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032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032A
KR20180113032A KR1020170044195A KR20170044195A KR20180113032A KR 20180113032 A KR20180113032 A KR 20180113032A KR 1020170044195 A KR1020170044195 A KR 1020170044195A KR 20170044195 A KR20170044195 A KR 20170044195A KR 20180113032 A KR20180113032 A KR 20180113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psule
door
detergen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1605B1 (ko
Inventor
김나은
오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60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1Compositions releasably affixed on a substrate or incorporated into a dispensing means
    • C11D17/046Insoluble free body dispense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8Liquid soap, e.g. for dispensers; capsul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저장하고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제를 밀봉상태로 수용하는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터브와 연통하는 세제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박스는 출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캡슐의 밀봉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A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도록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터브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이 상기 세제박스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터브와 공급관으로 연통될 수 있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세제박스에 세제를 투입하기만 하면 상기 터브에 물이 공급될 때 함께 세제가 상기 터브로 유입될 수 있었다.
상기 세제박스에 물이 유입되면 상기 세제는 물에 혼합되면서 적당한 농도로 상기 터브에 공급될 수 있었다.
따라서, 의류의 손상이 방지되고 세제가 골고루 터브에 분포되어 세탁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다.
상기 세제박스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세제 외에 의류의 유연도를 향상시키는 섬유유연제를 수용할 수도 있었다. 상기 세제박스는 세탁세제가 수용되는 수용부분과 섬유유연제가 수용되는 부분이 구획되어 각각 다른 시점에 터브로 세탁세제와 섬유유연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었다.
상기 세탁세제는 세탁행정 전에 상기 터브에 물과 함께 공급될 수 있었고, 상기 섬유유연제는 상기 마지막 행굼행전 전에 상기 터브에 물과 함께 공급될 수 있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세탁세제와 섬유 유연제를 세제박스에 주입하기만 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정확한 시점에 상기 세탁세제와 섬유 유연제를 상기 터브에 주입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다만, 전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세제박스에 주입하기 위한 세탁세제와 섬유유연제가 다량 수용된 세제 용기를 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사용자는 상기 세제박스에 세제 용기를 통해 세탁세제 또는 섬유유연제를 주입할 때 필요 이상의 양을 주입하여 세탁세제 또는 섬유 유연제가 전부 용해되지 않거나 낭비를 초래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세제박스에 세제 용기를 통해 세탁세제 또는 섬유유연제를 주입할 때 필요 이하의 양을 주입하여 세탁 성능이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세제용기가 파손되거나, 전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고, 장시간 세제용기가 배치되어 내용물이 변질, 오염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근자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정량의 세탁세제 또는 섬유유연제가 수용되어 있는 캡슐세제가 등장하였다.
상기 캡슐세제는 적정량 또는 일회성의 세탁세제 또는 섬유유연제가 밀봉되어 있어 사용자는 상기 캡슐세제만을 구입한 뒤, 필요시 상기 세제박스에 상기 캡슐세제를 투입하여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캡슐세제는 상기 세제박스에 투입될 때 사용자가 직접 상기 캡슐세제의 밀봉상태를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 캡슐세제를 수동적으로 밀봉하는 상황에서, 상기 캡슐세제가 파손되어 상기 세제가 누출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세제박스에 세제를 투입할 때 세제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직접 캐비닛 또는 세제박스에서 인출하거나 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부에 세제가 수용된 캡슐을 장착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를 직접 세제박스에서 인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세제박스에 수용부가 자동으로 인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세제박스에 캡슐을 장착하거나 세제를 투입하는 것을 망각하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터브에 공급되는 세제가 밀봉되어 있는 캡슐을 세제박스에 장착하면 자동적으로 밀봉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제박스에 세제를 공급받을 수 있는 수용부가 캐비닛 또는 세제박스 외부로 인출되어 캡슐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가 투입되는 도어를 닫을 때 세제를 공급받을 수 있는 수용부가 세제박스 또는 캐비닛에 완전히 삽입되며,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수용부가 세제박스 또는 캐비닛에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제박스에서 세제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자동으로 인출되고 삽입되어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밀봉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가 캡슐 내부에 물을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제를 밀봉하는 캡슐의 봉인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캡슐의 밀봉을 원활하게 해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제를 수용부에 투입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정확한 시점에 세제가 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을 저장하고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제를 밀봉상태로 수용하는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터브와 연통하는 세제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박스는 출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캡슐의 밀봉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해제부는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수용부를 압박하여 상기 캡슐의 밀봉상태를 해제하는 압박부와, 상기 압박부와 연결되어 상기 압박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면 상기 압박부가 상기 수용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출입구를 전방에 구비하여, 상기 수용부는 상기 출입구보다 면적이 크게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수용도어와, 상기 수용도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부에 상기 캡슐이 투입되는 캡슐투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바디와, 상기 수용도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도어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압박부는 상기 캡슐투입부와 대응되는 판 형상의 압박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압박바디의 상부에 연결되는 이동바디와, 상기 출입구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도어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접촉바디와, 상기 이동바디와 상기 접촉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이동바디와 상기 접촉바디를 함께 이동시키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복원부는 상기 접촉바디를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되도록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이동바디를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디를 상기 캡슐바디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이동레일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접촉바디를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접촉바디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접촉레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원부는 상기 접촉레일에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어 상기 접촉바디를 밀어내도록 구비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압박부는 상기 압박바디의 하부에 연장되어 상기 수용바디 내부로 침입할 수 있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수용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은 상기 세제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바디에 수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에 개방면을 구비하는 캡슐바디와, 상기 개방면을 폐쇄하는 폐쇄막과, 상기 캡슐바디의 하부에 상기 세제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바디는 상기 배출부와 연통하여 상기 세제를 터브로 공급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세제박스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세제박스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는 상기 급수관과 결합되어 상기 캡슐바디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공급홀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공급관과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고 의류가 투입되는 개구부를 전방에 구비하고 상기 터브를 수용하는 캐비닛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개구부 보다 면적이 더 크게 구비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구비되되 상기 도어에 차폐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면 상기 도어는 상기 수용도어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압박부는 상기 압박바디와 상기 캡슐투입구 사이를 실링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터브에 공급되는 세제가 밀봉되어 있는 캡슐을 세제박스에 장착하면 자동적으로 밀봉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세제박스에 세제를 공급받을 수 있는 수용부가 캐비닛 또는 세제박스 외부로 인출되어 캡슐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가 투입되는 도어를 닫을 때 세제를 공급받을 수 있는 수용부가 세제박스 또는 캐비닛에 완전히 삽입되며,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수용부가 세제박스 또는 캐비닛에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세제박스에서 세제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자동으로 인출되고 삽입되어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밀봉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가 캡슐 내부에 물을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세제를 밀봉하는 캡슐의 봉인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캡슐의 밀봉을 원활하게 해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세제를 수용부에 투입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정확한 시점에 세제가 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되는 캡슐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상기 캡슐의 밀봉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와 세제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하우징과 캡슐, 해제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상기 해제부가 캡슐의 밀봉상태를 해제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고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0), 상기 터브(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30), 상기 터브(20)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40), 외부급수원과 연결되어 상기 터브(2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50)와, 상기 터브(20)의 물을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60), 상기 터브(20)를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지지하고 고정하는 지지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의류가 출입하는 개구부(11)를 상기 캐비닛(10)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20)의 투입구(21)가 상기 개구부(11)와 연통하도록 전방을 향하여 구비된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으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개구부(11)가 상기 캐비닛(10)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20)의 투입구가 상부를 향하여 구비된 탑 로드(top load) 타입으로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개구부(11)에는 상기 터브(20)의 투입구(21)가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터브(20)의 일면에 결합되어 회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41)와, 상기 스테이터(41)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42), 일단이 상기 로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3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70)는 상기 터브(20)의 일면과 상기 캐비닛(10)의 일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스프링 또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70)는 상기 터브(20)를 상기 캐비닛(10) 내부에서 지지하고 고정할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30)이 회전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70)는 상기 터브(20)의 진동이 상기 캐비닛(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20)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드럼(30)을 회전시켜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과, 상기 의류에서 이물질과 세제를 분리시키는 헹굼행정, 상기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세제는 세탁행정에 투입되어 상기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세제와, 상기 헹굼과정에 투입되어 상기 의류의 유연도를 향상시키는 섬유유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20)에 세제를 전달할 수 있는 세제박스(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100)는 상기 급수부(50)와 연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물과 세제를 상기 터브(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50)는 일단이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세제박스(100)와 연결되는 급수관(51)과, 상기 급수관(51)의 유량을 제어하는 급수밸브(52)와, 상기 세제박스(100)와 상기 터브(20)를 연결하는 공급관(5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세제박스(100)는 상기 터브(20)와 상기 공급관(53)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제박스(100)에 세제가 유입되거나 저장되고 상기 급수관(51)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 상기 물과 세제가 혼합되어 공급관(53)을 통해 상기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100)는 출입구(111)을 구비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출입구(111)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에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10)의 일면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에서 경사지게 인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1(a)는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캐비닛(10)의 전방패널(13)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1(b)는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수용부(120)가 인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a)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개구부(11)를 개폐하는 도어(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는 상기 개구부(11)보다 더 큰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도어(12)가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면 상기 도어(12)의 일부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3)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3)은 상기 도어(12)의 외주면 또는 외부 모서리를 수용하도록 내부로 절곡되는 함몰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3)은 상기 도어(12)가 상기 개구부(11)를 폐쇄하면 상기 도어(12)를 수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세제박스(100)는 상기 전방패널(13)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함몰부(14)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전방패널(13)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2)가 상기 개구부(11)를 폐쇄하면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도어(12)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1(b)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에서 회전 되어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면에 구비된 출입구(111)에 수용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출입구(111)는 상기 하우징(110)의 전방면의 면적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10)의 전방면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20)의 상부가 경사지게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110)에서 인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출입구(111)보다 면적이 크게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111)를 개폐하는 수용도어(121)와, 상기 수용도어(121)의 일면에 구비되어 세제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바디(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122)는 세제가 직접 투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수용부(120)를 상기 하우징(110)에서 인출하여 상기 수용바디(122)에 세제를 직접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20)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인출되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수용바디(122)에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20)에 공급되는 세제가 밀봉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캡슐(20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캡슐(200)은 상기 수용바디(122)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122)는 상기 캡슐(200)이 투입되는 캡슐투입부(123)를 상부에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캡슐투입부(123)에는 세제가 직접 투입될 수도 있다.
상기 캡슐(200)에는 적정량의 세제가 저장되어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적정량은 상기 세탁행정 또는 상기 헹굼행정 등을 1회 수행할 수 있는 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정량은 상기 세탁행정 또는 상기 헹굼행정을 복수회 수행할 수 있는 양일 수도 있다.
상기 캡슐(200)의 세제는 세탁용 세제나 섬유유연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100)에 복수개의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면 상기 캡슐(100) 중 하나는 세탁용 세제가 수용되어 있는 캡슐(200)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섬유유연제가 수용되어 있는 캡슐(200)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수용부(120)가 복수개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즉, 상기 세제박스(100)는 복수개의 캡슐이 구획되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구획된 부분으로 상기 급수관(51)에서 공급된 물을 분산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
이로써, 세탁행정에서는 상기 세탁용 세제가 수용된 캡슐에 물을 공급하고, 헹굼행정에서는 상기 섬유유연제가 수용된 캡슐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60)는 상기 터브(20)의 물을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61)과, 상기 배수관(61)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이 완료되면 물을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62)에서 배출된 물은 필터(63)를 통과하여 상기 배수관(61)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캡슐(200)은 세제가 밀봉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용부(120)에 투입되기 전이나, 투입되면 상기 밀봉상태가 해제될 필요가 있다. 상기 캡슐(200)의 봉인상태가 해제되어야 상기 캡슐(200)에 수용된 세제가 상기 수용부(120)로 배출되어 상기 수용부(120)에 공급된 물과 함께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캡슐(200)의 밀봉상태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해제할 경우, 상기 캡슐(200)의 세제가 누수되어 낭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200)의 밀봉상태가 상기 수용부(120) 외부에서 해제되는 경우, 상기 캡슐(200)의 세제가 상기 상기 수용부(120)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
결과적으로, 적정량의 세제가 상기 상기 수용부(120)에 투입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캡슐(200)이 상기 세제박스(100)에 결합되면 상기 캡슐의 밀봉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제부(300)는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120)가 상기 하우징(110)에 삽입되면 상기 캡슐(200)의 밀봉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해제부(300)는 상기 캡슐(200)이 상기 세제박스(100)에 장착되기만 하면 상기 캡슐(200)의 밀봉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캡슐(200) 내부에 수용된 적정량의 세제가 온전히 상기 세제박스(100)로 공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해제부(300)는 상기 캡슐(200)의 일면 중 일부분을 해제하여 상기 세제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제부(300)는 상기 캡슐(200)이 상기 세제박스(10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캡슐을 압박하거나 관통하여 상기 캡슐(200)의 밀봉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2는 상기 세제박스(100)에 장착되면 밀봉상태가 해제되는 상기 캡슐(2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상기 캡슐(200)이 투입되는 세제박스(100)와 해제부(300)의 사시도이며, 도4는 상기 세제박스(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a)는 상기 캡슐(200)의 사시도이며, 도2(b)는 상기 캡슐(2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캡슐(200)은 상부에 개방면(220)을 구비하며 상기 세제를 수용하는 캡슐바디(210)와, 상기 개방면(220)을 폐쇄하는 폐쇄막(221)과, 상기 캡슐바디(210)의 하부를 관통하여 구비되어 상기 세제를 배출시키는 배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바디(210)는 상기 캡슐(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세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캡슐바디(210)에는 상기 세제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세제는 상기 폐쇄막(221)으로 인해 밀봉될 수 있다.
상기 개망면(2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캡슐바디(2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안착대(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폐쇄막(221)은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쇄되거나 절개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비닐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230)는 상기 캡슐바디(210) 하부를 관통하는 배출홀(2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230)는 상기 캡슐바디(210)의 하부면에서 내부로 함몰되어 구비되는 오목부(232)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232)의 상단에 상기 배출홀(2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232)는 상기 캡슐바디(210)에 공급된 물이나 상기 캡슐바디(210)의 세제가 바로 배출홀(231)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캡슐바디(210)의 외주면을 순환하여 상기 세제가 물에 용해되어 상기 배출홀(231)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오목부(232)는 상기 캡슐바디(210)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배출부(230)는 사이펀 현상을 이용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홀(231)은 배출막(233)에 의해 차폐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막(233)은 상기 폐쇄막(221)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3(a)는 상기 수용부(12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 인출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3(b)는 상기 수용부(120)가 상기 하우징(110)에 삽입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용바디(122)는 상기 캡슐바디(2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캡슐바디(210)가 면접촉되어 상기 수용바디(122)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슐바디(210)의 안착대(221)는 상기 수용바디(122)의 캡슐투입부(123)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122)는 상기 수용도어(121)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도어(121)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수용도어(121)의 하단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도어(121)는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힌지부(124)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전방으로 경사지게 인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캡슐투입부(123)가 사용자의 시선에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캡슐투입부(123)로 세제 또는 캡슐(200)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제박스(100)는 상기 수용도어(110)가 상기 출입구(11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유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부(130)는 상기 수용도어(121)의 배면 상단에 구비되는 유지후크(131)와,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전방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지후크(13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결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부(130)는 상기 수용도어(121)의 배면 상단에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용도어(121)가 임의로 상기 하우징(110)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수용바디(122)에서 세제 또는 물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해제부(300)는 상기 수용부(120)가 상기 하우징(110)에 삽입되면 상기 수용부(120)를 압박하여 상기 캡슐(200)의 밀봉상태를 해제하는 압박부(310)와, 상기 압박부(310)와 연결되어 상기 압박부(31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320)와, 상기 수용부(12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 인출되면 상기 압박부(310)가 상기 수용부(120)와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부(320)를 이동시키는 복원부(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부(300)는 상기 수용부(120)에 구비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하우징(110) 외부에 인출되므로 상기 해제부(300)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내구성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압박부(310)는 상기 캡슐투입부(123)와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압박바디(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바디(311)는 상기 캡슐투입부(123)의 형상 및 면적에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캡슐투입부(123)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박바디(311)는 상기 수용바디(122)에 수용된 캡슐(200)의 폐쇄막(221)을 면접촉하여 압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캡슐투입부(123)를 실링하여 상기 수용바디(122)에 공급된 세제와 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압박바디(311)는 상기 캡슐바디(210)의 개방면(220)을 압박하여 상기 폐쇄막(221)을 파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캡슐(200)의 밀봉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박부(310)는 상기 압박바디(311)의 하부면에 연장되어 상기 폐쇄막(2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312)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폐쇄막(221)을 관통하여 상기 캡슐(200)의 밀봉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박부(310)는 상기 캡슐투입부(123)을 압박하면서 폐쇄하므로 상기 수용부(12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 인출되면 상기 압박부(310)는 상기 캡슐투입부(123)에서 이격되고, 상기 수용부(120)가 상기 하우징(110)에 삽입되면 상기 압박부(310)는 상기 캡슐투입부(123)를 압박해야할 필요가 있다.
다시말해, 상기 압박부(310)는 상기 캡슐투입부(123)의 상부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부(320)는 상기 압박바디(311)의 상부에 연결되는 이동바디(323)와, 상기 출입구(111)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110)에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도어(121)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접촉바디(321)와, 상기 이동바디(323)와 상기 접촉바디(321)를 연결하여 상기 이동바디(323)와 상기 접촉바디(321)를 함께 이동시키는 링크(3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원부(330)는 상기 접촉바디(321)를 상기 하우징(110)에서 돌출되도록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바디(321)와 상기 이동바디(323)는 상기 링크(325)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바디(323)는 상기 압박부(310)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바디(321)와 상기 이동바디(323), 상기 압박부(310)는 서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바디(321)는 상기 하우징(110)의 전방과 후방을 왕복운동하며, 상기 이동바디(323)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와 하부를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링크(323)는 상기 접촉바디(321)와 상기 이동바디(323)가 구비된 각도 및 간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접촉바디(321) 및 상기 이동바디(323)의 일측면에서 상기 접촉바디(321)와 상기 이동바디(32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접촉바디(321)와 상기 이동바디(323)가 왕복운동하는 방향이 다르다고 할지라도 상기 링크(323)는 상기 접촉바디(321)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이동바디(323)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330)는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이동바디(323)를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디(323)를 상기 캡슐바디(210)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이동레일(324)와,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접촉바디(321)를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접촉바디(32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접촉레일(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324)는 상기 하우징(110) 내벽에 고정되어 내부에 상기 이동바디(323)가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는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접촉레일(322)은 상기 하우징(110) 내벽에 고정되어 내부에 상기 접촉바디(321)가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는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324)과 상기 접촉레일(322)은 일측면에 상기 링크(323)가 상기 이동바디(323)의 일측면과 상기 접촉바디(321)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개방된 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324)과 상기 접촉레일(322)은 상기 이동바디(323)와 상기 접촉바디(321)가 다양한 방향의 힘을 받는다고 할지라도 상기 이동바디(323)와 상기 접촉바디(321)를 정해진 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원부(330)는 상기 접촉레일(322)에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어 상기 접촉바디(321)를 밀어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용도어(121)가 상기 출입구(111)를 개폐하는 여부에 따라 상기 접촉바디(32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바디(323) 및 상기 압박바디(311)를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압박부(310)가 상기 수용부(120)가 상기 하우징(110)에 인출입되면서 상기 캡슐(200)의 밀봉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해제부(300) 상기 수용바디(122)의 바닥면은 상기 오목부(232)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막(233)을 관통할 수 있는 유출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출부(125)는 상기 공급관(53)과 연통하여 상기 캡슐바디(210)의 세제를 상기 터브(20)에 전달할 수 있따.
상기 유출부(125)는 상기 배출막(233)을 관통하여 상기 캡슐(200)의 밀봉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배출부(230)가 사이펀 현상으로 물과 세제를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유출부(125)는 상기 공급관(53)과 연통하는 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급수관(51)과 연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박부(310)는 상기 급수관(51)과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325)는 상기 급수관(51)과 결합하고, 내부에 물이 흐르는 링크유로(325a)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바디(323)도 상기 링크유로(325a)와 연통하는 이동유로(32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박부(310)는 상기 이동유로(323a)와 연통하는 공급홀(31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급홀(313)은 상기 이동유로(323a)와 연통하고 상기 압박바디(311)와 상기 관통부(312) 내부에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수관(51)에 공급된 물은 상기 링크유로(325a), 상기 이동유로(323a), 상기 공급홀(313)을 통해 상기 수용바디(122)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3(a)와 도3(b)를 참조하여, 상기 해제부(3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3(a)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도어(121)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접촉바디(321)는 상기 하우징(110)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330)는 상기 접촉레일(322)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접촉레일(322)과 상기 접촉바디(321) 사이에 압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원부(330)는 상기 접촉바디(321)를 전방으로 밀어내어 상기 하우징(110)에 돌출되어 구비되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325)의 일단은 상기 접촉바디(321)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링크(325)의 타단은 상기 이동바디(323)를 전방으로 당길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레일(324)은 상기 링크(325)가 전방으로 상기 이동바디(323)를 당기는 힘을 상기 이동바디(323)가 상부로 이동하는 힘으로만 집중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바디(323)는 상기 이동레일(324)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안착부(130)가 상기 캡슐투입부(111)에서 이격될 수 있다.
도3(b)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도어(121)가 상기 하우징(110)에 삽입되면, 상기 수용도어(121)는 상기 접촉바디(321)를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밀어 넣게 된다.
이때, 상기 복원부(330)는 압축되며 상기 링크(323)의 일단은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후, 상기 링크(323)의 타단은 상기 이동바디(323)도 후방으로 밀어내며, 상기 이동레일(324)은 상기 링크(323)의 타단이 밀어내는 힘을 하부로 집중시킨다.
이로써, 상기 이동레일(324)은 상기 이동바디(323)를 하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압박부(310)는 상기 캡슐투입부(111)에 다가가 상기 캡슐투입부(111)를 압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도어(121)가 다시 상기 출입구(111)를 개방하면, 상기 수용도어(121)가 상기 접촉돌기(321)에서 이격되고, 상기 복원부(330)는 상기 접촉돌기(321)를 밀어내어 도3(a)의 상태로 다시 복원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폐쇄막(221)을 직접 제거할 필요가 없어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도어(12)와 접촉가능한 위치에 구비되면 상기 도어(12)가 상기 개구부(11)를 차폐할 때 상기 수용부(120)를 상기 하우징(110)에 자동으로 삽입시킨다.(도1참조)
또한, 상기 도어(12)가 상기 개구부(11)를 개방하면 상기 수용부(120)를 상기 도어(12)가 압박하지 않으므로 상기 복원부(330)에 의해 상기 수용부(12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 자동으로 인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12)를 개폐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상기 수용부(120)를 상기 하우징(110)에서 인출입시킬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유지부(13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가 상기 전방패널(13)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어결합부(15)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12)를 개방하면 상기 수용부(12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 인출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수용부(120)에 세제나 캡슐(200)을 투입하는 것을 망각하지 않고 상기 세제나 캡슐을 투입할 수 있다.
이로써, 세탁과정 중에 상기 세제나 캡슐(200)을 투입하기 위해 세탁과정을 중단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캐비닛 11 개구부 12 도어 13 전방패널 14 함몰부 15 도어결합부
20 터브 30 드럼 40 구동부
50 급수부 51 급수관 52 급수밸브 53 공급관
60 배수부 61 배수펌프 62 배수관
70 지지부
100 세제박스 110 하우징 111 출입구
120 수용부 121 수용도어 122 수용바디 123 캡슐투입부
124 힌지부 125 유출부
130 유지부 131 유지후크 132 후크결합부
200 캡슐 210 캡슐바디
220 개방면 221 폐쇄막
230 배출부 231 배출홀 232 오목부 233 배출막
300 해제부 310 압박부 311 압박바디 312 관통부 313 공급홀 314 실링부재
320 이동부 321 접촉바디 322 접촉레일 323 이동바디 324 이동레일 325 링크
330 복원부 311 제1관통부 312 제2관통부 313 관통유로

Claims (12)

  1. 물을 저장하고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제를 밀봉상태로 수용하는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터브와 연통하는 세제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박스는
    출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캡슐의 밀봉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수용부를 압박하여 상기 캡슐의 밀봉상태를 해제하는 압박부와, 상기 압박부와 연결되어 상기 압박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면 상기 압박부가 상기 수용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출입구를 전방에 구비하여,
    상기 수용부는
    상기 출입구보다 면적이 크게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수용도어와,
    상기 수용도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부에 상기 캡슐이 투입되는 캡슐투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바디와,
    상기 수용도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도어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상기 캡슐투입부와 대응되는 판 형상의 압박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압박바디의 상부에 연결되는 이동바디와,
    상기 출입구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도어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접촉바디와,
    상기 이동바디와 상기 접촉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이동바디와 상기 접촉바디를 함께 이동시키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복원부는 상기 접촉바디를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되도록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이동바디를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디를 상기 캡슐투입부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이동레일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접촉바디를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접촉바디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접촉레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원부는 상기 접촉레일에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어 상기 접촉바디를 밀어내도록 구비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상기 압박바디의 하부에 연장되어 상기 수용바디 내부로 침입할 수 있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수용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상기 세제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바디에 수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에 개방면을 구비하는 캡슐바디와, 상기 개방면을 폐쇄하는 폐쇄막과, 상기 캡슐바디의 하부에 상기 세제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바디는 상기 배출부와 연통하여 상기 세제를 터브로 공급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세제박스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는 상기 급수관과 결합되어 상기 캡슐바디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공급홀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공급관과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고 의류가 투입되는 개구부를 전방에 구비하고 상기 터브를 수용하는 캐비닛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개구부 보다 면적이 더 크게 구비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구비되되 상기 도어에 차폐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면 상기 도어는 상기 수용도어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상기 압박바디와 상기 캡슐투입부 사이를 실링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70044195A 2017-04-05 2017-04-05 의류처리장치 KR102331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95A KR102331605B1 (ko) 2017-04-05 2017-04-05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95A KR102331605B1 (ko) 2017-04-05 2017-04-0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032A true KR20180113032A (ko) 2018-10-15
KR102331605B1 KR102331605B1 (ko) 2021-11-30

Family

ID=6386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195A KR102331605B1 (ko) 2017-04-05 2017-04-0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6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5120A1 (de) * 2010-03-09 2011-09-14 Miele & Cie. KG Waschmaschine mit einem Einspülkasten und einem einsetzbaren Behältni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5120A1 (de) * 2010-03-09 2011-09-14 Miele & Cie. KG Waschmaschine mit einem Einspülkasten und einem einsetzbaren Behältn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605B1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3809C1 (ru) Насос для средств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й насос
RU26552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2448511B1 (ko) 세탁기
EP3252205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71981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etergent dissolution device
KR20060023016A (ko) 세탁기
KR10159001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80100168A (ko) 드럼식 세탁기
KR10262974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146135A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110004745A (ko) 전자동 세탁기의 듀얼세제 투입장치
RU26643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EP3786336A1 (en) Detergent supply device
KR20230169002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13032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8989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방법
JP7391555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33160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3929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13030A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099809A (ko) 가변형 세제함을 구비하는 세탁기
KR101568038B1 (ko) 세탁기
KR101590011B1 (ko) 의류처리장치
EP1862580A1 (fr) Machine à laver le linge pourvue d'au moins un réservoir
CN116516645A (zh) 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