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930B1 - 리프팅 러그 시편 - Google Patents

리프팅 러그 시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930B1
KR101205930B1 KR1020100112328A KR20100112328A KR101205930B1 KR 101205930 B1 KR101205930 B1 KR 101205930B1 KR 1020100112328 A KR1020100112328 A KR 1020100112328A KR 20100112328 A KR20100112328 A KR 20100112328A KR 101205930 B1 KR101205930 B1 KR 101205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ug
specimen
inclined surface
loa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867A (ko
Inventor
전상배
전민성
김지영
박주신
서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9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9Fatigue, creep, strain-stress relations or elastic constants
    • G01N2203/0073Fatigue

Landscapes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리프팅 러그 시편이 개시된다. 상기 리프팅 러그 시편은, 일측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중심부재; 상기 제1 경사면에 결합되며, 하중 인가를 위한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몸체; 및 상기 중심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며, 하중 인가를 위한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프팅 러그 시편{Specimen of lifting lug}
본 발명은 리프팅 러그 시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천장 하면에 장치나 설비 등을 리프팅하기 위한 리프팅 러그(Lifting lug)나 리프팅 빔(Lifting beam)과 같은 리프팅 설비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선박의 리프팅 설비는 리프팅시키고자 하는 장치나 설비에 결합되며, 케이블이나 조인트부재가 연결된다. 리프팅 설비는 리프팅되는 장치나 설비가 추락에 의해 파손되거나 이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장치나 설비의 하중을 견디어 내는데 충분한 재질 및 구조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설계 하중을 견디도록 제작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중인가 시험을 거치게 된다.
도 1은 리프팅 러그에 수직하중만 작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a)는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측면도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중만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이 함께 작용하게 된다. 도 2는 리프팅 러그에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이 함께 작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a)는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측면도이다.
이와 같이 수평하중이 함께 작용하는 리프팅 러그에 대한 강도 실험을 위해서는 그에 맞는 실험 장비가 갖추어져야 할 것이나, 종래의 인장/피로 실험 장비는 수평하중에 따른 편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한계가 있어, 실제 상황에서 발생하는 수평하중이 고려된 최적의 실험 환경을 구축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직하중뿐만 아니라 수평하중에 대한 인장/피로 실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리프팅 러그 시편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중심부재; 상기 제1 경사면에 결합되며, 하중 인가를 위한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몸체; 및 상기 중심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며, 하중 인가를 위한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몸체를 포함하는 리프팅 러그 시편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중심부재의 타측에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중심부재는 상하 대칭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와 상기 중심부재 사이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하중에 대한 인장/피로 실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리프팅 러그에 수직하중만이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리프팅 러그에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이 함께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러그 시편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러그 시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러그 시편을 이용하여 인장/피로 실험을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적퇴치용 회전체를 구비한 선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러그 시편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러그 시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리프팅 러그 시편(100), 중심부재(110), 제1 경사면(110a), 제2 경사면(110b), 날개부(112), 제1 몸체(120a), 제2 몸체(120b), 제1 관통홀(125a), 제2 관통홀(125b), 브라켓(130a, 130b)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러그 시편(100)은 일측에 제1 경사면(110a)이 형성된 중심부재(110); 상기 제1 경사면(110a)에 결합되며, 하중 인가를 위한 제1 관통홀(125a)이 형성된 제1 몸체(120a); 및 상기 중심부재(110)의 타측에 결합되며, 하중 인가를 위한 제2 관통홀(125b)이 형성된 제2 몸체(120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러그 시편(100)은, 실제 작업 환경에서 리프팅 러그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이 인장/피로 실험에서도 고려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경사를 가할 수 있게 된다.
제1 몸체(120a)와 제2 몸체(120b)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125a) 및 제2 관통홀(125b)에는 각각 그립(도 5의 200, 300 참조)이 체결되어 리프팅 러그 시편(100)에 상방 및 하방으로 하중을 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관통홀(125a)과 제2 관통홀(125b) 모두에 그립(도 5의 200, 300)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제1 관통홀(125a)에 체결된 그립(도 5의 200)이 유압실린더(미도시) 등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리프팅 러그 시편(100)에는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인가된 인장력을 바탕으로 리프팅 러그에 대한 인장/피로 시험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중심부재(110)는 제1 몸체(120a)와 제2 몸체(120b)가 각각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대략 찌그러진 '工'자 형상을 갖는다. 이 때, 중심부재(110)의 일측(도 3을 기준으로 상측)에는 제1 경사면(110a)이 형성되므로, 제1 몸체(120a)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경사진 형태로 중심부재(1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심부재(100)의 제1 경사면(110a)에 결합된다. 그 결과 제1 관통홀(125a)에 체결된 그립(도 5의 200)이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더라도, 제1 몸체(120a)에 대해서는 제1 경사면(110a)에 의해 인위적으로 수평하중(즉, 전체 하중의 수평성분)이 작용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부재(110)에 형성된 제1 경사면(110a)에 의해 인위적으로 부여되는 수평하중을 이용함으로써, 리프팅 러그에 대한 인장/피로 시험에서도 실제 작업 환경 하에서 발생하는 수평하중을 고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제1 경사면(110a)의 각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재(110)의 타측(도 3을 기준으로 하측)에는 제2 경사면(11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몸체(120b)에 대해서도 인위적으로 수평하중이 부여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중심부재(110)는 상하 대칭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중심부재(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제1 경사면(110a)과 제2 경사면(110b)의 경사 각도가 동일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심부재(110)가 상하 대칭구조를 갖도록 하면, 제1 몸체(120a)와 제2 몸체(120b)에 부여되는 수평하중 및 이를 바탕으로 하는 인장/피로 시험에 대한 해석을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하 대칭성으로 인하여 제1 몸체(120a)와 제2 몸체(120b) 어느 하나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나머지 하나에 대한 해석 결과를 용이하게 유추해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20a)와 중심부재(110) 사이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브라켓(130a)이 구비될 수도 있다. 브라켓(130a)은 제1 몸체(120a)와 대략 수직하도록 배치되어 제1 몸체(120a) 및 중심부재(1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심부재(110)의 제1 경사면(110a)과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며, 제1 몸체(120a)와 중심부재(110) 사이의 전단파괴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는 이러한 브라켓(130a)이 제1 몸체(120a)의 일단에만 구비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양단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몸체(120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몸체(120b)에도 동일한 구조를 갖는 브라켓(130b)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몸체(120a)에 브라켓(130a)이 결합되는 경우, 중심부재(110)의 제1 경사면(110a)은 제1 몸체(120a)뿐만 아니라 브라켓(130a) 역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는 제1 몸체(120a)와 대략 수직하는 방향으로 결합된 브라켓(130a)을 지지할 수 있도록, 대략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경사면(110a)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십자 형상을 갖는 제1 경사면(110a)의 양단은 중심부재(110)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날개부(1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몸체(120a)와 브라켓(130a)을 함께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할 것이다.
제1 몸체(120a)와 제1 경사면(110a)에 대한 구조가 제2 몸체(120b)와 제2 경사면(110b)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러그 시편(1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리프팅 러그 시편(100)을 이용한 시험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러그 시편(100)을 이용하여 인장/피로 시험을 진행하기 위해, 리프팅 러그 시편(100)에 하중을 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샤클(210, 310)과 고리(220, 320)를 각각 구비하는 그립(200, 300)을 상하에 배치하고, 제1 몸체(120a)와 제2 몸체(120b)에 각각 샤클(210, 310)을 체결한 뒤, 유압실린더(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상측에 위치한 그립(200)을 수직 방향으로 상승시켜 리프팅 러그 시편(100)에 하중을 가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하측에 위치한 그립(300)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리프팅 러그 시편(100)에 하중을 가하게 되면, 중심부재(110)에 형성된 경사면(110a, 110b)에 의해 제1 몸체(120a)와 제2 몸체(120b)에는 인위적으로 수평하중(즉, 전체 하중의 수평성분)이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인위적으로 부여되는 수평하중을 이용함으로써, 리프팅 러그에 대한 인장/피로 시험에서도 실제 작업 환경 하에서 발생하는 수평하중을 고려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0 : 리프팅 러그 시편
110 : 중심부재
110a, 110b : 경사면
112 : 날개부
120a : 제1 몸체
120b : 제2 몸체
125a : 제1 관통홀
125b : 제2 관통홀
130a, 130b : 브라켓
200, 300 : 그립
210, 310 : 샤클
220, 320 : 고리

Claims (4)

  1. 일측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중심부재;
    상기 제1 경사면에 결합되며, 하중 인가를 위한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몸체; 및
    상기 중심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며, 하중 인가를 위한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재의 타측에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러그 시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는 상하 대칭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러그 시편.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중심부재 사이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러그 시편.
KR1020100112328A 2010-11-11 2010-11-11 리프팅 러그 시편 KR101205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328A KR101205930B1 (ko) 2010-11-11 2010-11-11 리프팅 러그 시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328A KR101205930B1 (ko) 2010-11-11 2010-11-11 리프팅 러그 시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867A KR20120050867A (ko) 2012-05-21
KR101205930B1 true KR101205930B1 (ko) 2012-11-28

Family

ID=46268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328A KR101205930B1 (ko) 2010-11-11 2010-11-11 리프팅 러그 시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9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824B1 (ko) * 2018-07-31 2019-03-0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비계용 연결브라켓 최종강도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CN110108545B (zh) * 2019-05-17 2021-08-06 河南航天精工制造有限公司 用于吊耳横向牵拉试验的夹具
CN112098228A (zh) * 2020-09-04 2020-12-18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主机吊耳工装拉力试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517A (ja) 2002-03-11 2003-09-19 Tamagawa Seiki Co Ltd 回転検出器取付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517A (ja) 2002-03-11 2003-09-19 Tamagawa Seiki Co Ltd 回転検出器取付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867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967B1 (ko) 복공판
KR100634465B1 (ko)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KR101205930B1 (ko) 리프팅 러그 시편
CN103883129B (zh) 一种钢结构屋面梁安装方法
CN107419665B (zh) 一种大跨度钢梁吊装吊具及其吊装钢梁的方法
JP4347158B2 (ja) 鋼橋、並びに鋼橋の補強方法及び補修方法
JP2013028419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吊上げ用治具
JP2006291536A (ja) 橋桁浮き上がり防止装置及び橋桁浮き上がり防止方法
JP3204833U (ja) 吊りピース付きコラム切梁
CN109368479A (zh) 固定系统及楼板拆除吊运方法
JP6842738B1 (ja) 吊り足場
CN105113426B (zh) 一种钢桁拱桥扣索联结的方法
CN105439003B (zh) 履带起重机及其吊装测试装置、吊装方法
CN103884640B (zh) 一种预应力管道摩阻试验装置及其安装方法
CN206417773U (zh) 吊运工装
CN107140558B (zh) 一种高强度的海上吊臂及使用其的起重机
CN110127540A (zh) 臂架组件及起重机
CN104373050B (zh) 一种水平拼接式天车梁
EP2853512B1 (en) Device to connect a lifting means, such as a crane, to an object that shall be lifted
CN217790051U (zh) 一种便于吊装的大型数据中心机柜
CN107298391A (zh) 塔吊附墙结构及其施工方法
JP4541978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吊り上げ方法および吊上用治具
JP2018043883A (ja) クレーン安定化装置
CN213950311U (zh) 一种保护人身安全的航吊用料框
CN213709648U (zh) 一种锚桩法静载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