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721B1 -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721B1
KR102447721B1 KR1020210121638A KR20210121638A KR102447721B1 KR 102447721 B1 KR102447721 B1 KR 102447721B1 KR 1020210121638 A KR1020210121638 A KR 1020210121638A KR 20210121638 A KR20210121638 A KR 20210121638A KR 102447721 B1 KR102447721 B1 KR 102447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ver
plug
coaxial cable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남
강경일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서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서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서뷰
Priority to KR1020210121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 커넥터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어댑터가 결합되는 경우 플러그에 구비되는 제1 자성체와 어댑터에 구비되는 제2 자성체가 소정 간격 만큼 이격되어 서로 반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의 인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어댑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넥터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Plug and Adapter for Radio frequncy coaxial cable and Radio frequncy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 기판, RF 모듈, 동축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성능 테스트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Radio Frequency) 커넥터는 유, 무선 통신을 위한 교환국 장비, 기지국 장비, 중계기, 안테나 등의 설비와 부품에는 비교적 주파수가 높은 RF 신호와 같은 특정 신호를 상호 송수신하기 위해 RF 동축 케이블이 연결된다.
상기 RF 동축 케이블은 용도 및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동축 커넥터를 구비하며, 연결 부품의 구조적 특징에 적합하게 제작된 커넥터를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RF 커넥터(RF Connector)는 DIN-Type, N-Type, BNC-Type, TNC-Type, SMA-Type 등의 종류가 있으며, 이러한 분류는 커넥터의 형태, 케이블의 종류, 신호의 주파수 범위, 결합 방법 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RF 동축 케이블과 플러그 조립체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테스트 장치에는 어댑터가 연결된다. 그리고, 어댑터와 플러그는 일반적으로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RF 커넥터 조립체를 사용할 경우 RF 동축 케이블이 결합된 플러그를 테스트하는 경우 매번 테스트 할 때 마다 플러그를 어댑터에 나사 결합하고, 테스트가 끝난 후에 어댑터와 플러그의 나사 결합을 분리시켜야 하므로 다수의 플러그-케이블을 테스트하는 경우 어댑터와 플러그의 체결 및 분리 작업이 번거롭고 테스트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어댑터와 RF 동축 케이블이 결합된 플러그의 체결 및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RF 커넥터의 테스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RF 동축 케이블이 결합되는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RF 동축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중심 도체; 상기 제1 중심 도체를 상기 제1 본체의 내주면에 대해 지지하는 제1 홀더; 상기 제1 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고리형의 제1 자성체; 상기 제1 자성체를 상기 제1 본체에 고정하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본체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자성체는 반고리형의 제1 N극 자석과 상기 제1 N극 자석과 대칭으로 형성된 반고리형의 제1 S극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제1 자성체를 외부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 환형의 커버로서 제1 커버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후크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환형의 제1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의 제1 홈에서 적어도 2 이상의 부분은 상기 제1 후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국소적으로 주변 부분에 비해 홈의 폭이 좁은 소폭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제1 커버의 상부 내주면과 하부 내주면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에 형성된 제1 후크는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쐐기형 후크이며, 상기 하부에 형성된 제1 후크는 좌우 양측 중 타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쐐기형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1 후크의 내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1 홈에서 상기 제1 후크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제1 커버가 상기 제1 본체에 설치될 때 상기 제1 후크의 내측면이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제1 후크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제1 후크가 상기 제1 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소정의 힘 이상의 힘을 가하여 상기 제1 커버를 회전시킬 때 상기 제1 커버를 회전시키는 방향이, (i) 상기 제1 후크의 전후방향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쐐기형의 제1 후크의 뾰족한 일단부가 상기 소폭부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후크가 상기 소폭부의 간격을 극복함으로써 상기 소폭부를 통과할 수 있지만, (ii) 상기 제1 후크의 전후방향의 폭이 점점 넓어지는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쐐기형의 제1 후크의 타단부가 상기 소폭부에 걸려서 상기 소폭부를 통과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 동축 케이블이 결합된 플러그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RF 동축 케이블용 어댑터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플러그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통형의 제2 본체;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중심 도체; 상기 제2 중심 도체를 상기 제2 본체의 내주면에 대해 지지하는 제2 홀더; 상기 제2 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고리형의 제2 자성체; 및 상기 제2 자성체를 상기 제2 본체에 고정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에 삽입되는 상기 제2 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용 어댑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2 자성체는 반고리형의 제2 N극 자석과 상기 제2 N극 자석과 대칭으로 형성된 반고리형의 제2 S극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2 자성체를 외부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 환형의 커버로서 제2 커버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후크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환형의 제2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의 제2 홈에서 적어도 2 이상의 부분은 상기 제2 후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국소적으로 주변 부분에 비해 홈의 폭이 좁은 소폭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제2 커버의 상부 내주면과 하부 내주면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에 형성된 제2 후크는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쐐기형 후크이며, 상기 하부에 형성된 제2 후크는 좌우 양측 중 타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쐐기형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2 후크의 내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자성체와 상기 제2 홈에서 상기 제2 후크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제2 커버가 상기 제2 본체에 설치될 때 상기 제2 후크의 내측면이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제2 후크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제2 후크가 상기 제2 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소정의 힘 이상의 힘을 가하여 상기 제2 커버를 회전시킬 때 상기 제2 커버를 회전시키는 방향이, (i) 상기 제2 후크의 전후방향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쐐기형의 제2 후크의 뾰족한 일단부가 상기 소폭부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후크가 상기 소폭부의 간격을 극복함으로써 상기 소폭부를 통과할 수 있지만, (ii) 상기 제2 후크의 전후방향의 폭이 점점 넓어지는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쐐기형의 제2 후크의 타단부가 상기 소폭부에 걸려서 상기 소폭부를 통과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러그; 및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어댑터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어댑터의 제2 본체의 일단부는 상기 플러그의 상기 제1 너트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어댑터의 제2 본체의 일단부가 상기 플러그의 제1 너트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는 소정 간격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반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의 인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어댑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플러그에 결합되는 RF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플러그와 어댑터가 나사결합 없이 자기 인력에 의해서만 서로 결합되므로 플러그와 어댑터를 쉽게 결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어댑터를 테스트 장치에 설치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RF 동축 케이블 조립체를 어댑터와 자기 인력에 의한 결합 및 분리를 통해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많은 개수의 플러그도 신속하게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의 중심을 y-z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의 제1 커버를 투명으로 표시하여 제1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용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용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용 어댑터의 중심을 y-z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용 어댑터의 제2 커버와 제2 자성체를 투명으로 표시하여 제2 본체에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용 어댑터의 제2 커버와 제2 자성체를 투명으로 표시하여 제2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버의 제2 후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와 어댑터가 결합된 RF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RF 커넥터 조립체를 y-z 평면으로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RF 커넥터 조립체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RF 커넥터 조립체에서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투명으로 표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에서 x축은 좌우방향을 나타내고, y축은 상하방향을 나타내며, z축은 전후방향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z축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이 전방을 나타내고 그 반대편이 후방을 나타내며, x축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이 우측 방향을 나타내고 그 반대편이 좌측 방향을 나타내며, y축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이 상부 방향를 나타내고 그 반대편이 하부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30)용 플러그(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30)용 플러그(1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30)용 플러그(10)의 중심을 y-z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30)용 플러그(10)의 제1 커버(140)를 투명으로 표시하여 제1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30)용 플러그(10)는 제1 본체(100), 제1 중심 도체(110), 제1 홀더(120), 제1 자성체(130), 제1 커버(140) 및 제1 너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본체(100)는 대략 원통형의 금속으로 형성되며, 제1 본체(100)의 내부 표면은 내주면의 직경이 가장 작은 제1 내부면(109a)과 내주면의 직경이 가장 큰 제3 내부면(109c) 및 제1 내부면(109a)보다 내주면의 직경이 크고 제3 내부면(109c) 보다 내주면의 직경이 작은 제2 내부면(109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F 동축 케이블(30)은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의 내부도체(300), 내부도체(300)를 둘러싸는 유전체(310), 유전체(310)를 감싸는 외부도체(320), 및 외부도체(320)를 감싸는 외부피복(330)으로 이루어진다.
제1 본체(100)의 제3 내부면(109c)에는 RF 동축 케이블(30)의 외부피복(330)이 안착되고 제2 내부면(109b)에는 외부피복(330)이 벗겨진 외부도체(320)가 안착된다. 외부피복(330)과, 외부도체(320) 및 유전체(310)가 제거되어 노출된 내부도체(300)는 제1 중심 도체(110)에 연결되고, 제1 중심 도체(110)는 제1 홀더(120)에 고정되며 제1 홀더(120)가 제1 내부면(109a)에 안착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별도로 분리된 제1 중심 도체(110) 없이 케이블(30)의 내부도체(300)가 직접 제1 홀더(1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케이블(30)의 내부도체(300)가 제1 중심 도체(110)가 된다.
제1 본체(100)의 외주면에는 자석 안착부(106), 제1 홈(101), 자석 고정돌기(107), 및 C링 결합홈(108)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석 안착부(106)는 후술할 제1 자성체(130)가 안착될 수 있는 부분이다.
제1 홈(101)은 자석 안착부(106)에 안착된 환형의 제1 자성체(130)를 덮어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환형의 제1 커버(140)가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이다.
제1 홈(101)은 제1 본체(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으로서, 도 1 내지 도 6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벽(102)과 후방의 벽(103) 및 국소적으로 주변 부 보다 홈의 폭이 좁게 형성되는 소폭부(104)를 포함한다.
소폭부(10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벽(102)의 일부분이 후방으로 약간 돌출되고, 이에 대응되는 후방의 벽(103)의 일부분이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소폭부(104)는 후술할 제1 커버(140)에 형성된 제1 후크(141)의 원주방향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 1 내지 도 6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101)의 전방의 벽(102)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평면(10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140)가 제1 본체(100)에 설치되는 경우 제1 홈(101)의 전방의 벽(102)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평면(105)에 대응되는 제1 커버(140)의 상부와 하부의 제1 후크(141)의 내측면(142)이 전방의 벽(102)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평면(105)에 걸리지 않고 전방벽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자석 고정돌기(107)는 상기 자석 안착부(106)의 전방에 고리 모양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자석 안착부(106)에 안착된 자석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C링 결합홈(108)은 제1 너트(150)를 제1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대략 C자형 링(151)이 결합되는 홈이다.
제1 홀더(120)는 제1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RF 동축 케이블(30)의 내부도체(300)를 제1 내부면(109a)에 대해 지지하는 부품으로서 전기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자성체(130)는 제1 본체(100)의 좌측에 위치하는 반고리형의 제1 N극 자석(131)과 제1 본체(100)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N극 자석(131)과 대칭으로 형성된 반고리형의 제1 S극 자석(13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본체(100)의 자석 안착부(106)에 제1 N극 자석(131)과 제1 S극 자석(132)이 각각 안착되어 서로 결합함으로써 고리형의 제1 자성체(130)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6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체(13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평면(13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140)가 제1 본체(100)에 설치되는 경우 제1 자성체(13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평면(133)에 대응되는 제1 커버(140)의 상부와 하부의 제1 후크(141)의 내측면(142)이 제1 자성체(13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평면(133)에 걸리지 않고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자성체(1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평면(133)은 제1 홈(101)의 전방의 벽(10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평면(105)과 동일한 평면에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40)는 제1 자성체(130)를 상기 제1 본체(100)에 고정한다. 도 1 내지 도 6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140)는 제1 자성체(130)를 외부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 환형의 커버로서 제1 커버(14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후방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돌출된 제1 후크(1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14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 후크(141)의 내측면(142)(바닥면)과 제1 커버(1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후크(141)의 내측면(142)(상부면)은 상기 제1 홈(101)의 전방의 벽(10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평면(105)과 제1 자성체(1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평면(133)에 대응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제1 커버(140)가 제1 본체(100)에 설치될 때 제1 후크(141)의 내측면(142)이 제1 자성체(130)와 제1 홈(101)의 전방의 벽(102)에 걸리지 않고 제1 홈(101)에 안착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제1 후크(141)는 제1 커버(140)의 상부 내주면과 하부 내주면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140)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후크(141)는 우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z방향)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쐐기형의 후크로 형성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140)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후크(141)는 좌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z방향)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쐐기형의 후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므로 제1 후크(141)의 방향은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반대가 될 수도 있다.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제1 커버(140)를 제1 본체(10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90° 정도 회전시키는 경우(즉, 제1 후크(141)의 전후방향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만약 외부에서 가하는 힘이 쐐기형의 제1 후크(141)가 제1 홈(101)의 소폭부(104)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이면 쐐기형의 제1 후크(141)의 뾰족한 일단부(143)가 소폭부(104) 사이로 삽입된 다음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후크(141)가 소폭부(104)의 간격을 극복함으로써 소폭부(104)를 넘어가게 된다(이 과정은 도 13에 도시된 제2 후크(241)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커버(140)의 양측에는 렌치와 같은 도구와 맞물리기 위한 도구 체결면(147)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본체(100)에도 렌치와 같은 도구와 맞물리는 체결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40)가 제1 본체(100)에 대해 도 4 및 도 5의 상태에서 90° 정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커버(140)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후크(141)는 도 4 및 도 5에서 제1 본체(100)의 우측에 형성된 2개의 소폭부(104, 104)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고, 제1 커버(140)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후크(141)는 도 4 및 도 5에서 제1 본체(100)의 좌측에 형성된 2 개의 소폭부(104, 104)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제1 후크(141)들은 제1 홈(101)의 전방의 벽(102)과 후방의 벽(103)에 의해 전후 방향(축방향)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1 후크(141)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소폭부(104)에 의해 원주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특히, 이 상태에서 제1 커버(140)를 제1 본체(10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힘을 가하더라도 쐐기형의 제1 후크(141)의 넓은 타단부(146)가 소폭부(104)에 걸리게 되어 제1 커버(14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에서 소정의 힘 이상의 힘을 가해 다시 제1 커버(140)가 제1 본체(100)에 대해 90° 정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즉, 도 4 및 도 5의 상태에서 총 180° 만큼 회전되면) 제1 후크(141)가 소폭부(104)를 넘어가게 되어 도 4에서 제1 커버(140)의 상단부에 위치하던 제1 후크(141)가 하단부로 이동하고 도 5에서 제1 커버(140)의 하단부에 위치하던 제1 후크(141)가 상단부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는 도 4 및 도 5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후크(141)의 내측면(142)은 제1 홈(101)의 전방의 벽(102)의 평면 및 제1 자성체(130)의 평면(133)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제1 커버(140)를 제1 본체(10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제1 너트(1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형의 링을 통해 제1 본체(100)의 C링 결합홈(10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너트(150)의 전방 내주면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커버(140)를 이용하여 RF 동축 케이블(30)용 플러그(10)의 제1 본체(100)에 고리형의 제1 자성체(130)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제1 자성체(130)를 교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RF 동축 케이블(30)용 플러그(10)를 이용할 경우 플러그(10)의 제1 너트(150)가 외부의 테스트 장치의 커넥터에 나사 결합으로 결합하지 않더라도 제1 자성체(130)를 이용하여 그와 반대되는 자성을 지니는 외부 테스트 장치의 커넥터에 RF 동축 케이블(30)용 플러그(1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자기 인력에 의한 결합이 되므로 플러그(10)와 테스트 장치를 쉽게 결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개수의 RF 동축 케이블(30)용 플러그(10)를 테스트하는데 있어서 테스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플러그(10)의 경우 제1 너트(150)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테스트가 끝난 후에는 이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별도의 장치나 커넥터에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30)용 어댑터(2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30)용 어댑터(2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30)용 어댑터(20)의 중심을 y-z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30)용 어댑터(20)의 제2 커버(240)와 제2 자성체(230)를 투명으로 표시하여 제2 본체(200)에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30)용 어댑터(20)의 제2 커버(240)와 제2 자성체(230)를 투명으로 표시하여 제2 본체(20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버(240)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버(240)의 제2 후크(241)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30)용 어댑터(20)는 제2 본체(200), 제2 중심 도체(210), 제2 홀더(220), 제2 자성체(230), 제2 커버(240) 및 제2 너트(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본체(200)에 형성된 제2 홈, 제2 자성체(230), 제2 커버(240) 등은 상술한 제1 홈(101), 제1 자성체(130), 제1 커버(140) 등과 실질적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2 본체(200)는 대략 원통형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제2 본체(200)의 내부면(209a)에는 제2 홀더(220)가 설치되며 제2 홀더(220)에 세장형의 도체가 고정된다.
제2 본체(200)의 외주면에는 자석 안착부(206), 제2 홈, 및 C링 결합홈(208)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30)용 어댑터(20)는 어댑터(20)에 삽입되는 RF 동축 케이블(30)이 연결된 플러그(10)를 테스트하는 장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에 삽입되는 상기 제2 본체(200)의 일단부의 외주면(S)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종레에는 RF 동축 케이블(30)용 플러그에 삽입되는 어댑터(20)의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플러그의 너트와 나사 결합을 통해 플러그와 어댑터(20)가 체결되어야 했으므로 다수의 플러그를 테스트 하는 경우 나사를 풀고 조이는 작업을 반복 수행해야 되었기 때문에 플러그와 어댑터(20)를 체결하고 분리시키는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플러그(10)의 제1 너트(150)에 삽입되는 어댑터(20)의 제2 본체(200)의 일단부의 외주면(S)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댑터(20)의 일단부를 플러그(10)의 제2 너트(250)에 쉽게 삽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댑터(20)와 플러그(10)는 제1 자성체(130)와 제2 자성체(230) 사이의 인력에 의해 결합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자석 안착부(206)는 제2 자성체(230)가 안착될 수 있는 부분이다.
제2 홈은 자석 안착부(206)에 안착된 환형의 제2 자성체(230)를 덮어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환형의 제2 커버(240)가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이다.
제2 홈은 제2 본체(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으로서, 도 7 내지 도 13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벽(202)과 후방의 벽(203) 및 국소적으로 주변 부 보다 홈의 폭이 좁게 형성되는 소폭부(204)를 포함한다.
소폭부(20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의 벽(203)의 일부분(203a)이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고, 이에 대응되는 전방의 벽(202)의 일부분(202a)이 후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소폭부(204)는 제2 커버(240)에 형성된 제2 후크(241)의 원주방향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 7 내지 도 13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홈의 후방의 벽(203)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평면(20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240)가 제2 본체(200)에 설치되는 경우 제2 홈의 후방의 벽(203)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평면(205)에 대응되는 제2 커버(240)의 상부와 하부의 제2 후크(241)의 내측면(242)이 제2 홈의 후방의 벽(203)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평면(205)에 걸리지 않고 후방의 벽(203)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C링 결합홈(208)은 제2 너트(250)를 제2 본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대략 C자형 링(251)이 결합되는 홈이다.
제2 홀더(220)는 제2 본체(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장형의 도체를 제2 본체(200)의 내부면에 대해 지지하는 부품으로서 전기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자성체(230)는 제2 본체(200)의 좌측에 위치하는 반고리형의 제2 S극 자석(231)과 제2 본체(200)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S극 자석(231)과 대칭으로 형성된 반고리형의 제2 N극 자석(23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본체(200)의 자석 안착부(206)에 제2 S극 자석(231)과 제2 N극 자석(232)이 각각 안착되어 서로 결합함으로써 고리형의 제2 자성체(230)가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13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성체(23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평면(23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240)가 제2 본체(200)에 설치되는 경우 제2 자성체(23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평면(233)에 대응되는 제2 커버(240)의 상부와 하부의 제2 후크(241)의 내측면(242)이 제2 자성체(23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평면(233)에 걸리지 않고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자성체(2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평면(233)은 제2 홈의 후방의 벽(203)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평면(205)과 동일한 평면에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240)는 제2 자성체(230)를 상기 제2 본체(200)에 고정한다. 도 7 내지 도 13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240)는 제2 자성체(230)를 외부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 환형의 커버로서 제2 커버(24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후방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돌출된 제2 후크(2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24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2 후크(241)의 내측면(242)(바닥면)과 제2 커버(2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 후크(241)의 내측면(242)(상부면)은 상기 제2 홈의 후방의 벽(203)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평면(205)과 제2 자성체(2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평면(233)에 대응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제2 커버(240)가 제2 본체(200)에 설치될 때 제2 후크(241)의 내측면(242)이 제2 자성체(230)와 제2 홈의 후방의 벽(203)에 걸리지 않고 제2 홈에 안착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제2 후크(241)는 제2 커버(240)의 상부 내주면과 하부 내주면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240)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2 후크(241)는 우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z방향)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쐐기형의 후크로 형성되고, 제2 커버(240)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2 후크(241)는 좌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z방향)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쐐기형의 후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므로 제2 후크(241)의 방향은 도 10 내지 12의 실시예와 반대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제2 후크(24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도 11에 도시된 제2 커버(240)를 제2 본체(200)에 대해 반시계 방향(도 13의 A 방향)으로 90° 정도 회전시키는 경우(즉, 제2 후크(241)의 전후방향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만약 외부에서 가하는 힘이 쐐기형의 제2 후크(241)가 제2 홈의 소폭부(204)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이면 쐐기형의 제2 후크(241)의 뾰족한 일단부(243)가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폭부(204) 사이로 삽입된 다음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후크(241)가 소폭부(204)의 간격을 극복함으로써 소폭부(204)를 넘어가게 된다.
제2 커버(240)의 양측에는 렌치와 같은 도구와 맞물리기 위한 도구 체결면(247)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본체(200)에도 렌치와 같은 도구와 맞물리는 체결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240)가 제2 본체(200)에 대해 도 11의 상태에서 90° 정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커버(240)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2 후크(241)는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200)의 우측에 형성된 2개의 소폭부(204, 204)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고, 마찬가지로 제2 커버(240)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2 후크(241)는 제2 본체(200)의 좌측에 형성된 2 개의 소폭부(204, 204)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제2 후크(241)들은 제2 홈의 전방의 벽(202)과 후방의 벽(203)에 의해 전후 방향(축방향)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2 후크(241)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소폭부(204 ,204)에 의해 원주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특히, 이 상태에서 제2 커버(240)를 제2 본체(20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힘을 가하더라도 쐐기형의 제2 후크(241)의 넓은 타단부(246)가 소폭부(204)에 걸리게 되어 제2 커버(24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에서 소정의 힘 이상의 힘을 가해 다시 제2 커버(240)가 제2 본체(200)에 대해 90° 정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즉, 도 11의 상태에서 총 180° 만큼 회전되면) 제2 후크(241)가 소폭부(204)를 넘어가게 되어 도 11에서 제2 커버(240)의 상단부에 위치하던 제2 후크(241)가 하단부로 이동하고 제2 커버(240)의 하단부에 위치하던 제2 후크(241)가 상단부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는 도 11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2 후크(241)의 내측면(242)은 제2 홈의 후방의 벽(203)의 평면 및 제2 자성체(230)의 평면(233)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제2 커버(240)를 제2 본체(20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제2 너트(25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형의 링을 통해 제2 본체(200)의 C링 결합홈(20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현재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너트(250)의 전방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너트(250)의 전방 내주면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커버(240)를 이용하여 RF 동축 케이블(30)용 어댑터(20)의 제2 본체(200)에 고리형의 제2 자성체(230)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제2 자성체(230)를 교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20)를 테스트 장비에 설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어댑터(20)의 제2 자성체(230)와 자력으로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플러그(10)를 신속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30)용 플러그(10)와 어댑터(20)가 결합된 RF 커넥터 조립체(1)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RF 커넥터 조립체(1)를 y-z 평면으로 절단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RF 커넥터 조립체(1)의 우측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4의 RF 커넥터 조립체(1)에서 제1 커버(140)와 제2 커버(240)를 투명으로 표시한 평면도이다.
도 14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 조립체(1)는 플러그(10)와 어댑터(20) 및 RF 동축 케이블(30)을 포함한다.
RF 동축 케이블(30)은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의 내부도체(300), 내부도체(300)를 둘러싸는 유전체(310), 유전체(310)를 감싸는 외부도체(320), 및 외부도체(320)를 감싸는 외부피복(330)으로 이루어지며 플러그(10)에 삽입된다. RF 동축 케이블(30)이 플러그(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10)의 제1 중심 도체(110)와 RF 동축 케이블(30)의 내부도체(300)가 서로 연결된다.
플러그(10)의 제1 본체(100)의 제3 내부면(109c)에는 RF 동축 케이블(30)의 외부피복(330)이 안착되고, 제2 내부면(109b)에는 외부피복(330)이 벗겨진 외부도체(320)가 안착되며, 외부피복(330)과, 외부도체(320) 및 유전체(310)가 제거되어 노출된 내부도체(300)는 제1 홀더(120)에 고정되며 제1 본체(100)의 제1 내부면(109a)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RF 동축 케이블(30)용 플러그(10)와 어댑터(20)가 결합되는 경우 어댑터(20)의 제2 본체(200)의 일단부는 플러그(10)의 제1 너트(150) 내부로 삽입되며 플러그(10)의 제1 중심 도체(110)의 단부가 어댑터(20)의 제2 중심 도체(210)의 수용홈(211)에 삽입된다. 이 때 어댑터(20)의 제2 본체(200)의 일단부의 외주면(S)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플러그(10)의 제1 너트(150)의 나사산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도 15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너트(150)의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너트(150) 내부로의 더욱 원활한 삽입을 위해 도 15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0)의 원통형의 제2 본체(200)의 일단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20)의 제2 본체(200)의 일단부가 상기 플러그(10)의 너트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체(130)와 상기 제2 자성체(230)는 소정 간격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반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1 자성체(130)와 상기 제2 자성체(230)의 인력에 의해 플러그(10)와 어댑터(20)가 결합된다. 도 17에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체(130)의 제1 N극 자석(131)은 제2 자성체(230)의 제2 S극 자석(231)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1 자성체(130)의 제1 S극 자석(132)은 제2 자성체(230)의 제2 N극 자석(232)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1 자성체(130)와 제2 자성체(23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 조립체(1)를 이용할 경우 서로 반대되는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플러그(10)의 제1 자성체(130)와 어댑터(20)의 제2 자성체(230)에 의해 RF 동축 케이블(30)용 플러그(10)에 어댑터(2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 조립체(1)의 경우 플러그(10)와 어댑터(20)가 나사결합 없이 자기 인력에 의해서만 서로 결합되므로 플러그(10)와 어댑터(20)를 쉽게 결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20)를 테스트 장치에 설치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10)를 RF 동축 케이블(30)과 연결하여 테스트하면 많은 개수의 플러그(10)도 신속하게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RF 커넥터 조립체
10: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100: 제1 본체
110: 제1 중심 도체
120: 제1 홀더
130: 제1 자성체
140: 제1 커버
150: 제1 너트
20: RF 동축 케이블용 어댑터
200: 제2 본체
210: 제2 중심 도체
220: 제2 홀더
230: 제2 자성체
240: 제2 커버
250: 제2 너트
30: RF 동축 케이블

Claims (14)

  1. RF 동축 케이블이 결합되는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RF 동축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중심 도체;
    상기 제1 중심 도체를 상기 제1 본체의 내주면에 대해 지지하는 제1 홀더;
    상기 제1 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고리형의 제1 자성체;
    상기 제1 자성체를 상기 제1 본체에 고정하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본체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제1 자성체를 외부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 환형의 커버로서 제1 커버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후크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환형의 제1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의 제1 홈에서 적어도 2 이상의 부분은 상기 제1 후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국소적으로 주변 부분에 비해 홈의 폭이 좁은 소폭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는 반고리형의 제1 N극 자석과 상기 제1 N극 자석과 대칭으로 형성된 반고리형의 제1 S극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제1 커버의 상부 내주면과 하부 내주면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에 형성된 제1 후크는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쐐기형 후크이며, 상기 하부에 형성된 제1 후크는 좌우 양측 중 타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쐐기형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후크의 내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1 홈에서 상기 제1 후크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제1 커버가 상기 제1 본체에 설치될 때 상기 제1 후크의 내측면이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제1 후크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제1 후크가 상기 제1 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소정의 힘 이상의 힘을 가하여 상기 제1 커버를 회전시킬 때 상기 제1 커버를 회전시키는 방향이,
    (i) 상기 제1 후크의 전후방향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쐐기형의 제1 후크의 뾰족한 일단부가 상기 소폭부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후크가 상기 소폭부의 간격을 극복함으로써 상기 소폭부를 통과할 수 있지만,
    (ii) 상기 제1 후크의 전후방향의 폭이 점점 넓어지는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쐐기형의 제1 후크의 타단부가 상기 소폭부에 걸려서 상기 소폭부를 통과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7. RF 동축 케이블이 결합된 플러그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RF 동축 케이블용 어댑터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플러그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통형의 제2 본체;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중심 도체;
    상기 제2 중심 도체를 상기 제2 본체의 내주면에 대해 지지하는 제2 홀더;
    상기 제2 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고리형의 제2 자성체; 및
    상기 제2 자성체를 상기 제2 본체에 고정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2 자성체를 외부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 환형의 커버로서 제2 커버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후크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환형의 제2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의 제2 홈에서 적어도 2 이상의 부분은 상기 제2 후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국소적으로 주변 부분에 비해 홈의 폭이 좁은 소폭부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에 삽입되는 상기 제2 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용 어댑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체는 반고리형의 제2 N극 자석과 상기 제2 N극 자석과 대칭으로 형성된 반고리형의 제2 S극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용 어댑터.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제2 커버의 상부 내주면과 하부 내주면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에 형성된 제2 후크는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쐐기형 후크이며, 상기 하부에 형성된 제2 후크는 좌우 양측 중 타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쐐기형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용 어댑터.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2 후크의 내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자성체와 상기 제2 홈에서 상기 제2 후크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제2 커버가 상기 제2 본체에 설치될 때 상기 제2 후크의 내측면이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제2 후크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용 어댑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제2 후크가 상기 제2 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소정의 힘 이상의 힘을 가하여 상기 제2 커버를 회전시킬 때 상기 제2 커버를 회전시키는 방향이,
    (i) 상기 제2 후크의 전후방향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쐐기형의 제2 후크의 뾰족한 일단부가 상기 소폭부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후크가 상기 소폭부의 간격을 극복함으로써 상기 소폭부를 통과할 수 있지만,
    (ii) 상기 제2 후크의 전후방향의 폭이 점점 넓어지는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쐐기형의 제2 후크의 타단부가 상기 소폭부에 걸려서 상기 소폭부를 통과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동축 케이블용 어댑터.
  13. RF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러그; 및
    제7항,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자성체 또는 상기 제2 자성체를 외부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 환형의 커버로서 제1 커버 또는 제2 커버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후크 또는 제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 또는 상기 제2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후크 또는 상기 제2 후크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환형의 제1 홈 또는 제2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의 제1 홈 또는 제2 홈에서 적어도 2 이상의 부분은 상기 제1 후크 또는 상기 제2 후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국소적으로 주변 부분에 비해 홈의 폭이 좁은 소폭부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어댑터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어댑터의 제2 본체의 일단부는 상기 플러그의 상기 제1 너트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어댑터의 제2 본체의 일단부가 상기 플러그의 제1 너트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는 소정 간격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반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의 인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어댑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넥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 결합되는 RF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넥터 조립체.
KR1020210121638A 2021-09-13 2021-09-13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 KR102447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38A KR102447721B1 (ko) 2021-09-13 2021-09-13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38A KR102447721B1 (ko) 2021-09-13 2021-09-13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721B1 true KR102447721B1 (ko) 2022-09-27

Family

ID=8345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638A KR102447721B1 (ko) 2021-09-13 2021-09-13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7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274B1 (ko) 2023-05-25 2023-08-17 홍민기 케이블 외부 돌출을 방지하는 어댑터 구조체
KR102602442B1 (ko) 2023-05-24 2023-11-15 주식회사 코엔플랜트 배관 개구부 안전망 장치
CN117335225A (zh) * 2023-12-01 2024-01-02 泰兴市航天电器有限公司 超百芯连接器大插拔力锁紧拆卸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354A (ja) * 1996-08-09 1998-04-2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CN102157870A (zh) * 2010-12-31 2011-08-17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磁性射频同轴连接器
KR20180022938A (ko) * 2015-07-01 2018-03-06 귈플러그 전기 플러그 및 소켓 조립체
CN211879684U (zh) * 2020-02-03 2020-11-06 镭洋电测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磁性导槽的射频连接器
KR20210001336U (ko) * 2019-12-06 2021-06-16 김수빈 연결이 편리한 콘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354A (ja) * 1996-08-09 1998-04-2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CN102157870A (zh) * 2010-12-31 2011-08-17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磁性射频同轴连接器
KR20180022938A (ko) * 2015-07-01 2018-03-06 귈플러그 전기 플러그 및 소켓 조립체
KR20210001336U (ko) * 2019-12-06 2021-06-16 김수빈 연결이 편리한 콘센트
CN211879684U (zh) * 2020-02-03 2020-11-06 镭洋电测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磁性导槽的射频连接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442B1 (ko) 2023-05-24 2023-11-15 주식회사 코엔플랜트 배관 개구부 안전망 장치
KR102567274B1 (ko) 2023-05-25 2023-08-17 홍민기 케이블 외부 돌출을 방지하는 어댑터 구조체
CN117335225A (zh) * 2023-12-01 2024-01-02 泰兴市航天电器有限公司 超百芯连接器大插拔力锁紧拆卸机构
CN117335225B (zh) * 2023-12-01 2024-03-26 泰兴市航天电器有限公司 超百芯连接器大插拔力锁紧拆卸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7721B1 (ko) Rf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및 어댑터와 이를 구비하는 rf 커넥터 조립체
US4836801A (en) Multiple use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lanar exposed surface
JP3682412B2 (ja) 電子相互接続アセンブリ
US7922529B1 (en) High mating cycle low insertion force coaxial connector
US8029324B1 (en) RF connector assembly
US9419377B2 (en) Dual orient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609925B1 (en) Precision BNC connector
US20140206221A1 (en) Daughtercard and backplane connectors
KR101239309B1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및 리셉터클
JP2006173107A (ja) ピンコネクタ
JP6251912B2 (ja) 同軸プローブ
US4906199A (en) Shield grounding connector and method
US20160197437A1 (en) High speed connector with sealed housing
EP2973871B1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US7495527B2 (en) Connector activated RF switch
US11462855B2 (en) Magnetic-enabled quick disconnect electrical connector
US3995930A (en) High voltage tube connector
CN111458540A (zh) 连接器件以及电子设备
GB2243034A (en) Electrical connectors
US9276332B2 (en) High-temperature RF connector
KR102030536B1 (ko) 안테나 고정장치
KR20190119280A (ko) 고전압 커넥터
CN212434880U (zh) 一种可拆卸式集束电缆连接装置
CN114207952B (zh) 检查用探针装置和连接器检查方法
US20090318020A1 (en) Adapter for a coaxial cabl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