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839B1 - 저분자 키토산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분자 키토산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839B1
KR102444839B1 KR1020210119259A KR20210119259A KR102444839B1 KR 102444839 B1 KR102444839 B1 KR 102444839B1 KR 1020210119259 A KR1020210119259 A KR 1020210119259A KR 20210119259 A KR20210119259 A KR 20210119259A KR 102444839 B1 KR102444839 B1 KR 102444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weight
composition
cov
sars
chitooligosaccha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6912A (ko
KR102444839B9 (ko
Inventor
신용철
박철
류성원
이다겸
장동환
정지희
Original Assignee
아미코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미코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미코젠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11437836.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767707B/zh
Publication of KR2022010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839B1/ko
Publication of KR10244483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83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2Chitin, chitos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Chitin, chitosa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ARS-CoV-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에 항바이러스 효능을 나타내는 특정 분자량 범위의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정 분자량 범위의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SARS-CoV-2의 번역/복제/증식을 억제하는바, SARS-CoV-2 감염에 따른 COVID-19 감염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분자 키토산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본 발명은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ARS-CoV-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에 항바이러스 효능을 나타내는 특정 분자량 범위의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감염성 질환은 균, 세균, 바이러스 등의 외래물이 혈액, 체액 및 조직 내에 출현하여 서식하기 시작하면서 발병하는 질환으로서, 이들의 정확한 동정 및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생명을 잃을 수 있는 질병이다. 위생 수준의 향상에 따라서 감염질환의 유병율은 대체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이나, 항생제 투여의 오남용, 이식에 따른 면역 억제제 사용의 증가, 항암 치료로 인한 면역력 감소, 당뇨, 고혈압 등 기저질환 보유자의 증가 등으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감염질환의 위협은 증가되는 상황이다
특히 감염질환은 대부분 감염 부위의 염증반응을 수반하며, 그 중의 일부는 전신 염증반응을 일으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감염에 의한 감염성 환자는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최대한 빠르게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정확한 진단과 중증도 예측은 감염성 환자의 생존을 위해 필수적이다.
사람에게 감염되는 사람 코로나바이러스는 1960대 발견된 HCoV-229E와 HCoV-OC43, 사스 대유행 이후 발견된 HCoV-NL63(2004년)과 HCoV-HKU1(2005년)로 이들은 일반적으로 상기도감염증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면역결핍 환자들에게는 심각한 폐질환을 유도하기도 한다. 주로 겨울이나 이른 봄에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감염률이 증가된다고 보고되고 있고, 성인 감기환자 중 코로나바이러스가 원인 병원체인 비율이 상당히 높다고 알려져 있다.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을 일으키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가 처음 발견되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보고에 따르면 2002년에서 2003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8,273명의 환자와 775명의 사망자(치사율 약 10%)가 발생하였고, 2004년까지 추가적인 환자 발생과 사망자가 보고되었다.
2012년 9월 SARS-CoV 감염증과 유사한 고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 증상을 나타내는 중증 호흡기질환 환자가 발생하였고, 이 원인 병원체는 기존의 알려진 바이러스와는 다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HCoV-EMC)로 밝혀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2013년 5월 국제바이러스 분류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의 코로나바이러스 스타디그룹에서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 (MERS-CoV)이라는 이름으로 분류되었다.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감염은 2012년 9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첫 감염사례가 확인된 후 2014년 6월까지 WHO에 공식적으로 보고된 환자는 전 세계적으로 808명이며, 313명이 사망하였다(34.5%).
한편, 2019년 새로운 인간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행성 전염병이 최근 전세계에 빠르게 확산되어 세계 보건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SARS-CoV-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는 2019년에 처음 알려진 급성 중증 호흡기 질환 코로나바이러스 2로써 양성 방향의 단일 사슬 RNA 바이러스(positive-sense single-stranded RNA virus)로 분류된다. 이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질환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로 명명하였으며, 줄여서 COVID-19라고 부르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Coronavirus pandemic)을 공식 발표하였으며, 2020년 12월 현재 대한민국의 감염자수는 6만5천명을 육박하고 있으며, 전세계 약 8천5백만명이 감염된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계속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국내 식약처(KFDA)가 승인한 치료제는 없는 상황이며, 치료목적 사용승인 제품들과 임상시험중인 제품들은 있는 상황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COVID-19의 치료제로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제인 렘데시비르 (Remdesivir)를 공식 승인한 상태이다. 하지만 기존에 많이 알려진 렘데시비르, HIV 치료제인 칼레트라(Kaletra), 말라리아 치료제인 클로로퀸(Chloroquine) 등 고분자 또는 화학물질 치료제의 경우에는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심각한 부작용이 동반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안전한 천연 소재이며 식용으로 사용하는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이 SARS-CoV-2에 효과가 있으며, 동시에 부작용이 없거나 아주 적다는 장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할 수 있는 천연 유래의 물질을 탐색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일정한 분자량 범위의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이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강력한 항바이러스 작용을 나타내어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을 예방하거나 치료제로 활용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키토산이란 키틴의 아세틸기(CH3CO-)가 떨어져 나간 형태로서 D-글루코사민이 5,000개 이상이 반복적으로 결합한 고분자 천연 다당체를 의미하며, 저분자 키토산이란 D-글루코사민이 2~500개 연결된 형태의 올리고당으로 생리 활성과 체내 흡수율 높인 고기능성 천연 다당류이며 키토산과 올리고당의 특성을 모두 가진다. 흔히 저분자 키토산이라 불리는 것은 고분자 키토산을 효소 또는 염산 처리를 통해 D-글루코사민의 결합을 짧게 만들어 분자량을 저분자화 시킨 것을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키토산은 분자량이 수십만에서 수백만 달톤에 이르는 분자량이 매우 큰 고분자 다당류이다. 분자량이 매우 크며, 잘 파괴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위장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체내에 흡수되는 것은 불과 3% 내외 정도이다. 이렇듯 체내 흡수가 낮고 용해도가 낮아 우수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응용의 폭이 제한되고 있다. 반면, 저분자 키토산은 고분자 키토산보다 더 높은 항균, 항산화, 용해성과 투과성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더 빠르고 더 쉽게 박테리아막에 침투하여 높은 항균 활동과 항산화 활동을 나타낸다. 이런 특성을 이용하여 저분자 키토산을 생물학적 자극제, 항균물질, 항균제 그리고 항산화제로 사용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으며, 식품, 건강 및 농업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분자 키토산은 평균 분자량 80,000 Da 이하인 키토산을 의미하며 상기 저분자 키토산에는 키토올리고당이 포함된다. 상기 저분자 키토산은 바람직하게는 평균 분자량 400 Da 내지 80,000 Da, 더 바람직하게는 평균 분자량 10,000 Da 내지 50,000 Da,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평균 분자량 15,000 Da 내지 45,000 Da, 가장 바람직하게는 평균 분자량 25,000 Da 내지 35,000 Da의 키토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키토올리고당은 고 분자량의 키토산이 체내에 좀 더 잘 흡수되도록 만든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을 의미하며 게, 새우 껍질 등을 탈단백(단백질 제거), 탈칼슘(칼슘 제거), 세척, 건조 공정에 의해 키틴으로 정제한 후 탈아세틸화하여 키토산을 제조한 다음, 상기 키토산을 염산 등 무기산을 이용한 화학적 분해 방법 또는 효소를 이용한 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효소를 이용한 분해 방법은 키토산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염산을 2~3% 첨가하고(키토산 기질 농도 5% 기준 물 양 대비 염산 원액 2%, 키토산 양 대비 염산 원액 약 40%), 40~6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고형분 5~10%의 염산이 함유된 키토산 수용액을 만든다. 완전히 용해된 후, pH를 4~6으로 조정하고 키토산 분해 효소인 키토사나아제를 정제수에 용해하여 투입한다. 이후 40~60℃에서 14~20시간 가수분해한 후, 80℃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효소를 실활한 후 여과 건조과정을 거쳐 키토올리고당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제조공정 중 키토사나아제의 첨가량과 가수분해 시간에 따라 상기 키토올리고당의 분자량이 변화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키토올리고당은 평균 분자량 400 Da 내지 80,000 Da, 더 바람직하게는 평균 분자량 10,000 Da 내지 50,000 Da,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평균 분자량 15,000 Da 내지 45,000 Da, 가장 바람직하게는 평균 분자량 25,000 Da 내지 35,000 Da의 키토올리고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은 코로나바이러스의 병원성에 필수적인 RNA-의존성 RNA 폴리머라제(RNA-dependent RNA polymerase, RdRp), 외피(envelope, E) 및 뉴클레오캡시드(nucleocapsid, N)의 유전자 발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30,000 Da의 분자량을 나타내는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이 현저히 향상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 감염증,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 감염증 및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감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SARS-CoV-2 감염증(COVID-19)일 수 있다.
상기 SARS-CoV-2는 사람과 다양한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서 유전자 크기 27~32kb의 RNA 바이러스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은 잠복기가 2주일가량이며 발열을 동반한 기침, 호흡곤란, 숨가쁨, 가래 등 호흡기 증상을 주로 보이고, 그 이외에도 두통, 오한, 콧물, 근육통뿐만 아니라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복통, 설사 등 소화기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에서 나타나는 상기 다양한 증상들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제공하는 상기 분자량의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은 코로나바이러스의 번역/복제/증식을 억제하는 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은 그 자체 또는 염,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를 위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모든 종류의 용매, 분산매질,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 수성 조성물, 리포좀, 마이크로비드 및 마이크로좀이 포함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 즉 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하고 치료하기 충분한 양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1일 투여량으로는 약 0.01 내지 1,000 ㎎/㎏의 범위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0 mg/kg의 범위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한 투여량 범위 내에서 1회 또는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투여 대상, 연령, 성별 체중, 개인차 및 질병 상태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투여 경로로는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 내, 근육 내, 동맥 내, 골수 내, 경막 내, 심장 내, 경피, 피하, 복강 내, 비강 내, 장관, 국소, 설하, 직장, 또는 췌장 내 투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경우, 적합한 경구 투여용 담체와 함께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글루코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 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 등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 방식 및 제제는 정맥 주사제, 피하 주사제, 피내 주사제, 근육 주사제 또는 점적 주사제 등이다. 주사제는 생리식염액 또는 링겔액 등의 수성 용제, 식물유,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예로, 올레인산에칠 등), 알코올류(예로, 에탄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 등의 비수성 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변질 방지를 위한 안정화제(예로, 아스코르빈산,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BHA, 토코페롤, EDTA 등), 유화제,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 미생물 발육을 저지하기 위한 보존제(예로, 질산페닐수은, 치메로살, 염화벤잘코늄, 페놀, 크레솔, 벤질알코올 등) 등의 약제학적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카보하이트레이트(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즈, 슈크로즈 또는 덱스트란),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및/또는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의 효과가 있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이 항바이러스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0.1 내지 100 중량% 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은 특히,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건강기능식품 또는 식이보충제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은 전술한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외한 일체의 조성물을 포함하며, 이의 비 제한적인 예시로 항바이러스용 화장료 조성물, 항바이러스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항바이러스용 의약외품 조성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경우, 적합한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또는 스프레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합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 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이 의약외품 조성물인 경우,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은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패치, 또는 필터 충진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은 일상생활 전반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대비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이 될 수 있다.
특정 분자량 범위의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용으로 사용되어 안전하게 SARS-CoV-2의 번역/복제/증식을 억제하는 바, SARS-CoV-2 감염에 따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부작용 없이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용매 대조군과 키토올리고당을 원숭이 유래 Vero E6 세포에 처리하고 세포독성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2는 실험에 사용할 SARS-CoV-2 바이러스를 선별하기 위해 6종의 SARS-CoV-2를 Vero E6 세포에 감염시킨 후 세포 변성 여부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3은 다양한 분자량의 키토올리고당의 SARS-CoV-2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키토올리고당이 SARS-CoV-2 바이러스 외에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HCoV-229E)에도 동일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키토올리고당의 SARS-CoV-2 바이러스 증식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laque assay를 수행한 결과이다.
도 6은 비교예로서 키토산을 SARS-CoV-2 바이러스와 1시간 반응을 시킨 후, Vero 세포에 바이러스를 감염시키고 2일 경과 후 바이러스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키토올리고당(15kDa)의 숙주세포 내 독성 관찰
키토올리고당과 용매의 Vero E6 세포 내에서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4가지 농도의 키토올리고당과 용매를 Vero E6 세포에 처리하고, 24시간 후 위상차 현미경을 이용하여 20×10 배율로 관찰하였다. 위상차 현미경(LionHeart FX automated Microscope) 사진은 Vero E6 세포에 처리한 직후부터 24시간 경과 후 촬영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매로 사용한 0.1 N HCl(Hydrochloric acid), DMSO(Dimethyl sulfoxide)는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세포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TritonX-100 1% 등을 사용 시 세포 독성이 확인되었다. 키토올리고당에서 세포 내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2. SARS-CoV-2의 세포사멸효과 평가 및 바이러스 선정
Vero E6 세포에 6종의 SARS-CoV-2 (NCCP 43326, NCCP 43327, NCCP 43328, NCCP 43329, NCCP 43330, NCCP 43331) 각각을 감염시킨 후 CPE(Cytopathic effect)를 관찰하였다. SARS-CoV-2를 감염시킨 후 Vero E6 세포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96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Vero E6 세포 감염 실험에 대한 실험대조군으로 2% FBS DMEM을 사용하였다. 위상차 현미경 사진은 Vero E6 세포에 처리한 후, 96시간 경과 시점에서 촬영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6종의 SARS-CoV-2를 감염시킨 후 모든 Vero E6 세포에서 세포 사멸이 관찰되었다. 그 중에서 SARS-CoV-2 NCCP43326를 감염시킨 Vero E6 세포에서 세포 사멸과 변성이 모두 관찰되었다. 세포 변성이 일어나야 플락(Plaque)이 형성되어 실험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실험에 사용한 6종의 SARS-CoV-2 중 세포 변성이 확인된 NCCP 43326를 선택하여 이후의 항바이러스 효과 측정 실험에 사용하였다.
3. 키토올리고당의 다양한 분자량별 실험 물질의 준비
분자량에 따른 키토올리고당의 SARS-CoV-2 바이러스 사멸 혹은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기 표 1에 나타낸 다양한 분자량의 키토올리고당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Figure 112021103632934-pat00001
4. 키토올리고당 분자량별 SARS-CoV-2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
Anti-SARS-CoV-2 효과 (qPCR assay)를 확인하기 위해 25 μg/mL 농도에서 4종의 후보물질(AG-01, AG-02, AG-03, AG-04)과 대조군(0.1 N HCl)을 SARS-CoV-2 바이러스 (MOI 0.01)와 1시간 반응을 시킨 후 Vero76 세포 (5.0*10^5 cells/well seeding, 6-well plate)에 감염시켰다. 매 15분 마다 흔들며 Vero76 세포에 1시간 동안 바이러스를 감염시키고, 세포에 감염되지 않은 바이러스는 제거한 후 세포를 PBS로 3회 세척하였다. 각 후보물질이 포함된 배지를 첨가한 후 2일 동안 37℃,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각 실험군의 바이러스 배양액으로부터 QIAamp® Viral RNA kit를 이용해 viral RNA를 추출, iScript?? cDNA synthesis kit를 이용해 cDNA 합성 후 SARS-CoV-2의 Rdrp, E, N 유전자에 대해 qPCR을 하여 유전자의 Ct 값을 정량하였다. 3회 반복 실험을 진행한 후 결과의 평균값을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에 사용한 후보물질 중 AG-03이 SARS-CoV-2에 대해 항바이러스 효과가 현저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SARS-CoV-2의 유전체 조직 게놈은 16개의 비구조 단백질(NSP1~NSP16)을 암호화하는 ORF1a, ORF1b 두 개의 큰 유전자를 암호화한다. 이러한 NSP는 게놈 전사 및 복제와 관련된 복제-전사 복합체(RTC)를 형성하기 위해 처리되며, 스파이크(S), 엔벨로프(E), 막(M), 뉴클레오캡시드(N) 유전자는 구조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3-키모트립신 유사 단백질 분해효소, 파파인 유사 단백질 분해효소, RNA 의존성 RNA 중합효소와 같은 비구조 단백질은 ORF 영역에 의해 암호화된다. WHO의 기준에 따르면 COVID-19 확인 시 핵산 서열 분석과 함께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RT-PCR) 등 NAAT에 의한 바이러스 RNA의 고유한 서열을 검출하며, 이에 대상이 된 바이러스 유전자에는 N, E, S, RdRP 유전자가 포함된다.
실험에 사용된 3가지 유전자(Rdrp, E, N gene)는 SARS-CoV-2의 대표적인 검출 유전자로 사용하는데 SARS-CoV-2 Rdrp(ORF1ab) gene은 RNA-dependent polymerase를 encoding하는 유전자로서 바이러스 유전체를 복제하는 역할을 하며, SARS-CoV-2 유전체를 검출하는 분자진단에서 제일 우선순위로 선택되는 유전자이며, SARS-CoV-2 E gene는 Envelope protein을 encoding하는 유전자로서 바이러스 표면을 구성하는 구조단백질을 발현하며, SARS-CoV-2 유전체 검출에서 추가로 사용되는 유전자 중 하나이다. SARS-CoV-2 N gene은 Nucleocapsid phosphoprotein을 encoding하는 유전자로서 바이러스 유전체와 결합하며 유전체의 안정성을 지지하는 단백질을 발현하는 역할을 하는 유전자이다.
5. 키토올리고당의 HCoV-229E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 비교
앞선 실험에서 SARS-CoV-2에 대해 가장 뛰어난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낸 AG-03 키토올리고당이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에도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인간을 감염시키는 Human alphacoronavirus인 HCoV-229E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5μg/mL 농도에서 AG-03과 용매대조군(0.1 N HCl)을 HCoV-229E 바이러스 (MOI 0.01, TCID 50 기준)와 1시간 반응을 시킨 후 MRC-5 세포(5.0*10^5 cells/well seeding, 6-well plate)에 바이러스를 감염시켰다. 매 15분 마다 흔들며 MRC-5 세포에 1시간 동안 바이러스를 감염시키고, 세포에 감염되지 않은 바이러스는 제거한 후 세포를 PBS로 3회 세척하였다. AG-03이 포함된 배지를 첨가한 후 3일 동안 37℃,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각 실험군의 바이러스 배양액으로부터 QIAamp® Viral RNA kit를 이용해 viral RNA를 추출, iScript?? cDNA synthesis kit를 이용해 cDNA 합성 후 HCoV-229E의 RP1ab, N, S 유전자에 대해 qPCR을 하여 유전자의 Ct 값을 정량하였다. 같은 농도에서 항바이러스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3회 반복 실험을 진행한 후 결과의 평균값을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SARS-CoV-2와 HCoV-229E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AG-03은 HCoV-229E에 대해서도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SARS-CoV-2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과 비교하여 효과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검출 유전자 중 HCoV-229E RP1ab(HCoV229Egp1) gene은 Replicase polyprotein 1ab를 encoding하는 유전자로서 바이러스 유전체의 복제에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발현한다. HCoV-229E N gene은 Nucleocapsid protein을 encoding하는 유전자로서 바이러스 유전체와 결합하는 단백질을 발현하며, HCoV-229E S gene은 Surface glycoprotein(Spike glycoprotein)을 encoding하는 유전자로서 숙주세포와 상호작용하는 바이러스 표면단백질을 발현한다. 이들 유전자들은 HCoV-229E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분자진단 목표가 될 수 있다.
6. 키토올리고당의 SARS-CoV-2 바이러스 증식 억제 효과(Plaque assay)
200 μg/mL AG-03과 대조물질 0.1 N HCl을 SARS-CoV-2 바이러스 (500 PFU(plaque forming unit)/mL)와 1시간 반응을 시킨 후 Vero76 세포 (8.0*10^5 cells/well seeding, 6-well plate)에 감염시켰다. 매 15분 마다 흔들며 Vero76 세포에 1시간 동안 바이러스를 감염시키고, 세포에 감염되지 않은 바이러스는 제거한 후 세포를 PBS로 3회 세척하였다. 1% low-melting point agar와 후보물질 200 μg/mL이 포함된 배지를 첨가한 후 3일 동안 37℃,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고 관찰하였다. 배양 3일 후 3.7% formaldehyde로 세포를 고정, solid-agar layer를 제거하고 0.5% crystal violet으로 15분간 세포를 염색, PBS로 2회 탈염색 후 plaque 형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SARS-CoV-2 바이러스 증식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laque 수를 정량 하였다(PFU (Plaque Forming Unit)/ml). 같은 농도에서 항바이러스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2회 반복 실험을 진행한 후 결과의 평균값을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Anti-SARS-CoV-2 효과 정량 결과 AG-03 물질의 SARS-CoV-2 바이러스 발현율이 61.7%로 대조군 대비 바이러스 증식에 대한 억제 효과가 38.3%로 확인되었다.
7. 키토산의 SARS-CoV-2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 정량
키토산은 키틴을 탈아세틸화 하는 공정을 거쳐 생산된다. 50% NaOH를 90℃로 가온시키고, 키틴을 투입한 후 15시간 반응시킨다. 물 세척을 진행한 후 H2O2 5L를 투입하고 15시간 반응시킨다. 물 세척과 수분 제거 과정을 진행한 후, 건조기에 고루 펴서 60℃에서 8시간 이상 건조하여, 조분쇄/미분쇄하여 220kDa의 키토산을 아미코젠㈜에서 생산하였다(LotNo.3241190)
키토산 50μg/ml을 SARS-CoV 2 바이러스와 1시간 반응을 시킨 후 Vero 세포에 (MOI 0.01, TCID 50 기준) 감염시켰다. Vero 세포에 감염시킨 후, 매 15분 마다 Rocking 하고 바이러스를 제거한 후 PBS로 3회 세척하였다. SARS-CoV 2 바이러스로 감염시킨 Vero 세포는 1회 새로운 배지로 교환 후 배양하였다. SARS-CoV 2 바이러스로 Vero 세포를 감염시키고 2일이 경과한 후, RNA를 추출하고 SD바이오센서 사에서 판매하는 COVID-19 KIT (스탠다드 M 코로나 19 신속진단키트, STANDARD M n-Cov Real-Time Detection kit)를 사용하여 real-time PCR을 하였다. 바이러스 합성에 관여하는 RdRp 유전자와 Envelope에 관여하는 E 유전자를 타겟으로 하여, 이들 유전자의 Ct 값을 정량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SD바이오센서 사의 COVID-19 KIT로 정량한 결과 키토산에서 바이러스 발현에 관여하는 RdRp 유전자와 E 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용매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바이러스 억제 활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정 분자량 범위의 저분자 키토산 또는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SARS-CoV-2의 번역/복제/증식을 억제하는바, SARS-CoV-2 감염에 따른 COVID-19 감염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Claims (13)

  1. 평균 분자량 25,000 Da 내지 35,000 Da인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 (SARS-CoV-2)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평균 분자량 25,000 Da 내지 35,000 Da인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 (SARS-CoV-2) 감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평균 분자량 25,000 Da 내지 35,000 Da인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 (SARS-CoV-2)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119259A 2021-01-22 2021-09-07 저분자 키토산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44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437836.4A CN114767707B (zh) 2021-01-22 2021-11-29 包含低分子壳聚糖的用于预防或治疗冠状病毒感染疾病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09584 2021-01-22
KR1020210009584 2021-01-22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912A KR20220106912A (ko) 2022-08-01
KR102444839B1 true KR102444839B1 (ko) 2022-09-19
KR102444839B9 KR102444839B9 (ko) 2022-12-27

Family

ID=8284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259A KR102444839B1 (ko) 2021-01-22 2021-09-07 저분자 키토산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8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5934A2 (en) * 2006-09-22 2008-09-04 Oregon Biomedical Engineering Institute, Inc. Inactivation of toxic agents and pathogens using chitosan
WO2011142484A1 (ja) 2010-05-14 2011-11-17 株式会社日本触媒 ポリアルキレンイミンを含むウイルス感染症治療薬
CN111920945A (zh) 2020-09-22 2020-11-13 李伟宏 一种新型冠状病毒疫苗及其制备方法和应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5934A2 (en) * 2006-09-22 2008-09-04 Oregon Biomedical Engineering Institute, Inc. Inactivation of toxic agents and pathogens using chitosan
WO2011142484A1 (ja) 2010-05-14 2011-11-17 株式会社日本触媒 ポリアルキレンイミンを含むウイルス感染症治療薬
CN111920945A (zh) 2020-09-22 2020-11-13 李伟宏 一种新型冠状病毒疫苗及其制备方法和应用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 J BIOL MACROMOL.,183, PP. 235~244, 2021.04.27
J APPL MICROBIOL. 00, PP. 1~18, 2021.07.04
J FOOD PROT.,72(12), PP.2623~2628, 2009.12.01
Krzysztof Pyrć 외, ‘SARS-CoV-2 inhibition in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using a mucoadhesive, amphiphilic chitosan that may serve as an anti-viral nasal spray’, bioRxiv (2020. 12. 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912A (ko) 2022-08-01
KR102444839B9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3870B (zh) 预防和治疗流感病毒感染的组合物和含姜黄提取物的用于抑制神经氨酸苷酶活性的组合物
TWI787950B (zh) 用於預防、緩解或治療冠狀病毒感染的包括杜英萃取物作為活性成分之藥物組成物以及食品組成物
KR101782532B1 (ko) 백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퓨라노쿠마린을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731321B2 (ja) ウィルス感染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US20160000749A1 (en) Method of Inhibiting or Treating a Dengue Virus Infection with Quercetin
KR101501876B1 (ko) 자일리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inda et al. Anti-SARS-CoV-2, antioxidant and immunomodulatory potential of dietary flavonol quercetin: Focus on molecular targets and clinical efficacy
KR102444839B1 (ko) 저분자 키토산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767707B (zh) 包含低分子壳聚糖的用于预防或治疗冠状病毒感染疾病的组合物
KR20220018953A (ko) 고사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JP6049533B2 (ja) 抗ウイルス剤及びこれを含む医薬品等
US9192640B2 (en) Antiviral composition against flavivirus
Stefanou et al. Pomegranate as an anti-viral agent and immune system stimulant
KR101487302B1 (ko) 막걸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및 염증성 질환 예방, 개선용 조성물
WO2021230359A1 (ja) 抗ウイルス剤
KR101505941B1 (ko) 대파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및 염증성 질환 예방, 개선용 조성물
KR20110086473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3cl 프로테아제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CN105434631A (zh) 花椒精油在制备用于预防和/或治疗病毒性流感的药物或保健品中的应用
KR101310033B1 (ko) 여우오줌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JP7327661B2 (ja) 抗ウイルス剤
KR102590438B1 (ko) Pmca 억제제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또는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소독용 조성물
KR101666155B1 (ko) 황매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551027B1 (ko) 장수진흙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RU2780346C1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гент против коронавируса, включающий экстракт elaeocarpus sylvestris
US20230233640A1 (en) Antiviral preparation from chestnut shells of castanea sativa m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