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892B1 - 베어링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샤프트 그라운드 링 - Google Patents

베어링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샤프트 그라운드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892B1
KR102444892B1 KR1020227004655A KR20227004655A KR102444892B1 KR 102444892 B1 KR102444892 B1 KR 102444892B1 KR 1020227004655 A KR1020227004655 A KR 1020227004655A KR 20227004655 A KR20227004655 A KR 20227004655A KR 102444892 B1 KR102444892 B1 KR 102444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round
ring
contac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훈
한승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제이통상
주식회사 한진티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제이통상, 주식회사 한진티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제이통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5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devices affected by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5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devices affected by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 F16C19/525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devices affected by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related to temperature and heat, e.g.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F16C41/002Conductive elements, e.g.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샤프트 그라운드 링 및 이의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모터의 샤프트에 체결되어 누설전류에 의한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 링바디; 및 링바디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복수개가 상기 링바디를 따라 소정의 갭을 갖고 이격 배치된 접지돌기;를 포함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유냉환경에서 적절한 접지상태를 유지해 고용량의 전기모터에서도 적절히 기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베어링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샤프트 그라운드 링
본 발명은 누설전류에 의한 베어링의 전식을 방지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동화에 따라 기존의 내연기관은 전기모터로 대체되고 있다. 전기모터가 주(main)구동원이 되면서 베어링 전식(electrical erosion)에 따른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베어링 전식은 전기모터의 누설전류가 샤프트를 따라 흘러 스파크를 발생시키고 베어링 표면을 손상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베어링 전식은 베어링 자체의 손상이나 수명 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고, 나아가 베어링의 파손에 따른 전기모터, 감속기 등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전기모터가 주구동원이 되면서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전압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이는 베어링 전식을 보다 촉진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베어링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샤프트 그라운드 링(shaft ground ring)이 알려져 있다. 샤프트 그라운드 링은 샤프트를 따라 흐르는 전류를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 흘려보내 베어링 전식을 저감시키는 수단이다.
건식환경에서 사용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은 카본을 주성분으로 하는 패드 타입이나 브러시(brush) 타입이 알려져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2314718호는 브러시 타입의 "베어링 전식 방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건식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종래의 샤프트 그라운드 링은 점차 고출력화되는 차량용 전기모터에서 적절히 기능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구체적으로 건식환경에서 사용되는 패드 타입은 전기모터의 언밸런싱(unbalancing)에 대응하기 위해 샤프트에 밀접하게 접촉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접촉부위에서 상대적으로 큰 마찰이 발생될 수 있고, 마찰에 따른 마모의 문제도 있다. 이에 따라 주구동원으로 사용되는 대용량의 전기모터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또한 패드 타입은 단일 지점에서 접촉되므로 접촉 불량에 대한 대응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카본 섬유를 사용하는 브러시 타입은 상기와 같은 패드 타입이 가진 마찰이나 접촉 불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다만 브러시 타입은 건식환경에서는 적합하게 기능할 수 있으나, 유냉(oil cooling)방식을 사용하는 대용량의 전기모터에서는 오일에 의해 브러시 섬유가 코팅되면서 절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차량의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전기모터는 높은 사용전압에 기인해 오일을 냉각매체로 사용되는 유냉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건식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은 다양한 방식으로 보완되고 있다. 일 예로 공개특허 제10-2019-0050559호는 냉각 오일을 사용하는 "구동모터의 접지 링 장착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공개특허는 샤프트의 양 끝단으로 흘러 나가는 오일이 접지 링(샤프트 그라운드 링)으로 유입되어 접지 링의 접지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에 착안해 블로킹 유닛을 통해 접지 링으로의 오일 유입을 저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누설전류에 의한 베어링의 전식을 방지할 수 있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 및 이의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냉환경에서 적절한 접지상태를 유지해 고용량의 전기모터에서도 적절히 기능할 수 있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 및 이의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르면, 전기모터의 샤프트에 체결되어 누설전류에 의한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 링바디; 및 상기 링바디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복수개가 상기 링바디를 따라 소정의 갭을 갖고 이격 배치된 접지돌기;를 포함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샤프트 그라운드 링; 및 상기 샤프트 그라운드 링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체결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르면, 전기모터의 샤프트에 체결되어 누설전류에 의한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샤프트 그라운드 링; 및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 그라운드 링을 상기 샤프트의 외주 부위에서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그라운드 링은, 상기 샤프트 그라운드 링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복수개가 소정의 갭을 갖고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접지돌기를 포함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샤프트 그라운드 링 및 이의 조립체는 접지돌기가 샤프트에 접촉되어 샤프트를 따라 흐르는 누설전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의 전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샤프트 그라운드 링 및 이의 조립체는 복수의 접촉점이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의 제1유로는 갭을 통해 샤프트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있고, 전후방향으로의 제2유로는 곧장 샤프트의 외주면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을 위한 오일 등이 신속히 외부로 배출되어, 오일에 의한 절연 성능의 저하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샤프트 그라운드 링 및 이의 조립체는 복수의 접촉점이 샤프트에 접촉되는 방식을 사용해 조립 시의 정렬 불량이나, 샤프트의 불균형 등에 보다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샤프트 그라운드 링 및 이의 조립체는 상기와 같은 특성에 따라 오일을 냉각매체로 사용하는 유냉환경에서도 적절한 접지상태를 유지하고, 고용량의 전기모터에서도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그라운드 링 조립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샤프트 그라운드 링 조립체의 후방 사e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샤프트 그라운드 링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의 제1 내지 3변형예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샤프트 그라운드 링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접지돌기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접지돌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접지돌기의 제1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접지돌기의 제2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접지돌기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그라운드 링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샤프트 그라운드 링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그라운드 링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그라운드 링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샤프트 그라운드 링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그라운드 링 조립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샤프트 그라운드 링 조립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샤프트 그라운드 링 조립체(100)(이하, "조립체(100)"로 지칭)은 누설전류에 의한 베어링의 전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립체(100)는 오일을 냉각매체로 사용하는 유냉방식에서 보다 적절히 기능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조립체(100)가 반드시 유냉방식에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조립체(100)는 하우징(110) 및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 및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샤프트(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110) 및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대체로 원형 고리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샤프트(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샤프트(10)의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조립체(100)는 차량용 전기모터에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샤프트(10)는 전기모터의 회전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본 실시예의 조립체(100)는 전기모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발전기에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샤프트(10)는 발전기의 회전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하우징(110)의 내주 부위에 체결될 수 있다.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소정의 결합구조를 통해 하우징(110)에 지지될 수 있다.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샤프트(10)의 중심축(S1)을 향해 배치된 내측 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의 내측 단부는 샤프트(10)의 외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10)를 따라 흐르던 누설전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을 통해 하우징 등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복수의 접지돌기(122)를 구비할 수 있다.
접지돌기(122)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의 내주 부위에서 중심축(S1)을 향해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접지돌기(122)는 샤프트(10)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접촉 의도되는 부분이다.
접지돌기(12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접지돌기(122)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의 내주 부위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접지돌기(122) 간에는 소정의 갭(G1)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복수의 접지돌기(122)가 구비된 일체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접지돌기(122)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일부 또는 전부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전부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일부 또는 전부가 도전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전부가 도전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일부 또는 전부에 금속 또는, 카본블랙(carbon black), 탄소섬유(carbon fiber),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등의 탄소계 필러를 포함하는 도전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샤프트 그라운드 링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C1-C1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하우징(110)은 하우징본체(111)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본체(111)는 소정의 횡단면을 갖고 샤프트(10)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본체(111)는 샤프트(10)를 향한 내측면에 링지지면(111a)을 구비할 수 있다. 링지지면(111a)에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 및 후술할 하우징커버(112)가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링지지면(111a)은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 및 하우징커버(112)의 두께에 대응되게 전후방향으로 소정 폭 연장될 수 있다.
링지지면(111a)의 후방에는 스웨징(111b)(swaging)이 형성될 수 있다. 스웨징(111b)은 후방으로 갈수록 샤프트(10)의 중심축(S1)을 향해 접근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스웨징(111b)은 하우징커버(112)의 후방 이탈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하우징본체(111)와 하우징커버(112) 사이에서 적절히 지지될 수 있다.
스웨징(111b)을 포함한 하우징(11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커버(112)는 하우징(110) 또는 스웨징(111b)의 적절한 탄성변형을 통해 커버지지면(111b)에 조립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하우징(110)은 하우징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커버(112)는 하우징본체(111)에 대응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커버(112)는 대체로 원형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커버(112)는 반경방향 외측의 외주면이 링지지면(111a)에 체결될 수 있다. 하우징커버(112)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의 후면과 스웨징(111b) 사이에서 적절히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의 제1 내지 3변형예이다.
도 4의 (a)는 제1변형예에 따른 하우징(110-1)을 도시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하우징(110-1)은 하우징본체(111-1)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본체(111-1)는 전술한 실시예의 하우징본체(111)에 대응된다. 본 변형예의 하우징본체(111-1)는 대체로 전술한 실시예의 하우징본체(111)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본체(111-1)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112)이 접촉 지지되는 링지지면(111a-1)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변형예의 하우징본체(111-1)는 전술한 실시예의 스웨징(111b)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 스웨징(111b)은 체결부재(111c-1)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본체(111-1),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 및 하우징커버(112-1)에는 각각 전후방향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11c-1)는 하우징커버(112-1) 측에서 삽입되어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을 지나 하우징본체(111-1)의 체결홀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하우징커버(112-1)와 하우징본체(111-1) 사이에서 체결부재(111c-1)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111c-1)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부재(111c-1)는 체결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예의 하우징(110-1)은 하우징커버(112-1)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커버(112-1)는 체결부재(111c-1)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을 제외하면, 대체로 전술한 실시예의 하우징커버(11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b)는 제2변형예에 따른 하우징(110-2)을 도시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하우징(110-2)은 하우징본체(111-2) 및 하우징커버(112-2)를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본체(111-2) 및 하우징커버(112-2)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을 사이에 두고 체결부재(112c-2)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본 변형예는 전술한 제1변형예와 대비해 체결부재(111c-2)의 형태에 일부 차이를 두고 있다.
도 4의 (c)는 제3변형예에 따른 하우징(110-3)을 도시한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하우징(100-3)은 하우징본체(1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본체(111-3)에는 체결부재(111c-3)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변형예의 하우징본체(111-3)는 대체로 전술한 변형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변형예의 경우 전술한 변형예들의 하우징커버(112-1, 112-2)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 하우징커버(112-1, 112-2)의 기능은 체결부재(111c-3)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예의 하우징(110-3)은 체결부재(111c-3)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재(111c-3)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 및 하우징본체(111-3)에 체결되어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을 하우징본체(111-3)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체결부재(111c-3)는 전술한 변형예들의 하우징커버(112-1, 112-2)의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111c-3)는 일단이 하우징본체(111-3)에 접촉 지지되고, 반대측 단부가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에 접촉 지지되어, 하우징본체(111-3)와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을 압박 고정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변형예의 체결부재(111c-3)는 양단에 머리(head)를 가진 리벳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샤프트 그라운드 링의 후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대체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전술한 하우징본체(111)와 하우징커버(112)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링바디(121)를 포함할 수 있다.
링바디(121)는 소정의 횡단면 형상을 갖고 원형 고리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링바디(121)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도 3 참조).
한편 본 실시예의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복수의 접지돌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돌기(122)는 링바디(121)의 내주 부위에서 샤프트(10)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접지돌기(122)의 단부는 샤프트(10)의 외면에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접지돌기(12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접지돌기(122)는 링바디(121)의 내주 부위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접지돌기(122)를 전후방향의 중심축(S1)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10)는 원주방향의 전구역에서 적절히 접지돌기(122)에 접촉될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접지돌기(122) 사이에는 갭(G1)이 형성될 수 있다. 갭(G1)은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접지돌기(122) 간의 빈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갭(G1)은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접지돌기(122) 사이에서 전후방향의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10)의 외면에 존재하는 오일 등은 갭(G1)을 통해 전후로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접지돌기(122)는 총 16개가 예시되고 있고, 갭(G1)은 대체로 접지돌기(122)의 원주방향 폭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고 있다. 다만 접지돌기(122)의 개수나 갭(G1)의 폭 등이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샤프트(10)의 외주 부위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은 복수의 접지돌기(122)가 샤프트(1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샤프트(10)와 체결될 수 있다.
초기 상태에서, 복수의 접지돌기(122)가 이루는 제1반경(R1)은 샤프트(10)의 외주면에 이루는 제2반경(R2)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초기 상태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이 샤프트(10)에 설치되기 이전으로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제1반경(R1)은 중심축(S1)을 향한 각 접지돌기(122)의 단부를 잇는 가상의 원이 이루는 반경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복수의 접지돌기(122)는 제1반경(R1)을 갖는 초기 상태에서, 소정 정도 탄성 변형되며 제2반경(R2)을 갖는 샤프트(1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접지돌기의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지돌기(122)는 링바디(121)로부터 중심축(S1)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축(S1)을 향하는 접지돌기(122)의 단부에는 제1 내지 4접촉점(122a~122d)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지돌기(122)는 원주방향의 일측(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제1, 2접촉점(122a, 122b)과, 그 반대측(도면상 좌측)에 배치된 제3, 4접촉점(122c, 122d)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명확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2접촉점(122a, 122b)은 중심축(S1)의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4접촉점(122c, 122d)은 중심축(S1)의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도 7 참조).
제1 내지 4접촉점(122a~122d)은 각각 접지돌기(122)의 단부로부터 중심축(S1)을 향해 소정 정도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적인 설치 상태에서 제1 내지 4접촉점(122a~122d)은 샤프트(1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의도된다. 즉, 본 실시예의 접지돌기(122)는 이상적인 설치상태에서 제1 내지 4접촉점(122a~122d)의 4개소에서 샤프트(10)와 접촉되도록 의도된다.
한편 접지돌기(122)는 제2유로(122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로(122e)는 제1, 2접촉점(122a, 122b)과, 제3, 4접촉점(122c, 122d)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4접촉점(122a~122d)이 각 위치에서 소정 형상으로 돌출됨에 따라, 제1, 2접촉점(122a, 122b)과 제3, 4접촉점(122c, 122d)의 사이에는 오목한 형태의 제2유로(122e)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로(122e)는 중심축(S1)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접지돌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 표시된 C2방향에서 접지돌기를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2접촉점(122a, 122b)과 제3, 4접촉점(122c, 122d)은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4접촉점(122a, 122d)은 제2, 3접촉점(122b, 122c)과 중심축(S1) 방향을 따라 전후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원주방향의 일측(도면상 우측)에서 제1접촉점(122a)과 제2접촉점(122b)이 전후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반대측(도면상 좌측)에서 제3접촉점(122c)과 제4접촉점(122d)이 전후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는 편의상 제1접촉점(122a)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각 접촉점(122b~122d)을 제2 내지 4접촉점(122b~122d)으로 명명하고 있다.
전술한 제2유로(122e)는 제1접촉점(122a)과 제4접촉점(122d)의 사이, 제2접촉점(122b)과 제3접촉점(122c)의 사이에서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지돌기(122)는 제1유로(122f)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122f)는 제1, 4접촉점(122a, 122d)과 제2, 3접촉점(122b, 122c)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4접촉점(122a~122d)이 각 위치에서 소정 형상으로 돌출됨에 따라, 제1, 4접촉점(122a, 122d)과 제2, 3접촉점(122b, 122c)의 사이에는 오목한 형태의 제1유로(122f)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122f)는 접지돌기(122)의 단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122f)는 전술한 제2유로(122e)와 교차되어 십(十)자형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지돌기(122)의 단부에는 제1 내지 4접촉점(122a~122d)에 의해 원주방향으로의 제1유로(122f)와, 전후방향으로의 제2유로(122e)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유로(122e, 122f)는 냉각 오일이 샤프트(10)의 전후 또는 좌우로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4접촉점(122a~122d)은 샤프트(10)와의 접촉 부위가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4접촉점(122a~122d)은 일종의 점(point) 접촉, 또는 이에 상응하는 좁은 면적에서의 면(surface) 접촉 형태로 샤프트(10)에 접촉될 수 있다. 이는 샤프트(10)와의 마찰을 줄이고, 냉각 오일의 원활한 유동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접지돌기의 제1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접지돌기의 제2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표시된 C3-C3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6에 표시된 C4-C4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접지돌기(122)는 링바디(121)로부터 연장된 종방향연장부(122g)와, 종방향연장부(122g)의 단부에서 다시 횡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연장부(122h)를 구비할 수 있다.
종방향연장부(122g)는 링바디(121)로부터 중심축(S1)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10)의 회전이나 표면 형상에 보다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종방향연장부(122g)의 상단의 제1폭(W1) 대비 하단의 제2폭(W2)이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종방향연장부(122g)는 제1폭(W1)에서 제2폭(W2)으로 가면서 대체로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종방향연장부(122g)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122i, 122j)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22i, 122j)은 샤프트(10)에 대응한 접지돌기(122)의 적절한 탄성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종방향연장부(122g)에는 제1가이드홈(122i)과 제2가이드홈(122j)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2가이드홈(122i, 122j)은 종방향연장부(122g)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가이드홈(122i)은 링바디(121)에 인접한 종방향연장부(122g)의 일측(도면상 상측)에 배치되어, 링바디(121)에 대한 종방향연장부(122g)의 탄성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2가이드홈(122j)은 횡방향연장부(122h)에 인접한 종방향연장부(122g)의 타측(도면상 하측)에 배치되어, 종방향연장부(122g)에 대한 횡방향연장부(122h)의 탄성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제1가이드홈(122i)은 링바디(121)에 인접한 종방향연장부(122g)의 일측에서 소정 정도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가이드홈(122j)은 횡방향연장부(122h)에 인접한 종방향연장부(122g)의 타측에서 소정 정도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제1가이드홈(122i)은 제2가이드홈(122j) 대비 소정 정도 큰 곡률(m1)을 갖고 오목하게 인입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홈(122i)은 제1곡률(m1)을 갖고 오목하게 인입 형성될 수 있고, 제2가이드홈(122j)은 제1곡률(m1)보다 소정 정도 작은 제2곡률(m2)을 갖고 오목하게 인입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가이드홈(122i, 122j)은 샤프트(10)로의 적절한 밀착력을 확보하면서, 샤프트(10) 표면에 대응한 탄성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횡방향연장부(122h)는 종방향연장부(122g)의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10)에 접촉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횡방향연장부(122h)는 중심축(S1)을 향해 접근되도록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횡방향연장부(122h) 후단의 제2, 3접촉점(122b, 122c)이 샤프트(10)에 적절한 탄성을 갖고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도 9는 접지돌기(122)가 샤프트(10)에 접촉되기 전 초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초기 상태에서 제1, 4접촉점(122a, 122d) 및 제1유로(122f)는 대체로 대응되는 평면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4접촉점(122a, 122d)과 제2, 3접촉점(122b, 122c) 사이의 제1유로(122f)는 샤프트(10)로의 접촉에 따라 횡방향연장부(122h)가 탄성 변형되며 보다 명확히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접지돌기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0은 접지돌기의 이상적인 설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와 같은 상태의 접지돌기(122)는 샤프트(10)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도 10과 같은 형태로 소정 정도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접지돌기(122)의 탄성 변형에 따라 제2, 3접촉점(122b, 122c)이 샤프트(10)의 외주면에 탄성 접촉되고, 이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제1, 4접촉점(122a, 122d)이 샤프트(10)의 외주면에 탄성 접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촉 형태에 따라, 제1, 4접촉점(122a, 122d)과 제2, 3접촉점(122b, 122c) 사이에는 제1유로(122f)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122f)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조립체(100)는 접지돌기(122)가 샤프트(10)에 접촉되어 샤프트(10)를 따라 흐르는 누설전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의 전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립체(100)는 복수의 접촉점(122a~122d)이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원주방향)의 유로(122f, 122e)가 형성될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의 제1유로(122f)는 갭(G1)을 통해 샤프트(10)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있고, 전후방향으로의 제2유로(122e)는 곧장 샤프트(10)의 외주면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을 위한 오일 등이 신속히 외부로 배출되어, 오일에 의한 절연 성능의 저하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립체(100)는 복수의 접촉점(122a~122d)이 샤프트(10)에 접촉되는 방식을 사용해 조립 시의 정렬 불량이나, 샤프트(10)의 불균형 등에 보다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립체(100)는 상기와 같은 특성에 따라 오일을 냉각매체로 사용하는 유냉환경에서도 적절한 접지상태를 유지하고, 고용량의 전기모터에서도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그라운드 링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샤프트 그라운드 링의 확대도이다.
도 11 및 12는 전술한 샤프트 그라운드 링(1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샤프트 그라운드 링(220)은 링바디(221)와, 링바디(221)에 형성된 복수의 접지돌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지돌기(222)는 제1접지돌기(223)와 제2접지돌기(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2접지돌기(223, 224)는 상호 유사하게 형성되되 그 방향을 달리할 수 있다. 즉, 제1접지돌기(223)는 전방을 향해 형성될 수 있고, 제2접지돌기(224)는 후방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접지돌기(223)는 링바디(221)로부터 연장된 제1종방향연장부(223a)와, 제1종방향연장부(223a)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1횡방향연장부(223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종방향연장부(223a)의 전면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접지돌기(122)와 유사하게 제1, 2가이드홈(223c, 223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접지돌기(224)는 링바디(221)로부터 연장된 제2종방향연장부(224a)와, 제2종방향연장부(224a)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2횡방향연장부(224b)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종방향연장부(224a)의 후면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접지돌기(122)와 유사하게 제1, 2가이드홈(224c, 224d)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2접지돌기(223, 224)는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2접지돌기(223, 224)는 원주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복수개가 서로 교대로 반복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2접지돌기(223, 224)가 하나씩 교대로 반복해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예로 제1, 2접지돌기(223, 224)가 각각 2개씩 교대로 반복해 배치되거나, 제1접지돌기(223)가 2개, 제2접지돌기(224)가 3개 등으로 각각 상이한 개수가 교대로 반복해 배치되는 경우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샤프트 그라운드 링(220)은 전후의 조립방향이 특정되지 않는데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즉,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된 제1, 2접지돌기(223, 224)가 하나의 링바디(221)에 구비되어 있어, 특정 조립방향에 제한되지 않고 샤프트 그라운드 링(220)의 조립이 이뤄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그라운드 링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샤프트 그라운드 링(320)은 링바디(321)와, 링바디(321)에 형성된 복수의 접지돌기(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다.
본 실시예의 샤프트 그라운드 링(320)은 접지돌기(322)의 형상에 있어 차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접지돌기(322)는 링바디(321)로부터 중심축(S1)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접지돌기(32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접지돌기(322)는 링바디(321)의 내주를 따라 소정 간격(G1)을 가지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접지돌기(322)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전후방향의 방향성을 가지지 않는다. 즉, 접지돌기(322)는 대체로 링바디(321)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며 중앙의 중심축(S1)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접지돌기(322)는 대체로 중심축(S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 따라 본 실시예의 샤프트 그라운드 링(320)은 전후의 조립방향이 특정되지 않고 샤프트(10)에 조립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유사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접지돌기(322)는 링바디(321)로부터 연장되는 기단 부위에 가이드홈(322i, 322i')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홈(322i, 322i')은 대체로 링바디(321)에 인접한 접지돌기(322)의 반경방향 외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322i, 322i')은 접지돌기(322)의 두께방향 내측으로 소정 정도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홈(322i, 322i')은 접지돌기(322)의 전면 및 후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지돌기(322)는 링바디(321)와 연결된 기단 부위에서 다른 부위 대비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홈(322i, 322i')은 접지돌기(322)의 탄성 변형을 유도해 접지돌기(322)가 샤프트(10)에 적절히 밀착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가이드홈(322i, 322i')은 전면 및 후면에 한 쌍이 형성되어 샤프트 그라운드 링(320)의 전후 조립방향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즉, 도시된 상태에서 샤프트 그라운드 링(320)이 전방을 향해 샤프트(10)로 삽입되면, 후방의 가이드홈(322i')에 의해 접지돌기(322)의 탄성 변형이 유도되면서 적절히 조립이 이뤄질 수 있다. 반대로 샤프트 그라운드 링(320)이 후방을 향해 샤프트(10)로 삽입되면, 전방의 가이드홈(322i)에 의해 접지돌기(322)의 탄성 변형이 유도되면서 적절히 조립이 이뤄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접지돌기(322)는 샤프트(10)를 향하는 단부에 제1접촉점(322a) 및 제4접촉점(322d)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접지돌기(322)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대비해 제2접촉점(122b) 및 제3접촉점(122c)이 생략되고 있다. 제1접촉점(322a) 및 제4접촉점(322d)은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사이에는 제2유로(322e)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유로(322e)는 전후방향으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주방향의 제1유로(122f)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그라운드 링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샤프트 그라운드 링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표시된 C4-C4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임을 알려둔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샤프트 그라운드 링 조립체(400)는 하우징(410) 및 샤프트 그라운드 링(4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420)의 접지돌기(422)가 샤프트 그라운드 링(420)의 외주 부위에 형성된 점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하우징(410)은 하우징본체(411) 및 하우징커버(412)를 구비할 수 있고, 샤프트 그라운드 링(420)은 하우징본체(411)와 하우징커버(412) 사이에서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410)은 샤프트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하우징(410)이 샤프트에 체결되어 직접 접지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샤프트는 하우징(410)에 압입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그라운드 링(420)은 하우징(410)에 체결되어, 하우징(410) 및 샤프트 그라운드 링(420)이 샤프트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그라운드 링(420)은 반경방향 외측에 접지돌기(422)가 형성될 수 있다. 접지돌기(422)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접지돌기(422)는 소정의 갭을 가지고 샤프트 그라운드 링(4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각 접지돌기(422)는 대체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형성되나, 배치방향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대적인 회전 주체가 반대로 변경될 뿐이고, 대체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전기모터의 샤프트에 체결되어 누설전류에 의한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 링바디; 및
    상기 링바디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복수개가 상기 링바디를 따라 소정의 갭을 갖고 이격 배치된 접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돌기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접촉점; 및
    상기 복수의 접촉점 사이에서 전후방향 또는 상기 링바디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유로;를 포함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갭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서 전후방향의 유로를 형성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점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 일측에 접촉되는 제1접촉점;
    상기 제1접촉점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2접촉점;
    상기 제2접촉점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3접촉점; 및
    상기 제1접촉점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3접촉점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4접촉점;을 포함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제1, 4접촉점과 상기 제2, 3접촉점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1유로; 및
    상기 제1, 2접촉점과 상기 제3, 4접촉점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제2유로;를 포함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
  6. 전기모터의 샤프트에 체결되어 누설전류에 의한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 링바디; 및
    상기 링바디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복수개가 상기 링바디를 따라 소정의 갭을 갖고 이격 배치된 접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돌기는,
    상기 링바디로부터 상기 샤프트를 향해 연장된 종방향연장부; 및
    상기 종방향연장부의 단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샤프트에 접촉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의 중심축을 향해 접근되도록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횡방향연장부;를 포함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연장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 일측에 접촉되는 제1접촉점;
    상기 제1접촉점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2접촉점; 및
    상기 샤프트로의 설치에 따라, 상기 횡방향연장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접촉점과 상기 제2접촉점의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유로;를 포함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지돌기는,
    상기 링바디와 상기 종방향연장부의 사이에서 제1곡률을 갖고 오목하게 인입되어, 상기 종방향연장부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종방향연장부와 상기 횡방향연장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곡률보다 작은 제2곡률을 갖고 오목하게 인입되어, 상기 횡방향연장부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제2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바디 및 상기 접지돌기는,
    일체로 형성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도전성 플라스틱을 재질로 형성된 샤프트 그라운드 링.
  10. 전기모터의 샤프트에 체결되어 누설전류에 의한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 링바디; 및
    상기 링바디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복수개가 상기 링바디를 따라 소정의 갭을 갖고 이격 배치된 접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돌기는,
    복수의 제1접지돌기; 및
    상기 복수의 제1접지돌기와 교대로 반복해 배치된 복수의 제2접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지돌기는,
    상기 링바디로부터 연장된 제1종방향연장부; 및
    상기 제1종방향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제1횡방향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지돌기는,
    상기 링바디로부터 연장된 제2종방향연장부; 및
    상기 제2종방향연장부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2횡방향연장부;를 포함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
  11. 전기모터의 샤프트에 체결되어 누설전류에 의한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 링바디; 및
    상기 링바디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복수개가 상기 링바디를 따라 소정의 갭을 갖고 이격 배치된 접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돌기는,
    상기 샤프트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고, 각각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사이에서 전후방향의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1접촉점 및 제4접촉점; 및
    상기 링바디와의 연결 부위에서 전면 및 후면이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로의 삽입 체결 시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
  12. 청구항 1의 샤프트 그라운드 링; 및
    상기 샤프트 그라운드 링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체결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 조립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소정의 횡단면을 갖고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우징본체; 및
    상기 하우징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 그라운드 링의 이탈을 제한하는 하우징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본체는,
    상기 샤프트 그라운드 링의 외주면을 접촉 지지하는 링지지면; 및
    상기 링지지면의 후방에 형성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중심축을 향해 접근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커버의 후방 이탈을 제한하는 스웨징;을 포함하는 샤프트 그라운드 링 조립체.
  14. 삭제
KR1020227004655A 2022-01-27 2022-01-27 베어링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샤프트 그라운드 링 KR102444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1463 WO2023145998A1 (ko) 2022-01-27 2022-01-27 베어링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샤프트 그라운드 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892B1 true KR102444892B1 (ko) 2022-09-19

Family

ID=8346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655A KR102444892B1 (ko) 2022-01-27 2022-01-27 베어링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샤프트 그라운드 링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507440A (ko)
KR (1) KR102444892B1 (ko)
WO (1) WO202314599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5666U (ko) * 1996-06-26 1998-03-30 모터용 엔드 커버
JP2012210065A (ja) * 2011-03-30 2012-10-25 Fujitsu General Ltd モールドモーター
KR20140023996A (ko) * 2011-04-18 2014-02-27 인프로/시일 엘엘씨 전류 다이버터 링
JP2019002497A (ja) * 2017-06-16 2019-01-10 Ntn株式会社 シェル形ころ軸受
KR20190050559A (ko) * 2017-11-03 2019-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구동모터의 접지 링 장착 구조
JP2019192491A (ja) * 2018-04-25 2019-10-3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軸アー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9777B2 (en) * 2006-01-12 2008-03-04 Illinois Tool Works Inc Grounding system for a rotating shaft
GB201509927D0 (en) * 2015-06-08 2015-07-22 Aes Eng Ltd Electrical grounding - labyrinth bearing prote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5666U (ko) * 1996-06-26 1998-03-30 모터용 엔드 커버
JP2012210065A (ja) * 2011-03-30 2012-10-25 Fujitsu General Ltd モールドモーター
KR20140023996A (ko) * 2011-04-18 2014-02-27 인프로/시일 엘엘씨 전류 다이버터 링
JP2019002497A (ja) * 2017-06-16 2019-01-10 Ntn株式会社 シェル形ころ軸受
KR20190050559A (ko) * 2017-11-03 2019-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구동모터의 접지 링 장착 구조
JP2019192491A (ja) * 2018-04-25 2019-10-3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軸アー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5998A1 (ko) 2023-08-03
JP2024507440A (ja)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1847B2 (en) Self centering, floating brush seal assembly
EP1116906B1 (en) A seal arrangement
US5460249A (en) Ventilated-type disc rotor
JP2021167666A (ja) 調整可能な導体を有する、軸受のための複合型の絶縁体および導体アセンブリ
US6669443B2 (en) Rotor platform modification and methods using brush seals in diaphragm packing area of steam turbines to eliminate rotor bowing
JP2014512798A (ja) 電流分流リング
JP2021162151A (ja) 収容された絶縁体を有する、軸受のための複合型の絶縁体および導体アセンブリ
JP2000154877A (ja) シ―ルアセンブリ並びに該シ―ルアセンブリを含む回転機械
JP2021162156A (ja) 固定された導体を有する、軸受のための複合型の絶縁体および導体アセンブリ
WO2002057643A1 (en) Flange bearing
KR20020030698A (ko) 차량용 교류발전기
KR102444892B1 (ko) 베어링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샤프트 그라운드 링
CN110325754B (zh) 具有至少一个增强肋片的波纹管
PL178425B1 (pl) Świeca zapłonowa
US20230082378A1 (en) Motor
JP2019113144A (ja) 半割スラスト軸受
KR20190050559A (ko) 구동모터의 접지 링 장착 구조
CN111894991A (zh) 导电密封环和轴承组件
CN211116760U (zh) 泵用推力轴承组件及电子水泵
US4284918A (en) Porous interface stabilized liquid metal current collector
KR102544771B1 (ko) 로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N110131415B (zh) 张紧器
US20230353021A1 (en) Anti-erosion structure of motor
KR20230171787A (ko) 모터의 전식 방지 구조
CN113586813B (zh) 一种能够热补偿的高温流体通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