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657B1 -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 - Google Patents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657B1
KR102444657B1 KR1020220094818A KR20220094818A KR102444657B1 KR 102444657 B1 KR102444657 B1 KR 102444657B1 KR 1020220094818 A KR1020220094818 A KR 1020220094818A KR 20220094818 A KR20220094818 A KR 20220094818A KR 102444657 B1 KR102444657 B1 KR 102444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uffer
plate
support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경
최승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루젼픽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루젼픽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루젼픽쳐스
Priority to KR102022009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대와 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카메라를 보다 안정적으로 카메라를 지지할 수 있는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촬영을 할 때 반복사용이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도 불구하고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다루기 쉬우며 휘어짐과 흔들림이 없는 안정된 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 중 카메라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렌즈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편리하며, 촬영 효과가 좋으며 제조 원가가 낮은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 {Anti-fall camera stand}
본 발명은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대와 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카메라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지지대는 카메라, 망원경, 안테나 및 각종 측정장치들과 같은 정밀작업을 요하는 분야에서 이들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술한 카메라 지지대는 다리의 개수에 따라 트리플포드 또는 모노포드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로 피사체로 촬영할 때, 흔들리는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또는 기념촬영을 하기 위해 카메라용 지지대를 사용한다.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되는 카메라용 지지대도 종래의 필름 카메라에 사용되던 것과 동일한 형태의 것으로, 카메라를 흔들림 없이 지지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지지하는 카메라용 지지대로는 3각대(tripod)가 많이 사용되는데, 카메라는 카메라의 하부 면에 형성 된 연결공에 의해 삼각대에 직접 장착되거나 별도의 크레들(cradle)에 의해 3각대에 설치되기도 한다.
한편, 3각대는 지지점이 적으므로 물리적으로 안정감이 떨어지고, 카메라 촬영 중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진동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KR 10-2009-0001300 한국공개특허, KR 10-2011-0114554 한국등록특허, KR 10-1312167 한국공개실용신안, KR 20-1997-0045353
본 발명은 활영을 할 때 반복사용이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도 불구하고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다루기 쉬우며 흔들림이 없이 안정된 촬영을 할 수 있는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촬영 중 카메라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렌즈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는 카메라를 결합 고정시키는 카메라 거치대, 상기 카메라 거치대를 지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된 지지대 및 상기 3개 이상의 지지대와 일측면에서 볼트로 결합되고, 타측면에서 바닥과 면접지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카메라 거치대를 일측에서 지지하는 제1 다리, 상기 카메라 거치대를 타측에서 지지하는 제2 다리, 상기 제1 다리 일단 및 상기 제2 다리 일단과 결합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의 수평방향 진동을 흡수하는 제1 완충부 및 상기 제1 완충부와 상기 플레이트를 볼트 결합하고, 와셔를 포함하는 와셔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부는 복수의 제1 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1 통공은 상기 카메라의 수평방향 진동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가 바닥에 면접지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 표면에 적층된 마찰력부재, 및 상기 제1 완충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의 수직방향 진동을 흡수하는 제2 완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타측면에서 바닥과 면접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와 볼트 결합하는 너트의 높이 및 직경을 초과하는 홈을 가지고, 상기 제2 완충부는 복수의 제2 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2 통공은 수직방향 진동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와셔볼트가 상기 제1 완충부와, 상기 제2완충부와,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구멍인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셔볼트의 상기 와셔는 상기 볼트의 외주면에 접하는 부분이 상기 제1 완충부 및 상기 제2 완충부의 두께까지 연장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촬영을 할 때 반복사용이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도 불구하고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다루기 쉬우며 흔들림이 없는 안정된 촬영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촬영 중 카메라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렌즈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편리하며, 촬영 효과가 좋으며 제조 원가가 낮은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 상부에 카메라를 거치한 도면이다.
도 3은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지지대의 제1 완충부 및 플레이트가 결합한 상태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지지대의 제1 완충부, 제2 완충부 및 플레이트가 결합한 상태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지지대의 제1 완충부, 제2 완충부 및 플레이트가 결합한 상태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제1 완충부와 제2 완충부가 중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1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10) 상부에 카메라(900)를 거치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10)는, 카메라 거치대(100), 지지대(200), 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
카메라 거치대(100)는 카메라(900)를 결합 고정시킨다.
지지대(200)는 상기 카메라 거치대(100)를 지지하고,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된다.
플레이트(300)는 상기 3개 이상의 지지대(200)와 일측면에서 볼트(241)로 결합되고, 타측면에서 바닥(400)과 면접지한다.
도 3은 지지대(20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200)는 제1 다리(210), 제2 다리(220), 제1 완충부(230), 및 와셔볼트(241)를 포함한다.
제1 다리(210)는, 카메라 거치대(100)를 일측에서 지지한다.
제2 다리(220)는, 상기 카메라 거치대(100)를 타측에서 지지한다.
제1 완충부(230)는, 상기 제1 다리(210) 일단 및 상기 제2 다리(220) 일단과 결합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900)의 수평방향 진동을 흡수한다.
와셔볼트(241)는, 상기 제1 완충부(230)와 상기 플레이트(300)를 볼트(241) 결합하고, 볼트(241)의 압력을 제1 완충부(230)에 고르게 분산시켜 면압을 낮추는 와셔(24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완충부(230)는 복수의 제1 통공(23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1 통공(231)은 상기 카메라(900)의 수평방향 진동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한다.
제1 완충부(230)는 촬영 중 카메라(900)의 수평방향의 진동에 대해 응력을 받아 제1 통공(231)이 압축되고, 변형되어 수평방향의 진동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제1 통공(231)의 형상은 도 3에서처럼 사각형 형상일 수도 있으나, 육각형이나 삼각형 등과 같은 그물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그물 구조는 진동으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기 쉬워야 충돌시간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그물 구조 내부 응력이 균일해야 진동 에너지 흡수 효과가 좋다.
도 4는 지지대(200)의 제1 완충부(230) 및 플레이트(300)가 결합한 상태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플레이트(300)는 타측면에서 바닥(400)과 면접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200)와 볼트 결합하는 너트(245)의 높이 및 직경을 초과하는 홈(310)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지지대(200)의 제1 완충부(230), 제2 완충부(235) 및 플레이트(300)가 결합한 상태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지지대(200)의 제1 완충부(230), 제2 완충부(235) 및 플레이트(300)가 결합한 상태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제1 완충부(230)와 제2 완충부(235)가 중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플레이트(300)가 바닥(400)에 면접지하는 상기 플레이트(300)의 일측면 표면에 적층된 마찰력부재(500)와, 상기 제1 완충부(23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900)의 수직방향 진동을 흡수하는 제2 완충부(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완충부(235)는 촬영 중 카메라(900)의 수직방향의 진동에 대해 응력을 받아 제2 통공(236)이 압축되고, 변형되어 수직방향의 진동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제2 완충부(235)에는 제2 통공(236)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2 통공(236)의 형상은 도 7에서처럼 사각형 형상일 수도 있으나, 육각형이나 삼각형 등과 같은 그물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그물 구조는 진동으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기 쉬워야 충돌시간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그물 구조 내부 응력이 균일해야 진동 에너지 흡수 효과가 좋다.
마찰력부재(500)는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로서, 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00)과 바닥(400)과 더 안정적으로 밀착할 수 있게 되어, 촬영시 카메라(900)에 발생하는 외력으로부터 카메라(9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촬영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 완충부(230)와 제2 완충부(235)는 강도가 있으면서도 탄성력이 좋은 플라스틱, 금속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도가 높고 가벼워 공업 재료로 사용되는 고성능 플라스틱으로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일 수 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은 공업용 구조재료로 사용되는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이다. 강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전성이 풍부하며, 탄성력, 내충격성이 매우 우수하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크게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폴리카보네이트(PC),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M-PPO),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계수가 높은 ABS, 폴리스티렌(PS), 아크릴(MA)일 수 있다.
금속으로 탄성력이 좋은 티타늄이나, 탄소강, 니켈합금, 스테인리스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강도와 탄성이 높은 탄소섬유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와셔볼트(241)의 상기 와셔(242)는 상기 볼트(241)의 외주면에 접하는 부분이 상기 제1 완충부(230) 및 상기 제2 완충부(235)의 두께까지 연장된 돌기(243)를 형성할 수 있다.
와셔(242)에 형성된 돌기(243)에 의해, 촬영시 발생하는 카메라(900)의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 진동이 제1 다리(210) 및 제2 다리(220)를 통해 제1 완충부(230) 및 제2 완충부(235) 내부에 충분히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시 발생하는 카메라(900)의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 진동이 제1 다리(210) 및 제2 다리(220)를 통해 제1 완충부(230) 및 제2 완충부(235)에서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완충부(230), 상기 제2 완충부(235) 및 상기 플레이트(300)에는 상기 와셔볼트(241)가 상기 제1 완충부(230)와, 상기 제2 완충부(235)와, 상기 플레이트(300)를 관통하는 구멍인 장공(248)이 형성된다.
장공(248)에 맞는 기다란 구멍을 가진 와셔(242)는, 상기 제1 완충부(230) 및 상기 제2 완충부(235)의 두께까지 연장된 돌기(243)를 가지므로, 카메라(900)에서 발생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진동에너지를 볼트(241)로부터 제1 완충부(230) 및 제2 완충부(235)에 좀더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900)에서 발생한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즉, 장공(248)에 맞는 기다란 구멍을 가진 와셔(242)가 포함되므로, 카메라(900)에서 발생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진동이, 제1 다리(210) 및 제2 다리(220)를 통해 전달된다. 이러한 카메라(900)에서 발생한 진동에너지는 플레이트(300)에 고정시키는 볼트(241)와 제1 완충부(230) 및 제2 완충부(235) 사이에서 발생하는 응력에 의한 변형에너지로 흡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완충부(235)는 복수의 제2 통공(23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통공(236)은 수직방향 진동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완충부(230)는 복수의 제1 통공(23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1 통공(231)은 상기 카메라(900)의 수평방향 진동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한다.
따라서, 카메라(900)에서 발생하는 수평방향 진동은 제1 완충부(230)에서 흡수할 수 있으며, 수직방향 진동은 제2 완충부(235)에서 흡수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카메라 영상 촬영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카메라 거치대
200: 지지대
300: 플레이트
400: 바닥

Claims (2)

  1. 카메라를 결합 고정시키는 카메라 거치대;
    상기 카메라 거치대를 지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된 지지대; 및
    상기 3개 이상의 지지대와 일측면에서 볼트로 결합되고, 타측면에서 바닥과 면접지하는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카메라 거치대를 일측에서 지지하는 제1 다리;
    상기 카메라 거치대를 타측에서 지지하는 제2 다리;
    상기 제1 다리 일단 및 상기 제2 다리 일단과 결합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의 수평방향 진동을 흡수하는 제1 완충부; 및
    상기 제1 완충부와 상기 플레이트를 볼트 결합하고, 와셔를 포함하는 와셔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부는 복수의 제1 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1 통공은 상기 카메라의 수평방향 진동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플레이트가 바닥에 면접지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 표면에 적층된 마찰력부재, 및
    상기 제1 완충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의 수직방향 진동을 흡수하는 제2 완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타측면에서 바닥과 면접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와 볼트 결합하는 너트의 높이 및 직경을 초과하는 홈을 가지고,
    상기 제2 완충부는 복수의 제2 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2 통공은 수직방향 진동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와셔볼트가 상기 제1 완충부와, 상기 제2완충부와,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구멍인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셔볼트의 상기 와셔는 상기 볼트의 외주면에 접하는 부분이 상기 제1 완충부 및 상기 제2 완충부의 두께까지 연장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지지대
  2. 삭제
KR1020220094818A 2022-07-29 2022-07-29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 KR102444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818A KR102444657B1 (ko) 2022-07-29 2022-07-29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818A KR102444657B1 (ko) 2022-07-29 2022-07-29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657B1 true KR102444657B1 (ko) 2022-09-19

Family

ID=8346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818A KR102444657B1 (ko) 2022-07-29 2022-07-29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65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5353U (ko) 1995-12-29 1997-07-31 카메라의 파노라마 촬영 지지대
KR100557806B1 (ko) * 2004-10-14 2006-03-10 윤석원 장비 설치대의 고정장치
KR20090001300A (ko) 2007-06-29 2009-01-08 한병혁 카메라용 받침대
KR20110114554A (ko) 2008-12-17 2011-10-19 상하이 이잉 디지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입체 영상 촬영 지지대
KR101312167B1 (ko) 2012-08-27 2013-10-14 이영권 카메라용 받침대
KR101349225B1 (ko) * 2013-07-19 2014-01-08 대한항업(주) 정밀수준측량용 삼각대 고정장치
KR20140003550U (ko) * 2012-12-04 2014-06-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삼각대의 고정 장치
KR20160109817A (ko) * 2015-03-13 2016-09-2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휴대용 전자광학 추적 시스템
KR101834001B1 (ko) * 2017-09-19 2018-03-02 이필정 측지 측량 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5353U (ko) 1995-12-29 1997-07-31 카메라의 파노라마 촬영 지지대
KR100557806B1 (ko) * 2004-10-14 2006-03-10 윤석원 장비 설치대의 고정장치
KR20090001300A (ko) 2007-06-29 2009-01-08 한병혁 카메라용 받침대
KR20110114554A (ko) 2008-12-17 2011-10-19 상하이 이잉 디지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입체 영상 촬영 지지대
KR101312167B1 (ko) 2012-08-27 2013-10-14 이영권 카메라용 받침대
KR20140003550U (ko) * 2012-12-04 2014-06-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삼각대의 고정 장치
KR101349225B1 (ko) * 2013-07-19 2014-01-08 대한항업(주) 정밀수준측량용 삼각대 고정장치
KR20160109817A (ko) * 2015-03-13 2016-09-2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휴대용 전자광학 추적 시스템
KR101834001B1 (ko) * 2017-09-19 2018-03-02 이필정 측지 측량 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4955B2 (en) Collapsible support stand for devices, such as cameras
US8833356B2 (en) Bow stabilizing systems and methods
US20140138971A1 (en) Clamping mechanism
US8573193B2 (en) Bow stabilizing systems and methods
KR102444657B1 (ko) 쓰러짐 방지용 카메라 스탠드
US20190024749A1 (en) Horizontal-motion vibration isolator
US20140035216A1 (en) Positioning structure and machining device using the same
US20100103596A1 (en) Rotation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261155B2 (en) Compact vertical-motion isolator
US11058019B1 (en) Electronic device
US20130099075A1 (en) Support device
JP3196974U (ja) 取付具
JP6430192B2 (ja) 免震装置
CN207701666U (zh) 隔振机构、带有隔振功能的射击机器人
JP2009138844A (ja) 緩衝装置
JP2008291915A (ja) 免震装置
US20170152906A1 (en) Shock absorbing device
JP6832019B2 (ja) 制振構造
JP2018091387A (ja) 免震装置
CN108681017B (zh) 一种二维无磁光学调节装置
CN213876006U (zh) 一种新型雷达显示器
US20140072363A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elongated elements
CN219678625U (zh) 音响减震支架及音响组件
US20100252708A1 (en) Support mechanism
JP2713216B2 (ja) 制振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