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860B1 -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860B1
KR102445860B1 KR1020220059024A KR20220059024A KR102445860B1 KR 102445860 B1 KR102445860 B1 KR 102445860B1 KR 1020220059024 A KR1020220059024 A KR 1020220059024A KR 20220059024 A KR20220059024 A KR 20220059024A KR 102445860 B1 KR102445860 B1 KR 102445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air
chamber
air pump
harmfu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5Housings, e.g. machin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갇힌 공간에서 사용되는 3D 프린터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흡수하고 필터로 정화시키는 유해가스 정화장치로서, 3D 프린터를 내장하는 챔버와, 3D 프린터를 탑재시키며 챔버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한 1이상의 트레이와,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공기투입덕트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펌프와, 공기투입덕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챔버의 후방 전체면적에 걸쳐 챔버의 하단으로 안내하는 형상을 가지는 공기공급로와, 챔버의 상부로 상승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중에 함유된 유해가스의 입자를 포집하고 정화된 공기를 다시 에어펌프로 안내하는 메인필터를 포함하며, 3D 프린터의 사용중에 발생하는 유해가스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Noxious gas purification device for 3D printer}
본 발명은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갇힌 공간에서 사용되는 3D 프린터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흡수하고 필터로 정화시킴으로써, 3D 프린터의 사용중에 발생하는 유해가스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제조업의 혁명이라고 하는 3D 프린터의 발전이 눈부시다. 흔히 수지 혹은 고분자 탄소화합물로 불리는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금속 등과 관련된 복합 원재료, 또는 광경화성 수지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만들고자 하는 조형물을 사출과 압출 같은 고비용의 금형 제작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프로그램에 따라, 가열된 다양한 형태의 소형 노즐을 통해, 재료를 녹여서 적층 가공의 형태로 3차원 형상의 조형물은 만드는 3D 프린터는 과히 제조업의 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개인 맞춤형 제조 시대로 나아가는 것이 한걸음 당겨졌으며, 다품종 소량 생산에 있어서 지금까지의 산업에서는 보지 못했던 놀라운 산업 분야의 핵심적 역할이 기대된다.
예를 들면, 의료용품(보청기, 치아, 의족 등) 제조, 1인 제조업의 가능(피규어와 같은 예술성을 가진 다품종 소량 제조 산업), 제품 디자인의 혁신적인 발달, 마이크로 단위의 초정밀 성형 등이 가능해짐에 따라 새로운 개척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나, 1인 사업장도 가능하게 하는 3D 프린터의 가장 뛰어난 장점 중의 하나인 소형화된 장치의 특성상, 전통적인 프린터 장치와 같이 실내에서 그 사용과 작동이 대부분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현재까지 개발된 3D 프린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재료 대부분이 공정 중에 유독성 혹은 유해 환경 물질을 배출한다.
사실 석유화학의 근간이 되는 탄소를 주재료로 하는 폴리머는 성형물이 완성된 뒤에는 자체적으로 상당히 안정적이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상온에서의 현상이며, 열을 가하여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플라스틱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활용된 각종 첨가제의 용출, 붕괴, 그리고 폴리머 자체의 고분자를 형성하기 위해, 또는 고분자의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추가된 반응성 기가 용출, 분해, 해리, 또는 산소와의 접촉 등을 통하여 독립적인 유해가스로 배출되게 된다.
이는 지금까지 개발된 거의 모든 3D 프린터가 열을 가하여 조형물을 완성하는 적층 성형의 형태로서, 그것의 원재료가 고분자 탄소화합물 계열이든 세라믹계열이든 금속계열이든간에 모두 유해물질이 발생하며, 일부 광경화성 및 생분해성 수지를 원료로 하는 경우에도 예외 없이 발생한다.
더욱더 심각한 것은, 이른바 작동 상용 온도에 도달했을 경우에 성형 공정이 진행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가스는 분자량이 작은 분해가스가 아닌, 잔류 모노머 혹은 모노머의 독성기를 그대로 분리시키게 되고, 고분자 혹은 유독성 사슬이 붕괴, 해리된 채로 그대로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가장 적절한 비유는 “허가받지 않은 소각로에서 불법으로 환경기준에 맞지 않게 소각한다"는 것이며, 단지 “서서히 소각하는 효과”일뿐 발생되는 가스는 불법 소각로에서와 다름없다.
예를 들면, 현재 3D 프린터에서 가장 각광받는 원재료인 ABS 재질의 경우, 이 원재료의 용융작동 사용온도는 180~250℃이고, 이 온도에서 벤젠 화합물이 그대로 붕괴, 해리되어 나온다(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수소, 수분, 아닐린 등도 같이 발생한다) 이는 인체에 치명적이며 환경적으로도 배출이 금지되어 있다.
이 물질에 대한 환경규제는 매우 엄격하여, 법적으로 정기적으로 관리받는 소각로에서는 소각로의 온도가 1500℃ 이상이 유지되는 경우에만 소각이 가능하며, 또한 그 잔류가스를 채집하여, 직경 5mm 이하의 동관에서 980℃에서 3초 이상 가열 분해하여 배출해야만 한다.
이 경우는 한 예를 든 것이며, 현재 개발된 대부분의 3D 프린터의 공정상, 그것의 기능, 형태, 가격에 상관없이, 사용되는 대부분의 원재료가 대량의 잔류 모노머 가스, 일산화탄소, 재질에 따라 독성 포스겐 가스, 황산 가스, 또는 생물의 호르몬 기능을 파괴하는 환경호르몬 물질 등이 발생한다.
도 1은 플라스틱 가공 공장에서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시에 수지가 용융되는 과정(정확히는 유리전이온도 Tg)에서의 일반적인 가스의 발생비율을 각 구간별로 나타낸 것이다.
피딩존 (가)는 수지가 최초로 녹기 시작하는 구간으로 전체 발생 가스량의 50%가 이때 발생하며, 스크류의 배출구를 경유하여 기어박스 부분(역방향)으로 집진 설비를 통하여 상당량이 배출된다.
(나), (다) 구간은 각 혼합/용융 구간으로 이때 발생되는 가스는 금형에 설치된 배출구를 경유하여 집진 설비를 통하여 배출된다.
3D 프린터는 이러한 성형 구조와 그 원리와 진행 과정이 매우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발생 가스에 대한 포집, 흡착 또는 법적기준 내의 배출가스 제거 및 처리 장치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폴리머로부터 야기되는 위험성에 대한 것은 사실 갑자기 대두된 문제는 아니다. 단지 현재 3D 프린터를 제작하거나 개발하려는 회사들이 전기, 전자, 기계, 제어계측 분야의 전문가들이 대다수 활동하는 반면, 3D 프린터의 원재료를 사용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기존의 석유화학 회사의 원재료를 그대로 사용하기 쉽게, 필라멘트, 분말, 세라믹 등의 혼합, UV 등에 반응하는 액상 경화 등의 형태로 그대로 차용하여 사용하고 있어서, 고분자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있는 화학, 환경 전공자들이 장치제작에 참여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식되지 못했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고무와 같이 유연한 재질은 열가소성 수지로서 3D 프린터에서 가장 먼저 사용된 것으로, 피규어, 인조피부, 학용품 등과 같이 다양한 다품종 소량 생산 산업분야의 하나로서, 현재 주요 3D 프린터용 원재료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는 가소제를 사용하여 유연한 수지의 형태로 제조 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가소제는 상온에서도 검출되며, 상당수의 가소제가 사용 금지 또는 사용량을 줄이도록 법제화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품질 또는 가격에 대한 불만으로 불법적으로 지속 사용되고 있어 규제와 단속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자가 보는 3D 프린터의 가장 치명적인 문제는 "3D 프린터는 상온에서 작동되는 장치가 아니다"라는 것이다.
현재의 규제법과 상관없이 열가소성 합성수지는 3D 프린터 작동 온도 범위에서 유해가스(상당수가 거의 치명적인 독가스 수준으로, 2차 대전 중 나치가 학살에 사용한 포스겐 가스(COCl2)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를 방출한다는 것이다.
3D 프린터로 고온에서 성형품을 용융 제조하는 경우에는 폴리머 화학 공장에서 성형품을 용융 제조하는 경우와 거의 동일한 환경처리 상황에 놓이게 된다. 실제로, 대부분의 폴리머 화학 공장은 관련 법 제도에 의하여 철저하고 엄격하게 생산시의 배출가스에 대하여 내외부에서 2중, 3중으로 규제와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3D 프린터의 사용에 있어서는 이러한 규제나 통제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제 3D 프린터의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고, 그 기능을 확대하기 위해 원재료 역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그 원재료의 개발 역시 기능적 역할에만 몰두한 나머지, 그 취급은 완성된 안정화된 상온 상태의 플라스틱의 관점에서 시장이 형성되고 있고, 3D 프린터와 같은 관련 장치에 대한 보완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일부 국가에서는 3D 프린터를 제3의 산업혁명이라 간주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으로 대량보급이 실현되었으며, 초중고 등으로 확대 보급할 계획도 속속 발표되고 있어, 자라나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도 치명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갇힌 공간에서 사용되는 3D 프린터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포집하여 정화시켜야 하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10-202224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갇힌 공간에서 사용되는 3D 프린터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흡수하고 필터로 정화시킴으로써, 3D 프린터의 사용중에 발생하는 유해가스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3D 프린터를 내장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챔버;
상기 3D 프린터를 탑재시키며, 상기 챔버의 내부의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한 1이상의 트레이;
상기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공기투입덕트로 주입하기 위한 에어펌프;
상기 공기투입덕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두께를 얇게하고 폭을 넓혀서 상기 챔버의 후방 전체면적에 걸쳐 확장시켜서 상기 챔버의 하단으로 보내는 형상을 가지는 공기공급로;
상기 챔버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상승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중에 함유된 유해가스의 입자를 포집하고, 정화된 공기를 다시 상기 에어펌프로 안내하는 메인필터;
상기 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박스; 및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3D 프린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상기 제어박스로 전달하는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지속적으로 진동이 감지되는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3D 프린터가 동작중으로 인식하여 계속하여 상기 에어펌프를 동작시키고, 상기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진동이 감지되지 않는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3D 프린터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에어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메인필터는 필터함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함을 개방하여 상기 메인필터를 교환한다.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의 감지량에 따라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량을 조절한다.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3D 프린터의 진동의 크기, 주기, 스타일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3D 프린터의 정상/비정상 상태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는 갇힌 공간에서 사용되는 3D 프린터에서 용융 수지가 토출되는 노즐 부근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가스를 흡수하여 제거함으로써, 유해가스로부터 발생되는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플라스틱 가공공장의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시에 노즐에서 수지가 용융되는 과정에서의 일반적인 가스의 발생비율을 각 구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해가스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유해가스 정화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유해가스 정화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3D 프린터의 상용 작동 중, 현재 사용하는 원재료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잔류 모노머 가스, 폴리머 분해 유해가스, 오존가스, 환경호르몬, 나노물질, 첨가제, 해리/붕괴 생성물 등 인체에 독성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 및 환경에 유해하며, 규제 또한 이루어지는 배출 가스 처리에 사용된다.
3D 프린터의 대부분의 원재료는 폴리머 또는 세라믹, 금속분, 각종 기능성 첨가제가 첨가된 폴리머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용융 온도(분해/해리/응집 상용 온도) 내에서 용출되거나 분해 또는 붕괴, 가스화되어 방출된다.
3D 프린터가 대형 화학공장과 그 생산 규모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하지만, 그 공정의 유사성과 폴리머 가스가 발생하는 제조상의 상용 온도 범위가 일치하고 공정이 일치하므로, 치명적인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더욱이 작은 실내 공간에서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3D 프린터의 단위시간당 원재료 소모에 대한 유해가스 발생량만으로도 충분히 위협적이며 위험하다.
부연하자면, 현재 3D 프린터의 프린팅 방식은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 DLP(disital light processing) 방식(DLP 프로젝트를 사용하는 방식), SLA(stereolithography apparatus) 방식,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의 네 가지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들 모두 열을 가하거나, 광경화를 유도하거나, 분말소결하여 진행되는 과정으로, 분해 메커니즘은 고분자의 분해, 붕괴, 경화, 해리, 용출,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을 통한 경화 등을 동반하며, 흔히 환경 규제 대상으로 여겨지는 소각과 분해 메커니즘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은 대부분 인체에 유해하며 또 환경에 유해하다. 본 발명은 거의 완벽하게, 또한 엄격한 배출가스 관련법에 부합하게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정화장치의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유해가스 정화장치는, 3D 프린터(100)를 내장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챔버(10)가 구비되고,이 챔버(10)이 내부의 공간에 3D 프린터(100)를 탑재시키며, 챔버(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한 2개의 트레이(20,22)가 설치된다. 트레이(20,22)는 챔버(10)의 외부로 너무 많이 돌출되면 중량체인 3D 프린터(100)의 하중에 의해 챔버(10)가 전도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트레이(20,22)가 챔버(10)로부터 적정 거리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스토핑장치를 설치한다.
챔버(10)에는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2)가 설치되고, 챔버(10)의 하부에는 바닥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4)를 설치한다.
그리고, 챔버(10)의 상부에는, 공기투입덕트(40)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펌프(30)가 설치된다.
챔버(10)의 내부에는, 공기투입덕트(40)로부터 유입되는 정화된 공기의 두께를 얇게하고 폭을 넓혀서 챔버(10)의 후방 전체면적에 걸쳐 확장시켜서 챔버(10)의 하단으로 안내하는 형상을 가지는 공기공급로(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챔버(10)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상승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 공기중에 함유된 유해가스의 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프리필터, 메인필터(60)가 설치된다.
메인필터(6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균 프리필터와 세라믹 카본필터와 첨착 활성탄 필터와 살균 헤파필터로 이루어진다. 항균 프리필터는 10um 이상의 먼지를 제거하고 곰팡이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세라믹 카본필터와 첨착 활성탄 필터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악취를 차례로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살균 헤파필터는 0.3um 미립자 이물질을 99.95%이상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메인필터(60)는 정화된 공기를 다시 에어펌프(30)로 보내서 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메인필터(60)는 필터함(62)내에 설치되고, 에어펌프(30)는 펌프함(32)내에 설치된다.
메인필터(60)는 챔버(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에어펌프(30)의 흡입력으로 공기흡입구를 통하여 챔버(10)내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메인필터(60)는 필터함(62)의 내부에 설치시킨다. 필터함(62)을 개방하여 메인필터(60)를 교환한다.
챔버(10)에는 에어펌프(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박스(70)가 구비된다.
제어박스(70)는 챔버(10)내의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고, 센서의 수치를 외부 LCD패널을 통해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센서의 수치에 따라 에어펌프(30)의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3D 유해가스 제거장치는, 트레이(20,22)에 올려진 3D 프린터(100)의 사용에 따라 챔버(10)내의 오염도가 증가하면, 제어박스(70)는 센서의 감지로부터 챔버(10)내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에어펌프(30)의 동작 속도를 변화시켜 공기를 공기투입덕트(40)로 공급한다.
공기공급덕트(40)로 공급된 공기는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공급로(50)를 따라 챔버(10)의 후방 전체면적으로 확산되면서 챔버(10)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공급된 공기는 챔버(10)의 하단으로터 확산되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 이유는 에어펌프(30)가 메인필터(60)를 통해서 챔버(10)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공기는 챔버(10)내의 3D 프린터(100)로부터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포함시켜서 메인필터(60)로 이동한다, 메인필터(60)는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의 입자를 포집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정화된 공기는 다시 에어펌프(30)를 통해 공기투입덕트(40)로 공급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 결과로 챔버(10) 내부에 설치된 3D 프린터(100)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는 지속적으로 메인필터(60)에 포집되고 공기는 정화된다.
한편, 트레이(20,22)에 설치되어 3D 프린터(10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박스(70)로 전달하는 진동감지센서(80)를 설치한다.
제어박스(70)는 진동감지센서(80)로부터 지속적으로 진동이 감지되는 정보가 전달되면 3D 프린터(100)가 동작중으로 인식하여 계속하여 에어펌프(30)를 동작시키고, 진동감지센서(80)로부터 진동이 감지되지 않는 정보가 전달되면 3D 프린터(100)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여 에어펌프(3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통상 3D 프린터(100)는 노즐을 통해 나온 필라멘트를 녹여 적층하는 방법으로 형상물을 제작하는데, 이때 노즐 세트와 히팅 베드가 X, Y, Z 축으로 이동하면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진동감지센서(80)를 챔버(10) 내부의 트레이(20,22) 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하여 3D 프린터(10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한다.
즉, 진동감지센서(80)에 진동이 감지되면 3D 프린터(100)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진동감지센서(80)에 진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3D 프린터(100)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에어펌프(30)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에어펌프(30)에 소모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박스(70)는 진동감지센서(80)로부터 전달되는 3D 프린터(100)의 진동의 크기, 주기, 스타일에 대한 정보로부터 3D 프린터(100)의 정상/비정상 상태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3D 프린터(30) 동작 정지시, 에어펌프(30)의 동작도 정시키키면,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필터 교체 주기를 연장시켜 소비자가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챔버
12: 도어
14: 바퀴
20, 22: 트레이
30: 에어펌프
40: 공기투입덕트
50: 공기공급로
60: 메인필터
62: 공기흡입구
70: 제어박스
80: 진동감지센서

Claims (4)

  1. 3D 프린터를 내장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챔버;
    상기 3D 프린터를 탑재시키며, 상기 챔버의 내부의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하고, 상기 챔버로부터 적정 거리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스토핑장치를 설치한 1이상의 트레이;
    상기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공기투입덕트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펌프;
    상기 공기투입덕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두께를 얇게하고 폭을 넓게하여 상기 챔버의 후방 전체면적에 걸쳐 확장시켜서 상기 챔버의 하단으로 안내하는 형상을 가지는 공기공급로;
    상기 챔버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상승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3D 프린터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공기중에 함유된 유해가스의 입자를 포집하고, 정화된 공기를 다시 상기 에어펌프로 보내는 메인필터;
    상기 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박스; 및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3D 프린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상기 제어박스로 전달하는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지속적으로 진동이 감지되는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3D 프린터가 동작중으로 인식하여 계속하여 상기 에어펌프를 동작시키고, 상기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진동이 감지되지 않는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3D 프린터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에어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필터는 필터함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함을 개방하여 상기 메인필터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의 감지량에 따라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3D 프린터의 진동의 크기, 주기, 스타일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3D 프린터의 정상/비정상 상태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KR1020220059024A 2022-01-11 2022-05-13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KR102445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04011 2022-01-11
KR1020220004011 2022-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860B1 true KR102445860B1 (ko) 2022-09-22

Family

ID=8344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024A KR102445860B1 (ko) 2022-01-11 2022-05-13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8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87598A (zh) * 2023-05-12 2023-08-15 纵横增材智能科技(珠海)有限公司 一种具有下沉式打印功能的dlp打印机
KR102656993B1 (ko) 2023-01-30 2024-04-15 주식회사 쓰리디프라임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015A (ko) * 1994-06-23 1996-01-26 이택현 자동차용 전원 과방전 방지장치
JP2015221088A (ja) * 2014-05-22 2015-12-10 河淳株式会社 引き出しトレイ、引き出しトレイ支持部材及び引き出しトレイ収納庫
KR102100061B1 (ko) * 2018-11-30 2020-04-10 김정기 교체형 필터수단을 갖는 조립식 다중 3d 프린팅 장비
KR20200060913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큐비콘 유해물질 측정 및 저감 기능이 구비된 3d 프린터용 부스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015A (ko) * 1994-06-23 1996-01-26 이택현 자동차용 전원 과방전 방지장치
JP2015221088A (ja) * 2014-05-22 2015-12-10 河淳株式会社 引き出しトレイ、引き出しトレイ支持部材及び引き出しトレイ収納庫
KR20200060913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큐비콘 유해물질 측정 및 저감 기능이 구비된 3d 프린터용 부스구조
KR102100061B1 (ko) * 2018-11-30 2020-04-10 김정기 교체형 필터수단을 갖는 조립식 다중 3d 프린팅 장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993B1 (ko) 2023-01-30 2024-04-15 주식회사 쓰리디프라임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
CN116587598A (zh) * 2023-05-12 2023-08-15 纵横增材智能科技(珠海)有限公司 一种具有下沉式打印功能的dlp打印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5860B1 (ko)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KR102022244B1 (ko)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제거 장치
KR101450699B1 (ko) 하수처리장 슬러지의 악취제거시스템
CA2668902C (en) Method for the pretreatment, reprocessing or recycling of thermoplastic material
JP6712277B2 (ja) 混合固形廃棄物からの固体燃料組成物の製造方法
EP0487750B1 (en) Method for making aggregate for construction material from infectious medical wastes
CN1822862A (zh) 测定杀菌剂浓度的系统和方法
ATE494119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kunststoffmaterial
KR101548097B1 (ko) 폐합성수지 재생을 위한 압출기용 불순물 제거장치
ATE508146T1 (de) Polyvinylidenfluoridharzpulver zur schmelzeformgeb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körpers aus dem harzpulver
KR102061003B1 (ko) 미세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20240038269A (ko) 박스형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정화기
CN1214908C (zh) 注射模塑成形系统、颗粒供给单元及注射模塑成形方法
KR20100067455A (ko) 분해법과 활성탄 흡착법을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기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KR20150042902A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WO20091244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polluted gases
ATE372864T1 (de) Spritzgiessmaschine und spritzgiessverfahren zur herstellung geschäumter formteile
JP5048638B2 (ja) 圧縮押出成形装置
KR20170064845A (ko) 3d 프린터 입체 제작물 초음파 저온 표면 처리기
KR101912752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포함한 가스처리 시스템
JP2002035518A (ja) 耐熱性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5705110A (en) Process for reducing cross link vapors from rotomolded products made of cross link polyethlylene
KR102544717B1 (ko) 습식 스크러빙성의 높은 고무 그래프트 abs 미립자 배출 증기
PL1563891T3 (pl) Filtr do oczyszczania powietrza wytwarzanego podczas biologicznych procesów rozkładu
SE9803646D0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extruderbara formstycken av förnätningsbara polymer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