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207B1 - 정수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207B1
KR102445207B1 KR1020180002329A KR20180002329A KR102445207B1 KR 102445207 B1 KR102445207 B1 KR 102445207B1 KR 1020180002329 A KR1020180002329 A KR 1020180002329A KR 20180002329 A KR20180002329 A KR 20180002329A KR 102445207 B1 KR102445207 B1 KR 102445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oling water
rotation speed
cooling
stir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504A (ko
Inventor
정주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2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6Adapted for dispensing high viscosity products
    • B67D2210/00163Agitator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 탱크에 설계된 적정량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필터 어셈블리, 냉각수가 수용되는 냉각공간이 형성된 냉각수 탱크,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정수 라인, 정수 라인에 설치되는 급수 밸브, 정수 라인을 통과한 물이 출수되는 취출구가 구비된 출수 라인, 정수 라인과 출수 라인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부가 냉각공간에 수용되는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 냉각수 탱크에 연결되어 냉각공간으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냉각수 라인, 냉각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교반기, 교반기에 연결되어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교반 모터,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센서를 통해 감지한 교반기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냉각수 탱크에 수용된 냉각수의 양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그의 제어 방법{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수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중금속과 같은 유해 요소를 여과하는 장치이다.
직수형 정수기는 냉각수에 냉수 배관 및 냉각수 냉각을 위한 증발기가 잠겨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냉수 생성을 위하여 증발기 내부로 냉매가 흐르면, 증발기 주변에서 냉각수의 일부가 결빙되어 얼음이 생성된다. 그리고, 냉각수와 냉수 배관을 따라 흐르는 냉수 간의 열교환을 촉진하기 위하여 교반기가 작동하게 된다. 교반기가 작동하면 냉각수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만약 냉각수 탱크에 냉각수가 부족하면 과냉에 의해 결빙되는 경우, 냉각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다른 부품이 파손될 수 있어 고객 사용에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냉각수가 냉각수 탱크에 설계 의도된 적정량이 공급되는 바안이 요구딘다.
본 발명은 냉각수 탱크에 설계된 적정량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정수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는 필터 어셈블리, 냉각수가 수용되는 냉각공간이 형성된 냉각수 탱크,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정수 라인, 정수 라인에 설치되는 급수 밸브, 정수 라인을 통과한 물이 출수되는 취출구가 구비된 출수 라인, 정수 라인과 출수 라인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부가 냉각공간에 수용되는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 냉각수 탱크에 연결되어 냉각공간으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냉각수 라인, 냉각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교반기, 교반기에 연결되어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교반 모터,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센서를 통해 감지한 교반기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냉각수 탱크에 수용된 냉각수의 양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기의 회전 속도와 냉각수 탱크에 수용된 냉각수의 양을 맵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감지된 교반기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냉각수의 양 정보를 메모리에서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된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기준 속도와 비교하여 냉각수 탱크에 수용된 냉각수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센서를 통해 감지한 교반기의 회전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면 알림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냉각수를 공급하기 전에 교반 모터를 회전시켜 제1 회전 속도를 감지하고, 제1 회전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이상이면 제1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회전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미만이면 냉각수를 1차 공급하고, 냉각수를 1차 공급한 후 교반 모터를 회전시켜 제2 회전 속도를 감지하고, 제2 회전 속도가 제2 기준 속도 이상이면 제1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회전 속도가 제2 기준 속도 미만이면 냉각수를 2차 공급하고, 냉각수를 2차 공급한 후 교반 모터를 회전시켜 제3 회전 속도를 감지하고, 제3 회전 속도가 제3 기준 속도 이상이면 제2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3 회전 속도가 제3 기준 속도 미만이면 냉각수를 3차 공급하고, 냉각수를 3차 공급한 후 교반 모터를 회전시켜 제4 회전 속도를 감지하고, 제4 회전 속도가 제4 기준 속도 이상이면 제2 알림을 출력하고, 제4 회전 속도가 제4 기준 속도 미만이면 설치 완료 알림을 출력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알림은 냉각수 탱크 내의 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알림이고,
제2 알림은 냉각수 라인의 점검 필요를 나타내는 알림일 수 있다.
냉각수 라인은 취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냉각수 탱크로 물을 안내하는 설치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냉각수를 공급하는 동안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냉각수의 양을 산출함으로써, 냉각수 라인에서 발생하는 누수 등의 문제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냉각수 라인에 별도의 유량 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냉각수의 양을 산출하므로, 유량 센서에서 발생하는 오차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냉각수 탱크에 설계된 적정량만큼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어, 냉각수를 부족하게 공급하는 등의 설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냉각수를 복수회 공급하고, 냉각수를 공급할 때마다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냉각수 탱크에 이미 저장된 냉각수가 있는지 또는 냉각수 라인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인지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정수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컨트롤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수 생성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에 연결되는 물 유로를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설치 배관이 연결된 경우 정수기에 연결되는 물 유로를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수 생성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반기의 회전 속도와 냉각수의 양을 맵핑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가 냉각수 탱크에 공급된 냉각수의 양을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정수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정수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물을 냉각 또는 가열시켜 취출되도록 하는 직수형 냉온 정수기이다.
상세히, 정수기(10)는, 바닥부를 이루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의 상면 가장자리에 놓이는 하우징(12)과, 하우징(12)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커버(13)와, 커버(13)의 상면에 형성되는 컨트롤 패널(14) 및 하우징(1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워터 슈트(water chute)(15)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워터 슈트(15)가 형성되는 부분이 정수기(10)의 전면으로 정의되고, 그 반대면이 배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2)의 배면 하단에는 토출 그릴(122)이 형성되어, 후술하게 될 응축기와 열교환된 공기가 하우징(12)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컨트롤 패널(14)은 정수기(10)의 전단부 쪽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설계 조건에 따라 정수기(10)의 상면 중앙부 또는 후단부 쪽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트롤 패널(14)은 워터 슈트(15)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눈에 쉽게 인지되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컨트롤 패널(14)은 정수기(10)의 상면으로부터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높게 돌출되는 패널 본체(141)와, 패널 본체(141)의 상면을 덮는 패널 커버(1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본체(141)에는 다수의 버튼부들이 장착되기 위한 홀 또는 홈들이 형성될 수 있고, 홀 또는 홈들에 버튼들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 커버(142)에는 버튼부들에 대응하는 버튼 메뉴들이 인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워터 슈트(15)는 정수기(10)의 전단부 중심과 후단부 중심을 잇는 선을 따라서 정수기(10)의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고, 정수기(10)의 전단부 중심에서 좌우측으로 각각 90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워터 슈트(15)는 180도 회전 가능하다.
또한, 워터 슈트(15)가 회전 가능하도록 워터 슈트(15)의 후단에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16)가 장착될 수 있다. 워터 슈트(15)와 회전 가이드(16)는 한 몸으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체결부재에 의하여 한 몸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12)의 전면에는 워터 슈트(15)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121)이 형성될 수 있고, 워터 슈트(15)는 가이드 홀(121)을 따라 좌측 및 우측으로 90도씩 회전 가능하다.
또한, 워터 슈트(15)의 저면에는 물 취출을 위한 취출구(151)가 형성된다.
취출구(151)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취출구(151)가 한 개일 경우에는 단일의 취출구를 통하여 냉수, 정수, 온수가 토출되도록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반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수 개의 취출구(151)가 전후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어, 냉수, 정수, 온수가 별개의 취출구로 취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워터 슈트(15)의 저면에는 센서(152)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컵과 같은 저장 용기를 워터 슈트(15) 하측에 위치시킨 경우에만 물이 취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트롤 패널(14)을 통하여 물취출 명령을 입력한 뒤, 컵이 워터 슈트(15)의 하측에 위치하기 전에 취출구(151)로부터 물이 취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컨트롤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트롤 패널(14)을 구성하는 패널 커버(142)에는 취출되는 물의 종류, 온도 선택 및 용량 선택 등을 포함하는 각종 메뉴를 보여주는 입력부들이 인쇄된다.
상세히, 입력부들은 패널 바디(141)에 장착되는 버튼부들의 상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입력부들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눌러진 입력부의 직하방에 놓인 버튼이 눌러지면서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가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된다.
이하에서는 패널 커버(142)에 인쇄되는 입력부와, 각 입력부에 대응하여 패널 바디(141)에 장착되는 버튼을 묶어서 버튼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상세히, 컨트롤 패널(14)에는, 물 취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취출 버튼(143), 취출되는 물의 온도를 선택하기 위한 온도 설정 버튼(144), 미네랄 성분이 함유된 물 취출을 위한 미네랄 워터 선택 버튼(145), 취출되는 물의 양을 선택하기 위한 용량 설정 버튼(146), 온수를 선택하기 위한 온수 선택 버튼(147), 정수된 상온의 물을 선택하기 위한 정수 선택 버튼(148), 및 설정 온도로 냉각된 냉수를 선택하기 위한 냉수 선택 버튼(149)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2)의 내부에는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매 사이클과 냉수 생성을 위한 냉수 생성 유닛(30)을 포함하는 다수의 구성 요소들이 수용된다.
상세히, 정수기(10)는, 베이스(11)의 상면 일측에 놓여서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하는 압축기(18)와, 베이스(11)의 후측에 놓여서 압축기(18)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19)와, 정수기(10)가 놓이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응축기(19)와 열교환하도록 하는 응축팬(191)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0)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어셈블리(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17)는 베이스(11)의 전단부 쪽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어셈블리(17)는 프리 카본 필터(pre carbon filter)와 중공사막 필터(Ultra Filtration filter)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0)는, 응축기(19)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저온 저압의 2상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변(미도시)과, 팽창변을 통과한 저온 저압의 2상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후술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정수기(10)는 증발기 및 냉수가 흐르는 냉수 배관(후술함)을 포함하는 냉수 생성 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냉수 생성 유닛(30)은 응축기(19)의 상측에 놓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정수기(10)는 응축기를 감싸는 가이드 덕트(20)와, 냉수 생성 유닛(30)의 저면을 지지하는 탱크 지지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탱크 지지부(21)와 가이드 덕트(20)는 한 몸으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되거나, 별도의 물품으로 제공되어 체결 부재에 의하여 한 몸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정수기(10)는 급수되는 물을 설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온수 히터(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수 생성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수 생성 유닛(30)은, 냉각수가 채워지는 냉각수 탱크(33)와, 냉각수 탱크(33)를 수용하여 냉각수 탱크(33)가 실내 공기로부터 단열되도록 하는 단열 케이스(31)와, 단열 케이스(31)를 관통하여 냉각수 탱크(33)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드레인 밸브(32)와, 냉각수 탱크(33) 내부에 수용되는 냉수 배관(34)과, 냉수 배관(34)의 내측에 위치되는 증발기(35)와, 냉각수 탱크(33)의 상단에 걸쳐지는 교반 모터 지지부(37)와, 교반 모터 지지부(37)의 내측에 고정되고, 회전축이 하측으로 연장되는 교반 모터(38)와, 냉각수 탱크(33) 내부에 수용되고 교반 모터(38)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교반기(39), 및 냉각수 탱크(33)의 상면 개구부를 덮는 탱크 커버(4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드레인 밸브(32)는, 단열 케이스(31) 및 냉각수 탱크(33)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냉각수 탱크(33)의 바닥부에 인접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단열 케이스(31)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그리고, 드레인 밸브(32)가 개방되면, 냉각수 탱크(33)에 저장된 냉각수가 정수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단열 케이스(31)는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열 케이스(31)는 탱크 지지부(21)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냉수 배관(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 형태로 감겨서 원통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배관은 서로 접촉되거나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냉수 배관(34)의 입구단(341)과 출구단(342)은 탱크 커버(40)를 향하여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냉수 배관(34)의 입구단(341)은 급수원에 연결되는 물관에 연결되고, 출구단(342)은 워터 슈트(15)의 취출구(151)에 연결되는 물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냉수 배관(34)의 내측에는 증발기(35)가 스파이럴 형태로 감겨서 원통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냉수 배관(34)과 마찬가지로, 증발기(35)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배관은 서로 접촉되거나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35)는 응축기(19)의 출구단에 연결된 팽창변의 출구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증발기(35)를 형성하는 냉매 배관을 따라 흐르는 냉매는 냉각수 탱크(33)에 저장된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냉각수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냉각수는 냉수 배관(34)을 따라 흐르는 음용수와 열교환하여 음용수를 설정 온도로 냉각시킨다.
또한, 교반 모터 지지부(37)는 냉각수 탱크(33)의 상단에 걸쳐지는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교반 모터 지지부(37)의 일측에는 냉각수 유입 포트(371)가 형성될 수 있다.
냉각수 라인은 냉각수 탱크(33)에 연결되어 냉각공간으로 냉각수를 안내할 수 있고, 후술하는 설치 배관(80, 도 7 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 유입 포트(371)는 워터 슈트(15)의 취출구(151)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냉각수 탱크(33)에 냉각수가 공급되어 채워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설치 배관의 일단은 냉각수 유입 포트(371)에 연결되고, 타단은 취출구(151)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취출구(151)에서 출수되는 물은 설치 배관을 통과하여 냉각수 유입 포트(371)를 통해 냉각수 탱크(33)로 공급되어 채워질 수 있다.
취출구(151)로부터 출수되는 물은 음용수로 사용되거나, 냉각수 탱크(33)에 채워지는 냉각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교반기(39)는 증발기(35)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고, 대략 증발기(35) 보다 아래 위치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교반기(39)가 회전하면, 냉각수가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혼합된다. 그 결과, 증발기(35)에 의하여 냉각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냉각수 탱크(33) 내부의 모든 지점에서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교반기(39)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 또는 임펠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제안 가능하다.
한편, 탱크 커버(40)는 단열 케이스(31)의 상단부 외주면에 끼워져서 단열 케이스(31)와 냉각수 탱크(33)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다. 그리고, 탱크 커버(40)에는 냉각수 유입 포트(371)가 관통 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포트 수용홀(40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탱크 커버(4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냉수 배관(34)의 입구단(341)과 출구단(342)이 통과하는 냉수 배관 안내홈(40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탱크 커버(40)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증발기(35)의 배관이 통과하는 증발 배관 안내홀(403)이 형성될 수 있다.
<급수 라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에 연결되는 물 유로를 보여주는 시스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설치 배관이 연결된 경우 정수기에 연결되는 물 유로를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급수원(S)으로부터 정수기(10)의 워터 슈트(15)에 이르기까지 급수 라인(L)이 형성되며, 급수 라인(L)에는 각종 밸브와 정수 부품이 연결될 수 있다.
급수 라인(L)은 급수원(S)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통과하는 정수 라인(L1)과,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2),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 정수 공급용 급수 라인(L4), 및 출수 라인(L5)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정수기는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2),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 및 정수 공급용 급수 라인(L4)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정수 라인(L1)은 급수원(S), 예컨대 가정의 수도 꼭지에 연결되고, 정수 라인(L1)의 어느 지점에는 필터 어셈블리(17)가 배치되어, 급수원(S)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링된다.
또한, 급수원(S)과 필터 어셈블리(17)의 사이에는 수도 밸브(63)가 배치될 수 있다. 수도 밸브(63)는 급수원(S)으로부터 공급되는 물 중 소정량이 필터 어셈블리(17)를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수도 밸브(63)는 감압 밸브일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17)의 출구단에는 급수 밸브(61)와 유량 센서(7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량 센서(70)에 의하여 감지되는 물 공급량이 설정 유량에 도달하면 급수 밸브(61)가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유량 센서(70)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정수 라인(L1)의 어느 지점에서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2)과,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 및 정수 공급용 급수 라인(L4)이 분지될 수 있다.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2)의 단부에는 온수 출수 밸브(64)가 장착될 수 있다.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2)의 어느 지점에는 온수 히터(22)가 연결될 수 있고, 온수 출수 밸브(64)는 온수 히터(22)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2)의 어느 지점에 장착될 수 있다.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의 단부에는 냉수 출수 밸브(65)가 장착될 수 있다.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의 어느 지점에는 냉수 생성 유닛(30)이 연결될 수 있고, 냉수 출수 밸브(65)는 냉수 생성 유닛(30)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의 어느 지점에 장착될 수 있다.
정수 공급용 급수 라인(L4)의 단부에는 정수 출수 밸브(66)가 장착될 수 있다.
온수 출수 밸브(64)와, 냉수 출수 밸브(65) 및 정수 출수 밸브(66)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출수 라인(L5)은 모두 워터 슈트(15)에 연결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냉수 및 온수가 단일의 취출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독립된 취출구들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배수 밸브(32)는 도면에서 냉수 생성 유닛(3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급수 라인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배수 밸브(32)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열 케이스(31)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급수되는 물은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2),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 또는 정수 공급용 급수 라인(L4)을 따라 흐를 수 있다.
급수되는 물이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2)을 따라 흘러서 온수 히터(22)를 통과하면 설정 온도로 가열되고, 온수 선택 버튼(147)을 눌러 온수 출수 밸브(64)가 개방되면 워터 슈트(15)를 통하여 온수가 취출된다.
급수되는 물이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을 따라 흘러서 냉수 생성 유닛(30)을 통과하면 설정 온도로 냉각되고, 냉수 선택 버튼(149)을 눌러 냉수 출수 밸브(65)가 개방되면 워터 슈트(15)를 통하여 냉수가 취출된다.
급수되는 물이 정수 공급용 급수 라인(L4)을 따라 흐르고, 정수 선택 버튼(148)을 눌러 정수 출수 밸브(66)가 개방되면 워터 슈트(15)를 통하여 정수가 취출된다.
<냉각수 라인>
냉각수 라인 취출구(15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냉각수 탱크(33)로 물을 안내하는 설치 배관(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배관(80)이 선택적으로 워터 슈트(15)와 냉수 생성 유닛(30)에 배치될 수 있고, 설치 배관(80)은 냉각수 탱크(33)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설치 배관(80)의 일단은 워터 슈트(15)의 취출구(151)에 연결되고, 타단은 냉수 생성 유닛(30)의 냉각수 유입 포트(371)에 연결될 수 있다. 설치 배관(80)은 도면에서 냉수 생성 유닛(30)의 외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설치 배관(80)은 도 5에 도시된 냉각수 유입 포트(271)에 연결될 수 있다.
취출구(151)에서 출수된 온수, 냉수, 또는 정수는 설치 배관(80)을 통과하여 냉각수 탱크(33)의 내부에 수용되어 냉각수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경우 냉수 출수 밸브(6) 또는 정수 출수 밸브(66)를 개방하여 냉수 또는 정수를 출수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설치 기사는 정수기를 설치하거나, 또는 냉각수를 교체할 때 설치 배관(80)을 연결하여 냉각수 탱크(33)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설치 배관(80)의 어느 지점에는 냉각수 밸브가 장착될 수 있고, 냉각수 탱크(33)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수 생성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냉각수 탱크(33)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수용되는 냉각공간이 형성되고,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공간에 냉수 배관(34), 증발기(35), 및 교반기(39)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배치될 수 있고, 남은 냉각공간에 냉각수가 저장될 수 있다.
교반 모터(38)는 냉각수 탱크(33)의 상단에 배치된 교반 모터 지지부(37)의 내측에 고정되고, 교반기(39)는 교반 모터(38)와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냉각수 탱크(33)에 저장된 냉각수를 혼합시켜 냉각수 탱크(33) 내부 온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냉각수는 증발기(35)를 따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될 수 있고, 균일하게 냉각된 냉각수는 배관(34)을 흐르는 음용수와 열교환하여 음용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냉각수 탱크(33)의 내부에 공급된 냉각수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유량 센서(70)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유량 센서(70)를 통과한 물이 모두 냉각수 탱크(33)로 공급되어야만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급수 라인(L)의 적어도 일 지점에서 물이 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유량 센서(70)로 측정한 물의 양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설치 배관(80)에 빈 공간이 있거나,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유량 센서(70)로 측정한 양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유량 센서(70)로 측정한 냉각수의 양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냉각수가 만수위로 측정되었음에도 아직 냉각수 탱크(33)에는 빈 공간이 있어 성능이 저하되거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냉각수 탱크(33)에 공급된 냉각수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정수기는 밸브(60), 교반기(39), 교반 모터(38), 센서(110), 메모리(120), 출력부(130), 입력부(140) 및 제어부(15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수기는 앞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9에서는 정수기가 설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구동되는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치 모드는 냉각수 탱크(33)의 냉각공간에 냉각수를 채우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설치 모드에서 냉수 배관(34)이 냉각수에 의해 완전히 잠기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밸브(60)는 수도 밸브(63), 급수 밸브(61), 온수 출수 밸브(64), 냉수 출수 밸브(65) 및 정수 출수 밸브(66)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냉각수 탱크(33)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밸브(60)가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치 배관(80)이 정수기에 연결되면 급수 밸브(61) 및 정수 출수 밸브(66)가 개방되어 냉각수 탱크(33)을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정수 출수 밸브(66) 대신 냉수 출수 밸브(65) 또는 온수 출수 밸브(64)가 개방될 수도 있고, 출수 밸브(64 내지 66) 중 2이상이 개방될 수 있으나, 정수 출수 밸브(66) 및 냉수 출수 밸브(65)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기(39)는 교반 모터(38)의 구동에 의해 냉각수 탱크(33)의 냉각공간에서 회전할 수 있다.
설치 모드에서 교반 모터(38)는 기 설정된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즉, 냉각수 탱크(33)의 내부에 수용된 냉각수의 양과 관계 없이 설치 모드에서는 교반 모터(38)는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교반 모터(38)는 동일한 회전 속도로 구동되더라도, 교반 모터(38)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교반기(39)는 냉각수의 양에 따라 회전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교반 모터(38)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는 경우, 냉각수의 양이 많을수록 교반기(39)의 회전 속도는 감소하고, 냉각수의 양이 적을수록 교반기(39)의 회전 속도는 증가할 수 있다. 교반기(39)의 회전 시 냉각수가 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센서>
센서(110)는 교반기(39)의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110)는 냉각수가 공급되기 전 또는 냉각수가 공급된 후 회전하는 교반기(39)의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110)는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고, 홀 센서는 도체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전류의 방향과 수직으로 자기장이 형성될 때 전류가 흐르는 도체 내에서 전류와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전위차를 통해 홀 센서 주위를 움직이는 자성 물체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센서(110)는 교반기(39)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교반기(39)의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센서(110)가 감지한 교반기(39)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냉각수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교반기(39)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냉각수의 양을 저장하고 있고, 제어부(150)는 감지된 교반기(39)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냉각수의 양을 메모리(120)에서 획득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교반기(39)의 회전 속도와 냉각수의 양을 맵핑한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각수의 양 산출 방법>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가 교반기의 회전 속도 각각에 대해 냉각수의 양이 맵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냉각수의 양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반기의 회전 속도와 냉각수의 양을 맵핑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메모리(120)는 교반기(39)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회전 속도 값 각각을 냉각수 탱크(33)에 수용된 냉각수의 용량과 맵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교반기의 회전 속도 2000 RPM과 냉각수 용량 200ml을 맵핑하고, 교반기의 회전 속도 1500 RPM과 냉각수 용량 1000ml를 맵핑하고, 교반기의 회전 속도 1000 RPM과 냉각수 용량 1400ml를 맵핑하고, 교반기의 회전 속도 900 RPM과 냉각수 용량 1800ml를 맵핑하고, 교반기의 회전 속도 800 RPM과 냉각수 용량 2500 ml를 맵핑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2에서 교반기의 회전 속도 값 5개에 대하여 냉각수 용량을 나타냈지만 교반기의 회전 속도 값은 5개 이상이거나 미만 일 수도 있으며, 각 데이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센서(110)가 교반기(39)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감지된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냉각수의 양 정보를 메모리(120)에서 획득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예시를 참고하면, 센서(110)가 획득한 교반기의 회전 속도가 1000 RPM이면, 제어부(150)는 메모리(120)에서 냉각수의 양을 나타내는 정보 1400ml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교반기(39)의 회전 속도 각각에 대하여 맵핑된 냉각수의 양은 정수기의 모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산출된 냉각수의 양에 따라 알림을 출력부(130)가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설명한다.
<출력부>
출력부(130)는 설치 모드에서 산출된 냉각수의 양에 기초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정상적으로 냉각수가 공급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거나, 비정상적으로 냉각수가 공급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출력부(130)는 산출된 냉각수의 양에 기초하여 현재 냉각수 탱크(33)에 저장된 냉각수의 양을 수치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출력부(130)는 알림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알림을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
입력부(140)는 설치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설치 기사는 입력부(140)를 통해 정수기를 설치모드로 동작시키는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컨트롤 패널(14)에 구비된 버튼일 수 있다.
입력부(140)가 설치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150)는 설치모드로 동작하고, 제어부(150)는 설치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60)를 제어하여 냉각수 탱크(33)에 냉각수를 공급하고, 교반 모터(38), 및 센서(110) 등을 제어하여 냉각수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정수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밸브(60), 교반기(39), 교반 모터(38), 센서(110), 메모리(120), 출력부(130) 및 입력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감지된 교반기(39)의 회전 속도를 기준 속도와 비교하여 냉각수 탱크(33)에 수용된 냉각수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냉각수의 양 산출 방법>
제어부(150)는 교반기(39)의 회전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지 또는 기준 속도 미만인지에 따라 냉각수 탱크(33)에 저장된 냉각수의 양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속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제어부(150)는 교반기(39)의 회전 속도를 복수회 감지하여 냉각수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기준 속도와 비교하여 냉각수의 양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가 냉각수 탱크에 공급된 냉각수의 양을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어부(150)는 설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11).
입력부(140)가 설치 모드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150)는 설치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설치모드로 동작시 냉각수가 냉각수 탱크(33)에 공급되도록 밸브(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교반 모터(38)를 회전시켜 제1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S13).
제어부(150)는 교반 모터(38)를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고, 이 때 교반기(39)의 회전 속도인 제1 회전 속도를 센서(110)가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설치 모드로 동작한 후 냉각수를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냉각수 탱크(33)에 이미 수용되어 있는 냉각수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50)는 제1 회전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15).
예를 들어, 제1 기준 속도는 2500 RPM일 수 있고, 이는 교반기(39)가 냉각수에 의해 저항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의 회전 속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제1 기준 속도와, 후술하는 제2 내지 제4 기준 속도는 미리 설정된 속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기준 속도는 냉각수의 양을 예상하기 위하여 교반기의 회전 속도와 비교하는 기준이 되도록 미리 설정된 속도로, 정수기에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기준 속도는 정수기의 모델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각 모델에 대하여 냉각수를 공급하면서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감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2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50)는 제1 회전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이상이면 제1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S17).
제어부(150)는 냉각수를 아직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감지한 제1 회전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이상이면, 제1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알림은 냉각수 탱크(33)의 점검 필요성을 나타내는 알림으로, 냉각수 탱크(33)에 이미 저장된 냉각수가 있는지 확인하라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알림은 냉각수 탱크 내에 물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알림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제1 회전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미만이면, 냉각수를 1차 공급할 수 있다(S19).
여기서, 1차 공급하는 냉각수의 양은 냉각수가 교반기(39)의 최하면에 닿기 직전까지의 양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00m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제어부(150)는 냉각수를 1차 공급한 후, 교반 모터(38)를 회전시켜 제2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S21).
제어부(150)는 제2 회전 속도가 제2 기준 속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23).
제2 기준 속도도 제1 기준 속도와 유사하게 교반기(39)가 냉각수에 의해 저항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의 회전 속도이나, 오차 발생 등을 고려하여 제1 기준 속도 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준 속도는 2300 RPM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어부(150)는 제2 회전 속도가 제2 기준 속도 이상이면 제1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S17).
앞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알림은 냉각수 탱크(33)의 점검 필요성을 나타내는 알림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2 회전 속도가 제2 기준 속도 미만이면, 냉각수 탱크(33)에 미리 들어있는 냉각수는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2 회전 속도가 제2 기준 속도 미만이면, 냉각수를 2차 공급할 수 있다(S25).
여기서, 2차 공급하는 냉각수의 양은 응축기(19)가 구동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의 냉각수 양과 1차 공급한 냉각수의 양의 차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기(19)는 냉각수가 1400ml일 때 구동하기 시작하고, 1차 공급한 냉각수의 양이 200ml일 수 있고, 이 때 2차 공급하는 냉각수의 양은 1200m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제어부(150)는 냉각수를 2차 공급한 후, 교반 모터(38)를 회전시켜 제3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S27).
제어부(150)는 제3 회전 속도가 제3 기준 속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29).
제3 기준 속도는 냉각수가 응축기(19)가 구동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 수용된 경우 교반기(39)의 회전 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기준 속도는 1000m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제어부(150)는 제3 회전 속도가 제3 기준 속도 이상이면, 제2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1).
여기서, 제2 알림은 냉각수가 제대로 전달되고 있는지 점검 필요성을 나타내는 알림으로, 설치 배관(80)에서 누수가 발생하고 있지는 않은지, 밸브(60)가 정상적으로 개방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라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회전 속도가 제3 기준 속도 이상인 것은, 공급한 냉각수가 모두 냉각수 탱크(33)에 저장되지 않아, 교반기(39)가 저항을 보다 덜 받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제어부(150)는 제3 회전 속도가 제3 기준 속도 미만이면, 냉각수를 3차 공급할 수 있다(S33).
제어부(150)는 냉각수를 3차 공급하고, 교반 모터(38)를 회전시켜 제4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S35).
여기서, 3차 공급하는 냉각수의 양은 냉각수 탱크(33)의 전체 용량에서 1차 및 2차 공급한 냉각수의 양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가 만수위일 때 용량은 2500ml일 수 있고, 1차 공급한 200ml와 2차 공급한 1200ml를 뺀 1100m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제어부(150)는 제4 회전 속도가 제4 기준 속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37).
제4 기준 속도는 800RPM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제어부(150)는 제4 회전 속도가 제4 기준 속도 이상이면, 제2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S31).
제2 알림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4 회전 속도가 제4 기준 속도 미만이면, 설치 완료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S39).
제어부(150)는 출력부(130)가 설치 완료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설치 완료 알림은 냉각수 탱크(33)에 냉각수가 정상적으로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4 회전 속도가 제4 기준 속도 미만이면, 설치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설치 모드를 종료하면, 사용자에게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밸브(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4 기준 속도와, 냉각수 탱크(33)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또한, 도 11에서는 냉각수를 3차까지 공급하였으나, 냉각수의 공급 횟수는 더 세분화되거나 더 적을 수 있다.
한편, 냉각수의 양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 속도와 냉각수의 양은 정수기의 모델에 따라 여러 번 실험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도 12는 냉각수의 양에 따른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에 도시된 복수개의 그래프는 복수개의 정수기 각각에 대하여 냉각수를 공급하면서 측정한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 12을 참조하면, 냉각수의 양이 200ml일 때 교반기(39)의 회전 속도는 평균 2300 RPM일 수 있고, 냉각수의 양이 200ml일 때는 교반기(39)가 냉각수와 닿기 시작하는 시점의 양일 수 있다.
냉각수의 양이 1400ml일 때 교반기(39)의 회전 속도는 평균 1000 RPM일 수 있고, 냉각수의 양이 1400ml일 때는 응축기(19)가 구동하기 시작하는 시점의 양일 수 있다.
냉각수의 양이 1500ml일 때 교반기(39)의 회전 속도는 평균 800RPM일 수 있고, 냉각수의 양이 1500ml일 때는 냉각수가 만수위로 판단될 때의 양일 수 있다.
정수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급격하게 변하는 적어도 일 지점에서 교반기(39)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냉각수의 양을 산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설치 모드에서 유랑 센서(70)로 측정한 냉각수 탱크(33)에 공급한 냉각수의 양과, 도 11에서 설명한 알고리즘을 함께 적용하여 냉각수의 양을 보다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1차적으로 유량 센서(70)를 이용하여 냉각수 탱크(33)에 공급한 냉각수의 양을 측정하고, 교반 모터(38)를 회전시켜 교반기(39)의 회전 속도를 통해 측정한 냉각수의 양이 맞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L1: 정수 라인 L3: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
L5: 출수 라인
17: 필터 어셈블리 33: 냉각수 탱크
38: 교반 모터 39: 교반기
61: 급수 밸브 80: 설치 배관
110: 센서 150: 제어부

Claims (13)

  1. 필터 어셈블리;
    냉각수가 수용되는 냉각공간이 형성된 냉각수 탱크;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정수 라인;
    상기 정수 라인에 설치되는 급수 밸브;
    상기 정수 라인을 통과한 물이 출수되는 취출구가 구비된 출수 라인;
    상기 정수 라인과 상기 출수 라인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냉각공간에 수용되는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
    상기 냉각수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공간으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냉각수 라인;
    상기 냉각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교반기;
    상기 교반기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교반 모터;
    상기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한 교반기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에 수용된 냉각수의 양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냉각수 탱크 내 냉각수의 양에 따라 회전 속도가 상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수의 양에 따른 알림을 출력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의 회전 속도와 상기 냉각수 탱크에 수용된 냉각수의 양을 맵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교반기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냉각수의 양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서 획득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기준 속도와 비교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에 수용된 냉각수의 양을 산출하는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한 교반기의 회전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면 알림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기 전에 교반 모터를 회전시켜 제1 회전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1 회전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이상이면 제1 알림을 출력하는 정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미만이면 냉각수를 1차 공급하고,
    냉각수를 1차 공급한 후 교반 모터를 회전시켜 제2 회전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2 회전 속도가 제2 기준 속도 이상이면 제1 알림을 출력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회전 속도가 제2 기준 속도 미만이면 냉각수를 2차 공급하고,
    냉각수를 2차 공급한 후 교반 모터를 회전시켜 제3 회전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3 회전 속도가 제3 기준 속도 이상이면 제2 알림을 출력하는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회전 속도가 제3 기준 속도 미만이면 냉각수를 3차 공급하고,
    냉각수를 3차 공급한 후 교반 모터를 회전시켜 제4 회전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4 회전 속도가 제4 기준 속도 이상이면 제2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제4 회전 속도가 제4 기준 속도 미만이면 설치 완료 알림을 출력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는 정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은
    상기 냉각수 탱크 내의 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알림이고,
    상기 제2 알림은
    상기 냉각수 라인의 점검 필요를 나타내는 알림인 정수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라인은
    상기 취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 탱크로 물을 안내하는 설치 배관을 포함하는 정수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은 상기 냉각공간에 수용된 냉수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공간에는 상기 냉수 배관의 내측에 위치되는 증발기가 수용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증발기의 내측에 수용된 정수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기 냉각공간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정수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교반기의 회전축에 설치된 홀 센서인 정수기.
KR1020180002329A 2018-01-08 2018-01-08 정수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45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329A KR102445207B1 (ko) 2018-01-08 2018-01-08 정수기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329A KR102445207B1 (ko) 2018-01-08 2018-01-08 정수기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04A KR20190084504A (ko) 2019-07-17
KR102445207B1 true KR102445207B1 (ko) 2022-09-20

Family

ID=6751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329A KR102445207B1 (ko) 2018-01-08 2018-01-08 정수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2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5592A (en) 1979-11-26 1982-06-22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Automatic washer
KR200157412Y1 (ko) 1994-11-30 1999-09-15 전주범 세탁기의수위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013B1 (ko) * 2015-08-27 202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91442B1 (ko) * 2016-04-11 2019-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5592A (en) 1979-11-26 1982-06-22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Automatic washer
KR200157412Y1 (ko) 1994-11-30 1999-09-15 전주범 세탁기의수위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04A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2282B2 (en) Liquid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326832B2 (en) Refrigerator
US9856126B2 (en) Water dispenser
US929757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8661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orking fluid charge in a vapor compression air conditioning system
US10472221B2 (en) Liquid dispenser
BR112012029275B1 (pt) Sistema de dispensação de bebida, refrigerador, método para gerenciar um sistema de dispensação e implementado por comutador, e, unidade de controle
CN113137793A (zh) 制冰机
KR102445207B1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8075962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KR20140099747A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5429017B2 (ja) 給湯装置
RU2732221C1 (ru) Охлаждающая ванна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жидкости
CN208808177U (zh) 饮水机及其控制装置
JP3876697B2 (ja) 給湯装置
US20080230620A1 (en) Hot Water Supply Apparatus
WO2023066088A1 (zh) 用于检测水套冷却储冰室中冰位的传感器组件
KR102609457B1 (ko) 정수기의 제어방법
KR20240064150A (ko) 정수기
KR102042570B1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방법
KR102223921B1 (ko) 정수기
KR100301636B1 (ko) 냉장고자동제빙기의급수제어방법
KR102167560B1 (ko) 정수기
WO2022121850A1 (zh) 带嵌入式漏水传感器的制冷电器水过滤器
JP2014066480A (ja) ヒートポンプ式熱源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