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587B1 - 태스크 전환 방법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태스크 전환 방법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587B1
KR102446587B1 KR1020207010337A KR20207010337A KR102446587B1 KR 102446587 B1 KR102446587 B1 KR 102446587B1 KR 1020207010337 A KR1020207010337 A KR 1020207010337A KR 20207010337 A KR20207010337 A KR 20207010337A KR 102446587 B1 KR102446587 B1 KR 102446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ask
interface
applic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768A (ko
Inventor
카이 치안
리웨이 황
전위 류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51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전자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태스크 전환 시에 사용자의 조작을 감소시키기 위한 태스크 전환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하여, 인간-기계 상호작용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인 방안은, 측면 에지에 설치된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함 -;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슬라이딩 조작 및 상기 누름 조작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임 -;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1 태스크 윈도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가 복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 윈도 중에서 전환됨 -; 및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음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스크 전환 방법 및 단말기
본 출원은 전자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태스크 전환 방법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의 인기, 이동 단말기의 성능 개선 및 이동 단말기의 저장 공간의 증가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시작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현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애플리케이션 a)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경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의 배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간을 전환하도록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키(Home key) 또는 뒤로 키(Back key)상의 사용자의 두드림 조작(tapping operation)에 응답하여, 이동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a의 인터페이스를 빠져나가서, 이동 단말기의 홈 인터페이스로 돌아갈 수 있고; 그 후 메인 데스크톱(main desktop)상에 표시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상에서의 사용자의 두드림 조작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즉, 타깃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애플리케이션 전환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키 또는 백 키를 두드려서 메인 데스크톱으로 돌아간 다음, 메인 데스크톱상에서 타깃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것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전환을 구현하는 조작은 복잡하고 사람과 기계의 상호작용 성능이 비교적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은 애플리케이션 전환에 있어 사용자 조작을 감소시키고, 인간-기계 상호작용 성능을 향상시키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태스크 전환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태스크 전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태스크 전환 방법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의 측면 에지에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태스크 전환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task window)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응함 -;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슬라이딩 조작 및 상기 누름 조작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1 태스크 윈도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 중 하나이고,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가 복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 윈도 중에서 전환됨 -;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음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임 -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단말기는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인 누름 조작과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multi-task interface)를 표시하는" 기능 및 "애플리케이션 전환을 수행하기 위해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에서 태스크 윈도를 선택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동 전화의 상이한 위치에서 적어도 두 번의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본 출원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전환 시의 사용자 조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인간-기계 상호작용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본 출원에서, 단말기가 현재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표시하는지 또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즉, 단말기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를 표시하는지에 관계없이, 그리고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관계없이, 단말기는,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서, 단말기는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인 누름 조작과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간의 전환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애플리케이션 전환에 있어 사용자 조작을 줄일 수 있고, 인간-기계 상호작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상기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제1 애플리케이션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며, 상기 본 출원에서의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누름 조작에 응답할 때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 내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본 출원에서, 단말기는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인 누름 조작과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간의 전환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 간의 전환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 따르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 간을 전환함에 있어 사용자 조작이 감소될 수 있고, 인간-기계 상호작용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표시할 것인지 또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표시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가 현재 상기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현재 상기 단말기의 데스크톱(desktop)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본 출원에서, 단말기가 현재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표시하는 경우, 단말기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그 후, 단말기는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간의 전환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누름 조작과 슬라이딩 조작은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전환에 있어 사용자 조작이 감소될 수 있고, 인간-기계 상호작용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누름 조작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제1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것인지, 또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표시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 조작이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제1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인 경우,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이거나; 또는 상기 누름 조작이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제2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인 경우,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다. 본 출원에서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단말기의 동일한 측면 에지 상의 2개의 상이한 위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단말기의 2개의 상이한 측면 에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누름 조작이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제1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인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누름 조작이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제2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인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시간의 오름차순으로 배열된 후의 마지막 애플리케이션임 -를 포함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본 출원에서, 단말기는 누름 조작의 위치에 기초하여, 누름 조작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거나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명령하는 데 사용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기는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인 누름 조작 및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간의 전환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 간의 스위칭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 따르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 간을 전환하는 사용자 조작이 감소될 수 있고, 인간-기계 상호작용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측면 에지는 상기 단말기의 좌측 에지 및/또는 상기 단말기의 우측 에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가 단말기의 측면 에지 상의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잡을 때에 사용자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의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상기 센서의 구체적인 위치는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기 측면 에지는 단말기의 좌측 에지 및/또는 우측 에지일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상측 에지 및/또는 하측 에지일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을 피하기 위해, 상기 누름 조작은 상기 측면 에지의 둘 이상의 지점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의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에지의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은 상기 단말기의 동일한 측면 에지의 둘 이상의 고정된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측면 에지의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은 상기 단말기의 상이한 측면 에지 중 적어도 두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일 수 있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의 측면 에지에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는 검출 유닛, 처리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단말기 내의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응하며; 상기 검출 유닛은 추가로,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조작 및 상기 누름 조작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추가로,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슬라이딩 조가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1 태스크 윈도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 중 하나이고,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가 복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 윈도 중에서 전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추가로,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음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 내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현재 상기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누름 조작은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제1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 조작이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제2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인 경우,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 내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시간의 오름차순으로 배열된 후의 마지막 애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내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측면 에지는 상기 단말기의 좌측 에지 및/또는 상기 단말기의 우측 에지를 포함한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에지의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터치스크린 및 상기 단말기의 측면 에지에 설치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센서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명령어를 실행할 때, 상기 센서는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단말기 내의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의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응하며; 상기 센서는 추가로,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조작 및 상기 누름 조작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임-; 상기 터치스크린은 추가로,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1 태스크 윈도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 중 하나이고,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가 복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 윈도 중에서 전환되며; 상기 센서는 추가로,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음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추가로,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음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음을 상기 센서가 검출한 경우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제1 애플리케이션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 내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이 현재 상기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센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누름 조작은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제1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 조작이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제2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인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 내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시간의 오름차순으로 배열된 후의 마지막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내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측면 에지는 상기 단말기의 좌측 에지 및/또는 상기 단말기의 우측 에지를 포함한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누름 조작으로서 상기 측면 에지의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며,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말기에 저장되고, 상기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단말기의 측면 에지에 설치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제1 GUI - 상기 제1 GUI는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응함 -;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제2 GUI - 상기 슬라이딩 조작과 상기 누름 조작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적인 조작이고, 제1 태스크 윈도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제2 GUI에 표시되고,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 중 하나이고,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가 복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제2 GUI에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 윈도 중에서 전환됨 -; 및 상기 슬라이딩 조작을 종료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모서리를 떠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제3 GUI - 상기 제3 GUI는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제2 GUI에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임 -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제2 GUI 내의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3 GUI 내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았을 때에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제2 GUI에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제1 GUI 내의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GUI 내의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3 GUI 내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제2 GUI에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GUI 내의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 내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제2 GUI에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기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상기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GUI 내의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GUI 내의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3 GUI 내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제2 GUI에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누름 조작은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제1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이다.
다른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제2 위치에서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GUI 내의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시간의 오름차순으로 배열된 후의 마지막 애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2 GUI 내의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3 GUI 내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제2 GUI에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제5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명령어가 단말기에서 실행될 때, 상기 단말기는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설계 방법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태스크 전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6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설계 방법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태스크 전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공되는 제2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단말기, 또는 그 가능한 설계 방법, 제4 측면의 GUI, 제5 측면의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제6 측면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모두 상기 제공되는 대응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GUI,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달성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에 대해서는, 상기 제공되는 대응 방법에서의 유리한 효과를 참조한다. 세부 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일례의 개략도 1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하드웨어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 상에 센서가 설치되는 측면 에지의 일례의 개략도 1이다.
도 3b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 상에 센서가 설치되는 측면 에지의 일례의 개략도 2이다.
도 3c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 상에 센서가 설치되는 측면 에지의 일례의 개략도 3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태스크 전환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일례의 개략도 2이다.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일례의 개략도 3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일례의 개략도 4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일례의 개략도 5이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일례의 개략도 6이다.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일례의 개략도 7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일례의 개략도 8이다.
도 12는 본 출원에 따른 태스크 전환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13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일례의 개략도 9이다.
도 14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일례의 개략도 10이다.
도 15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일례의 개략도 11이다.
도 16은 본 출원에 따른 태스크 전환 방법의 흐름도 3이다.
도 17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일례의 개략도 12이다.
도 18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측면 에지 상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일례의 개략도 1이다.
도 19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측면 에지 상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일례의 개략도 2이다..
도 20은 본 출원에 따른 태스크 전환 방법의 흐름도 4이다.
도 21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이례의 개략도 12이다.
도 22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 구성도 1이다.
도 23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 구성도 2이다.
이하에 언급되는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상대적인 중요성의 지시나 암시 또는 지시된 기술적 특징의 암시적인 표시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에 의해 정의된 특징은 하나 이상의 특징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는 둘 이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메인 데스크톱(main desktop)으로 되돌아가서 애플리케이션 전환을 구현하는 프로세스에서, 사용자 조작은 복잡하고, 인간-기계 상호작용 성능(human-machine interaction performance)은 비교적 나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이동 전화(100)를 예로 사용하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전환을 구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 전화(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 전화(100)는 현재 도 1의 (a)에 도시된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101)를 표시하고, 이동 전화(100)는 최근에 3개의 애플리케이션 프프로그램: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 "전화 걸기(Dial-Up)" 애플리케이션 및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을 최근에 실행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도 1의 (a)에 도시된 최근 키(Recent key)(102)를 두드린 후, 이동 전화(100)는 최근 키(102)에 대한 사용자의 두드림 조작에 응답하여, 복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100)는 도 1의 (b)에 도시된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106)를 표시한다.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106)는 "전화 걸기(Dial-Up)" 태스크 윈도(107), "설정(Settings)" 태스크 윈도(108) 및 "위챗(WeChat)" 태스크 윈도(109)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이동 전화의 홈 키(Home key)를 두 번 두드림(double-tapping)으로써 도 1의 (b)에 도시된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그 후,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106) 내의 임의의 태스크 윈도(예컨대, "위챗(WeChat)" 태스크 윈도(109))를 탭한 후, 이동 전화(100)는 "위챗(WeChat)" 태스크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응답하여, 위챗(WeChat) 태스크 윈도(109)에 대응하는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도 1의 (c)에 도시된 위챗(WeChat) 인터페이스(1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키(102)는 이동 전화(100)의 내비게이션 바(103)에 위치한다. 내비게이션 바(Navigation Bar)는 이동 전화의 화면 아래에 있는 바로 가기 버튼 바(shortcut button bar)이며,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의 화면 하단에 가상 키(virtual key)의 형태로 나타난다. 네비게이션 바는 디폴트로 3개의 버튼: 뒤로 키(Back key), 홈 키 및 최근 키가 있으며, 여기서 뒤로 키는 이전 인터페이스로 돌아가는 데 사용되고, 홈 키는 데스크톱으로 돌아가는 데 사용되며, 최근 키는 최근에 사용된 응용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바(103)는 뒤로 키(104), 홈 키(105) 및 최근 키(102)를 포함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최근 키(102)를 두드리거나 홈 키를 두 번 두드림으로써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이동 전화를 제어하고, 그 후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 내의 태스크 윈도를 선택하기 위해 두드려 애플리케이션 전환을 구현하는지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전환을 구현하기 위해, 이동 전화의 상이한 위치에서 적어도 두 번의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 조작이 복잡하고, 인간-기계 상호작용 성능이 비교적 나쁘다.
본 출원은 태스크 전환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하며, 이 태스크 전환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된 복수의 태스크 사이를 단말기가 전환하는 프로세스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단말기의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하나의 연속 조작에 응답하여,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된 태스크 간의 전환을 구현하여, 태스크 스위칭 프로세스에서의 사용자 조작을 감소시키고, 인간-기계 상호작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말기는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된 복수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전환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서,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된 복수의 태스크는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거나; 또는 복수의 태스크는 단말기에 의해 현재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의 단말기는 그 측면 에지에 센서가 배치된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이동 전화(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이동 전화(100)), 태블릿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워치(smartwatch), 넷북(netbook), 웨어러블 전자 기기(wearable electronic device) 등일 수 있다. 단말기의 구체적인 형태는 본 출원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태스크 전환 방법은 태스크 전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태스크 전환 장치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태스크 전환 장치는 또한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약칭하여 CPU) 또는 태스크 전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내의 제어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태스크 전환 방법은, 단말기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태스크 전환 방법을 수행하는 예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전화(100)가 단말기의 예로서 사용된다. 이동 전화(100)는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1),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회로(202), 메모리(203), 터치스크린(204), 블루투스 장치(205), 하나 이상의 센서(206), Wi-Fi 장치(207), 위치결정 장치(208), 오디오 회로(209), 주변 인터페이스(210) 및 전원(211)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 케이블(도 2에 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당업자는 도 2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이 이동 전화(100)에 대한 한정사항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다. 이동 전화(1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의 수량은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거나, 일부 구성 요소가 결합되거나, 구성요소 배치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동 전화(100)의 구성요소 각각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로세서(201)는 이동 전화(100)의 제어 센터이다. 프로세서(201)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라인을 사용하여 이동 전화(100)의 모든 부분에 연결되고, 메모리(203)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모리(203)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이동 전화(100)의 다양한 기능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1)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1)는 캡처된 지문을 검증하도록 구성된 지문 검증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회로(202)는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무선 주파수 회로(202)는 처리를 위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서(201)로 전송하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회로는 안테나, 하나 이상의 증폭기, 송수신기, 결합기,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선 주파수 회로(202)는 무선 통신을 통해 다른 장치와 추가로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롱텀 에볼루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에 기초할 수 있다.
메모리(203)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201)는메모리(203)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실행함으로써 이동 전화(100)의 다양한 기능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203)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체제, 하나 이상의 기능(예컨대, 오디오 재생 기능 또는 이미지 보기 기능)에 의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은 이동 전화(100)의 사용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또는 전화 번호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3)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저장 기기,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비휘발성 고상 저장 기기(solid-state storage devi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3)는 다양한 운영체제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3)는 독립적일 수 있고, 통신 버스를 사용하여 프로세서(201)에 연결된다. 또는 메모리(203)는 프로세서(201)와 통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204)은 구체적으로 터치패드(204-1) 및 디스플레이(204-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드(204-1)는 터치패드 상에서 또는 근처에서 이동 전화(100)의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예: 터치패드(204-1) 상에서 또는 터치패드(204-1) 근처에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객체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를 캡처할 수 있고, 캡처된 터치 정보를 다른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01))에 전송할 수 있다. 터치패드(204-1) 근처에서의 터치 이벤트는 플로팅 터치(floating touch)라고 지칭될 수 있다. 플로팅 터치는 사용자가 객체(예: 아이콘)를 선택, 이동 또는 드래그하기 위해 터치패드를 직접 터치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쉽게 수행하기 위해 기기 근처에 위치할 필요가 있을 뿐인 것일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204-1)는 저항성, 용량성,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와 같은 복수의 유형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 스크린이라고도 함)(204-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 및 이동 전화(100)의 다양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4-2)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패드(204-1)는 디스플레이(204-2)를 덮을 수 있다. 터치패드(204-1) 상에서 또는 근처에서 터치 이벤트를 검출한 후, 터치패드(204-1)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터치 이벤트를 프로세서(201)에 전송한다. 그러면 프로세서(201)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04-2) 상에 대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패드(204-1)와 디스플레이 패널(204-2)은 도 2의 이동 전화(100)의 입력 기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두 개의 독립적인 구성요소로서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터치패드(204-1)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204-2)은 일부 실시예에서 이동 전화(100)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도록 통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204)은 복수의 적층된 재료층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드(층)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층)만이 제시된다. 다른 층들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터치패드(204-1)는 완전한 패널 형태로 이동 전화(100)의 전면(front side)에 구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204-2) 또한 완전한 패널의 형태로 이동 전화(100)의 전면에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전화의 전면에 베젤이 없는 구조(bezel-less structure)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전화(100)는 지문 인식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인식기(212)는 이동 전화(100)의 후면(rear side)(예: 후면 카메라 아래)에 구성될 수 있거나, 지문 인식기(212)는 이동 전화(100)의 전면(예: 터치스크린(204) 아래)에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지문 인식기(212)는 지문 인식 기능을 구현하도록 터치스크린(204)에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문 인식기(212)는 터치스크린(204)과 통합되어 이동 전화(100)의 지문 인식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지문 인식기(212)는 터치스크린(204) 내에 구성되고, 터치스크린의 일부일 수 있거나, 또는 터치스크린(204)에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기(212)의 주요 구성요소는 지문 센서이다. 지문 센서는 광학식, 용량식, 압전식 또는 초음파 감지 기술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유형의 감지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동 전화(100)는 이동 전화(100)와 다른 단거리 기기(예: 이동 전화 또는 스마트워치)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블루투스 장치(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의 블루투스 장치는 집적회로, 블루투스 칩 등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206)는 이동 전화의 측면 에지에 배치되고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 및 측면 에지 상의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측면 에지는 단말기의 좌측 에지 및/또는 단말기의 우측 에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는 이동 전화(100)의 우측 에지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는 구체적으로 이동 전화(100)의 우측 에지, 즉 도 3a에 도시된 점선 블록(301)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대안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는 이동 전화(100)의 좌측 에지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는 구체적으로 이동 전화(100)의 좌측 에지, 즉 도 3b에 도시된 점선 블록(302)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대안적으로, 센서는 이동 전화(100)의 좌측 에지 및 우측 에지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는 이동 전화(100)의 우측 에지 상의 점선 블록(30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센서는 이동 전화(100)의 좌측 에지 상의 점선 블록(30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는 단말기의 측면 에지 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단말기를 잡을 때에 사용자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단말기의 측면 에지 상의 센서의 특정 위치는 본 출원에서 한전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에서 측면 에지는 단말기의 좌측 에지 및/또는 우측 에지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상측 에지 및/또는 하측 에지일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는 이동 전화(100)의 상측 에지 상의 점선 블록(30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하나 이상의 센서(206)는 전술한 센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센서(206)는 광센서, 움직임 센서 및 기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센서는 주변 광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광센서는 주변 광의 밝기에 기초하여 터치스크린(204)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이동 전화(100)가 귀로 이동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를 끌 수 있다. 움직임 센서의 유형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모든 방향(일반적으로 3축)에서의 가속도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가속도계 센서가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방향 및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이동 전화의 자세 인식 애플리케이션(예: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 사이의 전환, 관련 게임 또는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인식과 관련된 기능(예: 만보계 또는 스트로크)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및 적외선 센서와 같은, 이동 전화(100)에 구성될 수 있는 기타 센서에 대해서는,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Wi-Fi 장치(207)는 이동 전화(100)에 대한 Wi-Fi 관련 표준을 따르는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Wi-Fi 장치(207)를 사용함으로써, 이동 전화(100)는 Wi-Fi 핫스팟에 액세스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메일을 전송 및 수신하거나, 웹페이지를 탐색하고,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는 등을 돕는다. Wi-Fi 장치(207)는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Wi-Fi 장치(207)는 또한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서 사용될 수 있고, 다른 기기에 Wi-Fi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치결정 장치(208)는 이동 전화(100)에 지리적 위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위치결정 장치(208)는 구체적으로 글로벌 위치결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eiDou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 또는 러시안 GLONASS와 같은 위치결정 시스템의 수신기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위치결정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지리적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위치결정 장치(208)는 처리를 위해 그 정보를 프로세서(201)에 전송하거나, 저장을 위해 그 정보를 메모리(203)에 전송한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결정 장치(208)는 AGPS(Assisted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수신기일 수 있다. AGPS는 지원 서버로서, 위치결정 장치(208)가 거리 측정 및 위치결정 서비스를 완료하는 것을 지원한다. 이 경우에, 위치결정 지원 서버는 이동 전화(100)와 같은 기기의 위치결정 장치(208)(즉, GPS 수신기)와 통신하여 위치결정 지원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결정 장치(208)는 Wi-Fi 핫스팟에 기초한 위치결정기술일 수 있다. 각각의 Wi-Fi 핫스팟은 전역적으로 유일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주소가 있기 때문에, Wi-Fi가 인에이블되는 경우에 기기는 근처의 Wi-Fi 핫스팟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를 스캔하고 캡처할 수 있고, 따라서 Wi-Fi 핫스팟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MAC 주소를 획득할 수 있으며; 기기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위치 서버에, Wi-Fi 핫스팟을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예: MAC 주소)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고; 위치 서버는 각각의 Wi-Fi 핫스팟의 지리적 위치를 검색하고, Wi-Fi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강도를 참조하여 기기의 지리적 위치를 계산하고, 지리적 위치를 장치의 위치결정 장치(208)로 전송한다.
오디오 회로(209), 스피커(213) 및 마이크로폰(214)은 사용자와 이동 전화(100) 사이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회로(209)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다음 그 전기 신호를 스피커(213)에 전송할 수 있고, 스피커(213)는 출력을 위해 그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마이크로폰(214)은 캡처된 오디오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오디오 회로(209)는 수신된 전기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오디오 데이터를 RF 회로(202)에 출력하고; 오디오 데이터는 다른 이동 전화에 송신되거나, 오디오 데이터는 추가 처리를 위해 메모리(203)에 출력된다.
주변 인터페이스(210)는 외부 입출력 기기(예: 키보드, 마우스, 외부 디스플레이, 외부 메모리 및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에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주변 인터페이스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마우스에 연결되거나,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슬롯의 금속 접점(metal contact)을 사용하여, 통신 운영자에 의해 제공되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에 연결된다. 주변 인터페이스(210)는 외부 입출력 주변 기기를 프로세서(201) 및 메모리(203)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이동 전화(100)는 주변 인터페이스(210)를 사용하여 기기 그룹 내의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주변 인터페이스(210)를 사용하여, 다른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동 전화(100)는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211)(예컨대, 배터리 및 전력 관리 칩)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전원 관리 칩을 사용하여 프로세서(201)와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전원 장치(211)를 사용하여 충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와 같은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전화(100)는 카메라(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 플래시, 마이크로 프로젝션 장치,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 설명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의 모든 방법은 전술한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 이동 전화(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은 태스크 전환 방법을 제공하다. 태스크 전환 방법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측면 에지에 센서가 설치되고, 센서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스크 전환 방법은 S401 내지 S404를 포함한다.
S401. 단말기가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여기서 제1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응한다.
단말기의 측면 에지에는 센서가 설치되고, 센서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두드림 조작, 누름 조작, 슬라이딩 조작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측면 에지를 누를 때, 센서는 사용자에 의해 측면 에지를 누르는 압력 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압력 값을 단말기의 프로세서로 송신할 수 있다.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임계 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 경우, 프로세서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누름 조작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명령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1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는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제1 태스크 윈도는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다.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는 단말기의 전원이 최근에 켜진 후 단말기에서 시작되고 닫히지 않은 태스크이며, 단말기는 실행중 상태이거나 휴면 또는 유휴 상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제1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단말기가 현재 어떤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예: 도 5의 (a)에 도시된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501))를 표시하고 있는지에 관계없이, 또는 단말기가 현재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예: 도 5의 (b)에 도시된 단말기의 데스크톱(502)), 단말기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이동 전화(100)이고, 센서는 이동 전화(100)의 우측 에지에 설치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전화(100)는 현재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501)를 표시하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전화는 현재 단말기의 데스크톱(502)을 표시한다. 이동 전화(100)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전화 걸기(Dial-Up)" 애플리케이션,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 및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도 5의 (a) 또는 도 5의 (b)에 도시된 이동 전화(100)를 누른 후, 이동 전화(100)는 이동 전화(100)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도 5의 (c)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503)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c)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503)는 이동 전화(100)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 예를 들어, "전화 걸기(Dial-Up)"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504),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505), 및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506)를 포함한다.
제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는 단말기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시간의 오름차순으로 배열될 수 있거나, 제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는 랜덤하게 배열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의 배열된 태스크 윈도의 순서는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을 피하기 위해, 누름 조작은 측면 에지의 적어도 두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S401은 S401a로 대체될 수 있다.
S401a. 단말기가 측면 에지의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측면 에지의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은 단말기의 동일한 측면 에지의 둘 이상의 고정된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점선 블록(303) 상의 둘 이상의 고정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측면 에지의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은 단말기의 상이한 측면 에지의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누름 조작은 이동 전화(100)의 우측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 및 이동 전화(100)의 상측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을 포함할 수 있다.
S402. 단말기가 측면 에지 상의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을 검출하며, 여기서 슬라이딩 조작과 누름 조작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이다.
본 출원에서, "슬라이딩 조작과 누름 조작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이다"라는 것은 구체적으로, 단말기에 의해 측면 에지 상의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을 검출하는 것에서부터 단말기에 의해 측면 에지 상의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을 검출하는 것까지의 프로세스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서의 슬라이딩 조작은 사용자가 측면 에지에 대한 누름 조작을 입력한 후에 측면 에지 상에 즉시 입력된 슬라이딩 조작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조작과 누름 조작 사이에는 시간 간격이 없으며, 사용자의 손가락은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본 출원에서의 슬라이딩 조작은,
사용자가 측면 에지에 대한 누름 조작을 입력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단말기의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은 N초 후의 측면 에지 상에 입력된 슬라이딩 조작 입력일 수 있다(즉,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에 닿고 항상 측면 에지 상에 유지된다). 예를 들어, N은 3, 5 또는 10과 같은 숫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N의 값 범위는 한정되지 않는다.
S403. 단말기가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1 태스크 윈도를 표시하며, 여기서 제1 태스크 윈도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 중 하나이고,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가 복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는 복수의 태스크 윈도 중에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100)가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도 5의 (c)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503)를 표시한 후, 사용자의 손가락은 이동 전화(100)의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다.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전화(100)가 측면 에지 상의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을 검출한 후, 이동 전화(100)는 "전화 걸기(Dial-Up)"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504)(즉, 제1 태스크 윈도)를 검은색으로(즉,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 중의 임의의 태스크 윈도일 수 있다. 측면 에지 상의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이동 전화(100)에 의해 검은색으로 표시되는 태스크 윈도, 예를 들어, 도 5의 (d)에 도시된 "전화 걸기(Dial-Up)"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504)는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506)로 대체될 수 있다(도 5에 도시되지 않음). 본 출원에서는 이를 한장하지 않는다.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는 슬라이딩 조작은 사용자에 의해 측면 에지 상에서 입력되고 슬라이딩 위치가 변화하는 터치 동작이다. 본 출원에서,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가 복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할 때,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는 복수의 태스크 윈도 중에서 전환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전화(100)가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도 6의 (a)에 도시된 지점 A로부터 도 6의 (b)에 도시된 지점 B로 슬라이딩 트랙(601)을 따라 변화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이동 전화(100)에 의해 표시되는 제1 인터페이스는 도 6의 (a)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506)로부터 도 6의 (b)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602)로 전환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602)에서. 이동 전화(100)는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504)를 검은색으로(즉,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한다.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계속 변화됨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는 복수의 태스크 윈도 중에서 계속 전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100)가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도 6의 (b)에 도시된 지점 B로부터 슬라이딩 트랙(601)을 따라 계속 아래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이동 전화(100)는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505)(도시되지 않음)를 검은색으로(즉,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가 하나의 태스크 윈도만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태스크 윈도를 표시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S404. 단말기가,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음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본 출원의 제1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가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음을 검출한 때, 단말기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즉,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 이동 전화(100)는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504)를 검은색으로(즉,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한다. 이 경우,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 이동 전화(100)는 도 7의 (b)에 도시된 제2 인터페이스(701)를 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인터페이스(701)는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에서의 미리 설정된 방식은 표시 방식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된 제1 태스크 윈도를 제1 인터페이스 내의 다른 태스크 윈도와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한, 전술한 "검은색으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페이스(801)에서, 이동 전화(100)는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504)가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505) 및 "전화 걸기(Dial-Up)"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503)와 상이하도록, 왼쪽 돌출 방식으로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504)를 표시할 수 있다.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 및 "전화 걸기(Dial-Up)"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503)를 포함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 이동 전화(100)는 도 8의 (b)에 도시된 제2 인터페이스(802)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인터페이스(802)는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선택적으로, 단말기에 의해 제1 인터페이스에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를 표시하는 방식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수직 배열의 표시 방식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는 수평 배열의 표시 방식으로 제1 인터페이스에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9에 도시된 이동 전화(100)를 누른 후, 이동 전화(100)는 이동 전화(100)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도 9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901)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901)는 이동 전화(100)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 예를 들어 "전화 걸기(Dial-Up)"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902),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903) 및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904)를 포함한다..
또는, 사용자가 도 10에 도시된 이동 전화(100)를 누른 후, 이동 전화(100)는 이동 전화(100)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도 10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1001)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1001)는 이동 전화(100)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 예를 들어,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1002), "전화 걸기(Dial-Up)"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1003) 및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1004)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에서의 제1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태스크 윈도를 닫기 위한 닫기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페이스(1001)는 닫기 버튼(1005), 닫기 버튼(1006), 닫기 버튼(1007) 및 모두 닫기 버튼(one-key close button)(10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닫기 버튼(1005)은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1002)를 닫는 데 사용되고, 닫기 버튼(1006)은 "전화 걸기(Dial-Up)"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1003)를 닫는 데 사용되며, 닫기 버튼(1007)은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1004)를 닫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단말기가 태스크 윈도를 닫을 때,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도 닫힌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100)는 닫기 버튼(1007)에 대한 사용자의 두드림 조작에 응답하여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1004)를 닫을 때, 이동 전화(100)는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도 닫는다. 모두 닫기 버튼(1008)은 제1 인터페이스(1001) 내의 모든 태스크 윈도 및 모든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닫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100)는 모두 닫기 버튼(1008)에 대한 사용자의 두드림 조작에 응답하여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 및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1002), "전화 걸기(Dial-Up)" 애플리케이션 및 "전화 걸기(Dial-Up)"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1003), 그리고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 및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1004)를 닫을 수 있다.
가능한 설계 방법에서, 단말기는 누름 조작의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의해 제1 인터페이스에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를 표시하는 표시 방식을 추가로 구별할 수 있다.
누름 조작이 단말기의 좌측 에지 또는 우측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인 경우, 예를 들어, 누름 조작이 단말기의 우측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인 경우,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배열의 표시 방식으로 제1 인터페이스에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를 표시할 수 있다. 누름 조작이 단말기의 우측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인 경우, 슬라이딩 조작도 또한 단말기의 우측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다. 태스크 윈도는 수직 배열 방식으로 표시된다.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가 복수의 태스크 윈도 중에서 전환되는 프로세스에서, 태스크 윈도의 전환 방향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과 일치한다. 이는 사용자의 사용 습관에 더 부합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조작이 단말기의 상측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인 경우, 단말기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수평 배열의 표시 방식으로 제1 인터페이스에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를 표시할 수 있다. 누름 조작이 단말기의 상측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인 경우, 슬라이딩 조작도 단말기의 상측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다. 태스크 윈도는 수평 배열 방식으로 표시된다.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된 제1 태스크 윈도가 복수의 태스크 윈도 중에서 전환되는 프로세스에서, 태스크 윈도의 전환 방향은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과 일치한다. 이는 사용자의 사용 습관에 더 부합한다.
물론, 센서가 단말기의 복수의 측면 에지에 배치되는 경우, 누름 조작 및 슬라이딩 조작은 또한 센서가 배치된 상이한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가 단말기의 우측 에지 및 상측 에지 모두에 배치될 때, 누름 조작은 우측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일 수 있고, 슬라이딩 조작은 상측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태스크 전환 방법에서, 단말기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즉,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 한 다음,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에 제1 태스크 윈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슬라이딩 조작과 누름 조작은 소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이다. 또한,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된 제1 태스크 윈도가 복수의 태스크 윈도 중에서 전환된다. 마지막으로,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음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단말기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즉,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단말기는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인 누름 조작과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기능 및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전환 수행하기 위한 태스크 윈도를 선택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동 전화의 상이한 위치에서 적어도 두 번의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본 출원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전환에 있어 사용자 조작이 감소될 수 있고, 인간-기계 상호작용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2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제1 인터페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이거나; 또는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만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인터페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고, 여기서 본 출원에서의 제1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가 누름 조작에 응답할 때에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
구체적으로, 제2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구현예에서,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제1 인터페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S401는 S1201을 포함할 수 있다.
S1201.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가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에 상응하여, 본 구현예에서, 제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태스크 윈도는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이다. 예를 들어, 도 5의 (c), 도 6, 도 7의 (a), 도 8의 (a),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b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페이스는 이동 전화(100)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 "전화 걸기(Dial-Up)"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 및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한다. 제1 태스크 윈도는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다.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도 7의 (b) 또는 도 8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인터페이스는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제2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다른 구현예에서,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만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인터페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S401은 S1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202.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만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기가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여기서 제1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가 누름 조작에 응답할 때에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본 출원에서의 제1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 내의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즉, 단말기 내의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운로드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단말기(예컨대, 이동 전화(100))의 구현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예를 들어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 또는 "브라우저(Browser)" 애플리케이션이다. 다운로드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다운로드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제3자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 및 "알리페이(Alipay)"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제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태스크 윈도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100)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Browser)" 애플리케이션(즉, 제1 애플리케이션)만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이동 전화는 도 13의 (a) 또는 도 13의 (b)에 도시된 이동 전화(100)의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도 13의 (c)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1303)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 전화(100)는 "브라우저(Browser)"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에 "브라우저(Browser)" 애플리케이션의 2개의 웹페이지 윈도(즉, 애플리케이션 태스크 윈도)를 여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페이스(1303)는 웹페이지 1의 웹페이지 윈도(1304) 및 홈페이지의 웹페이지 윈도(1305)를 포함한다.
이에 상응하여, 제1 태스크 윈도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100)는 S403을 수행하고,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예: 검은색으로)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는 도 13의 (d)에 도시된 "브라우저(Browser)"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웹페이지 1의 웹페이지 윈도(1303)이다. 또한,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음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이동 전화(100)에 의해 표시되는 제2 인터페이스(1401)는, 도 14의 (a)에 도시된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이동 전화에 의해 검은색으로 표시되는 웹페이지 1의 웹페이지 윈도(1303)의 인터페이스이다.
제2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애플리케이션이 닫히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만을 포함하면, 단말기가 현재, 도 13의 (b)에 도시된 단말기의 데스크톱(1302)을 표시하는지 또는 도 13의 (a)에 도시된 "브라우저(Browser)"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1301)(즉, 제1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지에 관계없이, 단말기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예컨대, 도 13의 (c)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1303))를 표시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의 제1 애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Browser)"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1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 내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 내의 "연락처(Contact)"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전화는 도 15의 (a) 또는 도 15의 (b)에 도시된 이동 전화(100)의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도 15의 (c)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1503)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 전화(100)가 "연락처(Contact)"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최근의 연락처는 Aaron, Zhang San 및 Ben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페이스(1503)는 Aaron의 연락처 윈도(1504), Zhang San의 연락처 윈도(1505) 및 Ben의 연락처 윈도(1506)를 포함한다.
단말기가 현재 표시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에 관계없이, 단말기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가 현재 도 15의 (a)에 도시된 연락처 목록 인터페이스(1501)(즉, "연락처(Contact)"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지, 도 15의 (b)에 도시된 연락처 목록 인터페이스(1502)(즉, "연락처(Contact)"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지에 관계 없이, 단말기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연락처(Contact)"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연락처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예컨대, 도 15의 (c)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1503))를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5의 (c)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1503)에서, 표시된 제1 연락처 윈도(즉, Ben의 연락처 윈도(1506))는 다른 연락처 윈도(Aaron의 연락처 윈도(1504) 및 Zhang San의 연락처 윈도(1505))와 상이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단말기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제1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말기에 의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제1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식을 참조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세부 사항은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단말기는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인 누름 조작 및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간의 전환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 간의 전환을 구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 따르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 간을 전환에 있어 사용자 조작이 또한 감소될 수 있고, 인간-기계 상호작용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3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단말기는 단말기에 의해 현재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제1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것인지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제1 애플리케이션에 표시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가 현재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표시하는 경우, 단말기는 제1 인터페이스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01은 S1601로 대체될 수 있다.
S1601. 단말기가 현재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표시하는 경우, 단말기가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제3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제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태스크 윈도는 둘 이상의 태스크 윈도이다. 예를 들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페이스는 이동 전화(100)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 "전화 걸기(Dial-Up)"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 및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한다. 제1 태스크 윈도는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다.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인터페이스는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단말기가 현재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표시하면,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만을 포함하더라도, 단말기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을 뿐임을 강조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전화(100)가 현재 단말기의 데스크톱(502)을 표시하는 경우, 이동 전화(100)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도 5의 (c)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503)를 표시할 수 있지만,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전화(100)가 현재 단말기의 데스크톱(1302)을 표시하는 경우, 이동 전화(100)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도 13의 (c)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503)를 표시할 수 없고, 도 17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1701)을 표시할 수 있을 뿐이다.
본 출원에서, 단말기가 현재 단말기의 데스크톱, 예를 들어, 도 13의 (b) 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데스크톱을 표시하지 않지만, 단말기 내의 제1 애플리케이션(단말기 내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도 13의 (a)에 도시된 "브라우저(Browser)"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또는 도 5의 (a)에 도시된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면, 단말기는 본 출원의 제2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의 S1201 또는 S1202를 수행하여, 대응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 단말기는 현재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표시하는 경우, 단말기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그 후, 단말기는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간의 전환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누름 조작과 슬라이딩 조작은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전환에 있어 사용자 조작이 감소될 수 있고, 인간-기계 상호작용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4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단말기는 단말기의 측면 에지에 대한 누름 조작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제1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것인지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제1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름 조작이 측면 에지 상의 제1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인 경우, 제1 인터페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이거나; 또는 누름 조작이 측면 에지 상의 제2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인 경우, 제1 인터페이스 내의 하나의 태스크 윈도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다.
본 출원에서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단말기의 동일한 측면 에지 상의 2개의 상이한 위치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1801)와 제2 위치(1802)는 이동 전화(100)의 우측 에지 상의 2개의 상이한 위치일 수 있다. 또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단말기의 2개의 상이한 측면 에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1901)는 이동 전화(100)의 우측 에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위치는 이동 전화(100)의 상측 에지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S401은 S2001을 포함할 수 있다.
S2001. 누름 조작이 측면 에지 상의 제1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인 경우, 단말기가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단말기가 측면 에지 상의 제1 위치(예: 도 19에 도시된 우측 에지 상의 제1 위치(1901))에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을 검출하는 한, 단말기가 현재 단말기 내의 어떤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예: 도 5의 (a)에 도시된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501))를 표시하고 있는지 또는 단말기가 현재 단말기의 데스크톱(예: 도 5의 (b)에 도시된 단말기의 데스크톱(502))을 표시하고 있는지에 관계없이, 그리고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관계없이, 단말기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예: 도 5의 (c)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503))를 표시할 수 있다.
제4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S401은 S20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2002. 누름 조작이 측면 에지 상의 제2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인 경우, 단말기가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여기서 제2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시간의 오름차순으로 배열된 후의 마지막 애플리케이션이다.
단말기가 측면 에지상의 제2 위치(예: 도 19에 도시된 상측 에지 상의 제2 위치(1902))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을 검출하는 한, 단말기가 현재 어떤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예: 도 21의 (a)에 도시된 "브라우저(Browser)"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2101)) 를 표시하고 있는지, 또는 단말기가 현재 단말기의 데스크톱(예: 도 21의 (b)에 도시된 단말기의 데스톱(2102))를 표시하고 있는지에 관계없이, 그리고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관계없이, 단말기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예: 도 21의 (c)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2103))를 표시할 수 있다.
일 경우에,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도 21의 (a)에 도시된 "브라우저(Browser)"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2101)를 현재 표시하고 있으면, 단말기에 의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브라우저(Browser)" 애플리케이션)이 제2 애플리케이션이다.
다른 경우에, 단말기가 도 21의 (b)에 도시된 단말기의 데스크톱(2102)과 같은,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표시하고 있으면, 제2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시간의 오름차순으로 배열된 후의 마지막 애플리케이션이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100)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Browser)" 애플리케이션,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 및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여기서 "브라우저(Browser)" 애플리케이션의 최근 실행 시간은 2017년 9월 28일 14:20이고, "WeChat" 애플리케이션의 최근 실행 시간은 2017년 9월 28일 10:25이며, "설정(Settings)" 애플리케이션의 최근 실행 시간은 2017년 9월 28일 12:36이다. 이 경우, 제2 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Browser)" 애플리케이션이다.
본 출원에서, 단말기는 누름 조작의 위치에 기초하여, 누름 조작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또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멀티태스크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단말기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는지를 구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기는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인 누름 조작 및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간의 전환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 간의 전환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 따르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 간을 전환함에 있어 사용자 조작이 감소될 수 있고, 인간-기계 상호작용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단말기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대응하는 하드웨어 구성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예들의 조합으로,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해야 한다.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 및 기술적 방안의 설계 제약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구체적인정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등의 기능 모듈은 전술한 방법의 예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기능 모듈은 각각의 기능에 대응하여 정의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기능이 하나의 처리 모듈에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된 모듈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분할은 하나의 예이며, 단지 논리적인 기능 분할일 뿐이다. 실제 구현 시에, 다른 분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기능 모듈이 각각의 기능에 대응하여 정의되는 경우, 본 출원은 태스크 전환 장치를 제공하며, 여기서 태스크 전환 장치는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단말기에 포함되고, 태스크 전환 장치는 검출 유닛(2201), 처리 유닛(2202), 및 디스플레이 유닛(2203)을 포함한다.
검출 유닛(2201)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S401 및 S401a에서 "측변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의 검출", "S4021 및 S404에서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을 떠난 것의 검출", "S2201에서 "측면 에지 상의 제1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의 검출" 및 "S2202에서 "측면 에지 상의 제2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의 검출"을 수행함에 있어 태스크 전환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에 사용된다.
처리 유닛(2202)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실행함에 있어 태스크 전환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태스크는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1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203)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S401, S401a, S403, S404, S1201, S1202, S1601, S2001 및 S2002를 수행함에 있어 태스크 전환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에서 사용된다.
또한, 태스크 전환 장치는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유닛은 방법 실시예에서 제1 인터페이스 및 제2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함에 있어 태스크 전환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에서 사용된다.
태스크 전환 장치는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단말기를 제공한다. 도 22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단말기의 가능한 개략 구성도이다. 단말기(2200)는 검출 유닛(2201), 처리 유닛(2202) 및 디스플레이 유닛(2203)을 포함한다.
검출 유닛(2201), 처리 유닛(2202) 및 디스플레이 유닛(2203)을 지원하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단계에 대해서는, 본 출원에서의 태스크 전환 장치의 각각의 기능 유닛을 지원하는 태스크 전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단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본 출원에서는 세부사항을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단말기(2200)는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유닛을 지원하는 단말기에 의해 수싱되는 방법 단계에 대해서는, 본 출원에서의 태스크 전환 장치의 저장 유닛을 지원하는 태스크 전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단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본 출원에서는 세부사항을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단계의 모든 관련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 모듈의 기능 설명에 인용될 수 있다. 세부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물론, 태스크 전환 장치 및 단말기(2200)는 전술한 유닛 및 모듈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기(2200)는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통신 유닛은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능 유닛이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은 전술한 예의 방법 단계에 대응하는 기능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2200)의 다른 유닛에 관한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유닛에 대응하는 방법 단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는 여기서 세부 사항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통합된 유닛이 사용되는 경우, 검출 유닛(2201), 처리 유닛(2202) 등은 구현을 위해 처리 모듈에 통합될 수 있고; 통신 유닛은 단말기의 RF 회로, Wi-Fi 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으며; 저장 유닛은 단말기의 저장 모듈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2203)은 디스플레이 모듈,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도 23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단말기의 가능한 개략 구성도이다. 단말기(2300)는 처리 모듈(2301), 저장 모듈(2302), 디스플레이 모듈(2303) 및 감지 모듈(2304)을 포함한다. 감지 모듈(2304)은 단말기의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 및 슬라이딩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모듈(2301)은 감지 모듈(2304)에 의해 검출되는 사용자 조작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모듈(2303)은 처리 모듈(2301)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저장 모듈(2302)은 단말기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단말기(2300)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다른 단말기와 음성 통신을 수행하고, 다른 단말기로부터 프로필 사진을 수신하거나 다른 단말기에 프로필 사진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모듈(2301)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개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는 컴퓨팅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세서의 조합,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또는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송수신기, 송수신기 회로, 통신 인터페이스 등일 수 있다. 저장 모듈(2302)은 메모리일 수 있다. 감지 모듈(2304)은 센서일 수 있다.
처리 모듈(2301)이 프로세서(예컨대,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201))이고, 통신 모듈이 RF 회로(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무선 주파수 회로(202))이고, 저장 모듈(2302)이 메모리(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메모리(203))이고, 디스플레이 모듈(2303)이 터치스크린(2에 도시된 터치패드(204-1) 및 디스플레이(204-2) 포함)이고, 감지 모듈이 센서(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센서(206))일 때,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전화(100)일 수 있다. 통신 모듈은 RF 회로뿐만 아니라 Wi-Fi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 Wi-Fi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통신 모듈은 통칭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프로세서, 통신 인터페이스, 터치스크린 및 메모리는 버스를 사용하여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b, 도 13 내지 도 15, 도 17 및 도 21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더 제공하며, 여기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말기에 저장된다.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메모리, 프로세서 및 단말기의 측면 에지에 설치된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는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제1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5의 (c), 도 5, 도 9, 도 10, 도 11a, 도 13의 (c) 또는 도 15의 (c) 중어느 하나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면 에지에 대한 누름 동작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제1 GUI - 여기서 제1 GUI는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제1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응함 -;
도 5의 (d), 도 6 또는 도 11b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면 에지 상의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제2 GUI - 여기서 슬라이딩 조작과 누름 조작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적인 조작이고, 제1 태스크 윈도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2 GUI에 표시되고, 제1 태스크 윈도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 중 하나이고,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가 복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2 GUI에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는 복수의 태스크 윈도 중에서 전환됨 -; 및
도 7, 도 8, 또는 도 14 중 어느 하나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딩 조작을 종료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모서리를 떠난 것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제3 GUI - 여기서 제3 GUI는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도 7, 도 8, 또는 도 14 중 어느 하나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2 GUI에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임 -를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2 GUI 내의 제1 태스크 윈도는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제3 GUI 내의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2 GUI에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1 GUI 내의 제1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한다. 도 5의 (d), 도 6 또는 도 11b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GUI 내의 제1 태스크 윈도는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다. 제3 GUI 내의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2 GUI에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도 5의 (c), 도 9, 도 10 또는 도 11a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GUI 내의 제1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한다. 도 5의 (d), 도 6, 또는 도 11b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GUI 내의 제1 태스크 윈도는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의 (b)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GUI 내의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도 7 또는 도 8의 대응하는 도면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2 GUI에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만을 포함하는 경우, 제1 GUI 내의 제1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이고, 제1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 내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며, 여기서 제2 GUI 내의 제1 태스크 윈도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고; 제3 GUI 내의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2 GUI에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GUI 내의 제1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이고, 제1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 내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다. 도 1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GUI 내의 제1 태스크 윈도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GUI 내의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2 GUI에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터치스크린이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표시하는 경우, 측면 에지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제1 GUI 내의 제1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2 GUI 내의 제1 태스크 윈도는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제3 GUI 내의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2 GUI에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전화(100)가 현재 단말기의 데스크톱(502)을 표시하는 경우, 제1 GUI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에 상응하여, 도 7의 (b)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GUI 내의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도 7 또는 도 8의 대응하는 도면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2 GUI에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측면 에지 상의 제1 위치에서의 누름 조작에 대응하여 터치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제1 GUI 내의 제1 인터페이스는,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위치가 도 19에 도시된 우측 에지상의 제1 위치(1901)라고 가정하면, 제1 GUI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의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에 상응하여, 도 7의 (b)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GUI 내의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도 7 또는 도 8의 대응하는 도면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2 GUI에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측면 에지 상의 제2 위치에서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제1 GUI 내의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2 애플리케이션은 터치스크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시간의 오름차순으로 배열된 후의 마지막 애플리케이션이고, 제2 GUI 내의 제1 태스크 윈도는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고; 제3 GUI 내의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2 GUI에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제2 위치가 도 19에 도시된 우측 에지 상의 제2 위치(1902)라고 가정하면, 도 2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GUI 내의 제1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이고, 제1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 내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다. 도 1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GUI 내의 제1 태스크 윈도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GUI 내의 제2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2 GUI에 표시되는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다.
본 출원은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여기서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전술한 프로세서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때, 단말기는 도 4, 도 12, 도 16 및 도 20 중 어느 하나에서의 관련 방법 단계를 수행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태스크 전환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며,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도 4, 도 12, 도 16 및 도 20 중 어느 하나에서의 관련 방법 단계를 수행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태스크 전환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단말기(2200), 단말기(2300),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모두 이상에서 제공된 대응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단말기,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달성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에 대해서는 이상에서 제공된 대응 방법에서의 유리한 효과를 참조한다. 세부 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구현예에 관한 전술한 설명은, 편리하고 간단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기능 모듈의 분할이 단지 예시를 위해 사용됨을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술한 기능들은 상이한 모듈들에 할당될 수 있고 요건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장치의 내부 구성은 전술한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기능 모듈로 분할된다.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동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하고, 세부 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 제공된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술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모듈 또는 유닛 분할은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 구현 시에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요소가 다른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이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사이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자적 형태, 기계적 형태 또는 기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별개의 부분으로서 기술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되는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물리적인 유닛이 아닐 수도 있거나, 한 곳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될 때, 통합된 유닛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술된 방법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여러 명령어를 포함한. 전술한 저장 매체로는, 플래시 메모리, 탈착 가능한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임의 접근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본 출원의 구체적인 구현예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쉽게 파악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36)

  1. 단말기에 적용되는 태스크 전환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의 측면 에지에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태스크 전환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task window)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응함 -;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슬라이딩 조작 및 상기 누름 조작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1 태스크 윈도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 중 하나이고,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가 복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 윈도 중에서 전환됨 -;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음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임 -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의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제1 애플리케이션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 내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임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인,
    태스크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인, 태스크 전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인, 태스크 전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현재 상기 단말기의 데스크톱(desktop)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인, 태스크 전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조작은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제1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인, 태스크 전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누름 조작이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제2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인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 내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시간의 오름차순으로 배열된 후의 마지막 애플리케이션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내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인, 태스크 전환 방법.
  7. 단말기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터치스크린 및 상기 단말기의 측면 에지에 설치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센서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명령어를 실행할 때,
    상기 센서는 상기 측면 에지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단말기 내의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의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응하며;
    상기 센서는 추가로,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조작 및 상기 누름 조작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나지 않는 연속 조작임-;
    상기 터치스크린은 추가로,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제1 태스크 윈도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 중 하나이고,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윈도가 복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 윈도 중에서 전환되며;
    상기 센서는 추가로,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음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추가로,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음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측면 에지의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제1 애플리케이션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 내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인,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인,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음을 상기 센서가 검출한 경우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인,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이 현재 상기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인, 단말기.
  11. 제7항, 제8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조작은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제1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인,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 조작이 상기 측면 에지 상의 제2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누름 조작인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 내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최근에 실행되고 닫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시간의 오름차순으로 배열된 후의 마지막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내의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태스크 윈도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측면 에지를 떠났을 때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 태스크 윈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태스크의 인터페이스인, 단말기.
  13.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명령어가 단말기에서 실행될 때, 상기 단말기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태스크 전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저장 매체.
  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태스크 전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KR1020207010337A 2017-09-30 2017-09-30 태스크 전환 방법 및 단말기 KR102446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05064 WO2019061512A1 (zh) 2017-09-30 2017-09-30 一种任务切换方法及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768A KR20200051768A (ko) 2020-05-13
KR102446587B1 true KR102446587B1 (ko) 2022-09-22

Family

ID=6590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337A KR102446587B1 (ko) 2017-09-30 2017-09-30 태스크 전환 방법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38596B2 (ko)
EP (1) EP3674872A4 (ko)
JP (1) JP2020536307A (ko)
KR (1) KR102446587B1 (ko)
CN (1) CN110741335A (ko)
AU (1) AU2017433305B2 (ko)
WO (1) WO20190615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6718S1 (en) * 2017-10-30 2021-04-20 Siemens Healthcare Gmbh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80384S1 (en) * 2018-01-12 2020-04-07 Jaguar Land Rover Limited Vehicle front fender
CN109032734B (zh) * 2018-07-13 2020-09-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后台应用程序显示方法和移动终端
CN111897479A (zh) * 2020-08-11 2020-11-0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界面切换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4327105A (zh) * 2020-09-29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分屏显示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20230050768A (ko) * 2021-10-08 2023-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전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3660B2 (en) * 2003-07-14 2013-02-12 Matt Pallakoff System and method for a portable multimedia client
US8564543B2 (en) * 2006-09-11 2013-10-22 Apple Inc. Media player with imaged based browsing
JP4632102B2 (ja) * 2008-07-17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TWI456434B (zh) * 2011-05-31 2014-10-11 Compal Electronics Inc 具有觸控輸入系統之電子裝置
US9377944B2 (en) * 2012-05-25 2016-06-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TWI484405B (zh) * 2012-08-23 2015-05-11 Egalax Empia Technology Inc 圖形使用者界面的顯示方法及使用該方法的電子裝置
CN103809891B (zh) * 2012-11-13 2016-04-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页面切换方法和装置
CN103106039B (zh) * 2013-02-19 2018-04-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页面切换方法及装置
US20140267114A1 (en) * 2013-03-15 2014-09-18 Tk Holdings, Inc. Adaptive human machine interfaces for pressure sensitive control in a distracted operating environm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14149473A1 (en) * 2013-03-15 2014-09-2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20140304646A1 (en) * 2013-04-04 2014-10-09 Klip, Inc. Sliding side menu gui with menu items displaying indicia of updated content
CN103543948A (zh) 2013-10-30 2014-01-29 西安乾易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人机交互方法
KR20150082032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04765446A (zh) * 2014-01-07 2015-07-08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和控制电子设备的方法
US10067648B2 (en) * 2014-02-13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US20150248545A1 (en) * 2014-03-03 2015-09-03 Samer Al-Jamal Sign shortcut
CN104267902B (zh) 2014-09-22 2017-03-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交互控制方法、装置及终端
JP2016115208A (ja) * 2014-12-16 2016-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入力装置、ウェアラブル端末、携帯端末、入力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入力装置の動作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
KR102308645B1 (ko) *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85125A (ko) * 2015-01-07 2016-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7057064B2 (ja) * 2015-02-06 2022-04-19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731499A (zh) * 2015-03-13 2015-06-24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启动后台应用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160294750A1 (en) * 2015-04-03 2016-10-06 Vaporstream, Inc. Electronic Message Slide Reveal System and Method
CN104991819B (zh) * 2015-05-27 2019-03-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应用切换方法及装置
US9891811B2 (en) * 2015-06-07 2018-02-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CN106708399A (zh) * 2015-11-17 2017-05-24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具有双侧边曲面屏幕的电子终端的触控方法和设备
KR102475336B1 (ko) * 2015-12-29 2022-12-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EP3208733B1 (en) * 2016-02-19 2020-07-01 Sony Corporation Terminal device, method, and program
CN106020796A (zh) * 2016-05-09 2016-10-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及装置
CN107193436A (zh) * 2017-04-25 2017-09-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多任务切换的方法及终端
CN107045420B (zh) 2017-04-27 2021-01-05 南通易通网络科技有限公司 应用程序的切换方法及移动终端、存储介质
DK180127B1 (en) * 2017-05-16 2020-05-2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OVING USER INTERFACE OBJECTS
GB2563062A (en) * 2017-06-02 2018-12-05 Spectrum Medical Ltd Oxygen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433305B2 (en) 2021-02-25
CN110741335A (zh) 2020-01-31
KR20200051768A (ko) 2020-05-13
WO2019061512A1 (zh) 2019-04-04
AU2017433305A1 (en) 2020-04-09
US10838596B2 (en) 2020-11-17
EP3674872A1 (en) 2020-07-01
JP2020536307A (ja) 2020-12-10
US20200233551A1 (en) 2020-07-23
EP3674872A4 (en)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6587B1 (ko) 태스크 전환 방법 및 단말기
KR102141099B1 (ko) 신속한 스크린 분할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 저장 매체
US11243657B2 (en) Ic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N109375890B (zh) 一种屏幕显示方法和多屏电子设备
EP3525075B1 (en) Method for lighting up screen of double-screen terminal, and terminal
EP4109218B1 (en) Mobile phone comprising a touch screen with an in-display fingerprint sensor
CN108984067B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
EP3691234B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terminal
CN109800045B (zh) 一种显示方法及终端
CN107193451B (zh) 信息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764254B1 (en) Fingerprint unlocking method, and terminal
CN108108113B (zh) 网页切换方法及装置
CN107066090B (zh) 一种控制指纹识别模组的方法及移动终端
CN110071866B (zh) 一种即时通信应用控制方法、可穿戴设备及存储介质
KR2016001639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918014B (zh) 页面显示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674867B1 (en) Human-computer intera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0413385B (zh) 任务管理方法、终端设备及介质
KR20120010529A (ko) 다중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60032915A (ko) 이동 단말기
WO2017166209A1 (zh) 设置勿触区域的方法、装置、电子设备、显示界面以及存储介质
CN110046007B (zh) 内容处理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CN107924261B (zh) 一种选择文本的方法
KR2016006115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913626A (zh) 显示通知栏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