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903B1 - Automatic self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lave board in digital piano - Google Patents

Automatic self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lave board in digital pian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903B1
KR102442903B1 KR1020210090242A KR20210090242A KR102442903B1 KR 102442903 B1 KR102442903 B1 KR 102442903B1 KR 1020210090242 A KR1020210090242 A KR 1020210090242A KR 20210090242 A KR20210090242 A KR 20210090242A KR 102442903 B1 KR102442903 B1 KR 102442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ve
board
slave board
uniqu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헌
Original Assignee
김인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헌 filed Critical 김인헌
Priority to KR1020210090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903B1/en
Priority to PCT/KR2022/009428 priority patent/WO202328253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9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As a system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a slave board of a digital pian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ystem comprising: a master board; and a plurality of slave boards connected in series, wherein the system enables each control part to be installed on each of the slave boards, enables a semiconductor element connected to each control part to be installed on each slave board, enables each semiconductor element to be connected by a line connected in series to show a unique physical property to each slave board, and enables each slave board to automatically recognize its unique code by reading the physical propert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xhibiting an effect for which processing of the data is prompt and reasonable.

Description

디지털 피아노의 슬레이브 보드의 자동 인식 시스템 및 방법 {Automatic self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lave board in digital piano} Automatic self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lave board in digital piano

본 발명은 디지털 피아노에서 마스터 보드와 연결된 슬레이브 보드의 자동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ecognition of a slave board connected to a master board in a digital piano.

디지털 피아노(Digital piano)는 전통적인 피아노의 연주 방식과 소리의 대안으로 고안된 키보드의 한 종류이다. 이 피아노는 어쿠스틱 피아노(아날로그 피아노)의 정확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한다. 디지털 피아노는 업라이트 피아노 혹은 그랜드 피아노와 같이 일반적인 피아노 처럼 보이게 설계된다. 디지털 피아노의 음은 합성 에뮬레이션이나 실제 피아노 샘플을 사용하여 저장된 소리를 터치된 건반의 위치와 매칭시킨 다음 저장된 음을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은 88, 76, 61의 3종류이지만 주로 88개의 건반(키)이 이용된다.A digital piano is a type of keyboard designed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piano playing method and sound. This piano provides an accurate simulation of an acoustic piano (analog piano). Digital pianos are designed to look like regular pianos, such as upright pianos or grand pianos. The sound of the digital piano is made by using synthetic emulation or real piano samples to match the stored sound with the position of the touched key, and then transmit the stored sound through the speaker. The digital piano has three types of keys: 88, 76, and 61, but 88 keys (keys) are mainly used.

디지털 피아노는, 어쿠스틱 피아노에 비해 유지 비용이 낮으며, 사운드가 미디(MIDI)로 구현되고, 학습과 작곡을 도와주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며, 마이크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휴대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디지털피아노의 키는 어쿠스틱 피아노와 유사한 느낌을 주도록 제작되며, 속도-반응식이어서 연주음의 음량(volume)과 음색(timbre)은 키의 속도에 의존한다. 디지털 피아노는 실제 피아노의 터치와 같은 느낌을 주도록 햄머(hammer)를 가지고 있다. 키의 눌림을 감지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센서를 두고 있는데, 이 점이 통상의 전자 키보드나 신디사이저와 다른 점이다. 일부 디지털피아노는 페달을 내장하고 있기도 하지만, 어쿠스틱 피아노와 같이 공명을 위하여 페달을 눌러 댐퍼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춘 것은 매우 고가이다. Compared to an acoustic piano, a digital piano has a lower maintenance cost, a sound is implemented in MIDI, a built-in function to help learning and composing, no need to use a microphone, and easy to carry. The keys of a digital piano are manufactured to give a feeling similar to that of an acoustic piano, and because they are speed-responsive, the volume and timbre of the played sound depend on the speed of the keys. A digital piano has a hammer to give it the touch of a real piano. There is an analog sensor to detect a key press, which is different from a typical electronic keyboard or synthesizer. Some digital pianos have built-in pedals, but it is very expensive to have the ability to adjust the damper by pressing the pedal for resonance like an acoustic piano.

특허 제10-1014809호는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구조는, 건반(130')이 수용되는 프레임(120'), 건반(1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해머(140') 및 해머(140')의 회동점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러버스위치(Rubber Switch, 150')로 구성된다. 건반모듈은 1옥타브를 하나의 모듈로 하여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7옥타브를 이룬다.Patent No. 10-1014809 proposes a keyboard structure of a digital piano. As shown in FIG. 1, the keyboard structure of the digital piano includes a frame 120' in which a keyboard 130' is accommodated, a hammer 140' and a hammer 140' that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keyboard 130'. ) is composed of a rubber switch (Rubber Switch, 150') installed adjacent to the pivot point. The keyboard module consists of one octave as one module and is arranged side by side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7 octaves.

현재 디지털피아노의 전자적 구조를 보면,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의 건반에 대응하여 설치된 각각의 슬레이브(slave) 보드(S')를 1부터 n까지 n개 배열하고,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S1', S2', …Sn')를 시리즈로 연결하고 이것을 하나의 마스터 보드(M')에 연결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건반이 눌리는 경우, 마스터보드(M')는, 눌린 건반을 관할하는 슬레이브 보드의 고유 코드와 슬레이브 보드가 전송한 건반 고유 코드를 식별하고, 이에 대응하는 음을 메모리에서 판독하고, 음량 송출부를 통하여 외부 출력 장치로 출력한다.Looking at the current electronic structure of the digital piano, as shown in FIG. 2, n number of slave boards (S') installe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keys are arranged from 1 to n, and each slave board ( It has a structure in which S1', S2', ...Sn')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is is connected to one master board (M'). When a key is pressed, the master board (M') identifies the unique code of the slave board having jurisdiction over the pressed key and the keyboard unique code transmitted by the slave board, reads the corresponding sound from the memory, and through the volume transmitter Out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하지만 이 방법에 의하면, 마스터보드(M')가, 건반이 눌린 슬레이브 보드와 건반의 고유 코드를 모두 식별해야 하므로 부하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 디지털 피아노의 연주 시, 동일한 슬레이브 보드에서 건반의 위치만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도 매번 마스터 보드가 슬레이브 보드를 처음부터 다시 인식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However, according to this metho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oad increases because the master board M' must identify both the slave board on which the key is pressed and the unique code of the key. Also, when the digital piano is played, only the position of the keyboard changes on the same slave board in many cases. Even in this case, it is inefficient for the master board to recognize the slave board again from the beginning every time.

디지털 피아노의 전자적 기능과 관련하여, 특허 공개 제10-2007-0035340호는 건반키패드와, 음향들이 저장된 메모리와, 건반키패드의 특정 건반 입력시, 발생되는 압력의 세기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압력감지부를 두어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내용을 제안하고 있다. 또, 특허공개 제10-2016-59281호 디지털 피아노 또는 마스터 키보드와 연결되어 연동 가능한 전자 기기가, 피아노 연주 연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디바이스, 디바이스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서버,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웹 서버의 요청에 따른 관련 데이터를 웹 서버에 제공하는 DB 서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피아노를 제공하고 있다.In relation to the electronic function of the digital piano, Patent Laid-Open No. 10-2007-0035340 discloses a keyboard keypad, a memory in which sounds are stored, and a pressure sensing unit that detects and outputs the intensity of pressure generated when a specific key is input on the keyboard keypad. There are two suggestions for adjusting the volume level. In addition, Patent Laid-Open No. 10-2016-59281,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linked to a digital piano or master keyboard communicates with a device running an application for piano playing practice and a device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ccording to the device's request A digital piano is provided that includes a web server that provides related data necessary for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a DB server that stores application-related data, and a DB server that provides related data to the web server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web server.

그러나, 상기 특허는 디지털피아노의 건반, 또는 디지털 피이노의 외부기기나 서버와의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며, 디지털 피아노에 특유한 마스터 및 슬레이브 보드의 문제에는 착안하고 있지 않다. 이 문제가 해결된다면 건반의 고유음 발현이나 외부 기기 및 서버와의 통신에도 향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above patent relates to the keyboard of a digital piano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or server of the digital piano, and does not focus on the problem of master and slave boards specific to the digital piano. If this problem is solved,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sound expression of the keyboard and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s and servers.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선행 기술과 선행 특허의 문제를 일거에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ior patents described above at once.

그러므로 본 발명은 디지털 피아노, 특히 블럭 연결형 디지털 피아노에서, 슬레이브 보드가 자신의 고유 코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자동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slave board to automatically and accurately recognize its own unique code quickly and accurately in a digital piano, particularly a block-connected digital piano.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피아노의 슬레이브 보드의 자동 인식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마스터 보드와, 시리즈로 연결된 복수의 슬레이브 보드를 포함하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에는 각각의 제어부가 설치되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에는 각각의 제어부와 연결된 반도체 소자가 설치되고, 각각의 반도체 소자는 시리즈로 연결된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에 고유한 물성치를 나타내어, 상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는 상기 물성치를 판독하여 자신의 고유 코드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recognition system for a slave board of a digital piano, wherein the system includes a master board and a plurality of slave boards connected in series, and each control unit is installed on each slave board. A semiconductor device connected to each control unit is installed on each slave board, and each semiconductor device is connected by a series-connected line to indicate a physical property unique to each slave board, and each slave board has the property value It provides a system that automatically recognizes its own code by reading it.

상기 물성치는 전압값일 수 있다.The physical property may be a voltage value.

상기 반도체 소자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device may include a diode.

상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가 인식한 슬레이브 고유 코드는 마스터 보드로 전송될 수 있다.The slave unique code recognized by each slave board may be transmitted to the master board.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의 제어부는 송수신라인이 쌍을 이루어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수신라인 및 송신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는 상기 수신라인 및 송신라인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슬라이브 보드가 고유 코드를 인식한 경우, 상기 스위치를 통상 상태에서 상기 수신라인 및 송신라인 각각과 접속하여 데이터가 마스터 보드와 전송 또는 수신되도록 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각각의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피아노의 슬레이브 보드의 자동 인식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마스터 보드와, 시리즈로 연결된 복수의 슬레이브 보드를 포함하며,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에는 각각의 제어부가 설치되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에는 각각의 제어부와 연결된 반도체 소자가 설치되고, 각각의 반도체 소자는 시리즈로 연결된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에 고유한 물성치를 나타내어, 상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는 상기 물성치를 판독하여 자신의 고유 코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상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가 인식한 슬레이브 고유 코드(Ak)는 마스터 보드로 전송되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는 자신에게 할당된 전송라인을 통하여 슬레이브 보드 고유 코드와 건반 고유 코드(Bj)로 이루어지는 (Ak, Bj) 데이터를 마스터 보드로 전송하여 마스터 보드(M)가 어느 슬레이브 보드의 어떤 건반이 눌렸는지를 인식하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의 제어부는 송수신라인이 쌍을 이루어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수신라인 및 송신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는 상기 수신라인 및 송신라인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를 통상 상태에서 상기 수신라인 및 송신라인 각각과 접속하여 데이터가 마스터 보드와 전송 또는 수신되도록 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각각의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마다 상기 수신라인 및 송신라인 각각에 연결된 스위치가 상이한 것에 의하여, 마스터 보드가 슬레이브 보드를 인식하도록 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control unit of each slave board includes at least one pair of reception and transmission lines, in which transmission and reception lines are arranged in pairs, and each of the slave boards includes at least two switches connected to each of the reception and transmission lines. and when the slave board recognizes the unique code, the control unit connects the switch to each of the reception line and the transmission line in a normal state to switch to a stat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or received with the master board. may includ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recognition system for a slave board of a digital piano, wherein the system includes a master board and a plurality of slave boards connected in series, and each slave board is provided with a respective control unit, each slave board A semiconductor element connected to each control unit is installed, and each semiconductor element is connected by a line connected in series to indicate a unique property value to each slave board, and each slave board reads the property value and has its own unique property. The code is automatically recognized, and the slave specific code (Ak) recognized by each slave board is transmitted to the master board, and each slave board uses its own assigned transmission line to provide a slave board specific code and a keyboard specific code ( By transmitting (Ak, Bj) data consisting of Bj) to the master board, the master board (M) recognizes which key of which slave board is pressed, and the control unit of each slave board has a pair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lines arranged in pairs. , at least a pair of reception lines and transmission lines, and each of the slave boards includes at least two switches connected to each of the reception and transmission lines, and the switches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reception and transmission lines in a normal state. and a switch control unit for switching to a stat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or received with the master board by connecting with the master board, and the switch connected to each of the receiving line and the transmitting line is different for each slave board, so that the master board is a slave board We provide a system that recognizes

본 발명은 디지털 피아노에서 마스터 보드가 데이터의 수신만으로 어떤 슬레이브 보드의 건반이 눌렸는지를 바로 인식할 수 있어 마스터 보드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건반의 눌림과 동시에 이에 해당하는 음을 정확히 실시간으로 외부로 송출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처리가 신속하고 합리적이라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er board in the digital piano can immediately recognize which slave board key is pressed only by receiving data,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master board. It can be sent to , and it has the effect that data processing is quick and reasonable.

도 1은 선행 기술의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현재 디지털피아노의 전자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피아노의 전자 시스템의 구조도;
도 4는 블록형 디지털 피아노의 전자회로의 실례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4에 연속하며 구조적으로 도 4에 포함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keyboard structure of a digital piano of the prior art;
2 is a diagram showing the electronic structure of a current digital piano;
Fig.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electronic system of the digital piano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circuit of a block-type digital piano; and
FIG. 5 is a view continuation to FIG. 4 and structurally included in FIG. 4 .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및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t least any one of individual components and individual functions included in each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피아노(1)의 전자 시스템(10)의 구조도이다.3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electronic system 10 of the digital piano 1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자 시스템(10)은 하나의 마스터 보드(M)와, 제1, 제2, …, 제n 슬레이브 보드(S1, S2, …, Sn)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모듈(S)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S1, S2, …, Sn)는 시리즈로 연결되며, 제1슬레이브 보드(S1)가 직접 마스터 보드(M)와 연결된다.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S1, S2, …, Sn)에는 관할하는 각각의 건반(100)이 전기적 및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건반의 수는 12개, 24개 또는 적절한 숫자로 분할하여 만들 수 있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디지털 피아노(1)는 복수의 블록(block)으로 이루어지는 피아노라고 할 수 있다.The electronic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master board M, first, second, ... , n-th slave boards (S1, S2, ..., Sn) comprising a slave module (S). Each of the slave boards (S1, S2, ..., Sn) is connected in series, and the first slave board (S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aster board (M). To each of the slave boards (S1, S2, ..., Sn), each key 100 having jurisdiction is electrically and structurally connected. The number of keys can be made by dividing it into 12, 24 or an appropriate number. In this respect, the digital piano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 piano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S1, S2, …, Sn)에는 각각의 제어부(C1, C2, … , Cn)가 설치된다. 또,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S1, S2, …, Sn)에는 각각의 제어부(C1, C2, … , Cn)와 연결된 반도체 소자(D1, D2, … , Dn)가 설치된다. 반도체 소자(D1, D2, … , Dn)는 도시한 것과 같이 제1슬레이브 보드(S1)에서 제n슬레이브 보드(Sn)까지 라인(L)에 의해 연결된다. 라인(L)이 예를 들어 5V의 디지컬 피아노(1) 구동용 외부 전원에 연결된 경우라면, 각각의 반도체 소자(D1, D2, … , Dn)에 인가되는 전압이 다르게 된다. 예를 들어 반도체 소자가 다이오드인 경우 고유 내부 저항에 의하여 전압값이 D1, D2, …, Dn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Each of the slave boards (S1, S2, ..., Sn) is provided with each control unit (C1, C2, ..., Cn). In addition, semiconductor devices D1, D2, ..., Dn connected to the respective control units C1, C2, ..., Cn are installed on each of the slave boards S1, S2, ..., Sn. The semiconductor devices D1, D2, ..., Dn are connected by a line L from the first slave board S1 to the n-th slave board Sn as shown. When the line L is connected to, for example, a 5V external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digital piano 1, the voltages applied to each of the semiconductor elements D1, D2, ..., Dn are different. For example, if the semiconductor device is a diode, the voltage value is D1, D2, … due to intrinsic internal resistance. , which increases with Dn.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S1, S2, …, Sn)의 제어부(C1, C2, … , Cn)가 반도체 소자(D1, D2, … , Dn)에 걸리는 전압값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인식한다. 제어부(C1, C2, … , Cn)는 도시하지 않는 각각의 메모리를 참조한다. 메모리에는 자신의 슬레이브 보드에 대응하는 고유 전압값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S1, S2, …, Sn)는 제어부(C1, C2, … , Cn)를 통하여 항상 자신의 고유 코드(Ak)를 알 수 있다. k는 1, 2, …n 중의 하나이며, 자신이 몇 번째 슬레이브 보드인지를 알려주는 코드라고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1, C2, ..., Cn) of each of the slave boards (S1, S2, ..., Sn) detects and recognizes the voltage value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elements (D1, D2, ..., Dn) in real time . The control units C1, C2, ..., Cn refer to respective memories not shown. A unique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its own slave board is stored in the memory. Therefore, each slave board (S1, S2, ..., Sn) always has its own code ( Ak) can be found. k is 1, 2, ... It is one of n,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code that tells which slave board it is.

기존 기술과 동일하게,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S1, S2, …, Sn)의 제어부(C1, C2, … , Cn)는 관할하는 건반에서 어떤 특정 건반이 눌렸는지를 인식한 고유 건반 코드(Bj)를 저장하고 있다. 블록마다 건반이 12개이면 j = 1, 2, …, 12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As with the existing technology, the controllers C1, C2, …, Cn of each slave board S1, S2, …, Sn recognizes which specific key is pressed on the keyboard under its jurisdiction, and a unique key code (Bj) is saving If there are 12 keys per block, j = 1, 2, … , will be one of 12.

마스터 보드(M)에도 고유의 반도체 소자(D0)가 설치되며, 이것은 마스터보드(M)의 MCU(20)와 연결된다. 하지만 마스터 보드(M)는 하나이므로 슬레이브 보드만큼 자기 고유 코드를 부여할 필요는 크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A unique semiconductor device D0 is also installed on the master board M, which is connected to the MCU 20 of the master board M. However, since there is only one master board (M),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its own code as much as that of the slave board, an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an essential requir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S1, S2, …, Sn)는 각각의 전송라인(T1, T2, …, Tn)을 통하여 마스터보드(M)의 MCU(20)와 연결된다.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S1, S2, …, Sn)는 자신에게 할당된 전송라인을 통하여 슬레이브 보드 고유 코드와 건반 고유 코드, 즉 (Ak, Bj) 데이터를 MCU(20)로 전송한다. 그러면, 마스터 보드(M)는 데이터의 수신만으로 어떤 건반이 눌렸는지를 바로 인식할 수 있어 마스터 보드(M)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건반의 눌림과 동시에 이에 해당하는 음을 정확히 실시간으로 외부로 송출할 수 있게 된다.Again, referring to Figure 3, each slave board (S1, S2, ..., Sn)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respective transmission lines (T1, T2, ..., Tn) the MCU 20 of the master board (M) and connected Each of the slave boards S1, S2, ..., Sn transmits the slave board-specific code and the keyboard-specific code, that is, (Ak, Bj) data to the MCU 20 through a transmission line assigned to it. Then, the master board (M) can immediately recognize which key is pressed only by receiving the data,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master board (M). can be sent.

슬레이브 고유 코드는 반드시 능동적으로 판독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것과 같이 데이터의 송수신 경로에 따라 전환되는 신호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The slave-specific code does not necessarily mean data that must be actively read, but is a broad concept including, for example, a signal that is switched according to a transmission/reception path of data, as will be described below.

이상 설명을 구현한 블록형 디지털 피아노(1)의 전자회로의 실례를 도 4및 도 5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슬레이브 보드는 3개인 경우를 전제로 도면4에서는 제1슬레이브 보드(S1)를, 도 5에서는 도 4의 제1슬레이브 보드(S1)와 바로 연결되는 제2슬레이브 보드(S2)를 도시하였다. 슬레이브 보드(S1, S2)의 외관 구성은 동일하다.An example of the electronic circuit of the block-type digital piano 1 embodying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are three slave boards, FIG. 4 shows the first slave board S1 and FIG. 5 shows the second slave board S2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slave board S1 of FIG. 4 .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slave boards S1 and S2 is the same.

마스터보드(M)와 슬레이브 보드(S1, S2)는 각각 커넥터(30)에 의하여 접속되어 전기적 연결을 이룬다. 마스터보드(M)와 슬레이브 보드(S1, S2)에는 각각의 반도체 소자(D0, D1, D2)가 설치되는데, 도시한 것과 같이 반도체 소자들은 커넥터(30)의 접속으로 라인(L)에 의하여 나란히 일관되게 연결된다. 반도체 소자들은 자신의 또는 다른 보드의 다른 회로나 소자에 관계 없이 독립하여 서로 시리즈로 접속하므로, 슬레이브 보드 각각에 특유한 검출치(전압치)를 오차 없이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The master board M and the slave boards S1 and S2 are respectively connected by a connector 30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Each of the semiconductor devices D0, D1, and D2 is installed on the master board M and the slave boards S1 and S2.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miconductor devices are connected by a line L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or 30. consistently connected. Since the semiconductor devices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regardless of other circuits or devices on their own or other board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detection value (voltage value) unique to each slave board without error.

제1슬레이브 보드(S1)의 제어부(C1)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송수신라인이 쌍을 이루어 배열된, 제1수신라인(500), 제1송신라인(502), 제2수신라인(504), 제2송신라인(506), 제3수신라인(508) 및 제3송신라인(510)을 포함한다. 각각의 라인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한다. 또, 이에 대응하여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수신스위치제어부(300), 제1송신스위치제어부(302), 제2수신스위치제어부(304), 제2송신스위치제어부(306), 제3수신스위치제어부(308) 및 제3송신스위치제어부(310)가 설치된다.The control unit C1 of the first slave board S1 has a first reception line 500, a first transmission line 502, a second reception line 504, It includes a second transmission line 506 , a third reception line 508 , and a third transmission line 510 . Data is received or transmitted through each line. In addition, the first reception switch control unit 300 , the first transmission switch control unit 302 , the second reception switch control unit 304 , the second transmission switch control unit 306 , and the third reception switch for controlling the switches in response thereto A control unit 308 and a third transmission switch control unit 310 are installed.

제어부(C1)의 옆에 배열된 스위치는 모두 6개이며, 위에서부터 차례로 제1수신스위치(400), 제1송신스위치(402), 제2수신스위치(404), 제2송신스위치(406), 제3수신스위치(408) 및 제3송신스위치(41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스위치의 구조는 동일한데, 평소에는 NC(normally closed)와 접하는 것이 디폴트이지만, 슬레이브 보드가 자신의 고유 코드를 인식하면 NO(normally open)와 접하도록 전환된다.A total of six switches are arranged next to the control unit C1, and the first receiving switch 400, the first transmitting switch 402, the second receiving switch 404, and the second transmitting switch 406 are sequentially from the top. , a third receiving switch 408 and a third transmitting switch 410 . The structure of each switch is the same. Normally, the default is to contact NC (normally closed), but when the slave board recognizes its own code, it is switched to contact NO (normally open).

구체적으로, 슬레이브 보드(S1)가 자신의 고유 코드(A1)를 인식하면, 제1 수신 및 송신스위치제어부(300, 302)를 구동하여 제1수신 및 송신스위치(400, 402)가 NO와 접하며, 따라서, 제1수신 및 송신라인(500, 502)이 마스터 보드(M)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제1송신라인(502)을 통하여 마스터 보드(M)로 제1슬레이브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마스터 보드(M)로부터 제1수신라인(500)을 통하여 제1슬레이브 보드(S1)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lave board (S1) recognizes its own code (A1), by driving the first reception and transmission switch control unit (300, 302), the first reception and transmission switch (400, 402) is in contact with NO and , thus, the first reception and transmission lines 500 and 502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master board (M). Data of the first slave may be transmitted to the master board M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line 502 . Conversely, data necessary for the first slave board S1 may be received from the master board M through the first reception line 500 .

이때, 제1슬레이브 보드(S1)의 남은 4개의 스위치는 NC를 통하여 마스터 보드(M)와 연결되어 NO를 통한 전송 루트와 구별되므로, 마스터 보드(M)는 제1슬레이브 보드(S1)로부터의 신호임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자연스럽게 제1슬레이브 보드의 고유 코드를 마스터 보드(M)가 인식하는 과정이 된다.
여기서 제1수신 및 송신스위치(400, 402)는 제1슬레이브 보드(S1)를 나타내는 고유스위치이며, 나머지 스위치들은 일반스위치이다. 슬레이브 보드가 자신의 고유코드를 인식하면 일반스위치들은 제1접속상태인 NC와 접하는 원 상태를 유지하지만, 고유스위치는 다른 제2접속상태인 NO와 접속하도록 전환되므로 마스터 보드가 슬레이브 보드의 고유 코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이 설명은 이하의 다른 슬레이브 보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remaining four switches of the first slave board S1 are connected to the master board M through NC and are distinguished from the transmission route through NO, the master board M is connected to the first slave board S1 from the The signal can be recognized quickly and easily. This process naturally becomes a process in which the master board (M) recognizes the unique code of the first slave board.
Here, the first reception and transmission switches 400 and 402 are unique switches representing the first slave board S1, and the remaining switches are general switches. When the slave board recognizes its own code, general switches maintain the original state in contact with NC, which is the first connection state, but the unique switch is switched to conne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state, NO, so that the master board uses the slave board's unique code can be easily recognized. This description also applies to other slave boards below.

제2슬레이브 보드(S2)는 제1슬레이브 보드(S1)와 동일하지만, 슬레이브 보드(S2)가 자신의 고유 코드(A2)를 인식하면, 제2 수신 및 송신스위치제어부(304, 306)를 구동하여 제2수신 및 송신스위치(404, 406)가 NO와 접하며, 남은 4개의 스위치는 NC를 통하여 마스터 보드(M)와 연결되어 NO를 통한 전송 루트와 구별되므로, 마스터 보드(M)는 용이하게 제2슬레이브 보드(S2)로부터의 신호임을 인식할 수 있다(도 5 참조).The second slave board S2 is the same as the first slave board S1, but when the slave board S2 recognizes its own code A2, the second reception and transmission switch control units 304 and 306 are driven. Thus, the second receiving and transmitting switches 404 and 406 are in contact with NO, and the remaining four switches are connected to the master board M through the NC and distinguished from the transmission route through the NO, so the master board M is easily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signal is from the second slave board S2 (refer to FIG. 5).

당업자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3개 또는 그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을 계속하여 구축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즉 복수의 슬레이브 보드를 마스터 보드에 연결하고 전원을 인가하면 제1슬레이브 보드는 그에 고유한 스위치(400, 402)가 NO로 되고, 나머지 스위치는 NC가 되며, 제2슬레이브 보드는 그에 고유한 스위치(404, 406)가 NO로 되고, 나머지 스위치는 NC가 되며, 제3슬레이브 보드는 그에 고유한 스위치(408, 410)가 NO로 되고, 나머지 스위치는 NC가 되므로, 마스터 보드는 동시에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를 자동으로 명확히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슬레이브 보드를 n개 배열하면,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의 스위치는 2n개가 될 것이다.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의 외관상 구조는 동일해 보이지만, 슬레이브 보드의 자기 인식에 따라 마스터 보드에 전달되는 데이터가 상이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ree or more slave modules can be built continuously in this way.
That is, when a plurality of slave boards are connected to the master board and power is applied, the switches 400 and 402 unique to the first slave board become NO, the remaining switches become NC, and the second slave board has its own switch. (404, 406) becomes NO, the remaining switches become NC, the third slave board has its own switch (408, 410) becomes NO, and the remaining switches become NC, so that the master board i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each slave The board can be automatically and clearly recognized.
If n slave boards are arranged, each slave board will have 2n switches. Although the external structure of each slave board looks the same, it can be understood that data transmitted to the master board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lf-recognition of the slave board.

도 4는 회로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에는 이와 연관되는 스위치만을 두고 나머지 스위치는 삭제하는 등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4 shows an example of a circuit diagram, and of course,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leaving only a switch related thereto on each slave board and deleting the other switches.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범위까지 미침은 자명하다.It is apparen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ame or equivalent scope as the claims described below.

Claims (6)

디지털 피아노의 슬레이브 보드의 자동 인식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마스터 보드와, 시리즈로 연결된 복수의 슬레이브 보드를 포함하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에는 각각의 제어부가 설치되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에는 각각의 제어부와 연결된 반도체 소자가 설치되고, 각각의 반도체 소자는 시리즈로 연결된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에 고유한 물성치를 나타내어, 상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는 상기 물성치를 판독하여 자신의 고유 코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상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가 인식한 슬레이브 고유 코드(Ak)는 마스터 보드로 전송되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는 자신에게 할당된 전송라인을 통하여 슬레이브 보드 고유 코드와 건반 고유 코드(Bj)로 이루어지는 (Ak, Bj) 데이터를 마스터 보드로 전송하여 마스터 보드(M)가 어느 슬레이브 보드의 어떤 건반이 눌렸는지를 인식하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의 제어부는:
송수신라인이 쌍을 이루어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수신라인 및 송신라인과;
스위치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수신라인 및 송신라인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에 고유한 고유스위치와, 고유스위치가 아닌 일반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제어부는 슬레이브 보드가 고유 코드(Ak)를 인식하면, 고유스위치를, 일반스위치의 제1 접속 상태와 다른 제2 접속 상태로 전환하여
마스터보드가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에 고유한 고유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전송받아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를 인식하는, 시스템
An automatic recognition system for a slave board of a digital piano, the system comprising a master board and a plurality of slave boards connected in series,
Each control unit is installed on each slave board, and a semiconductor element connected to each control unit is installed on each slave board. In other words, each slave board automatically recognizes its own code by reading the physical properties and
The slave unique code (Ak) recognized by each slave board is transmitted to the master board,
Each slave board transmits (Ak, Bj) data consisting of the slave board specific code and the keyboard specific code (Bj) to the master board through the transmission line assigned to it, so that the master board (M) Recognizes that this is pressed,
The control unit of each slave board is:
at least one pair of reception and transmission lines, in which transmission and reception lines are arranged in pairs;
Including a switch control unit;
Each of the slave boards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es connected to each of the at least one pair of reception and transmission lines,
The plurality of switches includes a unique switch unique to each slave board, and a general switch that is not a unique switch,
When the slave board recognizes the unique code (Ak), the switch control unit switches the unique switch to a second connection state different from the first connection state of the general switch.
A system in which the master board recognizes each slave board by receiving a signal from a unique switch unique to each slave boar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치는 전압값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hysical property is a voltage valu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miconductor device comprises a di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90242A 2021-07-09 2021-07-09 Automatic self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lave board in digital piano KR1024429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242A KR102442903B1 (en) 2021-07-09 2021-07-09 Automatic self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lave board in digital piano
PCT/KR2022/009428 WO2023282538A1 (en) 2021-07-09 2022-06-30 Automatic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slave board of digital pian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242A KR102442903B1 (en) 2021-07-09 2021-07-09 Automatic self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lave board in digital pian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903B1 true KR102442903B1 (en) 2022-09-13

Family

ID=8328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242A KR102442903B1 (en) 2021-07-09 2021-07-09 Automatic self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lave board in digital piano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2903B1 (en)
WO (1) WO2023282538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627A (en) * 2009-09-30 2011-04-06 (주)지능형빌딩시스템기술연구소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signal transmission thereof
JP2011155356A (en) * 2010-01-26 2011-08-11 Denso Corp Communication slave and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JP7101345B2 (en) * 2018-07-27 2022-07-15 株式会社リコー Developing equipment, process cartridges, and image forming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345B2 (en) * 1987-02-06 1995-11-01 ヤマハ株式会社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930014250A (en) * 1991-12-06 1993-07-22 이헌조 Fill-in controller for automatic accompaniment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KR101014809B1 (en) * 2009-04-15 2011-02-14 (주)우림 Clavier for digital pian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627A (en) * 2009-09-30 2011-04-06 (주)지능형빌딩시스템기술연구소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signal transmission thereof
JP2011155356A (en) * 2010-01-26 2011-08-11 Denso Corp Communication slave and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JP7101345B2 (en) * 2018-07-27 2022-07-15 株式会社リコー Developing equipment, process cartridges, and image form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2538A1 (en)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0887A (en) Stringless fingerboard synthesizer controller
KR102442903B1 (en) Automatic self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lave board in digital piano
CN101958116B (e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and free playing method thereof
CN1805002B (en) Pitching instrument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WO2023160545A1 (e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US5883327A (en) Keyboard system for an electric musical instrument in which each key is provided with an independent output to a processor
CN207503630U (en) A kind of intelligent electric musical instrument that keyboard is freely combined
WO2023153567A1 (en) Tone control device for digital piano
US2227100A (en) Musical instrument
US3973255A (en) Touch responsive keyboard apparatus
US3503297A (en) Electronic keying system
CN203165445U (en) Drama percussion accompaniment console
CN108735190A (en) Sonorant control device
CN106971748A (en) Music play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3-D solid structure
CN208938400U (en) A kind of electronic piano teaching system
CN2563682Y (en) Quitar controller of automatic pressing string
JPH03213894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007316397A (en) Operation sensing device
JPS6224317Y2 (en)
JPH0432719Y2 (en)
KR100325489B1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ed in linked to computer
CN220155171U (en) Key for electronic percussion music performance
JP3096546B2 (en) Touch detection device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US2927494A (en) System for classroom instruction in playing keyboard-type musical instruments
CN208589259U (en) The analog machine of plucked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