드럼 내부 용량이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드럼과 터브와 리어패널 및 제2 풀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선 A-A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드럼과 터브와 리어패널 및 제2 풀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선 A-A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는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캐비닛(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캐비닛(100)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200)와, 도어(200)가 개폐되도록 도어(200)와 연결되는 커버(300)와, 커버(300)의 후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400)과, 프론트 패널(400)의 일측에 수용되고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세제함(500)과,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600)과, 드럼(600)을 감싸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700)와,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패널(8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면은 벽체와 가까운 면을 의미하고, 전면은 후면과 반대되는 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0)은 내부가 빈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 버튼(102)과, 커버(300)와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104)와, 리어 패널(800)과 연결되는 리어 패널 연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102)은 캐비닛(10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세탁기(10)의 온오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 버튼(102)은 캐비닛(100)의 전면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닛(100)의 전면 하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전원 버튼(10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캐비닛(100)의 전면 좌측이나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커버(300)와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연결부(104)는 캐비닛(100)의 개방된 전면에 대응될 수 있으며, 커버(300)가 캐비닛(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3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300)는 캐비닛(100) 내부의 후면에서 전면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커버 연결부(104)의 직경이 커버(300)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커버(300)는 커버 연결부(104)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커버(300)는 캐비닛(100)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캐비닛(100)은 리어 패널(800)과 연결되는 리어 패널 연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패널 연결부(106)는 캐비닛(100)의 개방된 후면 테두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리어 패널(8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리어 패널(800)과 볼트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리어 패널 연결부(106)에는 복수 개의 볼트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0)의 전면에는 도어(2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200)는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볼트 결합될 수 있고, 커버 연결부(104)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어 내부 프레임(230)은 커버 연결부(104)와 접촉될 수 있으며,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캐비닛(100)에 연결된 커버(300)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커버(300)와의 연결을 위한 도어 힌지 연결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힌지 연결부(232)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커버(300)의 도어 힌지(36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사이 공간에는 디스플레이(202)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2)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면이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디스플레이(202)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미표기)을 포함하거나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02)는 터치 패널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작동 상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터치를 통한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2)에 대한 터치 조작을 수행하여 세탁 및 헹굼 등의 과정을 선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잔여 세탁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202)는 보호 유리(204)를 통해 보호될 수 있다. 보호 유리(204)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투명하게 제공되어 디스플레이(202)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보호 유리(204)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과 같은 직경을 같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보호 유리(204)의 일측에는 홀(미표기)이 제공될 수 있고, 홀(미표기)을 통해 도어 개방 버튼(21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어 개방 버튼(210)은 전자식 개폐방식을 사용하여 캐비닛(100)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서,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제공될 수 있고, 보호 유리(204)의 홀(미표기)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도어(200)는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커버(300)의 일측에 접촉 및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개방 유닛(250)은 개폐 보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탄성력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방 유닛(250)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도어(200) 개방 시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00)가 폐쇄되어있을 경우에는, 도어 개방 유닛(250)이 압축되어 커버(300)의 일측에 제공된 홈(미표기)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210)을 조작하여 도어(200)가 개방되면, 도어 개방 유닛(250)은 커버(300)의 일측 홈(미표기)에서 이탈되고, 이완된 채로 커버(300)의 일측 홈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도어 개방 유닛(250)의 이완된 길이만큼 도어(200)와 커버(300)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도어(200)가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 형성된 가이드 구조물 내에 위치하거나, 미리 정한 스트로크 범위로 직선 이동하여 돌출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푸셔 스템 조립체(pusher stem assembly)일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개방 유닛(25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부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외부로 돌출된 후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은 후술할 커버(300)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가 폐쇄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0)는 도어 개방 버튼(210)을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210)을 작동하면,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가 커버(300)에서 이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는 커버(3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탄성력을 갖는 도어 개방 유닛(250)이 이완되어 커버(30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와 커버(300)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제공되어, 자동으로 도어(200)가 닫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커버(300) 측으로 도어(20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도어(200)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어(200)의 가장 외측인 보호 유리(204)의 일측을 누를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 개방 유닛(250)이 압축되어 커버(300)의 홈(미표기)으로 수용될 수 있고,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이 커버(300)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별도의 핸들 없이 도어(200)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중심 측은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중심 측에 도어 글라스(28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 글라스(280)는 세탁기(10) 외부에서 내부의 세탁물을 볼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어 글라스(280)는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도어 글라스(280)의 돌출된 측은 커버(300)의 개방된 측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도어(200)는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300)는 프론트 패널(400)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302)와, 세제함(500)을 투입할 수 있는 세제함 투입구(304)와, 전원 버튼(102)을 제어하는 전원 처리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물 투입구(302)를 통해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02)는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세탁물 투입구(302)의 직경은 도어 글라스(280)의 돌출된 부분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폐쇄되면, 도어 글라스(280)가 세탁물 투입구(302)를 막을 수 있고, 사용자가 도어(200)를 개방하면, 도어 글라스(280)가 세탁물 투입구(302)에서 이탈되어, 세탁물 투입구(302)를 통한 세탁물의 투입이 가능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02)의 상측에는 세제함(500)을 투입할 수 있는 세제함 투입구(304)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세제함 투입구(304)는 세제함(5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0)는 중심에 세탁물 투입구(302)가 형성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버(300)는 일측이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전원 처리부(306)가 제공될 수 있다. 전원 처리부(306)는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된 전원 버튼(102)의 작동에 따라 전원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전원 버튼(102)과 연결된 PCB 기판일 수 있다.
한편, 커버(300)는 도어 걸림부(260)와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 잠금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후크 형태의 도어 걸림부(26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어 걸림부(2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일 수 있다. 따라서, 도어 걸림부(260)가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됨에 따라, 도어(200)가 세탁물 투입구(30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커버(300)는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 힌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힌지(360)는 도어(200)의 일측과 커버(300)의 일측이 연결된 채로 개방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힌지(360)의 일측은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힌지(360)는 세탁물 투입구(302)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긴 곡선의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도어(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어 힌지(360)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따라 도어(200)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커버(300)의 후면에는 프론트 패널(400)이 제공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00)은 터브(70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드럼(600)과 터브(70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부(410)와, 세제함(500)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420)와, 세제함(500)과 결합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제공되는 세제함 개스킷(430)과, 세제함(500) 내부로 급수하는 피팅(440)과, 도어(200)와 접촉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제공되는 도어 개스킷(450)과,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410)는 드럼(600) 및 터브(700)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간을 차폐하는 것으로서, 커버(3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커버(300)와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중심 측에 세탁물 투입구(302)에 대응되는 개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410)의 개방부는 드럼(6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드럼(600)과 터브(700) 사이 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차폐부(410)의 일측에는 세제함(500)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420)가 제공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커버(300)의 세제함 투입구(304)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세제함(500)은 커버(300)의 세제함 투입구(304)를 거쳐 세제함 수용부(420)에 수용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에 의해 가압되는 세제함 개스킷(43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개스킷(430)은 세제함 수용부(420) 단부의 둘레에 배치되어 세제함(500)을 밀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무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세제함 개스킷(430)을 통해 세제함(500) 내부의 세제, 유연제, 및 세제함(500)으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피팅(440)이 제공될 수 있다. 피팅(440)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세제함(500)의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가 세제함(500)을 통해 드럼(600) 및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되므로, 드럼(600) 및 터브(700)로 공급되는 세탁수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차폐부(410)의 개방부에는 도어(200)의 도어 글라스(280)에 의해 가압되는 도어 개스킷(4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스킷(450)은 차폐부(410)의 개방부 단부(예: 개방부의 환형 단부)에 배치되어 도어 글라스(280)를 밀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무 소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폐쇄될 경우, 커버(300)의 세탁물 투입구(302)를 관통한 도어 글라스(280)가 도어 개스킷(450)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드럼(600) 및 터브(700) 내부의 세탁수가 도어(200)의 외부로 누수되지 않을 수 있다.
피팅(440)은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피팅(440)을 통해 세제함(55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세 방향 밸브(three-way balve)일 수 있으며,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로부터 연장되는 공급 유로 중 2개는 세제함(500)에 연결된 피팅(440)에 연결되고, 1개는 도어 개스킷(450)을 통해 직접 드럼(60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세제함(500)은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세제함 손잡이(502)와,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가 투입되는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손잡이(502)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커버(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200) 개방 후, 사용자가 세제함 손잡이(502)를 파지하여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제함(500)의 전면 중앙에 세제함 손잡이(502)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세제함 손잡이(502)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세제함(500)은 내부의 중앙이 구획되어, 각각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할 수 있는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팅(440)은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 투입 공간(506)의 세제 및 유연제는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어(200)를 개방한 후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인출하고,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 각각 세제 및 유연제를 투입할 수 있다. 세제 및 유연제가 채워진 세제함(500)은 다시 세제함 수용부(420)로 삽입될 수 있고, 세탁 과정에 따라,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은 각각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600) 및 터브(700)에 선택적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를 포함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패널(400)은 드럼(600)과 연결될 수 있다. 드럼(600)은 세탁물이 수납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드럼 입구부(610)를 포함하고, 후면에 스파이더(6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드럼(600)의 둘레에는 터브(700)와 유체 연통되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입구부(610)는 차폐부(410)의 개방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드럼 입구부(610)는 드럼(600) 전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드럼 입구부(610)가 차폐부(410)의 개방된 부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프론트 패널(400) 및 드럼(60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이 커버(300)의 세탁물 투입구(302) 및 프론트 패널(400)의 개방된 부분을 거쳐 드럼(60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드럼(600)은 스파이더(680)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스파이더(680)는 후술할 구동 모터(9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서, 드럼(600)과 별도로 제공되어, 드럼(6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드럼(600)의 후면에는 스파이더(68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스파이더(68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스파이더(680)는 중앙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파이더(680)는 드럼(600)의 반지름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3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암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파이더(680)의 중앙은 후술할 드럼 회전축(916)을 통해 후술할 제2 풀리(914)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파이더(680) 및 스파이더(680)에 결합된 드럼(600)이 회전될 수 있다. 드럼(600)의 구체적인 회전 방법은 후술하겠다.
드럼(600)의 외측에는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700)가 제공될 수 있다. 터브(700)는 드럼(6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드럼(600)의 직경보다 기 설정된 길이만큼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700)는 드럼(600)의 외측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된 세탁수는 드럼(60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드럼(60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드럼(600)의 내부 세탁수가 드럼(60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터브(70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드럼(600)과 터브(700)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터브(700)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7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700)의 내측에 히터(702)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터브(700) 내측 홈에 히터(702)가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702)는 터브(700) 내부에 담수된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터브(700)는 리어 패널(800)과 일체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은 벽체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결합되기 위한 앵커가 연결되는 앵커 연결부(802)와, 캐비닛(100)을 고정하는 캐비닛 고정부(804)와, 터브(7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압력센서(80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700)와 리어 패널(800)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리어 패널(800)의 전방으로 터브(700)가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은 별도의 앵커를 통해 벽체에 거치될 수 있다. 앵커는 앵커 연결부(802)를 통과하여 벽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앵커가 리어 패널(800)을 벽체에 거치할 수 있다. 이때, 터브(700)와 리어 패널(800)이 일체로 제공됨으로써, 터브(700)를 지지하는 별도의 댐퍼 또는 탄성부재가 요구되지 않아 부품수가 절감되고, 세탁기(10)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은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810)과, 터브(700)에 담수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 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810)은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조작에 따라 벽걸이형 세탁기(10)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세탁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유닛(810)이 도면을 기준으로 터브(700)의 우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제어 유닛(81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 라인(904)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상술한 전장 장비들과 제어 유닛(810), 구동 모터(91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라인(904)은 리어 패널(800)을 관통하여 리어 패널(800)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전원 라인(904)은 별도의 고정 수단을 통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전원 라인(904)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세탁기(10)의 외관이 미려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의 하부에는 배수 유닛(820)이 제공될 수 있다. 배수 유닛(820)은 터브(700)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리어 패널(800)의 전면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배수 유닛(820)은 세탁수를 가압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수 호스(902)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 호스(902)는 배수 유닛(820)과 연결되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을 따라 외부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배수 유닛(820)의 압력을 통해 세탁수가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과정이 종료된 후, 배수 유닛(820)이 작동되면, 배수 유닛(820)의 압력 변화로 인해 세탁수가 배수 호스(902)를 통해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리어 패널(800)은 복수의 후면 리브(86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리브(860)는 리어 패널(800)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으로서, 리어 패널(800)의 후면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후면 리브(860)는 리어 패널(800) 후면의 외주측에 제공되는 제1 후면 리브(862)와, 리어 패널(800) 후면의 중심측에 제공되는 제2 후면 리브(864)와, 제1 후면 리브(862) 및 제2 후면 리브(864)의 사이에 제공되고 제2 후면 리브(864)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제3 후면 리브(8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후면 리브(863)는 제2 풀리(914)의 링부(914e)에 대한 간섭 또는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서, 링부(914e)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후면 리브(862)는 리어 패널(800) 후면의 외주측에 제공될 수 있고, 후술할 제2 풀리(914)의 외주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 풀리(914)의 외주측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 후면 리브(862)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후면 리브(862), 제2 후면 리브(864) 및 제3 후면 리브(863)는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리브(862, 863, 864)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기준 표면(미표기)보다 상대적으로 리어 패널(800)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보강 구조물일 수 있다.
이때, 제1 후면 리브(862)의 내측인 리어 패널(800)의 중심측에는 제2 후면 리브(864)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후면 리브(864)는 제1 후면 리브(86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후면 리브(863)은 제2 후면 리브(864)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후면 리브(864)는 제2 풀리(914)의 스포크(914d)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 후면 리브(864)는 리어 패널(800)의 후면 중심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풀리(914)의 스포크(914d)는 제2 후면 리브(864)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3 후면 리브(863)는 제2 풀리(914)의 링부(914e)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제3 후면 리브(863)는 리어 패널(800)에서 제1 후면 리브(862) 및 제2 후면 리브(864)의 사이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풀리(914)의 링부(914e)는 제3 후면 리브(863)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리어 패널(800)에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터(91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모터(910)의 모터 몸체는 터브(700)의 바깥쪽 위치를 기준으로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 배치되며, 구동 모터(910)의 모터 회전축은 패널홀(미표기)을 통해서 리어 패널(800)의 후면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리어 패널(800)은 구동 모터(910)의 모터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1 풀리(912)와, 제1 풀리(912)로부터 이격되어서 드럼(600)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 회전축(916)에 설치되는 제2 풀리(914)와, 구동력의 전달을 위해서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를 서로 연결하는 벨트(918)를 포함한다.
또한, 리어 패널(800)은 드럼(600)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 회전축(916)을 포함한다. 드럼 회전축(916)의 일측 단부는 제2 풀리(914)에 축결합되어 있고, 드럼 회전축(916)의 타측 단부는 드럼(600)의 스파이더(680)에 축결합되어 있다.
또한, 리어 패널(800)은 드럼 회전축(916)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917)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는 구동 모터(910)가 제공될 수 있다. 구동 모터(910)는 제어 유닛(8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 유닛(810) 및 배수 유닛(82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의 모터 회전축은 리어 패널(800)의 후면을 향하여 연장되어서, 제 1 풀리(912)에 연결되어 있다.
즉, 구동 모터(910)의 모터 회전축(motor shaft)(미표기)은 리어 패널(800)을 리어 패널(800)의 후면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공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구동 모터(910)의 모터 회전축과 제1 풀리(9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풀리(912)는 벨트(918)를 통해 제2 풀리(91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풀리(914)는 스파이더(680)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916)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허브(914f)와, 허브(914)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스포크(914d)와, 스포크(914d)의 끝단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는 링부(914e)를 포함한다. 링부(914e)의 외표면에는 벨트(918)를 안착시킬 수 있는 홈형상(미표기)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풀리(914)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스포크(914d)의 후면에 형성된 풀리 보강 리브(914a)를 포함하고, 이때, 리어 패널(800)을 향하고 있는 스포크(914d)의 전면에는 평활면(914g)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풀리(914)는 드럼 회전축(916)과의 연결을 위하여 허브(914f)의 중심을 관통하는 결합홀(914b)과, 결합홀(914b)의 외주면을 따라 허브(914f)에 형성된 체결홈(914c)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풀리(914)의 스포크(914d)의 전면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평활면(914g)으로 형성, 즉 플랫(flat) 형태로 형성되어, 제2 후면 리브(864)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2 풀리(914)의 스포크(914d)가 전방으로 굴곡진 형태로 제공되지 않고 플랫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제2 풀리(914)와 결합된 드럼 회전축(916)은 벽체와 더 가깝도록 위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어 패널(800)의 전면 역시 벽체와 더 가깝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리어 패널(800)과 터브(700) 사이의 내부 넓이가 넓어지게 되므로, 터브(700) 내부에 제공되는 드럼(600)의 용량 또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2 풀리(914)는 제2 후면 리브(864) 또는 제3 후면 리브(863)에 접촉 또는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풀리(914)의 스포크(914d)는 비대칭 단면을 가진다. 즉, 제2 풀리(914)의 스포크(914d)의 후면에만 풀리 보강 리브(914a)가 형성되어 있다. 반면, 제2 풀리(914)의 스포크(914d)의 전면에는 별도의 풀리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평활면(914g)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포크(914d)의 전면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제2 후면 리브(864) 또는 제3 후면 리브(863)와 마주보고 있는 평활면(914g)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포크(914d)를 포함한 제2 풀리(914)는 리어 패널(800)의 제2 후면 리브(864) 또는 제3 후면 리브(863)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다. 즉, 제2 후면 리브(864) 및 제3 후면 리브(863)가 리어 패널(800)을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면서도, 제2 풀리(914)의 회전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 수 있다.
제2 풀리(914)의 허브(914f)의 중심에는 결합홀(914b)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914b)은 드럼 회전축(916)의 일측 단부가 관통되는 통로로써, 드럼 회전축(916)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결합홀(914b)을 통과한 드럼 회전축(916)의 일측 단부의 끝에는 체결 부재(916a, 도 5 참조)가 결합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드럼 회전축(916)은 제2 풀리(914)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드럼 회전축(916)의 일측 단부는 제2 풀리(914)의 결합홀(914b)에 삽입된다. 이런 상태에서 체결 부재(916a)는 드럼 회전축(916)의 일측 단부의 끝의 결합구멍에 체결(예: 나사 결합)된다. 그 결과, 체결 부재(916a)의 헤드부는 제2 풀리(914)의 결합홀(914b)의 주변부를 드럼 회전축(916)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베어링(917)의 내륜부 측면 쪽으로 밀착시키듯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체결 부재(916a)의 헤드부가 제2 풀리(914)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2 풀리(914)의 결합홀(914b)의 주변부에는 체결홈(914c)이 제공될 수 있다. 체결홈(914c)은 결합홀(914b)의 주변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체결 부재(916a)의 헤드부에 대응되는 크기의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부재(916a)는 드럼 회전축(916)을 고정하는 나사 또는 볼트일 수 있으며, 체결홈(914c)은 나사 또는 볼트의 헤드부의 직경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된 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 회전축(916)과 제2 풀리(914)가 나사 또는 볼트를 통해 결합될 때 나사 또는 볼트의 헤드부가 체결홈(914c) 내부에 안착되어 제2 풀리(914)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리어 패널(800)이 벽체에 더 가깝게 결합될 수 있다.
드럼 회전축(916)은 베어링(917)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베어링(917)은 리어 패널(800)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리어 패널(800)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베어링(917)은 그의 중심에 드럼 회전축(916)의 직경에 대응되는 홀을 형성하는 내륜부와, 상기 리어 패널(800)과 일체가 되는 외륜부, 및 내륜부 및 외륜부 사이의 복수개의 베어링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베어링(917)의 전면은 별도의 이물질 방지 또는 수밀 수단인 워터씰(미표기)이 더 제공될 수 있다. 터브(700) 내부의 물 또는 수분은 드럼 회전축(916)의 외주면과 베어링(917)의 내륜부의 내주면 사이의 미세 간극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정리하면, 피팅(440)을 통해 터브(700)에 세탁수가 모두 담수되면, 제어 유닛(810)은 구동 모터(9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와 연결된 제1 풀리(912)가 회전하게 되고, 제1 풀리(912)의 회전에 의해, 제2 풀리(914)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풀리(914)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916) 또한 회전하게 되므로, 드럼(600)이 캐비닛(100) 및 터브(700)의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즉, 드럼(600) 내부의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다.
한편,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는 배기 라인(9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배기 라인(920)은 배수 유닛(820)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터브(700) 및 배수 유닛(8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 라인(920)은 배수 호스(902)와 연결되고, 리어 패널(800)을 관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까지 연장되어 외부로 배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1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도어(200)를 개방하여, 드럼(600)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고, 프론트 패널(400)에서 세제함(500)을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세제함(500)은 중앙이 구획되어, 세제 및 유연제를 각각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세제 및 유연제를 투입한 세제함(500)을 다시 프론트 패널(400)에 삽입한 후, 사용자는 도어(200)를 폐쇄하고, 전원 버튼(102) 및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세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세탁 작동이 시작되면,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통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는 피팅(440)을 통해 세제함(500)으로 급수될 수 있으며, 세탁수는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통과한 후 드럼(600) 및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될 수 있다. 즉, 드럼(600) 및 터브(700)에 담수되는 세탁수는 세제 및 유연제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터브(700)에 세탁수가 모두 채워지면, 제어 유닛(810)은 구동 모터(9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는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풀리(914)는 드럼 회전축(916)을 통해 드럼(600)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구동 모터(910)를 통해 드럼(600)이 회전될 수 있다. 즉, 드럼(600)의 회전에 의해, 드럼(600)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용이하게 세탁될 수 있다.
이때, 제2 풀리(914)는 플랫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풀리(914)는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공될 수 있고, 드럼 회전축(916)이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은 후면에 제1 후면 리브(862) 및 제2 후면 리브(86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풀리(914)는 제2 후면 리브(864) 또는 제3 후면 리브(863)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후면 리브(864)를 바라보는 방향에 위치한 제2 풀리(914)의 스포크(914d)가 플랫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제2 풀리(914)와 결합되는 드럼 회전축(916) 또한 벽체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고, 드럼 회전축(916)을 지지하는 베어링(917) 또한 벽체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917)과 일체로 형성된 리어 패널(800)이 벽체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리어 패널(800) 내부에 배치되는 드럼(600)이 종래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드럼(600) 내부의 용량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벽걸이형 세탁기 100: 캐비닛
200: 도어 300: 커버
400: 프론트 패널 500: 세제함
600: 드럼 700: 터브
800: 리어 패널 810: 제어 유닛
820: 배수 유닛 860: 후면 리브
862: 제1 후면 리브 863: 제3 후면 리브
864: 제2 후면 리브 910: 구동 모터
912: 제1 풀리 914: 제2 풀리
914a: 풀리 보강 리브 914b: 결합홀
914c: 체결홈 914d: 스포크
914e: 링부 914f: 허브
916: 드럼 회전축 917: 베어링
918: 벨트 920: 배기 라인

Claims (16)

  1.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을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세탁물 투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상기 리어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터브를 감싸는 캐비닛;
    상기 리어 패널의 전면에 제공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는 제1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고, 플랫(flat) 형태의 스포크가 구비되어 있는 제2 풀리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패널은 후면에 복수의 후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리브는,
    외주측에 제공되는 제1 후면 리브; 및
    상기 제1 후면 리브 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상기 리어 패널 후면의 중심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제2 후면 리브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리브는,
    상기 제1 후면 리브 및 상기 제2 후면 리브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2 후면 리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제3 후면 리브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드럼의 후면의 스파이더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허브;
    상기 허브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스포크; 및
    상기 스포크의 끝단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는 링부;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풀리의 상기 스포크는,
    상기 스포크의 후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풀리 보강 리브; 및
    상기 스포크의 전면에 형성된 평활면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는,
    상기 풀리 보강 리브 및 상기 평활면에 의해 비대칭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벽결이형 세탁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면 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스포크의 상기 평활면이 제공되고,
    상기 제2 후면 리브는 상기 제2 풀리의 상기 스포크의 전면의 상기 평활면과 접촉하지 않는 벽걸이형 세탁기.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면 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스포크의 상기 평활면이 제공되고,
    상기 제2 후면 리브는 상기 제2 풀리의 상기 스포크의 전면의 상기 평활면과 접촉하지 않는 벽걸이형 세탁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 회전축이 결합되는 결합홀;
    상기 드럼 회전축과 상기 제2 풀리를 서로 고정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결합홀의 주변부에 제공되고, 상기 체결 부재의 헤드부가 안착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2 풀리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벽걸이형 세탁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 회전축이 회전되도록 축 지지하고, 상기 리어 패널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상기 리어 패널과 일체로 제공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11. 벽체에 고정되며, 회전 가능하게 드럼이 설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리어 패널로서,
    전면에 제공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후면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후면 리브; 및
    상기 구동 모터로부터 제1 풀리 및 벨트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 받는 제2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리브는,
    동일한 높이로 제공되는 복수의 제1 후면 리브; 및
    상기 제1 후면 리브보다 상대적으로 낮고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2 후면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풀리의 스포크가 상기 제2 후면 리브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리어 패널.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면 리브는 상기 리어 패널의 후면의 외주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2 후면 리브는 상기 제1 후면 리브의 내측인 후면의 중심측에 제공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리어 패널.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스포크의 후면에 복수의 풀리 보강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풀리의 상기 스포크의 전면은 상기 제2 후면 리브와 접촉하지 않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리어 패널.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드럼의 드럼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드럼 회전축은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상기 베어링은 상기 리어 패널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리어 패널.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드럼 회전축과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드럼 회전축의 허브의 중심을 관통하는 결합홀;
    상기 제2 풀리의 상기 허브를 상기 드럼 회전축에 고정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결합홀의 주변부에 제공되고, 상기 체결 부재의 헤드부가 안착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리어 패널.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2 풀리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리어 패널.


KR1020170074620A 2017-06-14 2017-06-14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KR20180136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620A KR20180136084A (ko) 2017-06-14 2017-06-14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US15/892,238 US20180363225A1 (en) 2017-06-14 2018-02-08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rear panel of the same
CN201810574149.9A CN109082849A (zh) 2017-06-14 2018-06-06 壁装式洗衣机及其后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620A KR20180136084A (ko) 2017-06-14 2017-06-14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084A true KR20180136084A (ko) 2018-12-24

Family

ID=6465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620A KR20180136084A (ko) 2017-06-14 2017-06-14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363225A1 (ko)
KR (1) KR20180136084A (ko)
CN (1) CN1090828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3929B1 (en) 2016-11-21 2021-01-0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door assembly for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164515B1 (ko) * 2019-06-26 2020-10-12 뉴모텍(주) 건조기의 동력 전달용 풀리 조립체
CN111041840A (zh) * 2019-12-25 2020-04-21 安徽恒益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家纺的抗起毛起球面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305B1 (ko) * 2002-12-11 2005-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모터 드럼세탁기
GB2396395B (en) * 2002-12-21 2005-09-14 Rolinx Plastics Company Ltd Improved pulleys
GB2412711A (en) * 2005-06-20 2005-10-05 Rolinx Plastics Company Ltd Metal and plastic pulley
JP2009078056A (ja) * 2007-09-27 2009-04-16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20100045316A (ko) * 2008-10-23 2010-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06120252B (zh) * 2011-12-08 2020-07-03 大宇电子株式会社 壁装式滚筒洗衣机
WO2013085298A1 (ko) * 2011-12-08 2013-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CN203962934U (zh) * 2014-01-15 2014-11-26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皮带轮和洗衣机
KR102257346B1 (ko) * 2014-08-22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82849A (zh) 2018-12-25
US20180363225A1 (en)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1343B1 (en) Drain system of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2270522B1 (ko) 세탁기
US20180363227A1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door thereof
US20180363198A1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door thereof
KR20180136095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KR20180136094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KR102459165B1 (ko) 세탁기
KR20180136084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KR101461388B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102368505B1 (ko) 벽걸이형 세탁기
KR20180136088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US20180363222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container thereof
KR20180136108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US20180363217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detergent container of wall-mounted washing machine, and front panel of wall-mounted washing machine
KR20180136109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KR20180136087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KR20180136110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피팅
KR20180136083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
US20180363218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US20180363219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EP3670733B1 (en) Washing machine detergent supply device
KR20180136092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터브 일체형 리어 패널,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터브 일체형 리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금형
KR102368499B1 (ko) 벽걸이형 세탁기
KR20180136107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KR20180136093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