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993B1 -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 - Google Patents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993B1
KR102656993B1 KR1020230058058A KR20230058058A KR102656993B1 KR 102656993 B1 KR102656993 B1 KR 102656993B1 KR 1020230058058 A KR1020230058058 A KR 1020230058058A KR 20230058058 A KR20230058058 A KR 20230058058A KR 102656993 B1 KR102656993 B1 KR 102656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fine dust
nozzle
printer nozzl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8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디프라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디프라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디프라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프린터 작동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흡수하고 정화필터를 이용하여 정화하도록 구성된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D 프린터 노즐에서 고온의 성형 재료를 배출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노즐을 향해 개구된 흡입구, 상기 흡입구에 흡인력을 제공하도록 구동하는 배기팬, 상기 흡인력 제공 경로 상에 배치된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Structure of purific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around 3D printer nozzle}
본 발명은 3D 프린터 작동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흡수하고 정화필터를 이용하여 정화하도록 구성된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3D 프린터는 연계된 컴퓨터 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3D(Dimension) 즉, 입체화 된 결과물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3D 프린터 보급 초기에는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이용하였으나, 기술력의 발달로 종이, 고무, 콘크리트, 금속 등 재료의 범위가 확장되어 단순 조형물 출력에 그치지 않고, 건축·건설 분야까지 그 적용 범위가 확장되었다.
3D 프린터는 물품을 구매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물을 곧바로 시제품으로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비용, 작업 난이도 등의 문제로 실생활에 보급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3D 작업시 주재료를 용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는 인체에 치명적인 위험을 끼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D 프린터 사용 안전수칙으로 3D 프린터 사용 전·후로 창문을 통해 반드시 1시간 이상 환기하고, 3D 프린터 출력을 위한 작업실, 안전부스 또는 국소배기장치를 구비하며, 호흡기를 3D 프린터 노즐에 가까이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미 국내에서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던 교사 7명은 희귀암이 발병하였고, 환기 공간이 충분치 못한 곳에서 작업을 하던 연구원이 가스에 중독된 경우도 있으며, 작업 공간에 분포되어 있던 인화성 물질이 폭발 사고를 야기한 경우도 있다.
위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3D 프린터는 필라멘트를 토출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특허로는 등록특허 10-2445860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등록특허 10-2022244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제거 장치" 가 있다. 위 특허들은 3D 프린터 외부에 챔버를 설치하여 밀폐 방식으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확산을 막고, 챔버에 정화장치를 설치하여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다.
[도 7]은 개방형 3D 프린터 히팅블럭 및 노즐에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발생하여 확산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위 특허들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3D 프린터를 챔버 내부에 설치하여 이때 배출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챔버 내부에 가두고 별도의 정화 처리를 거친다. 다만, 챔버 내에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를 가두어 둔 후 따로 정화 처리를 하는 것은 공간 사용 면에서 효율적이지 않으며 개방형 3D 프린터에서 발생하는 상기 챔버형 3D 프린터가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에 대한 해결방안이 되지 못한다.
또한, 등록특허 10-1594834 "3D 프린터의 노즐 구조" 는 노즐을 감싸는 하우징을 구성하고, 그 하우징 상부에 팬과 필터를 순차 배치시킨 3D 프린터의 노즐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 적용을 위해서는 종래의 노즐을 전부 교체해야 하고, 노즐 하부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를 하우징 상부에서 팬을 구동시키는 것으로 적절히 흡입하여 필터로 보낼 수 있는지 의문이다.
따라서, 3D 프린터 작동 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정화하기 위하여 챔버 전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공간 사용 면에서 더 효율적이고, 별도의 노즐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3D 프린터 노즐 주변에 설치하도록 구성된 유해물질 정화 구조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1. 등록특허 10-2445860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2. 등록특허 10-2022244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제거 장치" 3. 등록특허 10-1594834 "3D 프린터의 노즐 구조"
본 발명은 3D 프린터 작동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흡수하고 정화필터를 이용하여 정화하며, 배기팬을 구비하여 공기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작업공간 전체로 퍼지지 않고 흡입구로 흡입되도록 구성된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3D 프린터 노즐에서 고온의 성형 재료를 배출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노즐을 향해 개구된 흡입구, 상기 흡입구에 흡인력을 제공하도록 구동하는 배기팬, 상기 흡인력 제공 경로 상에 배치된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는 미세먼지 정화필터와 유해가스 정화필터가 분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는, 일측은 3D 프린터 노즐을 측방에서 감싸는 형태로 개구되고, 타측은 상기 흡인력 제공 경로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로부터 연통되어, 상기 흡인력 제공 경로를 연장하는 배기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관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관은 주름관(flexible duct)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 및 상기 흡입구 맞은편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의 가동으로 생성된 기류를 상기 흡입구 방향으로 유도 배출시키는 토출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가 있다.
1. 3D 프린터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발생지점 부근에서 즉시 흡입하여 정화함으로써,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로 인한 오염이 넓은 작업공간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2. 기존 3D 프린터를 사용중일 경우, 별도의 노즐 교체·변경 없이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를 추가 장착하여 유해물질 정화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3. 미세먼지 정화 필터 및 유해가스 정화 필터를 각각 구비하여 오염농도에 따라 교체하기에 용이하다.
4. 3D 프린터 노즐 주변에 송풍팬과 토출구를 구비하여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흐름을 흡입부로 유도하며, 토출된 필라멘트를 냉각시킬 수 있다.
5. 3D 프린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흡입구로 바로 흡입하기 때문에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챔버를 반드시 구비할 필요없이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정화할 수 있다.
6. 대형 3D 프린터일 경우, 주름관으로 형성된 배기관을 구비하여 배기관의 파손과 노화에 따라 교체가 용이하고, 설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삭제
[도 1]은 3D 프린터에 적용한 본 발명의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것이다.
[도 2]는 3D 프린터에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의 탈착 가능한 배기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의 탈착 가능한 배기관을 적용하고, 필터 및 배기팬을 분해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3D 프린터의 작동 높이에 따른 주름관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3D 프린터에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챔버형 정화구조를 적용한 3D 프린터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3D 프린터 노즐(N)에서 고온의 성형 재료를 배출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노즐(N)을 향해 개구된 흡입구(10), 상기 흡입구(10)에 흡인력을 제공하도록 구동하는 배기팬(20), 상기 흡인력 제공 경로 상에 배치된 필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 상호 관계 및 작용ㆍ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가 3D프린터에 결합된 일실시예이며,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흡입구(10)는 상기 노즐(N) 방향으로 개구되고, 노즐(N)과 그 주변에 생성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모두 흡입하도록 구성되었다. 3D 프린터는 히팅블럭으로부터 가열된 필라멘트를 배출하며 적층하는 동시에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함께 배출한다. 상기 흡입구(10)는 이러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곧바로 흡입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작업공간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성과 작업 공간의 청정도를 높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10)가 상기 노즐(N)에서 매출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확산을 방지하므로, 넓은 공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3D 프린터 챔버를 필수적으로 구비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상기 배기팬(20)은 상기 흡입구(10)에 흡인력을 제공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배기팬(20)의 작동으로, 상기 흡입구(10)로 흡입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는 흡입구(10) 내부로 빨려들어가듯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팬(20)의 작동으로 상기 흡입구(10)로 흡입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내부로 이동하므로, 이동 구간은 흡인력 제공 경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우 팬, 환기형 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30)는 상기 배기팬(20)이 작동하는 구간, 즉 상기 흡인력 제공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30)는 상기 흡입구(10)로 유입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상기 필터(3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도록 폴리에틸렌 수지 섬유, 폴리프로필렌 수지 섬유 등으로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필터를 사용하거나 전기집진방식의 정전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0)로 유입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는 확산을 통해 흡입구(10)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흡인력 제공 경로 상에 배치된 필터(30)를 지나며 정화 과정을 거치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잔류를 방지하고 효과적인 정화 과정을 위하여 상기 배기팬(20)으로 흡인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존 3D 프린터를 사용중일 경우, 별도의 노즐 교체·변경 없이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를 추가 장착하여 유해물질 및 미세먼지를 정화 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 10-1594834 "3D 프린터의 노즐 구조" 를 참조하면, 해당 특허는 3D 프린터의 노즐 주위에 팬 및 필터를 포함하는 여과장치를 설치하여 미세먼지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해당 특허는 노즐로부터 입체물의 제작을 위한 재료가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노즐을 감싸는 하우징 내부로 유도하여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필터를 통하여 여과되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3D 프린터의 유해물질을 정화하는 구조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전체 구성의 변경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는 노즐(N)을 포함한 3D 프린터의 교체·변경 없이 본 발명의 흡입구(10), 배기팬(20) 및 필터(30)를 기존의 3D 프린터에 추가 설치함으로써 3D 프린터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 및 미세먼지를 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구(10)가 노즐(N) 방향으로 개구되고, 배기팬(20)이 흡입구(10)에 흡입력을 제공하며, 흡입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이동경로에 필터(30)가 배치된다면, 기존 3D 프린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를 추가 설치하는 것만으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정화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설치비용을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는 탈착이 가능하므로, 제작 조건에 따라 3D 프린터에 적용 또는 제거하여 사용성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30)는 미세먼지 정화필터(31)와 유해가스 정화필터(32)가 분리 배치될 수 있다.
노즐(N)을 향해 개구된 상기 흡입구(10)로 미세먼지와 유해가스가 진입하면,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는 상기 흡인력 제공 경로 상에 배치된 필터(30)를 지나며 정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필터(30)를 배치하거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효과적인 정화를 위하여 각각 특화된 필터(30)를 구비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30)는 미세먼지 정화필터(31)와 유해가스 정화필터(32)로 분리하여 분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정화필터(31)는 극도로 미세한 입자를 거르도록 구성되어 공기 중 0.3㎛ 크기 입자를 99.97% 이상 거르는 헤파필터(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를 적용하거나, 그 이상의 울파필터(ULPA; Ultra Low Penetration Air Filter)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해가스 정화필터(32)는 유해입자를 흡착하는 활성탄을 사용한 정화 장치를 사용하거나, 그 이상의 정화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구(10)는 일측은 횡방향의 슬릿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흡인력 제공 경로 방향으로 개방되며, 횡방향의 슬릿 상부로 3D 프린터 노즐(N)을 감싸는 형태의 차단벽(11)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0)의 일측은 횡방향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노즐(N) 주위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는 상기 흡입구(10)로 안정적으로 흡입될 수 있다. 특히,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은, 흡입구(10)에 흡인력을 제공하도록 구동하는 배기팬(20)의 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 배기팬(20)이 작동하며 흡입구(10)로부터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흡인력 제공 경로로 끌어들일 때, 넓은 입구와 비교하여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는 슬릿의 좁은 틈으로 결집하여 더욱 강하게 흡입될 수 있다.
또한, 타측은 상기 흡입력 제공 경로 방향으로 개방되어 배기팬(20)의 영향으로 흡입구(10)로 흡입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내부로 끌어들임으로써,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는 흡인력 제공 경로 방향을 통하여 필터(30)로의 진행이 용이하다.
상기 차단벽(11)은 횡방향의 슬릿 상부로 3D 프린터 노즐(N)을 감싸는 형태의 차단벽(11)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벽(11)이 3D 프린터 노즐(N)을 감싸는 형태로 인하여 흡입구(10)로 흡수되지 못한 비산먼지가 외부로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벽(11)은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벽(11)은 곡면 효과로 형성되어 흡입구(10)로 흡입되지 못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외부로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며, 곡면으로 인한 공기의 순환효과를 유도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노즐(N) 주변에서 배출되고, 흡입구(10)로 흡입되지 못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는 곡면으로 형성된 차단벽(11)을 따라 한 바퀴 순환하며 다시 흡입구(10)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10)로부터 연통되어, 상기 흡인력 제공 경로를 연장하는 배기관(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0)의 상기 흡인력 제공 방향으로 개방된 일측에 배기관(40)을 연통하여 상기 흡인력 제공 경로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관(40)을 구비함으로써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수용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관(40)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관(40)은 상기 흡입구(10)의 흡인력 제공 경로 방향으로 개방된 측에 구비될 수 있다. 탈착 가능한 배기관(40)을 구비함으로써, 배기관(40)의 파손과 노화에 따라 교체가 용이할 것이며, 작업 공간의 조건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배기관(40)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관(40)은 상기 흡입구(10)의 흡인력 제공 경로의 개방된 측에 구비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0)가 기존 3D 프린터 구성의 교체·변경 없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배기관(40) 또한 상기 흡입구(10)가 설치된다면 기존 3D 프린터 구성을 교체하거나 변경하지 않고 탈착가능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관(40)은 주름관(flexible duct)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관(40)은 주름관 형태로 구성되어 3D 프린터가 작동할 경우에 보다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다. 3D 프린터로 높이가 상당한 작업물을 작업하는 경우나, 대형 3D 프린터에 적용하기에 용이하다. 상기 배기관(40)은 3D 프린터 헤드가 움직이는데 큰 저항을 주지 않는 가벼운 것으로 사용하며, 3D 프린터 출력 과정에 피해를 주지 않는 부드러운 주름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내지 [도 5b]는 3D 프린터에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 노즐(N)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에서 배기관(40)을 주름관으로 적용한 일시예이다.
[도 5a]는 3D 프린터가 필라멘트를 용융하여 쌓는 작업물의 시작부분이다. 작업물의 작업 위치에 따라 3D 프린터도 작업공간의 하단부에 위치하면서 흡입구(10)와 연결된 주름관 형태로 구성된 배기관(40)이 연결되어 있다.
[도 5b]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작업물의 마무리 부분 작업을 도시한 것으로, 작업물의 작업 위치에 따라 3D 프린터도 작업공간의 중상단부에 위치하면서, 주름관 형태의 배기관(40)이 압축된다.
따라서, 대형 3D 프린터를 이용하거나 3D 프린터가 대형 작업물을 작업하여 3D 프린터의 작업 높낮이가 크게 변화하는 경우,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주름관으로 구성된 배기관(40)의 주름이 넓어지거나 좁혀지면서 상기 흡입구(10)로 흡입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배기관(40), 즉 연장된 흡인력 제공 경로를 통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는 상기 필터(30)를 거쳐 정화될 수 있다.
또한, 주름관 형태의 배기관(40)을 구비하여 3D 프린터 상단 또는 프린팅에 방해가 되지 않는 부분에 필터(30)와 배기팬(20)을 배치함으로써 노즐(N)의 가중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송풍팬(50) 및 상기 흡입구(10) 맞은편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50)의 가동으로 생성된 기류를 상기 흡입구(10) 방향으로 유도 배출시키는 토출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50)은 3D 프린터에 부착될 수 있으며, 특히 히팅블럭 주변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50)은 히팅블럭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토출구(60)로 공기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60)는 3D 프린터에 부착되며, 상기 송풍팬(50)으로부터 제공된 공기를 상기 노즐(N)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60)는 노즐(N)로 향하는 방면으로 수렴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노즐(N)에 집중적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60)는 노즐(N)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구(10)와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N)은 가열된 필라멘트를 토출함과 동시에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방출한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60)는 가열된 필라멘트를 냉각시키고, 동시에 방출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상기 흡입구(10)로 흡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2]의 화살표는 토출구(60), 노즐(N) 및 흡입구(10)에 작용하는 공기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노즐(N)이 가열된 필라멘트를 배출할 경우, 상기 토출구(60)에서 토출된 공기는 노즐(N)에서 배출된 필라멘트를 냉각시키며 형태를 고정하고, 방출된 주변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상기 흡입구(10) 쪽으로 강력하게 유도하는 기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도 7]은 종래 챔버한 3D 프린터의 일 실시예로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챔버 내 넓은 공간으로 확산되고, 또한 유출의 위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흡입구(10)로 흡입된 후 배기관(40)을 통하여 필터(30)를 거쳐 정화된 후 배출 되므로, 넓은 공간에 유출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 흡입구
11 : 차단벽
20 : 배기팬
30 : 필터
31 : 미세먼지 정화필터
32 : 유해가스 정화필터
40 : 배기관
50 : 송풍팬
60 : 토출구
N : 노즐

Claims (8)

  1. 챔버를 구비하지 않고, 3D 프린터 노즐(N)에서 고온의 성형 재료를 배출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3D 프린터 노즐(N)을 향해 개구된 흡입구(10);
    상기 흡입구(10)에 흡인력을 제공하도록 구동하는 배기팬(20);
    상기 흡인력 제공 경로 상에 배치된 필터(30);
    송풍팬(50); 및
    상기 흡입구(10) 맞은편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50)의 가동으로 생성된 기류를 상기 흡입구(10) 방향으로 유도 배출시키는 토출구(6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10)는,
    일측은 횡방향의 슬릿으로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흡인력 제공 경로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흡입구(10) 상부로 상기 3D 프린터 노즐(N)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확산을 차단하는 차단벽(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필터(30)는 미세먼지 정화필터(31)와 유해가스 정화필터(32)가 분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차단벽(11)은 상기 3D 프린터 노즐(N)을 감싸는 곡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
  5. 제1항에서,
    상기 흡입구(10)로부터 연통되어, 상기 흡인력 제공 경로를 연장하는 배기관(4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
  6. 제5항에서,
    상기 배기관(40)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
  7. 제6항에서,
    상기 배기관(40)은 주름관(flexible duct)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
  8. 삭제
KR1020230058058A 2023-01-30 2023-05-04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 KR102656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730 2023-01-30
KR20230011730 2023-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993B1 true KR102656993B1 (ko) 2024-04-15

Family

ID=9071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058A KR102656993B1 (ko) 2023-01-30 2023-05-04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9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834B1 (ko) 2014-04-08 2016-02-17 키오스크코리아(주) 3d 프린터의 노즐 구조
KR20190067403A (ko) * 2017-12-07 2019-06-1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팅 시스템
KR102022244B1 (ko) 2018-01-31 2019-09-18 (주)케이제이나노텍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제거 장치
KR20220034985A (ko) * 2020-09-11 2022-03-21 백흥기 유해물질 배출장치 및 원격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3d 프린터 스테이션
KR102445860B1 (ko) 2022-01-11 2022-09-22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834B1 (ko) 2014-04-08 2016-02-17 키오스크코리아(주) 3d 프린터의 노즐 구조
KR20190067403A (ko) * 2017-12-07 2019-06-1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팅 시스템
KR102022244B1 (ko) 2018-01-31 2019-09-18 (주)케이제이나노텍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제거 장치
KR20220034985A (ko) * 2020-09-11 2022-03-21 백흥기 유해물질 배출장치 및 원격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3d 프린터 스테이션
KR102445860B1 (ko) 2022-01-11 2022-09-22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3d 프린터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4328B2 (en) Filter unit
KR101741627B1 (ko) 실험실 흄후드
US20140235153A1 (en) Air contaminant system with laminar flow
CA1251683A (en) Filtering apparatus for high speed printers
US5665128A (en) Clean air cabinet with valved exhaust
KR102012962B1 (ko) 흄후드
JP2022538105A (ja) 統合型生物学的封じ込めセルソーター
KR101043781B1 (ko) 실험대 어셈블리
KR102656993B1 (ko) 3d 프린터 노즐 주변 유해물질 정화 구조
JP4255689B2 (ja) 安全キャビネット
US3841828A (en)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US20140260130A1 (en) Ductless laboratory hood apparatus
CN203816644U (zh) 生物安全柜
TWI609156B (zh) 清淨空氣吹出裝置
KR20110059225A (ko) 공기 정화기
KR102309280B1 (ko) 자가발광 광촉매 혼성소재를 활용한 대형 공기청정기
KR101765226B1 (ko) 실내 유입공기 정화장치
KR101437360B1 (ko) 생물안전작업대
JP4186395B2 (ja) 空気清浄器
JPS57139233A (en) Moving operation chamber with carbon monoxide removing device
KR102657158B1 (ko) 공기 청정기
KR20200131783A (ko) 3d 프린터
CN117769462A (zh) 安全作业装置
CN108773075A (zh) 具有废气异味排出系统的3d打印机
JPH04340042A (ja) 作業台の雰囲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