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927B1 - 식물성 지방산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성 지방산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927B1
KR102442927B1 KR1020220017563A KR20220017563A KR102442927B1 KR 102442927 B1 KR102442927 B1 KR 102442927B1 KR 1020220017563 A KR1020220017563 A KR 1020220017563A KR 20220017563 A KR20220017563 A KR 20220017563A KR 102442927 B1 KR102442927 B1 KR 102442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s
detergent composition
weight
fatty acid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희
김영미
Original Assignee
(주)미산이앤씨
김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산이앤씨, 김영미 filed Critical (주)미산이앤씨
Priority to KR102022001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4Hydroxides or b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6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06Mono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식물성 지방산 20 내지 40 중량%, 미생물 원액 3.5 내지 7 중량%, 주정 10 내지 20 중량%, 및 물 40 내지 55 중량%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물성 지방산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NATURAL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PLANT FATTY ACIDS AND MICROORGANIS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식물성 지방산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체에 무해하고 생분해되며 높은 세정 효과 및 살균 효과를 발휘하는 식물성 지방산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세제는 석유의 추출물로부터 합성하여 만들어 쓴 것으로, 다른 오염 물질과는 달리 물에 녹은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기 어렵고 물 위에 거품을 생성하여 산소의 용해와 햇빛을 차단시켜 플랑크톤의 정상적인 번식을 방해함으로써 수질오염을 야기한다. 또한, 세척력을 높이기 위하여 세제에 첨가되는'인'은 인산염이 되어 부영양화 현상으로 물을 썩게 하며 이 때문에 각국에서는 인의 사용을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합성세제는 프로필렌 사합체의 폴리프로필렌 벤젠 술포네이트 유형의 경성화합물에 의한 것으로서, 환경오염은 물론이고 인체에도 심각한 폐해를 유발하고 있어 그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리니어 벤젠 술포네이트 유형의 연성 합성세제가 그 대안으로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수중 분해도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치명적인 오염물의 배출이 문제가 되었다. 또한, 첨가제를 요하는 황산염, 술폰산염 세제는 서브미크논 탄산칼슘이나 니트릴로 트리아세트산, 헥사메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을 유출시켰다.
또한, 기존의 합성세제는 일반적으로 탄화수소계의 지방분자로 구성된 유친화성(油親和性) 구조와 황산염으로 구성된 수친화성(水親和性) 구조의 양친화성(兩親和性)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에 따라 분자 질량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세제 분자 또는 그 미셀은 물속에서 스스로 운동력을 발생하는 브라운 운동을 활발히 수행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합성세제의 대안으로서, 대두 지방산등 식물성 지방산을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이 제안되었다.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생분해되어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합성 세제의 대안으로 제안되었으나, 성분으로 포함되는 대두 지방산과 주정 등으로 인한 은 식물성 지방산은 그 특유의 냄새로 인하여, 이 냄새를 저감하는 것과 합성세제와 동등 이상의 살균력을 확보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식물성 지방산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체에 무해하고 생분해되며 높은 세정 효과 및 살균 효과를 발휘하는 식물성 지방산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식물성 지방산 20 내지 40 중량%, 미생물 원액 3.5 내지 7 중량%, 주정 10 내지 20 중량%, 및 물 40 내지 55 중량% 포함한다.
식물성 지방산은 대두 지방산, 미강 지방산, 땅콩 지방산, 올리브 지방산, 옥수수 지방산, 해바라기 지방산, 면실 지방산, 밀배아 지방산, 햄프 지방산, 및 카놀라 지방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식물성 지방산은 포화지방산계열인 라우릭산(Lauric acid), 미리스틱산(Myristic acid), 팔미틱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아라키딕산 (Arachidic acid), 베헤닉산(Behenic acid), 리그노세릭산(Lignoceric acid) 및 세로틱산(Cerotic acid)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미생물 원액은 Lactobacillus buchneri, Lactobacillus paracasei, Lactobacillus rhamnosusSaccharomyces cerevisia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미생물 원액은 미생물을 1.00 × 107 cfu/ml 내지 3.00 × 107 cfu/ml 포함할 수 있다.
주정은 알코올을 90 내지 99 부피% 포함할 수 있다.
물은 해양 심층수를 5 내지 2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잣나무 추출물, 쑥 추출물 및 레몬그라스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향 중화제를 0.5 내지 3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수산화 칼륨(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수산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 및 탄산 나트륨 중 1종 이상의 염기를 1 내지 15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구연산을 0.5 내지 3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식물성 지방산, 주정, 및 물을 혼합하여 유화하는 제1 중화 단계; 제1 중화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비누화 및 중성화 하는 제2 중화단계; 및 제2 중화 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미생물원액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냄새를 중화하는 제3 중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하고 생분해되며 높은 세정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대두지방산과 주정으로 인한 냄새가 중화되며 살균 효과를 한층 심화 발휘한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식물성 지방산 20 내지 40 중량%, 미생물 원액 3.5 내지 7 중량%, 주정 10 내지 20 중량% 및 물 40 내지 55 중량%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성분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식물성 지방산 20 내지 40 중량% 포함한다. 식물성 지방산이란 천연계에서 추출한 순 식물성의 지방산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C12 내지 C18의 식물성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식물성 지방산의 예로서, 대두 지방산, 미강 지방산, 땅콩 지방산, 올리브 지방산, 옥수수 지방산, 해바라기 지방산, 면실 지방산, 밀배아 지방산, 햄프 지방산 및 카놀라 지방산, 식물성 포화지방산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대두 지방산, 미강 지방산, 땅콩 지방산, 올리브 지방산, 옥수수 지방산, 해바라기 지방산, 면실 지방산, 밀배아 지방산, 햄프 지방산 및 카놀라 지방산 이란 각각 대두유, 미강유, 땅콩유, 올리브유, 옥수수유, 해바라기유, 면실유, 밀배아유, 햄프유, 또는 카놀라유 등의 식물성 유지로부터 얻어지는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고 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낮은 식물성 지방산을 의미한다.
식물성 지방산은 포화지방산, 단가-불포화지방산 및 다가-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식물성 지방산은 탄소의 이중결합(Double Bond) 유무에 따라 포화 지방산(Saturated Fatty Acid)과 불포화 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으로 구분되며, 불포화 지방산은 이중결합의 수에 따라 하나의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단가 불포화 지방산(Mono-unsaturated Fatty Acid)과 둘 이상의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다가 불포화 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으로 나뉜다.
포화 지방산의 예로서는 라우릭산(Lauric acid), 미리스틱산(Myristic acid), 팔미틱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아라키딕산(Arachidic acid), 베헤닉산(Behenic acid), 리그노세릭산(Lignoceric acid) 및 세로틱산(Cerotic acid)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불포화 지방산의 예로서는 미리스톨레익산(Myristoleic acid), 팔미톨레익산(Palmitoleic acid), 사피에닉산(Sapienic acid), 올레익산(Oleic acid), 엘라이딕산(Elaidic acid), 바세닉산(Vaccenic acid),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리노엘라이딕산(Linoelaidic acid), α-리놀레닉산(α-Linolenic acid), 아라키도닉삭(Arachidonic acid),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taenoic acid), 에루식산(Erucic acid) 및 도코사헥사에 노익산(Docosahexaenoic acid)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물성 지방산은 대두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대두 지방산은 콩기름(Soybean Oil)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이 대두 지방산은 포화 지방산 10 내지 20 중량%, 단가 불포화 지방산 20 내지 30 중량% 및 다가 불포화 지방산 50 내지 7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식물성 지방산 20 내지 40 중량% 포함한다. 식물성 지방산이 너무 적으면, 세척능력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식물성 지방산이 너무 많으면, 고형화와 유동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식물성 지방산 25 내지 3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미생물 원액 3.5 내지 7중량% 포함한다. 식물성 지방산의 경우, 특히 대두 지방산은 특유의 콩기름 냄새로 인해, 세정제로 사용할 시 이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화합물을 첨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식물성 미생물을 첨가함으로써,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식물성 지방산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미생물 원액은 유산균 또는 호모균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actobacillus buchneri, Lactobacillus paracasei, Lactobacillus rhamnosusSaccharomyces cerevisia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미생물들은 식물성 지방산의 냄새와 부패를 방지하고, 살균 효과를 가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Lactobacillus buchneri를 포함할 수 있다.
미생물 원액은 미생물을 1.00 × 107 cfu/ml 내지 3.00 × 107 cfu/ml 포함할 수 있다. 미생물이 너무 적게 포함될 시, 세척력, 살균력 및 중성화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미생물이 너무 많으면, 침전물 생성, 부패 또는 냄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미생물 원액은 미생물을 2.30 × 107 cfu/ml 내지 2.70 × 107 cfu/ml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미생물 원액 3.5 내지 7 중량% 포함한다. 미생물 원액을 너무 적게 포함될 시, 세척력, 살균력 및 중성화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미생물 원액을 너무 많이 포함할 시, 층분리, 부패 및 냄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미생물 원액 3.5 내지 4.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주정 10 내지 20 중량% 포함한다. 주정은 당밀 곡류, 고구마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발효시킨 술을 정제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알코올을 90 내지 99 부피% 포함할 수 있다.
주정은 천연 성분으로서, 식물성 지방산의 냄새를 제거하는 역할 및 유화제의 역할을 한다. 주정이 너무 적게 포함될 시, 지방산과 물, 그리고 미생물이 불균일하게 혼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주정이 너무 많으면, 세척에 필요한 계면활성능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주정 13 내지 17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물 40 내지 55 중량% 포함한다. 물은 전술한 성분들을 균일하게 분산한다. 물이 너무 적게 포함될 시, 세제 자체의 유동성과 고형화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물이 너무 많으면, 충분한 세제능력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물은 증류수, 정제수, 광천수, 수돗물 등 일반적인 물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천연 세정제 조성물의 안정성 면에서 정수와 해양 심층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물이라고 함은 전술한 증류수, 정제수, 광천수, 수돗물, 정수, 해양 심층수 각각의 단독 또는 이들의 2이상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해양 심층수는 광합성에 의한 유기물 생성이 일어나지 않고 분해가 탁월하며 겨울철 해수 수직 혼합(海水垂直混合)작용이 도달하는 심도(深度)의 이하에 있는 해수로 정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수심 200m 내지 300m의 해양 심층수를 포함할 수 있다.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경우, 천연 세정제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잣나무 추출물, 쑥 추출물 및 레몬 그라스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향 중화제를 0.5 내지 3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들은 천연 세정제 조성물에 식물성 지방산과 주정의 냄새를 중화하고, 향을 첨가하는 역할을 한다. 잣나무 추출물, 쑥 추출물 및 레몬 그라스 추출물의 추출 방법 및 성분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구연산을 0.5 내지 3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연산은 천연 세정제 조성물의 pH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구연산을 1 내지 2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수산화 칼륨(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수산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 및 탄산 나트륨 중 1종 이상의 염기를 1 내지 15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염기는 식물성 지방산과 비누화 반응을 일으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염기를 5 내지 10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레시틴 중 1종 이상의 안정화제를 10 중량% 이하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식물성 지방산, 주정, 및 물을 혼합하여 유화하는 제1 중화 단계; 제1 중화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비누화 및 중성화 하는 제2 중화단계; 및 제2 중화 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미생물원액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냄새를 중화하는 제3 중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중화 단계에서 식물성 지방산, 주정, 및 물을 혼합하여 유화 한다. 각 성분 및 성분 함량 비율에 대해서는 전술한 천연 세정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식물 지방산과 물 간의 혼합이 불균일하게 될 수 있으므로 주정을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 과정에서 점도 조절 및 유화가 일어나게 된다.
제2 중화 단계는 혼합물을 비누화 및 중성화한다. 이 단계에서 천연 세정제 조성물의 세척능력이 확보된다. 비누화를 위해 수산화 칼륨(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수산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 및 탄산나트륨 중 1종 이상의 염기를 첨가할 수 있다. 이 때, 천연 세정제 조성물의 안정성을 위해 글리세린 및 레시틴 중 1종 이상의 안정화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제3 중화 단계는 제2 중화 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미생물 원액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냄새를 중화한다. 미생물 원액을 적정량 첨가함으로써, 최종 안정성 확보와 살균력, 세척력이 강화된다. 이 단계에서 추가적으로 잣나무 추출물, 쑥 추출물 및 레몬 그라스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향 중화제 또는 구연산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미생물 원액으로는 Lactobacillus buchneri을 2.00 × 107 cfu/ml 포함하는 미생물 원액을 사용하였다. 주정은 알코올을 95부피% 포함하는 주정을 사용하였다.
먼저, 대두 지방산, 주정 및 물을 혼합하여 점도 조절 및 유화룰 일어나게 하였다. (제1 중화 단계) 이후, 혼합물에 하기 표 1에 정리된 양으로 수산화 나트륨 및 수산화 칼륨을 1:1 비율로 첨가하여 비누화 및 중성화 하였다. (제2 중화 단계) 다음으로, 미생물 원액, 각종 향 중화제 및 구연산을 첨가하여 최종적으로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3 중화 단계)
세정력은 KS M 2716 방법에 근거하여 라아드(lard)를 주성분으로 하는 오염을 제조하여 슬라이드 글라스에 균일하게 입힌 후 세정 조성물을 처리하여 5분간 세정하고 잔여 오염을 클로로포름에 녹여 UV 흡광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오염제거율 =조성물 처리 전 흡광도/조성물 처리 후 흡광도 × 100
냄새 자극성은 관능검사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중량%) 대두 지방산 미생물 원액 주정 구연산 수산화 나트륨 / 수산화 칼륨 잣나무 추출물 쑥 추출물 레몬 그라스 추출물
정수 해양 심층수
실시예 1 28 5 15 42.0 0 1.0 7.5 0.5 0.5 0.5
실시예 2 30 5 13 31.5 10 1.5 7.5 0.5 0.5 0.5
실시예 3 32 5 13 30.5 9 1.5 7.5 0.5 0.5 0.5
비교예 1 32 - 13 35.5 9 1.5 7.5 0.5 0.5 0.5
비교예 2 32 1 13 34.5 9 1.5 7.5 0.5 0.5 0.5
오염제거율(%) 냄새 자극성
실시예 1 70 약함
실시예 2 90 거의 없음
실시예 3 100 거의 없음
비교예 1 100 보통
비교예 2 100 보통
표 1 및 표 2에서 나타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성분을 모두 적절히 포함하는 경우, 세정력이 우수하고, 아울러 식물성 지방산과 주정으로 인한 냄새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중에서도 해양 심층수를 적정량 포함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이 냄새가 더욱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은 세정력은 적절히 확보하였으나, 미생물을 포함하지 않아, 식물성 지방산과 주정으로 인한 냄새가 심하게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식물성 지방산 20 내지 40 중량%,
    미생물 원액 3.5 내지 7 중량%,
    주정 10 내지 20 중량%, 및
    물 40 내지 55 중량%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 원액은 Lactobacillus buchneri를 1.00 × 107 cfu/ml 내지 3.00 × 107 cfu/ml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지방산은 대두 지방산, 미강 지방산, 땅콩 지방산, 올리브 지방산, 옥수수 지방산, 해바라기 지방산, 면실 지방산, 밀배아 지방산, 햄프 지방산 및 카놀라 지방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은 알코올을 90 내지 99 부피%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전체 천연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해양 심층수를 5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잣나무 추출물, 쑥 추출물 및 레몬그라스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향 중화제를 0.5 내지 3 중량% 더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수산화 칼륨(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수산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 및 탄산 나트륨 중 1종 이상의 염기를 1 내지 15 중량% 더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구연산을 0.5 내지 3 중량% 더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10. 제1항에 기재된 천연 세정제 조성물울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식물성 지방산, 주정 및 물을 혼합하여 유화하는 제1 중화 단계;
    상기 제1 중화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비누화 및 중성화하는 제2 중화 단계; 및
    상기 제2 중화 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미생물 원액을 첨가하여 냄새를 중화하는 제3 중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20017563A 2022-02-10 2022-02-10 식물성 지방산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42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563A KR102442927B1 (ko) 2022-02-10 2022-02-10 식물성 지방산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563A KR102442927B1 (ko) 2022-02-10 2022-02-10 식물성 지방산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927B1 true KR102442927B1 (ko) 2022-09-14

Family

ID=8327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563A KR102442927B1 (ko) 2022-02-10 2022-02-10 식물성 지방산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9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73723A1 (en) * 2013-11-18 2015-05-20 Clean 4U Sweden AB A new composition for use as a cleaning agent
KR20160061771A (ko) * 2014-11-24 2016-06-01 이기혁 시금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4706A (ko) * 2018-03-30 2019-10-10 조주혁 강화 식물성 지방산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73723A1 (en) * 2013-11-18 2015-05-20 Clean 4U Sweden AB A new composition for use as a cleaning agent
KR20160061771A (ko) * 2014-11-24 2016-06-01 이기혁 시금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4706A (ko) * 2018-03-30 2019-10-10 조주혁 강화 식물성 지방산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8404B2 (en) Method for producing lipids by liberation from biomass
DE112008002315B4 (de) Herstellung von Fettsäure-Metallsalzen in fester Form
JP3375726B2 (ja) 食用油脂および油脂混合物
EP1838171B1 (de) Herstellung und anwendung eines antioxidativ wirksamen extraktes aus crypthecodinium sp
KR101085957B1 (ko) 발효기술을 응용한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DE112006003360B4 (de) Modifizierte Kokosnussöle mit breitem antimikrobiellem Spektrum
CN1447850A (zh) 纯化粗的多不饱和脂肪酸油
De Oliveira et al. Biosynthesis and production of sophorolipids
KR20160036900A (ko)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2927B1 (ko) 식물성 지방산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69927665T2 (de) Stabilisierte Fettmischung, Methode zu ihrer Herstellung und Lebensmittel, welches das Fett enthält
KR102017212B1 (ko) 친환경 세제 조성물
DE60119932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ölen marinen ursprungs mit reduzierter kontamination
KR102265107B1 (ko) 실온 배합이 가능한 친환경 주방세제용 조성물
KR101250545B1 (ko) 기능성 화장비누의 제조 방법
CN111031802A (zh) 含有不饱和脂肪酸的油脂组合物
CN106916630B (zh) 一种控制油脂危害物产生的方法
KR101799210B1 (ko) 천연 세제조성물
KR100717328B1 (ko) 식물성 지방산을 이용한 천연 세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44718A (ko) 쌀겨를 이용한 소포로리피드의 생산방법
EP2749173B1 (en) Oil/fat composition
KR20050069963A (ko) 항산화효소을 이용한 다기능성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KR101875036B1 (ko)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KR102554952B1 (ko) 애완동물용 액상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2517B1 (ko) 친환경 세정제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