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956B1 -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956B1
KR102444956B1 KR1020200147815A KR20200147815A KR102444956B1 KR 102444956 B1 KR102444956 B1 KR 102444956B1 KR 1020200147815 A KR1020200147815 A KR 1020200147815A KR 20200147815 A KR20200147815 A KR 20200147815A KR 102444956 B1 KR102444956 B1 KR 102444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ttern
pattern forming
double
sided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1629A (ko
Inventor
박정기
지상원
조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앤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앤제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앤제이
Priority to KR1020200147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956B1/ko
Publication of KR20220061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제품의 표면에 점착되는 다층 데코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다층 데코 필름은, 베이스 필름, 베이스 필름의 상측에 적층되는 필름으로, 베이스 필름을 가리도록 잔존한 일 영역을 구비하고, 일 영역 이외의 영역은 베이스 필름의 상측면이 보이도록 제거된 패턴 형성 필름, 패턴 형성 필름의 상측에 적층되는 OCA 필름, OCA 필름의 상측에 적층되는 필름으로, 패턴 형성 필름과 베이스 필름을 보호하는 투명한 패턴 보호 필름, 및 베이스 필름의 하측에 적층되는 필름으로, 상측면 및 하측면에 점착층을 구비한 양면 점착 필름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Fabricating method of Multilayer deco film}
본 발명은 데코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제조되는 다층 데코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코 필름은 목재, 금속, 및 플라스틱의 표면에 점착 결합되는 필름으로, 제품의 표면에 로고(logo), 패턴(pattern), 그림, 글자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데코 시트(sheet)라고도 불리운다. 일반적으로, 데코 필름은 베이스 필름(base film)에 로고, 도형, 무늬, 그림, 글자 등이 표현되도록 수지 또는 잉크를 도포하고 경화하는 방식, 소위 인쇄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에 따라, 수지의 도포와 경화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데코 필름의 제조가 지연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며, 도포되어 적층되는 층이 많을수록 더욱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2103호
본 발명은, 수지를 도포하고 경화하는 과정을 구비하지 않고 복수의 필름들을 적층하고 타발(punching)하는 과정을 구비한 다층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다층 데코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품의 표면에 점착되는 다층 데코 필름으로서, 베이스 필름(base film),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측에 적층되는 필름으로, 상기 베이스 필름을 가리도록 잔존한 일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일 영역 이외의 영역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측면이 보이도록 제거된 패턴 형성 필름, 상기 패턴 형성 필름의 상측에 적층되는 OCA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상기 OCA 필름의 상측에 적층되는 필름으로, 상기 패턴 형성 필름과 베이스 필름을 보호하는 투명한 패턴 보호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측에 적층되는 필름으로, 상측면 및 하측면에 점착층을 구비한 양면 점착 필름을 구비하는 다층 데코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층 데코 필름은, 상기 양면 점착 필름의 하측면의 점착층이 보호되도록 상기 양면 점착 필름의 하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점착 보호 필름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다층 데코 필름이 상기 제품의 표면에 점착되기 전에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이 상기 양면 점착 필름의 하측면에서 분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 및 패턴 형성 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표면에 금속 소재가 증착되어 금속 광택을 나타내는 금속 증착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 및 패턴 형성 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불투명한 일 색상을 나타내는 컬러 필름(color fil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데코 필름은, 상기 다층 데코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광 투과를 막는 필름으로, 상기 베이스 필름과 양면 점착 필름 사이에 적층되는 차광 필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층 데코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캐리어 필름(carrier film)이 상기 패턴 형성 필름의 상측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캐리어 필름에 상기 패턴 형성 필름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패턴 형성 필름 부착 단계, 상기 패턴 형성 필름에서 상기 일 영역을 잔존시키고, 상기 일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제거하는 패턴 형성 단계, 상기 일 영역이 잔존한 패턴 형성 필름의 하측에 상기 베이스 필름이 적층되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을 결합시키는 베이스 필름 결합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측에 상기 양면 점착 필름이 적층되도록 상기 양면 점착 필름을 부착하는 양면 점착 필름 결합 단계, 상기 캐리어 필름을 상기 패턴 형성 필름에서 분리 제거하는 캐리어 필름 분리 단계, 상기 패턴 형성 필름의 상측에 상기 OCA 필름이 적층되도록 상기 OCA 필름을 부착하는 OCA 필름 결합 단계, 및 상기 OCA 필름의 상측에 상기 패턴 보호 필름이 적층되도록 상기 패턴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패턴 보호 필름 결합 단계를 구비하는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패턴 형성 단계는, 타발 금형(punching mold)으로 상기 캐리어 필름 및 패턴 형성 필름을 찍어내어 자르는 타발 단계, 상기 타발 단계로 인해 발생한 스크랩(scrap)을 제거하는 스크랩 제거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타발 단계 및 스크랩 제거 단계가 복수 회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패턴 보호 필름 결합 단계 이후에 상기 양면 점착 필름의 하측면의 점착층이 보호되도록 상기 양면 점착 필름의 하측면에 점착 보호 필름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점착 보호 필름 부착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층 데코 필름은 상기 제품의 표면 중의 일부 영역을 덮도록 점착되고, 상기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패턴 보호 필름 결합 단계 이후에 상기 다층 데코 필름이 상기 제품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는 외곽선(boundary line)을 갖도록 상기 다층 데코 필름을 절단하는 외곽선 절단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베이스 필름 결합 단계와 양면 점착 필름 결합 단계 사이에, 상기 다층 데코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광 투과를 막는 차광 필름이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측에 적층되도록 상기 차광 필름을 부착하는 차광 필름 결합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OCA 필름 결합 단계와 패턴 보호 필름 결합 단계 사이에, 적층된 양면 점착 필름, 차광 필름, 베이스 필름, 패턴 형성 필름, OCA 필름을 관통하는 광 투과 통공을 형성하는 광 투과 통공 형성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은 수지를 도포하고 경화하는 과정을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롤투롤(roll-to-roll) 프로세스로 제조되어 있는 각각의 단위 필름들을 합지하고, 타발(punching)하고, 분리하는 과정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다층 데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다층 데코 필름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고가의 코팅 장치, 인쇄 장치, 건조 장치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다층 데코 필름의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 데코 필름은 패턴 형성 필름에서 제거된 영역을 통해 보이는 베이스 필름의 표면과, 패턴 형성 필름에서 제거되지 않아서 보이는 표면 사이에 패턴 형성 필름의 두께만큼 단차가 형성되어, 다층 데코 필름의 상측에서 보이는 로고, 도형, 무늬, 그림, 글자 등의 패턴(pattern)이 입체감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해, 다층 데코 필름의 패턴이 평면적이지 않고 입체적으로 보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데코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다충 데코 필름의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도 1의 다층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데코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데코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데코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다충 데코 필름의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도 1의 다층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데코 필름(15)은, 베이스 필름(base film)(5), 패턴 형성 필름(3), 양면 점착 필름(7), OCA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9), 패턴 보호 필름(11), 및 점착 보호 필름(13)을 구비한다. 베이스 필름(5)은 예컨대, 백색, 검정색 등 불투명한 일 색상을 나타내는 컬러 필름(color film)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5)은 예컨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패턴 형성 필름(3)은 베이스 필름(5)의 상측에 적층되는 필름으로, 다층 데코 필름(15)의 상측에서 볼 때 베이스 필름(5)을 가리도록 제거되지 않고 잔존한 일 영역(CZ1)(이하, '잔존 영역'이라 한다)을 구비한다. 패턴 형성 필름(3)에서 상기 잔존 영역(CZ1) 이외의 영역(OZ1)은 베이스 필름(5)의 상측면(5u)(도 5 참조)이 보이도록 제거된다. 이하에서, 상기 잔존 영역(CZ1) 이외의 영역(OZ1)을 '개방 영역'이라 한다. 상기 패턴 형성 필름(3)에는 상기 잔존 영역(CZ1)과 개방 영역(OZ1)의 조합에 의해 특정한 로고, 도형, 무늬, 그림, 글자 등의 패턴(pattern)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필름(5)의 상측면(5u)(도 5 참조)에 패턴 형성 필름(3)의 하측면(3l)(도 3 참조)이 부착 결합된다. 상기 패턴 형성 필름(3)은 예컨대, PET 소재로 된 필름 원단(web)과, 상기 필름 원단의 표면에 예컨대, 알루미늄(Al), 구리(Cu)와 같은 금속 소재가 증착된 금속 증착층을 구비한 금속 증착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증착 필름은 금속과 같이 표면에서 금속 광택이 나면서도 탄성 복원 가능하게 휘는 플렉서블 필름(flexible film)이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상기 패턴 형성 필름(3)이 컬러 필름이고, 상기 베이스 필름(5)이 금속 증착 필름일 수도 있다. 또는 패턴 형성 필름(3)과 베이스 필름(5)이 각각 다른 색상의 컬러 필름일 수도 있고, 각각 다른 광택의 금속 증착 필름일 수도 있다.
OCA 필름(9)은 패턴 형성 필름(3)의 상측에 적층된다. 패턴 보호 필름(11)은 OCA 필름(9)의 상측에 적층되는 투명한 필름으로, 상기 패턴 형성 필름(3)과 베이스 필름(5)을 보호하는 필름이다. 상기 패턴 형성 필름(3)은 예컨대, PET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OCA 필름(9)은 상기 패턴 보호 필름(11)이 패턴 형성 필름(3) 상측에 결합 고정되도록 패턴 형성 필름(3)과 패턴 보호 필름(11) 사이에 개재되는 투명한 필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OCA 필름(9)의 하측면(9l)(도 7 참조)이 패턴 형성 필름(3)의 상측면(3u)(도 3 참조)에 부착 결합되고, 상기 패턴 보호 필름(11)의 하측면(11l)(도 7 참조)이 OCA 필름(9)의 상측면(9u)에 부착 결합된다. 명확한 구별을 위해 각 단위 필름(3, 5, 7, 9, 11, 13)의 두께가 과장되고 일정하게 도시된 도 1에서는 패턴 형성 필름(3)의 개방 영역(OZ1)이 비워지게 표현되어 있지만, 실제의 다층 데코 필름(15)에서는 OCA 필름(9)이 상기 개방 영역(OZ1)에 채워져서 상기 개방 영역(OZ1)에서 베이스 필름(5)의 상측면(5u)(도 5 참조)에 OCA 필름(9)의 하측면(9l)(도 7 참조)이 부착될 수 있다.
양면 점착 필름(7)은 베이스 필름(5)의 하측에 적층되며, 상측면 및 하측면(7u, 7l)(도 5 참조)에 점착층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양면 점착 필름(7)의 상측면(7u)이 베이스 필름(5)의 하측면(5l)(도 5 참조)에 부착 결합된다. 점착 보호 필름(13)은 상기 양면 점착 필름(7)의 하측면(7l)의 점착층이 보호되도록 상기 양면 점착 필름(7)의 하측면(7l)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양면 점착 필름(7)의 하측면(7l)의 점착층이 손상되지 않고 상기 점착 보호 필름(13)이 상기 하측면(7l)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점착 보호 필름(13)의 상측면에는 이형제(release agent)가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점착 보호 필름(13)은 이형 필름으로도 불린다.
다층 데코 필름(15)은 예컨대, TV, 냉장고와 같은 가전 제품(미도시)의 표면 중 일부 영역(미도시)을 덮도록 상기 가전 제품의 표면에 점착된다. 따라서, 상기 다층 데코 필름(15)은 상기 가전 제품 표면의 일부 영역의 평면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외곽선(boundary line)(16)을 갖는다. 다층 데코 필름(15)이 상기 가전 제품 표면의 일부 영역에 점착되기 전에 상기 양면 점착 필름(7)의 하측면(7l)이 노출되도록 상기 점착 보호 필름(13)이 상기 양면 점착 필름(7)의 하측면(7l)에서 분리 제거된다.
도 1에 도시된 점착 보호 필름(13)은, 자신을 제외한 다층 데코 필름(15)의 일 그룹(group)의 단위 필름들(3, 5, 7, 9, 11)과 달리, 같은 외곽선(16)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절단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 그룹의 단위 필름들(3, 5, 7, 9, 11)이 공통된 하나의 점착 보호 필름(13)에 적층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본 발명의 다층 데코 필름에 구비된 점착 보호 필름은 일 그룹의 단위 필름들(3, 5, 7, 9, 11)과 마찬가지로 같은 외곽선(16)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절단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다층 데코 필름(15)의 제조 장치(50)는 여러 종류의 필름을 부착 적층하고 분리 제거하여 다층 데코 필름(15)을 연속적으로 제조 배출하는 롤투롤(roll-to-roll) 장치이다. 상기 다층 데코 필름(15)의 제조 방법은, 패턴 형성 필름 부착 단계(S10), 패턴 형성 단계(S20), 베이스 필름 결합 단계(S30), 양면 점착 필름 결합 단계(S40), 캐리어 필름 분리 단계(S50), OCA 필름 결합 단계(S60), 패턴 보호 필름 결합 단계(S70), 외곽선 절단 단계(S80), 및 점착 보호 필름 부착 단계(S90)를 구비한다. 상기 각 단계들(S10, S20, S30, S40, S50, S60, S70, S80, S90)은 상기 다층 데코 필름(15) 제조 장치(50)에 의해 롤투롤 프로세스(roll-to-roll process)로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패턴 형성 필름 부착 단계(S10)는 캐리어 필름(carrier film)(1)이 패턴 형성 필름(3)의 상측면(3u)과 마주보도록 상기 캐리어 필름(1)에 상기 패턴 형성 필름(3)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이다. S10 단계에 제공된 패턴 형성 필름(3)은 개방 영역(OZ1)이 형성되지 않은 필름이다. 캐리어 필름 공급 롤러(51)에 의해 공급되어 끊김 없이 일 방향(M)으로 진행하는 캐리어 필름(1)에 패턴 형성 필름(3)이 롤러(roller)(53)에 의해 가압되어 부착될 수 있다. 패턴 형성 필름(3)은 패턴 형성 필름 공급 롤러(52)에 의해 공급된다. 예를 들어, 패턴 형성 필름(3)의 상측면(3u)에 점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 필름(1)의 하측면(1l)에 상기 점착증에서 쉽게 분리 가능하게 이형제가 도포된 이형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패턴 형성 필름 부착 단계(S10)에서 패턴 형성 필름(3)이 캐리어 필름(1)의 아래에 배치되지만, 실제 다층 데코 필름(15)(도 1 참조)의 제조 공정에서는 패턴 형성 필름(3)의 상측면(3u)이 아래를 향하고 하측면(3l)이 위를 향하도록 패턴 형성 필름(3)이 뒤집혀 진행하면서 상기 패턴 형성 필름(3)이 상기 캐리어 필름(1)의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패턴 형성 단계(S20)는 상기 패턴 형성 필름(3)에서 일 영역을 잔존시키고, 상기 일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를 통해 상기 패턴 형성 필름(3)에 서로 구분된 잔존 영역(CZ1)과 개방 영역(OZ1)이 형성된다. 상기 패턴 형성 단계(S20)는 타발 금형(punching mold)(55)으로 적층된 캐리어 필름(1) 및 패턴 형성 필름(3)을 찍어내어 자르는 타발 단계와, 상기 타발 단계로 인해 발생한 스크랩(scrap)(S1)을 상기 적층된 캐리어 필름(1) 및 패턴 형성 필름(3)에서 제거하는 스크랩 제거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스크랩(S1)은 상기 타발 금형의 타발을 통해 잘려나간 부분과 부스러기(dust)를 의미한다. 상기 스크랩 제거 단계는 점착 필름(43)으로 상기 스크랩(S1)을 붙여서 상기 개방 영역(OZ1)에서 빼내 제거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43)은 예컨대, 실리콘, PVC, OPP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원단의 표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43)은 점착 필름 공급 롤러(57)에 의해 공급되고, 가압 롤러(58)에 의해 스크랩(S1)에 밀착되어 스크랩(S1)을 점착한다. 스크랩(S1)이 점착된 점착 필름(43)은 점착 필름 회수 롤러(59)에 의해 다시 감겨 회수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패턴 형성 단계(S20)에서 패턴 형성 필름(3)의 하측면(3l)(도 3 참조)이 오염되지 않도록, 상기 다층 데코 필름(15)의 제조 방법은 상기 패턴 형성 필름 부착 단계(S10)와 타발 단계 사이에 패턴 형성 필름(3)의 하측면(3l)에 오염 방지 필름(미도시)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오염 방지 필름 부착 단계, 및 상기 타발 단계와 스크랩 제거 단계 사이에 상기 오염 방지 필름을 상기 패턴 형성 필름(3)의 하측면(3l)에서 분리 제거하는 오염 방지 필름 제거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타발 단계에서 상기 오염 방지 필름도 상기 타발 금형에 의해 스크랩(S1)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잘려나갈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필름은 이형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필름 제거 단계와 스크랩 제거 단계는 하나의 점착 필름(43)을 적용하여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점착 필름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타발 단계 및 스크랩 제거 단계는 복수 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 형성 필름(3)에 알파벳 'O', 'D', 한글 자음 'ㅇ', 'ㅁ', 숫자 '0', '8' 등의 패턴을 형성할 때 글자의 내측 경계선을 따라 한 번, 글자의 외측 경계선을 따라 한 번으로, 총 2회에 걸쳐 패턴 형성 필름(3)을 타발하고 스크랩(S1)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 결합 단계(S30)는 잔존 영역(CZ1)과 개방 영역(OZ1)에 의해 특정한 패턴이 형성된 패턴 형성 필름(3)의 하측에 베이스 필름(5)이 적층되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5)을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베이스 필름(5)이 롤러(6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패턴 형성 필름(3)의 하측면(3l)에 부착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5)은 베이스 필름 공급 롤러(61)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패턴 형성 필름(3)의 하측면(3l)에 점착층이 형성되거나, 베이스 필름(5)의 상측면(5l)에 점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양면 점착 필름 결합 단계(S40)는 베이스 필름(5)의 하측에 양면 점착 필름(7)이 적층되도록 상기 양면 점착 필름(7)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양면 점착 필름(7)이 롤러(65)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베이스 필름(5)의 하측면(5l)에 부착 결합될 수 있다. 양면 점착 필름(7)은 양면 점착 필름 공급 롤러(64)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 결합 단계(S30)와 양면 점착 필름 결합 단계(S40)에서 베이스 필름(5)이 패턴 형성 필름(3)의 아래에 배치되고, 양면 점착 필름(7)이 베이스 필름(5)의 아래에 배치되지만, 실제 다층 데코 필름(15)(도 1 참조)의 제조 공정에서는 패턴 형성 필름(3)의 상측면(3u)이 아래를 향하고 하측면(3l)이 위를 향하도록 패턴 형성 필름(3)이 뒤집혀 진행하면서 상기 베이스 필름(5)이 상기 패턴 형성 필름(3)의 위에 배치되고, 상기 양면 점착 필름(7)이 상기 베이스 필름(5)의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데코 필름(15)의 제조 방법은, 패턴 형성 단계(S20)와 베이스 필름 결합 단계(S30) 사이에, 상기 캐리어 필름(1)과 패턴 형성 필름(3)의 위아래 정렬이 틀어지지 않도록 상기 캐리어 필름(1)과 패턴 형성 필름(3)의 폭 방향 모서리에 점착 테이프(미도시)를 붙여 상기 캐리어 필름(1)과 패턴 형성 필름(3)을 연결하는, 틀어짐 방지용 테이프 부착 단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6를 참조하면, 캐리어 필름 분리 단계(S50)는 캐리어 필름(1)을 상기 패턴 형성 필름(3)에서 분리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캐리어 필름(1)은 일체로 결합된 패턴 형성 필름(3), 베이스 필름(5), 및 양면 점착 필름(7)의 진행 방향(M)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캐리어 필름(1)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키는 분리 롤러(67)를 통과하면서 상기 패턴 형성 필름(3)에서 분리될 수 있다. 패턴 형성 필름(3)에서 분리된 캐리어 필름(1)은 캐리어 필름 회수 롤러(68)에 의해 감겨 회수된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OCA 필름 결합 단계(S60)는 패턴 형성 필름(3)의 상측에 OCA 필름(9)이 적층되도록 상기 OCA 필름(9)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OCA 필름(9)이 롤러(7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패턴 형성 필름(3)의 상측면(3u)에 부착 결합될 수 있다. OCA 필름(9)은 OCA 필름 공급 롤러(71)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패턴 보호 필름 결합 단계(S70)는 상기 OCA 필름(9)의 상측에 패턴 보호 필름(11)이 적층되도록 상기 패턴 보호 필름(11)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패턴 보호 필름(11)이 롤러(74)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OCA 필름(9)의 상측면(9u)에 부착 결합될 수 있다. 패턴 보호 필름(11)은 패턴 보호 필름 공급 롤러(73)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외곽선 절단 단계(S80)는 다층 데코 필름(15)이 상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가전 제품(미도시)의 표면의 일부 영역의 평면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외곽선(16)을 갖도록 상기 다층 데코 필름(15), 즉 상기 적층된 베이스 필름(5), 패턴 형성 필름(3), OCA 필름(9), 패턴 보호 필름(11), 및 양면 점착 필름(7)을 절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외곽선 절단 단계(S80)는 상술한 패턴 형성 단계(S20)와 유사하게 타발 금형(80)으로 상기 적층된 단위 필름들(3, 5, 7, 9, 11)을 찍어내어 자르는 타발 단계와, 상기 타발 단계로 인해 발생한 스크랩(S2)을 상기 적층된 단위 필름들(3, 5, 7, 9, 11)로부터 제거하는 스크랩 제거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스크랩 제거 단계는 점착 필름(45)으로 상기 스크랩(S2)을 붙여서 제거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45)은 예컨대, 실리콘, PVC, OPP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원단의 표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45)은 점착 필름 공급 롤러(82)에 의해 공급되고, 가압 롤러(83)에 의해 스크랩(S2)에 밀착되어 스크랩(S2)을 점착한다. 스크랩(S2)이 점착된 점착 필름(45)은 점착 필름 회수 롤러(85)에 의해 다시 감겨 회수된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점착 보호 필름 부착 단계(S90)는 양면 점착 필름(7)의 하측면(7l)(도 5 참조)의 점착층이 보호되도록 상기 양면 점착 필름(7)의 하측면에 점착 보호 필름(13)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점착 보호 필름(13)이 롤러(88)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양면 점착 필름(7)의 하측면(7l)에 부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점착 보호 필름(13)은 점착 보호 필름 공급 롤러(87)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점착 보호 필름(13)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다층 데코 필름(15)을 예컨대, 가전 제품의 표면에 부착할 때 양면 점착 필름(7)의 하측면(7l)에서 분리 제거되는 이형 필름일 수 있다. 점착 보호 필름 부착 단계가 외곽선 절단 단계(S80) 이후에 수행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와 달리 외곽선 절단 단계가 점착 보호 필름 부착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층 데코 필름(15)의 제조 방법은, 커터(cutter)(91)를 이용하여 다층 데코 필름(15)을 일정한 길이 단위로 절단하는 커팅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커터(91)에 의해 일정한 길이 단위로 절단된 다층 데코 필름(15)은 적재대(93)에 적재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데코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데코 필름(37)은, 베이스 필름(base film)(25), 패턴 형성 필름(23), 차광 필름(27), 양면 점착 필름(29), OCA 필름(31, 패턴 보호 필름(33), 및 점착 보호 필름(35)을 구비한다. 베이스 필름(25) 및 패턴 형성 필름(23)은 도 1의 다층 데코 필름(15)을 참조하여 설명한 베이스 필름(5) 및 패턴 형성 필름(3)과 동등한 것으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9의 다층 데코 필름(37)에서는 베이스 필름(25)이 금속 증착 필름이고, 패턴 형성 필름(23)이 컬러 필름일 수 있다.
패턴 형성 필름(23)은 다층 데코 필름(37)의 상측에서 볼 때 베이스 필름(25)을 가리도록 제거되지 않고 잔존한 잔존 영역(CZ2)과 베이스 필름(25)의 상측면이 보이도록 제거된 개방 영역(OZ2)으로 구분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잔존 영역(CZ2)에 의해 특정한 글자가 표시될 수 있다.
OCA 필름(31)은 패턴 형성 필름(23)의 상측에 적층되고, 패턴 보호 필름(33)은 OCA 필름(31)의 상측에 적층된다. OCA 필름(31)과 패턴 보호 필름(33)은 도 1의 다층 데코 필름(15)을 참조하여 설명한 OCA 필름(9) 및 패턴 보호 필름(11)과 동등한 것으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명확한 구별을 위해 각 단위 필름(23, 25, 27, 29, 31, 33, 35)의 두께가 과장되고 일정하게 도시된 도 9에서는 패턴 형성 필름(23)의 개방 영역(OZ2)이 비워지게 표현되어 있지만, 실제의 다층 데코 필름(37)에서는 OCA 필름(31)이 상기 개방 영역(OZ2)에 채워져서 상기 개방 영역(OZ2)에서 베이스 필름(25)의 상측면에 OCA 필름(31)의 하측면이 부착될 수 있다.
차광 필름(27)은 베이스 필름(25)의 하측에 적층되며, 다층 데코 필름(37)의 두께 방향, 즉 Z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광 투과를 막는 필름이다. 양면 점착 필름(29)은 차광 필름(27)의 하측에 적층되며, 상측면 및 하측면에 점착층을 구비한다. 점착 보호 필름(35)은 상기 양면 점착 필름(29)의 하측면의 점착층이 보호되도록 상기 양면 점착 필름(29)의 하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양면 점착 필름(29) 및 점착 보호 필름(35)은 도 1의 다층 데코 필름(15)을 참조하여 설명한 양면 점착 필름(7) 및 점착 보호 필름(13)과 동등한 것으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다층 데코 필름(37)도 도 1에 도시된 다층 데코 필름(15)과 마찬가지로 점착 부착될 제품의 표면의 일부 영역의 평면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외곽선(38)을 갖는다. 도 9의 다층 데코 필름(37)에는 양면 점착 필름(29), 차광 필름(27), 베이스 필름(25), 패턴 형성 필름(23), OCA 필름(31), 및 패턴 보호 필름(33)을 Z축과 평행한 일직선 경로를 따라 관통하는 광 투과 통공(39)이 형성된다. 광 투과 통공(39)을 제외한 다층 데코 필름(37)의 다른 영역은 차광 필름(27)으로 인해 광(光) 투과가 차단된다.
상기 다층 데코 필름(37)의 제조 방법은, 패턴 형성 필름 부착 단계, 패턴 형성 단계, 베이스 필름 결합 단계, 차광 필름 결합 단계, 양면 점착 필름 결합 단계, 캐리어 필름 분리 단계, OCA 필름 결합 단계, 광 투과 통공 형성 단계, 패턴 보호 필름 결합 단계, 외곽선 절단 단계, 및 점착 보호 필름 부착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패턴 형성 필름 부착 단계, 패턴 형성 단계, 베이스 필름 결합 단계, 양면 점착 필름 결합 단계, 캐리어 필름 분리 단계, OCA 필름 결합 단계, 패턴 보호 필름 결합 단계, 외곽선 절단 단계, 및 점착 보호 필름 부착 단계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데코 필름(15)의 제조 방법에 구비된 동일한 명칭의 단계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차광 필름 결합 단계는, 상기 차광 필름(27)이 베이스 필름(25)의 하측에 적층되도록 상기 차광 필름(27)을 베이스 필름(25)의 하측면에 부착하는 단계로서, 상기 베이스 필름 결합 단계와 양면 점착 필름 결합 단계 사이에 수행된다. 상기 차광 필름(27)이 롤러(미도시)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베이스 필름(25)의 하측면에 부착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25)의 하측면에 점착층이 형성되거나, 차광 필름(27)의 상측면에 점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투과 통공 형성 단계는, 상기 광 투과 통공(39)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OCA 필름 결합 단계와 패턴 보호 필름 결합 단계 사이에 수행된다. 상기 광 투과 통공 형성 단계는,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 패턴 형성 단계(S20) 또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외곽선 절단 단계와 마찬가지로, 타발 금형으로 찍어내어 적층된 양면 점착 필름(29), 차광 필름(27), 베이스 필름(25), 패턴 형성 필름(23), OCA 필름(31), 및 패턴 보호 필름(33)을 관통하는 광 투과 통공(39)을 형성하는 타발 단계와, 상기 타발 단계로 인해 발생한 스크랩을 제거하는 스크랩 제거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랩 제거 단계는 점착 필름(미도시)으로 상기 스크랩을 붙여서 제거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다층 데코 필름(15, 37) 제조 방법은 수지를 도포하고 경화하는 과정을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롤투롤(roll-to-roll) 프로세스로 제조되어 있는 각각의 단위 필름들을 합지하고, 타발(punching)하고, 분리하는 과정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다층 데코 필름(15, 37)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다층 데코 필름(15, 37)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고가의 코팅 장치, 인쇄 장치, 건조 장치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다층 데코 필름(15, 37)의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상기 다층 데코 필름(15, 37)은 패턴 형성 필름(3, 23)에서 제거된 영역을 통해 보이는 베이스 필름(5, 25)의 표면과, 패턴 형성 필름(3, 23)에서 제거되지 않아서 보이는 표면 사이에 패턴 형성 필름(3, 23)의 두께만큼 단차가 형성되어, 다층 데코 필름(15, 37)의 상측에서 보이는 로고, 도형, 무늬, 그림, 글자 등의 패턴(pattern)이 입체감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해, 다층 데코 필름(15, 37)의 패턴이 평면적이지 않고 입체적으로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3, 23: 패턴 형성 필름 5, 25: 베이스 필름
7, 29: 양면 점착 필름 9, 31: OCA 필름
11, 33: 패턴 보호 필름 13, 35: 점착 보호 필름
15, 37: 다층 데코 필름 27: 차광 필름

Claims (11)

  1. 패턴 형성 필름을 끊임없이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패턴 형성 필름 상에 적어도 하나에 베이스 필름, OCA 필름, 패턴 보호 필름 및 양면 점착 필름을 점착시켜 이루어지는, 제품에 부착되는 다층 데코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패턴 형성 필름 공급 롤러에 권취된 패턴 형성 필름을 언와인딩하여, 컷터까지 연속적으로 끊임없이 이송하는 단계;
    언와인딩 패턴 형성 필름의 일면에,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캐리어 필름을 점착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필름을 점착한 패턴 형성 필름의 일 영역을 잔존시키고, 상기 일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제거하는 패턴 형성 단계;
    상기 패턴 형성 단계를 거친 패턴 형성 필름의 상기 캐리어 필름이 점착된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에,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베이스 필름을 점착하는 베이스 필름 결합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을 점착한 후에 상기 캐리어 필름을 분리하는 캐리어 필름 분리 단계;
    상기 캐리어 필름이 제거된 패턴 형성 필름의 일면에,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OCA 필름, 및 패턴 보호 필름을 점착시키는 OCA 필름 결합 단계 및 패턴 보호 필름 결합 단계; 및
    상기 OCA 필름 결합 단계 및 패턴 보호 필름 결합 단계 이후에, 상기 패턴 형성 필름을 시트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필름은 캐리어 필름 공급 롤러부터 언와인딩되어서 상기 패턴 형성 필름과 점착되고, 상기 패턴 형성 필름으로부터 분리되어서 캐리어 필름 회수 롤러에 리와인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베이스 필름 공급 롤러로부터 언와인딩되어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캐리어 필름에 점착되고,
    상기 OCA 필름은 OCA 필름 공급 롤러로부터 언와인딩되어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캐리어 필름에 점착되고,
    상기 패턴 보호 필름은 상기 패턴 보호 필름 공급 롤러로부터 언와인딩되어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캐리어 필름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측에 상기 양면 점착 필름이 적층되도록 상기 양면 점착 필름을 부착하는 양면 점착 필름 결합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양면 점착 필름은 양면 점착 필름 공급 롤러로부터 언와인되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단계는, 타발 금형(punching mold)으로 상기 캐리어 필름 및 패턴 형성 필름을 찍어내어 자르는 타발 단계, 상기 타발 단계로 인해 발생한 스크랩(scrap)을 제거하는 스크랩 제거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타발 단계 및 스크랩 제거 단계가 복수 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보호 필름 결합 단계 이후에, 상기 양면 점착 필름의 하측면의 점착층이 보호되도록 상기 양면 점착 필름의 하측면에 점착 보호 필름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점착 보호 필름 부착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점착 보호 필름은 점착 보호 필름 공급 롤러로부터 언와인되어서 상기 양면 점착 필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데코 필름은 상기 제품의 표면 중의 일부 영역을 덮도록 점착되고,
    상기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패턴 보호 필름 결합 단계 이후에, 상기 다층 데코 필름이 상기 제품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는 외곽선(boundary line)을 갖도록 상기 다층 데코 필름을 절단하는 외곽선 절단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 결합 단계와 양면 점착 필름 결합 단계 사이에, 상기 다층 데코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광 투과를 막는 차광 필름이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측에 적층되도록 상기 차광 필름을 부착하는 차광 필름 결합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OCA 필름 결합 단계와 패턴 보호 필름 결합 단계 사이에, 적층된 양면 점착 필름, 차광 필름, 베이스 필름, 패턴 형성 필름, OCA 필름을 관통하는 광 투과 통공을 형성하는 광 투과 통공 형성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KR1020200147815A 2020-11-06 2020-11-06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KR102444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815A KR102444956B1 (ko) 2020-11-06 2020-11-06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815A KR102444956B1 (ko) 2020-11-06 2020-11-06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629A KR20220061629A (ko) 2022-05-13
KR102444956B1 true KR102444956B1 (ko) 2022-09-19

Family

ID=8158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815A KR102444956B1 (ko) 2020-11-06 2020-11-06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9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727Y1 (ko) * 2002-03-05 2002-05-25 유영수 타공형 데코레이션 시트
KR101433646B1 (ko) * 2013-03-07 2014-08-25 주식회사 솔텍코리아 패턴 형성용 필름의 천공장치
KR101883080B1 (ko) * 2016-12-20 2018-07-30 인탑스 주식회사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926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윈도우용 필름,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2103A (ko) 2017-12-29 2019-07-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데코필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727Y1 (ko) * 2002-03-05 2002-05-25 유영수 타공형 데코레이션 시트
KR101433646B1 (ko) * 2013-03-07 2014-08-25 주식회사 솔텍코리아 패턴 형성용 필름의 천공장치
KR101883080B1 (ko) * 2016-12-20 2018-07-30 인탑스 주식회사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629A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26949B (zh) 一种无刀印薄膜加工工艺
CA2541821A1 (en) Processes for precutting laminated flocked articles
JP4194672B2 (ja) アクリルインサート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インサート成形用多層フィルム
CN102169771A (zh) 复合膜面板
KR20100051040A (ko) Rfid 라벨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423372B1 (ko)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444956B1 (ko) 다층 데코 필름 제조 방법
KR20150081926A (ko) 디스플레이 윈도우용 필름,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US20170231100A1 (en) Circuit board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84376B1 (ko) 보안테이프
GB2254045A (en) Security cards
CA2793001A1 (en) An electronic card containing a display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nic card containing a display window
KR101305483B1 (ko)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JP6047950B2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KR102035927B1 (ko) 스마트폰용 박막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6134229A (zh) 固定系统
JP2009193226A (ja) Icチップ付きシート、icチップ付きラベル、icチップ付き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icチップ付きラベルの製造方法
JP2015205488A (ja) 液晶画面保護ガラス、表装パネルの表装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524307B2 (ja) 段ボール箱の手掛穴に用いる防塵用貼着シート
EP3698962B1 (en) Lettering film
KR101397169B1 (ko) 투명 윈도우 제조방법 및 투명 윈도우
WO2021140783A1 (ja) フィルム製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N212708423U (zh) 一种带网纹形状的硅油离型膜
JP2017215539A (ja) パネルカバーシート、パネルカバー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パネルカバーシート製造装置
JP4167554B2 (ja) インモールド転写成形方法及び打痕除去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