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093A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6093A KR20180136093A KR1020170074629A KR20170074629A KR20180136093A KR 20180136093 A KR20180136093 A KR 20180136093A KR 1020170074629 A KR1020170074629 A KR 1020170074629A KR 20170074629 A KR20170074629 A KR 20170074629A KR 20180136093 A KR20180136093 A KR 201801360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supply
- front panel
- valve assembly
- tu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2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 F16K11/2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with an electromagnetically-operated valve, e.g. for washing mach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with electric means, e.g. electric switches, to control the motor or to control a clutch between the valve and the mo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조립 공정상에 소요되는 비용 증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을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세탁물 투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상기 커버를 기반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상기 리어 패널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결합된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 하측 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수와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포에서 오염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에 의한 화학적 작용과 세탁수 및 내조(inner basket)의 기계적 작용에 의해 세탁포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탁기는 세탁물의 투입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의 세탁기,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의 세탁기, 탑 로딩 방식과 프론트 로딩 방식이 결합된 복합 형태의 세탁기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최근에는 욕실이나 화장실 등 좁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출시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벽걸이형 세탁기는 소형화를 위해 프론트 로딩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벽걸이형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세탁수가 채워지는 터브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드럼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터브로부터 세탁수를 캐비닛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는 미리 정한 타이밍에 맞춰서 세제 또는 유연제를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로 또는 각각의 관로마다 설치된 전자식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세제를 물에 섞어 만든 세제액을 터브의 내부로 제공하기 위한 세제액 공급용 관로와, 유연제를 물에 섞어 만든 유연제액을 터브의 내부로 제공하기 위한 유연제액 공급용 관로를 각각 더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복수개의 관로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누수 지점이 상대적으로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가 일반적인 탑 로딩(Top Loading) 방식의 세탁기에 비하여 케이싱 내부 체적이 매우 협소할 경우, 관로를 구성하는 구성품, 예컨대 튜브, 피팅(fitting)의 배치 또는 관로의 추가 설치가 매우 어렵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에서는 관로에 해당하는 급수 호수의 끝단이 설치 구조물의 구멍에 직접 결합되어 있으므로, 급수 호스의 끝단 삽입 깊이가 일정하지 않고, 급수 호스의 끝단과 설치 구조물의 구멍간 결합이 느슨하여 제품 불량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벽걸이형 세탁기에서의 복수개의 급수용 배관 및 제어밸브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세탁기의 기능 추가에 따른 급수용 배관의 확장 설치가 가능하여 세탁기의 품질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조립 공정상에 소요되는 비용 증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을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세탁물 투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상기 커버를 기반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상기 리어 패널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결합된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 하측 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측면에서 연장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외곽을 따라 연장된 베이스벽; 상기 베이스벽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판에서 돌출된 판 보강리브; 및 상기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벽 및 상기 판 보강리브를 기준으로 상기 확장부에서 돌출된 복수개의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각각의 끝단에는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의 상기 서포트는,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프론트 패널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기 확장부에서 경사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 또는 상기 판 보강리브에서 이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트의 볼트 구멍에 각각 체결되는 받침 다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는, 상기 볼트 구멍이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향하는 상기 서포트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는,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상기 베이스판 또는 상기 판 보강리브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돌출 높이를 갖는다.
상기 서포트는, 상기 베이스판 또는 상기 판 보강리브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서포트 기저부; 및 상기 서포트 기저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어서 단차를 가지고 있고, 상기 서포트 기저부로부터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서포트 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어 유닛;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을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세탁물 투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상기 커버를 기반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상기 리어 패널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결합된 캐비닛; 상기 터브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 유닛;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 하측 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터브, 상기 드럼 및 상기 건조 유닛 중 하나 이상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확장부; 상기 확장부에서 돌출되어 있고, 볼트 구멍이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서포트; 및 상기 프론트 패널의 상부에 형성되고, 세제함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트에 지지되어서, 상기 확장부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에 공급된 물이 상기 세제함의 세제 투입 공간에 제공되거나, 상기 물이 상기 세제 투입 공간으로부터 구획된 유연제 투입 공간에 제공되거나, 상기 물이 상기 프론트 패널의 개방부에 설치된 물 분사 노즐에 제공되거나, 상기 물이 상기 건조 유닛의 건조 덕트에 제공되기 위하여, 상기 물의 유동을 위한 복수개의 유체 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몸체부; 및 상기 유체 경로에서 물의 공급 또는 차단이 필요한 유체 경로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몸체부가 상기 서포트에 볼트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제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전자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을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세탁물 투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상기 커버를 기반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상기 리어 패널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결합된 캐비닛; 상기 프론트 패널의 상부에 형성되고, 세제함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 및 상기 터브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 유닛;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부 하측 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는 밸브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몸체부의 입수측에는 입수 배관이 관통하게 연결되고, 상기 밸브 몸체부의 출수측에는 복수개의 배관이 각각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
또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입수측과 상기 입수 배관을 서로 연결하여, 물을 유동시키는 배관 커플러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 커플러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하측의 확장부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 커플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커플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고정부에는 볼트 체결용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제 1 출수부와 상기 세제함 수용부의 제 1 피팅을 상호 연결하는 제 1 배관; 상기 밸브 몸체부의 제 2 출수부와 상기 세제함 수용부의 제 2 피팅을 상호 연결하는 제 2 배관; 및 상기 밸브 몸체부의 제 3 출수부와 상기 프론트 패널의 물 분사 노즐을 상호 연결하는 제 3 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몸체부로부터 출수된 물을 입수 받고, 물의 유동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배출시키는 분기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분기배관은,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로부터 물을 제공받도록 상기 분기배관에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의 반대쪽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분기배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의 반대쪽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분기배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배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제 1 출수부와 상기 분기배관의 유입구를 상호 연결하는 제 1 연결관; 상기 분기배관의 제 1 배출구와 상기 세제함 수용부의 제 1 피팅을 상호 연결하는 제 2 연결관; 상기 분기배관의 제 2 배출구와 상기 프론트 패널의 물 분사 노즐을 상호 연결하는 제 3 연결관; 상기 밸브 몸체부의 제 2 출수부와 상기 세제함 수용부의 제 2 피팅을 상호 연결하는 제 4 연결관; 및 상기 밸브 몸체부의 제 3 출수부와 상기 건조 유닛의 건조 덕트의 급수 노즐을 상호 연결하는 제 5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공급 유로인 배관과 피팅간 연결 작업을 매우 용이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탁기의 외장품에 해당하는 캐비닛과 세탁기 내부의 내장품 사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탁기의 기능(예: 건조 기능, 세탁물에 물을 직접 분사하는 기능 등)을 용이하게 추가 또는 확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탁기의 기능 확장에 따른 배관 및 피팅의 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프론트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프론트 패널에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몸체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밸브 몸체부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싱글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싱글 브래킷에 제 1 제어밸브가 결합된 정면도이다.
도 14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건조 유닛을 갖는 세탁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프론트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프론트 패널에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몸체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밸브 몸체부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싱글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싱글 브래킷에 제 1 제어밸브가 결합된 정면도이다.
도 14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건조 유닛을 갖는 세탁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10)는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캐비닛(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캐비닛(100)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200)와, 도어(200)가 개폐되도록 도어(200)와 연결되는 커버(300)와, 커버(300)의 후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400)과, 프론트 패널(400)의 일측에 수용되고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세제함(500)과,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600)과, 드럼(600)을 감싸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700)와,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8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면은 벽체와 가까운 면을 의미하고, 전면은 후면과 반대되는 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0)은 내부가 빈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 버튼(102)과, 커버(300)와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104)와, 리어 패널(800)과 연결되는 리어 패널 연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102)은 캐비닛(10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세탁기(10)의 온오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 버튼(102)은 캐비닛(100)의 전면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닛(100)의 전면 하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전원 버튼(10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캐비닛(100)의 전면 좌측이나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커버(300)와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연결부(104)는 캐비닛(100)의 개방된 전면 테두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커버(300)가 캐비닛(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3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300)는 캐비닛(100) 내부의 후면에서 전면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커버 연결부(104)의 직경이 커버(300)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커버(300)는 커버 연결부(104)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커버(300)는 캐비닛(100)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캐비닛(100)은 리어 패널(800)과 연결되는 리어 패널 연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패널 연결부(106)는 캐비닛(100)의 개방된 후면 테두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리어 패널(8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리어 패널(800)과 볼트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리어 패널 연결부(106)에는 복수 개의 볼트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0)의 전면에는 도어(2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200)는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볼트 결합될 수 있고, 커버 연결부(104)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어 내부 프레임(230)은 커버 연결부(104)와 접촉될 수 있으며,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캐비닛(100)에 연결된 커버(300)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커버(300)와의 연결을 위한 도어 힌지 연결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힌지 연결부(232)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커버(300)의 도어 힌지(36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사이 공간에는 디스플레이(202)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2)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면이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디스플레이(202)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미표기)을 포함하거나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02)는 입력 또는 출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작동 상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터치를 통한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2)에 대한 터치 조작을 수행하여 세탁 및 헹굼 등의 과정을 선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잔여 세탁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202)는 보호 유리(204)를 통해 보호될 수 있다. 보호 유리(204)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투명하게 제공되어 디스플레이(202)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보호 유리(204)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과 같은 직경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보호 유리(204)의 일측에는 홀(미표기)이 제공될 수 있고, 홀(미표기)을 통해 도어 개방 버튼(21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어 개방 버튼(210)은 전자식 개폐방식을 사용하여 캐비닛(100)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서,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제공될 수 있고, 보호 유리(204)의 홀(미표기)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도어(200)는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커버(300)의 일측에 접촉 및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개방 유닛(250)은 개폐 보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탄성력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방 유닛(250)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도어(200) 개방 시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00)가 폐쇄되어있을 경우에는, 도어 개방 유닛(250)이 압축되어 커버(300)의 일측에 제공된 홈(미표기)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210)을 조작하여 도어(200)가 개방되면, 도어 개방 유닛(250)은 커버(300)의 일측 홈(미표기)에서 이탈되고, 이완된 채로 커버(300)의 일측 홈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도어 개방 유닛(250)의 이완된 길이만큼 도어(200)와 커버(300)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도어(200)가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 형성된 가이드 구조물 내에 위치하거나, 미리 정한 스트로크 범위로 직선 이동하여 돌출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푸셔 스템 조립체(pusher stem assembly)일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개방 유닛(25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부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외부로 돌출된 후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은 후술할 커버(300)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가 폐쇄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0)는 도어 개방 버튼(210)을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210)을 작동하면,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가 커버(300)에서 이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는 커버(3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탄성력을 갖는 도어 개방 유닛(250)이 이완되어 커버(30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와 커버(300)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제공되어, 자동으로 도어(200)가 닫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커버(300) 측으로 도어(20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도어(200)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어(200)의 가장 외측인 보호 유리(204)의 일측을 누를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 개방 유닛(250)이 압축되어 커버(300)의 홈(미표기)으로 수용될 수 있고,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이 커버(300)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별도의 핸들 없이 도어(200)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중심 측은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중심 측에 도어 글라스(28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 글라스(280)는 세탁기(10) 외부에서 내부의 세탁물을 볼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어 글라스(280)는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도어 글라스(280)의 돌출된 측은 커버(300)의 개방된 측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도어(200)는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300)는 프론트 패널(400)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302)와, 세제함(500)을 투입할 수 있는 세제함 투입구(304)와, 전원 버튼(102)을 제어하는 전원 처리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물 투입구(302)를 통해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02)는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세탁물 투입구(302)의 직경은 도어 글라스(280)의 돌출된 부분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폐쇄되면, 도어 글라스(280)가 세탁물 투입구(302)를 막을 수 있고, 사용자가 도어(200)를 개방하면, 도어 글라스(280)가 세탁물 투입구(302)에서 이탈되어, 세탁물 투입구(302)를 통한 세탁물의 투입이 가능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02)의 상측에는 세제함(500)을 투입할 수 있는 세제함 투입구(304)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세제함 투입구(304)는 세제함(5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0)는 중심에 세탁물 투입구(302)를 구비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버(300)는 일측이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전원 처리부(306)가 제공될 수 있다. 전원 처리부(306)는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된 전원 버튼(102)의 작동에 따라 전원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전원 버튼(102)과 연결된 PCB 기판일 수 있다.
한편, 커버(300)는 도어 걸림부(260)와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 잠금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후크 형태의 도어 걸림부(26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어 걸림부(2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일 수 있다. 따라서, 도어 걸림부(260)가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됨에 따라, 도어(200)가 세탁물 투입구(30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커버(300)는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 힌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힌지(360)는 도어(200)의 일측과 커버(300)의 일측이 연결된 채로 개방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힌지(360)의 일측은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힌지(360)는 세탁물 투입구(302)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긴 곡선의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도어(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어 힌지(360)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따라 도어(200)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커버(300)의 후면에는 프론트 패널(400)이 제공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00)은 터브(70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드럼(600)과 터브(70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부(410)와, 세제함(500)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420)와, 세제함(500)과 결합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제공되는 세제함 개스킷(430)과, 세제함(500) 내부로 급수하는 피팅(440)과, 도어(200)와 접촉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제공되는 도어 개스킷(450)과,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410)는 드럼(600) 및 터브(700)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간을 차폐하는 것으로서, 커버(3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커버(300)와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중심 측에 세탁물 투입구(302)에 대응되는 개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410)의 개방부는 드럼(6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드럼(600)과 터브(700) 사이 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차폐부(410)의 일측에는 세제함(500)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420)가 제공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커버(300)의 세제함 투입구(304)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세제함(500)은 커버(300)의 세제함 투입구(304)를 거쳐 세제함 수용부(420)에 수용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에 의해 가압되는 세제함 개스킷(43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개스킷(430)은 세제함 수용부(420) 단부의 둘레에 배치되어 세제함(500)을 밀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무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세제함 개스킷(430)을 통해 세제함(500) 내부의 세제, 유연제, 및 세제함(500)으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피팅(440)이 제공될 수 있다. 피팅(440)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세제함(500)의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가 세제함(500)을 통해 드럼(600) 및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되므로, 드럼(600) 및 터브(700)로 공급되는 세탁수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차폐부(410)의 개방부에는 도어(200)의 도어 글라스(280)에 의해 가압되는 도어 개스킷(4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스킷(450)은 차폐부(410)의 개방부 단부(예: 개방부의 환형 단부)에 배치되어 도어 글라스(280)를 밀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무 소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폐쇄될 경우, 커버(300)의 세탁물 투입구(302)를 관통한 도어 글라스(280)가 도어 개스킷(450)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드럼(600) 및 터브(700) 내부의 세탁수가 도어(200)의 외부로 누수되지 않을 수 있다.
피팅(440)은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피팅(440)을 통해 세제함(55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세 방향 밸브(three-way valve)일 수 있으며,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로부터 연장되는 공급 유로 중 2개는 세제함(500)에 연결된 피팅(440)에 연결되고, 1개는 도어 개스킷(450)을 통해 직접 드럼(60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세제함(500)은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세제함 손잡이(502)와,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가 투입되는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손잡이(502)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커버(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200) 개방 후, 사용자가 세제함 손잡이(502)를 파지하여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제함(500)의 전면 중앙에 세제함 손잡이(502)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세제함 손잡이(502)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세제함(500)은 내부의 중앙이 구획되어, 각각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할 수 있는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팅(440)은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는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 투입 공간(506)의 세제 및 유연제는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어(200)를 개방한 후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인출하고,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 각각 세제 및 유연제를 투입할 수 있다. 세제 및 유연제가 채워진 세제함(500)은 다시 세제함 수용부(420)로 삽입될 수 있고, 세탁 과정에 따라,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은 각각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600) 및 터브(700)에 선택적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를 포함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패널(400)은 드럼(600)과 연결될 수 있다. 드럼(600)은 세탁물이 수납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드럼 입구부(610)를 포함하고, 후면에 스파이더(6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드럼(600)의 둘레에는 터브(700)와 유체 연통되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입구부(610)는 차폐부(410)의 개방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드럼 입구부(610)는 드럼(600) 전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드럼 입구부(610)가 차폐부(410)의 개방된 부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프론트 패널(400) 및 드럼(60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이 커버(300)의 세탁물 투입구(302) 및 프론트 패널(400)의 개방된 부분을 거쳐 드럼(60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드럼(600)은 스파이더(680)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스파이더(680)는 후술할 구동 모터(9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서, 드럼(600)과 별도로 제공되어, 드럼(6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드럼(600)의 후면에는 스파이더(68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스파이더(68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스파이더(680)는 중앙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파이더(680)는 드럼(600)의 반지름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3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암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파이더(680)의 중앙은 후술할 드럼 회전축(916)을 통해 후술할 제2 풀리(914)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파이더(680) 및 스파이더(680)에 결합된 드럼(600)이 회전될 수 있다. 드럼(600)의 구체적인 회전 방법은 후술하겠다.
드럼(600)의 외측에는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700)가 제공될 수 있다. 터브(700)는 드럼(6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드럼(600)의 직경보다 기 설정된 길이만큼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700)는 드럼(600)의 외측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된 세탁수는 드럼(60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드럼(60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드럼(600)의 내부 세탁수가 드럼(60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터브(70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드럼(600)과 터브(700)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터브(700)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7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700)의 내측에 히터(702)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터브(700) 내측 홈에 히터(702)가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702)는 터브(700) 내부에 담수된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터브(700)는 리어 패널(800)과 일체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은 벽체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결합되기 위한 앵커가 연결되는 앵커 연결부(802)와, 캐비닛(100)을 고정하는 캐비닛 고정부(804)와, 터브(7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80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700)와 리어 패널(800)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리어 패널(800)의 전방으로 터브(700)가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은 별도의 앵커를 통해 벽체에 거치될 수 있다. 앵커는 앵커 연결부(802)를 통과하여 벽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앵커가 리어 패널(800)을 벽체에 거치할 수 있다. 이때, 터브(700)와 리어 패널(800)이 일체로 제공됨으로써, 터브(700)를 지지하는 별도의 댐퍼 또는 탄성부재가 요구되지 않아 부품수가 절감되고, 세탁기(10)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터브(700)가 제공되는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는 터브(700)를 감싸도록 캐비닛(1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리어 패널(800)의 둘레를 따라 계단 형태를 갖도록 캐비닛 고정부(804)가 제공될 수 있고, 캐비닛 고정부(804)에 캐비닛(10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볼트 등의 체결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리어 패널(800)은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810)과, 터브(700)에 담수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 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810)은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벽걸이형 세탁기(10)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세탁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유닛(810)이 도면을 기준으로 터브(700)의 우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제어 유닛(81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 라인(904)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상술한 전장 장비들과 제어 유닛(810), 구동 모터(91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라인(904)은 리어 패널(800)을 관통하여 리어 패널(800)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전원 라인(904)은 별도의 고정 수단을 통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전원 라인(904)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세탁기(10)의 외관이 미려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의 하부에는 배수 유닛(820)이 제공될 수 있다. 배수 유닛(820)은 터브(700)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리어 패널(800)의 전면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배수 유닛(820)은 세탁수를 가압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수 호스(902)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 호스(902)는 배수 유닛(820)과 연결되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을 따라 외부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배수 유닛(820)의 압력을 통해 세탁수가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과정이 종료된 후, 배수 유닛(820)이 작동되면, 배수 유닛(820)의 압력 변화로 인해 세탁수가 배수 호스(902)를 통해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리어 패널(800)에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910)와, 구동 모터(910)와 연결되는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와, 제2 풀리(914)와 연결되어 드럼(600)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축(916)과,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를 연결하는 벨트(91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는 구동 모터(910)가 제공될 수 있다. 구동 모터(910)는 제어 유닛(8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 유닛(810) 및 배수 유닛(82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910)는 제1 풀리(91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의 축(shaft)(미표기)은 리어 패널(800)을 관통하여 제공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구동 모터(910)의 축(미표기)과 제1 풀리(9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풀리(912)는 벨트(918)를 통해 제2 풀리(91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풀리(914)는 스파이더(680)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916)을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드럼 회전축(916)은 스파이더(680)와 연결된 채로 리어 패널(800)을 관통할 수 있다. 즉,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제2 풀리(914)와 드럼 회전축(916)이 연결될 수 있다.
정리하면, 피팅(440)을 통해 터브(700)에 세탁수가 모두 담수되면, 제어 유닛(810)은 구동 모터(9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와 연결된 제1 풀리(912)가 회전하게 되고, 제1 풀리(912)의 회전에 의해, 제2 풀리(914)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풀리(914)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916) 또한 회전하게 되므로, 드럼(600)이 캐비닛(100) 및 터브(700)의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즉, 드럼(600) 내부의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다.
한편,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는 배기 라인(9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배기 라인(920)은 배수 유닛(820)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터브(700) 및 배수 유닛(8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 라인(920)은 배수 호스(902)과 연결되고, 리어 패널(800)을 관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까지 연장되어 외부로 배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1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도어(200)를 개방하여, 드럼(600)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고, 프론트 패널(400)에서 세제함(500)을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세제함(500)은 중앙이 구획되어, 세제 및 유연제를 각각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세제 및 유연제를 투입한 세제함(500)을 다시 프론트 패널(400)에 삽입한 후, 사용자는 도어(200)를 폐쇄하고, 전원 버튼(102) 및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세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세탁 작동이 시작되면,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통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는 피팅(440)을 통해 세제함(500)으로 급수될 수 있으며, 세탁수는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통과한 후 드럼(600) 및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될 수 있다. 즉, 드럼(600) 및 터브(700)에 담수되는 세탁수에는 세제 및 유연제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터브(700)에 세탁수가 모두 채워지면, 제어 유닛(810)은 구동 모터(9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는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풀리(914)는 드럼 회전축(916)을 통해 드럼(600)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구동 모터(910)를 통해 드럼(600)이 회전될 수 있다. 즉, 드럼(600)의 회전에 의해, 드럼(600)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용이하게 세탁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프론트 패널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프론트 패널에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몸체부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밸브 몸체부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싱글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싱글 브래킷에 제 1 제어밸브가 결합된 정면도이고, 도 14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프론트 패널(400)은, 배관(20, 21, 22, 2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누수 지점 및 급수 라인 구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으로서 피팅(440) 및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갖는다.
도 5를 참조하면,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의 입수측에는 입수 배관(20)이 배관된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의 출수측에는 다수의 물 사용처로 보내기 위한 배관(21, 22, 23)들이 배관된다.
예컨대, 피팅(440), 즉 제 1 피팅(441) 또는 제 2 피팅(442)에 관통하게 결합되는 배관(21, 22, 23)은 튜브, 파이프, 호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배관(21, 22, 23)은 가요성 재질 또는 휨 변형이 가능한 연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1 배관(21)은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의 밸브 몸체부(4880)의 제 1 출수부(4871)와 상기 세제함 수용부(420)의 제 1 피팅(441)을 상호 연결한다.
또한, 제 2 배관(22)은 상기 밸브 몸체부(4880)의 제 2 출수부(4872)와 상기 세제함 수용부(420)의 제 2 피팅(442)을 상호 연결한다.
또한, 제 3 배관(23)은 상기 밸브 몸체부(4880)의 제 3 출수부(4873)와 상기 프론트 패널(400)의 물 분사 노즐(4860)을 상호 연결한다.
물 분사 노즐(4860)은 드럼(600)의 내부 공간 또는 드럼(600)의 내부의 세탁물을 향하여 직접 물을 분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물 분사 노즐(4860)은 프론트 패널(400)의 개방부(460)(도 6 참조) 및 도어 개스킷(450)에 마련된 노즐 설치 구멍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물 분사 노즐(4860)의 노즐 구멍은 프론트 패널(400)의 개방부(460)의 내측 위치를 기준으로 도어 개스킷(450)의 몸체부를 관통한 후, 드럼(300)의 내측 공간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또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세탁기 내부의 부품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프론트 패널(400)에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프론트 패널(400)은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400)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확장부(411)를 포함한다.
확장부(411)는 프론트 패널(400)의 하측에서 프론트 패널(400)의 좌측 코너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 7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411)는 프론트 패널(400)의 측면에서 연장된 베이스판(412)과, 상기 베이스판(412)의 외곽을 따라 연장된 베이스벽(413)을 포함한다.
또한, 확장부(411)는 상기 베이스벽(413)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판(412)에서 돌출된 판 보강리브(414)를 포함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확장부(411)는 베이스판(412), 베이스벽(413) 및 판 보강리브(414)를 기준으로 상기 확장부(411)에서 돌출된 복수개의 서포트(415)를 포함한다.
확장부(411)는 프론트 패널(400)의 사출 성형시, 베이스판(412), 베이스벽(413), 판 보강리브(414) 및 서포트(415)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415) 각각의 끝단에는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볼트 결합 방식으로 탈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서포트(415)의 볼트 구멍은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향하는 상기 서포트(415)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가 프론트 패널(4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기 확장부(411)에서 경사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확장부(411)의 서포트(415)는 상기 베이스판(412) 또는 상기 판 보강리브(414)에서 이격 배치되어 있다.
한편,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서포트(415)의 볼트 구멍에 각각 체결되는 받침 다리부(4850)를 포함한다.
받침 다리부(4850)는 서포트(415)의 상부 끝단을 덮을 수 있도록,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의 밸브 몸체부(488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의 받침 다리부(4850)의 개수 및 배치는 서포트(415)의 개수 및 배치에 대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서포트(415)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상기 베이스판(412) 또는 상기 판 보강리브(414)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돌출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서포트(415)는 상기 베이스판(412) 또는 상기 판 보강리브(414)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서포트 기저부(415a); 및 상기 서포트 기저부(415a)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어서 단차를 가지고 있고, 상기 서포트 기저부(415a)로부터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서포트 연장부(415b)를 포함한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서포트(415)의 볼트 구멍은 서포트 연장부(415b)의 끝단부에 형성된 볼트 구멍을 의미한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의 설치용 볼트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의 받침 다리부(4850)의 홀을 통과한 후, 서포트 연장부(415b)의 끝단부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가 서포트(415)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고정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상기 프론트 패널(400)의 정면의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확장부(411)에서 상향 경사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그 결과 캐비닛(100)의 내표면과 간섭을 제거할 수 있고, 세탁기 내부의 부품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400)은 하측에 형성된 확장부(411)와, 확장부(4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쪽 또는 프론트 패널(4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세제함(500)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420)를 포함한다.
세제함(500)은 세제함 수용부(420)에 삽입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제함(500)이 진입 또는 체결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함 수용부(420)의 정면 및 배면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세제함(500)은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도록, 중각 격벽을 기준으로 구획되어 있는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포함한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 투입 공간(504)에 물이 공급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세제함 수용부(420)의 상면 일측에서 돌출된 제 1 피팅 안착부(421)를 포함한다.
또한, 세제함 수용부(420)는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 물이 공급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세제함 수용부(420)의 상면 타측에서 돌출된 제 2 피팅 안착부(422)를 포함한다.
이런 제 1 피팅 안착부(421) 및 제 2 피팅 안착부(422)는 제 1 피팅(441) 또는 제 2 피팅(442)을 지지하는 역할과, 마찰에 의해 고정하는 역할과, 수밀을 유지하여 세탁기 내부에서 누수 지점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런 제 1 피팅 안착부(421) 및 제 2 피팅 안착부(422)에는 피팅 홀(423, 424)이 형성되어 있다.
물을 공급하는 배관(21, 22)의 피팅에 해당하는 제 1 피팅(441) 또는 제 2 피팅(442)은 피팅 홀(423, 424)에 결합된다.
피팅 홀(423, 424)은 세제함 수용부(420)의 상면을 관통하여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제 1 피팅 안착부(421) 및 제 2 피팅 안착부(422) 각각의 중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1 피팅(441) 또는 제 2 피팅(442)은 배관(21, 22)의 끝단과 상기 피팅 홀(423, 424)의 사이에 결합되는 엘보형 관부재일 수 있다.
한편, 제 1 피팅(441) 및 제 2 피팅(442) 각각은 해당 배관(21, 22)의 끝단과 결합되는 배관 체결부(443)와, 상기 배관 체결부에 관통하게 형성된 수평 중공부(444)와, 상기 수평 중공부(444)에 관통하게 연결되고, 해당 피팅 홀(423, 424)에 삽입되는 수직 중공부(445)를 포함한다.
이때, 각 피팅(441, 442)의 수직 중공부(445)의 외주면에는 오링 장착홈(446)이 형성되어 있다.
각 피팅(441, 442)은 오링(447)을 포함한다. 오링(447)은 오링 장착홈(446)에 결합되어서, 피팅 홀(423, 424)의 내주면과 각 피팅(441, 442)의 수직 중공부(445)의 외주면 사이의 갭을 제거하여 수밀 성능 및 고정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피팅(441, 442)은 피팅(441, 442)의 수직 중공부(445)의 저부 끝단과 상기 피팅 홀(423, 424)의 저부 끝단이 상호 동일한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세제함(500)이 세제함 수용부(420)에 삽입될 때, 세제함(500)과 피팅(441, 442)이 서로 간섭 되지 않을 수 있다.
외부 급수원의 물 또는 세탁수와 같은 유체는 외부 급수원의 유체 압력에 의해 입수 배관(20) 및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에 유입 또는 급수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유체 압력에 의해 유체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의 출수측의 각종 배관(21, 22, 23)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이렇게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서포트(415)에 지지되어서, 상기 확장부(411)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설치 상태 확인 및 유지 보수가 매우 쉽다.
각 제어밸브(4810)는 도 4의 제어 유닛(8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전자변일 수 있다.
즉, 각 제어밸브(4810)는 세탁기 내의 유체 경로에서 물의 공급 또는 차단이 필요한 유체 경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제어밸브(4810)는 상기 유체 경로를 기준으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에 통합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도 15를 참조하면, 벽걸이형 세탁기는, 벽체(미표기)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800)과, 그 리어 패널(800)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700)와, 그 터브(700)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어 유닛(810)을 포함한다. 또한, 벽걸이형 세탁기는, 개방부(460)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700)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400)과, 상기 터브(7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60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는 터브(700)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60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 유닛(790)을 포함한다.
건조 유닛(790)은 공기의 통로에 해당하는 건조 덕트(791)을 포함한다.
여기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은 캐비닛(100)의 내부 하측 공간을 기준으로 프론트 패널(4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터브(700), 드럼(600) 및 건조 유닛(790)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밸브 몸체부(4880)의 입수측과 상기 입수 배관(20)을 서로 연결하여, 물을 유동시키는 배관 커플러(489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배관 커플러(4890)는 밸브 몸체부(4880)의 입수측에 해당하는 입수부(4874)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입수부(4874)로부터 유입된 물 또는 세탁수를 세 방향의 출수부를 통해 배출시키는 세 방향 밸브(three-way valve)일 수 있다.
또한, 배관 커플러(4890)는 튜브, 파이프, 호스 등을 정밀하게 연결하기 위한 퀵 커플링 배관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배관 커플러(4890)는 프론트 패널(400)의 하측의 확장부(411)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 커플러(489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커플러 고정부(4891)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플러 고정부(4891)에는 볼트 체결용 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관 커플러(4890) 및 그에 연결된 입수 배관(20)은 커플러 고정부(4891)를 통해서 프론트 패널(400)의 확장부(411)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밸브(4810)는 제 1 제어밸브(4811), 제 2 제어밸브(4812), 제 3 제어밸브(4813)를 통칭한다.
제 1 제어밸브(4811)는 세제함(500)의 세제 투입 공간(504)에 대한 물의 공급 또는 차단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 2 제어밸브(4812)는 세제함(500)의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 대한 물의 공급 또는 차단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 3 제어밸브(4813)는 프론트 패널(400)의 개방부(460)에 설치된 물 분사 노즐(4860)에 대한 물의 공급 또는 차단, 혹은 건조 유닛(790)의 건조 덕트(791)에 대한 물의 공급 또는 차단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밸브 몸체부(4880)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부(4880)는 앞서 설명한 서포트(415)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서포트(415)에 볼트로 결합 및 설치된다.
밸브 몸체부(4880)의 역할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에 공급된 물이 세제함(500)의 세제 투입 공간(504)에 제공되게 하거나, 상기 물이 상기 세제 투입 공간(504)으로부터 구획된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 제공되게 하거나, 상기 물이 상기 프론트 패널(400)의 개방부(460)에 설치된 물 분사 노즐(4860)에 제공되게 하거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건조 유닛(790)의 건조 덕트(791)에 제공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밸브 몸체부(4880)은 물의 공급을 제어 또는 물의 유동을 위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유체 경로(4881, 4883, 4885, 4887, 4888, 4889), 및 상기 유체 경로(4881, 4883, 4885, 4887, 4888, 4889)에 관통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밸브 하우징(4882, 4884, 4886)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의 밸브 몸체부(4880)는 세제함(500)의 세제 투입 공간(504)에 공급하려는 물의 유동을 위해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밸브 몸체부(4880)의 제 1 출수부(4871)에 연결된 제 1 유체 경로(4881)를 포함한다.
또한, 밸브 몸체부(4880)는 물의 유동을 위해서 제 1 유체 경로(4881)에 연결되고, 제 1 제어밸브(4811)가 설치되는 제 1 밸브 하우징(4882)을 포함한다.
또한, 밸브 몸체부(4880)의 유체 경로는 세제함(500)의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 공급하려는 물의 유동을 위해서, 상기 밸브 몸체부(4880)의 일측의 제 2 출수부(4872)에 연결된 제 2 유체 경로(4883)를 포함한다.
또한, 밸브 몸체부(4880)는 물의 유동을 위해서 제 2 유체 경로(4883)에 연결되고, 제 2 제어밸브(4812)가 설치되는 제 2 밸브 하우징(4884)을 포함한다.
또한, 밸브 몸체부(4880)는 물의 유동을 위해서 밸브 몸체부(4880)의 타측의 제 3 출수부(4873)에 연결된 제 3 유체 경로(4885)를 포함한다.
또한, 밸브 몸체부(4880)는 물의 유동을 위해서 제 3 유체 경로(4885)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제어밸브(4813)가 설치되는 제 3 밸브 하우징(4886)을 포함한다.
또한, 밸브 몸체부(4880)는 제 1 유체 경로(488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밸브 하우징(4882)과 상기 제 2 밸브 하우징(4884)의 사이에 연결된 제 4 유체 경로(4887)를 포함한다.
또한, 밸브 몸체부(4880)는 상기 제 2 유체 경로(488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밸브 하우징(4884)과 상기 제 3 밸브 하우징(4886)의 사이에 연결된 제 5 유체 경로(4888)를 포함한다.
또한, 밸브 몸체부(4880)는 상기 제 1 유체 경로(4881)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밸브 하우징(4884)과 밸브 몸체부(4880)의 입수부(4874)의 사이에 연결된 제 6 유체 경로(4889)를 포함한다.
각 밸브 하우징(4882, 4884, 4886)의 측면부위에는 해당 밸브 하우징(4882, 4884, 4886)과 유체 경로(4881, 4883, 4885, 4887, 4888, 4889)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유로 통로 홀(미표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4882, 4884, 4886)은 밸브 몸체부(4880)의 정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밸브 하우징(4882, 4884, 4886) 배치를 위해서, 밸브 몸체부(4880)는 밸브 몸체부(4880)의 정면을 기준으로 밸브 몸체부(4880)의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밸브 몸체부(4880)의 타부는 밸브 몸체부(4880)의 일부 끝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밸브(4810)는 제 1 제어밸브(4811), 제 2 제어밸브(4812), 제 3 제어밸브(4813) 별로 해당 밸브 하우징(4882, 4884, 4886) 중 어느 하나의 개방 영역에 각각 삽입되는 밸브부(4814)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밸브(4810)는 제 1 제어밸브(4811), 제 2 제어밸브(4812), 제 3 제어밸브(4813) 별로 해당 밸브부(4814)를 동작(예: 밸브 개방 또는 밸브 폐쇄)시키는 코일부(미표기)와, 상기 코일부에 전원 또는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단자부(4815)를 갖는다.
단자부(4815)는 커넥터 및 전선을 통해서 도 4의 제어 유닛(81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밸브(4810)는 해당 밸브 하우징(4882, 4884, 4886)의 개방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개방 영역의 외곽에 해당하는 상기 밸브 하우징(4882, 4884, 4886)의 벽(4870, 4876)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브래킷(4830, 4840)을 포함한다.
밸브 몸체부(4880)는 해당 브래킷(4830, 4840)의 볼트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밸브 하우징(4882), 상기 제 2 밸브 하우징(4884) 및 상기 제 3 밸브 하우징(4886) 중 어느 하나의 벽(4870, 4876)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4875)를 포함한다.
도 9 또는 도 11을 병행 참조하면, 밸브 몸체부(4880)는 제 1 밸브 하우징(4882), 상기 제 2 밸브 하우징(4884) 및 상기 제 3 밸브 하우징(4886) 중 어느 하나의 벽(4870)과 다른 하나의 벽(4876)의 사이에 형성된 연결리브(4877)를 포함한다.
이렇게 밸브 몸체부(4880)는 상기 벽(4870, 4876) 및 연결리브(4877)에 의해 구조적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견고한 구조물이 될 수 있다.
제어밸브(4810)는 브래킷(4830, 4840)에 싱글 탑재 방식 또는 더블 탑재 방식으로 탑재되어 있다. 즉, 브래킷(4830, 4840)은 제어밸브(4810)를 단수개로 장착하는 싱글 탑재 방식의 브래킷(4830)과, 제어밸브(4810)를 복수개(예: 2개)로 장착하는 더블 탑재 방식의 브래킷(48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 1 제어밸브(4811)는 싱글 탑재 방식의 브래킷(4830)에 탑재된다.
또한, 제 2 제어밸브(4812) 및 제 3 제어밸브(4813)는 더블 탑재 방식의 브래킷(4840)에 탑재된다.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서, 제 1 제어밸브(4811) 및 싱글 탑재 방식의 브래킷(4830)을 기준으로 브래킷(4830, 4840)에 대하여 설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브래킷(4830)은 도 11에 도시된 제 1 제어밸브(4811)의 코일부의 높이에 대응한 연장길이를 갖는 연장판(4831)을 갖는다.
또한, 브래킷(4830)은 상기 연장판(4831)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연장판(4831)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되고, 상기 볼트 결합부(4875)의 볼트 홀에 일치하는 복수개의 홀과 제 1 제어밸브(4811)의 밸브샤프트에 일치하는 중심 홈을 갖는 브래킷판(4832)을 갖는다.
또한, 브래킷(4830)은 상기 연장판(4831)의 타측 끝단에서 상기 브래킷판(4832)과 평행을 유지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브래킷판(483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는 원형의 지지판(4833)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판(4833)은 제 1 제어밸브(4811)에 구비된 단자부(4815)의 탄성 돌기(4816)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4883)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를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안착홈(4834)을 포함한다.
도 13에 보이듯이, 사용자는 브래킷(4830)에서 제 1 제어밸브(4811) 및 단자부(4815)를 회전(R)시킬 수 있다. 이런 회전(R)에 따라, 단자부(4815)의 탄성 돌기(4816)는 기존 위치에서 다른 위치의 안착홈(4834)에 안착될 수 있다. 즉, 단자부(4815)의 접촉 금속 단부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앞서 언급한 제어 유닛(810)의 전선의 끝단의 커넥터(811)와 단자부(4815)의 금속 접촉부간 상호 접속을 위하여, 커넥터(811)의 접근 방향은 사용자의 요구(예: 회전)에 맞게 변경될 수 있다. 그 결과, 세탁기의 제작 또는 유지 보수 성능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4의 제어 유닛(810)은 제 1 제어밸브(4811), 제 2 제어밸브(4812) 및 제 3 제어밸브(4813) 중 어느 하나의 밸브부 또는 하나 이상의 밸브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배관 커플러(4890)를 통해 유입된 물(W/I: Water In)을 각각의 목적지 쪽으로 출수(W/O: Water Out)시킬 수 있다.
제어 유닛(810)은 미리 세팅된 급수 과정, 물 직분사 과정, 세탁 과정, 행굼 과정, 탈수 과정, 건조 과정에 각각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급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 1 제어밸브(4811), 제 2 제어밸브(4812) 및 제 3 제어밸브(4813)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 1 제어밸브(4811), 제 2 제어밸브(4812) 및 제 3 제어밸브(4813)의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물(W/I)은 해당 출수부(4871, 4872, 4873)의 배관(21, 22, 23) 쪽으로 출수(W/O)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건조 유닛을 갖는 세탁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응용예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물의 공급 목적지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컨대,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밸브 몸체부(4880)로부터 출수된 물을 입수 받고, 물의 유동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배출시키는 분기배관(30)을 포함한다.
분기배관(30)은 상호 연결되고 3개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분기배관(30)의 하부 또는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31), 제 1 배출구(32) 및 제 2 배출구(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입구(31)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로부터 물을 제공받는다. 또한, 제 1 배출구(32)는 상기 유입구(31)의 반대쪽 일측을 기준으로 분기배관(30)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배출구(33)는 상기 유입구(31)의 반대쪽 타측을 기준으로 분기배관(30)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설명한 각종 배관(21, 22, 23) 또는 하기에 설명할 각종 연결관(41, 42, 43, 44, 45)은 물의 경로를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21, 22, 23) 및 상기 연결관(41, 42, 43, 44, 45)은 그의 외부에 마련된 네임 테그를 포함하여서, 부품 조립에 관한 정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르면,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밸브 몸체부(4880)의 제 1 출수부(4871)와 상기 분기배관(30)의 유입구(31)를 상호 연결하는 제 1 연결관(41)을 포함한다.
또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상기 분기배관(30)의 제 1 배출구(32)와 상기 세제함 수용부(420)의 제 1 피팅(441)을 상호 연결하는 제 2 연결관(42)을 포함한다.
또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상기 분기배관(30)의 제 2 배출구(33)와 상기 프론트 패널(400)의 물 분사 노즐(4860)을 상호 연결하는 제 3 연결관(43)을 포함한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로 제 1 연결관(41)을 통해 전달된 물은 분기배관(30)에서 분기되어서, 제 1 피팅(441) 및 물 분사 노즐(4860)에서 동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상기 밸브 몸체부(4880)의 제 2 출수부(4872)와 상기 세제함 수용부(420)의 제 2 피팅(442)을 상호 연결하는 제 4 연결관(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 2 피팅(442)을 통해서 세제함(500)의 유연제 투입 공간에 대한 개별적인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또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상기 밸브 몸체부(4880)의 제 3 출수부(4873)와 상기 건조 유닛(790)의 건조 덕트(791)의 급수 노즐(792)을 상호 연결하는 제 5 연결관(45)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급수 노즐(792)을 통해서 건조 덕트(791)의 내부 공간에 대한 개별적인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 덕트(791)의 내부 공간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건조 유닛(790)의 건조 덕트(791)의 내부 유동 공기와 만나게 된다. 이때, 건조 덕트(791)의 내부 공기와 상기 유입된 물은 상호 열교환을 하게 된다.
건조 덕트(791)의 내부 공기의 습기는 열교환을 통해 응축수가 된다. 여기서, 응축수는 건조 덕트(79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한 후, 건조 덕트(791)의 드레인부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반면 습기가 제거된 건조 덕트(791)의 내부 건공기는 다시 드럼(600)의 내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드럼(600) 내부의 세탁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벽걸이형 세탁기 100 : 캐비닛
200 : 도어 300 : 커버
400 : 프론트 패널 440 : 피팅
450 : 도어 개스킷 480 : 급수 밸브 어셈블리
500: 세제함 600 : 드럼
700 : 터브 790 : 건조 유닛
791 : 건조 덕트 800 : 리어 패널
200 : 도어 300 : 커버
400 : 프론트 패널 440 : 피팅
450 : 도어 개스킷 480 : 급수 밸브 어셈블리
500: 세제함 600 : 드럼
700 : 터브 790 : 건조 유닛
791 : 건조 덕트 800 : 리어 패널
Claims (20)
-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을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세탁물 투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상기 커버를 기반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상기 리어 패널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결합된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 하측 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측면에서 연장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외곽을 따라 연장된 베이스벽;
상기 베이스벽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판에서 돌출된 판 보강리브; 및
상기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벽 및 상기 판 보강리브를 기준으로 상기 확장부에서 돌출된 복수개의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각각의 끝단에는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상기 서포트는,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프론트 패널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기 확장부에서 경사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 또는 상기 판 보강리브에서 이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트의 볼트 구멍에 각각 체결되는 받침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볼트 구멍이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향하는 상기 서포트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상기 베이스판 또는 상기 판 보강리브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돌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베이스판 또는 상기 판 보강리브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서포트 기저부; 및
상기 서포트 기저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어서 단차를 가지고 있고, 상기 서포트 기저부로부터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서포트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어 유닛;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을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세탁물 투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상기 커버를 기반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상기 리어 패널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결합된 캐비닛;
상기 터브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 유닛;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 하측 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터브, 상기 드럼 및 상기 건조 유닛 중 하나 이상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확장부;
상기 확장부에서 돌출되어 있고, 볼트 구멍이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서포트; 및
상기 프론트 패널의 상부에 형성되고, 세제함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트에 지지되어서, 상기 확장부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에 공급된 물이 상기 세제함의 세제 투입 공간에 제공되거나, 상기 물이 상기 세제 투입 공간으로부터 구획된 유연제 투입 공간에 제공되거나, 상기 물이 상기 프론트 패널의 개방부에 설치된 물 분사 노즐에 제공되거나, 상기 물이 상기 건조 유닛의 건조 덕트에 제공되기 위하여, 상기 물의 유동을 위한 복수개의 유체 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몸체부; 및
상기 유체 경로에서 물의 공급 또는 차단이 필요한 유체 경로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몸체부가 상기 서포트에 볼트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제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전자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을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세탁물 투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상기 커버를 기반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상기 리어 패널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결합된 캐비닛; 상기 프론트 패널의 상부에 형성되고, 세제함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 및 상기 터브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 유닛;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부 하측 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는 밸브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몸체부의 입수측에는 입수 배관이 관통하게 연결되고, 상기 밸브 몸체부의 출수측에는 복수개의 배관이 각각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입수측과 상기 입수 배관을 서로 연결하여, 물을 유동시키는 배관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커플러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하측의 확장부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 커플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커플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고정부에는 볼트 체결용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제 1 출수부와 상기 세제함 수용부의 제 1 피팅을 상호 연결하는 제 1 배관;
상기 밸브 몸체부의 제 2 출수부와 상기 세제함 수용부의 제 2 피팅을 상호 연결하는 제 2 배관; 및
상기 밸브 몸체부의 제 3 출수부와 상기 프론트 패널의 물 분사 노즐을 상호 연결하는 제 3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몸체부로부터 출수된 물을 입수 받고, 물의 유동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배출시키는 분기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배관은,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로부터 물을 제공받도록 상기 분기배관에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의 반대쪽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분기배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의 반대쪽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분기배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제 1 출수부와 상기 분기배관의 유입구를 상호 연결하는 제 1 연결관;
상기 분기배관의 제 1 배출구와 상기 세제함 수용부의 제 1 피팅을 상호 연결하는 제 2 연결관;
상기 분기배관의 제 2 배출구와 상기 프론트 패널의 물 분사 노즐을 상호 연결하는 제 3 연결관;
상기 밸브 몸체부의 제 2 출수부와 상기 세제함 수용부의 제 2 피팅을 상호 연결하는 제 4 연결관; 및
상기 밸브 몸체부의 제 3 출수부와 상기 건조 유닛의 건조 덕트의 급수 노즐을 상호 연결하는 제 5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급수 밸브.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4629A KR20180136093A (ko) | 2017-06-14 | 2017-06-14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 |
US15/884,185 US20180363216A1 (en) | 2017-06-14 | 2018-01-30 |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water supply valve assembly |
CN201810547319.4A CN109082846A (zh) | 2017-06-14 | 2018-05-31 | 壁装式洗衣机和供水阀组件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4629A KR20180136093A (ko) | 2017-06-14 | 2017-06-14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6093A true KR20180136093A (ko) | 2018-12-24 |
Family
ID=6465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4629A KR20180136093A (ko) | 2017-06-14 | 2017-06-14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363216A1 (ko) |
KR (1) | KR20180136093A (ko) |
CN (1) | CN10908284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6092A (ko) * | 2017-06-14 | 2018-12-24 | 주식회사 대우전자 |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터브 일체형 리어 패널,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터브 일체형 리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금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49554A (en) * | 1977-07-25 | 1979-04-17 | Pease James F | Fluid control valve and support assembly |
DE602005006936D1 (de) * | 2004-11-08 | 2008-07-03 | Lg Electronics Inc | Trommelwaschmaschine |
EP2471994B1 (en) * | 2011-01-04 | 2019-06-26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
CN106120233B (zh) * | 2011-12-08 | 2020-03-06 | 大宇电子株式会社 | 壁装式滚筒洗衣机 |
US9758918B2 (en) * | 2012-09-28 | 2017-09-12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Washing machine |
US9605373B2 (en) * | 2013-11-12 | 2017-03-28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Water supply valve and water supply valve assembly for wall 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
-
2017
- 2017-06-14 KR KR1020170074629A patent/KR20180136093A/ko unknown
-
2018
- 2018-01-30 US US15/884,185 patent/US2018036321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5-31 CN CN201810547319.4A patent/CN109082846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363216A1 (en) | 2018-12-20 |
CN109082846A (zh) | 2018-1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68498B1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 |
US10472758B2 (en) |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 |
US20180363198A1 (en) |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door thereof | |
US8091569B2 (en) | Water guide for dishwasher | |
EP2241669B1 (en) | Washing machine with an improved washing/rinsing-liquid inlet circuit | |
EP2239364B1 (en) | Washing machine with an improved washing/rinsing-liquid inlet circuit | |
KR20150025083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70096314A (ko) |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제박스 | |
KR20180136094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 |
KR20180136083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 | |
KR20180136110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피팅 | |
KR20180136088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 |
US20180363222A1 (en) | Wall-mounted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container thereof | |
KR20180136093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 | |
KR20180136084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 |
KR20180136108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 |
RU2414554C2 (ru) |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фронтальной загрузкой | |
KR20180136109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 |
KR20180136087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 |
US20180363218A1 (en) | Wall-mounted washing machine | |
US20180363219A1 (en) | Wall-mounted washing machine | |
KR20180136092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터브 일체형 리어 패널,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터브 일체형 리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금형 | |
US20180363208A1 (en) |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rear panel of the same | |
US9309616B2 (en) | Laundry handling apparatus with a cuff and a filling support | |
US20180363220A1 (en) | Wall-mounted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container thereo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