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120B1 - 카메라, 스탠드, 및 카메라 및 스탠드가 있는 카메라 유닛 - Google Patents

카메라, 스탠드, 및 카메라 및 스탠드가 있는 카메라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120B1
KR102447120B1 KR1020170089060A KR20170089060A KR102447120B1 KR 102447120 B1 KR102447120 B1 KR 102447120B1 KR 1020170089060 A KR1020170089060 A KR 1020170089060A KR 20170089060 A KR20170089060 A KR 20170089060A KR 102447120 B1 KR102447120 B1 KR 102447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amera body
support
stand
cent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698A (ko
Inventor
노쿠오 타이치
타다노 카츠히사
카와시마 켄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Publication of KR20180007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수신부 및 광 수신부를 포함한 카메라 본체를 포함하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본체의 외부 표면은, 적어도 그 일부분 상에,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 주위의 커브를 이루는 곡면을 가지고, 카메라 본체를 좌우 방향으로 볼 때, 곡면은 적어도 회전 중심선 주변의 서로에 대해 대향하여 위치되는 부분들에 형성된다. 또한, 카메라의 외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탠드가 개시된다. 좌우 방향에서 보았을 때, 카메라 지지부가 카메라의 외부면을 적어도 180도의 각도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카메라 지지부는 카메라를 회전 중심선 주위에서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내부면을 가진다.

Description

카메라, 스탠드, 및 카메라 및 스탠드가 있는 카메라 유닛{CAMERA, STAND, AND CAMERA UNIT HAVING CAMERA AND STAND}
본 발명은 카메라, 스탠드, 및 표시 장치에 장착되는 이러한 카메라 및 스탠드가 있는 카메라 유닛에 관한 것이다.
미국 출원 공개 번호 2015/0362826 (본 명세서에서는 특허 문헌 1로 지칭된다)은 표시 장치(예를 들어, 텔레비젼 수신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의 표시 장치)의 상부 림(rim)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개시한다. 카메라는 스탠드를 통하여 표시 장치의 상부 림에 장착된다. 많은 경우에, 이러한 타입의 카메라는 카메라의 광 수신부의 방향이 수직으로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카메라는 스탠드에 부착된 지지부 및 지지부의 좌측 측면에 배열된 카메라 본체를 가진다. 카메라 본체가 좌우 방향을 따라 중심선 주변을 회전할 수 있도록, 카메라 본체는 지지부에 연결된다. 카메라 본체의 회전은 광 수신부 방향의 수직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2016 년 7월 13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우선권 특허 출원 JP 2016-138304에 개시된 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카메라 방향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단순화는 사용된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스탠드, 및 카메라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이러한 카메라와 스탠드가 있는 카메라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 수신부; 및 광 수신부에 통합된 카메라 본체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제공하고, 카메라 본체의 외부면은 적어도 그 일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 주변에 커브를 이루는 곡면을 가지며, 곡면은 스탠드의 지지부 내에 배열되고, 카메라 본체를 좌우 방향에서 볼 때, 곡면은 적어도 회전 중심선 주변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설정에 따라, 카메라 방향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비교적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의 외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탠드가 제공되고, 카메라 지지부는, 좌우 방향으로 볼 때, 카메라의 외부면을 적어도 180도의 각도로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카메라 지지부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을 기준으로 카메라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내부면을 가진다. 이러한 설정에 따라, 비교적 간단한 구조(즉, 카메라 지지부)로 카메라 본체를 지지할 수 있고 그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 수신부 및 광 수신부를 수용하는 카메라 본체를 가지는 카메라와 카메라 본체의 외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지지부를 가지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카메라 유닛이 제공되고, 카메라 지지부는 카메라 지지부를 좌우 방향에서 보았을 때 카메라 본체의 외부면을 적어도 180도의 각도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카메라 지지부의 내부면 및 카메라 본체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 주변에 커브를 이루는 곡면을 가진다. 이러한 설정에 따라, 비교적 간단한 구조(즉, 카메라 지지부 및 곡면)로 카메라 본체를 지지할 수 있고 그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와 스탠드를 가지는 카메라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III-III에 의해 절단된 스탠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카메라와 스탠드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카메라 본체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스탠드에 형성된 결합부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카메라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구현되는 카메라(10) 및 스탠드(50)를 포함하는 카메라 유닛(1)을 도시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탠드(5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III-III에 의해 절단된 스탠드(5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카메라(10)와 스탠드(50)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카메라 본체(D)의 후면을 도시 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스탠드(50)에 형성된 결합부(52)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카메라(10)의 하우징(13)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다음에, 도 1에 도시된 X1 및 X2는 각각 우측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 지칭되고, Y1 및 Y2는 각각 전방 방향 및 후방 방향으로 지칭되며, Z1과 Z2는 각각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으로 지칭된다. 이후에 서술할 광 수신부(11)의 방향, 즉, 광 수신부(11)의 광축 방향은 전방 방향이다.
카메라 유닛(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와 스탠드(50)를 포함한다. 스탠드(50)는 카메라(10)의 사용시 얇은 표시 장치(텔레비젼 수신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의 표시기)의 상부 림에 장착되어 카메라(10)를 지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는 카메라 본체(D) 및 카메라 본체(D)에 연결된 케이블(31)을 가진다. 카메라(10)의 예에서는, 케이블(31)은 카메라 본체(D)의 후방 측에 연결된다. 또한, 카메라(10)의 예에서는, 케이블(31)은 카메라 본체(D)의 중앙에 좌우 방향으로 연결된다. 케이블(31)의 단부에는 커넥터(31b)가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31b)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이거나 다른 종류의 커넥터일 수 있다. 케이블(31)의 접속 위치는 카메라(10)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케이블(31)은 카메라 본체(D)의 일 측면에 연결될 수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D)는 외광을 캡쳐하는 광 수신부(11)를 가진다. 광 수신부(11)는 렌즈 모듈과 광 수신 소자를 포함한다. 사용 중에, 광 수신부(11)를 통해 취득된 이미지 데이터가 정보 처리 장치에 전송되도록, 카메라(10)는 케이블(31)을 통해 게임 장치 또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 연결된다. 카메라(10)의 예에서, 카메라 본체(D)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2개의 광 수신부(11)를 가진다.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2개의 광 수신부(11)를 통해 얻은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3차원 화상이 생성될 수 있다. 광 수신부(11)의 수는 2개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의 광 수신부(11) 또한 허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D)는 마이크로폰(12)을 가진다. 카메라(10)는 마이크로폰(12)에 의해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케이블(31)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한다. 카메라(10)의 예에서, 카메라 본체(D)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마이크로폰(12)을 가진다. 정보 처리 장치에서, 음원의 위치는 복수의 마이크로폰(12)을 통해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폰(12)은 2개의 광 수신부(11)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카메라(10)의 예에서, 카메라 본체(D)는 4개의 마이크로폰(12)을 가진다. 마이크로폰(12) 중 2개는 2개의 광 수신부(11) 사이에 배치된다. 다른 2개의 마이크로폰(12)은 2개의 광 수신부(11)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하나의 마이크로폰(12)은 우측의 광 수신부(11)의 우측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다른 마이크로폰(12)은 좌측의 광 수신부(11)의 좌측 방향으로 배열된다. 카메라(10)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광 수신부(11) 및 4개의 마이크로폰(12)은 좌우 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이크로폰(12) 및 광 수신부(11)의 배치는 카메라(10)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4개의 마이크로폰(12) 모두는 2개의 광 수신부(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D)는 3개의 마이크로폰(12)을 가질 수 있고, 하나의 마이크로폰(12)은 두 개의 광 수신부(11) 사이에 배열되며, 다른 2개의 마이크로폰(12)은 광 수신부(11)의 외측에 배열된다. 또한, 다른 예에서, 카메라 본체(D)는 2개의 마이크로폰(12)만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마이크로폰(12)은 2개의 광 수신부(11)의 외부에만 배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D)는 스탠드(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스탠드(50)는 카메라 지지부(51)를 가진다. 카메라 지지부(51)는 카메라 본체(D)의 외부를 지지하도록 형셩된다. 스탠드(50)의 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지지부(51)를 좌우 방향에서 보았을 때, 카메라 지지부(51)가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을 180도 이상의 각도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카메라 본체(D)는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카메라 본체(D)가 스탠드(50)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지지부(51)의 일단부(51b)로부터 타단부(51c)까지의 수평 직선(C1) 주위의 각도(θ)는 180도 이상이다(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D)는 직선(C1) 주변에서 회전 가능하며, 다음에 이어지는 직선(C1)은 회전 중심선으로 지칭된다). 스탠드(50)의 하나의 예에서, 각도(θ)는 190도 이상이다. 카메라 지지부(51)의 2개의 단부(51b,51c)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카메라 지지부(51)는 일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스탠드(50)의 예에서, 카메라 지지부(51)는 카메라 본체(D)의 후방측 면을 둘러싸는 전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스탠드 (50)의 예 대신에, 카메라 지지부(51)는 원통형일 수 있다. 즉, 카메라 지지부(51)를 좌우 방향으로 볼 때 카메라 지지부(51)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은 수평 회전 중심선(C1) 주위의 회전가능해야 할 카메라 본체(D)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은 회전 중심선(C1) 주변에 커브를 이루는 곡면(51a)을 가진다.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은 적어도 회전 중심선 (C1) 주변에 서로 대향하는 부분들에 곡면(51a)를 가진다. 이러한 카메라 지지부(51)의 형상으로, 카메라 본체(D)는 카메라 지지부(51)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 중심선(C1)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카메라 본체(D)를 회전시킴으로써, 광 수신부(11)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D)는 2개의 광 수신부(11)를 가진다. 회전 중심선(C1) 주변의 커브를 이루는 곡면(51a)이 회전 중심선(C1)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동안에 카메라 본체(D)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즉, 예를 들어, 이러한 설정은 카메라 본체(D)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카메라 본체(D)의 우측 부분이 그 좌측 부분 위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2개의 광 수신부(11)의 광축이 서로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다.
스탠드(50)의 예에서, 180도 이상의 각도로 카메라 본체(D)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곡면(51a)은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카메라 지지부(51)가 형성된다. 이러한 설정은 스탠드(50)에 의해 제공되는 유지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스탠드(50)의 예 대신에,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의 일부분만이 회전 중심선(C1) 주변에 커브를 이루는 곡면(51a)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은 회전 중심선(C1) 주변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서만 곡면(51a)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단부(51b) 근방의 부분(도 3 참조) 및 단부(51c) 근방의 부분(도 3 참조)). 그러면,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의 다른 부분은 커브를 이루지 않을 수 있다. 즉,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의 다른 부분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회전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카메라 본체(D)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평탄한 부분은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과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은 회전 중심선(C1) 주변에 커브를 이루는 곡면(13a)을 가진다. 커브면(13a)은 카메라 지지부 (51)의 곡면(51a)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즉, 카메라 유닛(1)의 예에서는, 카메라 본체(D)의 곡면(13a)과 카메라 지지부(51)의 곡면(51a)은 모두 회전중심선(C1) 주변에서 커브를 이룬다. 이러한 배열로, 카메라 본체(D)가 회전하면, 카메라 본체(D)의 곡면(13a)이 카메라 지지부(51)의 곡면(51a)에 미끄러지면서 접촉한다. 이 때, 카메라 본체(D)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과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 사이의 접촉 영역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D)의 곡면(13a)과 카메라 지지부(51)의 곡면(51a)과 함께, 회전 중심선(C1)을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카메라 본체(D)가 회전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카메라 본체(D)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거나, 카메라 본체(D)의 우측 부분이 좌측 부분 위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2개의 광 수신부(11)의 광축을 서로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과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 사이에는, 이후에 서술될, 완충재가 배열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완충재 이외의 영역에서는,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과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존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D)를 좌우 방향에서 보았을 때, 곡면(13a)은 회전 중심선(C1) 주변에 180도 이상의 각도에 걸쳐 형성된다. 카메라 (10)의 예에서는, 곡면(13a)은 회전 중심선(C1) 주변으로 360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은 회전 중심선(C1) 주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의 반경(곡면(13a))은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의 반경(곡면(15a))에 대응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13a)은 카메라 본체(D)의 우측면(13c)으로부터 좌측면까지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10)의 예에서는, 카메라 본체(D)의외부면은, 광 수신부(11)가 배열되고 다른 영역의 회전 중심선(C1) 주변에서 커브를 이루는 위치에서, 평탄면(13b)을 가진다.
카메라 본체(D)의 형상은 카메라(10)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은 회전 중심선(C1) 주변의 원주 방향의 일부에서만 곡면 (13a)을 가질 수 있다. 즉,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은 회전 중심선(C1) 주변의 원호 곡면(13a)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13a)은 회전 중심선(C1) 주변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13a)은 카메라 본체(D)의 상부(예를 들어, 카메라 지지부(51)의 단부(51b) 근방의 부분) 및 하부(예를 들어, 카메라 지지부(51)의 단부(51c) 근방의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본체(D)의 다른 부분(예를 들어, 후방측 면 및 전방측 면)은 편평한 표면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탠드(50)의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은, 곡면(13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만 곡면(51a)을 가질 수 있거나, 스탠드(50)의 예와 같이, 회전 중심선(C1) 주위의 모든 원주 영역을 곡면(51a)으로 가질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은 좌우 방향의 일부의 곡면(13a)을 가질 수있다. 카메라 유닛(1)의 예에서, 카메라 지지부(51)의 좌우 방향의 폭은 카메라 본체(D)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작다. 따라서, 카메라 지지부(51)는 카메라 본체(D)의 일부(좌우 방향의 일부)만을 둘러싸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카메라 지지부(51)는 카메라 본체(D) 내 2개의 광 수신부(11) 사이의 부분을 둘러싼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은 카메라 지지부(51)의 곡면(51a)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곡면 (13a)을 가질 수 있다. 즉,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은 2개의 광 수신부(11) 사이의 부분에만 곡면(13a)을 가질 수 있다.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의 다른 부분은 편평한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본체(D)는 우측 광 수신부(11)의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 및 좌측 광 수신부(11)의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지지부(51)의 곡면(51a)과 카메라 본체(D)의 곡면(13a) 사이의 완충 소재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완충 영역(51d,51e,16)을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완충부(51d,51e,16)는 회전 중심선(C1)을 주변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을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완충재는 카메라 지지부(51)의 소재 및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을 구성하는 하우징(13)의 소재보다 부드럽다. 예를 들어, 카메라 지지부(51)의 소재 및 하우징(13)의 소재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다. 예를 들어, 완충 영역의 소재는 고무이다.
카메라 유닛(1)의 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소재에 의해 형성된 완충 영역(51d,51e)은 카메라 지지부(51)의 곡면(51a)에 부착되어 있다. 완충 영역(51d,51e)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완충 영역(51e)은 카메라 지지부(51)의 타단부(51c)에 위치하는 반면에 완충 영역(51d)은 카메라 지지부(51)의 일단부(51b)에 위치한다. 카메라 유닛(1)의 예에서는, 완충 영역(16)은 또한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에 배열되어 있다. 완충 영역(16)은 회전 중심선(C1) 주변의 원주 방향으로 2개의 완충 영역(51d,51e) 사이에 위치한다. 완충 영역(16)은, 예를 들어, 이후에 서술될, 케이블(31)의 베이스부(31a) 아래에 배치된다.
완충 영역(51d,51e,16)의 레이아웃은 카메라 유닛(1)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완충 영역(16)은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에 배열될 수 있다. 버퍼부(51d,51e)는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에 배열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의 예에서, 케이블(31)은 카메라 본체(D)의 후방측 면에 연결된다. 케이블(31)은 카메라 본체(D)에 연결된 베이스부(31a)를 가진다. 베이스부(31a)는 케이블(31)의 보강을 위한 부싱(bushing)을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50)의 카메라 지지부(51)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우측 지지부(51R) 및 좌측 지지부(51L)를 포함한다. 케이블(31)의 우측 지지부(51R) 및 좌측 지지부(51L)는 베이스부(31a)가 사이에 끼워지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케이블(31)은 우측 지지부(51R)와 좌측 지지부(51L) 사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설정은 스탠드(50)와 카메라(10) 사이의 좌우 방향 상대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우측 지지부(51R)와 좌측 지지부(51L)는 그 하부에서 상호 연결된다(도 2 참조).
카메라(10)의 예에서, 케이블(31)은 좌측 방향에서 카메라 본체(D)의 중앙에 위치한다. 따라서, 스탠드(50)는 카메라 본체(D)의 중앙부를 좌우 방향으로 지지한다. 결과적으로, 카메라 본체(D)는 스탠드(5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케이블(31)은 카메라 본체(D)의 상하 방향의 중심에 연결된다.
우측 지지부(51R)와 좌측 지지부(51L)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은 반드시 케이블(31)의 베이스부(31a)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카메라 본체(D)는 그 외부면에 우측 지지부(51R)와 좌측 지지부(51L) 사이에 배치된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케이블(31)은 카메라 지지부(51)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31)은 카메라 본체(D)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50)는 카메라 지지부(5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암부(53)를 가진다. 암부(53)는 베이스부(53a)를 가진다(이하, 베이스부 (53a)를 암 베이스부라 한다). 카메라 지지부(51)는 암 베이스부(53a)의 전단부에 연결된다. 암부(53a)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우측 암부(53R)와 좌측 암부(53L)를 가진다. 우측 암부(53R)는 카메라 지지부(51)의 우측 지지부(51R)에 연결되고, 좌측 암부(53L)는 카메라 지지부(51)의 좌측 지지부(51L)에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31)은 베이스부(31a)의 우측 암부(53R)와 좌측 암부(53L)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로, 예를 들어, 케이블(31)이 암 베이스부(53a) 위에 위치하는 구조에 비해 카메라 본체(D)의 위치가 낮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탠드(50) 및 카메라(10)가 표시 장치의 상부 림에 장착 될 때, 카메라 본체(D)가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암부(53)는 이동부(53b,53c)를 가진다. 제1 이동부(53b)는 암 베이스부(53a)의 후면 단부에 연결되어 암 베이스부(53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이동부(53b)는 암 베이스부(53a)의 후면 단부에 좌우 방향의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이동부(53b)의 회전은 제1 이동부(53b)와 암 베이스부(53a) 사이의 각도의 변화를 허용한다. 제2 이동부(53c)는 제1 이동부(53b)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이동부(53c)는 제1 이동부(53b)의 하단에 좌우 방향의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이동부(53c)의 회전은 제1 이동부(53b)와 제2 이동부(53c) 사이의 각도 변화를 허용한다.
카메라 지지부(51)는 그 전방 하부에 후크부(54)를 가진다(도 3 참조). 스탠드(50)가 사용중일 때, 암부(53)의 베이스부(53a)는 표시 장치의 상부에 배열되고, 후크부(54)는 표시 장치의 전방 상부 영역에 걸린다. 암부(53)의 제2 이동부(53c)의 단부는 표시 장치의 후방 상부 영역에 걸린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에는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5)는 카메라 본체(D)의 후방에 형성된다. 돌출부(15)의 위치는 카메라 본체(D)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통과하는 수평면(P)(도 3 참조)보다 높다. 이러한 돌출부(15)의 사용은, 카메라 본체(D)의 자세가 상하 방향으로 반전되는 상태로, 카메라 본체(D)가 스탠드(50) 상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의 예에서, 스탠드(50)에 카메라 본체(D)가 올바른 자세로 장착될 때, 돌출부(15)는 카메라 지지부(51)의 우측 지지부(51R)와 좌측 지지부(51L) 사이에 위치한다. 카메라 지지부(51)의 우측 지지부(51R)의 좌측 림 및 좌측 지지부(51L)의 우측 림 각각은 지지부(51R,51L) 사이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스토퍼(55)를 가진다. 카메라 본체(D)가 스탠드(50)에 올바른 자세로 장착되면, 돌출부(15)의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5) 보다 높다. 돌출부(15)의 위치는 수평면(P) 보다 높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D)의 자세가 상하 방향으로 반전된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D)를 스탠드(50)에 장착하려는 시도는 돌출부(15)와 스토퍼(55)의 충돌을 유발한다. 이는 카메라 본체(D)가 스탠드(50) 상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15)는 케이블(31)의 베이스부(31a)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돌출부(15)는 케이블(31)의 베이스부(31a)를 좌우 방향으로 끼우는 부분에 배열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돌출부(15)는 우측 지지부(51R)의 좌측 림과 좌측 지지부(51L)의 우측 림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카메라(10)의 예에서, 돌출부(15)는 대략 삼각형의 하방을 향한다. 따라서, 돌출부(15)는 그 하단부로부터 우측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면(15a)(도 5 참조)과 그 하단부로부터 좌측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면(15b)(도 5 참조)을 가진다. 이러한 경사면(15a,15b)은 돌출부(15)가 카메라 지지부(51)의 우측 지지부(51R)와 좌측 지지부(51L) 사이에 부드럽게 삽입되게 한다. 또한, 돌출부(15)의 형상은 카메라 (10)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D)는 카메라 본체(D)가 카메라 지지부(5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 중심선(C1)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카메라 본체(D)에는 결합부(14R,14L)가 형성되어 있고, 스탠드(50)에는 결합부(52R,52L)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14R,14L)는 각각 결합부(52R,52L)와 결합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카메라 본체(D)의 회전이 결합부(14R,14L) 각각이 결합부(52R,52L)에 결합된 상태로 규정된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D)의 자세(회전 방향에서의 위치)가 안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의 예에서, 카메라 본체(D)는 케이블 (31)의 베이스부(31a)의 우측에 배치된 결합부(14R)와 케이블(31)의 베이스부(31a)의 좌측에 배치된 결합부(14L)를 가진다(이하, 카메라 본체(D)의 결합부(14R)를 우측 결합부, 결합부(14L)를 좌측 결합부라 한다). 카메라 본체(D)의 우측 결합부(14R)가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열되고, 카메라 본체(D)의 좌측 결합부(14L)가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열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지지부(51)의 우측 지지부(51R)의 좌측 림에는 결합부(52R)가 형성되어 있고, 좌측 지지부(51L)의 우측 림에는 결합부(52L)가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D)의 우측 결합부(14R)는 이러한 우측 결합부(14R)의 우측 방향에 위치한 우측 지지부(51R)의 결합부(52R)와 결합된다. 카메라 본체(D)의 좌측 결합부(14L)는 이러한 좌측 결합부(14L)의 좌측 방향에 위치한 좌측 지지부(51L)의 결합부(52L)와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는 카메라 지지부(51)가 회전 중심선(C1)의 반경 방향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에 형성된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우측 지지부(51R)의 결합부(52R) 및 좌측 지지부(51L)의 결합부(52L) 각각이 우측 지지부(51R) 및 좌측 지지부(51L)의 내부면 상에 형성되는 구조에서, 우측 지지부(51R) 및 좌측 지지부(51L)의 결합부(52R) 및 결합부(52L)는 카메라 본체(D)의 결합부에 대해 회전 중심선(C1)의 반경 방향으로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우측 지지 부(51R) 및 좌측 지지부(51L)의 결합부(52R) 및 결합부(52L)의 양만큼 카메라 지지 부(51)를 회전 중심선(C1)의 반경 방향으로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스탠드(50) 및 카메라(10)의 예에서, 우측 지지부(51R) 및 좌측 지지부(51L)를, 회전 중심선(C1)의 반경 방향으로, 결합부(52R) 및 우측 지지부(51R)의 결합부(52L) 및 좌측 지지부(51L)의 양만큼 크게 할 필요가 없도록, 카메라 본체(D)의 우측 결합부(14R)는 우측 지지부(51R)의 결합부(52R)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고, 카메라 본체(D)의 좌측 결합부(14L)는 좌측 지지부(51L)의 결합부(52L)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지지부(51R)의 결합부(52R)와 좌측 지지부(51L)의 결합부(52L)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돌출부(52a)를 가진다. 각각의 돌출부(52a)는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우측 지지부(51R)의 결합부(52R)에서, 돌출부(52a)는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좌측 지지부(51L)의 결합부(52L)에서, 돌출부(52a)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52a) 사이에 오목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 지지부(51R) 및 좌측 지지부(51L) 각각에서, 복수의 오목부(52b)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D)의 우측 결합부(14R)의 단부는 우측 지지부(51R)의 결합 부(52R)의 오목부(52b)와 끼워 맞춰진다. 즉, 카메라 본체(D)의 우측 결합부(14R)는 우측 지지부(51R)의 결합부(52R)와 결합된다. 카메라 본체(D)의 좌측 결합부(14L)의 단부는 좌측 지지부(51L)의 결합부(52L)의 오목부(52b)와 끼워 맞춰진다. 즉, 카메라 본체(D)의 좌측 결합부(14L)는 좌측 지지부(51L)의 결합부(52L)와 결합된다.
우측 지지부(51R) 및 좌측 지지부(51L)는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우측 지지부(51R)는 우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좌측 지지부(51R)는 좌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즉, 우측 지지부(51R) 및 좌측 지지부(51L)는 그 사이의 공간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다. 회전 중심선(C1)을 주변에서 카메라 본체(D)를 회전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우측 지지부(51R) 및 좌측 지지부(51L)를 탄성 변형시키며, 그 사이의 공간을 약간 확장시킨다. 결과적으로, 카메라 본체(D)의 우측 결합부(14R)와 우측 지지부의 결합부(52R) 사이의 결합이 일시적으로 해제되며, 카메라 본체(D)의 좌측 결합부(14L)와 좌측 지지부(51L)의 결합부(52L) 사이의 결합이 일시적으로 해제된다. 그리고, 카메라 본체(D)의 우측 결합부(14R) 및 좌측 결합부(14L)는 우측 지지부(51R)의 결합부(52R) 및 좌측 지지부(51L)의 결합부(52L)에 형성된 오목부(52b)로 1단계 만큼 위로 이동하거나 오목부(52b)로 1단계 만큼 아래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우측 지지부(51R) 및 좌측 지지부(51L) 각각에는, 복수의 오목부(52b)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설정은 회전 중심선(C1) 주변으로 카메라 본체(D)의 위치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D)의 우측 결합부(14R) 및 좌측 결합부(14L)는 케이블(31)의 베이스부(31a)를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설정은, 카메라 본체(D)의 우측 결합부(14R) 및 좌측 결합부(14L)가, 카메라 본체(D)의 회전을 따라 우측 지지부(51R) 및 좌측 지지부(51L)에 형성된, 우측 결합부(52R) 및 좌측 결합부(52L) 사이의 공간을 확장할 때, 카메라 본체(D)의 우측 결합부(14R) 및 좌측 결합부(14L)가 케이블(31)의 베이스부(31a)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케이블(31)의 베이스부(31a)는 카메라 본체(D)의 중앙에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D)의 중심의 좌우 방향의 이동(회전 중심선(C1) 주위의 카메라 본체(D)의 회전)은 카메라 지지부(51)의 결합부(52R,52L)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케이블(31)의 베이스부(31a)가 카메라 본체(D)의 우측 단부 또는 좌측 단부에 연결되는 구조와 비교하여, 카메라 본체(D)의 자세가 안정될 수있다.
우측 결합부(14R), 좌측 결합부(14L), 결합부(52R), 및 결합부(52L)의 구조는 카메라(10)와 스탠드(50)의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메라 본체(D)의 우측 결합부(14R) 및 좌측 결합부(14L)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돌출부(즉,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오목부)를 가질 수 있으며, 결합부(52R) 및 우측 지지부(51R)의 결합부(52L) 및 좌측 지지부(51L) 각각은 2개의 인접한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맞춰지는 돌출부를 가진다. 또한, 다른 예에서, 카메라 본체(D)는 케이블(31)의 베이스부(31a)의 우측 및 좌측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오목부는 카메라 본체(D)의 우측 결합부(14R) 및 좌측 결합부(14L)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결합부(52R) 및 우측 지지부(51R)의 결합부(52L) 및 좌측 지지부(51L) 각각은, 카메라 본체(D)의 결합부(오목부)에 끼워맞춰지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또 다른 예에서, 결합부(52R) 및 우측 지지부(51R)의 결합부(52L) 및 좌측 지지부(51L)는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카메라 본체(D)의 우측 결합부(14R) 및 좌측 결합부(14L)가, 결합부(52R,52L)에 결합되도록,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D)는 항상 우측 결합부(14R)와 좌측 결합부(14L)의 쌍을 가지 않을 수 있다. 즉, 카메라 본체(D)는 하나의 결합부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지지부(51)는 항상 한 쌍의 결합부(52R,52L)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즉, 카메라 지지부(51)는 하나의 결합부를 가질 수 있다.
카메라 본체(D)는 광 수신부(11) 및 마이크로폰(12)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13)을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은 우측 하우징부(13R) 및 좌측 하우징부(13L)를 가진다. 우측 하우징부(13R)는 좌측 방향의 실린더 개구이고, 좌측 하우징부(13L)는 우측 방향의 실린더 개구이다. 우측 하우징부(13R)와 좌측 하우징부(13L)는 하우징(13)을 형성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결합된다. 우측 하우징부(13R) 및 좌측 하우징부(13L)는 수지(예를 들어, ABS 수지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하우징(13)에 따르면, 2개의 하우징부 사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면이 존재하지 않는다(우측의 하우징부(13R)와 좌측의 하우징부(13L) 사이에는, 회전 중심선(C1)을 주위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면이 존재한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D)는 회전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이 전후 방향으로 결합된 전방 하우징부와 후방 하우징부로 구성되는 구조에서, 전방 하우징부와 후방 하우징부 사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면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에, 카메라 본체(D)를 회전시키려고 하면, 카메라 지지부(51) 의 내면 또는 전술한 완충 영역(51d,51e,또는 16)(도 3 참조)이 접합면에 걸려서 카메라 본체(D)의 부드러운 회전이 방해를 받을 수 있다. 우측 하우징부(13R)와 좌측 하우징부(13L)로 이루어진 좌우 방향으로 결합된 하우징부(13)에 의하면, 그러한 걸림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이 전방 하우징부와 후방 하우징부로 구성되는 구조에서, 회전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카메라 본체(D)를 회전시키려는 시도는 전방 하우징부 및 후방 하우징부를 그 결합 표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게하여 하우징(13) 약간 변형시킬 수 있다. 하우징(13)에 의하면, 그러한 변형이 방지된다.
카메라(10)의 예에서, 케이블(31)의 베이스부(31a)는 우측 하우징부(13R)와 좌측 하우징부(13L) 사이에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하우징부(13R)의 좌측 림에는 오목부(13d)가 형성되고, 좌측 하우징부(13L)의 우측 림에는 오목부(13d)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오목부(13d)의 조합은 케이블(31)의 베이스부(31a)가 통과하는 개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카메라(10)의 조립(제조)은 케이블(31)이 통과하는 개구가 하나의 하우징부에만 형성되는 구조에 비해 용이해질 수 있다. 전술한 카메라 본체(D)의 우측 결합부(14R) 및 좌측 결합부(14L)는 우측 하우징부(13R) 및 좌측 하우징부(13L)의 오목부(13d)의 림에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10)의 예에서, 우측 하우징부(13R) 및 좌측 하우징부(13L)와 별도로 성형된 연결 부재(17)가 하우징(13)의 내부에 배치된다. 연결 부재(17)는 우측 하우징부(13R)와 좌측 하우징부(13L)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다. 즉, 연결 부재(17)의 일부는 우측 하우징부(13R)의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부분은 좌측 하우징부(13L) 내부에 위치한다. 우측 하우징부(13R) 및 좌측 하우징부(13L)는 연결 부재(17)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예를 들어, 우측 하우징부(13R) 및 좌측 하우징부(13L)의 성형은 우측 하우징부(13R) 및 좌측 하우징부(13L) 중 어느 하나에 연결 부재(17)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가 성형된 구조에 비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17)가 우측 하우징부(13R)와 일체로 성형된 구조에서, 우측 하우징부(13R)는 좌우 방향으로 깊어지며, 우측 하우징부(13R)의 성형이 어려워진다. 연결 부재(17)를 사용하여 우측 하우징부(13R) 및 좌측 하우징부(13L)를 유닛화함으로써 이들 영역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카메라(10)의 예에서, 우측 하우징부(13R)의 좌우 방향의 폭은 좌측 하우징부(13L)의 좌우 방향의 폭과 동일하다. 이는 2개의 하우징부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31)의 베이스부(31a)는 연결 부재(17)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케이블(31)의 베이스부(31a)는 연결 부재(17)의 후방 측에 부착되고 우측 하우징부(13R) 및 좌측 하우징부(13L)의 오목부(13d)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통해 후방으로 연장된다.
연결 부재(17)는, 접촉하고 있는 우측 하우징부(13R)의 림 및 좌측 하우징부(13L)의 림으로, 우측 하우징부(13R)와 좌측 하우징부(13L)를 서로 연결한다. 연결 부재(17) 및 우측 하우징부(13R) 및 좌측 하우징부(13L) 각각에는, 끼워 맞춤부 또는 오목부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연결 부재(17)는 회전 중심선(C1)을 주변의 원통형이다. 따라서, 우측 하우징부(13R) 내의 공간과 좌측 하우징부(13L) 내의 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17)의 외경은 우측 하우징부(13R) 및 좌측 하우징부(13L)의 내경에 대응한다. 이러한 설정은 우측 하우징부(13R)과 좌측 하우징부(13L)의 백래시(backlash)를 감소시킨다.
하우징(13)의 구조는 카메라(10)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우징(13)의 좌우 방향의 폭이 비교적 작으면, 우측 하우징부(13R) 및 좌측 하우징부(13L) 중 하나는 다른 것보다 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연결 부재(17)는 우측 하우징부(13R)와 좌측 하우징부(13L)의 일체화에 반드시 이용될 필요는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은, 적어도 그 일부분에,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C1) 주변에 커브를 이루는 곡면(13a)을 가지며, 스탠드(50)의 카메라 지지부(51) 내에 배열된다. 카메라 본체(D)를 좌우 방향에서 보았을 때, 커브면(13a)은 적어도 회전 중심선(C1) 주변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설정은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면에 대한 곡면(13a)의 슬라이딩이 가능해지게 한다. 결과적으로, 카메라 본체(D)의 회전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즉, 곡면(13a))로 허용된다.
카메라 지지부(51)를 좌우 방향에서 보았을 때, 카메라 지지부(51)는 카메라(10)의 외부면을 180도 이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10)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C1)을 주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즉, 카메라 지지부(51))로 카메라 본체(D)의 지지 및 카메라 본체(D)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카메라 유닛(1)은 광 수신부(11) 및 광 수신부(11)를 수용하는 카메라 본체(D) 및 그 외부에 카메라 본체(D)를 지지하기 위한 카메라 지지부(51)가 있는 스탠드(50)를 가지는 카메라(10)를 가진다. 카메라 지지부(51)를 좌우 방향에서 보았을 때, 카메라 지지부(51)는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을 180도 이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 및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C1) 주변에 커브를 이루는 곡면(13a 또는 51a)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즉, 카메라 지지부(51), 및 곡면(13a) 또는 곡면(51a))로 카메라 본체(D)의 지지 및 카메라 본체(D)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카메라(10), 스탠드(50), 및 전술한 카메라 유닛(1)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탠드(50)의 예에서,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은 원호 형상이다. 카메라(10)의 예에서, 카메라 본체(D)의 외부면은 원통형이다. 이러한 예 대신에, 카메라 지지부(51)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카메라 본체(D)는 원통형이 아니며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카메라 본체(D)는 프리즘의 네 코너에서 카메라 지지부(51)의 내부면과 접촉하여 카메라 지지부(51)에 의해 카메라 지지부(51)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른 예에서, 카메라 지지부(51)를 좌우 방향으로 볼 때, 카메라 본체(D)는 원통형이지만, 카메라 지지부(51)는 카메라 본체(D)를 둘러싸는 사각통 형상일 수 있다.
당업자는, 설계 요건 및 다른 요인에 따라 다양한 수정, 조합, 서브 조합 및 변경이, 이들이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5)

  1. 카메라에 있어서,
    광 수신부; 및
    상기 광 수신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본체의 외부면은 적어도 상기 카메라 본체 외부면의 일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 주변에 커브를 이루는 곡면을 가지며, 상기 곡면은 스탠드의 지지부 내부에 배열되고,
    상기 카메라 본체를 좌우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곡면은 적어도 상기 회전 중심선 주위의 서로에 대해 대향하여 위치되는 부분들에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 본체에는 상기 회전 중심선 주위로 상기 카메라 본체의 회전을 제1 결합부가 상기 스탠드의 제2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로 규제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결합부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은 회전 중심선 주위로 적어도 180도 이상의 각도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외부면은 좌우 방향에서 적어도 한 부분에서 상기 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후방측 면에 연결된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베이스부의 우측 및 좌측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는 좌우 방향으로 결합되는 우측 하우징부 및 좌측 하우징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우측 하우징부는 좌측 방향으로 원통형으로 개방되며,
    상기 좌측 하우징부는 우측 방향으로 원통형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스탠드에 있어서,
    카메라의 외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지지부를 좌우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카메라 지지부는 상기 카메라의 외부면을 적어도 180도의 각도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 지지부는 카메라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부면을 가지고,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의 후방 측에 연결된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가지며,
    상기 카메라 본체에는 상기 회전 중심선 주위로 상기 카메라 본체의 회전을 제1 결합부가 상기 스탠드의 제2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로 규제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결합부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지지부의 상기 내부면은 상기 회전 중심선 주변의 커브를 이루는 곡면을 가지고,
    상기 카메라 지지부를 좌우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곡면은 적어도 상기 회전 중심선 주위의 서로에 대해 대향하여 위치되는 부분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지지부를 좌우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곡면은 회전 중심선 주위로 적어도 180도 이상의 각도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지지부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우측 부분과 좌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부분과 상기 좌측 부분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의 베이스부를 끼우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부분의 좌측 림(rim)과 상기 좌측 부분의 우측 림 각각은 상기 케이블의 상기 베이스부에 배열된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된 상기 제2 결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12. 카메라 유닛에 있어서,
    광 수신부 및 상기 광 수신부를 수용하는 카메라 본체를 가지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 본체의 외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지지부를 가지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지지부를 좌우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카메라 지지부는 상기 카메라 본체의 외부면을 적어도 180도의 각도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 지지부의 내부면 및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 주변에 커브를 이루는 곡면을 가지고,
    상기 카메라 본체에는 상기 회전 중심선 주위로 상기 카메라 본체의 회전을 제1 결합부가 상기 스탠드의 제2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로 규제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결합부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지지부의 상기 내부면 및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외부면은 각각 상기 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유닛.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지지부에는 제2 결합부가 배열되고,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제1 결합부는 좌우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지지부의 상기 제2 결합부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유닛.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는, 상기 카메라 본체의 외부면에,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하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방으로 시프트(shift)된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카메라 본체의 자세가 상기 상하 방향으로 반전될 때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돌출부에 걸리는 스토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유닛.
KR1020170089060A 2016-07-13 2017-07-13 카메라, 스탠드, 및 카메라 및 스탠드가 있는 카메라 유닛 KR102447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38304A JP6700131B2 (ja) 2016-07-13 2016-07-13 カメラ、スタンド、及びそれらを備えるカメラユニット
JPJP-P-2016-138304 2016-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698A KR20180007698A (ko) 2018-01-23
KR102447120B1 true KR102447120B1 (ko) 2022-09-26

Family

ID=5939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060A KR102447120B1 (ko) 2016-07-13 2017-07-13 카메라, 스탠드, 및 카메라 및 스탠드가 있는 카메라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84606B2 (ko)
EP (1) EP3270221A1 (ko)
JP (1) JP6700131B2 (ko)
KR (1) KR102447120B1 (ko)
CN (1) CN1076238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4165B2 (en) * 2017-07-11 2019-04-16 Hand Held Products, Inc. Optical bar assemblies for optical systems and isolation damping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D894250S1 (en) * 2018-11-26 2020-08-25 Pittasoft Co., Ltd. Vehicle dashboard camera
US11553114B2 (en) 2020-05-29 2023-01-10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amera unit having a stand and pivotable arms
JP2022054319A (ja) * 2020-09-25 2022-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22067380A1 (en) * 2020-09-29 2022-04-07 Jude Elkanah Permall Traffic stop camera assembly
US11519588B2 (en) * 2021-03-09 2022-12-06 Zhejiang Topmb Electrical Lighting Co., Ltd. Fixing clamp and hanging lamp
US11553115B1 (en) 2021-06-16 2023-01-10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Movable camera
US11738698B1 (en) * 2022-04-28 2023-08-29 Argo AI, LLC Mounting device for maintaining rigid alignment between camera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7051A1 (en) 2006-01-30 2007-08-02 Shih-Ying Hsiao Multifunction camera assembly for a computer
JP2009077090A (ja) * 2007-09-20 2009-04-09 Nikon Corp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画像読み出しシステム
US20100039552A1 (en) * 2008-08-12 2010-02-18 Kuo-Hua Kao Webcam module having a clamping device
JP5841669B2 (ja) * 2013-02-18 2016-01-1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カメラ、カメラアッセンブリ及びスタンド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71225Y (zh) * 1996-10-30 1997-12-24 杭特电子股份有限公司 可任意调整摄像机角度的装置
JP3642198B2 (ja) * 1998-09-17 2005-04-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用カメラ
JP2000295504A (ja) 1999-04-06 2000-10-20 Canon Inc デジタルカメラ
US6357936B1 (en) 1999-12-27 2002-03-19 Elbex Video Ltd. Holder for a ball-shaped television camera or a TV camera case
JP4861929B2 (ja) * 2006-08-28 2012-0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メラ、カメラ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回路
TW200815894A (en) * 2006-09-28 2008-04-01 Compal Electronics Inc Angle rotatable camera
CN201127060Y (zh) * 2007-07-13 2008-10-01 英保达资讯(天津)有限公司 一种摄像头夹持结构
KR101366276B1 (ko) * 2007-08-31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054598A (ja) 2008-08-26 2010-03-11 Canon Inc 撮像装置
JP5556543B2 (ja) * 2010-09-30 2014-07-23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取り付け装置
KR101338886B1 (ko) * 2011-06-28 2013-12-09 신형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CN103581508A (zh) * 2012-07-18 2014-02-12 派尔高公司 摄像机
US8882369B1 (en) 2013-05-02 2014-11-11 Rosemount Aerospace Inc. Integrated gimbal assembly
CN203563160U (zh) 2013-11-15 2014-04-23 余必春 一种互动式智能机顶盒
US9686453B2 (en) * 2015-11-06 2017-06-20 Facebook, Inc. Tracking camera pivot mechanis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7051A1 (en) 2006-01-30 2007-08-02 Shih-Ying Hsiao Multifunction camera assembly for a computer
JP2009077090A (ja) * 2007-09-20 2009-04-09 Nikon Corp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画像読み出しシステム
US20100039552A1 (en) * 2008-08-12 2010-02-18 Kuo-Hua Kao Webcam module having a clamping device
JP5841669B2 (ja) * 2013-02-18 2016-01-1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カメラ、カメラアッセンブリ及びスタンド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23805B (zh) 2021-01-12
KR20180007698A (ko) 2018-01-23
JP6700131B2 (ja) 2020-05-27
US10184606B2 (en) 2019-01-22
CN107623805A (zh) 2018-01-23
JP2018010117A (ja) 2018-01-18
US20180017204A1 (en) 2018-01-18
EP3270221A1 (en)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7120B1 (ko) 카메라, 스탠드, 및 카메라 및 스탠드가 있는 카메라 유닛
US10983362B2 (en) Optical unit with shake correction function
US11696415B2 (en) Hinge structure, folding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KR100539527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KR20160087972A (ko) 폴더블 표시장치
US8390996B2 (en) Display device
US11619821B2 (en) Head-mounted display
JP2007243631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EP2629147B1 (en) Window for preventing camera distortion in an electronic device
US11163221B2 (en) Projection device
US20080143872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mage capturing device
TWM606308U (zh) 鏡頭模組及電子裝置
JP5841669B2 (ja) カメラ、カメラアッセンブリ及びスタンド部材
US10809597B2 (en) Imaging device
US20080309587A1 (en) Head mount display
US20190391502A1 (en) Optical component holding apparatus for holding optical component, and optical device
US10983571B2 (en) Display with rotatable camera structure
TWM638116U (zh) 電子裝置固定座
KR101625608B1 (ko)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모듈
WO2021241633A1 (ja) カメラユニット
WO2019017025A1 (ja) Vr用メガネ
US20230308627A1 (en) Lens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KR101577666B1 (ko)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모듈
US20050174461A1 (en) Digital video camera
JP2012053363A (ja) カメラ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