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240B1 -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240B1
KR102446240B1 KR1020200060321A KR20200060321A KR102446240B1 KR 102446240 B1 KR102446240 B1 KR 102446240B1 KR 1020200060321 A KR1020200060321 A KR 1020200060321A KR 20200060321 A KR20200060321 A KR 20200060321A KR 102446240 B1 KR102446240 B1 KR 102446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elevator
socket
socket convert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491A (ko
Inventor
김동석
한갑석
전현주
안경남
Original Assignee
안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남 filed Critical 안경남
Priority to KR1020200060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240B1/ko
Publication of KR20210143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66B7/085Belt termin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와이어로프를 교환하는 경우, 소켓컨버터를 이용함으로써 카 상부프레임을 교환하지 않고도 가능한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 연결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을 위한 다수의 와이어로프(10)와,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설치되는 카 상부프레임(3), 그리고 소켓컨버터(1)를 포함한다. 소켓컨버터(1)는, 와이어로프가 관통한 상태로 지지되는 다수의 상면체결공이 성형된 상면과, 상기 카 상부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볼트가 통과한 상태로 지지되는 다수의 하면체결공이 성형된 저면을 구비한다. 소켓컨버터의 상면체결공와 하면체결공은 규격 또는 배치가 상이하게 구성되어, 소켓컨버터는 각각 다른 규격 또는 배치를 가지는 와이어로프 또는 체결볼트를 관통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 연결장치{A wire rope connecting device for a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기의 노후 또는 고사양으로의 변환 등으로 와이어로프와 관련된 사양이 변경될 경우 엘리베이터 카 및 카운트 웨이트의 상부 프레임에 장착하여 호환성 있도록 사용할 수 있는 소켓 컨버터를 포함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노후 또는 고사양화 등과 같은 현대화 작업의 일환으로 엘리베이터의 구동기 및 전기장치를 교체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때 구동기의 와이어로프의 규격 변경 또는 와이어로프의 사용 가닥수를 변경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카 상부 프임 및 카운터 프레임 자체를 교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제기된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구성을 살펴보면,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프레임(3)은 와이어로프(10)와 연결되어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와이어로프(10)의 하단부는 로프소켓(12)과 연결되고, 그 사이에는 와이어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로프클립(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프소켓(12)의 하단부에는 연결로드(22)를 통하여 카 상부프레임(3)과 연결된다. 예를 들면 연결로드(22)는 카 상부프레임(3)을 관통한 상태에서 스프링(24) 및 한 쌍의 너트(26)에 의하여 체결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와이어로프(10)의 사양 등이 상이한 상태로 변경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카 상부프레임(3) 자체를 교환해야 하는 단점이 제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와이어로프의 규격이나 가닥수가 변경되더라도, 카 상부프레임 또는 카운터 상부프레임의 변경 없이,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다른 규격 또는 가닥수를 가지는 와이어로프에 적용하여 사용 가능하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제1와이어로프군과 다른 형태의 제2와이어로프군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을 위한 다수의 와이어로프와,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설치되는 카 상부프레임, 그리고 소켓컨버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소켓컨버터는, 와이어로프가 관통한 상태로 지지되는 다수의 상면체결공이 성형된 상면과, 상기 카 상부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볼트가 통과한 상태로 지지되는 다수의 하면체결공이 성형된 저면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면체결공와 하면체결공은 규격 또는 배치가 상이하게 구성되어, 소켓컨버터는 각각 다른 규격 또는 배치를 가지는 와이어로프 또는 체결볼트를 관통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의 연결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을 위한 다수의 와이어로프와, 엘리베이터의 카운터 웨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카운터 상부프레임, 그리고 소켓컨버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소켓컨버터는, 와이어로프가 관통한 상태로 지지되는 다수의 상면체결공이 성형된 상면과, 상기 카운터 상부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볼트가 통과한 상태로 지지되는 다수의 하면체결공이 성형된 저면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소켓컨버터의 상면체결공와 하면체결공은 규격 또는 배치가 상이하게 구성되어, 소켓컨버터는 각각 다른 규격 또는 배치를 가지는 와이어로프 또는 체결볼트를 관통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와이어로프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로프소켓과, 상기 로프소켓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하단부가 소켓컨버터의 상면을 관통하는 연결로드, 연결로드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 하부의 연결로드에 결합되는 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소켓컨버터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하면, 열린부분이 서로 대향하도록 결합되고, 상면 및 저면이 중첩되도록 결합되며, 서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 쌍의 ㄷ자형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와이어로프의 규격 및 사양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소켓컨버터를 적절하게 이용함으로써, 카 상부프레임 또는 카운터웨이트의 상부프레임의 교체 없이도, 새로운 형태의 와이어로프 구조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부품의 교환을 최소화하거나 합리적인 비용으로, 와이어로프의 교환 등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로프 연결부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연결부분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연결부분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켓컨버터의 단면을 보인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의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로써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프레임에 적용되는 것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프레임(3)에 대하여, 소켓컨버터(1)를 통하여 새로운 규격 또는 가닥수를 가지는 와이어로프(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사용중인 카 상부프레임(3)의 교환 없이, 카 상부프레임(3) 상에 고정되는 소켓컨버터(1)를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가닥수 또는 사양을 가지는 다수의 와이어로프(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또 다른 규격 또는 가닥수를 가지는 와이어로프(10)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카 상부프레임(3)은 교환하지 않고 새로운 형태의 와이어로프(10)에 대응하는 소켓컨버터(1)만으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소켓컨버터(1)와 카 상부프레임(3)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카 상부프레임(3)의 상면(34)과 소켓컨버터(1)의 저면에는, 동일한 형태의 체결공 및체결공이 각각 성형되어 있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종래의 와이어로프를 통하여 연결되었던 구멍의 치수 및 배열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측의 체결공에는, 도시한 바와 같은 체결볼트(4)가 관통하고 있다. 이러한 체결볼트(4)의 하단부는, 카 상부프레임(3)의 측면(32) 하부에서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36) 저면에 고정되어 있는 보강플레이트(13)를 관통한 상태이다.
그리고 이러한 체결볼트(4)의 하단부에는 라운드와셔(5) 및 스프링와셔(6)를 끼운 후, 고장력의 너트(7)를 채운 후 고장력의 락너트(8)를 채움으로써, 실질적으로 소켓컨버터(1)와 카 상부프레임(3)은 서로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4)의 하단부에는 상술한 너트(7,8)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할 핀(9)을 끼워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카 상부프레임(3)의 상면(34) 및 측면(32)의 내부에 밀착되는 보강부재(34)가 설치되고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소켓컨버터(1)는 체결볼트(4)를 통하여 카 상부프레임(3)과 고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소켓컨버터(1)의 저면에는 카 상부프레임(3)과의 체결을 위하여, 체결볼트(4)가 관통하는 다수의 저면체결공이 성형되어 있는데, 이러한 체결공은 실질적으로 소켓컨버터(1)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체결공의 규격 및 배치 등에서 상이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카 상부프레임(3) 상부에 고정된 소켓컨버터(1)와 엘리베이터의 와이어로프(10)와의 연결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다수의 와이어로프(10)는 로프소켓(12)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로프소켓(12)의 직상부에는 와이어로프(10)를 보호하는 로프클립(11)이 와이어로프(1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로프소켓(12)의 하부에는 연결로드(22)가 설치되어 있고, 연결로드(22)의 하단부는 소켓컨버터(1)의 상부를 관통한 상태로 지지된다.
그리고 소켓컨버터(1)의 내부에 있는 연결로드(22)의 하단부에는 스프링(24)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에는 워셔를 개재한 상태로 락너트(26)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락너트(26)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하부의 연결로드(22)에는 분할핀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술한 와이어로프(10)군은 실질적으로 새로운 규격 및 가닥수를 가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소켓컨버터(1)의 상면에 성형되는 다수의 상면체결공은, 소켓컨버터(1)의 하면에 성형되는 다수의 체결공의 배치 및 규격과 상이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에서 새로운 구동기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와이어로프의 다른 규격 또는 가닥수를 적용할 수 있도록 소켓컨버터(1)의 상부에 성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컨버터(1)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와이어로프(10)를 위한 구성(규격 및 가닥수 등)은 체결볼트(4)를 위하여 소켓컨버터(1)의 저면에 성형되는 구성과는 실질적으로 상이한 것이다. 즉, 소켓컨버터(1)의 바닥면에 성형되는 체결공의 규격 및 배치는, 소켓컨버터(1)의 상면에 성형되는 체결공의 규격 및 배치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소켓컨버터(1)를 이용함으로써, 그 하부에는 카 상부프레임(3)이 지지되도록 하고, 그 상부에는 새로운 규격 및 배치를 가지는 다수의 와이어로프(10)가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는 위에서 살펴본 소켓컨버터(1)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컨버터(1)는 ㄷ자형의 동일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부재(1a,1b)가 서로를 향하여 결합된 사각형의 통형상 부재라고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한 쌍의 부재(1a,1b)는 열린 부분이 서로 대향하고, 상면 및 저면이 중첩되도록 구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소켓컨버터(1) 내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한 쌍의 부재(1a,1b)를 서로 연결하는 상하 한 쌍의 보강부재(18a,18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재(18a,18b)는, 실질적으로 한 쌍의 부재(18a,18b)를 양측면에서는 동일하게 접촉하고 있으며, 적어도 이러한 접촉부분을 용접으로 일체화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한 쌍의 ㄷ자 단면의 보강부재(18a,18b)의 다른 부분을 더 용접하거나 다른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그리고 소켓컨버터(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성형되는 체결공의 규격 또는 배치 중의 적어도 하나는 서로 상이함을 도 4에서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 연결장치가 카 상부프레임이 아닌 카운터 상부프레임(14)에 구현된 것이다. 카운터 상부프레임(14)은 엘리베이터의 카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프레임에 구현된 것이 아니라, 카운터 상부프레임(14)에 구현된 것임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도 2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도, 카운터 상부프레임(14)의 하부에는 보강플레이트(15)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켓컨버터를 이용함으로써, 카 상부프레임 또는 카운터 상부프레임 자체를 교환하지 않고, 다른 규격 및 배치의 와이어로프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주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도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당연하다.
1 ..... 소켓컨버터
3 ..... 카 상부프레임
4 ..... 체결볼트
5 ..... 라운드 와셔
6 ..... 스프링 와셔
7 ..... 너트
10 ..... 와이어로프
11 ..... 로프클립
12 ..... 로프소켓
18a, 18b ..... 보강부재

Claims (4)

  1.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을 위한 다수의 와이어로프와;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설치되는 카 상부프레임; 그리고
    상기 와이어로프가 관통한 상태로 지지되는 다수의 상면체결공이 성형된 상면과, 상기 카 상부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볼트가 통과한 상태로 지지되는 다수의 하면체결공이 성형된 저면을 구비하는 소켓컨버터로 구성되고;
    상기 상면체결공와 하면체결공은 규격 또는 배치가 상이하게 구성되어, 소켓컨버터는 각각 다른 규격 또는 배치를 가지는 와이어로프 또는 체결볼트를 관통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소켓컨버터는, 열린부분이 서로 대향하도록 결합되고, 상면 및 저면이 중첩되도록 결합되며, 서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 쌍의 ㄷ자형 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2.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을 위한 다수의 와이어로프와;
    엘리베이터의 카운터 웨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카운터 상부프레임; 그리고
    상기 와이어로프가 관통한 상태로 지지되는 다수의 상면체결공이 성형된 상면과, 상기 카운터 상부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볼트가 통과한 상태로 지지되는 다수의 하면체결공이 성형된 저면을 구비하는 소켓컨버터로 구성되고;
    상기 상면체결공와 하면체결공은 규격 또는 배치가 상이하게 구성되어, 소켓컨버터는 각각 다른 규격 또는 배치를 가지는 와이어로프 또는 체결볼트를 관통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소켓컨버터는, 열린부분이 서로 대향하도록 결합되고, 상면 및 저면이 중첩되도록 결합되며, 서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 쌍의 ㄷ자형 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로프소켓과, 상기 로프소켓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하단부가 소켓컨버터의 상면을 관통하는 연결로드, 연결로드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 하부의 연결로드에 결합되는 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4. 삭제
KR1020200060321A 2020-05-20 2020-05-20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KR102446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321A KR102446240B1 (ko) 2020-05-20 2020-05-20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321A KR102446240B1 (ko) 2020-05-20 2020-05-20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491A KR20210143491A (ko) 2021-11-29
KR102446240B1 true KR102446240B1 (ko) 2022-09-27

Family

ID=7869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321A KR102446240B1 (ko) 2020-05-20 2020-05-20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24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4584A (ja) * 1992-04-21 1993-11-09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連結装置
KR950004098U (ko) * 1993-07-30 1995-02-17 김재영 펌프에 설치된 프레샤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491A (ko)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866B1 (ko)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KR102446240B1 (ko)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CN103663126A (zh) 一种液压提升机用的可拆卸吊钩组及带该吊钩组的起重机
JP6016741B2 (ja) エレベータ釣合おもり枠用連結部材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101205930B1 (ko) 리프팅 러그 시편
CN108953353B (zh) 一种螺栓防松组件
US9676594B2 (en) Anti-rotation system and anti-rotation device
KR102024621B1 (ko) 크레인 후크
CN210457388U (zh) 一种用于连续千斤顶与被吊装结构连接的通用装置
CN216134250U (zh) 一种复合横担的导线安装组件
KR100476203B1 (ko) 자동차 차체 강성평가 시험장치
KR102024685B1 (ko) 풀림 방지용 볼트고정부 및 이를 구비한 단자 블록체
CN210763813U (zh) 一种电梯内嵌式轿顶安装结构
JPS583818Y2 (ja) エレベ−タのかご枠
CN221853861U (zh) 一种用于检测减震胶失效的轿底反绳轮装置
CN213062890U (zh) 一种用于连墙件的连接座
CN210340028U (zh) 一种机房钢丝绳保护装置
KR102489583B1 (ko) 변압기 안전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CN216709075U (zh) 应用于电气化铁路接触网h型钢支柱的防鸟巢装置
CN217782644U (zh) 检修扶手
CN217076692U (zh) 一种起重机吊钩防滑落装置
CN213292301U (zh) 一种矿井下用煤矿车防脱装置
CN211419227U (zh) 一种绳头固定装置
CN212407462U (zh) 一种链条升降机机构的固定结构
KR102708797B1 (ko) 갱폼의 앵커볼트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