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855B1 -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855B1
KR102442855B1 KR1020190105928A KR20190105928A KR102442855B1 KR 102442855 B1 KR102442855 B1 KR 102442855B1 KR 1020190105928 A KR1020190105928 A KR 1020190105928A KR 20190105928 A KR20190105928 A KR 20190105928A KR 102442855 B1 KR102442855 B1 KR 102442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group
les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5915A (ko
Inventor
윤하송
오정선
손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05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85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15Compounds containing carbon-to-nitrogen trip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6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H01L51/5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점착제 조성물은 편광판 등의 광학 적층체에 적용될 수 있고, 그 광학 적층체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반사되는 외부 자연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제품의 시감 특성 또한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본 출원은,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이를 구성하는 전극이 대부분 자연광을 반사시키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외부에서 입사되는 자연광은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 전극으로부터 반사되기 때문에, 그 반사광에 의해서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감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외부 자연광의 반사에 의한 시감 특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각 액정(Liquid Crystal)으로 구성된 선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을 순차로 적층한 형태의 편광판을 적용하는 것이 시도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는 투과율 또는 색상값 등의 광학적 물성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없고, 전술한 시감 특성을 확보하는데에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에서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반사되는 외부 자연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제품의 시감 특성 또한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광학 적층체와 이를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에서 언급하는 광학적 물성이, 그 광의 파장에 영향을 받는 경우, 그 기준 파장으로는 해당 물성에서 언급하는 파장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 그 측정 온도 및/또는 압력이 그 물성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해당 물성은 상온 및/또는 상압에서 측정한 물성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용어 상온은 가온되거나 감온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이며, 예를 들면, 약 10 ℃ 내지 30 ℃의 범위 내의 어느 한 온도, 25℃ 또는 23℃ 정도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 상압은, 특별히 줄이거나 높이지 않은 때의 압력으로서, 그 예로서는 보통 대기압과 같은 1 기압 정도를 수 있다.
본 출원은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용어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 및/또는 가교 전/후로 점착제로 작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에서 “점착제”의 정의는 업계에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본 출원의 점착제 조성물은 전술한 점착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적어도 점착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점착 중합체는 그 유리 전이 온도 등의 물성이 경화 및/또는 가교 전 및/또는 후에 점착 성능이 발현될 수 있도록 조절된 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한 중합체의 구성은 해당 분야에서는 잘 알려져 있다.
본 출원의 점착제 조성물은, 후술하는 것처럼, OLED 표시 장치(이하에서는, 간략하게 표시 장치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에 적용되었을 때, 외부 자연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최종 제품의 우수한 시감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광학적 물성, 예를 들어, 최대 흡수 파장이 서로 다르고, 그 파장이 특정 범위 내에 있는 2종의 화합물을 함께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다른 예시에서, “자외선 흡수제”로도 지칭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자외선 흡수제는 파장에 대한 투과율 스펙트럼에서, 예를 들면, 10 nm 내지 500 nm의 범위 내에 있는 파장 영역에서 적어도 최소 투과율을 나타내거나, 혹은 파장에 대한 흡광도 스펙트럼에서 적어도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파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점착제 조성물은 하나의 자외선 흡수제로서, 최대 흡수 파장이 390 nm 내지 410 nm의 범위 내에 있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자외선 흡수제로서 최대 흡수 파장이 435 nm 내지 450 nm의 범위 내에 있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를 제 1 화합물로, 후자를 제 2 화합물로 지칭한다.
상기 제 1 화합물의 최대 흡수 파장은, 다른 예시에서, 391 nm 이상, nm 이상 392 nm 이상, 393 nm 이상 또는 394 nm 이상일 수 있고, 405 nm 이하, 400 nm 이하 또는 395 n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화합물의 최대 흡수 파장은, 다른 예시에서, 436 nm 이상, 437 nm 이상, 438 nm 이상, 439 nm 이상 또는 440 nm 이상일 수 있고, 447 nm 이하, 445 nm 이하, 443 nm 이하 또는 441 nm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한 최대 흡수 파장을 나타내는 2종의 화합물 모두를 점착 중합체와 함께 적용해야 한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적용하지 않거나, 상기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만을 적용하게 되면, 그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등의 광학 적층체가 충분한 자외선 흡수능을 나타낼 수 없거나, 그 광학 적층체가 목적하는 시감 특성을 나타내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OLED 표시 장치(이하에서는, 간략하게 표시 장치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에 적용되었을 때, 외부 자연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최종 제품의 우수한 시감 특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상기 제 1 화합물과 제 2 화합물 각각의, 최대 흡수 피크에서의 반치폭(full width at half maxium, FWHM) 또한 추가로 조절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최대 흡수 피크에서의 반치폭은,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흡광도의 절반을 나타낼 수 있는 파장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 1 화합물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반치폭은 10 nm 내지 60 n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화합물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반치폭은, 다른 예시에서, 15 nm 이상, 20 nm 이상, 25 nm 이상, 30 nm 이상, 35 nm 이상 또는 40 nm 이상일 수 있고, 55 nm 이하, 50 nm 이하 또는 45 nm 이하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 2 화합물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반치폭은, 30 nm 내지 100 n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2 화합물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반치폭은, 다른 예시에서, 35 nm 이상, 40 nm 이상, 45 nm 이상, 50 nm 이상, 55 nm 이상, 60 nm 이상, 65 nm 이상 또는 70 nm 이상일 수 있고, 95 nm 이하, 90 nm 이하, 85 nm 이하, 80 nm 이하 또는 75 nm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최대 흡수 파장과 그 반치폭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한편, 본 출원에서는 전술한 특성을 나타내는 화합물로서, 후술하는 고유의 구조를 나타내는 화합물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 1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88631617-pat00001
화학식 1에서, X1 및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또는 알콕시기이다.
본 출원에서, 알킬기는, 특별히 다르게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20, 1 내지 16, 1 내지 12, 1 내지 8 또는 1 내지 4의 알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 알킬기일 수 있으며,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는, 특별히 다르게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2 내지 20, 2 내지 16, 2 내지 12, 2 내지 8 또는 2 내지 4의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일 수 있다. 상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으며,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알콕시기는, 특별히 다르게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20, 1 내지 16, 1 내지 12, 1 내지 8 또는 1 내지 4의 알콕시기일 수 있다. 상기 알콕시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 알콕시기일 수도 있고,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단일 결합”은 해당 부위에 별도의 원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C로 표시된 구조에서 B가 단일 결합인 경우에 B로 표시되는 부위에 별도의 원자가 존재하지 않고, A와 C가 직접 연결되어 A-C로 표시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시기 등의 치환기에 임의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치환기로는, 히드록시기, 할로겐 원자, 카복실기, 글리시딜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기옥시기, 메타크릴로일기옥시기, 티올기,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시에서, 화학식 1의 X1는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일 수 있고, R1 또는 R2는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일 수 있으며, R3 또는 R4는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의 X1은 수소 원자일 수 있고, R1은 알킬기일 수 있으며, R2는 알콕시기일 수 있고, R3 및 R4는 알킬기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 2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88631617-pat00002
화학식 2에서, X2는 수소 원자,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또는 알콕시기일 수 있다.
화학식 2에서, R5 내지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시기, 또는 -NX3 2이되, R5 내지 R9 중 적어도 하나는 -NX3 2일 수 있다. 상기에서, X3는 수소,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시기 또는 하기 화학식 3의 치환기이되, -NX3 2에서 적어도 하나의 X3는 하기 화학식 3의 치환기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9088631617-pat00003
화학식 3에서, L은 단일 결합, 산소 원자, 황 원자, -S(=O)2-,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C(=O)-X4- 또는 -X4-C(=O)-일 수 있다. 상기에서 X4는 단일 결합, 산소 원자, 황 원자,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또는 알키닐렌기일 수 있다.
화학식 3에서, R10 내지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시기,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기이되, R10 내지 R14 중 적어도 하나는 지환족 탄화수소기이다.
상기에서, 지환족 탄화수소기는, 특별히 다르게 규정하지 않는 한, 방향족 고리 구조가 아닌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지환족 탄화수소기는, 예를 들면, 탄소수 3 내지 30, 탄소수 3 내지 25, 탄소수 3 내지 21, 탄소수 3 내지 18 또는 탄소수 3 내지 13의 지환족 탄화수소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2의 R7이 -NX3 2일 수 있고, -NX3 2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X3는 전술한 화학식 3의 치환기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식 2의 R7이 -NX3 2일 수 있고, 그 중 어느 하나의 X3가 화학식 3의 치환기일 수 있고, 화학식 3에서 R12가 지환족 탄화수소기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전술한 반사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고, 제품의 우수한 시감 특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비율 또한 추가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 1 화합물(A)과 제 2 화합물(B)의 중량 비율(A/B)은 0.05 내지 2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0.1 이상, 0.5 이상, 1 이상, 5 이상,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또는 25 이상일 수 있고, 190 이하, 180 이하, 170 이하, 160 이하, 150 이하, 140 이하, 130 이하, 120 이하, 110 이하, 105 이하, 100 이하, 95 이하,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5 이하, 60 이하, 55 이하, 50 이하, 45 이하, 40 이하, 35 이하 또는 30 이하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 1 화합물의 비율은, 상기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0.25 중량부 이상, 0.5 중량부 이상, 0.75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상 또는 1.25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1.75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하 또는 1.2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 2 화합물의 비율은, 상기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0.02 중량부 이상, 0.03 중량부 이상, 0.04 중량부 이상 또는 0.05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0.9 중량부 이하, 0.8 중량부 이하, 0.7 중량부 이하, 0.6 중량부 이하, 0.5 중량부 이하, 0.4 중량부 이하, 0.3 중량부 이하, 0.2 중량부 이하, 0.15 중량부 이하, 0.1 중량부 이하 또는 0.07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전술한 반사광에 의한 시인성 문제를 해결하고, 최종 제품의 시감 특성을 개선하는 관점에서, 점착제 조성물에 적용되는 점착 중합체의 조성 또한 후술하는 것처럼 추가로 조절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점착 중합체는, 아크릴 중합체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아크릴 중합체”는, 아크릴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본 출원에서, 어떤 단량체의 중합 단위는, 해당 단량체가 중합 반응을 거쳐서 상기 중합체에서 형성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성분 B가 다른 성분 A를 주성분으로 포함한다는 것은, 상기 성분 A의 상기 성분 B내의 비율이 성분 B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80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또는 90 중량% 이상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약 98중량% 이하 또는 95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아크릴 단량체”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이나,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등의 상기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의 유도체를 의미한다. 또한, 용어 “(메타)아크릴”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가교성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물이나 유기 용매 등을 포함하는 용액인 경우, 상기 주성분으로서의 아크릴 중합체의 비율은 상기 용매를 제외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아크릴 중합체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 내에 알킬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에 포함되는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 및/또는 분지쇄의 가지형 알킬기 또는 고리형 알킬기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상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한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는 또한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에서, 극성 관능기로는, 일반적으로 히드록시기 또는 카복실기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로서, 예를 들면,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나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각 가교성 단량체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업계에서 공지된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2의 범위 내인 히드록시알킬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또는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및/또는 말레산 무수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높은 박리력의 구현을 위해서 상기 단량체 중에서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종종 사용하지만, 본 출원에서는 목적에 따라 적합한 단량체를 선택 및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 단위의 비율은 목적하는 응집력 등을 고려하여 특별한 제한 없이 조절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 단위 100 중량부 대비 약 0.5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 내의 비율로 상기 가교성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단량체의 중합 단위의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1 중량부 이상일 수 있으며, 9.5 중량부 이하, 9 중량부 이하, 8.5 중량부 이하, 8 중량부 이하, 7.5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하, 6.5 중량부 이하, 6 중량부 이하, 5.5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하, 4.5 중량부 이하, 4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하, 2.5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하 또는 1.5 중량부 이하일 수도 있다.
점착 중합체는, 상기 언급된 단량체의 중합 단위 외에도 필요한 경우에 다른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단량체의 중합 단위로는,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 단위, 예를 들면, 방향족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 단위가 있다. 이러한 단위를, 소위 광학 보상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하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4의 단량체를 적용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9088631617-pat00004
화학식 4에서, R1은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A는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n은 0 내지 3의 범위 내의 정수를 나타내고, Q는 단일 결합, -O-, -S- 또는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P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4에서, R1은, 예를 들면,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인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거나, 또는 수소일 수 있다.
화학식 4에서, A는 탄소수 1 내지 12 또는 1 내지 8의 알킬렌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헥실렌기 또는 옥틸렌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렌기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하여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화학식 4에서, n은 예를 들면, 0 내지 2의 범위 내의 수이거나, 0 또는 1일 수 있다.
화학식 4에서 Q는 단일 결합, -O- 또는 -S-일 수 있다.
화학식 4에서, P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예를 들면, 페닐기, 비페닐기, 나프틸기 또는 안트라세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릴기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하여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화학식 4에서, 아릴기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치환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할로겐 또는 알킬이나,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이나, 염소, 브롬,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노닐 또는 도데실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4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녹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닐티오-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4,6-디브로모-2-이소프로필 페녹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6-(4,6-디브로모-2-sec-부틸 페녹시)-1-헥실 (메타) 아크레이트, 2,6-디브로모-4-노닐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6-디브로모-4-도데실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1-나프틸옥시)-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2-나프틸옥시)-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1-나프틸옥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6-(2-나프틸옥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1-나프틸옥시)-1-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8-(2-나프틸옥시)-1-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 적용 목적에 따라서, 상기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 단위의 비율을 제한 없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교성 중합체는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위 100 중량부 대비 약 0.1 내지 45 중량부의 상기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40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하 또는 3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점착 중합체는 필요한 경우에 상기 언급된 단위 외에 공지의 다른 단위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중합체는 상기 언급된 단량체들을 적용한 공지의 중합 방법으로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은 50 만 이상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 수치이고, 단순하게 분자량으로 호칭할 수도 있다. 상기 분자량(Mw)은, 다른 예시에서 60 만 이상 정도, 70 만 이상 정도, 80 만 이상 정도, 90 만 이상 정도, 100 만 이상 정도, 110 만 이상 정도, 120 만 이상 정도, 130 만 이상 정도, 140 만 이상 정도 또는 150만 이상 정도일 수 있고, 약 300 만 이하, 약 280 만 이하, 약 260 만 이하, 약 240 만 이하, 약 220 만 이하 또는 약 200 만 이하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인 점착제층에서, 경화제는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점착 중합체를 가교시키고 있을 수 있다.
경화제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경화제,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아지리딘계 경화제 및 금속 킬레이트계 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는 경화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져서 점착제층 내에 겔 형성에 의해서 광학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점착제층의 광학적 특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는, 경화제로는 금속 킬레이트계 경화제를 가급적 적용하지 않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과 같은 디이소시아네이트나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종류와 폴리올(ex. 트리메틸롤 프로판)과의 반응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에폭시계 경화제의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및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아지리딘계 경화제의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N,N -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 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및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제를 상기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율 하에서 점착제층 내의 성분 간의 응집력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층간 박리나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내구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0.005 중량부 이상, 0.01 중량부 이상 또는 0.05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약 9 중량부 이하, 8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하, 6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하, 4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하 또는 1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외에도 필요한 공지의 다른 첨가제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실란 커플링제 등의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점착 부여제(tackifier),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은 또한,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광학 적층체는, 적어도 광학 필름, 그리고 상기 광학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한 점착제층 및/또는 광학 적층체의 광학적 물성 등을 조절함으로 해서, 전술한 자연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고, 우수한 시간 특성 또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는 Hunter Lab 색 좌표의 a 값이 -6 내지 -1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Hunter Lab 색 좌표는 명도와 색상도를 기본으로 하는 색상 좌표계로서, 명도 요소(L)와 2가지 색상 축(ab)을 기준으로 색상을 표시한다. Lab 좌표계에서 a 축은 적색의 색상 축이고 b 축은 황색의 색상 축이다. 상기 색좌표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상기 광학 적층체의 a 축이 상기 범위 내에 있도록 설계함으로 해서, 외부에서 입사된 자연광이 반사되더라도 제품의 전체적 색감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a 값은, -5.5 이상, -5 이상 또는 -4.5 이상일 수 있고, -1.5 이하, -2 이하, -2.5 이하, -3 이하, -3.5 이하 또는 -4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본 출원의 광학 적층체의 Hunter Lab 색좌표의 b 값 또한 추가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 적층체의 Hunter Lab 색좌표의 b 값은 3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b값이 높을 수록 광학 적층체의 전체적인 색감이 황색(yellow)에 가깝게 되는데, 이는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하기에, 상기 b 값이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적절할 수도 있다. 상기 b 값은 다른 예시에서, 3.5 이상, 4 이상, 4.5 이상, 5 이상, 5.5 이상, 6 이상, 6.5 이상, 7 이상, 7.5 이상, 8 이상, 8.5 이상일 수 있고, 9.5 이하, 9.3 이하, 9.1 이하 또는 9 이하일 수 있다.
또한, 광학 적층체의 Hunter Lab 색좌표의 L 값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시에서, 광학 적층체의 L 값은 30 내지 8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L 값은 35 이상, 40 이상, 45 이상, 50 이상, 55 이상, 60 이상 또는 65 이상일 수 있고, 75 이하, 70 이하 또는 68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전술한 자연광 반사에 의한 시인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동시에 표시 장치에서 방출되는 광이 우수한 색감, 예를 들어 흑색에 가까운 시감을 띄도록 조절하는 관점에서는, 점착제층의 투과율이 특정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점착제층은, 425 nm 내지 435 nm의 범위 내에 있는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8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의 기준 파장은, 다른 예시에서, 427 nm 이상 또는 429 nm 이상일 수 있고, 433 nm 이하 또는 431 nm 이하 일 수 있으며, 또 다른 다른 예시에서는 대략 430 nm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은, 다른 예시에서, 30 % 이상, 40 % 이상, 50 % 이상, 60 % 이상, 65 % 이상 일 수 있고, 75 % 이하, 73 % 이하, 71 % 이하 또는 70 %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특정 파장 범위 내에 있는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은, 그 파장 범위 내의 어느 하나의 특정 파장에 대한 투과율이거나, 상기 범위 내의 일부 파장 범위에 대한 투과율이거나, 또는 상기 범위 내의 모든 파장에 대한 투과율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점착제층은, 445 nm 내지 455 nm의 범위 내에 있는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8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의 기준 파장은, 다른 예시에서, 447 nm 이상 또는 449 nm 이상일 수 있고, 453 nm 이하 또는 451 nm 이하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시에서는 대략 450 nm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은, 다른 예시에서, 30 % 이상, 40 % 이상, 50 % 이상, 60 % 이상, 70 % 이상 또는 75 % 이상일 수 있고, 83 % 이하, 81 % 이하, 79 % 이하 또는 77 % 이하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점착제층은 460 nm 이상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70 % 이상일 수 있다. 해당 투과율의 기준 파장의 상한은, 다른 예시에서 700 nm 이하, 650 nm 이하, 640 nm 이하, 630 nm 이하 또는 625 nm 이하일 수 있다. 해당 파장에서, 상기 투과율은, 다른 예시에서, 75 % 이상, 80 % 이상 또는 85 % 이상일 수 있고, 99 % 이하, 97 % 이하, 95 % 이하, 93 % 이하 또는 92 %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전술한 자연광 반사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고, 최종 제품의 색감 개선의 관점에서, 특정 범위 내에 있는 파장의 광에 대한 광학 적층체의 투과율 또한 추가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광학 적층체의 425 nm 내지 435 nm의 범위 내에 있는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3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의 기준 파장은, 다른 예시에서, 427 nm 이상 또는 429 nm 이상일 수 있고, 433 nm 이하 또는 431 nm 이하 일 수 있으며, 또 다른 다른 예시에서는 대략 430 nm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은, 다른 예시에서, 34 % 이하, 33 % 이하, 32 % 이하, 31 % 이하 또는 30 % 이하일 수 있고, 그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 % 이상, 5 % 이상, 10 % 이상, 15 % 이상, 20 % 이상 또는 25 % 이상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광학 적층체의 445 nm 내지 455 nm의 범위 내에 있는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은 3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의 기준 파장은, 다른 예시에서, 447 nm 이상 또는 449 nm 이상일 수 있고, 453 nm 이하 또는 451 nm 이하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시에서는 대략 450 nm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은, 다른 예시에서, 34 % 이하 또는 33 % 이하일 수 있고, 그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 % 이상, 5 % 이상, 10 % 이상, 15 % 이상, 20 % 이상, 25 % 이상 또는 30 %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광학 적층체의 460 nm 이상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50 % 이하일 수 있다. 해당 투과율의 기준 파장의 상한은, 다른 예시에서 700 nm 이하, 650 nm 이하, 640 nm 이하, 630 nm 이하 또는 625 nm 이하일 수 있다. 해당 파장에서, 상기 투과율은, 49 % 이하, 47 % 이하 또는 45 % 이하일 수 있고, 그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 % 이상, 5 % 이상, 10 % 이상, 15 % 이상, 20 % 이상, 25 % 이상 또는 30 %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전술한 자연광의 반사율 저감과, 최종 제품의 색감 개선 관점에서, 상기 광학 적층체가 특정 범위 내에 있는 단체 투과율(single transmittance, Ts)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의 단체 투과율은, 예를 들어, 30 % 내지 60 %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단체 투과율은, 다른 예시에서, 35 % 이상, 40 % 이상 또는 43 % 이상일 수 있고, 55 % 이하, 50 % 이하, 47 % 이하 또는 45 %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단체 투과율은, 가시광선, 예를 들어, 400 nm 내지 700 nm의 파장 범위 전체에서의 투과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점착제층 및 광학 적층체 각각의 특정 범위 내에 있는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측정 방식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과 광학 적층체의 투과율, 색상 값 등의 물성은 전술한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 예를 들어, 적용된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 비율, 점착 중합체의 구성 중합 단위, 배합 비율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본 출원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점착제층은, 예를 들면, 1 μm 내지 30 μ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구체적으로 1 μm 이상, 3μm 이상 또는 5μm 이상일 수 있고, 25μm 이하, 20μm 이하 또는 15μm 이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자일 수 있다. 즉, 본 출원의 광학 적층체는, 예를 들면, 편광판일 수 있고, 이하에서는 광학 적층체와 편광판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편광자”는 편광 기능을 가지는 필름, 시트 또는 소자를 의미한다.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입사광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추출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자이다.
상기 편광자는 흡수형 편광자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흡수형 편광자”는 입사 광에 대하여 선택적 투과 및 흡수 특성을 나타내는 소자를 의미한다. 상기 편광자는 선 편광자일 수 있다. 상기 흡수형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입사 광으로부터 어느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투과하고, 나머지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선편광자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선편광자”는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이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선 편광이고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광이 상기 선편광의 진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선편광인 편광자를 의미한다.
상기 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PVA(poly(vinyl alcohol)) 연신 필름 등과 같은 고분자 연신 필름에 요오드를 염착한 편광자 또는 배향된 상태로 중합된 액정을 호스트로 하고, 상기 액정의 배향에 따라 배열된 이방성 염료를 게스트로 하는 게스트-호스트형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편광자의 투과율 내지 편광도는 본 출원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자의 투과율은 42.5% 내지 55%일 수 있고, 편광도는 65% 내지 99.9997% 일 수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에서, 점착제층은 상기 광학 필름에 직접 접하거나 또는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광학 필름의 사이에 다른 층이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광학 필름이 편광자일 때, 상기 광학 적층체는 위상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층은 원 편광을 선 편광으로 또는 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위상차층은 1/4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위상차층은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이 110 nm 내지 180 nm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면상 위상차(Rin)”는 하기 수식 1에 따라 정해지는 값이다. 상기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약 40도 내지 50도, 약 43도 내지 47도, 바람직하게는 약 45도의 이룰 수 있다. 상기 위상차층은 고분자 연신 필름 또는 액정 화합물의 경화층일 수 있다.
[수식 1]
Rin = d × (nx - ny)
수식 1에서 d는 위상차층의 두께이며, nx, ny 및 nz는 각각 위상차층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에 대한 굴절률을 의미한다. 상기 x축은 위상차층의 면상 지상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y축은 위상차층의 면상 진상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며, z축은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지상축 방향은 면상에서 굴절률이 가장 큰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진상축 방향은 위상차층의 면상에서 상기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두께 방향은 지상축 및 진상축이 이루는 평면의 법선 방향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용어 “굴절률”에 대하여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약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굴절률을 의미한다.
상기 위상차층은 역파장 분산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역파장 분산성”은 하기 수식 2를 만족하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수식 2]
Rin(450) < Rin (550)
수식 2에서 Rin(450) 및 Rin(550)은 각각 450nm 및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이다.
편광판이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경우 점착제층은 편광자와 위상차층 사이 또는 위상차층의 외측에 존재할 수 있다. 그렇지만, 후술하는 유기 발광 패널의 제조 공정 상의 불량 문제를 고려하였을 때, 편광자와 위상차층 사이에는 접착제층이 존재하고, 위상차층의 외측에는 상기 점착제층이 존재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출원에서, 용어 “접착제층”은 완전 경화된 후에는 고체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한번 피착체에 부착된 다음에는, 탈착 시 재부착 할 수 없는 층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접착제층은, 예를 들면, 접착제 조성물을 편광자의 일면에 도포하고, 건조, 가열 또는 전자기파의 조사 등에 의해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 경화는 물리적 작용 또는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접착제 조성물이 접착 특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접착제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접착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경화되어 목적하는 접착 특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 비닐 아세테이트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폴리비닐알킬에테르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염화비닐-비닐아세테이트계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의 수소 첨가물(SEBS)계 접착제; 에틸렌계 접착제;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접착제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착제층은, 예를 들면, 수계, 용제계 또는 무용제계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은, 열경화형, 상온 경화형, 습기 경화형 또는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의 바람직한 예시로는, 수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조성물; 무용제형 아크릴 접착제 조성물; 또는 무용제형 비닐 아세테이트계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들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위상차층의 외측”은 위상차층을 기준으로 편광자 측의 반대 측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위상차층에 직접 접하는 위치 또는 직접 접하지 않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편광자의 외측”은 편광자를 기준으로 위상차층 측의 반대 측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편광자에 직접 접하는 위치 또는 직접 접하지 않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이 편광자일 때 본 출원의 광학 적층체는 편광판 일 수 있다. 상기 편광판에서는, 상기 접착제층이 편광자와 위상차층 사이에 존재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위상차층의 외측에 존재할 수 있다. 접착제층과 편광자 사이에는 후술하는 중간층, 예를 들어,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 상기 위상차층 이외의 위상차 필름 또는 상기 위상차 필름의 기재 필름 등이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편광판에 포함되는 액정 배향막을 추가적인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므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액정 배향막은 상기 위상차층으로 액정 필름(액정 화합물의 경화층)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편광판은 상기 위상차층 이외에 추가적인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의 외측에 존재하는 상부층, 상기 위상차층의 외측에 존재하는 하부층 및 상기 편광자와 위상차층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층 중 하나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편광자와 상부층의 사이, 상기 편광자와 상기 중간층의 사이, 상기 위상차층과 상기 중간층의 사이, 상기 위상차층과 하부층의 사이 및 위상차층의 외측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그렇지만, 후술하는 유기 발광 패널의 제조 공정 상의 불량 문제를 고려하였을 때, 상기 편광자와 상부층의 사이, 상기 편광자와 상기 중간층의 사이, 상기 위상차층과 상기 중간층의 사이 및 상기 위상차층과 하부층의 사이에는 접착제층이 존재하고, 위상차층의 외측에는 상기 점착제층이 존재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부층은 편광자의 위상차층을 향하는 반대 면에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점착제층은 상부층과 편광자의 사이, 편광자와 위상차층의 사이 및 위상차층의 외측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그렇지만, 후술하는 유기 발광 패널의 제조 공정 상의 불량 문제를 고려하였을 때, 상부층과 편광자의 사이 및 편광자와 위상차층의 사이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는 접착제층이 존재하고, 위상차층의 외측에는 상기 점착제층이 존재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부층의 종류로는, 편광자의 보호 필름, 하드코팅층, 상기 위상차층 이외의 위상차 필름, 반사 방지층 또는 액정 코팅층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부층으로 사용되는 각 구성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업계에서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필름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층은 상기 예시된 층들의 단일층이거나 또는 상기 예시된 층들 중 2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부층은 위상차층의 편광자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점착제층은 하부층과 위상차층의 사이, 편광자와 위상차층의 사이 및 위상차층의 외측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그렇지만, 후술하는 유기 발광 패널의 제조 공정 상의 불량 문제를 고려하였을 때, 하부층과 위상차층의 사이 및 편광자와 위상차층의 사이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는 접착제층이 존재하고, 위상차층의 외측에는 상기 점착제층이 존재하는 것이 적절하다. 하부층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편광자의 외측에는 하드코팅층이나 저반사층 등의 상부층이 존재할 수 있고, 편광자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보호 필름이 존재할 수도 있다.
하부층의 종류로는, 상기 위상차층 이외의 위상차필름이나 상기 편광판을 다른 요소에 부착하기 위한 점착제층, 접착제층 또는 상기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 내지는 이형 필름이 예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층으로서의 점착제층이 상기 기술한 본 출원의 점착제층일 수도 있다. 상기 하부층은 상기 예시된 층들의 단일층이거나 또는 상기 예시된 층들 중 2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중간층은 편광자와 위상차층의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제층은 중간층과 편광자의 사이, 중간층과 위상차층의 사이 및 위상차층의 외측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그렇지만, 후술하는 유기 발광 패널의 제조 공정 상의 불량 문제를 고려하였을 때, 중간층과 편광자의 사이 및 중간층과 위상차층의 사이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는 접착제층이 존재하고, 위상차층의 외측에는 상기 점착제층이 존재하는 것이 적절하다.
중간층으로는 전술한 편광자 보호 필름, 상기 위상차층 이외의 위상차 필름 또는 상기 위상차층의 기재 필름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은 상기 예시된 층들의 단일층이거나 또는 상기 예시된 층들 중 2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편광자의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층의 기재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필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테르설폰 필름; 아크릴 필름 및/또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시클로계나 노르보르넨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필름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상차층 이외의 위상차 필름으로는 양의 두께 방향 위상차를 갖는 위상차 필름이 예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하기 수식 3에 따라 정해지는 값일 수 있다. 편광판이 양의 두께 방향 위상차를 갖는 위상차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경우 시야각에서 반사 방지 특성 및 컬러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으로는 하기 수식 4 또는 수식 5를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수식 4을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을 +C 플레이트로 호칭할 수 있고, 하기 수식 5를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을 +B 플레이트로 호칭할 수 있다. 이러한 위상차 필름으로는 고분자 연신 필름, 수직 배향된 액정층, 스플레이 배향된 액정층 또는 틸트 배향된 액정층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광축(지상축)의 평면으로의 투영은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 또는 직교를 이룰 수 있다.
[수식 3]
Rth = d × (nz - ny)
[수식 4]
nx = ny < nz
[수식 5]
nx > ny 및 nz > ny
수식 3에서 d는 위상차층의 두께이며, 수식 3 내지 5에서 nx, ny 및 nz는 각각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본 출원의 편광판은 하드코팅층, 편광자, 편광자의 보호필름, 접착제층, 위상차층의 기재필름, 위상차층, +C 플레이트 및 점착제층을 순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다른 예시에서, 하드코팅층, 편광자, 접착제층, 위상차층의 기재필름, 위상차층, +C 플레이트 및 점착제층을 순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전술한 광학 적층체 및 유기 발광 패널을 포함하고, 그 광학 적층체의 광학 필름이 점착제층을 매개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광학 적층체가 편광판이고, 상기 편광판이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위상차층이 유기 발광 패널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적층체가 상기 점착제층을 매개로 상기 유기 발광 패널에 부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저가인 상기 광학 적층체를 떼어내고, 다른 광학 적층체를 재부착함으로써, 제조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고가인 유기 발광 패널을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유기 발광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의 제 1 표면에 순차로 제공되는 제 1 전극층;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광학 적층체는 상기 유기 발광 패널에서 빛이 나오는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것처럼, 상기 유기 발광 패널이 기판 측으로 빛이 나오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구조인 경우, 상기 광학 적층체, 예를 들면, 편광판은 기판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 패널이 후술하는 봉지 기판 측으로 빛이 나오는 전면 발광(top emission)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광학 적층체는 봉지 기판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외광이 유기 발광 패널의 전극 및 배선 등과 같이 금속으로 만들어진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어 유기 발광 패널의 외측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기 발광 패널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기판으로는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패널은 롤러블(rollable), 플렉서블(flexible) 또는 벤더블(bendable) 유기 발광 패널의 구현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로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믹산,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설파이드, 폴리설폰 또는 아크릴 폴리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공정온도 측면에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고온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으로는 투광성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투광성 기판은 예를 들어 가시광 영역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또는 80%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 중 하나는 애노드(anode)이고 다른 하나는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애노드는 정공(hole)이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work function)가 높은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캐소드는 전자가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가 낮은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전극층은 애노드이고, 제 2 전극층은 캐소드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애노드는 투명 전극일 수 있고, 상기 캐소드는 반사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애노드는 투명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ITO, IZO, AZO, GZO, ATO 또는 SnO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소드는 금속, 예를 들어, Ag, Au, 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은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빛을 낼 수 있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소위 하부 발광형 소자(bottom emitting device)로 호칭되는 구조에서는, 제 1 전극층이 투명 전극층으로 형성되고, 제 2 전극층이 반사 전극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위 상부 발광형 소자(top emitting device)로 호칭되는 구조에서는 제 1 전극층이 반사 전극층으로 형성되고, 제 2 전극층이 투명 전극층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전극층에 의해서 주입된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이 유기 발광층에서 재결합(recombination)되어 광이 생성될 수 있다. 광은 하부 발광형 소자에서는 기판 측으로 상부 발광형 소자에서는 제 2 전극층 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은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각각 발광하는 공지의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유기 발광 패널은 3 원색의 발광층이 각각 다른 색을 내면서 하나의 픽셀(점, 화소)을 구성하는 방식(RGB 방식)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상기 3 원색의 발광층을 적층하여 백색을 발광하도록 하여 하나의 픽셀을 구성한 뒤 상기 백색 발광층의 전면에 컬러필터층은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는 방식(WOLED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패널은 제 1 전극층과 유기 발광층 사이 및 제 2 전극층과 유기 발광층 사이에는 부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대층은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정공 전달층(hole transporting layer),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및 전자 전달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 발광 패널은 봉지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 기판은 제 2 전극층 상부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봉지 기판은 유리, 금속 및/또는 고분자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제 1 전극층,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층을 봉지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및/또는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점착제 조성물은 편광판 등의 광학 적층체에 적용될 수 있고, 그 광학 적층체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반사되는 외부 자연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제품의 시감 특성 또한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방법]
1. 점착제의 광학 특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점착제층을 40 mm X 40 mm X 0.7 mm (가로X세로X두께)의 크기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의 광학 특성을 자외선-가시광선-근적외선 분광계(UV-3600, SHIMADZU)를 이용하여 점착제층의 특정 파장에서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2. 편광판의 광학 특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을 25 mm X 25 mm(가로X세로)의 크기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계(V-7100, JASCO)를 이용하여 편광판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과 색좌표를 측정하였다.
3. 편광판의 신뢰성 조건에서의 내구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90 mm×170 mm (가로×세로)의 크기로 재단하여 제조되는 시편을 각각 실시예 및 비교예마다 2장씩 준비하였다. 이어서, 준비된 두 장의 시편을 유리 기판(110mm×190mm×0.7mm=가로×세로×두께)의 양면에 각 편광판의 광학 흡수축이 크로스되도록 부착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상기 부착 시에 가해진 압력은 약 5 Kg/cm2이고, 기포 또는 이물이 계면에 발생하지 않도록 클린룸(Clean room)에서 작업을 하였다.
상기 제조된 샘플을 신뢰성 챔버에 투입한 후, 80 ℃의 온도의 조건 하에서 500 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점착제층 계면에서의 기포 발생 여부 또는 들뜸 발생 여부를 관찰(내열성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내열성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내열성 평가 기준>
○: 들뜸 및 기포가 발생하지 않음
△: 1 ㎝X 1 ㎝(가로 X 세로) 단위 면적 당 5 개 이하의 기포가 발생하거나 들뜸이 발생
×: 1 ㎝X 1 ㎝(가로 X 세로) 단위 면적 당 5 개 초과의 기포 발생 또는 들뜸이 다량 발생
또한, 상기 제조된 샘플을 신뢰성 챔버에 투입하여 60 ℃의 온도 및 90 %의 상대 습도의 조건 하에서 1000 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점착제층 계면에서의 들뜸의 발생 여부를 관찰(내습열성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내습열성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내습열성 평가 기준>
◎: 들뜸 발생 없음
○: 들뜸이 미세하게 발생
△: 들뜸이 발생
×: 들뜸이 다량 발생
[제조예]
실시예 1
점착제 조성물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1 L 반응기에 n-부틸 아크릴레이트(n-BA)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를 99:1의 중량 비율(n-BA:4-HBA)로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용제로서 에틸 아세테이트(EAc; ethyl acetate)를 상기 n-부틸 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합계 100 중량부 대비 약 180 중량부의 비율로 투입하고, 산소 제거를 위하여 질소 가스를 60 분 동안 퍼징(purging)하였다. 그 후, 온도를 약 67 ℃로 유지하면서, 반응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을 상기 n-부틸 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합계 100 중량부 대비 0.05 중량부로 투입하고, 8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에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가 30 중량%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160만 인 아크릴 중합체(점착 중합체)를 얻었다.
점착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 하에서 측정하였다. 검량선의 제작에는, Agilent system의 표준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측정 결과를 환산하였다.
측정기: Agilent GPC(Agilent 1200 series, 미국)
컬럼: PL Mixed B 2개 연결
컬럼 온도: 40℃
용리액: THF(테트라하이드로퓨란)
유속: 1.0 mL/min
농도: ~2 mg/mL (100 μL 주입)
상기 아크릴 중합체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A의 화합물(FDB-009, YAMADA, 최대 흡수 파장: 약 394 nm,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흡수 스펙트럼의 반치폭: 약 43 nm)을 1.25 중량부로 배합하고, 하기 화학식 B의 화합물(Gelb 6G, Lanxess, 최대 흡수 파장: 약 440 nm,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반치폭: 약 70 nm)을 0.05 중량부로 배합하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T-39M, Soken)를 0.07 중량부로, 약 0.5 중량%의 농도로 에틸 아세테이트에 희석한 디-n-부틸틴디라우레이트(di-n-butyltin dilaurate)계 촉매(C-700, 한농 화성)를 0.006 중량부로, 공지의 실란 커플링제를 0.23 중량부로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A]
Figure 112019088631617-pat00005
[화학식 B]
Figure 112019088631617-pat00006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처리된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두께: 38 ㎛, MRF-38, Mitsubishi chemical 社)의 이형 처리면에 건조 후 두께가 약 13 ㎛가 되도록 코팅하고, 80 ℃의 온도의 오븐(Mathis oven)에서 3분 동안 열경화하여 점착제층을 제조하였다.
편광판의 제조
두께 12 μm인 PVA(poly(vinyl alcohol)) 계열의 편광자의 양면이 약 30 μm 두께의 TAC(Triacetyl cellulose) 보호 필름으로 보호된 공지의 편광판의 일면에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내 위상차가 대략 137.5 nm인 위상차층(액정층) 상기 제조된 점착제층을 순차로 라미네이트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화학식 A의 화합물과 화학식 B의 화합물을 적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화학식 A의 화합물을 적용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점착제층 또는 편광판의 광학 특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입하였다. 특히, 본 출원에서 규정하는 모든 조건을 충족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실시예 1은 430 nm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비교예의 편광판 대비 특히 낮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본 출원의 점착제 조성물을 적용하였을 때 최종 제품의 시감 특성을 특히 개선된 점을 반영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 비교예
1 1 2
점착제층
투과율
(@430 nm, %)
69.19 90.94 84.64
점착제층투과율
(@450 nm, %)
76.55 91.01 85.59
점착제층투과율
(@460 nm, %)
88.74 90.93 88.42
점착제층투과율
(@540 nm, %)
91.2 91.51 92.03
점착제층투과율
(@625 nm, %)
91.44 91.3 92.08
편광판단체투과율(%) 43.33402 43.84429 43.32928
편광판투과율
(@430 nm, %)
29.9948 39.9233 36.53245
편광판투과율
(@450 nm, %)
33.9251 41.44062 37.5837
편광판투과율
(@460 nm, %)
37.4248 42.04748 38.4215
편광판투과율
(@540 nm, %)
43.5602 43.91784 43.5934
편광판투과율
(@625 nm, %)
44.1126 44.09895 43.8956
편광판L 65.82858 66.21502 65.8421
편광판a -4.42109 -1.06565 -3.4125
편광판b 8.99921 2.44063 6.2764
내열성
내습열성

Claims (28)

  1. 점착 중합체; 최대 흡수 파장이 390 nm 내지 410 nm의 범위 내에 있는 제 1 화합물; 및 최대 흡수 파장이 435 nm 내지 450 nm의 범위 내에 있고,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반치폭은 30 nm 내지 100 nm의 범위 내에 있는 제 2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화합물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반치폭은 10 nm 내지 60 nm의 범위 내에 있는 점착제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88631617-pat00007

    화학식 1에서, X1 및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또는 알콕시기이다.
  5. 제 4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X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이고, R1 또는 R2는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며, R3 또는 R4는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인 점착제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X1은 수소 원자이고, R1은 알킬기이며, R2는 알콕시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인 점착제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9088631617-pat00008

    화학식 2에서, X2는 수소 원자,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또는 알콕시기이고, R5 내지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시기, 또는 -NX3 2이되, R5 내지 R9 중 적어도 하나는 -NX3 2이며, 상기에서 X3는 수소,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시기 또는 하기 화학식 3의 치환기이되, -NX3 2에서 적어도 하나의 X3는 하기 화학식 3의 치환기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19088631617-pat00009

    화학식 3에서, L은 단일 결합, 산소 원자, 황 원자, -S(=O)2-,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C(=O)-X4- 또는 -X4-C(=O)-이고, 상기에서 X4는 단일 결합, 산소 원자, 황 원자,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또는 알키닐렌기이며, R10 내지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시기,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기이되, R10 내지 R14 중 적어도 하나는 지환족 탄화수소기이다.
  8. 제 7 항에 있어서, 화학식 2의 R7이 -NX3 2이고, -NX3 2에서 어느 하나의 X3는 화학식 3의 치환기인 점착제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화학식 3의 R12가 지환족 탄화수소기인 점착제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화합물의 비율은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의 범위 내에 있는 점착제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화합물의 비율은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의 범위 내에 있는 점착제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화합물(A)과 제 2 화합물(B)의 중량 비율(A/B)은 0.05 내지 200의 범위 내에 있는 점착제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 중합체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 단위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부틸 아크릴레이트인 점착제 조성물.
  15. 제 13 항에 있어서,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탄소수 1 내지 12의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인 점착제 조성물.
  16. 제 13 항에 있어서, 점착 중합체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50 중량% 이상의 비율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7. 제 13 항에 있어서, 점착 중합체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중합 단위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8. 광학 필름; 및 광학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제 1 항의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인 광학 적층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425 nm 내지 435 nm의 범위 내에 있는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은 80 % 이하인 광학 적층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445 nm 내지 455 nm의 범위 내에 있는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은 85 % 이하인 광학 적층체.
  21. 제 18 항에 있어서, 425 nm 내지 435 nm의 범위 내에 있는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35 % 이하인 광학 적층체.
  22. 제 18 항에 있어서, 445 nm 내지 455 nm의 범위 내에 있는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은 35 % 이하인 광학 적층체.
  23. 제 18 항에 있어서, Hunter Lab 색좌표의 a 값이 -6 내지 -1의 범위 내에 있는 광학 적층체.
  24. 제 18 항에 있어서, Hunter Lab 색좌표의 b 값이 3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는 광학 적층체.
  25. 제 18 항에 있어서, 광학 필름은 편광자인 광학 적층체.
  26. 제 18 항의 광학 적층체 및 유기 발광 패널을 포함하고, 광학 필름은 점착제층을 매개로 유기 발광 패널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유기 발광 패널은, 기판; 기판의 제 1 표면에 순차로 제공되는 제 1 전극층, 유기 발광층, 제 2 전극층을 포함하고, 광학 적층체는 유기 발광 패널에서 빛이 나오는 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기판은 플라스틱 기판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105928A 2019-08-28 2019-08-28 점착제 조성물 KR102442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28A KR102442855B1 (ko) 2019-08-28 2019-08-28 점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28A KR102442855B1 (ko) 2019-08-28 2019-08-28 점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915A KR20210025915A (ko) 2021-03-10
KR102442855B1 true KR102442855B1 (ko) 2022-09-14

Family

ID=7514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928A KR102442855B1 (ko) 2019-08-28 2019-08-28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8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7151A (ja) 2005-03-31 2006-11-09 Emulsion Technology Co Ltd 紫外線硬化型紫外線遮蔽性樹脂組成物
JP2007262234A (ja) 2006-03-28 2007-10-11 Daio Paper Corp 粘着剤組成物及び電子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JP2018162463A (ja) * 2018-05-31 2018-10-18 協立化学産業株式会社 光硬化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877B1 (ko) * 2009-11-05 2013-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JP2018072712A (ja) * 2016-11-02 2018-05-1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KR102236533B1 (ko) * 2018-01-23 2021-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7151A (ja) 2005-03-31 2006-11-09 Emulsion Technology Co Ltd 紫外線硬化型紫外線遮蔽性樹脂組成物
JP2007262234A (ja) 2006-03-28 2007-10-11 Daio Paper Corp 粘着剤組成物及び電子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JP2018162463A (ja) * 2018-05-31 2018-10-18 協立化学産業株式会社 光硬化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915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7814B2 (en) Adhesiv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1399194B1 (ko)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4800722B2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光学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光学部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339412B1 (ko) 광학 적층체
US11485885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20030082919A (ko) 감압성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장치
KR20080069355A (ko) 광학 보상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편광판 및 액정표시소자
US750398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image display, image display and adhesive optical film
KR20170011306A (ko)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TW202037698A (zh) 光學薄膜用黏著劑層、光學薄膜用黏著薄膜及用以製作其之光學薄膜用黏著劑組合物
KR20160088131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용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442855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472996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10032058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498636B1 (ko) 광학 적층체
KR102294148B1 (ko) 가교성 조성물
KR20130073419A (ko) 식각된 유리기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적층체 및 액정표시장치
KR20230054304A (ko) 편광판 및 그의 용도
JP2024066848A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位相差層付偏光板を有する画像表示装置
KR20210009865A (ko) 점착제 조성물, 보호 필름, 광학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