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149B1 - 차량 제어를 위한 사용자 기기의 등록 및 인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를 위한 사용자 기기의 등록 및 인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149B1
KR102445149B1 KR1020210114700A KR20210114700A KR102445149B1 KR 102445149 B1 KR102445149 B1 KR 102445149B1 KR 1020210114700 A KR1020210114700 A KR 1020210114700A KR 20210114700 A KR20210114700 A KR 20210114700A KR 102445149 B1 KR102445149 B1 KR 102445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andom data
registration
authentication
u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희
김태호
오세훈
서태인
Original Assignee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모터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4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149B1/ko
Priority to JP2022136777A priority patent/JP2023036011A/ja
Priority to EP22192889.8A priority patent/EP4145866A1/en
Priority to US17/899,084 priority patent/US2023006767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72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using geo-location information, e.g. location data, time, relative position or proximity to other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1Hardware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 G07C2009/0047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dynamically
    • G07C2009/00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dynamically whereby the code is a random cod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07C2009/0098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fob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2Access control comprising means for the enrolment of u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4Access control involving a hierarchy in access righ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G07C2209/64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using a proximity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 H04L2209/805Lightweight hardware, e.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4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5Multiple levels of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차량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기기를 등록 및 인증하는 장치는, 상기 사용자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에 포함되고 상기 차량의 FOB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통신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수신된 인증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등록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FOB를 소지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미등록 시, 상기 FOB의 소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등록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를 위한 사용자 기기의 등록 및 인증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OF USER EQUIPMENT FOR CONTROLLING VEHICLE}
본 개시(disclosure)의 기술적 사상은 차량 내에 탑재되어 차량 제어를 위한 사용자 기기의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스마트 키는 사용자가 별도의 키 삽입이나 작동 버튼의 조작 없이도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장치이다. 최근에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차량에 적용되는 통신 및 전자 제어 기술 또한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
특히 최근 출시되는 차량들 중에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나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기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거나 차량의 시동을 거는 등 사용자 기기와 차량 간의 통신을 통한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기기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나 LTE, 5G,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차량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가족이 함께 이용하는 차량이나 업무용 차량, 공유 차량의 경우, 다수의 사용자들이 한정된 수의 스마트 키로 차량을 이용하는 것은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바, 상술한 사용자 기기를 통해 차량을 이용하는 기능의 수요가 높을 수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51593호 (2021.05.07. 자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버와의 통신 없이도,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기기들을 통해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등록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달리하여 사용자 기기들을 등록할 수 있는 등록 및 인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aspect)에 따른 차량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기기를 등록 및 인증하는 장치는, 상기 사용자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에 포함되고 상기 차량의 FOB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통신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수신된 인증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등록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FOB를 소지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미등록 시, 상기 FOB의 소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등록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고, 상기 마스터 기기의 제어 권한은 상기 일반 기기 및 상기 임시 기기의 제어 권한보다 많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FOB를 소지한 상태로 감지되고, 마스터 기기로 기 등록된 다른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등록하기 위한 등록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인증을 위한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상기 인증 요청에 포함된 랜덤 데이터 수신처 정보에 따라 전송하고, 상기 랜덤 데이터의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랜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입력된 랜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랜덤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상기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하고, 상기 인증 요청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기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FOB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로 감지되고, 마스터 기기로 등록된 다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기 위한 등록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인증을 위한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기기로 등록된 다른 기기의 랜덤 데이터 수신처 정보에 따라 전송하고, 상기 랜덤 데이터의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랜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입력된 랜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랜덤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상기 일반 기기 또는 상기 임시 기기로 등록하고, 상기 인증 요청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기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생성된 랜덤 데이터는, 일반 기기로의 등록에 대응하는 제1 랜덤 데이터와, 임시 기기로의 등록에 대응하는 제2 랜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제1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일반 기기로 등록하고,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제2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임시 기기로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FOB를 소지한 상태로 감지되고, 마스터 기기로 등록된 다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기 위한 등록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인증을 위한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기기로 등록된 다른 기기의 랜덤 데이터 수신처 정보에 따라 전송하고, 상기 랜덤 데이터의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랜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입력된 랜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 일반 기기, 또는 상기 임시 기기로 등록하고, 상기 인증 요청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기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생성된 랜덤 데이터는, 마스터 기기로의 등록에 대응하는 제3 랜덤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제1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일반 기기로 등록하고,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제2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임시 기기로 등록하고,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제3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등록하고, 마스터 기기로 기 등록된 다른 기기의 등록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기기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FOB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FOB의 상대적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거리 또는 상대적 위치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FOB를 소지한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차량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기기를 등록 및 인증하는 방법은, 상기 차량에 포함된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수신된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FOB를 소지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기기의 미등록 시, 상기 FOB의 소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차량 내에 탑재된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는 별도의 인증 서버 없이 사용자 기기와의 인증 및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바, 보다 간소하고 효율적인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는 FOB와 같은 차량의 스마트 키 소지 여부를 감지하여, 등록될 사용자 기기의 등록 유형을 능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의 손쉬운 등록을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본 개시에 따르면 마스터 기기의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 기기의 등록 시 차량의 근처에 위치하지 않고도 등록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바, 관리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등록 및 인증 장치와 방법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와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와 사용자 기기 간의 등록 및/또는 인증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사용자의 FOB 소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사용자 기기의 등록 여부 및 FOB 소지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프로세스의 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제1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등록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제2 사용자 기기를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제3 사용자 기기를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제4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에 탑재된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제5 사용자 기기를 인증 및/또는 등록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아래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층들, 부위 및/또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부위 및/또는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를 다른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개시의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 또는 과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 또는 과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PU(Accelerate Processor Unit), DSP(Drive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과 같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memory)와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및/또는' 용어는 언급된 부재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 네트워크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10)와 차량(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량(20)은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 및 차량 ECU(Electronic Control Unit; 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차량(20)은 FOB(12)와 같은 스마트 키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FOB(12)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들(25; 예컨대 LF(low frequency)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B(12)는 차량(20)의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들(25)은 FOB(12)가 차량 내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실내용 안테나들, 및 FOB(12)가 차량과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 여부 및/또는 FOB(12)의 거리나 위치 등을 감지하는 복수의 실외용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차량(20)과 FOB(12) 간의 통신 방식에 따라 안테나의 종류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 기기(10)는 차량(20)의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기기(10)는 차량(20)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와이 파이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WB(Ultra Wideband) 통신 등의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 기기(10)와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 간의 통신이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서만 수행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기기(10)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와 와이파이, LTE(long term evolution), 5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기기(10)와 차량 ECU(23)는, 사용자 기기(10)를 통한 차량(20)의 제어를 위한 정보나 명령, 차량(20)의 상태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사용자 기기(10)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기기(10)를 차량(20)의 제어 가능 기기로서 등록하고, 차량(20)의 이용 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기기(10)의 등록 시 제어 가능 항목은 도어나 윈도의 개폐, 공조 제어, 시동 온/오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기기(1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휴대용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RFID 태그나 NFC 태그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나 입력부가 존재하지 않는 기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기기(10)에는 차량(20)과의 통신을 통한 기기 등록 및 인증이나 차량 제어 기능 실행 등을 위한 차량 제어 APP(도 2의 152)이 설치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상술한 사용자 기기(10)의 등록 및 인증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차량(20) 내에 탑재된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차량 ECU(23)와 일체로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별도의 서버와 연결되지 않고도, 사용자 기기(10)의 등록 및 인증 절차를 전반적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를 이용한 사용자 기기(10)의 등록 및 인증 절차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추후 도 3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가 차량 ECU(23)와 분리된 형태의 디바이스로 제공되는 경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통신, 이더넷(Ethernet) 통신, FlexRay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 ECU(23)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는 각종 제어 신호, 센싱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 예에 따라,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와 차량 ECU(23) 사이에는 차량 게이트웨이(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CAN 통신 등을 통해 상기 차량 게이트웨이와 연결되고, 상기 차량 게이트웨이를 통해 차량 ECU(23)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차량 ECU(23)는 차량(20)의 대부분의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ECU(23)는 PTC(Powertrain Controller) 도메인, BEM(Body Electronic Module) 도메인, HU(Head Unit) 도메인, CSC(Chassis and Safety Controller)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PTC 도메인은 엔진 제어기, 파워트레인 센서, 하이브리드 제어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BEM 도메인은 도어 제어기, 공조 제어기, 시트 제어기, 트렁크 제어기, 창문/미러 제어기, 램프 제어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HU(Head Unit) 도메인은 네비게이션, 멀티미디어(오디오/비디오 등), 텔레매틱스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CSC(Chassis and Safety Controller) 도메인은 제동 제어기, 스티어링 제어기, 환경 센서, 에어벡 제어기, 크루즈 제어기, 타이어 압력 제어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ECU(23)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에 의해 사용자 기기(10)의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 기기(10)로부터 차량(20)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20)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와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기기(1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메모리(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통신부(210), 메모리(220), 인터페이스(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기기(10) 및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의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 예로서, 사용자 기기(10) 및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구성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기기(10)의 통신부(110)는 소정 거리 내의 근거리에 위치한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 등의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2), 이동 통신망을 통해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 다른 기기, 및/또는 서버 등과 통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114)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2)은 블루투스, NFC, UWB 등의 공지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4)은 LTE, LTE-A(LTE-Advanced), 5G 등의 공지된 이동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기기(10)의 기능 실행이나 정보 입력 등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20)는 마이크로폰, 카메라, 버튼, 다이얼, 터치 패널, 및/또는 터치 스크린 등의 기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사용자 기기(10)을 통해 처리된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부(130)는 상기 정보나 데이터를 텍스트 또는 그래픽 형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3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피커, 햅틱 모듈 등의 다양한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사용자 기기(1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프로그램 데이터,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사용자 기기(10)의 등록 및 인증, 차량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차량 제어 APP(152))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괄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기기(10)에 포함된 구성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차량 제어 APP(152)이 실행되면, 차량 제어 APP(152)을 통해 사용자 기기(10)와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 간의 기기 등록 및 인증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차량 제어 APP(152)을 통한 차량 제어 명령을 차량(20)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의 통신부(210)는 소정 거리 내의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 기기(10) 등의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12), 이동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기기(10), 다른 기기나 서버 등과 통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214)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12)은 블루투스, NFC, UWB 등의 통신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14)은 LTE, LTE-A(LTE-Advanced), 5G 등의 공지된 이동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가 통신부(2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210)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에 포함되지 않고 차량(20)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차량 ECU(23)를 통해 통신부(210)를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의 사용자 기기 등록 및 인증 동작과 관련된 정보, 인증 APP(242)의 데이터나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0)는 등록된 사용자 기기(10)의 정보(예컨대 기기명, 셀 넘버, MAC 어드레스, 전화번호,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정보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30)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와 차량 ECU(23) 사이의 신호 또는 정보 교환을 위해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와 차량 ECU(23)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인터페이스(230)는 기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유무선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에에 따라, 인터페이스(230)는 통신부(210)에 포함되는 일 구성에 해당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40)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에 포함된 구성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40)는 인증 APP(242)을 이용하여 사용자 기기(10)의 등록 및 인증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예컨대 버튼, 다이얼, 터치 패널 등), 적어도 하나의 출력 수단(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 ECU(23)는 차량(20) 내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장치(27)와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 장치(27)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차량 ECU(23)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 장치(27)는 차량(20) 내에 배치된 다양한 형태의 입력(또는 조작) 수단으로서, 엔진 시동 및 엔진 오프를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시동 버튼, 소정의 메뉴 또는 항목 등을 선택하거나 볼륨의 증감, 채널의 변경 등을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장치(27)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형태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 및/또는 터치 스크린, 및 사용자로부터 푸시 형태의 입력을 수신하는 물리 버튼부 등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10)의 등록 및 인증 프로세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와 사용자 기기 간의 등록 및/또는 인증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사용자의 FOB 소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사용자 기기의 등록 여부 및 FOB 소지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프로세스의 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기기(10)는 사용자의 입력 등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 APP(152)을 실행할 수 있다(S300).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제어 APP(152)이 최초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기기(10)는 입력부(120) 등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310).
차량 제어 APP(152)이 사용자 기기(10)에 설치된 후 최초로 실행될 경우, 사용자 기기(10)는 차량(20)에 등록되지 않은 기기일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사용자 기기(10)의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기기(10)를 차량(20)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중 일부로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명, 나이, 성별,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기기 등록 과정에서 추후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부터 수신할 랜덤 데이터의 수신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신처 정보는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정보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통신 모듈(114)을 통해 랜덤 데이터를 수신가능한 다양한 수단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기기(10)의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제어 APP(152)에는 상기 수신처 정보가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상기 수신처 정보로 인증 데이터(인증 메일, 인증 메시지, 랜덤 데이터 등)를 전송하고, 사용자 기기(10)의 사용자는 상기 인증 데이터를 수신 확인하거나,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랜덤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수신처 정보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10)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320).
차량 제어 APP(152)의 실행이 최초 실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차량 제어 APP(152)의 실행 시 또는 실행된 차량 제어 APP(152)을 통해 수신된 인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인증 요청을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및/또는 기기 정보(기기명, 셀 넘버, MAC 어드레스, 전화번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제어 APP(152)이 최초 실행된 경우, 프로세서(150)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수신된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기기(10)의 등록 여부 및 FOB(12)의 소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30).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의 프로세서(240)는, 인증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 기기(10)가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인증 요청에 포함된 기기 정보를 등록된 사용자 기기의 기기 정보(메모리(220) 등에 저장됨)와 비교하여, 사용자 기기(10)의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사용자 기기(10)의 사용자가 FOB(12)를 소지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통해 FOB(12)의 소지 여부 확인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통신부(210)를 이용하여, 차량(20)과 사용자 기기(10) 사이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S400).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210)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210)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에 포함되지 않고 차량 내에 구현된 구성일 수 있다. 통신부(210)가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차량 ECU(23)를 통해 통신부(210)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20)과 사용자 기기(10) 사이의 거리(제1 거리)는 통신부(210)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12)을 이용하여 추정될 수 있고, 신호의 세기나 RSSI를 이용하여 추정되는 공지된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차량(20)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12)이 구현되는 경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삼각측량법 등에 기초하여 차량(20)에 대한 사용자 기기(10)의 상대적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복수의 실외용 LF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차량(20)과 FOB(12) 사이의 거리 또는 차량(20)에 대한 FOB(12)의 상대적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S410).
S400 단계와 유사하게,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실외용 안테나(예컨대 LF 안테나)를 통해 FOB(12)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 또는 RSSI를 이용하여 FOB(12)와 차량(20) 사이의 거리(제2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차량(20)에는 복수의 실외용 안테나가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복수의 실외용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차량(20)에 대한 FOB(12)의 상대적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S400 단계 내지 S410 단계의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FOB 소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20).
구체적으로,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상기 제1 거리와 제2 거리 사이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사용자가 FOB(12)를 소지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상기 제1 거리와 제2 거리 사이의 차이가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FOB(12)가 감지되지 않아 제2 거리가 추정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FOB(12)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추정된 사용자 기기(10)의 위치와 FOB(12)의 위치 사이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FOB(12) 소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설명한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사용자 기기(10)의 등록 여부 및 FOB(12)의 소지 여부의 확인 결과에 기초한 응답을 사용자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340). 예컨대 상기 응답은 상기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수행될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상기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다양한 프로세스를 능동적으로 설정하여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10)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기기(10)와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사용자 기기(10)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350). 반면 사용자 기기(10)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기기(10)의 프로세서(150)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360). 상기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132) 등을 통해 시각적 형태로 제공되는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통해 S340 단계 내지 S360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사용자 기기(10)가 기 등록된 기기인 경우(S510의 YES), 등록 유형에 기초하여 차량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응답을 사용자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520).
차량(20)의 제어 권한은 등록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여러 대의 사용자 기기들 각각에 대해 어느 하나의 등록 유형을 갖도록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등록 유형은 마스터, 일반, 및 임시로 구분될 수 있다. 마스터로 등록된 사용자 기기(마스터 기기)는 일종의 관리자 권한을 갖는 기기로서, 다른 유형에 비해 차량의 제어 권한이 많을 수 있다. 마스터 기기(또는 마스터 기기의 사용자)는 등록된 일반 기기 및/또는 임시 기기의 삭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 기기 및 임시 기기의 등록 프로세스, 마스터 기기의 변경 등록 프로세스에서, 등록 진행 중인 사용자 기기는 마스터 기기로부터 랜덤 데이터를 수신하여야 등록 프로세스를 완료할 수 있는 바, 마스터 기기는 다른 사용자 기기들의 등록 권한까지도 가질 수 있다. 차량(20)에는 한 대의 사용자 기기만이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일반 유형으로 등록된 사용자 기기(일반 기기)는 마스터 기기에 비해 차량의 제어 권한이 적을 수 있고(예컨대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제어 권한만을 가짐), 마스터 기기(또는 마스터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삭제되기 전까지는 차량(20)의 제어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반면, 임시 유형으로 등록된 사용자 기기(임시 기기)는 마스터 기기(또는 마스터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승인된 기간 또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만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제어 권한을 가질 수 있고, 기간의 경과 시 제어 권한이 자동으로 사라질 수 있다.
반면, 사용자 기기(10)가 기 등록된 기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S510의 NO),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사용자 기기(10)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등록 프로세스는 FOB(12)의 소지 여부, 및 마스터 기기로서 기 등록된 기기의 존재 여부에 따라 세분화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10)의 사용자가 FOB(12)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S530의 NO),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사용자 기기(10)를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서 등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540). S540 단계에 대해서는 추후 도 7 내지 도 8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기기(10)의 사용자가 FOB(12)를 소지하고(S530의 YES), 마스터 기기로서 기 등록된 다른 사용자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550의 NO),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사용자 기기(10)를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560). S560 단계에 대해서는 추후 도 6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반면 마스터 기기로서 기 등록된 다른 사용자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S550의 YES),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기 등록된 마스터 기기를 사용자 기기(10)로 변경하거나, 사용자 기기(10)를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서 등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570). S570 단계에 대해서는 추후 도 9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제1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등록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기기(10a)는 사용자 등으로부터의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 제어 APP(152)을 실행하고(S600), 최초 실행 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S610),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S620). S600 단계 내지 S620 단계는 도 3의 S300 단계 내지 S320 단계와 유사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수신된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마스터 기기로의 등록 진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30). 도 4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40)는 제1 사용자 기기(10a)가 등록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FOB(12)를 소지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1 사용자 기기(10a)를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하는 프로세스(이하 S632 내지 S658)를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기기 등록 및 인증 기기(21)는 제1 사용자 기기(10a)의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수단으로서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S632),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수신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기기(10a)로 전송할 수 있다(S634).
프로세서(240)는 사용자 기기의 등록을 위한 인증 시마다 서로 다른 값을 갖는 랜덤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인증 시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통신부(210)의 이동통신 모듈(214)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신처 정보가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인 경우, 프로세서(240)는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메일을 이동통신 모듈(214)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처 정보가 제1 사용자 기기(10a)의 전화번호인 경우, 프로세서(240)는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포함하는 SMS 또는 MMS를 제1 사용자 기기(10a)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랜덤 데이터는 마스터로 등록된 기기의 존재 여부, 및 등록 진행 중인 사용자 기기(10)의 사용자가 FOB(12)를 소지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 예와 같이 마스터로 등록된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사용자 기기(10a)로 전송되는 랜덤 데이터는 마스터에 대응하는 하나의 랜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도 7 내지 도 8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로 등록된 기기가 존재하고 FOB(12)의 소지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랜덤 데이터는 일반 기기로의 등록에 대응하는 랜덤 데이터와, 임시 기기로의 등록에 대응하는 랜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로 등록된 기기가 존재하고 FOB(12)의 소지가 감지되는 경우, 랜덤 데이터는 마스터 기기, 일반 기기, 및 임시 기기 각각에 대응하는 총 세 개의 랜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기기 등록 및 인증 기기(21)의 메모리(220)에는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기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1 사용자 기기(10a)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랜덤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의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상기 확인 결과에 기초한 응답을 제1 사용자 기기(10a)로 전송할 수 있다(S640). 예컨대 상기 응답은 마스터 기기로의 등록 프로세스를 진행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기기(10a)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에 의해 전송된 랜덤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하여, 사용자로부터 랜덤 데이터의 입력을 획득하고(S650), 입력된 랜덤 데이터를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S652).
예컨대,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응답에 기초하여 랜덤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3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기기(10a)의 사용자는 상기 수신처 정보로 전송된 랜덤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랜덤 데이터를 상기 화면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랜덤 데이터의 입력이 획득되면, 획득된 랜덤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2)을 통해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제1 사용자 기기(10a)로부터 수신된 랜덤 데이터를 S632 단계에서 생성한 랜덤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제1 사용자 기기(10a)의 인증 및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S654).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랜덤 데이터와 생성한 랜덤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사용자 기기(10a)를 차량(20)의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기기(10a)의 등록 시, 프로세서(240)는 S620 단계에서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기기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등록 결과를 제1 사용자 기기(10a)로 전송하고(S656), 제1 사용자 기기(10a)는 등록 결과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658).
프로세서(240)는 제1 사용자 기기(10a)의 등록이 완료된 경우, 등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 또는 알림을 제1 사용자 기기(10a)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기기(10a)의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메시지 또는 알림에 대응하는 등록 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13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수신된 랜덤 데이터와 생성한 랜덤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240)는 등록 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 또는 알림을 제1 사용자 기기(10a)로 전송하거나, 랜덤 데이터의 재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알림을 제1 사용자 기기(10a)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기기(10a)의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메시지 또는 알림에 기초하여 랜덤 데이터의 입력 화면을 다시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랜덤 데이터를 재입력받아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마스터 기기로의 등록이 완료된 경우, 제1 사용자 기기(10a)는 차량 제어 APP(152)을 통해 차량(20)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660).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제2 사용자 기기를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700 단계 내지 S720 단계는 도 3의 S300 단계 내지 S320 단계와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수신된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의 등록 진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730). 도 4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40)는 제2 사용자 기기(10b)가 등록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FOB(12)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240)는 다른 사용자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되어 있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2 사용자 기기(10b)를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서 등록하는 프로세스(이하 S732 내지 S758)를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프로세서(240)는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의 등록 프로세스 결정 시, 마스터로 등록된 기기(또는 사용자)의 랜덤 데이터 수신처 정보의 입력 요청을 제2 사용자 기기(10b)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기기(10b)는 상기 입력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수신처 정보를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수신처 정보와 상기 마스터로 등록된 기기의 랜덤 데이터 수신처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일치하는 경우 제2 사용자 기기(10b)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등록 프로세스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제2 사용자 기기(10b)의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수단으로서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S732),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된 사용자 기기(또는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S734).
프로세서(240)는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된 사용자 기기의 수신처(이메일, 전화번호 등)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랜덤 데이터는 일반 기기에 대응하는 제1 랜덤 데이터와 임시 기기에 대응하는 제2 랜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랜덤 데이터는 마스터 기기에 대응하는 제3 랜덤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상기 확인 결과에 기초한 응답을 제2 사용자 기기(10b)로 전송할 수 있다(S740). 예컨대 상기 응답은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의 등록 프로세스를 진행함을 나타내는 정보와, 인증을 위한 랜덤 데이터를 마스터 기기로 전송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기기(10b)는 마스터 기기로 전송된 랜덤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하여, 사용자로부터 랜덤 데이터의 입력을 획득하고(S750), 입력된 랜덤 데이터를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S752).
마스터 기기의 사용자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부터 수신된 랜덤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랜덤 데이터를 제2 사용자 기기(10b)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기기의 사용자는 수신된 상기 제1 랜덤 데이터 내지 제3 랜덤 데이터 중, 원하는 등록 유형에 해당하는 랜덤 데이터를 제2 사용자 기기(10b)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기기(10b)의 사용자는 제공받은 랜덤 데이터를 입력부(120) 등을 통해 제2 사용자 기기(10b)에 입력하고, 제2 사용자 기기(10b)의 프로세서(150)는 입력된 랜덤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2)을 통해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제2 사용자 기기(10b)로부터 수신된 랜덤 데이터를 S732 단계에서 생성한 랜덤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증 및 제2 사용자 기기(10b)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S754).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랜덤 데이터와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생성된 제1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2 사용자 기기(10b)를 일반 기기로서 등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생성된 제3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2 사용자 기기(10b)를 마스터 기기로 변경할 수도 있다.
제2 사용자 기기(10b)의 등록 시, 프로세서(240)는 S720 단계에서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기기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기기(10b)의 등록 유형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등록 결과를 제2 사용자 기기(10b)로 전송하고(S756), 제2 사용자 기기(10b)는 등록 결과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758).
프로세서(240)는 제2 사용자 기기(10b)의 등록이 완료된 경우, 등록 완료 및 등록 유형을 나타내는 메시지 또는 알림을 제2 사용자 기기(10b)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기기(10a)의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메시지 또는 알림에 대응하는 등록 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13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40)는 제2 사용자 기기(10b)의 등록이 완료됨을 나타내는 메시지 또는 알림을 마스터 기기로도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생성된 랜덤 데이터 중 어느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240)는 등록 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 또는 알림을 제2 사용자 기기(10b)로 전송하거나, 랜덤 데이터의 재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알림을 제2 사용자 기기(10b)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사용자 기기(10b)의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메시지 또는 알림에 기초하여 랜덤 데이터의 입력 화면을 다시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랜덤 데이터를 재입력받아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일반 또는 임시 기기로의 등록이 완료된 경우, 제2 사용자 기기(10b)는 차량 제어 APP(152)을 통해 차량(20)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760).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제3 사용자 기기를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의 실시 예는 제3 사용자 기기(10c)가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및/또는 입력부가 존재하지 않는 휴대용 기기(웨어러블 기기 등)로 구현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사용자 기기(10c)와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등을 통해 통신 연결되면(S800), 제3 사용자 기기(10c)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820).
제3 사용자 기기(10c)의 프로세서(150)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12) 등을 통해 차량(20)과 연결됨을 감지하면, 차량(20)으로 제3 사용자 기기(10c)의 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은 제3 사용자 기기(10c)의 기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수신된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의 등록 진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830). 도 4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40)는 제3 사용자 기기(10c)가 등록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FOB(12)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240)는 다른 사용자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되어 있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3 사용자 기기(10c)를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서 등록하는 프로세스(이하 S832 내지 S860)를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프로세서(240)는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의 등록 프로세스 결정 시, 마스터로 등록된 기기(또는 사용자)의 랜덤 데이터 수신처 정보의 입력 화면을 차량(20)의 디스플레이(AVN 등)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기기(10c)의 사용자는 상기 출력된 화면을 통해 수신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입력된 수신처 정보와 상기 마스터로 등록된 기기의 랜덤 데이터 수신처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일치하는 경우 제3 사용자 기기(10c)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등록 프로세스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제3 사용자 기기(10c)의 인증 수단으로서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S832),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된 사용자 기기(또는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S834).
프로세서(240)는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된 사용자 기기의 수신처(이메일, 전화번호 등)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랜덤 데이터는 일반 기기에 대응하는 제1 랜덤 데이터와 임시 기기에 대응하는 제2 랜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상기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ECU(23)로 랜덤 데이터 입력 화면의 출력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840). 예컨대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인증 요청에 포함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제3 사용자 기기(10c)가 태그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및/또는 입력부를 구비하지 않은 기기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40)는 차량(20) 내의 디스플레이(예컨대 AVN 등) 및 사용자 입력 장치(27)를 이용하여 랜덤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 차량 ECU(23)로 랜덤 데이터 입력 화면의 출력을 요청할 수 있다.
차량 ECU(23)는 마스터 기기로 전송된 랜덤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하는 랜덤 데이터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S850), 제3 사용자 기기(10c)의 사용자 등으로부터 랜덤 데이터의 입력을 획득하며(S852), 획득된 랜덤 데이터를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S854).
차량 ECU(23)는 상기 랜덤 데이터 입력 화면을 차량(20) 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여, 랜덤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랜덤 데이터의 입력을 위해서는 제3 사용자 기기(10c)의 사용자 또는 기 등록된 기기의 사용자 등이 차량(20) 내에 탑승하여야 한다. 일례로, 제3 사용자 기기(10c)의 사용자와 마스터 기기의 사용자가 동행한 경우 또는 제3 사용자 기기(10c)의 사용자와 마스터 기기의 사용자가 동일인인 경우에는, 마스터 기기에 의해 차량의 도어가 언락(unlock)되어 사용자가 차량(20)에 탑승할 수 있다.
반면, 제3 사용자 기기(10c)의 사용자만이 차량(20)의 근처에 위치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차량(20)에 탑승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921)는 S834 단계에서 랜덤 데이터를 마스터 기기로 전송함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차량(20)의 도어 언락 여부의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기기의 사용자가 수신된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도어 언락 명령을 입력한 경우, 마스터 기기는 차량(20)으로 상기 도어 언락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차량(20)의 도어가 언락될 수 있다.
차량(20)의 내부에 탑승한 사용자(제3 사용자 기기(10c)의 사용자 등)는 마스터 기기의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랜덤 데이터를 상기 랜덤 데이터 입력 화면 및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기기의 사용자는 수신된 상기 제1 랜덤 데이터 내지 제2 랜덤 데이터 중, 원하는 등록 유형에 해당하는 랜덤 데이터를 제3 사용자 기기(10c)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제3 사용자 기기(10c)로부터 수신된 랜덤 데이터를 S832 단계에서 생성한 랜덤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증 및 제3 사용자 기기(10c)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S856).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랜덤 데이터와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생성된 제1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3 사용자 기기(10c)를 일반 기기로서 등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생성된 제2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2 사용자 기기(10b)를 임시 기기로 등록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기기(10c)의 등록 시, 프로세서(240)는 S820 단계에서 수신한 기기 정보(및 사용자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고, 제3 사용자 기기(10c)의 등록 유형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등록 결과를 차량 ECU(23)로 전송하고(S858), 차량 ECU(23)는 등록 결과를 차량(20) 내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S860). 실시 예에 따라,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등록 결과를 제3 사용자 기기(10c)로도 전송할 수 있고, 도 7에서 상술한 S756 단계 및 S758 단계에서 설명한 동작과 유사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제4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900 단계 내지 S920 단계는 도 3의 S300 단계 내지 S320 단계와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수신된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마스터 기기의 변경 등록, 또는 일반/임시 기기로의 등록 진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930). 도 4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40)는 제4 사용자 기기(10d)가 등록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FOB(12)를 소지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240)는 다른 사용자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되어 있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4 사용자 기기(10d)를 마스터 기기로서 변경 등록하거나,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서 등록하는 프로세스(이하 S932 내지 S958)를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프로세서(240)는 마스터 기기의 변경 등록 또는 일반/임시 기기로의 등록 프로세스 결정 시, 마스터로 등록된 기기(또는 사용자)의 랜덤 데이터 수신처 정보의 입력 요청을 제4 사용자 기기(10d)로 전송할 수 있다. 제4 사용자 기기(10d)는 상기 입력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수신처 정보를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수신처 정보와 상기 마스터로 등록된 기기의 랜덤 데이터 수신처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일치하는 경우 제4 사용자 기기(10d)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등록 프로세스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제4 사용자 기기(10d)의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수단으로서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S932),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된 사용자 기기(또는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S934).
프로세서(240)는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된 사용자 기기(또는 사용자)의 수신처(이메일, 전화번호 등)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랜덤 데이터는 일반 기기에 대응하는 제1 랜덤 데이터와 임시 기기에 대응하는 제2 랜덤 데이터, 및 마스터 기기에 대응하는 제3 랜덤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상기 확인 결과에 기초한 응답을 제4 사용자 기기(10d)로 전송할 수 있다(S940). 예컨대 상기 응답은 마스터 기기의 변경 등록 프로세스, 또는 일반/임시 기기로의 등록 프로세스를 진행함을 나타내는 정보와, 인증을 위한 랜덤 데이터를 마스터 기기로 전송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사용자 기기(10d)는 마스터 기기로 전송된 랜덤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하여, 사용자로부터 랜덤 데이터의 입력을 획득하고(S950), 입력된 랜덤 데이터를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S952).
마스터 기기의 사용자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부터 수신된 랜덤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랜덤 데이터를 제4 사용자 기기(10d)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기기의 사용자는 수신된 상기 제1 랜덤 데이터 내지 제3 랜덤 데이터 중, 원하는 등록 유형에 해당하는 랜덤 데이터를 제4 사용자 기기(10d)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4 사용자 기기(10d)의 사용자는 제공받은 랜덤 데이터를 입력부(120) 등을 통해 제4 사용자 기기(10d)에 입력하고, 제4 사용자 기기(10d)의 프로세서(150)는 입력된 랜덤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2) 등을 통해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제4 사용자 기기(10d)로부터 수신된 랜덤 데이터를 S932 단계에서 생성한 랜덤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제4 사용자 기기(10b)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S954).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랜덤 데이터와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생성된 제1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4 사용자 기기(10d)를 일반 기기로서 등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생성된 제3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프로세서(240)는 제4 사용자 기기(10d)를 마스터 기기로 변경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 마스터로 등록된 기기는 삭제되거나 일반 기기로 등록 유형이 변경될 수 있다.
제4 사용자 기기(10d)의 등록 시, 프로세서(240)는 S920 단계에서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기기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고, 제4 사용자 기기(10d)의 등록 유형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등록 결과를 제4 사용자 기기(10d)로 전송하고(S956), 제4 사용자 기기(10d)는 등록 결과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958).
프로세서(240)는 제4 사용자 기기(10d)의 등록이 완료된 경우, 등록 완료 및 등록 유형을 나타내는 메시지 또는 알림을 제4 사용자 기기(10d)로 전송할 수 있다. 제4 사용자 기기(10d)의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메시지 또는 알림에 대응하는 등록 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13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4 사용자 기기(10d)의 등록이 완료된 경우, 제4 사용자 기기(10d)는 차량 제어 APP(152)을 통해 차량(20)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760).
도 6 내지 도 9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기기(10)의 등록 시 FOB(12)의 소지 여부 및 기기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적합한 등록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선택 및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기기(10)의 등록 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기기의 사용자가 차량(20)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지 않더라도, 다른 사용자가 마스터 기기의 사용자의 허가에 따라 기기를 편리하게 등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차량(20)에 대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권한에 따른 등록 유형을 구분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20)의 관리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한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에 탑재된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제5 사용자 기기를 인증 및/또는 등록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의 실시 예는 차량 공유 서비스에 따라 운영되는 차량(20), 즉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공유 사용되는 차량(20)에 구비된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와 사용자 기기 간의 인증 및/또는 등록에 관한 실시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5 사용자 기기(10e)는 사용자의 입력 등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 APP(또는 차량 공유 APP)을 실행할 수 있다(S1000). 실시 예에 따라 제5 사용자 기기(10e)는 실행된 APP을 통해 차량(20)의 공유 사용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1010). 예컨대 차량(20)의 공유 사용을 위한 정보는 사용자 정보(아이디, 전화번호, 성명, 연령, 운전면허등록번호, 랜덤 데이터 수신처 등) 및/또는 차량(20)을 사용하고자 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공유 사용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사용자 기기(10e)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020).
제5 사용자 기기(10e)의 프로세서(150)는 S1010 단계에서 입력된 정보 및/또는 제5 사용자 기기(10e)의 정보(기기명, 셀 넘버, MAC 어드레스 등)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2) 등을 통해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수신된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제5 사용자 기기(10e)가 차량(20)에 대해 공유 사용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 및/또는 공유 사용가능 시간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030).
예컨대, 차량 공유 서비스의 경우 차량(20)을 이용하기 위해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고 공유 사용가능 시간을 부여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공유 사용가능 시간이 모두 소진된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 기기의 등록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제5 사용자 기기(10e)가 공유 사용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 및/또는 공유 사용가능 시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제5 사용자 기기(10e)의 차량(20)에 대한 공유 사용가능 시간이 잔존하는 경우(CASE1),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제5 사용자 기기(10e)(또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을 전송하고(S1042), 차량(20)에 대한 제어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응답을 수신한 제5 사용자 기기(10e)는 차량(20)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1044).
반면, 제5 사용자 기기(10e)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또는 공유 사용가능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CASE2),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S1052 단계 내지 S1064 단계에 따른 기기 등록(또는 공유 사용가능 시간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인증을 위한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S1052),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수신처에 따라 제5 사용자 기기(10e)로 전송할 수 있다(S1054). 제5 사용자 기기(10e)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에 의해 전송된 랜덤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하여, 사용자로부터 랜덤 데이터의 입력을 획득하고(S1056), 입력된 랜덤 데이터를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 전송할 수 있다(S1058).
S1052 단계 내지 S1058 단계는 도 6에서 상술한 S632 단계 내지 S652 단계와 유사한 바,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랜덤 데이터는 근거리 무선통신 등을 통해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로부터 제5 사용자 기기(10e)로 전송되고, 제5 사용자 기기(10e)의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랜덤 데이터를 상기 실행된 APP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제5 사용자 기기(10e)로부터 수신된 랜덤 데이터를 S1052 단계에서 생성한 랜덤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제5 사용자 기기(10e)의 인증 및 공유 사용 기기로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S1060).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랜덤 데이터와 생성된 랜덤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5 사용자 기기(10e)를 차량(20)에 대한 공유 사용 기기로서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프로세서(240)는 S1020 단계에서 수신된 인증 요청에 포함된 공유 사용 시간 정보에 따라, 차량(20)에 대한 공유 사용가능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등록 결과를 제5 사용자 기기(10e)로 전송하고(S1062), 제5 사용자 기기(10e)는 등록 결과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하며(S1064), 차량(20)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1066).
실시 예에 따라, 제5 사용자 기기(10e) 또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는 제5 사용자 기기(10e)에 대해 설정되는 공유 사용가능 시간에 대한 정보를 차량 공유 서비스의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5 사용자 기기(10e)의 사용자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비용의 결제가 완료된 후, 제5 사용자 기기(10e)는 차량(20)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21)와 사용자 기기(10) 간의 차량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등록 과정에서 서버의 개입이 최소화되므로, 통신 부하가 절감되어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예들의 설명은 본 개시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들에 불과하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개시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Claims (15)

  1. 차량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기기를 등록 및 인증하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에 포함되고 상기 차량의 FOB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통신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수신된 인증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등록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FOB를 소지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미등록 시, 상기 FOB의 소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의 등록 유형을 달리하도록 등록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FOB의 소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의 등록 유형을 마스터 기기,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도록 상기 등록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상기 마스터 기기의 제어 권한은 상기 일반 기기 및 상기 임시 기기의 제어 권한보다 많은,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FOB를 소지한 상태로 감지되고, 마스터 기기로 기 등록된 다른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등록하기 위한 등록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인증을 위한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상기 인증 요청에 포함된 랜덤 데이터 수신처 정보에 따라 전송하고,
    상기 랜덤 데이터의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랜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입력된 랜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랜덤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상기 마스터 기기로서 등록하고, 상기 인증 요청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기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FOB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로 감지되고, 마스터 기기로 등록된 다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기 위한 등록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인증을 위한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기기로 등록된 다른 기기의 랜덤 데이터 수신처 정보에 따라 전송하고,
    상기 랜덤 데이터의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랜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입력된 랜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랜덤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상기 일반 기기 또는 상기 임시 기기로 등록하고, 상기 인증 요청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기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랜덤 데이터는, 일반 기기로의 등록에 대응하는 제1 랜덤 데이터와, 임시 기기로의 등록에 대응하는 제2 랜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제1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일반 기기로 등록하고,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제2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임시 기기로 등록하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FOB를 소지한 상태로 감지되고, 마스터 기기로 등록된 다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기 위한 등록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인증을 위한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기기로 등록된 다른 기기의 랜덤 데이터 수신처 정보에 따라 전송하고,
    상기 랜덤 데이터의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랜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입력된 랜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 일반 기기, 또는 상기 임시 기기로 등록하고, 상기 인증 요청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기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랜덤 데이터는, 일반 기기로의 등록에 대응하는 제1 랜덤 데이터, 임시 기기로의 등록에 대응하는 제2 랜덤 데이터, 및 마스터 기기로의 등록에 대응하는 제3 랜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제1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일반 기기로 등록하고,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제2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임시 기기로 등록하고,
    상기 수신된 랜덤 데이터가 상기 제3 랜덤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등록하고, 마스터 기기로 기 등록된 다른 기기의 등록을 해제하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기기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FOB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FOB의 상대적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거리 또는 상대적 위치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FOB를 소지한 상태로 확인하는,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
  12. 차량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기기를 등록 및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차량에 포함된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수신된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FOB를 소지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기기의 미등록 시, 상기 FOB의 소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의 등록 유형을 달리하도록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FOB를 소지한 상태로 감지되고, 마스터 기기로 기 등록된 다른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등록하기 위한 제1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인증을 위한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상기 인증 요청에 포함된 랜덤 데이터 수신처 정보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랜덤 데이터의 전송에 따른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상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수신된 입력과 상기 생성된 랜덤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FOB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로 감지되고, 마스터 기기로 기 등록된 다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기 위한 제2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인증을 위한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기기로 기 등록된 다른 기기의 랜덤 데이터 수신처 정보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랜덤 데이터는 일반 기기로의 등록에 대응하는 제1 랜덤 데이터와, 임시 기기로의 등록에 대응하는 제2 랜덤 데이터를 포함함;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랜덤 데이터의 전송에 따른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상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수신된 입력과 상기 생성된 제1 랜덤 데이터 및 제2 랜덤 데이터 사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를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FOB를 소지한 상태로 감지되고, 마스터 기기로 기 등록된 다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기 위한 제3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인증을 위한 랜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랜덤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기기로 기 등록된 다른 기기의 랜덤 데이터 수신처 정보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랜덤 데이터는 일반 기기로의 등록에 대응하는 제1 랜덤 데이터, 임시 기기로의 등록에 대응하는 제2 랜덤 데이터, 및 마스터 기기로의 등록에 대응하는 제3 랜덤 데이터를 포함함;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랜덤 데이터의 전송에 따른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상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기 등록 및 인증 장치가, 수신된 입력과 상기 생성된 제1 랜덤 데이터, 제2 랜덤 데이터, 및 제3 랜덤 데이터 사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를 마스터 기기, 일반 기기, 또는 임시 기기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10114700A 2021-08-30 2021-08-30 차량 제어를 위한 사용자 기기의 등록 및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2445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700A KR102445149B1 (ko) 2021-08-30 2021-08-30 차량 제어를 위한 사용자 기기의 등록 및 인증 장치, 및 방법
JP2022136777A JP2023036011A (ja) 2021-08-30 2022-08-30 車両制御のためのユーザ機器の登録及び認証装置、及び方法
EP22192889.8A EP4145866A1 (en) 2021-08-30 2022-08-30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of user equipment for controlling vehicle
US17/899,084 US20230067674A1 (en) 2021-08-30 2022-08-30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of user equipment for controlling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700A KR102445149B1 (ko) 2021-08-30 2021-08-30 차량 제어를 위한 사용자 기기의 등록 및 인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149B1 true KR102445149B1 (ko) 2022-09-20

Family

ID=8340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700A KR102445149B1 (ko) 2021-08-30 2021-08-30 차량 제어를 위한 사용자 기기의 등록 및 인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67674A1 (ko)
EP (1) EP4145866A1 (ko)
JP (1) JP2023036011A (ko)
KR (1) KR1024451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76242A (ja) * 2018-11-07 2020-05-21 株式会社デンソー 認証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251593B1 (ko) 2020-12-28 2021-05-13 (주)케이스마텍 디지털 키 사용자의 차량탑승 확인이 가능한 차량 운행 제어 시스템 및 차량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10055556A (ko) * 2019-11-07 2021-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티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9588B2 (ja) * 2015-01-19 2018-11-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携帯端末追加登録システム
EP3463994A1 (en) * 2016-06-03 2019-04-1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access and function control utilizing a portable device
JP6669014B2 (ja) * 2016-08-31 2020-03-1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操作キー付与システムおよび車両操作キー付与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76242A (ja) * 2018-11-07 2020-05-21 株式会社デンソー 認証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210055556A (ko) * 2019-11-07 2021-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티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1593B1 (ko) 2020-12-28 2021-05-13 (주)케이스마텍 디지털 키 사용자의 차량탑승 확인이 가능한 차량 운행 제어 시스템 및 차량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36011A (ja) 2023-03-13
EP4145866A1 (en) 2023-03-08
US20230067674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2581B2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US10730481B2 (en) Remote control of vehicle functionalities by means of a mobile terminal
US9842443B1 (en) Computing device as a vehicle key
US202002233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unctions of smart key
US104676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processing of fuel delivery requests
CN107077552B (zh) 在特设网络中的装置之间分布生物识别验证
US97544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key fob base station enabling remote car access using a nomadic device
US201601504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n Automobile
CN112644423B (zh) 用于使用安全密码进入系统起动车辆的系统和方法
KR101754876B1 (ko) 이중 보안을 적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이중 보안 방법
CN104057919A (zh) 用于车辆的生物识别访问和个性化服务的系统
US10861457B2 (en) Vehicle digital assistant authentication
CN103419790B (zh) 车辆驾驶员的分级识别和基于该识别的车辆设置激活选择
US10939296B2 (en) Vehicle smart connection
KR102445149B1 (ko) 차량 제어를 위한 사용자 기기의 등록 및 인증 장치, 및 방법
US10706140B2 (en) Vehicle computer update authentication
US20220182819A1 (en) Multimedia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US20210158638A1 (en) Reducing latency in a passive entry system of a vehicle
US110373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password and/or a keypad code for executing keyless operations upon a vehicle
US20200293304A1 (en) Vehicle computer update authentication
KR20210103999A (ko) 포브키를 이용한 구조요청 시스템 및 방법
KR102241776B1 (ko) 차량의 인증 장치 및 방법
WO2023189542A1 (ja) 車両用パーソナライズ設定システム、及び車両用パーソナライズ設定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