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935B1 - 모노레일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노레일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7935B1 KR102447935B1 KR1020220014918A KR20220014918A KR102447935B1 KR 102447935 B1 KR102447935 B1 KR 102447935B1 KR 1020220014918 A KR1020220014918 A KR 1020220014918A KR 20220014918 A KR20220014918 A KR 20220014918A KR 102447935 B1 KR102447935 B1 KR 1024479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veling
- driving
- guide
- unit
- alo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2—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 B61B13/127—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the propulsion device consisting of stationary driving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출발 지점에서 도착 지점까지의 지면에 설치된 주행 레일부에 사람 또는 물건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주행가이드를 설치하고, 사람 또는 물건이 탑승되는 탑승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부가 주행가이드의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주행가이드를 밀어내면서 이동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주행부가 주행가이드에서 진행방향의 반대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으며, 주행부가 주행레일부의 직선구간 및 곡선구간을 모두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주행부가 곡선구간에 의해 방향전환을 하면서 전진 또는 후진될 때, 주행부가 주행 레일부 및 주행가이드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은,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주행 레일부; 상기 주행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주행 레일부와 함께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주행가이드; 및 상기 탑승장치가 탑재되는 탑재부 및 상기 주행가이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주행가이드를 타고 전진 또는 후진되는 주행부재를 포함하는 주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은,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주행 레일부; 상기 주행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주행 레일부와 함께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주행가이드; 및 상기 탑승장치가 탑재되는 탑재부 및 상기 주행가이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주행가이드를 타고 전진 또는 후진되는 주행부재를 포함하는 주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노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나 물건 등 다양한 대상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 이동작업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모노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여가생활이 늘어나면서 과거에 비교해 자연스럽게 건강과 힐링에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현대인의 여가생활이 보다 중요해지면서 놀이문화의 중요성도 그 만큼 증대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그 놀이문화 중 탑승도구를 매개체로 하여 속도감 및 스릴 등의 유희를 만끽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 널리 보급된 상태이다.
그 탑승도구로서 루지, 썰매, 짚라인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근래에는 산 정상에 설치된 스카이워크, 기타 관람물을 방문하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전술한 탑승도구를 타기 위해서는 산의 일정높이까지 올라가야 하고, 산 정상에 설치된 스카이워크, 관람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도 산의 정상까지 올라가야 한다.
이를 위해 이용자를 산의 일정높이나 정상까지 자동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는 모노레일 시스템이 이용된다.
모노레일 시스템은 크게 출발지점부터 도착지점까지 설치되는 주행레일, 주행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는 주행부, 주행부에 탑재되며 대략 부스형태로 형성되어 이용자를 이동시켜주는 탑승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부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을 통해 주행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고, 이에 탑승장치가 산 아래에서 산 위로 이동하거나 또는, 산 위에서 산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산악지역에 설치되는 주행레일은 경사, 수목, 암벽 등 지형의 특성으로 인해 직선구간 및 곡선구간을 포함하게 된다.
즉, 산중에 수목, 암벽, 바위를 우회하기 위해 곡선구간이 적용된다.
수목, 암벽, 바위를 제거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 인력 및 장비가 소요되어 비용이 많이 발생되고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모노레일 시스템의 구조에서 주행부가 주행레일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주행부가 주행레일의 직선구간을 주행할 경우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주행부가 곡선구간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이탈하는 등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행레일에 대한 주행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주행부가 주행레일의 곡선구간을 주행할 경우에도 이탈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출발 지점에서 도착 지점까지의 지면에 설치된 주행 레일부에 사람 또는 물건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주행가이드를 설치하고, 사람 또는 물건이 탑승되는 탑승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부가 주행가이드의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주행가이드를 밀어내면서 이동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주행부가 주행가이드에서 진행방향의 반대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으며, 주행부가 주행레일부의 직선구간 및 곡선구간을 모두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주행부가 곡선구간에 의해 방향전환을 하면서 전진 또는 후진될 때, 주행부가 주행 레일부 및 주행가이드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는 모노레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은,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주행 레일부; 상기 주행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주행 레일부와 함께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주행가이드; 및 탑승장치가 탑재되는 탑재부 및 상기 주행가이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주행가이드를 타고 전진 또는 후진되는 주행부재를 포함하는 주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행가이드는, 상기 주행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배열되는 다수개의 볼부와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행부재는 둘레면을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배열되는 다수개의 산부와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부재가 제자리 회전될 시 상기 골부에는 상기 볼부가 순차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산부는 상기 볼부들을 순차적으로 밀어내어, 상기 주행부가 상기 주행가이드를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주행가이드는, 상기 주행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외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행부재는 둘레면을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배열되는 다수개의 산부와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부재가 제자리 회전될 시 상기 산부들이 상기 지지부들을 순차적으로 밀어내어, 상기 주행부가 상기 주행가이드를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주행 레일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주행경로 제공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부는 상기 주행경로 제공부재를 각각 감싼 상태에서 이동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은, 출발 지점에서 도착 지점까지의 지면에 설치된 주행 레일부에 사람 또는 물건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주행가이드를 설치하고, 사람 또는 물건이 탑승되는 탑승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부가 주행가이드의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주행가이드를 밀어내면서 이동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주행부가 주행가이드에서 진행방향의 반대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으며, 주행부가 주행레일부의 직선구간 및 곡선구간을 모두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주행부가 곡선구간에 의해 방향전환을 하면서 전진 또는 후진될 때, 주행부가 주행 레일부 및 주행가이드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어, 주행 레일부를 나무, 바위, 구조물 등과 같은 장애물을 피해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에 적용된 주행부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에 적용된 주행가이드 및 주행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에 적용된 주행가이드 및 주행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행부재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에 적용된 주행부재 및 구동원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에 적용된 주행부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에 적용된 주행가이드 및 주행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에 적용된 주행가이드 및 주행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행부재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에 적용된 주행부재 및 구동원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에 적용된 주행부를 도시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에 적용된 주행가이드 및 주행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에 적용된 주행가이드 및 주행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행부재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에 적용된 주행부재 및 구동원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1)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나 물건 등 다양한 대상을 산 아래에서 산 위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산 위에서 산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 이동작업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는 산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로상이나 인도상, 해안, 바다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1)은, 주행 레일부(10)와, 주행가이드(20a,20b) 및 주행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주행 레일부(10)는 탑승장치(2)의 주행경로를 제공한다.
주행 레일부(10)는 출발 지점으로부터 도착 지점까지 설치된다.
출발 지점부터 도착 지점까지 평지, 오르막 경사, 내리막 경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주행 레일부(10)는 평지와 오르막 경사 및 내리막 경사에 대응되게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주행 레일부(10)는 지형의 형태나 나무, 바위, 구조물 등과 같은 장애물을 피해서 설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구간(10a)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선구간(10b)이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주행 레일부(1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사이드 지점에 위치되며,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주행경로 제공부재(11) 및 주행경로 제공부재(11)의 사이에 서로 일정간격 또는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간격유지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경로 제공부재(11)는 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간격유지부재(12)는 수평부재 및 수평부재의 양단에서 각각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단이 주행경로 제공부재(11)에 용접 결합되는 경사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출발 지점부터 도착 지점까지 별도의 지지레일부(1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수평부재 들은 지지레일부(13)의 상면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주행 레일부(10)는 다수개로 분할되며, 출발 지점으로부터 도착 지점까지 다수개가 연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설치 현장 여건에 따라 일부 주행 레일부(10)는 지면에 설치되는 것과, 공중에 설치되는 것으로 나뉠 수 있다.
주행 레일부(10)를 지면과 공중에 설치하는 이유로는 일종의 고공 자동탐방로를 제공하기 위해서 일 수 있다.
다른 이유로는 주행 레일부(10)를 지면을 따라 설치하는 것보다 지면과 공중에 조합하여 설치할 경우 출발지점과 도착지점 간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일 수도 있다.
주행 레일부(10)를 공중에 설치기 위해서는 일정한 높이와 단면 두께를 갖는 수직 기둥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수직 기둥의 상측에 지지레일부(13)를 설치한 후, 지지레일부(13)의 상측에 주행경로 제공부재(11)가 결합된 간격유지부재(12)의 수평부재를 결합하면 된다.
한편, 탑승장치(2)는 내부에 사람 또는 각종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대략 부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탑승장치(2)는 대략 원형 단면 또는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탑승장치(2)의 4군데 벽면은 모두 유리, 투명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벽면을 투명소재로 형성하는 경우 탑승자가 외부 경관을 감상하도록 할 수 있다.
탑승장치(2)의 4군데 벽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출입을 위한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는 탑승장치(2)가 주행중에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락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도어락은 탑승장치(2)가 주행중에는 도어를 폐쇄하고, 탑승장치(2)가 도착지점에 도착할 때에는 도어를 개방하도록 자동제어 될 수 있다.
한편, 주행가이드(20a,20b)는 주행 레일부(10)와 함께 탑승장치(2)의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주행가이드(20a,20b)는 수평부재의 상면에 설치된다. 주행가이드(20a,20b)는 대략 수평부재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부재의 상면에는 주행가이드(20a,20b)의 저면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미도시)가 볼팅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22b)재로 인해 주행가이드(20a,20b)가 수평부재(121)의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행부(30)는 탑승장치(2)가 탑재되는 탑재부(31) 및 주행가이드(20a,20b)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주행가이드(20a,20b)를 타고 전진 또는 후진되는 주행부재(32a,32b)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부(30)는 높이방향 중 중앙에 베이스부재(34)가 형성된다.
베이스부재(34)는 하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바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34)의 상면에는 탑재부(31)가 배치된다.
탑재부(31)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탑승장치(2)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트(35) 및 서포트(37)들에 공동으로 지지되는 받침판(37)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35)는 하나의 받침판(37)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서포트(34)는 단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판(37)의 상면에는 탑승장치(2)가 볼팅 또는 용접 결합된다.
베이스부재(34)의 저면에는 하우징(36)이 형성된다.
하우징(36)은 금속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6)에는 후술되는 주행부재(32a,32b)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마련된다.
하우징(36)의 양측에는 주행경로 제공부재(11)를 각각 감싼 상태에서 이동되는 이탈방지부(33)가 각각 배치된다.
이탈방지부(33)는 대략 반원형 단면 또는'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주행경로 제공부재(11)의 약 1/2정도를 감싸는 감쌈홀(331)이 형성된다.
이탈방지부(33)는 베이스부재(34)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33)의 상면은 절개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33)의 상면에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브라켓(332)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332)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333)가 결합될 수 있다.
롤러(333)의 양측면에는 브라켓(332)의 수직벽에 설치되는 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된다.
롤러(333)의 하부 일정영역은 이탈방지부(33)의 개방된 부분(미도시)에 수용된다.
아울러, 도 2를 기준으로 롤러(333)의 저면은 이탈방지부(33)의 개방된 부분을 통과하여 주행경로 제공부재(11)의 상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후술되는 주행부재(32a,32b)가 주행가이드(20a,20b)를 따라 이동할 때, 롤러(333)는 주행경로 제공부재(11)의 상면을 따라 구름이동 하게 된다.
이탈방지부(33)의 전측에는 연결부재(334)가 형성된다.
연결부재(334)는 이탈방지부(33)의 전측에 배치됨으로 감쌈홀(331)을 가리지 아니한다.
도 2를 기준으로 하우징(36)의 전측에는 결합체(361)가 설치된다.
결합체와 연결부재(334)는 유압실린더(38)를 통해 결합된다.
연결부재(334)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바(미도시)가 형성되고, 하우징(36)에는 돌출바가 삽입되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이탈방지부(33)를 주행경로 제공부재(11)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압실린더(38)의 피스톤을 전진시키면 연결부재(334)가 하우징(36)에서 멀어지고, 유압실린더(38)의 피스톤을 후진시키면 연결부재(334)가 하우징(36)과 가까워지며, 그 과정에서 돌출바가 삽입홈을 따라 이동되는 바, 유압실린더(38)의 피스톤을 전진시킨 상태에서 이탈방지부(33)를 주행경로 제공부재(11)의 일측에 각각 위치시킨 다음, 유압실린더(38)의 피스톤을 후진시키면 양 이탈방지부(33)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감쌈홀(331)이 주행경로 제공부재(11)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된다.
따라서, 이탈방지부(33)에 이상이 발생되어 교체하거나 수리하고자 할 경우 유압실린더(38)의 피스톤을 전진시키면, 이탈방지부(33)가 주행경로 제공부재(11)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이탈방지부(33)를 주행경로 제공부재(11)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부재(334)는 결합안정성을 위해 하우징(36)에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주행부재(32a,32b)는 구동원(M)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주행가이드(20a,20b)를 따라 직진 또는 후진한다.
주행부재(32a,32b)는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행부재(32a,32b)의 상면에는 하우징(36)의 내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3211a,3211b)이 형성된다.
주행부재(32a,32b)는 회전축(3211a,3211b)이 구동원(M)에 연결되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구동원(M)은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AC모터 또는 DC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원(M)의 모터축과 주행부재(32a,32b)의 회전축(3211a,3211b)은 기어(G1,G2)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원(M)의 동력은 기어(G1,G2)를 통해 회전축(3211a,3211b)에 전달되며, 이로 인해 주행부재(32a,32b)가 모터축의 회전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원(M)의 모터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주행부재(32a,32b)가 주행가이드(20a,20b)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며, 결국 탑승장치(2)가 주행 레일부(10)의 주행경로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5(a)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1)에 적용된 주행가이드(20a,20b) 및 주행부재(32a)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주행가이드(20a)는 주행 레일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교체되게 배열되는 다수개의 볼부(21a)와 연결유닛(22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볼부(21a)들은 연결유닛(22a)들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주행부재(32a)는 대략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321a)및 본체(321a)의 둘레면을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배열되는 다수개의 산부(322a)와 골부(323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부재(32a)가 제자리 회전될 시 골부(323a)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볼부(21a)가 순차적으로 수용되고, 산부(322a)는 볼부(21a)들의 일측면을 순차적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로 인해 주행부(30)가 주행가이드(20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 도 5(b)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시스템(1)에 적용된 주행가이드(20b) 및 주행부재(32b)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주행가이드(20b)는 주행 레일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중심부(21b) 및 중심부(21b)의 외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지지부(22b)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21b)는 원형 단면 또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b)는 중심부(21b)의 외주연에 장착되도록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주행부재(32b)는 대략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 본체(321b) 및 본체(321b)의 둘레면을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배열되는 다수개의 산부(322b)와 골부(323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부재(32b)가 제자리 회전될 시 산부(322b)들의 사이에는 지지부(22b)가 순차적으로 수용됨과 아울러 산부(322b)들이 지지부(22b)들을 순차적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로 인해 주행부(30)가 주행가이드(20b)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은 주행가이드(20b)가 주행 레일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주행부재(32a,32b)는 주행가이드(20a,20b)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밀착되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산부(322b)가 볼부(21a) 또는 지지부(22b)를 순차적으로 밀어내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주행부재(32a,32b)가 주행가이드(20a,20b)에서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은 주행레일부(10)의 직선구간(10a) 및 곡선구간(10b)을 모두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으며, 특히, 주행부재(32b)가 곡선구간(10b)에 의해 방향전환을 하면서 전진 또는 후진될 때, 주행부(30)가 주행 레일부(10) 및 주행가이드(20b)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모노레일 시스템 10 : 주행 레일부
10a : 직선구간 10b : 곡선구간
11 : 주행경로 제공부재 12 : 간격유지부재
121 : 수평부재 122 : 경사부재
13 : 지지레일부 20a,20b : 주행가이드
21a : 볼부 22a : 연결유닛
21b : 중심부 22b : 지지부
30 : 주행부 31 : 탑재부
32a,32b : 주행부재 321a,321b : 본체
3211a,3211b : 회전축 322a,322b : 산부
323a,323b : 골부 33 : 이탈방지부
331 : 감쌈홀 334 : 브라켓
333 : 롤러 334 : 연결부재
34 : 베이스부재 35 : 서포트
36 : 하우징 37 : 받침판
10a : 직선구간 10b : 곡선구간
11 : 주행경로 제공부재 12 : 간격유지부재
121 : 수평부재 122 : 경사부재
13 : 지지레일부 20a,20b : 주행가이드
21a : 볼부 22a : 연결유닛
21b : 중심부 22b : 지지부
30 : 주행부 31 : 탑재부
32a,32b : 주행부재 321a,321b : 본체
3211a,3211b : 회전축 322a,322b : 산부
323a,323b : 골부 33 : 이탈방지부
331 : 감쌈홀 334 : 브라켓
333 : 롤러 334 : 연결부재
34 : 베이스부재 35 : 서포트
36 : 하우징 37 : 받침판
Claims (6)
-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주행 레일부;
상기 주행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주행 레일부와 함께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주행가이드; 및
탑승장치가 탑재되는 것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탑승장치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트 및 서포트들에 공동으로 지지되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에 결합되되, 상기 주행가이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주행가이드를 타고 전진 또는 후진되는 주행부재, 상면에 상기 탑재부가 배치되는 베이스부재 및 베이스부재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주행부재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주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가이드는,
상기 주행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배열되는 다수개의 볼부와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주행부재는 둘레면을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배열되는 다수개의 산부와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부재가 제자리 회전될 시 상기 골부에는 상기 볼부가 순차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산부는 상기 볼부들을 순차적으로 밀어내어, 상기 주행부가 상기 주행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주행 레일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주행경로 제공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행부는 상기 주행경로 제공부재를 각각 감싼 상태에서 이동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상면에는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는 주행경로 제공부재의 상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가 회전축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측에는 연결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유압실린더를 통해 결합되는 결합체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바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돌출바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부를 상기 주행경로 제공부재에 장착할 수 있는 모노레일 시스템.
- 삭제
- 삭제
-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주행 레일부;
상기 주행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주행 레일부와 함께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주행가이드; 및
탑승장치가 탑재되는 것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탑승장치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트 및 서포트들에 공동으로 지지되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에 결합되되, 상기 주행가이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주행가이드를 타고 전진 또는 후진되는 주행부재, 상면에 상기 탑재부가 배치되는 베이스부재 및 베이스부재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주행부재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주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가이드는,
상기 주행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외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부재는 둘레면을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배열되는 다수개의 산부와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부재가 제자리 회전될 시 상기 산부들이 상기 지지부들을 순차적으로 밀어내어, 상기 주행부가 상기 주행가이드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주행 레일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주행경로 제공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행부는 상기 주행경로 제공부재를 각각 감싼 상태에서 이동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상면에는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는 주행경로 제공부재의 상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가 회전축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측에는 연결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유압실린더를 통해 결합되는 결합체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바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돌출바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부를 상기 주행경로 제공부재에 장착할 수 있는 모노레일 시스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4918A KR102447935B1 (ko) | 2022-02-04 | 2022-02-04 | 모노레일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4918A KR102447935B1 (ko) | 2022-02-04 | 2022-02-04 | 모노레일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7935B1 true KR102447935B1 (ko) | 2022-09-27 |
Family
ID=8345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4918A KR102447935B1 (ko) | 2022-02-04 | 2022-02-04 | 모노레일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793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72506A (ja) * | 1999-03-19 | 2000-10-03 | Nippon Cable Co Ltd | 軌条運搬車両の駆動装置 |
KR101151307B1 (ko) | 2010-01-13 | 2012-06-08 | 한신공영 주식회사 | 모노레일용 가이드 레일블록의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노레일 분기 장치 |
CN113200059A (zh) * | 2021-05-31 | 2021-08-03 | 柏秋 | 一种球型齿轨道行驶结构及有轨微电车 |
-
2022
- 2022-02-04 KR KR1020220014918A patent/KR1024479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72506A (ja) * | 1999-03-19 | 2000-10-03 | Nippon Cable Co Ltd | 軌条運搬車両の駆動装置 |
KR101151307B1 (ko) | 2010-01-13 | 2012-06-08 | 한신공영 주식회사 | 모노레일용 가이드 레일블록의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노레일 분기 장치 |
CN113200059A (zh) * | 2021-05-31 | 2021-08-03 | 柏秋 | 一种球型齿轨道行驶结构及有轨微电车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2017B1 (ko) | 익사이팅 사이클 | |
DE19803465C2 (de) | Anlage für Vergnügungsbootsfahrten | |
US5540622A (en) | Water slide | |
KR102448817B1 (ko) | 충전식 스마트 트롤리 방식 공중 놀이시설 및 그 시공방법 | |
KR102447935B1 (ko) | 모노레일 시스템 | |
DE3018009A1 (de) | Schienenbahn fuer den transport von personen und guetern | |
KR101213739B1 (ko) | 쌍줄 짚라인 | |
EP1339630B1 (en) | Escalator for negotiating curves | |
KR101217805B1 (ko) | 쌍줄 짚라인 | |
WO2017219615A1 (zh) | 一种变曲率回环式自动扶梯梯级结构 | |
CN1911717A (zh) | 山地游览车 | |
CN212262358U (zh) | 一种水上飞船娱乐装置 | |
US20210187401A1 (en) | Amusement ride comprising and/or for vehicles | |
DE19923235A1 (de) | Belustigungsvorrichtung; Drachenflieger geführt an verschiedenen Aufhängungen | |
CN212282691U (zh) | 一种失衡感体验滚筒及游乐场设备 | |
CN111775967B (zh) | 一种边防运输巡逻系统 | |
EP1817219B1 (de) | Liftanlage | |
DE102013001547A1 (de) | Sportanlage für Fahrzeuge | |
WO1996027516A1 (en) | Flying railway vehicle and railway structure | |
KR102534842B1 (ko) | 이탈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 시스템 | |
CN220009737U (zh) | 一种索道滑行车 | |
DE20300534U1 (de) | Belustigungsvorrichtung | |
RU2780598C2 (ru) | Аттракцион с и/ил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 |
DE2225778A1 (de) | Einschienenhängebahn fur den Stadt und Vorortsverkehr | |
JPH02123086A (ja) | 観覧用昇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