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319B1 - Cctv용 진동저감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지주구조물 - Google Patents

Cctv용 진동저감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지주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319B1
KR102445319B1 KR1020220054362A KR20220054362A KR102445319B1 KR 102445319 B1 KR102445319 B1 KR 102445319B1 KR 1020220054362 A KR1020220054362 A KR 1020220054362A KR 20220054362 A KR20220054362 A KR 20220054362A KR 102445319 B1 KR102445319 B1 KR 102445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ase
cctv
elastic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명섭
Original Assignee
(주)대산시큐리티
소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산시큐리티, 소명섭 filed Critical (주)대산시큐리티
Priority to KR1020220054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저감형 지주구조물 및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싱과 가로대의 외주면과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탄성진동저감부재가 가로대의 진동을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저감시키고, 가로대의 말단에 끼워진 마찰케이스 및 마찰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질량체로 구성된 회전진동저감부재가 탄성진동저감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저감된 가로대의 잔여 진동을 질량체의 회전관성 운동에 의한 마찰에너지로 변환하여 빠르게 2차적으로 저감시킴으로써 CCTV가 보다 안정적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진동 저감형 지주구조물 및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CCTV용 진동저감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지주구조물{VIBRATION DECREASING DEVICE FOR CCTV AND UTILITY POLE STURCTUR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CCTV용 진동저감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지주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구조물에 설치된 CCTV가 차량의 주행이나 바람에 의해 진동하는 것을 빠르게 안정화 시킬수 있는 진동저감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지주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는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화상을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서, 흔히 ‘폐쇄 회로 텔레비전’이라고도 하며, 특정 건축물이나 시설물에서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유선 또는 특수 무선 전송로를 이용해 화상을 전송하기 때문에 산업용, 교통관제용 감시,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 정보 전달용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교통관제나 범죄 예방을 위하여 주요 도로에 많은 수의 CCTV가 설치되어 범죄 예방 및 억제 효과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도로에 설치되는 CCTV는 안정적인 화각 확보를 위하여 지면에서 3 내지 5m의 높이로 설치되며, 이를 위해 지주를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인 지주는 가로등용 지주와 같이 단일체의 긴 관체로 되어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상단부에서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가로대가 돌출 형성되어 그 가로대에 CCTV를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도로에 설치되는 CCTV의 경우, 그 설치 위치가 높아 약한 바람에도 크게 진동하게 되고, 이에 더해 지주 주위를 지나가는 차량의 이동이 많아 이로 인한 지속적인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주변 환경에 의한 진동은 CCTV의 내구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CCTV가 지속적으로 진동에 노출되는 경우 촬영 영상 품질이 저하되게 되는데, 이는 단순히 화질 저하 뿐 아니라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분석을 수행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지주에 설치된 CCTV의 진동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지주 및 CCTV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러한 지주 및 CCTV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종래기술의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63130호 “CCTV 설치 구조”가 있다. 특허 제10-2163130호에 의하면 CCTV 설치 구조에 있어서, 지주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완충지지대 및 CCTV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지지대를 이용하여 CCTV에 가해지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제10-2163130호의 CCTV 설치 구조에 의하면 CCTV 내부에 설치된 탄성지지대를 이용하여 CCTV의 진동을 저감하는 효과가 크지 않고, CCTV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지지대 및 지주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완충지지대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더해, 탄성지지대가 CCTV 내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완충지지대 또한 지주의 하단부에서 상단부와 결합하여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존에 이미 설치 또는 제작된 CCTV 및 지주에는 적용이 불가한 단점이 있다.
바람, 차량의 주행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으로 인해 지주의 설치된 CCTV가 진동하는 것을 빠르게 저감시킬 수 있는 CCTV용 진동저감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지주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에 더해, 종래에 설치된 CCTV 및 지주를 교체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면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인 CCTV용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CCTV용 진동저감장치는 CCTV 설치용 지주의 가로대에 설치되어 CCTV의 진동을 저감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빈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CCTV가 고정되며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가로대통과홀로 상기 가로대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가로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에 의해 둘러쌓인 상기 가로대의 외주면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탄성진동저감부재; 및 중공형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공부가 상기 가로대에 끼워지는 마찰케이스 및 상기 중공형원통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찰케이스의 진동에 의해 회전하는 질량체를 포함하는 회전진동저감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진동저감부재는 상기 케이싱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로대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CCTV의 진동을 1차적으로 저감시키고, 상기 회전진동저감부재는 상기 질량체의 회전관성 운동에 의한 마찰케이스와의 마찰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진동저감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저감된 CCTV 진동을 2차적으로 저감시킨다.
상기 질량체는 강구로 형성되고, 상기 질량체는 상기 마찰케이스의 측면에 접한 상태로 상기 마찰케이스의 진동에 따라 관성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마찰케이스와 마찰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탄성진동저감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저감된 CCTV 진동을 2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가로대통과홀의 크기는 상기 가로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진동하는 가로대가 상기 케이싱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내부가 비어있고 하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케이스; 내부가 비어있고 상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케이스는 상기 가로대의 상측에서, 상기 하단케이스는 상기 가로대의 하측에서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사각 박스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상단케이스의 상면, 상기 하단케이스의 하면, 상기 상단케이스 및 상기 하단케이스의 좌측면 및 상기 상단케이스 및 상기 하단케이스의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가 결합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한 진동 저감시 상기 가로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는 상단탄성부재 및 하단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케이스의 내부공간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단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케이스의 내부공간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케이스의 하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하단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상단돌출부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가로대의 외주면 상측에 접하고, 상기 하단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단돌출부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가로대의 외주면 하측에 접함으로써 상기 상단탄성부재 및 상기 하단탄성부재가 상기 가로대의 상하방향의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상단케이스 및 상기 하단케이스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상기 상단돌출부 및 상기 하단돌출부는 상기 상단케이스의 높이보다는 짧고, 상기 상단케이스의 높이에서 상기 가로대의 외경을 반으로 나눈 길이를 뺀 길이보다는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상단돌출부 및 상기 하단돌출부 각각의 일단은 상기 가로대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로대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가로대의 진동에도 상기 상단탄성부재가 상기 상단돌출부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상기 하단탄성부재가 상기 하단돌출부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는 좌측탄성부재 및 우측탄성부재를 포함하고, 단면이 반원으로 형성되는 반원기둥 형상의 좌상단수평돌출부 및 우상단수평돌출부가 각각 상기 상단케이스의 좌측면 하단 및 우측면 하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반원기둥 형상의 좌하단수평돌출부 및 우하단수평돌출부가 각각 상기 하단케이스의 좌측면 상단 및 우측면 상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좌상단수평돌출부와 상기 좌하단수평돌출부, 그리고 상기 우상단수평돌출부와 상기 우하단수평돌출부는 서로 맞닿아 하나의 원기둥을 형성하고, 상기 좌측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좌상단수평돌출부와 상기 좌하단수평돌출부가 형성한 원기둥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가로대의 외주면 좌측에 접하고, 상기 우측탄성부재는 일단은 상기 우상단수평돌출부와 상기 우하단수평돌출부가 형성한 원기둥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가로대의 외주면 우측에 접함으로써 상기 좌측탄성부재 및 상기 우측탄성부재가 상기 가로대의 좌우방향의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상단돌출부 및 상기 하단돌출부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상단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관 형상의 상단카메라고정부가, 그리고 상기 하단케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하단케이스의 하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관 형상의 하단카메라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돌출부의 내부와 상기 상단카메라고정부의 내부 그리고 상기 하단돌출부의 내부와 상기 하단카메라고정부의 내부는 각각 서로 연통됨으로써 상기 상단카메라고정부 및 상기 하단카메라고정부 각각으로부터 상기 가로대 내부로 케이블의 인입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CCTV용 진동저감장치가 설치된 지주구조물은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지주본체;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지주본체의 상단에 결합하며, CCTV가 설치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대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상기 CCTV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저감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진동저감장치는 내부가 빈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CCTV가 고정되며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가로대통과홀로 상기 가로대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가로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에 의해 둘러쌓인 상기 가로대의 외주면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탄성진동저감부재; 및 중공형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공부가 상기 가로대에 끼워지는 마찰케이스 및 상기 중공형원통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찰케이스의 진동에 의해 회전하는 질량체를 포함하는 회전진동저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진동저감부재는 상기 케이싱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로대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CCTV의 진동을 1차적으로 저감시키고, 상기 회전진동저감부재는 상기 질량체의 회전관성 운동에 의한 마찰케이스와의 마찰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진동저감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저감된 CCTV 진동을 2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가로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싱과 가로대의 외주면과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탄성진동저감부재가 가로대의 진동을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저감시키고, 가로대의 말단에 끼워진 마찰케이스 및 마찰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질량체로 구성된 회전진동저감부재가 탄성진동저감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저감된 가로대의 잔여 진동을 질량체의 회전관성 운동에 의한 마찰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빠르게 저감시킴으로써 CCTV가 보다 안정적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탄성진동저감부재 및 회전진동저감부재가 각각 가로대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이미 설치되어 사용중인 지주 및 CCTV에 별도의 시공을 하지 않고도 바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시간, 비용 및 인력의 낭비를 억제하여 경제적이고, 불필요한 쓰레기를 만들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용 진동저감장치가 설치된 지주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CTV용 진동저감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용 진동저감장치의 탄성진동저감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진동저감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CCTV용 진동저감장치의 탄성진동저감부재가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용 진동저감장치의 탄성진동저감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탄성진동저감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용 진동저감장치의 회전진동저감부재가 설치된 모습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회전진동저감부재의 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CCTV용 진동저감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지주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간략하게 CCTV용 진동저감장치는 ‘진동저감장치’로, CCTV용 진동저감장치가 설치된 지주구조물은 ‘진동 저감형 지주구조물’로 호칭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형 지주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형 지주구조물(100)은 대표적으로 지주본체(10), 가로대(20) 및 진동저감장치(110)로 구성된다. 진동 저감형 지주구조물은 이 외에 지주본체(10)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성, 가로대(20)를 지주본체(10)와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성 등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주본체(10)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로변 또는 도로의 중앙이나 일측에 직립하여 설치된다, 지주본체(1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진동 저감형 지주구조물에 설치된 CCTV(30) 및 기타 도로시설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다.
가로대(2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로대(20)의 일단은 지주본체(10)의 상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지주본체(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로대(20)에는 CCTV(30), 신호등(미도시), 도로 표지판(미도시) 등 다양한 도로시설물이 설치될 수 있다. 가로대(20)는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필요에 따라 지면에 대해 약간 상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진동저감장치(110)는 가로대(20)에 설치되고, 가로대(20)에 설치된 CCTV(30)에 발생한 진동을 빠르게 저감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진동저감장치(110)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인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진동저감장치(110)는 탄성진동저감부재(210) 및 회전진동저감부재(220)로 구성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탄성진동저감부재(210)의 상단에 네방향 카메라(31)가, 탄성진동저감부재(210)의 하단에 스피드돔 카메라(32)가 CCTV(30)로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한 예시일 뿐이고 CCTV(30)가 설치되는 장소, 설치 목적 및 설치 환경에 따라서 다른 종류의 CCTV(30)가 설치될 수 있음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110)에 대해 도시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11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탄성진동저감부재(210)는 가로대(20)에 설치되고 CCTV(30)와 결합함으로써 CCTV(30)를 가로대(20)에 설치하는 한편,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로대(20)의 진동을 완충함으로써 가로대(20)에 설치된 CCTV(30)에 전해지지 않도록 가로대(20)의 진동을 저감시킨다. 탄성진동저감부재(210)는 가로대(20)의 최초진동, 즉 상대적으로 큰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감시킨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진동저감부재(210)는 케이싱(310) 및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30)로 구성된다.
케이싱(310)은 내부가 빈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네 개의 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 각각에는 가로대(20)가 통과할 수 있는 가로대통과홀(320)이 형성된다. 가로대통과홀(320)의 크기는 가로대(20)가 통과하는 것은 물론, 진동 발생 시 가로대(20)가 케이싱(310)과 접촉하지 않고 가로대통과홀(320) 내에서만 진동할 수 있도록 충분히 넓게 형성되어야 한다. 예컨대, 가로대통과홀(320)은 가로대(20)의 외경보다 약 2cm 내지 4cm 크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가로대통과홀(320)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대통과홀(320)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축 및 세로축에 대해 대칭인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가로대통과홀(320)을 통해 가로대(20)는 케이싱(310)을 관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싱(310)은 가로대(2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설치된다. 케이싱(310)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CCTV(30)가 설치된다.
케이싱(310)의 상하면, 또는 좌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각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30)의 각각이 끼워지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40)가 형성된다. 돌출부(340)는 탄성부재(330)의 내부에 끼워져 탄성부재(330)가 이탈하지 않고 가로대(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30) 각각은 탄성진동저감부재(210)의 케이싱(310)에 의해 둘러쌓인 가로대(20)의 외주면과 케이싱(310) 사이에 설치되어 가로대(20)의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감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330)는 탄성진동저감부재(210)의 케이싱(310)의 내부에서 가로대(2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각 면에 설치되어 가로대(20)의 상하 방향의 진동 및 좌우 방향의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압축되면서 가로대(20)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진동저감부재(210)는 케이싱(310)이 상단케이스(410) 및 하단케이스(430)로 나뉘어지는 분리형 케이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진동저감부재(2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진동저감부재(210)는 상단케이스(410), 상단탄성부재(420), 하단케이스(430) 및 하단탄성부재(440)로 구성된다.
상단케이스(410)는 내부가 비어있고 하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로대(20)를 중심으로 상측에 설치된다. 상단케이스(410)의 네 개의 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에는 각 측면이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볼록한 아치형으로 절단됨으로써 형성된 상단아치부(411)가 형성된다. 상단아치부(411)는 케이싱(310)에 형성된 가로대통과홀(320)의 상단부를 형성한다. 형성된 상단아치부(411)의 최하단의 너비는 가로대(20)의 외경보다 크고, 상단아치부(411)의 최고점의 높이는 가로대(20)의 외경의 절반보다 크다. 상단아치부(411)가 형성된 상단케이스(410)의 측면은 측면의 중심을 지나는 지면에 수직한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케이스(410)의 내부 공간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케이스(41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단돌출부(412)가 형성된다. 상단돌출부(412)의 외경은 상단탄성부재(420)내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상단돌출부(412)는 상단케이스(410)의 상면의 중앙에 형성하는 것이 상단돌출부(412)의 길이방향 연장선이 가로대(20)의 외주면에 수직하므로 상단탄성부재(420)가 보다 안정적으로 가로대(20)의 진동을 저감시키는데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단돌출부(412)의 길이는 상단케이스(410)의 측면의 높이보다는 짧고 상단케이스(410)의 측면의 높이에서 가로대(20)의 외경을 반으로 나눈 값을 뺀 값보다는 길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단케이스(410)의 측면의 높이를 H, 가로대(20)의 외경을 D라고 했을 때, 상단돌출부(412)의 길이 M은 수식 H-D/2 < M < H를 만족한다. 따라서, 상단돌출부(412)는 가로대(2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관통홀(21)을 통과하여 가로대(20)에 끼워질 수 있다.
가로대(20)의 상면에 형성되는 돌출부관통홀(21)은 상단돌출부(4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단돌출부(412)가 돌출부관통홀(21)을 통해 가로대(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로대(20)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가로대(20)가 상단돌출부(412)가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단탄성부재(420)를 압축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단돌출부(412)가 상단돌출부(412)에 끼워진 상단탄성부재(420)를 상단탄성부재(420)의 전체 길이에 대해 지지함으로써 가로대(20)의 강한 진동에도 상단탄성부재(420)가 상단돌출부(412)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로대(20)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단탄성부재(420)는 상단케이스(410)와 상단케이스(410)에 의해 둘러쌓인 가로대(20)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단케이스(410)에 설치된 CCTV에 전해지는 가로대(20)의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해 저감시킨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서, 상단탄성부재(420)는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단탄성부재(420)는 상단케이스(410)의 상면에 형성된 상단돌출부(412)에 끼워짐으로써 상단케이스(410)와 가로대(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단탄성부재(420)의 길이는 가로대(20)의 외주면과 상단케이스(410)의 상면 사이의 최단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다시 말하면, 상단케이스(410)의 측면의 높이를 H, 가로대(20)의 외경을 D라고 했을 때, 상단탄성부재(420)의 길이 N은 수식 N=H-D/2를 만족한다. 이로써 상단탄성부재(420)의 양 단이 상단케이스(410)와 가로대(20) 사이에서 이격없이 상단케이스(410)와 가로대(20)에 밀착하고, 이는 상단탄성부재(420)가 보다 안정적으로 가로대(20)의 진동저감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상단케이스(410)의 상면 외측에는 CCTV(30)를 상단케이스(4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단카메라고정부(413)가 형성된다. 상단카메라고정부(413)는 CCTV(30)와의 결합을 위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단카메라고정부(413)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케이스(410)의 상면으로부터 상단케이스(4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됨으로써 CCTV(30)가 기둥에 끼움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단카메라고정부(413)는 원기둥, 사각기둥 등 CCTV(30)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단카메라고정부(413)는 상단돌출부(412)와 연통되는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하나의 원형 관이 상단케이스(410)의 상면의 중앙부를 관통함으로써 상단케이스(410)의 상면을 기준으로 원형 관의 상단케이스(410) 상면의 아래쪽 부분은 상단돌출부(412)를, 원형 관의 상단케이스(410) 상면의 위쪽 부분은 상단카메라고정부(41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단카메라고정부(413)와 상단돌출부(412)가 하나의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면, 즉, 상단카메라고정부(413)와 상단돌출부(412)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면 상단카메라고정부(413)에 설치된 CCTV(30)에 필요한 각종 케이블을 상단카메라고정부(413), 상단돌출부(412) 및 가로대(20)를 통해 자유롭게 인입 및 인출할 수 있어 배선작업이 효율적이고, 각종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보다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며 미관상으로도 우수하다.
상단케이스(410)의 측면 중 상단아치부(411)가 형성되지 않은 두 개의 측면의 각각에는 각 측면의 하단부로부터 지면에 수평하게 상단케이스(4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단결합체결부(414)가 형성된다. 상단결합체결부(414)에는 나사를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나사체결홀(4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단케이스(430) 및 하단탄성부재(440)는 가로대(20)를 중심으로 하단에 설치되는 점을 제외하면 상단케이스(410) 및 상단탄성부재(42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단케이스(410) 및 상단탄성부재(420)에 대한 설명으로 하단케이스(430) 및 하단탄성부재(440)에 대한 설명을 갈음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110)의 생산 현장에서는 상단케이스(410) 및 하단케이스(430), 상단탄성부재(420) 및 하단탄성부재(440)를 서로 구분없이 생산하고, 설치 현장에서는 상단케이스(410) 및 하단케이스(430), 상단탄성부재(420) 및 하단탄성부재(440)를 서로 구분없이 이용하여 가로대(20)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할 수 있다.
하단케이스(430)에는 상단케이스(410)의 상단아치부(411)에 대응하는 하단아치부(431), 상단돌출부(412)에 대응하는 하단돌출부(433), 상단케이스(410)의 상단카메라고정부(413)에 대응하는 하단카메라고정부(433), 상단케이스(410)의 상단결합체결부(414)에 대응하는 하단결합체결부(434)가 형성된다. 불필요하게 설명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돌출부(433), 하단카메라고정부(433) 및 하단결합체결부(434)에 대한 설명은 상단돌출부(412), 상단카메라고정부(413) 및 상단결합체결부(414)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진동저감부재(210)가 가로대(20)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진동저감부재(210)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상단돌출부(412)에 상단탄성부재(420)가 끼워진 상단케이스(410)는 가로대(20)의 상측에서 가로대(20)와 결합한다. 상단돌출부(412)는 가로대(2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관통홀(21)을 통과하여 가로대(2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단탄성부재(420)는 상단케이스(410)의 상면과 가로대(20)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배치된다. 하단돌출부(433)에 하단탄성부재(440)가 끼워진 하단케이스(430)는 가로대(20)의 하측에서 가로대(20)와 결합한다. 하단돌출부(433)는 가로대(20)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관통홀(21)을 통과하여 가로대(20)의 내부로 삽입되고, 하단탄성부재(440)는 하단케이스(430)의 하면과 가로대(20)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배치된다.
상단케이스(410)의 측면에 형성된 상단결합체결부(414) 및 하단케이스(430)의 측면에 형성된 하단결합체결부(434)는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각 결합체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나사체결홀(415)에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진동저감부재(210)가 설치된 가로대(20)는 바람이나 차량의 주행 등에 의한 진동 발생 시 상하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는데, 이때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힘에 의해 가로대(20) 내부에 일단이 삽입된 상단돌출부(412) 및 하단돌출부(433)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이러한 가로대(20)의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은 각각 가로대(20)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 상단탄성부재(420) 및 하단탄성부재(440)에 의해 저감된다. 한편, 상단카메라고정부(413) 및 하단카메라고정부(433)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CCTV(30) 또한 탄성진동저감부재(210)에 하중을 인가하여 탄성진동저감부재(210)가 가로대(20)의 진동을 저감하는데에 도움을 준다. 이에 따라 상단카메라고정부(413) 및 하단카메라고정부(433)에 설치된 CCTV(30)는 보다 안정적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단케이스(410)의 상단카메라고정부(413) 및 하단케이스(430)의 하단카메라고정부(433) 중 하나는 CCTV(30)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방향 카메라(31) 및 스피드돔 카메라(32)의 두 종류의 CCTV(3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단카메라고정부(413) 및 하단카메라고정부(433)가 모두 필요하지만, 설치 환경 상 가로대(20)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하나에만 CCTV(30)를 설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면, CCTV(30)가 설치되지 않는 쪽의 카메라고정부(413, 433)는 불필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진동저감부재(2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진동저감부재(210)는 상단케이스(410), 하단케이스(430) 및 좌측탄성부재(650) 및 우측탄성부재(66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이 불필요하게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진동저감부재(210)의 상단케이스(410)의 내부 공간에는, 단면이 반원을 이루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케이스(410)의 측면 중 상단아치부(411)가 형성되지 않은 좌측면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좌상단수평돌출부(610) 및 단면이 반원을 이루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케이스(410)의 측면 중 상단아치부(411)가 형성되지 않은 우측면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우상단수평돌출부(620)가 형성된다. 좌상단수평돌출부(610) 우상단수평돌출부(620)는 서로 같은 크기 및 모양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좌상단수평돌출부(610) 및 우상단수평돌출부(620)는 각 측면의 최하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좌상단수평돌출부(610) 및 우상단수평돌출부(620)의 길이방향 연장선이 가로대(20)의 외주면에 수직하므로 좌측탄성부재(650) 및 우측탄성부재(660)가 보다 안정적으로 가로대(20)의 진동을 저감시키는데에 유리하다.
좌상단수평돌출부(610)의 길이는 좌상단수평돌출부(610)가 형성된 상단케이스(410)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의 거리에서 가로대(20)의 외경의 길이를 뺀 값을 반으로 나눈 것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단케이스(410)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의 최단거리를 L, 가로대(20)의 외경을 D라고 했을 때, 좌상단수평돌출부(610)의 길이 KR은 수식 KR < (L-D)/2을 만족한다. 마찬가지로, 우상단수평돌출부(620)의 길이 KL은 수식 KL< (L-D)/2을 만족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진동저감부재(210)가 상단케이스(410) 및 하단케이스(430)를 가로대(20)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서 결합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좌상단수평돌출부(610) 및 우상단수평돌출부(620)가 이보다 크게 설정되는 경우 조립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상단케이스(410)의 상면에는 상단카메라고정부(413)가 형성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각각 상단결합체결부(41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단케이스(430)는 가로대(20)를 중심으로 하단에 설치되는 점을 제외하면 상단케이스(41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단케이스(410) 및 상단탄성부재(420)에 대한 설명으로 하단케이스(430)에 대한 설명을 갈음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하단케이스(430)에는 상단케이스(410)의 좌상단수평돌출부(610)에 대응하는 좌하단수평돌출부(630), 상단케이스(410)의 우상단수평돌출부(620)에 대응하는 우하단수평돌출부(640), 상단케이스의 상단카메라고정부(413)에 대응하는 하단카메라고정부(433) 및 상단케이스(410)의 상단결합체결부(414)에 대응하는 하단결합체결부(434)가 형성된다. 불필요하게 설명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하단수평돌출부(630) 및 우하단수평돌출부(640)에 대한 설명은 좌상단수평돌출부(610) 및 우상단수평돌출부(62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상단케이스(410) 및 하단케이스(430)가 가로대(20)를 기준으로 상하단에서 서로 결합하면, 상단케이스(410)의 좌상단수평돌출부(610) 및 하단케이스(430)의 좌하단수평돌출부(630)가 서로 맞닿아 하나의 원기둥 형상을 형성하고, 상단케이스(410)의 우상단수평돌출부(620) 및 하단케이스(430)의 우하단수평돌출부(640)가 서로 맞닿아 하나의 원기둥 형상을 형성한다.
좌측탄성부재(650)는 좌상단수평돌출부(610)와 좌하단수평돌출부(630)가 서로 맞닿아 형성한 원기둥에 끼워지고, 우측탄성부재(660)는 우상단수평돌출부(620)와 우하단수평돌출부(640)가 서로 맞닿아 형성한 원기둥에 끼워짐으로써 각각 가로대(20)와 상단케이스(410) 및 하단케이스(430)의 좌측면 사이에, 가로대(20)와 상단케이스(410) 및 하단케이스(430)의 우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가로대(20)가 바람이나 차량의 주행 등에 의해 힘을 받아 진동할 시, 좌우 방향의 진동은 가로대(2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좌측탄성부재(650) 및 우측탄성부재(660)에 의해 저감되고, 이에 따라 상단카메라고정부(413) 및 하단카메라고정부(433)에 설치된 CCTV(30)는 보다 안정적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진동저감장치(110)가 가로대(20)에 설치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탄성진동저감장치(210)는 상단케이스(410), 하단케이스(430), 상단탄성부재(420), 하단탄성부재(440), 좌측탄성부재(650) 및 우측탄성부재(660)로 구성된다.
상단케이스(410)에 상단돌출부(412), 좌상단수평돌출부(610) 및 우상단수평돌출부(620)가 형성되고, 하단케이스(430)에 하단돌출부(433), 좌하단수평돌출부(630) 및 우하단수평돌출부(640)가 형성됨으로써 상단탄성부재(420), 하단탄성부재(440), 좌측탄성부재(650) 및 우측탄성부재(660)가 각각 가로대(20)의 상단, 하단,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다.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진동저감부재(210)에 의하면, 가로대(20)의 상하방향 진동은 상단탄성부재(420) 및 하단탄성부재(440)에 의해, 좌우방향 진동은 좌측탄성부재(650) 및 우측탄성부재(660)에 의해 저감되어 상단케이스(410) 및 하단케이스(430)에 설치된 CCTV(30)가 안정적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진동저감부재(220)를 도시하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회전진동저감부재(220)의 분해도이다. 회전진동저감부재(220)는 가로대(20)에 설치되어 탄성진동저감부재(210)에 의해 1차적으로 저감된 가로대(20)의 잔여 진동을 무거운 질량체(820)의 회전관성 운동에 의한 마찰을 이용하여 빠르게 저감시킨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진동저감부재(220)는 마찰케이스(810) 및 질량체(820)로 구성된다. 마찰케이스(810)는 중공형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진동저감부재(220)는 바닥면(811)과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측면(813), 및 바닥면(811)에 대해 평행하고 측면(813)에 대해 수직한 커버(816)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찰케이스(810)의 바닥면(811)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811)의 중앙에는 가로대가 통과하기 위한 가로대관통홀(81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바닥면(811)의 가로대관통홀(812)은 지름이 가로대(20)의 외경보다 살짝 크게 제작됨으로써 가로대(20)에 마찰케이스(810)가 끼워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닥면(811)의 가로대관통홀(812)의 지름은 가로대(20)의 외경보다 약 2 내지 3mm 크게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마찰케이스(810)의 바닥면(811)의 둘레를 따라 외측면(813)이 수직하게 연장되고, 바닥면(811)의 가로대관통홀(812)의 둘레를 따라 내측면(814)이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마찰케이스(810)에는 외측면(813)의 안쪽공간과 내측면(814)의 바깥공간의 교집합으로 정의되는 도넛 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찰케이스(810)의 외측면(813)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815)가 형성된다. 복수 개의 돌출부(815)에는 커버(816)와의 나사결합 체결을 위한 나사체결홈이 형성된다. 도 9에는 마찰케이스(810)와 커버(816)가 서로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결합하기 위한 마찰케이스(810)의 복수 개의 돌출부(815) 및 커버(816)의 복수 개의 돌출부(825)가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 기타 결합부재를 이용한 다양한 방식의 결합이 이용될 수 있음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커버(816)는 마찰케이스(810)의 단면과 동일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찰케이스(810)의 상단에 결합하여 마찰케이스(810)의 뚜껑 역할을 한다. 커버(816)에 의해 마찰케이스(810) 내부 수용공간이 외부 공간과 분리됨으로써 마찰케이스(810) 내부에 배치된 질량체(820)가 밖으로 이탈하거나, 외부의 이물질, 유수 등이 마찰케이스(8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질량체(820)는 마찰케이스(8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마찰케이스(810)의 진동에 의해 회전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질량체(820)는 가로대(20)의 진동에 의해 마찰케이스(810)가 진동하면 마찰케이스(810) 내부에서 관성에 의한 회전운동을 한다. 이때, 질량체(820)와 마찰케이스(810)가 접한 영역에서는 회전하는 질량체(820)에 의한 마찰이 발생하고, 가로대(20)의 진동에너지는 질량체(820)의 회전운동에 의한 마찰에너지로 변환되어 저감된다. 이에 따라, 회전진동저감부재(220)는 가로대(20)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질량체(820)는 강구(쇠구슬)로 형성됨으로써 마찰케이스(810)의 진동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하며 마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찰케이스(810) 내부에는 복수 개의 질량체(82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질량체(820)가 배치되는 경우, 회전에 의한 마찰에너지를 생성하는 질량체(820)의 개수는 많아지는 한편, 각 질량체(820)가 중력에 따라 다른 질량체를 아래로 미는 힘이 작용하여 각 질량체(820)가 생성하는 마찰에너지의 양이 적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개수의 질량체(82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복수 개의 질량체(820)는 2 내지 5개의 질량체(82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진동저감부재(22)는 탄성진동저감부재(210)보다 가로대(20) 상에서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가로대(20)의 진동에 의한 질량체(820)의 회전이 가로대(20)의 바깥쪽 끝에 가까울수록 크게 발생되며, 이에 따라 질량체(820)의 회전에 의한 마찰에너지가 더 많이 발생되어 진동 저감의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형 지주구조물(100) 및 진동저감장치(110)는 가로대(2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싱(310)과 가로대(20)의 외주면과 케이싱(310)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330)를 포함하는 탄성진동저감부재(210)가 가로대(20)의 진동을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저감시키고, 가로대(20)의 말단에 끼워진 마찰케이스(810) 및 마찰케이스(810) 내부에 배치된 질량체(820)로 구성된 회전진동저감부재(220)가 탄성진동저감부재(210)에 의해 1차적으로 저감된 가로대(20)의 잔여 진동을 질량체(820)의 회전관성 운동에 의한 마찰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빠르게 저감시킴으로써 CCTV(30)가 보다 안정적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110)는 탄성진동저감부재(210) 및 회전진동저감부재(220)가 각각 가로대(2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형식이므로, 이미 설치되어 사용중인 지주 및 CCTV(30)에 별도의 시공을 하지 않고도 바로 설치가 가능하다. 이는 시간, 비용 및 인력의 낭비를 억제하여 경제적이고, 불필요한 쓰레기를 만들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주본체
20: 가로대
100: 진동 저감형 지주구조물
110: 진동저감장치
210: 탄성진동저감부재
220: 회전진동저감부재
310: 케이싱
330: 탄성부재
410: 상단케이스
412: 상단돌출부
420: 상단탄성부재
430: 하단케이스
432: 하단돌출부
440: 하단탄성부재
810: 마찰케이스
820: 질량체

Claims (9)

  1. CCTV 설치용 지주의 가로대(20)에 설치되어 CCTV의 진동을 저감하는 CCTV용 진동저감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빈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CCTV(30)가 고정되며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가로대통과홀(320)로 상기 가로대(20)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가로대(2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케이싱(310) 및 상기 케이싱(310)에 의해 둘러쌓인 상기 가로대(20)의 외주면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30)를 포함하는 탄성진동저감부재(210); 및
    중공형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공부가 상기 가로대(20)에 끼워지는 마찰케이스(810) 및 상기 중공형원통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찰케이스(810)의 진동에 의해 회전하는 질량체(820)를 포함하는 회전진동저감부재(22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진동저감부재(210)는 상기 케이싱(310)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로대(20)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싱(310)에 설치된 CCTV(30)의 진동을 1차적으로 저감시키고,
    상기 회전진동저감부재(220)는 상기 질량체(820)가 상기 마찰케이스(810)의 측면에 접한 상태로 상기 마찰케이스(810)의 진동에 따라 관성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마찰케이스(810)와 마찰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탄성진동저감부재(210)에 의해 1차적으로 저감된 CCTV 진동을 2차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진동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820)는 강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진동저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통과홀(320)의 크기는 상기 가로대(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케이싱(310)의 내부에서 진동하는 가로대(20)가 상기 케이싱(31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진동저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10)은
    내부가 비어있고 하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케이스(410);
    내부가 비어있고 상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케이스(430)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케이스(410)는 상기 가로대(20)의 상측에서, 상기 하단케이스(430)는 상기 가로대(20)의 하측에서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사각 박스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상단케이스(410)의 상면, 상기 하단케이스(430)의 하면, 상기 상단케이스(410) 및 상기 하단케이스(430)의 좌측면 및 상기 상단케이스(410) 및 상기 하단케이스(430)의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30)가 결합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을 이용한 진동 저감시 상기 가로대(2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3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진동저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30)는 상단탄성부재(420) 및 하단탄성부재(4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케이스(410)의 내부공간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케이스(41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단돌출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케이스(430)의 내부공간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케이스(430)의 하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하단돌출부(432)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탄성부재(420)는 일단이 상기 상단돌출부(412)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가로대(20)의 외주면 상측에 접하고, 상기 하단탄성부재(440)는 일단이 상기 하단돌출부(432)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가로대(20)의 외주면 하측에 접함으로써 상기 상단탄성부재(420) 및 상기 하단탄성부재(440)가 상기 가로대(20)의 상하방향의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진동저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케이스(410) 및 상기 하단케이스(430)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상기 상단돌출부(412) 및 상기 하단돌출부(432)는 상기 상단케이스(410)의 높이보다는 짧고, 상기 상단케이스(410)의 높이에서 상기 가로대(20)의 외경을 반으로 나눈 길이를 뺀 길이보다는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상단돌출부(412) 및 상기 하단돌출부(432) 각각의 일단은 상기 가로대(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로대(20)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가로대(20)의 진동에도 상기 상단탄성부재(420)가 상기 상단돌출부(412)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상기 하단탄성부재(440)가 상기 하단돌출부(432)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진동저감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는 좌측탄성부재(650)및 우측탄성부재(660)를 포함하고,
    단면이 반원으로 형성되는 반원기둥 형상의 좌상단수평돌출부(610) 및 우상단수평돌출부(620)가 각각 상기 상단케이스(410)의 좌측면 하단 및 우측면 하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반원기둥 형상의 좌하단수평돌출부(630) 및 우하단수평돌출부(640)가 각각 상기 하단케이스(430)의 좌측면 상단 및 우측면 상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좌상단수평돌출부(610)와 상기 좌하단수평돌출부(630), 그리고 상기 우상단수평돌출부(620)와 상기 우하단수평돌출부(640)는 서로 맞닿아 하나의 원기둥을 형성하고,
    상기 좌측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좌상단수평돌출부(610)와 상기 좌하단수평돌출부(630)가 형성한 원기둥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가로대(20)의 외주면 좌측에 접하고, 상기 우측탄성부재(660)는 일단은 상기 우상단수평돌출부(620)와 상기 우하단수평돌출부(640)가 형성한 원기둥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가로대(20)의 외주면 우측에 접함으로써 상기 좌측탄성부재(650)및 상기 우측탄성부재(660)가 상기 가로대(20)의 좌우방향의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진동저감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돌출부(412) 및 상기 하단돌출부(43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케이스(410)의 상면에는 상기 상단케이스(41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관 형상의 상단카메라고정부(413)가, 그리고 상기 하단케이스(430)의 하면에는 상기 하단케이스(430)의 하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관 형상의 하단카메라고정부(433)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돌출부(412)의 내부와 상기 상단카메라고정부(413)의 내부 그리고 상기 하단돌출부(432)의 내부와 상기 하단카메라고정부(433)의 내부는 각각 서로 연통됨으로써 상기 상단카메라고정부(413) 및 상기 하단카메라고정부(433) 각각으로부터 상기 가로대(20) 내부로 케이블의 인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진동저감장치.
  9.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지주본체(10);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지주본체(10)의 상단에 결합하며, CCTV(30)가 설치되는 가로대(20); 및
    상기 가로대(20)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대(20)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상기 CCTV(3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저감장치(110)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저감장치(110)는
    내부가 빈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CCTV(30)가 고정되며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가로대통과홀(320)로 상기 가로대(20)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가로대(2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케이싱(310) 및 상기 케이싱(310)에 의해 둘러쌓인 상기 가로대(20)의 외주면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30)를 포함하는 탄성진동저감부재(210); 및
    중공형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공부가 상기 가로대(20)에 끼워지는 마찰케이스(810) 및 상기 중공형원통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찰케이스(810)의 진동에 의해 회전하는 질량체(820)를 포함하는 회전진동저감부재(22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진동저감부재(210)는 상기 케이싱(310)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로대(20)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싱(310)에 설치된 CCTV(30)의 진동을 1차적으로 저감시키고,
    상기 회전진동저감부재(220)는 상기 질량체(820)의 회전관성 운동에 의한 마찰케이스(810)와의 마찰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진동저감부재(210)에 의해 1차적으로 저감된 CCTV 진동을 2차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진동저감장치가 설치된 지주구조물.
KR1020220054362A 2022-05-02 2022-05-02 Cctv용 진동저감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지주구조물 KR102445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362A KR102445319B1 (ko) 2022-05-02 2022-05-02 Cctv용 진동저감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지주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362A KR102445319B1 (ko) 2022-05-02 2022-05-02 Cctv용 진동저감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지주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319B1 true KR102445319B1 (ko) 2022-09-20

Family

ID=8344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362A KR102445319B1 (ko) 2022-05-02 2022-05-02 Cctv용 진동저감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지주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880B1 (ko) * 2023-01-30 2023-07-20 (주)엠큐아이 Cctv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6543A (ko) * 2005-12-22 2007-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지주 구조물의 횡방향 질량 동조감쇠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6543A (ko) * 2005-12-22 2007-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지주 구조물의 횡방향 질량 동조감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880B1 (ko) * 2023-01-30 2023-07-20 (주)엠큐아이 Cctv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5319B1 (ko) Cctv용 진동저감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지주구조물
KR101909416B1 (ko) 방범 cctv용 다단 연결식 지지폴대를 갖는 cctv용 직립구조체
US9140881B2 (en) Voice coil motor
US7003919B2 (en) Post mount assembly
KR102143471B1 (ko) 진동흡수 가능한 일체형 폴대
KR100979401B1 (ko) 도로 규제 표시봉
KR102158610B1 (ko) 지진파를 흡수하는 가로등
KR101316696B1 (ko) 지주구조물용 방진장치
KR100990398B1 (ko) 조립식 방음펜스
KR102117694B1 (ko) 감시카메라용 지주
KR101848363B1 (ko) 감시카메라 장치
KR20080016134A (ko) 진동 감쇠기
KR20120008008A (ko) 움직이는 배너 광고장치
JP2001100309A (ja) 回転体の騒音防止装置、回転カラーフィルタ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システム
KR200426961Y1 (ko) 투명 방음창의 패널 고정 구조
CN210596996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市政桥梁墩座
KR102516202B1 (ko) Cctv 설치 구조
KR101158666B1 (ko) 원통형 방음벽
JP2008208709A (ja) 1次振動モード用制振装置ならびに制振型鋼管柱
KR102315929B1 (ko) 진동흡수 및 처짐방지가 가능한 지주 구조물
CN210691863U (zh) 广告机
KR102406035B1 (ko) 내진 금속기둥
JP3331085B2 (ja) 制振装置付きポール
JP2745399B2 (ja) 横締孔用のシースパイプ取付装置
KR102597233B1 (ko) Cctv 카메라 설치 지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