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662B1 - 수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수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662B1
KR102446662B1 KR1020150185463A KR20150185463A KR102446662B1 KR 102446662 B1 KR102446662 B1 KR 102446662B1 KR 1020150185463 A KR1020150185463 A KR 1020150185463A KR 20150185463 A KR20150185463 A KR 20150185463A KR 102446662 B1 KR102446662 B1 KR 102446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moisture sensing
sensing electrode
diffusion member
sen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5603A (ko
Inventor
진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5018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6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of the flu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수분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는 판형상의 제1 수분 감지 전극;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의 일면에 적층되는 수분 확산 부재; 및 중공이 형성된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분 확산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수분 확산 부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 수분 감지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water detection apparatus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서의 종래의 침수 보호 방법에는 수동적인 리트머스 부착방법과 능동적인 보호 회로의 사용방법이 있다. 상기 수동적인 리트머스 부착방법은 사전에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이 아니라, 침수 이후에 확인하기 위한 방법이고 한번 침수된 이후에는 재사용이 어렵다. 또한, 능동적인 보호 회로의 사용방법은 침수로부터 충전기 자체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휴대 단말기 자체를 보호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침수 보호 방법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는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동작되고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 내부의 회로기판에서 수분에 의한 합선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침수 보호 방법은 침수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실질적으로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891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분의 유입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수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 감지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수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형상의 제1 수분 감지 전극;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의 일면에 적층되는 수분 확산 부재; 및 중공이 형성된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분 확산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수분 확산 부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 수분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수분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은 원형이고, 상기 수분 확산 부재는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과 대응되는 크기의 원판형상이며,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은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과 대응되는 원형 띠(Torus)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 감지 장치는, 회로기판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1 리드 단자와,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리드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비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폐곡선 형상의 몸체 부재; 양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 부재의 일면을 따라 배치되는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들; 및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들과 모두 접촉되도록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들의 일면에 적층되는 수분 확산 부재;를 포함하는 수분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분 감지 장치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분 확산 부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판상의 도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 부재의 외부면에 형성된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부재에서 상기 수분 감지 전극의 반대측에 위치되며 상기 몸체 부재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연결 전극을 매개로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들 각각과 결합된 두 개의 고정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수분 확산 부재는 친수성 멤브레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 확산 부재의 소재는 면직물, 부직포 및 종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 확산 부재의 두께는 5㎛ 내지 1000㎛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하우징의 일부분에 형성된 스피커 보호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스피커 보호망과 대응되는 부분에 결합된 스피커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스피커 유닛을 감싸도록 위치된 수분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기, 일례로 휴대 단말기가 침수되어 수분이 휴대 단말기 내부로 유입되면, 수분 확산 부재가 수분을 즉시 흡수하면서 제1 수분 감지 전극 및 제2 수분 감지 전극이 통전된다. 이때, 수분 감지 장치는 휴대 단말기가 침수된 것으로 판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기가 회로기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게 하여 회로기판이 합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수분 감지 전극, 수분 확산 부재 및 제2 수분 감지 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 공정이 단순하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는 상기와 같이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 종래의 수분 감지 장치와 비교하여 내구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분 확산 부재가 수분 감지 전극에 밀착된 상태에서 주변의 수분을 모두 흡수함으로써, 수분이 수분 감지 전극에 고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회로기판의 건조와 함께 수분 확산 부재에 흡수된 수분이 대기중으로 빠르게 건조됨으로써, 침수 판단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는 한번만 사용되고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수분의 흡수 및 건조를 반복하더라도 마모되거나 파손되지 않으므로, 휴대 단말기 내에 설치되어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수분 감지 전극으로만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수분 확산 부재가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나머지 수분 감지 전극으로도 수분을 전달하여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이 신속하게 통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의 침수 감지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분 감지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수분 감지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수분 감지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5에서 Ⅵ-Ⅵ'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분 감지 전극(110), 수분 확산 부재(120) 및 제2 수분 감지 전극(130)을 포함한다.
제1 수분 감지 전극(110)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110)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분이 수분 감지 장치(100)로 유입되면,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110)은 후술할 제2 수분 감지 전극(130)과 통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수분 확산 부재(120)는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110)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분 확산 부재(120)는 일례로 친수성 멤브레인(membrane)일 수 있다. 즉, 상기 수분 확산 부재(120)는 물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소재의 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분 확산 부재(120)의 두께는 일례로 5㎛ 내지 1000㎛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분 확산 부재(120)의 소재는 일례로 면직물, 부직포 및 종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소재들은 수분을 흡수하지 않으면 부도체의 성질을 갖고 수분을 흡수하면 도체의 성질을 갖는 소재이다. 즉, 수분 확산 부재(120)는 수분을 흡수하면 전류를 흐르게 하고, 수분이 건조되면 전류를 흐르지 않게 한다.
제2 수분 감지 전극(130)은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분 확산 부재(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130)은 중공(131)이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130)이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110)과 통전되면, 수분 감지 장치(100)는 수분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130) 및 제1 수분 감지 전극(110)의 소재는 일례로 금, 은, 구리 및 니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소재이면 어떠한 소재를 사용해도 무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130) 및 제1 수분 감지 전극(110)은 휴대 단말기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110)으로부터 제1 리드 단자(1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130)으로부터 제2 리드 단자(13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 단자들(132, 111)은 휴대 단말기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100)를 구성하는 제1 수분 감지 전극(110), 수분 확산 부재(120) 및 제2 수분 감지 전극(130) 각각의 형상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110)은 원형이고, 상기 수분 확산 부재(120)는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110)과 대응되는 크기의 원판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130)은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110)과 대응되는 원형 띠(Torus)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수분 감지 장치(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원판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110)과 상기 수분 확산 부재(120)의 결합 방법 또는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130)과 상기 수분 확산 부재(120)의 결합 방법은 도전성 접착 테이프(140)를 사용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130)과 상기 수분 확산 부재(120)의 결합시에는 링 형상의 제2 도전성 접착 테이프(142)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110)과 상기 수분 확산 부재(120)의 결합시에는 원형상의 제1 도전성 접착 테이프(141)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도전성 접착 테이프(142)에는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130)의 중공(131)과 대응되는 크기의 중공(142a)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도전성 접착 물질을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110), 수분 확산 부재(120) 및 제2 수분 감지 전극(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도포하여 서로 밀착시킨 후 건조시키는 방법도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100)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어 휴대 단말기의 침수를 감지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수분이 외부로부터 수분 감지 장치(100)로 유입되면, 수분이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130)을 통하여 이동되다가 수분 확산 부재(120)에 흡수된다. 상기 수분 확산 부재(120)는 도체 상태가 되면서, 제1 수분 감지 전극(110)과 제2 수분 감지 전극(130)이 서로 통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100)는 휴대 단말기가 침수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 신호를 생성한다. 휴대 단말기에 포함된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기의 회로기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이 수분에 의해 합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100)는 제1 수분 감지 전극(110), 수분 확산 부재(120) 및 제2 수분 감지 전극(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 공정이 단순하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 종래의 수분 감지 장치와 비교하여 내구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200)는 몸체 부재(210),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220)들 및 수분 확산 부재(230)를 포함한다.
몸체 부재(210)는 내부 공간(211)이 형성된 폐곡선 형상이다. 상기 몸체 부재(210)의 내부 공간(211)에는 휴대 단말기에 포함된 특정 부품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 유닛, 마이크 유닛 및 이어폰 커넥터의 일부분 또는 전체가 상기 몸체 부재(210)의 내부 공간(211)에 수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를 위하여 몸체 부재(210)의 두께는 내부 공간(211)에 수용되는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몸체 부재(210)의 소재는 비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몸체 부재(210)의 소재는 일례로 플라스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220)들은 띠(ribbon)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체 부재(210)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며 양단이 서로 이격된다.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220)들의 소재는 일례로 금, 은, 구리 및 니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소재이면 어떠한 소재를 사용해도 무방할 수 있다.
수분이 외부로부터 몸체 부재(210)의 내부 공간(211)을 통하여 유입되는 경우, 상기 수분 확산 부재(230)가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면서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220)들이 통전될 수 있다.
상기 수분 확산 부재(230)는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220)들 상에 결합된다.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220)들은 수분 확산 부재(230)의 하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분 확산 부재(2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100, 도 1 참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분을 흡수하지 않으면 부도체의 성질을 갖고 수분을 흡수하면 도체의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수분이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수분 확산 부재(230)에 접촉되면, 상기 수분 확산 부재(230)는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면서 전류를 통과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수분 확산 부재(230)와 접촉된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들(220a, 220b)이 서로 통전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20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100, 도 1 참조)와 비교하여 상기 몸체 부재(210)의 내부 공간(211)에 휴대 단말기에 포함된 특정 부품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서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수분이 쉽게 유입될 수 있는 부품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분 감지 장치(200)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유닛에 설치되어 스피커 유닛으로 유입된 수분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사는 휴대 단말기의 설계시 수분 유입이 가장 쉬운 부품에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200)를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수분 유입에 의해 휴대 단말기 내부의 회로기판이 합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제조시 휴대 단말기의 모든 부분에 수분 감지 장치(200)를 설치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에서 수분 유입에 취약한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배치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수분 감지 장치(200)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2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수분 감지 장치(200)는 고정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250)는 상기 몸체 부재(210)에서 상기 수분 감지 전극(220)의 반대측에 위치되며 상기 몸체 부재(210)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연결 전극(260)을 매개로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220)들 각각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250)는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들(220a, 220b) 각각과 결합될 수 있도록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들(220a, 220b)은 상기 고정 부재(250)에 의해 상기 몸체 부재(2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250)와 수분 감지 전극(220)의 연결 방법은 일례로 상기 몸체 부재(210)에 상하방향으로 비아홀을 형성하고, 연결 전극(260)을 비아홀 내부에 형성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200)는 도전 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전 부재(240)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분 확산 부재(230)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도전 부재(240)는 전기가 흐르는 면적을 증가시켜서 저항을 감소시킨다.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들(220a, 220b)이 서로 단락되어 있다가 수분 확산 부재(230)가 수분을 흡수하여 도전체가 되면서 상기 도전 부재(240)도 수분 확산 부재(230)와 통전될 수 있다. 상기 도전 부재(240)는 이때 발생하는 저항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들(220a, 220b)의 통전시 발생되는 발열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200)의 설계시 발열을 고려하여 설계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수분 감지 장치(200)를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전 부재(240)의 외부면에는 보호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외부의 접촉으로부터 상기 도전 부재(24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 감지 장치(200)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보호층은 상기 도전 부재(240)가 이와 인접한 다른 부품과 접촉되어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보호층은 일례로 비도전성 필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전 부재(240)와 상기 수분 확산 부재(230)의 결합 방법은 일례로, 도전성 접착 테이프(미도시)를 사용한 방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도전성 접착 물질을 상기 수분 확산 부재(230) 및 상기 도전 부재(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도포하여 서로 밀착시킨 후 건조시키는 방법도 가능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수분 감지 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10)는 스피커 보호망(12), 스피커 유닛(15) 및 수분 감지 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 보호망(12)은 하우징(11)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은 측면에 조작 버튼(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는 카메라 유닛(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보호망(12)은 상기 하우징(11)에서 스피커 유닛(15)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하는 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스피커 보호망(12)은 일례로 금속 소재의 그물(mesh)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스피커 보호망(12)은 외부의 접촉으로부터 스피커 유닛(15)을 보호하면서, 상기 스피커 유닛(15)으로부터 출력되는 소리가 외부로 용이하게 출력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스피커 유닛(15)은 상기 하우징(11)의 내측에서 상기 스피커 보호망(12)과 대응되는 부분에 결합된다. 스피커 유닛(15)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10) 내부에 장착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분 감지 장치(200)는 상기 하우징(11)의 내측에서 상기 스피커 유닛(15)을 감싸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분 감지 장치(200)는 앞서 설명한 수분 감지 장치(200)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분 감지 장치(200)에 포함된 몸체 부재의 내부 공간에 스피커 유닛(15)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10) 내부에 상기 수분 감지 장치(200)를 설치하는 방법은 일례로 상기 수분 감지 장치(200)에 포함된 고정 부재(250, 도 4 참조)를 상기 하우징(11)의 내측에 결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수분이 스피커 보호망(12)을 통하여 유입되면, 상기 수분 감지 장치(200)는 수분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10)에서 침수 감지가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침수되기 전에는 수분 확산 부재(230, 도 4 참조)가 부도체 상태이다. 따라서,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220, 도 4 참조)들이 단락된 상태이므로, 상기 수분 감지 장치(200)는 휴대 단말기(10)가 침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가 침수되어 물이 스피커 보호망(12)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10) 내부로 유입되면, 수분 확산 부재(230)가 물을 흡수하면서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220)들이 통전된다. 이때, 수분 감지 장치(200)는 휴대 단말기(10)가 침수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 신호를 생성한다. 휴대 단말기(10)에 포함된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기(10)의 회로기판(미도시)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지나서 휴대 단말기(10)의 회로기판에 잔류하는 수분이 제거되면, 수분 확산 부재(230)에 포함된 수분도 제거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220)들이 단락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200)는 휴대 단말기(10)의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연동되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면서 휴대 단말기(10)에 포함된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기(10)의 회로기판으로 전원을 재차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와 다르게 수분 확산 부재(230)가 구비되지 않은 수분 감지 장치의 경우, 수분의 응집력에 의해 수분 감지 전극 상에 수분이 고인 상태가 되어 수분 감지 전극들이 통전된 상태가 지속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10)의 회로기판은 건조가 완료되었더라도 수분과 수분 감지 전극(220)의 부착력에 의해 건조가 느리게 진행되어 휴대 단말기(10)의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10)가 여전히 침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200)는 수분 확산 부재(230)가 수분 감지 전극(220)에 밀착된 상태에서 주변의 수분을 모두 흡수함으로써, 수분이 수분 감지 전극(220)에 고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의 회로기판의 건조와 함께 수분 확산 부재(230)에 흡수된 수분이 대기중으로 빠르게 건조됨으로써, 침수 판단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200)는 한 번만 사용되고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흡수 및 건조를 반복하더라도 마모되지 않으므로, 휴대 단말기(10) 내에 설치되어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의 수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수분 확산 부재(230)를 포함하지 않는 수분 감지 장치의 경우, 유입된 수분이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들 중 어느 하나에만 접촉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휴대 단말기(10)는 이미 침수가 되었으나, 수분 감지 장치는 휴대 단말기(10)가 여전히 침수인 것으로 판단하지 않게 되어 전원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휴대 단말기(10)의 회로기판이 합선될 수 있다. 즉, 수분 감지 장치의 침수 감지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감지 장치(2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수분이 수분 확산 부재(230)에 의해 신속하게 흡수되어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220)이 빠르게 통전될 수 있다. 즉, 수분 감지 장치(200)의 침수 감지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휴대 단말기 11: 하우징
12: 스피커 보호망 13: 카메라 유닛
14: 조작 버튼 15: 스피커 유닛
100, 200: 수분 감지 장치 110: 제1 수분 감지 전극
120: 수분 확산 부재 130: 제2 수분 감지 전극
140: 도전성 접착 테이프 210: 몸체 부재
220: 수분 감지 전극 230: 수분 확산 부재
240: 도전 부재 250: 고정 부재

Claims (13)

  1. 판형상의 제1 수분 감지 전극;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과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의 일면에 적층되는 수분 확산 부재; 및
    중공이 형성된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분 확산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수분 확산 부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 수분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 확산 부재는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의 중공을 통해 유입된 수분을 흡수하는 친수성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분 확산 부재는 수분 흡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과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을 통전시키는 수분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감지 장치는, 회로기판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1 리드 단자와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리드 단자를 더 포함하는 수분 감지 장치.
  3. 비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폐곡선 형상의 몸체 부재;
    양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 부재의 일면을 따라 배치되는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들;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들과 모두 접촉되도록 상기 두 개의 수분 감지 전극들의 일면에 적층되는 수분 확산 부재; 및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분 확산 부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판상의 도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확산 부재는 수분 흡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수분 감지 전극과 상기 제2 수분 감지 전극을 통전시키는 수분 감지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185463A 2015-12-23 2015-12-23 수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2446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463A KR102446662B1 (ko) 2015-12-23 2015-12-23 수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463A KR102446662B1 (ko) 2015-12-23 2015-12-23 수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603A KR20170075603A (ko) 2017-07-03
KR102446662B1 true KR102446662B1 (ko) 2022-09-23

Family

ID=5935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463A KR102446662B1 (ko) 2015-12-23 2015-12-23 수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6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3110A (ja) * 2004-08-16 2006-02-23 Nec Saitama Ltd 水濡れ検出シール、水濡れ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5517650A (ja) 2012-05-02 2015-06-22 エヌダブリューディー テクノロジーズ オイ 漏れ検出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4868A (en) * 1972-10-12 1979-08-21 Vaisala Oy Capacitive humidity transducer
JP2002055077A (ja) * 2000-08-11 2002-02-20 Riken Keiki Co Ltd ガルバニ電池式ガスセンサー
KR20050089175A (ko) 2004-03-04 2005-09-08 구동규 침수 여부 감지가 가능한 라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3110A (ja) * 2004-08-16 2006-02-23 Nec Saitama Ltd 水濡れ検出シール、水濡れ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5517650A (ja) 2012-05-02 2015-06-22 エヌダブリューディー テクノロジーズ オイ 漏れ検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603A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8152B (zh) 开关元件、电子部件、电池系统
US8141678B2 (en) Sound-permeable film, electronic component with sound-permeable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circuit board having electronic component mounted thereon
KR101490026B1 (ko) 배터리 팩 및 그 생산방법
CN111480066B (zh) 液体检测传感器及液体检测装置
TWI709153B (zh) 開關元件、電子零件、電池系統
JP5366220B2 (ja) 浸水ラベルを含む二次電池
KR102446664B1 (ko) 수분 감지 장치
KR102446662B1 (ko) 수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2311912B1 (ko) 외부 부착 ptc 소자, 및 통형 전지
JP2016002200A5 (ko)
CN106102367B (zh) 防静电模组壳体及其应用
KR102446663B1 (ko) 수분 감지 장치
JP2007141805A (ja) コネクタ実装構造及びコネクタ付き回路基板並びに電池パック
WO2017061456A1 (ja) スイッチ素子、及び保護素子
WO2017061457A1 (ja) スイッチ素子
CN107209053B (zh) 压电式超声检测器
JP2006100319A (ja) 携帯無線機
KR101848424B1 (ko) 침수 감지 장치
JP4617988B2 (ja) スイッチシート及び携帯端末
CN205405348U (zh) 穿戴式电子装置
JP5680474B2 (ja) ジャックを具えた電子機器
JP2017058279A (ja) センサ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センサ装置
KR20170036477A (ko) 침수감지소자
JP2000171326A (ja) 水濡れセンサ及び水濡れセンサを備えた電子制御回路基板
KR20190049216A (ko) 전자장치용 가스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